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순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순다어는 네팔에서 사용되었던 고립어로, 한때 소멸 위기에 놓였으나 언어 부활 노력을 통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쿠순다어 화자가 극소수만 남아 사실상 사멸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2004년 몇몇 화자가 발견되면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데이비드 E. 와터스는 쿠순다어의 문법적 특징과 어휘를 분석하여 이 언어가 주변 언어들과 다른 고립어임을 밝혀냈다. 쿠순다어는 티베토-버마어족, 인도-이란어파 등 기존의 언어 계통에 속하지 않으며,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아직 정확한 분류는 밝혀지지 않았다. 쿠순다어는 6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대명사 및 동사의 활용에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마푸체어
마푸체어는 남아메리카 마푸체족이 사용하는 고립어 또는 미분류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포합어 및 교착어적 문법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로 표기하고 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쿠순다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쿠순다어 |
고유 이름 | Gemehaq gipan |
화자 수 | 1명 (2022년) |
언어 계통 | 고립어 (인도-태평양 대어족으로 분류되는 견해도 존재) |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
사용 국가 | 네팔 |
사용 지역 | 간다키 주, 룸비니 주 |
민족 | 270명 쿠순다족 (2011년 인구 조사) |
언어 코드 | |
ISO 639-3 | kgg |
Glotto code | kusu1250 |
기타 | |
관련 자료 | Ethnologue의 쿠순다어(18판, 2015) endangeredlanguages.com의 쿠순다어 WALS의 쿠순다어 |
2. 재발견
수십 년 동안 쿠순다어는 거의 소멸 직전에 놓여 있으며, 이 언어를 제대로 알 수 있는 희망이 거의 없다고 여겨졌다. 과거 화자들의 기억에서 수집할 수 있는 자료는 이 언어가 고립어임을 시사했지만, 충분한 증거가 없어 종종 주변 언어들과 함께 티베토버마어족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2004년, 갸니 마야 센, 프렘 바하두르 샤히, 카말라 싱 세 명의 쿠순다인이 시민권 서류 작성을 돕기 위해 카트만두로 불려 갔다. 그곳에서 트리부반 대학교의 구성원들은 그들 중 한 명이 롤파 구 남부의 사키 VDC 출신으로, 유창하게 이 언어를 구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녀의 친척 몇 명도 유창한 화자로 밝혀졌다. 2005년에는 이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화자가 일곱 명 또는 여덟 명으로 알려졌으며, 가장 젊은 사람은 30대였다.[11] 그러나 쿠순다어 화자들은 모두 다른 민족과 결혼했기 때문에, 이 언어를 배우는 어린이가 없어, 현재 소멸 위기 언어 상태에 놓여 있다.[11]
3. 언어 분류
수십 년 동안 쿠순다어는 거의 소멸 직전에 놓여 있어, 이 언어를 제대로 알 수 있는 희망이 거의 없다고 여겨졌다. 과거 화자들에게서 수집할 수 있는 자료는 이 언어가 고립어임을 시사했지만, 충분한 증거가 없어 종종 주변 언어들과 함께 티베토버마어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그러나 2004년, 갸니 마야 센, 프렘 바하두르 샤히, 카말라 싱 세 명의 쿠순다인이 시민권 서류 작성을 돕기 위해 카트만두로 불려 갔다. 그곳에서 트리부반 대학교의 구성원들은 그들 중 한 명이 롤파 구 남부의 사키 VDC 출신으로, 유창하게 이 언어를 구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녀의 친척 몇 명도 유창한 화자로 밝혀졌다. 2005년에는 이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화자가 일곱 명 또는 여덟 명으로 알려졌으며, 가장 젊은 사람은 30대였다.[11] 그러나 쿠순다어 화자들은 모두 다른 민족과 결혼했기 때문에, 이 언어를 배우는 어린이가 없어, 현재 소멸 위기 언어 상태에 놓여 있다.[11]
2018년 4월 19일 라자마마 쿠순다의 사망으로 이 언어는 사멸된 것으로 추정되었다.[4] 그러나 갸니 마이야 센과 그녀의 여동생 카말라 센-카트리는 추가 데이터 수집, 언어 교육 및 언어 부활에 기여했다.[5] 자매는 작가이자 연구원인 우데이 라즈 알레이와 함께 어린이와 성인들에게 이 언어를 가르치고 있다.[6] 알레이는 쿠순다어 강사이자 진행자로, "쿠순다 부족과 사전"이라는 책을 저술했다.[7] 이 책에는 1000개 이상의 쿠순다어 단어가 수록되어 있다.
