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리 메트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메트로는 프랑스 파리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 맞춰 개통되었다. 현재 1호선부터 14호선까지 총 14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RATP(파리 교통 공단)가 운영한다. 파리 시내 중심부를 동서로 연결하는 1호선, 순환선인 2호선과 6호선이 주요 노선이며, 고무 차륜을 사용하는 노선도 있다. 14호선은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25년부터는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프로젝트를 통해 노선이 확장될 예정이다. 파리 메트로는 평균 548m의 짧은 역 간 거리와 독특한 아르누보 양식의 역 입구, 고무 차륜 시스템 등으로 문화적, 기술적 의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의 철도 교통 - 트랑지리앵
    트랑지리앵은 프랑스 국철이 운영하는 파리 및 일 드 프랑스 지역의 통근 열차 네트워크로, 파리 교외 철도에서 시작되어 1999년 SNCF가 도입한 브랜드이며, 주요 간선 노선과 지선으로 파리 시내와 주변 지역을 연결한다.
  • 파리 메트로 - MF 01
    MF 01은 1967년 파리 메트로 MF 67 전동차의 노후화에 대응하여 개발된 파리 교통공단의 전동차로, 시민 공모를 통해 디자인이 결정되었으며 최첨단 보안 시스템, 냉방 시설, 에너지 효율성을 갖추고 2호선, 5호선, 9호선에 도입되었다.
  • 파리 메트로 - 파리 지하철 화재
    파리 지하철 화재는 1903년 8월 10일 파리 메트로 2호선에서 발생한 대형 참사로, 목조 차체와 안전 시스템 미비로 인해 84명이 사망하고 2개 열차가 전소되었다.
  • 19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간토 철도 류가사키선
    간토 철도 류가사키선은 이바라키현 류가사키시의 간토 철도가 운영하는 4.5km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사누키역과 류가사키역을 잇고, 과거 계획 구간이었던 후지시다 방면으로는 버스가 운행되며, 일본 최초로 원맨 운전을 도입하여 현재는 전 구간 무인 운전으로 운영되고 있다.
  • 19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가네선
    도가네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지바현의 13.8km 단선 전철화 노선으로, 5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00년 개통 후 국유화 및 연장을 거쳐 1973년 전철화되었고 현재 209계와 E233계 전동차가 운행 중이며 대부분 보통열차로 운행된다.
파리 메트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프랑스
파리 메트로 로고
비르하켐 다리를 건너는 6호선 열차 (에펠탑 근처)
6호선 열차 (비르하켐 다리 위를 주행, 에펠탑 근처)
공식 명칭Métropolitain de Paris (메트로폴리탱 드 파리)
위치파리 광역권
교통 유형도시 철도
개통일1900년 7월 19일
운영 기관RATP
소유RATP (인프라)
Île-de-France Mobilités (Île-de-France Mobilités)
(차량)
노선 수16개 (1–14, 3bis, 7bis), 4개 노선 건설 중, 1개 노선 계획 중
차량 수700대 (추정)
역 수320개
승객 수416만 명 (2015년)
연간 승객 수15억 2천만 명 (2015년)
총 노선 길이245.6 km
궤간1,435 mm (표준궤)
전력 공급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노선
노선 목록1호선, 2호선, 3호선, 3bis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7bis호선, 8호선,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 13호선, 14호선
역사
최초 개통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 기간
연장지속적인 연장
자동화4호선 완전 자동화 완료 (2022년 9월 13일)
특징
파리 시내파리 면적 105.4제곱킬로미터 내에 조밀하게 위치함
환승주요 환승역은 샤틀레-레알 역임
타 교통수단 연계RER, 트램, 트랑실리앵, 오를리발 등과 연계
문화
예술적인 역웅장한 파리 메트로 역 6곳 (가디언)
영화파리 지하철을 영원히 담은 영화 7편 (레제코)
음악지하철 노래 (RFI)
편의시설파리 지하철에서 우산 대여 서비스 (BFMTV)

