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이우 커틀릿 (음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이우 커틀릿은 닭가슴살을 얇게 펴서 버터로 속을 채운 후 빵가루를 입혀 튀긴 요리이다.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에서 유래되었으며, 프랑스 요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19세기 러시아 요리에서 프랑스 요리 기술을 받아들여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초 러시아와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일부 국가에서는 요리 이름을 '치킨 키이우'로 변경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닭고기 요리 - 닭발
    닭발은 닭의 발 부위를 식용으로 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는 매운 양념으로 볶거나 구워 먹고 중국, 동유럽,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섭취된다.
  • 러시아의 닭고기 요리 - 올리비예
    올리비에는 1860년대 프랑스 요리사 루시앙 올리비에가 개발한 러시아 샐러드로, 삶은 감자, 채소, 고기 등을 마요네즈 드레싱과 함께 사용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변형을 보인다.
  • 우크라이나의 고기 요리 - 닭발
    닭발은 닭의 발 부위를 식용으로 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는 매운 양념으로 볶거나 구워 먹고 중국, 동유럽,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섭취된다.
  • 우크라이나의 고기 요리 - 샤실리크
    샤실리크는 튀르크어에서 유래된 러시아 요리로, 꼬챙이에 끼워 구운 고기를 의미하며, 캅카스 지방의 케밥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기를 마리네이드에 재운 후 숯불에 굽는 것이 특징이다.
  • 소련 요리 - 힌칼리
    힌칼리는 조지아의 대표적인 만두 요리로, 육즙이 풍부한 고기소와 쫄깃한 반죽이 특징이며, 다양한 재료와 지역별 레시피로 변형되어 발전해 왔고, 손으로 먹는 독특한 식사 예절로 유명하다.
  • 소련 요리 - 피에로기
    피에로기는 다진 고기, 으깬 감자, 치즈, 과일 등 다양한 소를 넣어 만든 동유럽 만두 요리로, 슬라브 국가에서 즐겨 먹으며 각 지역 문화와 재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축제 음식으로도 애용되고 북미 지역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키이우 커틀릿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요리 정보
접시에 버터 소스가 뿌려진 치킨 키예프 조각들
치킨 키예프를 자른 모습
다른 이름치킨 키이우
코틀레트 드 볼라이
쉬프림 드 볼라이 아 라 키예프
종류주요리
원산지러시아 제국
관련 요리러시아 요리
우크라이나 요리
제공 온도뜨겁게
주요 재료닭고기 가슴살
(마늘) 버터
허브
달걀
빵가루

2. 역사

키이우 커틀릿의 정확한 역사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이 요리는 18세기 프랑스 요리, 특히 오트 퀴진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러시아 요리 내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에는 '코틀레트 드 볼라이유'(côtelette de volaillefra)와 같은 형태로 존재했으나, 현대의 키이우 커틀릿은 속에 버터를 넣는 것이 특징이다.[9]

구체적인 기원에 대해서는 프랑스 요리사 마리 앙투안 카렘이나 니콜라 아페르가 만들었다는 설, 러시아 음식 역사가 윌리엄 포클료브킨이 주장한 19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기원설,[21][22]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우크라이나 요리에서 유래했다는 설,[20] 심지어 20세기 초 뉴욕에서 만들어졌다는 설[25]까지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지만, 어느 하나 명확한 근거를 갖추지는 못했다.[23]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는 '키이우식 커틀릿'(котлета по-киевски|코틀레타 포 키옙스키rus)이라는 이름으로 고급 레스토랑의 표준 메뉴로 자리 잡았고, 이후 서방 세계에도 널리 알려졌다. 최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의 의미로 여러 국가에서 러시아어식 이름 '키예프' 대신 우크라이나어식 이름 '키이우'를 사용하는 추세에 따라 요리의 명칭을 '치킨 키이우'로 변경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2. 1. 프랑스 요리의 영향과 러시아 요리의 발전