3. 1. 다양한 분류 시도
데이비드 E. 와터스는 쿠순다어에 대한 문법과 어휘집을 출판했으며, 이후 추가적인 연구가 출판되었다.[8] 그는 쿠순다어가 주변 언어들과 구별되는 고립어라고 주장했다. 이는 쿠순다어가 티베토-버먼어족과 인도-이란어파 사용자들의 유입 이전에 북인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들의 잔존 언어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쿠순다어는 문다어족이나 드라비다어족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따라서 쿠순다어는 부르샤스키어, 니할리어 등과 함께 인도유럽어족, 드라비다어족, 시노-티베트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지 않는 남아시아 언어 목록에 포함된다.
최근 쿠순다어 화자가 발견되기 전까지, 쿠순다어를 기존의 언어 계통에 연결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B.K. 라나(2002)는 쿠순다어를 티베토-버먼어족으로 간주했다. 메리트 루렌은 쿠순다어를 주워어 및 기타 안다만어족과 관련이 있으며, 더 나아가 이들을 포함하여 니할리어를 포함한 더 큰 인도-태평양어족에 속한다고 주장했다.[9]
다른 학자들은 쿠순다어를 문다어족 (참조 와터스 2005), 예니세이어족 (Gurov 1989), 부르샤스키어 및 캅카스어족 (Reinhard and Toba 1970), 그리고 인도 중부의 니할리어 고립어 (Fleming 1996, Whitehouse 1997)와 연결시켰다. 더 최근에는 쿠순다어, 예니세이어, 부르샤스키어 사이의 관계가 제안되었다.[10]
4. 음운론
쿠순다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다. 쿠순다어의 모음 및 자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모음
음성학적으로 쿠순다어에는 두 개의 모음 조화 그룹에 6개의 모음이 있으며, 이는 음소적으로는 3개의 모음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단어는 일반적으로 상위(분홍색, 이탤릭체) 또는 하위(녹색) 집합의 모음을 갖지만 동시에 두 모음을 모두 갖지는 않는다. 항상 상위 또는 항상 하위 모음을 갖는 단어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단어는 어느 쪽으로든 발음될 수 있지만, 구개수 자음이 있는 단어는 하위 집합을 필요로 한다(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구개수 자음이 없지만 여전히 이중 발음을 금지하는 단어가 몇 개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어는 신중한 발음에서만 구별된다.[11]
=> i, => u, => e, => ə, =>o, => a 로 수정함.
4. 2. 자음
쿠순다어 자음은 조음 위치가 아니라 능동 조음체 간의 대립만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설단 자음은 치경, 권설, 또는 경구개가 될 수 있다. 는 앞에서는 치경음 , 앞에서는 치경음 , 앞에서는 권설음 , 그리고 ~ ('우리')와 같이 뒤에 구개수음이 올 때는 경구개음 이 된다.[11]또한 많은 자음이 파열음과 마찰음 사이에서 변동한다. 예를 들어, 는 모음 사이에서 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는 같은 환경에서 로 나타난다. 유기음은 이 언어에서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쿠순다어는 또한 이 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권설음 음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 지역에서 구개수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11]
는 처음에 나타나지 않으며, 은 인접 언어와 달리 음절의 끝에서만 나타난다. 는 모음 사이에서만 나타난다. 이것은 ||일 수 있다.[11]
5. 문법
쿠순다어는 주격, 소유격, 대격 등 여러 격을 가지며, '''-ma'''(함께), '''-lage'''(위해), '''-əna'''(에서), '''-ga, -gə'''(에, 에서)와 같은 격 접미사가 있다.[11] 지시 대명사 '''na'''와 '''ta'''도 존재한다.
주어는 동사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접두사 또는 접미사로 나타난다. 현재 시제(''-ən'')에서 "먹다"를 의미하는 ''am''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t-əm-ən | t-əm-da-n |
2인칭 | n-əm-ən | n-əm-da-n |
3인칭 | g-əm-ən | g-əm-da-n |
다른 동사는 1인칭에 접두사 '''ts-'''가 있거나, 3인칭에는 없을 수 있다.