2. 명칭

메트로는 원래 이 노선의 대부분을 운영했던 회사의 약칭이다. 즉, 엉팡 그룹의 자회사인 ''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 S.A.'' ("파리 메트로 철도 회사 주식회사")를 줄여서 "Le Métropolitain"으로 불렀다. 이것이 빠르게 ''Métro''로 줄여졌고, 프랑스와 다른 많은 도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의 일반적인 명칭이자 브랜드 이름이 되었다.[16]

''Métro''라는 이름은 여러 언어로 채택되어 (일반적으로 지하의)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을 지칭하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가 되었다. "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은 파리 최초의 노선 개통 40년 전에 사업을 시작한 런던의 선구적인 지하철 회사인 메트로폴리탄 철도의 이름을 따온 것일 수 있다.[17]

3. 역사

메트로 표지판


파리 메트로는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 때 처음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현재의 1호선 구간인 Porte Maillot∼Porte de Vincennes 구간과 2호선 구간인 Porte Dauphine∼Étoile(현 Charles de Gaulle-Étoile)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약 30여 년 동안 노선망이 확장되어 1937년에는 (구)14호선이 개통되면서 총 14개의 노선이 완성되었다. 이후 노선 연장, 분할, 합병을 거쳐 1976년에 15개 노선으로 정착되었고, 1998년에 14호선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16개 노선 체계가 확립되었다.

초기에는 두 개의 회사가 메트로를 운영했다. 현재의 1∼11호선을 운영하는 CMP(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파리 도시철도 회사프랑스어)와 현재의 12, 13호선을 운영하는 Nord-Sud(Socièté du chemin de fer électrique souterrain Nord-Sud de ParisSocièté du chemin de fer électrique souterrain Nord-Sud de Paris|파리북남지하전기철도회사프랑스어)가 있었다. Nord-Sud는 12호선을 A선, 13호선(현재 13호선의 Saint-Lazare 이북)을 B선, (구)14호선(현재 13호선의 Montparnasse-Bienvenüe 이남)을 C선으로 불렀다.

Nord-Sud는 CMP와 디자인, 전기 공급 방식(가공전차선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1930년, Nord-Sud는 과도한 공사 자금 소모로 인해 CMP에 흡수 합병되었고, 전기 공급 방식도 제3궤조 방식으로 통일되었다.

1949년, CMP는 노면전차/버스 회사인 STCRP(Société des transports en commun de la région parisienneSociété des transports en commun de la région parisienne|파리 코뮌 교통 회사프랑스어)와 합병하여 공영화되면서 현재의 RATP(파리 교통공단, Régie Autonome des Transports Parisiens)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업 규모가 축소되고 독일 제국과 관련된 역명이 변경되었다. 베를린 역은 리에주 역으로, Rue d'Allemagne(독일 거리) 역은 조레스 역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영업을 정지한 역이나 노선은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더 큰 규모의 영업 축소가 있었고, 1939년 9월 2일에는 다수의 역이 영업을 정지했으며, 생 마르탱, 샹 드 마르스, 크루아 루즈, 아스날 4개 역은 폐역되었다. 파리 점령 기간 중에는 11호선이 영업을 정지당했다.

현재 파리 메트로는 16개 노선(1호선~14호선, 3bis호선, 7bis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RATP가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노선이 파리 시내를 중심으로 운행되지만, 점차 교외 지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3. 1. 초기 계획 및 건설 (1845년 ~ 1900년)

메트로는 원래 이 노선의 대부분을 운영했던 엉팡 그룹의 자회사인 ''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 S.A.'' ("파리 메트로 철도 회사 주식회사")의 약칭이었다. 이것이 ''Métro''로 줄여졌고, 프랑스와 다른 많은 도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의 일반적인 명칭이자 브랜드 이름이 되었다.[16] 메트로폴리탄 철도의 이름을 따온 것일 수 있다.[17]

메트로 초기 건설 당시 터널은 개착식 공법으로 굴착된 후 덮였다.


20세기 초 바스티유역의 모습


1845년, 파리와 철도 회사들은 도시 내부 구역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다. 철도 회사들과 프랑스 정부는 간선 철도를 지하 네트워크로 확장하려 했지만, 파리 시민들은 새롭고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선호했다. 이러한 의견 불일치는 1856년부터 1890년까지 지속되었으며, 그동안 인구 밀집과 교통 체증은 심각하게 증가했다.