이 요리의 역사는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아 여러 출처에서 각기 다른 기원을 주장한다. 18세기부터 러시아 요리사들은 프랑스 오트 퀴진(haute cuisinefra)의 여러 기술을 받아들여 러시아 고유의 요리 전통과 결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은 러시아 귀족들이 고용한 프랑스 요리사 마리 앙투안 카렘이나 위르뱅 뒤부아 같은 인물들에 의해 더욱 확산되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커틀릿, 스테이크, 에스컬로프, 쉬프림과 같은 고급 육류 조리법이 19세기에 널리 퍼졌고, 이를 활용한 독창적인 러시아 요리가 많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러시아식 다진 닭고기 커틀릿


프랑스어 용어 de volaille|드 볼라이fra는 '가금류의'라는 뜻으로, 프랑스 요리책에서는 주로 닭고기 요리를 지칭한다. 따라서 côtelette de volaille|코틀레트 드 볼라이fra는 단순히 '닭고기 커틀릿'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프랑스식 이름과 달리, 해당 레시피는 프랑스 요리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프랑스에서 côtelette de volaille|코틀레트 드 볼라이fra라는 용어는 보통 닭가슴살 자체를 가리키며, 닭고기 필레(filetfra)나 쉬프림(suprêmefra)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인다.[3] 또한 이 프랑스 용어는 다진 닭고기를 커틀릿 모양으로 만든 패티를 의미하기도 한다. 반면, 러시아에서 닭고기 커틀릿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kurinaya kotleta|쿠리나야 코틀레타rus(куриная котлета)는 주로 다진 고기 패티를 가리키는 반면, kotleta de-voliay|코틀레타 데볼랴이rus(котлета деволяй)는 속을 채운 닭가슴살 요리에만 사용된다. 후자의 명칭은 20세기 초, 10월 혁명 전후의 러시아 문학(요리책뿐 아니라 소설 포함)에 등장하며, 주로 레스토랑 요리로 언급된다.[4][5][6][7][8]

고전 러시아 요리 교과서인 펠라게야 알렉산드로바-이그나티예바(Pelageya Alexandrova-Ignatieva)의 《요리 예술의 실제 기초》(1899년~1916년 사이 11판 발행)에 실린 레시피는 퀘넬과 유사하게 다진 닭고기와 크림을 섞은 복잡한 속을 사용하지만, 버터도 추가되었다. 이 책은 "커틀릿 de volaille|드 볼라이fra사냥감으로 만드는 커틀릿 à la Maréchale|아 라 마레샬fra처럼 닭고기 필레 전체로 만든다"고 언급한다. 이 레시피 앞에는 개암뇌조 커틀릿 à la Maréchale|아 라 마레샬fra과 퀘넬 및 송로버섯 속을 넣은 유사한 레시피가 나온다. 같은 시기에 출판된 다른 러시아 요리책 역시 côtelette de volaille|코틀레트 드 볼라이fra와 côtelette à la Maréchale|코틀레트 아 라 마레샬fra에 대해 거의 동일한 레시피를 제시하며, 유일한 차이점은 전자는 닭고기로, 후자는 개암뇌조나 검은 뇌조 같은 사냥감으로 만든다는 점이라고 지적한다.

à la Maréchale|아 라 마레샬fra('원수 스타일')이라는 용어는 프랑스 요리에서 커틀릿, 에스칼로프, 지라, 또는 닭가슴살과 같이 부드러운 고기 조각을 à l'anglaise|아 랑글레즈fra('영국식') 방식으로, 즉 달걀물과 빵가루를 입혀 살짝 볶는 조리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리의 다양한 레시피가 19세기 서양 및 러시아 요리책에 등장한다. 속을 채운 버전 중에는 마리-앙투안 카렘의 《19세기 프랑스 요리 예술》(1847)에 나오는 송로버섯과 허브를 채운 "닭고기 필레 à la Maréchale|아 라 마레샬fra" 레시피가 있다. 위르뱅 뒤부아의 《La cuisine classique》(1868)에는 허브와 민스미트를 넣은 유사한 레시피가 실려 있다. 19세기 러시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요리책 중 하나인 엘레나 몰로호베츠의 《젊은 주부를 위한 선물》은 1861년 초판부터 마데이라 소스, 양송이, 송로버섯으로 속을 채운 정교한 "개암뇌조 à la Maréchale|아 라 마레샬fra" 레시피를 포함했다.

