맨위로가기

나이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이만은 12세기 말 몽골족보다 세력이 컸던 몽골 서쪽에 위치한 민족이다. 칭기즈 칸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몽골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몽골, 타타르, 카자흐 부족 등에 동화되었다. 나이만의 기원은 튀르크계, 몽골계 등 여러 설이 있으며, 샤머니즘과 네스토리우스 기독교를 믿었다. 현재는 카자흐스탄, 중국,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등에 거주하며, 카자흐족의 주요 부족 중 하나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만 - 퇴레게네 카툰
    오고타이 칸의 아내인 퇴레게네 카툰은 오고타이 칸 사후 섭정을 맡아 제국을 다스리며 아들 귀위크를 칸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권력 투쟁과 내부 갈등을 심화시켜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나이만 - 바부샤 카툰
    바부샤 카툰은 원 명종 쿠살라 칸의 정궁황후이자 원 영종 린첸발의 생모로, 남편 사후 불사를 주관했으나 암살 또는 처형당했다는 설이 있으며, 혜종 때 태묘에 부묘되었다.
  • 몽골의 부족 및 씨족 - 카묵 몽골
    12세기 몽골 고원에서 칸을 중심으로 형성된 카묵 몽골은 몽골족이 부족 통합을 이루고 카불 칸 시대에 군장국가로 발전했으나, 정치적 혼란을 겪은 후 칭기즈 칸의 등장으로 몽골 제국으로 발전하는 토대가 되었다.
  • 몽골의 부족 및 씨족 - 중세 몽골 부족
    중세 몽골 부족은 12세기부터 13세기 몽골 고원에서 몽골 제국 형성에 기여한 카마그 몽골, 케레이트, 타타르, 메르키트, 나이만, 옹구트 등 다양한 부족들을 총칭한다.
  • 유목연맹체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목연맹체 - 타타르 연맹
    타타르 연맹은 6세기에서 8세기 몽골 지역에서 형성된 부족 연맹으로, 튀르크어 비문에 기록되어 있으며, 몽골족과 튀르크족을 포함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민족적, 언어적 연관성은 논쟁 중이다.
나이만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이만 칸국
나이만 칸국의 위치 (몽골 제국 시작 시점)
언어튀르크어, 몽골어
종교티베트 불교 (몽골), 이슬람교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샤머니즘, 과거 네스토리우스파
명칭
한국어나이만
몽골어Найман
키르기스어Найман
페르시아어نایمان
IPA (영어)/ˈnaɪmən/
IPA (몽골어)/ˈnɛːmɴ̩/
IPA (전체)nɑjˈmɑn
역사
존속 기간11세기 ~ 1208년
이전요나라
지위유목 연맹체, 서요의 속국 (1124년 ~ 1175년)
이후고대 몽골
계승서요, 몽골 제국
주요 지도자이난차 빌게 칸 (1143년 ~ 1198년)
타이양 칸 (1198년 ~ 1204년)
쿠츨루크 (1204년 ~ 1208년)
위치
지역몽골
지위칸국
인구
몽골확인 필요
중국 (내몽골 자치구)확인 필요
카자흐스탄940,000명
기타 정보
민족나이만족
공용어중세 몽골어, 튀르크어
수도불명

2. 역사

몽골비사에는 나이만 부족의 한 지파인 "귈추구드"가 언급되어 있다. 1199년, 테무진(칭기즈 칸)은 동맹 토그릴(옹 칸)과 함께 나이만족에 대한 원정을 시작해[21] 산악 지배 가문의 나이만 칸인 부이르그를 물리쳤다. 1203년, 초원의 나이만족의 마지막 통치자인 타양 칸이 칭기즈 칸과의 전투에서 사망했고, 그의 아들 쿠츨루크는 남은 나이만 병력과 함께 카라키타이 칸국으로 도망쳤다. 쿠츨루크는 그곳에서 환영을 받았고, 키타이 칸은 그에게 자신의 딸을 시집보냈다. 쿠츨루크는 곧 새로운 장인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고, 왕위를 찬탈한 후 하미 오아시스에서 무슬림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의 행동은 현지인들의 반대에 직면했고, 그는 나중에 제베 휘하의 몽골군에게 패배했다.

나이만 칸국은 몽골군에 의해 멸망했지만, 그들은 몽골 제국의 모든 지역에서 나타났다. 오고타이의 대칸 부인인 토레게네 카툰은 이 부족 출신이었을 것이다. 훌레구는 나이만 출신 장군 케트부카를 두었는데, 그는 1260년 아인잘루트 전투에서 사망했다.