1845년 이전, 도시 교통은 주로 옴니버스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프랑스 정부는 이를 통합하여 규제하려 했다. 토목 기사 플로랑스 드 케리주에는 지상 케이블카 시스템을 제안했고, 1855년에는 토목 기사 에두아르 브람과 외젠 플라샤는 지하 화물 도시 철도를 제안했다. 1871년 센 일반 협의회는 엔지니어 팀에게 도시 철도 네트워크 계획을 의뢰했고, 이 팀은 주요 대로를 따라 축 방향 노선이 있는 네트워크를 제안했다. 1872년 협의회는 이 계획을 승인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거부했다.

이후, 시스템이 고가 노선으로 구성될지, 지하 노선으로 구성될지에 대한 논쟁이 빅토르 위고, 기 드 모파상, 귀스타브 에펠의 에펠 협회 등 프랑스 주요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1892년까지 계속되었다. 결국 고가 노선 건설에 필요한 부지 매입 비용이 높아 지하 방식이 선호되었다.

시는 파리의 공압 튜브 우편 네트워크를 설계한 장-밥티스트 베를리에에게 철도 시스템 설계를 의뢰했다. 베를리에는 국가 인수를 막기 위해 특수 궤간(1300mm)을 제안했지만, 이는 문제를 악화시켰다. 이 문제는 1895년 공공 사업 장관이 도시의 지방 시스템 건설 권리를 인정하고, 도시가 간선 열차에 좁은 터널을 설계하는 동시에 국가와의 타협으로 표준 궤간을 채택하면서 해결되었다.

슈발레레 역 건설, 1903년


자우레스 역의 2호선


1896년 4월 20일, 파리는 파리 시내만을 운행할 퓔장스 비엔브뉘의 프로젝트를 채택했다. 많은 파리 시민들은 노선이 산업 교외 지역으로 확장되면 도시의 안전이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하여, 파리는 교외로의 노선 확장을 금지하고 메트로 열차가 오른쪽으로 운행하도록 했다.

다른 지하철 시스템과 달리, 파리 메트로는 처음부터 9개의 노선 시스템으로 설계되었다. 시는 대부분의 영구적인 노반을 건설하고, 민간 회사가 열차와 발전소를 공급하며 시스템을 임대하는 민관 협력 방식이 필요했다. 1897년 벨기에의 앙팽 남작 에두아르 앙팽이 소유한 회사가 계약을 따냈고, 이 회사는 파리 지하철 회사로 재편되었다.

건설은 1898년 11월에 시작되었으며, 첫 번째 노선인 포르트 마이요–포르트 드 뱅센은 1900년 7월 19일 파리 만국 박람회 기간에 개통되었다. 역 입구는 아르 누보 스타일로 엑토르 기마르가 디자인했으며, 그의 입구 중 86개가 아직 남아있다.

비엔브뉘의 프로젝트는 현재 1호선에서 9호선에 해당하는 10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었고, 1920년까지 대부분 완공되었다.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쉴드 공법 대신 개착 공법이 채택되었다. 비엔브뉘는 도로 재포장을 빠르게 하고, 어렵고 이질적인 토양과 암석을 통해 순조롭게 건설을 진행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호선4호선은 동서 및 남북 중심 노선으로, ''2호선 북''과 ''2호선 남''도 계획되었지만, 2호선 남은 1906년에 5호선과 통합되었다. 3호선은 1호선 북쪽에, 5호선은 4호선 동쪽에 추가적인 노선이었다. 6호선은 나시옹에서 플라스 달리까지 운행할 예정이었다. 7호선, 8호선9호선오페라 가르니에 주변 상업 지구를 북동부 및 남서부 주거 지역과 연결할 예정이었다. 비엔브뉘는 6개의 간선 역을 연결하는 순환선인 ''내부 순환선''을 계획했지만, 이 계획은 포기되었고 앵발리드와 생제르맹 대로 사이에 1923년에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3. 2. CMP와 Nord-Sud (1900년 ~ 1930년)