볶은 감자와 함께 제공되는 포자르스키 커틀릿


과거의 côtelette de volaille|코틀레트 드 볼라이fra와 현대적인 치킨 키이우의 주된 차이점은, 전자의 복잡한 속 대신 후자는 버터를 사용한다는 점이다.[9] 닭고기 커틀릿에 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19세기 전반기에 포자르스키 커틀릿이 발명된 이후 러시아 요리에 알려졌다. 포자르스키 커틀릿은 다진 닭고기에 버터를 첨가하여 빵가루를 입힌 패티로, 유난히 육즙이 많고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다. 이 요리는 19세기 러시아 요리 중 널리 호평받은 발명품으로 여겨지며, 프랑스 오트 퀴진과 국제 요리에도 채택되었다.

결론적으로, 치킨 키이우의 뿌리는 프랑스 오트 퀴진과 19세기 러시아 요리에서 찾을 수 있지만, 오늘날 알려진 특정 레시피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러시안 티 룸 요리책》은 키이우 커틀릿이 "아마도 알렉산드르 1세의 궁정에서 위대한 프랑스 요리사 카렘이 만든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기술한다. 마리 앙투안 카렘은 1818년 단 몇 달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머물렀지만, 이 짧은 기간 동안 러시아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를 따르는 요리사들이 도입한 개혁은 특히 다양한 육류 부위를 러시아 요리에 소개했다. 러시아식 côtelette de volaille|코틀레트 드 볼라이fra 레시피는 카렘의 주요 저서에는 없지만, 그의 "마레샬 스타일의 가금류 필레"가 이후 요리 발전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일부 러시아 자료는 이 요리(또는 그 전신)를 밀폐 식품 보존법 발명으로 유명한 프랑스 제과업자이자 요리사인 니콜라 아페르가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아페르에 대한 일반적인 전기 자료에는 이 요리가 언급되지 않아, 이 주장의 출처는 불분명하다.

키이우 커틀릿은 전통적인 우크라이나 요리에서 유래했으며, 이름은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에서 따왔다는 설이 있지만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20] 오히려 조리법은 프랑스 요리의 닭고기 커틀릿과 매우 유사하다.

러시아 요리 연구가 빌리얌 포흘료프킨(William Pokhlebkin)은 키이우 커틀릿이 19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회원제 레스토랑 '상인 클럽'에서 '신 미하일로프스키 커틀릿'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21] 그의 주장에 따르면, 러시아 혁명의 혼란 속에서 레스토랑이 사라지며 요리도 잊혔다가, 1947년 소련의 한 레스토랑에서 우크라이나 외교관들에게 제공되면서 처음으로 '키이우 커틀릿'(котлета по-киевскиru, котлета по-київськиuk)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22] 하지만 포흘료프킨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신 미하일로프스키 커틀릿'이 어떻게 우크라이나 외교관에게 제공되었는지에 대한 설명도 부족하다.[23] 한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의 식문화를 다룬 자료에는 고베시에 거주하던 러시아계 가정의 식단 예시로 '키이프'라는 이름의 요리가 등장하기도 한다.[24] 이 외에도 프랑스의 식품 가공업자 니콜라 아페르가 고안했다는 설, 20세기 초 뉴욕의 레스토랑에서 만들어졌다는 설도 존재한다.[25]

2. 2. 키이우 커틀릿의 기원설



키이우 커틀릿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며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다만, 그 뿌리는 프랑스 오트 퀴진과 19세기 러시아 요리에서 찾아볼 수 있다.

키이우 커틀릿과 유사한 초기 형태인 côtelette de volaille|코틀레트 드 볼라이유fra는 정교한 속을 사용했지만, 현대의 키이우 커틀릿은 이 속을 버터로 대체한 것이 주요 차이점이다.[9] 닭고기 커틀릿에 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19세기 전반 러시아에서 포자르스키 커틀릿이 발명되면서 알려졌다. 포자르스키 커틀릿은 다진 닭고기에 버터를 넣어 빵가루를 입힌 패티로, 육즙이 많고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다. 이 요리는 19세기 러시아 요리의 중요한 발명품으로 인정받아 프랑스 요리와 국제 요리에도 영향을 미쳤다.