원나라가 붕괴된 후, 나이만족은 결국 몽골, 타타르, 카자흐 부족에 동화되었다.[22]

2. 1. 기원과 초기 역사

몽골비사에는 나이만 부족의 한 지파인 "귈추구드"가 언급되어 있다. 러시아의 튀르크학자 니콜라이 아리스토프는 나이만 칸국의 서쪽 경계는 이르티쉬강, 동쪽 경계는 몽골의 타미르강에 닿았다고 보았다. 알타이산맥과 남부 알타이 공화국은 나이만 칸국의 일부였다.[11] 나이만은 카라키타이와 외교 관계를 맺었고, 1175년까지 그들에게 복종했다.[12]

러시아 및 소련의 중앙아시아 역사서에서는 전통적으로 나이만을 몽골어족 부족으로 분류했다.[13] 바실리 바르톨드,[9] 그리 고리 포타닌, 보리스 블라디미르초프, 일리야 파블로비치 페트루셰프스키, 니콜라스 포페,[13] 레프 구밀료프,[14] 바딤 트레파블로프 등 러시아 오리엔탈리스트들은 나이만을 몽골 부족 중 하나로 분류했다.[13]

다른 학자들은 나이만을 오구즈 튀르크에서 온 튀르크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5][16][17][18] "나이만"이라는 용어는 몽골어로 "여덟"을 의미하지만, 그들의 칭호는 튀르크어였다. 일부 학자들은 나이만이 몽골화된 튀르크인이라고 추정한다.[19] 나이만은 튀르크어를 사용한다고 묘사되기도 하고,[19] 몽골어를 사용한다고 묘사되기도 한다.[20] 거란족과 고창 위구르처럼 나이만 중 많은 수가 네스토리우스교 신자이거나 불교 신자였다.

2. 2. 이난차 빌게 부쿠 칸과 나이만의 분열

『집사』에 따르면, 칭기즈 칸 발흥 이전에 나이만 칸국에서는 형인 나르쿠슈 타얀 칸과 동생인 이난추 빌게 부쿠 칸이 칸(왕)위를 다투었다. 이난추 빌게 부쿠 칸 사후, 그의 두 아들인 타이 부카와 부이루크는 아버지의 애첩 문제로 불화가 생겨 두 세력으로 갈라졌다.[32]

2. 3. 몽골과의 전쟁

1199년, 몽골의 테무진(칭기즈 칸)과 케레이트옹 칸이 나이만의 부이루크 칸을 공격했다.[33] 이들은 부이루크 칸을 공격하여 많은 백성과 가축을 약탈했고, 부이루크는 키르기스에 속한 켐켐주트 지방으로 피난했다.[33] 이후 나이만의 장군 사브라크가 케레이트에 대항하여 선전했으나, 곧 몽골의 원군이 들어오자 나이만 군은 패배했다.

1202년, 메르키트의 족장 토크토아 베키가 몽골에 패하여 부이루크에게 원조를 요청했다.[33] 이에 부이루크는 돌번 씨, 타타르, 카타긴 씨, 살지우트 씨, 오이라트 등 여러 부족을 모아 몽골-케레이트 연합을 향해 진군을 시작했다. 이에 맞선 테무진과 옹 칸은 울쿠이 강변을 떠나 중국 국경에 가까운 카라운 지돈 산 방향으로 퇴각했다. 나이만 연합군은 이를 쫓아 카라운 지돈 산맥으로 들어갔으나, 심한 눈보라를 만나 많은 사람이 동상에 걸리고, 낭떠러지에서 떨어진 사람이 많아 원정은 실패로 끝났다.[33]

1203년, 테무진과 반목한 옹 칸이 나이만의 영토를 통과하다가 국경 수비 장교에게 살해되었고, 그 머리는 칸인 타이다이 부카에게 보내졌다.[34] 그러나 타이다이 부카는 옹 칸을 살해한 것에 분노하여 그의 두개골을 은 그릇 안에 넣어 보존했다.

1204년, 테무진이 나이만 영토를 침공하자, 타이다이 부카는 메르키트 족장 토크토아, 케레이트 수령 아린 타이시, 오이라트 족장 쿠도가 베키, 자디라트 씨족장 자무카를 비롯하여, 돌번, 타타르, 카다킨, 살지우트의 여러 부족과 함께 항가이 산맥 기슭에 진을 쳤다. 양군이 전투를 시작하자, 수적으로 우세한 나이만 군이 소수인 몽골군과 호각세를 이루며 점차 밀리기 시작했다. 이 전투에서 나이만 칸인 타이다이 부카가 전사하고, 그의 아들 구출루크는 알타이 산맥 부근에 할거하고 있던 숙부 부이루크 칸에게 몸을 의탁했으며, 메르키트를 제외한 동맹 부족은 모두 몽골에 항복했다.[34]