파리 메트로는 최초에 두 개의 회사에 의해 운영되었다. 현재의 1∼11호선을 운영하는 CMP(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와 현재의 12, 13호선을 운영하는 Nord-Sud(Socièté du chemin de fer électrique souterrain Nord-Sud de Paris)가 그들이다. Nord-Sud 시절에는 12호선은 A선, 13호선(현재의 13호선의 Saint-Lazare이북)은 B선, 그리고 (구)14호선(현재의 13호선의 Montparnasse-Bienvenüe이남)이 C선이라 불렸다.[18]

Nord-Sud의 역 등은 CMP의 그것과는 디자인이 다소 달랐으며, 전기공급 방식도 제3궤조를 쓰는 CMP와는 달리 가공전차선 방식을 쓰고 있었다. Nord-Sud는 1920년대에 C선을 착공하나 그 공사에 과도한 자금을 소모하여 결국 1930년에 경쟁사인 CMP에 흡수합병되었고, 급전방식도 CMP와 공통화되었다. 공사중이던 C선은 CMP에 의해 개통되었다.[18]

3. 3. 세계 대전의 영향 (1914년 ~ 1945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업 규모가 축소되었고, 전쟁 상대국인 독일 제국과 관련된 몇몇 역명이 개칭되었다. 베를린 역은 리에주 역으로, Rue d'Allemagne(독일 거리) 역은 조레스 역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영업을 정지한 역이나 노선은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대폭적인 영업 축소가 이루어졌다. 나치 독일의 선전포고 이틀 전인 1939년 9월 2일에 다수의 역이 영업을 정지하였고, 그 중에서 생 마르탱, 샹 드 마르스, 크루아 루즈, 아스날의 4개 역은 그대로 폐역되었다. 파리가 나치 독일에 점령된 기간 중에는 11호선이 영업을 정지당했다.

3. 4. 전후 복구 및 RER 개발 (1945년 ~ 1990년)

제2차 세계 대전은 메트로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운행이 제한되었고 많은 역이 폐쇄되었다. 폭격의 위험으로 인해 플라스 달리와 에투알 사이의 운행은 5호선에서 6호선으로 이전되어 메트로의 대부분의 고가 구간이 6호선에 있게 되었다. 그 결과, 2호선과 6호선은 현재 순환선을 형성한다. 대부분의 역은 방공호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얕았다. 프랑스 레지스탕스는 파리 전역에서 신속한 공격을 수행하기 위해 터널을 사용했다.[1]

1944년 해방 이후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많은 역이 1960년대까지 재개통되지 않았고 일부는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 1948년 3월 23일, CMP(지하철)와 STCRP(버스 및 트램)가 합병하여 RATP가 설립되었으며, RATP는 현재에도 메트로를 운영하고 있다.

센 강을 건너는 오스테를리츠 고가교는 5호선에 사용된다.


1950년대에는 노선망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구식 기술로 인해 열차의 수가 제한되었고, 이로 인해 RATP는 노선 확장을 중단하고 현대화에 집중하게 되었다. MP 51 프로토타입이 제작되어 고무 차륜 지하철과 ''voie navette''에서 기본적인 자동 운전 방식을 시험했다. 구형 스프라그 열차의 첫 번째 교체는 실험적인 관절식 열차를 시작으로, 주류인 고무 차륜 메트로 MP 55와 MP 59로 이어졌으며, 후자의 일부는 여전히 운행 중이다(11호선). 새로운 열차와 개선된 신호 시스템 덕분에 열차 운행 빈도가 증가했다.

1950년부터 1980년까지 인구가 급증했다. 자동차 소유가 더 흔해졌고, 교외 지역은 파리 시내에서 더 멀리 확장되었다. 통근 열차 노선의 종착역인 주요 기차역은 러시아워 시간에 과밀해졌다. 메트로 역 간의 짧은 거리는 네트워크 속도를 늦추고 연장 건설을 비효율적으로 만들었다. 1960년대의 해결책은 19세기 말에 포기된 프로젝트를 부활시키는 것이었다. 즉, RER(광역 급행 철도)로 시내에 새로운 지하 구간을 건설하여 교외 노선을 연결하는 것이었다.