키이우 커틀릿의 구체적인 기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주장이 있다.

  • 마리 앙투안 카렘 창작설: ''러시안 티 룸 요리책''은 키이우 커틀릿이 알렉산드르 1세의 궁정에서 일했던 프랑스 요리사 마리 앙투안 카렘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카렘은 181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짧게 머물렀지만, 러시아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다양한 육류 부위를 활용하는 등 러시아 요리를 발전시켰다.[21] 카렘의 저서에 키이우 커틀릿과 동일한 레시피는 없지만, 그의 "마레샬 스타일의 가금류 필레"가 이 요리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 니콜라 아페르 창작설: 일부 러시아 자료는 프랑스의 제과업자이자 요리사인 니콜라 아페르가 이 요리를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아페르는 밀폐 식품 보존법 발명으로 유명하지만, 그가 키이우 커틀릿을 만들었다는 주장의 명확한 근거는 부족하다.

  • 윌리엄 포클료브킨 주장: 러시아 음식 역사가 윌리엄 포클료브킨은 키이우 커틀릿이 19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상인 클럽에서 '노보-미하일로프스카야 커틀릿(Novo-Mikhailovskaya kotleta)'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요리가 러시아 혁명 이후 잊혔다가, 1947년 소련의 한 식당에서 우크라이나 외교관들에게 제공되면서 '키이우식 커틀릿'(котлета по-киевски|코틀레타 포 키옙스키rus, котлета по-київськи|코틀레타 포 키이우스키ukr)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21][22] 그러나 포클료브킨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1차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으며[23], 그의 주장과 달리 '키예프 커틀릿'이라는 명칭은 1910년대 문헌에도 이미 등장한다. 또한, 1912년 전후의 요리책에 등장하는 '노보-미하일로프스카야 커틀릿'은 다진 고기를 망치로 두드려 만드는 방식으로, 오늘날의 키이우 커틀릿과는 차이가 있다.

  • 우크라이나 기원설: 요리의 이름이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에서 유래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우크라이나 요리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20] 실제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고베시에 거주하던 러시아계 가정의 식단을 조사한 자료에 '키이프'라는 이름의 요리가 등장하기도 한다.[24]

  • 기타: 20세기 초 뉴욕의 레스토랑에서 처음 만들어졌다는 설도 존재한다.[25]


이처럼 키이우 커틀릿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다만, 프랑스 및 러시아 요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키이우'라는 이름이 붙게 된 과정에 대해서도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2. 3. 현대의 키이우 커틀릿



오래된 '코틀레트 드 볼라유'(''côtelette de volaille'')와 현대적인 치킨 키이우의 주요 차이점은 전자의 정교한 속 대신 버터를 사용한다는 점이다.[9] 닭고기 커틀릿에 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19세기 전반기에 포자르스키 커틀릿이 발명된 이후 러시아 요리에서 알려져 왔다. 포자르스키 커틀릿은 다진 닭고기에 버터를 첨가하여 빵가루를 입힌 패티로, 특히 육즙이 많고 부드러운 식감을 낸다. 이 요리는 19세기 러시아 요리에서 널리 호평받은 발명품이었으며, 프랑스 오트 퀴진(Haute cuisine)과 국제 요리에도 채택되었다.

따라서 치킨 키이우의 뿌리는 프랑스 오트 퀴진과 19세기 러시아 요리에서 찾을 수 있지만, 오늘날 알려진 특정 레시피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키이우의 컨티넨탈 호텔, 20세기 초


키이우의 구전 설화에 따르면, "키이우 스타일의 커틀릿 드 볼라유"(котлета де-воляй по-київськи|코틀레타 데볼랴이 포키이우스키ukr)는 20세기 초 키이우에 있던 컨티넨탈 호텔 레스토랑에서 발명되었다고 한다. 1897년 키이우 중심부에 지어진 이 고급 호텔은 1941년 나치 독일의 소련 침공 전까지 운영되었다. 건물은 퇴각하던 붉은 군대에 의해 폭파 준비되었고, 1941년 9월 독일 국방군이 키이우를 점령했을 때 폭발했다. 전쟁 후 건물은 재건되어 현재 키이우 음악원에서 사용하고 있다. 당시 사람들의 회고에 따르면, 치킨 키이우는 이 호텔 레스토랑의 시그니처 메뉴였다.