5. 1. 대명사
쿠순다어는 명사와 대명사에 표시되는 여러 격을 가지며, 그 중 세 가지는 주격, 소유격, 그리고 대격이다.[11]주격 | 소유격 | 대격 | |
---|---|---|---|
1인칭 단수 | tsi | tsi, tsi-yi | tən-da |
1인칭 복수 | tok | tig-i | (toʔ-da) |
2인칭 단수 | nu | nu, ni-yi | nən-da |
2인칭 복수 | nok | ?nig-i | (noʔ-da) |
3인칭 | gina | (gina-yi) | gin-da |
다른 격 접미사로는 '''-ma''' "함께", '''-lage''' "위해", '''-əna''' "에서", '''-ga, -gə''' "에, 에서"가 있다.
지시 대명사 '''na'''와 '''ta'''도 있다.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생물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주어는 동사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될 경우 접두사 또는 접미사로 나타날 수 있다. 현재 시제(''-ən'')에서 "먹다"를 의미하는 ''am''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t-əm-ən | t-əm-da-n |
2인칭 | n-əm-ən | n-əm-da-n |
3인칭 | g-əm-ən | g-əm-da-n |
다른 동사는 1인칭에 접두사 '''ts-'''가 있거나, 3인칭에는 없을 수 있다.
6. 원시 쿠순다어
원시 쿠순다어의 어근 앞 명사 접두사는 소유격 접두사가 분류 접두사 앞에 붙고, 분류 접두사는 다시 어근 명사 앞에 붙는 두 개의 슬롯 시스템으로 분류될 수 있다(예: *g-u-hu '뼈' 및 *g-i-dzi '이름').
소유격 접두사 (-2) | 분류 접두사 (-1) | |
---|---|---|
1인칭 | *t- | *i- (신체의 외부, 추상 명사) |
2인칭 | *n- | *a- |
3인칭 | *g- | *u- (신체의 내부), *ja- (사람) |
제안된 분류 표지 *i-, *a-, *u-, 및 *ja-는 소유격 표지 접두사 *t-, *n-, 및 *g-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제안된다. 이 시스템은 대 안다만어의 명사 형태론을 연상시킨다.[12][13][14]
6. 1. 어휘
풀이 | 원시 쿠순다어 |
---|---|
팔 | *i-muq; *a-wai |
아래 | *a-ma |
피 | *u-ju |
뼈 | *g-u-hu |
아이 | *ja-ti |
귀 | *i-au |
눈 | *i-niN |
아버지 | *ja-hi |
발, 다리 | *i-aN |
친구 | *ja-mti |
구멍 | *au |
무릎 | *u-putu |
시어머니 | *g-ja-ku[g/dz]i |
입 | *a/u-ta |
이름 | *g-i-dzi |
코 | *i-nau |
피부 | *i-tat |
위 | *a-mat |
혀 | *u-dziŋ |
이 | *u-hu |
참조
[1]
웹사이트
The last of the Kusunda
https://nepalitimes.[...]
2023-05-13
[2]
웹사이트
The language that doesn't use 'no'
https://www.bbc.com/[...]
2022-08-11
[3]
웹사이트
Kusunda language does not fall in any family: Study
http://listserv.emic[...]
Himalayan News Service, Lalitpur, 2004-10-10
2007-09-12
[4]
뉴스
Rajamama, lone Kusunda language speaker, dies
http://kathmandupost[...]
2018-06-18
[5]
보고서
New data on Kusunda
Humanities Commons
[6]
웹사이트
Resuscitating dying Kusunda language
https://kathmandupos[...]
2019-01-04
[7]
웹사이트
Book that traces Kusunda tribe's history hits shelves
https://kathmandupos[...]
2017-08-01
[8]
문서
Donohue & Gautam (2013)
[9]
학술지
Kusunda: An Indo-Pacific language in Nepal
2004-04-13
[10]
서적
'A Prehistoric Thoroughfare between the Ganges and the Himalayas'
Research India Press
2014
[11]
문서
Watters (2005)
[12]
학술지
Possessive prefixes in Proto-Kusunda
California Digital Library (CDL)
2024
[13]
문서
"Comparative Vocabulary of the Languages of the Broken Tribes of Nepal"
Asiatic Society of Bengal
1857
[14]
서적
A Preliminary Linguistic Analysis and Vocabulary of the Kusunda Language
SIL and Tribhuvan University
1970
[15]
웹사이트
Kusunda at Ethnologue (18th ed., 2015)
http://www.ethnologu[...]
[16]
문서
Whitehouse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