생라자르 역
]RER 계획은 처음에는 동서 방향 노선 1개와 남북 방향 노선 2개를 포함했다. RATP는 Ligne de Saint-Germain(서쪽 방향)과 Ligne de Vincennes(동쪽 방향)이라는 두 개의 비수익 SNCF 노선을 인수하여 이를 연결하고 새로운 지하철역을 통해 파리 시내의 여러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 합병으로 생성된 새로운 노선은 A선이 되었다. 남부 교외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1930년대에 CMP에 인수된 Ligne de Sceaux는 북쪽으로 연장되어 SNCF 노선과 합쳐져 샤를 드골 공항에 연결될 예정이었다. 이것이 B선이 되었다. 이 새로운 노선들은 1977년에 개통되었으며, 그 엄청난 성공은 모든 낙관적인 예측을 뛰어넘어 A선은 연간 3억 명에 달하는 승객을 수송하며 유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시 철도 노선이 되었다.

이 두 노선의 막대한 비용으로 인해 세 번째 계획 노선은 포기되었고, 당국은 RER 네트워크의 후속 개발은 SNCF에서 다른 교외 노선의 지속적인 관리와 함께 더 저렴하게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SNCF에서 개발한 RER은 RATP의 두 RER 노선의 성공에 미치지 못했다. 1979년, SNCF는 C선을 개발하여 가르 드 오스테를리츠와 가르 드 오르세의 교외 노선을 연결했고, 후자는 인상파 회화 박물관으로 개조되었다. 1980년대에는 초기 RER 계획에서 두 번째로 계획되었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레퓌블리크 대신 샤틀레 레알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D선을 개발했다. 거대한 메트로-RER 허브가 샤틀레 레알에 생성되어 세계에서 가장 큰 지하철역 중 하나가 되었다.[19]

1960년대의 동일한 프로젝트는 또한 13호선과 14호선을 합쳐 생 라자르와 몽파르나스를 연결하는 새로운 남북 노선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연장된 13호선의 역 간 거리는 다른 노선과 달라 "급행" 노선을 만들고 교외 지역으로 더 멀리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새로운 13호선은 1976년 11월 9일에 개통되었다.

3. 5. 현대화 및 확장 (1990년 ~ 현재)

1998년 10월, 14호선이 개통되었다. 이는 63년 만에 처음으로 완전히 새로운 메트로 노선이었다. 건설 당시에는 ''메테오르''(Métro Est-Ouest Rapide, 동서 급행 메트로)로 알려졌으며, 현재 1호선, 4호선과 함께 네트워크 내에서 완전히 자동화된 3개 노선 중 첫 번째 노선이었다. 또한 자살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최초의 노선이었다. 1970년대에 건설된 13호선 연장과 유사하게 교외 지역으로의 연장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역 간 거리가 최소 1km 이상이다. RATP(파리 교통공단)가 설계한 RER 노선과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역에서 여러 메트로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다. 14호선은 처음에는 생 라자르와 올랭피아드 사이를 운행했으며, 이후 2020년에 북쪽으로 메리 드 생투앙까지 연장되었다.

13호선7호선은 네트워크에서 지선으로 분기되는 유일한 두 노선이다. RATP는 네트워크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 포화된 지선을 없애고 싶어한다. 14호선에 각 노선의 지선 하나를 할당하고 이를 교외 지역까지 더 연장하는 프로젝트가 존재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 1999년, RER E선이 개통되었다. 건설 당시에는 Eole (Est-Ouest Liaison Express, 동서 연결 급행)로 알려졌으며, 다섯 번째 RER 노선이다. 현재는 오스망–생 라자르에서 종착하지만, 라 데팡스 비즈니스 지구를 관리하는 공공 기관인 EPAD가 자금을 지원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통해 서쪽으로 라 데팡스–그랑 아르슈와 그 너머의 교외 지역까지 연장할 예정이다.