"닭고기 또는 송아지 고기 키예프 커틀릿" 레시피. ''요리 다이제스트'', 1915.


"닭고기 또는 송아지 고기 키예프 커틀릿"에 대한 초기 언급은 1913년~1914년 모스크바의 '주부들을 위한 저널'에 실린 레시피 모음집인 ''요리 다이제스트''(1915)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레시피는 포자르스키 커틀릿과 유사하게 다진 고기를 사용했지만, 가운데에 차가운 버터 조각을 넣고 크로켓처럼 모양을 만들었다. 현대의 치킨 키이우처럼 달걀과 빵가루를 입혀 튀겨냈다.

이후 "키이우 스타일의 치킨 커틀릿"은 소비에트 연방의 식당 표준 참고 자료 역할을 한 ''저녁, 개별 요리 및 기타 공공 케이터링 제품 할당'' (1928)에 등재되었다. 이 책에는 "커틀릿 드 볼라유" 및 "커틀릿 아 라 마레샬"과 같은 다른 치킨 커틀릿 종류도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소비에트 당국은 많은 전통 레스토랑 요리의 (대부분 프랑스 스타일의) "부르주아"적인 이름을 단순한 "프롤레타리아" 형태로 바꾸도록 요구했다. 이에 따라 "키이우 스타일 커틀릿"은 "버터로 속을 채운 치킨 커틀릿"으로 이름을 바꿔야 했다. 하지만 이 정책은 즉시 또는 완전히 실현되지 않았고, 이후 소비에트 식량 산업부에서 발행한 ''케이터링 할당 디렉토리'' (1940)에는 여전히 전통적인 이름들이 포함되어 있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행된 이 디렉토리와 ''요리'' (1955) 같은 다른 소비에트 요리책에서는 "키이우 스타일"이라는 이름은 유지되었지만, '드 볼라유'와 '아 라 마레샬'이라는 용어는 실제로 "우유 소스를 채운 치킨 커틀릿", "간을 채운 치킨 커틀릿", "치킨 퀘넬과 버섯을 채운 치킨 커틀릿"과 같은 단순한 이름으로 대체되었다.[14] 이 정책의 결과로 '드 볼라유'와 '아 라 마레샬'이라는 이름은 소비에트 레스토랑 메뉴에서 사라졌다.

"구식" 이름인 "커틀릿 드 볼라유 키이우 스타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부 소비에트 소설에서 가끔 언급되었다.[7] 예를 들어, 예브게니 보로비요프의 단편 소설 ''이것은 요리책에 쓰여 있지 않다'' (1947)에서는 모스크바 귀족 호텔의 전직 요리사였던 소비에트 군인이 동료에게 "커틀릿 드 볼라유는 두 가지 취향에 맞게 만들어졌다. 키이우 스타일 커틀릿 드 볼라유와 자르디니에르 커틀릿 드 볼라유가 있다."라고 설명한다.[7]

kotlet de volaillepol라는 이름은 오늘날까지 폴란드에서 치킨 키이우를 부를 때 사용된다. 이 이름은 종종 dewolajpol (복수형은 dewolajepol)로 폴란드화되어 쓰이기도 한다.

치킨 키이우에 대한 언급은 1937년부터 미국 신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시기 보고서들은 시카고에 있는 러시아 스타일 레스토랑 '야르'가 이 요리를 제공한다고 묘사하고 있다.[10][11][15][12][16] 이 레스토랑은 1951년까지 운영되었으며, 제정 러시아 군의 전직 대령이었던 블라디미르 야센코가 운영했다. 유명한 모스크바의 동명 레스토랑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당시 에델 배리모어, 티토 스키파, 야샤 하이페츠, 이고르 시코르스키와 같은 유명 인사들이 자주 찾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신문들은 뉴욕의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는 치킨 키이우에 대해 언급하기 시작했다. "키예프 스타일 치킨 커틀릿" 레시피는 1946년 뉴욕 타임스[10]와 1948년 고메 잡지에 게재되었다.