2. 4. 나이만의 서천과 카라 키타이 정복

1206년, 몽골의 테무진은 칭기즈 칸으로 칭해지며 유목 제민족의 제왕이 되었다. 쿠릴타이 해산 후 칭기스 칸은 나이만 칸이 된 부이루크 칸을 향해 진군, 울루그 타그(대산) 산지 부근의 쇼고크에서 사냥 중인 부이루크를 기습하여 살해하고 그 가족, 가축 및 모든 재산을 손에 넣었다. 간신히 살아남은 조카 쿠츨루크는 메르키트족장 토크토아와 함께 이르티쉬강 유역 지방으로 도주했다.[37]

1208년, 칭기스 칸은 쿠츨루크와 토크토아를 치기 위해 이르티쉬 강으로 진군했다. 도중에 오이라트를 세력에 더하여 쿠츨루크와 토크토아를 잠 강 부근에서 공격, 토크토아는 전사했지만 쿠츨루크는 가까스로 도망쳐 비슈발리크를 경유하여 쿠차 지역에 이르렀고, 거기서 투르키스탄의 대칸(굴 칸)의 조정인 카라 키타이(서요)로 향했다. 굴 칸 야율직로고 (재위: 1177년 - 1211년)는 쿠츨루크를 환영하여 그의 딸을 주어 아내로 삼았다.[37]

야율직로고는 주로 사냥과 쾌락에 빠져 정치를 쇠퇴시켰기 때문에, 카라 키타이의 속국(위구르], 호라즘, 서카라한 왕조)의 이반을 초래했고, 이미 일정한 지위를 구축하고 있던 쿠츨루크에게 왕위 찬탈의 기회를 제공했다. 쿠츨루크는 먼저 야율직로고에게 이미르, 카야리크, 비슈발리크 지방에 유랑하고 있는 나이만 잔당을 규합하여 야율직로고의 수행을 시키고 싶다고 청원하여 야율직로고로부터 "쿠츨루크 칸(강대한 군주)"의 칭호를 받았다. 곧바로 쿠츨루크는 나이만 잔당을 모으고, 메르키트의 수장도 이에 가담시키자, 호라즘과 페르시아의 술탄알라 웃딘 무함마드 (재위: 1200년 - 1220년)에게 협력을 요청하여 카라 키타이 공격 준비를 마쳤다.[37]

호라즘군은 카라 키타이에 침입하여 카라 키타이의 장군 타얀쿠를 격파했다. 1211년 / 1212년, 쿠츨루크는 혼란을 틈타 야율직로고 일행을 급습하여 그 신병을 확보했다. 이렇게 쿠츨루크는 카라 키타이의 왕위를 획득했지만, 야율직로고가 사망한 1213년까지 "황제" 칭호를 쓰지 않았다.[37]

2. 5. 쿠출루크의 통치와 몽골의 침입

1211년/1212년, 쿠출루크는 혼란을 틈타 야율직로고 일행을 급습하여 카라 키타이의 왕위를 획득했다. 그러나 야율직로고가 사망한 1213년까지 "황제"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37]

쿠출루크는 알말리크의 칸 오자를 복종시키려 여러 차례 군사를 일으켰고, 결국 오자가 사냥하는 틈을 타 기습하여 살해했다. 본래 기독교도였던 쿠출루크는 아내(야율직로고의 딸)의 영향으로 불교로 개종했다. 이후 쿠출루크는 무력으로 호탄을 지배하고, 무슬림 주민들을 강제로 기독교나 불교로 개종시키려 했다. 이맘들의 수장인 알라웃딘 무함마드를 고문하고 십자가형에 처하는 등 이슬람교를 탄압했다.[37]

1218년, 칭기즈 칸제베가 이끄는 2만 군대를 보내 쿠출루크를 공격했다.(몽골의 서요 정복) 쿠출루크는 카슈가르로 도망쳤으나, 바다흐샨 산중에서 붙잡혀 처형되었다.[37]

3. 문화와 종교

나이만 칸은 샤머니즘적인 무당의 성격을 띠었지만, 동시에 위구르 문화의 영향을 받아 위구르 문자를 사용했다.[45] 나이만은 케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신봉했다.[45] 이들은 아마도 11세기에 케레이트족이 네스토리우스파를 받아들일 때쯤 개종했을 것으로 보인다.[22] 몽골 제국 성립 이후, 일부 네스토리우스파 나이만족은 카라 키타이로 도망갔으며, 그곳에서 일부는 불교로 개종했다.[22]

4. 민족 구성

나이만은 몽골 제국에 흡수된 이후, 몽골, 카자흐, 키르기스, 우즈베크 등 여러 민족 집단에 동화되었다.[22] 현대 카자흐스탄에는 200만 명 이상의 나이만족이 거주하고 있다.[26] 이들은 주로 카자흐스탄 동부, 중부 및 남부 지역에 거주하며, 카자흐스탄 내 나이만족 인구는 약 100만 명으로 추산된다.