2011년에 개통된 프앙트 뒤 락역


2007년과 2011년 11월 사이에 1호선은 무인 운전으로 전환되었다. 2013년 2월에 마지막 MP 05 무인 열차가 인도될 때까지, 이 노선은 운전사가 조작하는 열차와 무인 열차를 혼합하여 운영되었다. 4호선도 같은 방식으로 2022년 1월 13일에 전환이 완료되었으며, 마지막 비자동 열차는 2023년 12월 17일에 해당 노선에서 제거되었으며, RATP는 이제 13호선을 자동화하려 한다.[20][21] 14호선은 처음부터 자동화되었으며,[22]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의 일부로 건설 중인 15호선에서 18호선까지도 자동화될 것이다.

지난 몇 년 동안 교외 지역으로의 여러 연장이 이루어졌다. 8호선은 2011년에 프앙트 뒤 락까지 연장되었고, 12호선은 2012년에 오베르빌리에까지 연장되었으며, 4호선은 2013년에 몽루주 시청까지 연장되었고, 14호선은 2020년 12월에 5.8km 연장되어 생투앙 시청까지 연장되었으며, 4호선은 2022년 1월에 바뇌까지 연장되었다.

2013년 현재, 다음 16개 노선(지선 2개 포함)이 존재한다.

 노선명구간개통 연도총 연장역 수
 1호선라 데팡스-그랑 다르슈역 ~ 샤토 드 뱅센역1900년16.6km25
 2호선포르트 도핀역 ~ 나시옹역1900년12.3km25
 3호선퐁 드 르발루아-베콩역 ~ 갈리에니역1904년11.7km25
 3bis호선감베타역 ~ 포르트 데 릴라역1971년1.3km4
 4호선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역 ~ 바뇌-루시 오브락역1908년12.1km29
 5호선보비니-파블로 피카소역 ~ 플라스 디탈리역1906년14.6km22
 6호선샤를 드 골-에투알역 ~ 나시옹역1909년13.6km28
 7호선라 쿠르뇌브-위 메 밀뇌프상 카랑트생크역 ~ 빌쥐이프-루이 아라공역 / 메리 디브리역1910년22.4km38
 7bis호선루이 블랑역 ~ 프레 생 제르베역1967년3.1km8
 8호선발라르역 ~ 프앙트 뒤 락역1913년23.3km38
 9호선퐁 드 세브르역 ~ 메리 드 몽트뢰유역1922년19.6km37
 10호선불로뉴-퐁 드 생 클루역 ~ 오스테를리츠역1923년11.7km23
 11호선샤틀레역 ~ 메리 데 릴라역1935년6.3km13
 12호선프롱 포퓔레르역 ~ 메리 디시역1910년15.3km29
 13호선아니에르-주느빌리에-레 쿠르티유역 / 생드니-위니베르시테역 ~ 샤티용-몽루주역1911년22.5km30
 14호선메리 드 생투앙역 ~ 올랭피아드역1998년9km9


4. 노선



파리 메트로 3호선의 역 입구


파리 메트로의 노선도


파리 메트로는 1호선부터 14호선, 그리고 2개의 독립된 지선(3bis호선, 7bis호선)을 포함하여 총 16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RATP(파리 교통공단)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RER과는 달리 시내 교통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역간 거리가 매우 짧다. 과거에는 대부분 파리 시내에서 노선이 완결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교외로 연장되어 6개 노선(2, 4, 6, 14, 3bis, 7bis)만이 파리 시내에서 완결된다.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 때 현재의 1호선 일부 구간과 2호선 일부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 이후 약 30여 년 동안 노선망이 확장되어 1937년에 (구)14호선이 개통되면서 14개 노선이 완성되었다. 노선 연장, 분할, 합병을 거쳐 1976년에 15개 노선으로 정착되었고, 1998년에 14호선이 개통되어 현재의 16개 노선 체계가 확립되었다.