1940년대 말 또는 1950년대 초부터 치킨 키이우는 소비에트 연방의 고급 레스토랑, 특히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인투리스트 호텔 체인에서 표준 요리가 되었다. 관광 안내 책자에서는 식사 중 버터가 튈 수 있으니 옷에 주의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동시에 이 요리의 인기는 미국에서도 높아졌다. 음식 역사학자 다라 골드스타인에 따르면, 치킨 키이우는 "러시아 오트 퀴진의 상징"이 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영국, 호주, 캐나다 등의 슈퍼마켓 체인들은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인에 대한 존경과 지지를 표명하기 위해 이 요리의 이름을 "치킨 키이우"로 변경했다. 이는 일반 미디어에서 러시아어식 표기인 "키예프" 대신 우크라이나어식 표기인 "키이우"를 사용하는 추세를 따른 것이다.

2. 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영국, 호주 및 캐나다의 슈퍼마켓 체인들은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인에 대한 존경과 지지를 표명하기 위해 해당 요리의 이름을 "치킨 키이우"로 변경하였다. 이는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이름인 "키예프" 대신 우크라이나어 이름인 "키이우"를 사용하는 미디어의 추세를 따른 것이다.

3. 특징 및 조리법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간편식 형태의 치킨 키예프


키이우 커틀릿은 뼈를 발라내고 껍질을 벗긴 닭가슴살을 얇게 두드려 편 뒤, 안에 차가운 버터를 넣고 감싸 빵가루를 입혀 튀기거나 구워 만드는 요리이다. 전통적인 조리법에서는 닭 날개 뼈의 윗부분(상완골)을 가슴살에 붙인 채로 사용한다.[3][4][5][6] 제공할 때는 보통 뼈 끝부분을 프릴 모양의 종이 냅킨으로 감싼다.[7] 하지만 현대에는 산업적으로 생산된 뼈 없는 순살 필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뼈 없이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

속을 채우는 버터는 서양식 조리법에서는 마늘과 허브(파슬리, 등)를 섞은 마늘 버터를 주로 사용하지만, 전통적인 러시아식 조리법에서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일반 버터를 사용한다.[4][5] 허브 외에 레몬즙을 첨가하기도 하며, 일부 미국식 조리법에서는 버터 대신 블루 치즈를 넣기도 한다. 닭가슴살 대신 잘게 다진 닭고기를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닭가슴살은 버터를 감싸기 전에 길이로 잘라 망치 등으로 두드려 얇고 고르게 편다. 버터를 감싼 커틀릿은 종종 중앙이 통통하고 양 끝이 뾰족한 고구마와 비슷한 모양으로 만든다. 완성된 커틀릿을 따뜻할 때 자르면, 조리 과정에서 열에 의해 액체 상태로 녹은 버터가 흘러나와 소스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키이우 커틀릿은 일반적으로 가늘게 썬 프렌치 프라이나 완두콩 등을 곁들여 먹는다.

프랑스어 'de volaille'는 '가금류의'라는 뜻으로, 프랑스 요리에서는 주로 닭고기 요리를 지칭한다. 따라서 'côtelette de volaille'는 '닭고기 커틀릿'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이름은 프랑스 요리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프랑스에서는 주로 닭가슴살 자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인다.[3] 러시아에서는 'kotleta de-voliay'(котлета деволяй)라는 이름으로 20세기 초부터 문학 작품 등에서 고급 레스토랑 요리로 언급되었으며,[4][5][6][7][8] 이는 버터를 채운 닭가슴살 요리만을 특정하여 가리킨다. 반면 다진 닭고기로 만든 일반적인 커틀릿은 'kurinaya kotleta'(куриная котлета)라고 부른다. 키이우 커틀릿의 조리법은 'à la Maréchale'("원수 스타일") 방식과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부드러운 고기 조각에 달걀물과 빵가루를 입혀 볶거나 튀기는 것을 의미하며, 19세기 요리책에는 다양한 속을 채운 'à la Maréchale' 스타일의 닭 요리 레시피가 등장한다.