1903년 폴란드 백과사전의 지도, 동부 카자흐스탄의 발하쉬 호수 북쪽에 거주하는 나이만족을 보여준다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우즈베키스탄, 러시아에도 상당수의 나이만족이 존재한다.[26] 특히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부에는 70만 명 이상의 나이만족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하자라족 중에도 셰이크 알리와 같이 나이만 기원을 가진 부족이 있다.[27]

5. 언어

라시드 앗 딘은 『집사(자미 알 타와리흐)』에서 나이만을 "이전에는 독립된 수장을 가지고 있었지만, 튀르크계 부족[42]이나 몽골 부족[43]과는 연관이 없었으며, 외관과 언어는 그들과 가까운 튀르크계 부족"으로 분류하였다. 나이만은 튀르크어족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44]

6. 역대 군주

나이만 군주는 "칸(Qan, 汗)"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33][34]

이름
나르쿠슈 타얀 칸(Nārquš Tāyānk Qān)
카질 칸 (나르쿠슈 타얀 칸의 아들)
이난추 빌게 부쿠 칸(Inančā Qan,Ïnānč Bilge Bügü Qān) (나르쿠슈 타얀 칸의 동생)
타얀 칸 (태양한, 탈루흑, 타이 부카) (?-1204년) (이난추 빌게 부쿠 칸의 장남)
부이루크 칸(Buyiruγ Qan < Buyuruγ Qan,Būyūrūq Qān) (이난추 빌게 부쿠 칸의 차남)
구출루크 칸 (1204년-1218년 살해) - 타얀 칸의 아들. 서요 (카라 키타이)의 제4대 황제(재위: 1211년-1218년)가 된다. 몽골에 의해 멸망.[32]


참조

[1] 웹사이트 Үндэсний Статистикийн Хороо. Найман. https://www2.1212.mn[...]
[2] 서적 Монгольские этнонимы: вопросы происхождения и этнического состава монгольских народов КИГИ РАН 2016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azakhsta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
[4] 뉴스 Казахов посчитали по родам: самые многочисленные — аргыны и дулаты https://365info.kz/2[...]
[5]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6] 서적 The Mongols: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Язык монголов Внутренней Монголии. Очерк диалектов Наука 1985
[9] 서적 Сочинения. Том V. Работы по истории и филологии тюркских и монгольских народов Наука 1968
[10] 서적 История Казахстана Костанайский регион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стор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2006
[11] 서적 History of Mongolia, Volume II 2003
[12] 서적 The Empire of the K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2005
[13] 서적 Этнический национализм 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строительство Институт Востоковедения РАН 2001
[14] 웹사이트 В поисках вымышленного царства. Трилистник птичьего полёта. 6. Прообраз героя легенды (1100≈1143) [окончание] http://gumilevica.ku[...]
[15] 서적 Genghis Khan: His Life and Legacy 2000
[16] 서적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in the Pre-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Klaus Schwarz Verlag
[17] 서적 The Turks of Central Asia in History and at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Adamant Media Corporation
[18]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Hidden Treasures and Intercultural Encounters. 2. Auflage: Studies on East Syriac Christianity in China and Central Asia Lit Verlag 2009-05-29
[2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Chelsea House Publishers 2010-05-19
[2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710 -1368 v. 6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01-26
[22] 웹사이트 East Syriac Christianity in Mongol-Yuan China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2011
[23] 간행물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https://brill.com/vi[...] 2017-10-18
[24]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25] 서적 Этническая территория казахов в 18 – нач. 20 вв ("Ethnic territory of Kazakhs from the 18th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1991
[26] 웹사이트 Kazakh shezhire http://atababa.kz/en[...]
[27] 웹사이트 Hazara tribal structure http://www.nps.edu/d[...] Program for Culture and Conflict Studies, US Naval Postgraduate School
[28] 서적 China and the Cross P. J. Kennedy and Sons 1956
[29] 서적 De Tartaris Liber https://books.google[...] 1307
[30] 서적 La flor des estoires de la terre d'Orient https://books.google[...] 1307
[31] 문서 1989
[32] 문서 1972
[33] 기타 元史
[34] 문서 1968
[35] 문서 1968
[36] 서적 佐口 1968
[37] 서적 佐口 1968
[38] 서적 佐口 1968
[39] 서적 佐口 1968
[40] 서적 佐口 1968
[41] 서적 佐口透 1989
[42] 문서
[43] 문서
[44] 서적 宮脇淳子 2002
[45] 서적 村上正二 1970
[46] 서적 Pelliot et Hambis
[47] 서적 村上正二 1970
[4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