4. 1. 운행 중인 노선

연장역
수길이평균
역간 거리이용객 수
(2023년)종착역차량
기종제어
방식class="noresize"|1호선1900년1992년25개1억 6600만 명라 데팡스
샤토 드 뱅센MP 05자동 운전2호선1900년1903년25개9200만 명포르 도핀
나시옹MF 01수동 운전3호선1904년1971년25개8600만 명퐁 드 레발루아-베콩
갈리에니MF 67수동 운전3bis선1971년4개포르 데 리라
감베타MF 67수동 운전4호선1908년2022년29개1억 5200만 명포르 드 클리냥쿠르
바뉴-뤼시 오브락MP 89CA
MP 05
MP 14CA자동 운전5호선1906년1985년22개1억 명보비니-파블로 피카소
플라스 달리MF 01수동 운전6호선1909년1942년28개1억 명샤를 드 골 에투알
나시옹MP 73
MP 89CC수동 운전7호선1910년1987년38개1억 2200만 명라 쿠르뇌브-8 마이 1945
빌쥐프-루이 아라공
메리 디브리MF 77수동 운전7bis선1967년8개루이 블랑
프레 생 제르베MF 88수동 운전8호선1913년2011년38개9600만 명발라르
푸앵트 뒤 라크MF 77수동 운전9호선1922년1937년37개1억 3100만 명퐁 드 세브르
메리 드 몽트뢰유MF 01수동 운전10호선1923년1981년23개4200만 명불로뉴-퐁 드 생 클루
가르 드 오스테를리츠MF 67수동 운전11호선1935년2024년19개4000만 명샤틀레
로니-부아-페리에MP 14CC수동 운전12호선1910년[41]2022년31개8300만 명메리 도베르빌리에
메리 디시MF 67수동 운전13호선1911년[41]2008년32개1억 1000만 명샤티용-몽루주
생 드니-위니베르시테
레 쿠르티유MF 77수동 운전14호선1998년2024년20개9200만 명생드니 플레옐
오를리 공항MP 14CA자동 운전



파리 메트로는 1호선부터 14호선까지 있으며, RATP(파리 교통 공단)가 운영한다. 앙팽 남작의 회사가 부설했다.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 맞춰 1호선이 처음 개통되었다. 입구 디자인은 아르 누보 건축으로 유명한 기마르가 설계했다. 주요 노선은 파리 시내 중심부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횡단하는 1호선, 1860년 오스만 남작에 의한 파리 확장 이전의 파리 경계선이었던 구 성벽(페르미에 제네로 성벽) 터의 대로에 건설된 북쪽 순환 2호선과 남쪽 순환 6호선이다.

이후 약 30년 만에 14개 노선으로 발전했지만, 구 14호선은 나중에 13호선으로 편입되어 오랫동안 13개 노선이 존재했다. 각 역은 전쟁 전에 만들어졌지만(교외 연장 부분 제외), 역 구내는 개장을 반복하여 아르 누보 외에 아르데코 등 각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 디자인이나 특정 테마 디자인을 도입한 역이 곳곳에 있다.

3호선과 7호선에는 각각 3bis호선, 7bis호선이라는 독립적인 지선이 있다. 이들은 메트로 노선도에서 색깔이 다르게 표시되어 지선 내에서 왕복 운행한다. 7호선과 13호선은 분기되어 있으며, 10호선과 7bis호선은 일방통행 구간이 있다. 3bis호선은 원래 Porte des Lilas(포르트 데 릴라)까지였지만, 전후 Porte de Bagnolet(포르트 드 바니올레) 및 Gallieni(갈리에니)가 더 중요한 도시가 되어 Gallieni 방면으로 연장하면서 종착지를 변경하고, 기존 노선은 분리하여 독립 운행하게 되었다. 7bis호선은 7호선의 Porte de la Villette(포르트 드 라 빌레트) 방면과 함께 북쪽 방면 분기였지만, 수송량 차이가 커서 운행 효율이 좋지 않아 Pré Saint-Gervais 방면을 독립 노선으로 만들었다. 3bis와 7bis를 연결하여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하는 계획은 1921년에 좌절되었지만, 2006년에 부활하여 추진되고 있다.

1998년 현재의 14호선이 개통되었다. 이 14호선은 메테오르(METro Est-Ouest Rapide, 동서 고속 지하철, "유성"의 의미도 있다)라고 불리며, 자동 제어로 무인 운전되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는 등 역 건물도 매우 현대적인 디자인이다. 2003년 가을 북서 방면이 생 라자르 역까지 연장되었다. 현재 남쪽 방면이 Tolbiac(톨비악), Maison Blanche(메종 블랑슈) 방면으로 연장 공사 중이다.