20세기 중반 소련에서는 아나스타스 미코얀의 이름을 딴 미코얀 커틀릿과 같은 반가공 다진 고기 커틀릿이 도입되었다. 이 중에는 "키예프 스타일 커틀릿"이라는 이름의 돼지고기 패티도 있었으나, 이는 원래의 치킨 키예프와는 거의 관련이 없는 저렴한 간편식이었다. 소비에트 시대 말기부터는 "진짜" 치킨 키예프 커틀릿이 러시아에서 간편식 형태로 제공되기 시작했다.

영국에서는 1979년 Marks & Spencer가 처음으로 치킨 키예프를 간편식으로 출시했으며, 이는 큰 인기를 얻어 현재까지도 슈퍼마켓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일부 레스토랑 체인에서도 판매된다. 이러한 인기로 인해 영국 통계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측정 품목에도 포함되었다. 치킨 키예프가 미리 포장된 식사로 널리 퍼지면서, 영국에서는 "키예프"라는 용어가 "리크와 베이컨 키예프", "치즈와 햄 키예프"(치킨 코르동 블루와 유사), 으로 만든 "채식 키예프" 등 다양한 속을 채운 닭고기 요리를 가리키는 말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4. 유사 요리

키이우 커틀릿과 유사한 요리로는 몇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 버터 대신 치즈와 햄을 채워 넣은 코르동 블루( cordon bleu|코르동 블뢰프랑스어 )가 있으며, 이는 서방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세르비아의 카라조르제바 슈니츨라( Карађорђева шницла|카라조르제바 슈니츨라sr )는 빵가루를 입힌 송아지 또는 돼지고기 커틀릿인데, 이 요리의 조리법은 키이우 커틀릿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기타

1991년 8월 당시 미국 대통령 조지 H. W. 부시는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우크라이나인의 움직임을 '자멸적인 민족주의'라고 평가하며 자제를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이 연설은 이후 뉴욕 타임스의 칼럼니스트 윌리엄 사파이어에 의해 '치킨 키예프 연설'(Chicken Kiev speecheng)이라는 비판적인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26][27][28] 부시 대통령의 연설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과 미국보수주의자들의 반발을 샀다. 사파이어는 부시 행정부의 대우크라이나 정책을 중대한 판단 착오로 보고, 연설에 '치킨 키예프'라는 이름을 붙여 강하게 비판했다. 영어에서 치킨은 '겁쟁이'를 뜻하는 속어이기도 하다.

한편, 치킨 키예프는 1976년 영국에 소개되었으며, 영국의 소매업체 마크스 앤 스펜서가 출시한 TV 디너 시리즈의 첫 번째 상품이기도 했다.[29][30]

참조

[1] 웹사이트 No.1 Wild Garlic Chicken Kyiv with Jersey Butter {{!}} Waitrose & Partners https://www.waitrose[...] 2024-10-19
[2] 웹사이트 Morrisons Cook It Chicken Kyiv https://groceries.mo[...] 2024-10-19
[3] 간행물 https://archive.org/[...]
[4] 간행물
[5] 간행물 https://studyenglish[...]
[6] 간행물
[7] 간행물 https://books.google[...]
[8] 간행물 https://www.litmir.c[...]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https://books.google[...]
[14] 간행물 http://kulinaria1955[...]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서적 The last empire: the final days of the Soviet Union Basic Books 2014
[18] 서적 ロシア
[19] 서적 The Art of Russian Cooking Collier 1983
[20] 서적 ロシア
[21] 서적 ロシア
[22] 서적 ロシア
[23] 서적 ロシア
[24] 문서 http://lib.ruralnet.[...]
[25] 서적 ロシア
[26] 서적 How Ukraine Became a Market Economy and Democracy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7] 뉴스 Bush Sr. clarifies 'Chicken Kiev' speech http://www.washingto[...] Washington Times 2004-05-24
[28] 웹사이트 Independence diaries: U.S. recognizes Ukraine http://www.kyivpost.[...] kyivpost 2013-02-20
[29] 뉴스 Hum, ping, rip: the sounds of cooking http://www.newstates[...] New Statesman 2005-01-24
[30] 웹사이트 Do you know what you are eating?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6-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