메트로에 지하철이라는 번역어가 적용되었지만, 대부분 지하를 달리지만 본래 도시 교통의 의미이며 지하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6호선의 많은 부분이나 2호선의 일부, 다리를 건너는 5호선, 교외의 다리를 건너는 1호선이나 8호선 등은 지상으로 나오는 부분도 있다. 특히 6호선 고가 부분은 관광 루트이기도 하며, Bir-Hakeim(비르-아켐) 부근에서는 에펠탑을 조망할 수 있어 관광객에게 인기가 높다.

프랑스 국철은 전국적으로 좌측 통행이지만, 메트로는 도로와 같은 우측 통행이다.

4. 2. 건설 중인 노선

개통계획
완료[42]역 수길이평균
역간 거리종착역차량
시스템전도
시스템class="noresize"|15호선202620313675km2083m누아지-샹
샹피니 센터MR6V자동class="noresize"|16호선202620281025km[43]2778m누아지-샹
생드니 플레옐MR3V자동class="noresize"|17호선20262030925km[43]3125m르 메닐-아멜로
생드니 플레옐MR3V자동class="noresize"|18호선202620301350km4167m오를리 공항
베르사유-샹티에MRV (파리 메트로)자동

4. 3. 계획 중인 노선

개통계획
완료역
수총 길이평균
역간 거리기점차량
시스템전력
공급 방식class="noresize"|19호선2040년9 ~ 11
자동



2023년,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계획은 19호선을 추가하여 에서 까지의 노선으로 에 운행하는 것으로 확대되었으며, 2040년경 완공을 목표로 연구 중이다.[48][51]

5. 운행

파리 메트로는 첫차/막차 시간대를 제외하면 중간에 회차하는 열차 없이 모든 역에 정차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급행 열차도 운영하지 않는다.[24]

파리 메트로의 고무타이어 대차(모형). 안쪽에는 보통의 쇠 바퀴가, 그 바깥쪽으로 고무 타이어가 추가로 있는 형태이다.


철바퀴 대차


파리메트로 고무 타이어 대차


파리 메트로는 역사가 오래되어 내부 수리 등을 위한 공사가 자주 있으며, 공사 중에는 일반적으로 해당 역의 영업을 일시 중지하므로 공식 웹사이트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7호선13호선은 두 종류의 운행 구간이 있다. 12호선의 렌(Rennes)역과 13호선의 리에주(Liège)역은 오랫동안 밤 20시 이후와 토요일, 공휴일에 휴업했으나, 렌역은 2004년 9월 6일부터, 리에주역은 2006년 12월 4일부터 통상적인 영업 시간으로 변경되었다.

'''운행 중인 파리 메트로 노선'''
노선개통최종
연장

길이 (km)평균
역간 거리 (m)
이용객 수
(2023년)
종착역차량
기종
제어
방식
class="noresize"|1호선1900년1992년25개16.66921억 6600만 명라 데팡스
샤토 드 뱅센
MP 05자동 운전
(Système dautomatisation de lexploitation des trains|시스템 도토마티사시옹 드 렉스플루아타시옹 데 트랭|lt=SAET프랑스어)
2호선1900년1903년25개12.45179200만 명포르 도핀
나시옹
MF 01수동 운전
(Pilotage automatique du métro de Paris|필로타주 오토마티크 뒤 메트로 드 파리|lt=PA프랑스어)
3호선1904년1971년25개11.74888600만 명퐁 드 레발루아-베콩
갈리에니
MF 67수동 운전
(Systèmes de contrôle commande des trains du métro de Paris|시스팀 드 콩트롤 코망드 데 트랭 뒤 메트로 드 파리|lt=OCTYS프랑스어)
3bis선1971년4개1.3433포르 데 리라
감베타
MF 67수동 운전
4호선1908년2022년29개14.05001억 5200만 명포르 드 클리냥쿠르
바뉴-뤼시 오브락
MP 89CA
MP 05
MP 14CA
자동 운전
(Système dautomatisation de lexploitation des trains|시스템 도토마티사시옹 드 렉스플루아타시옹 데 트랭|lt=SAET프랑스어)
5호선1906년1985년22개14.66951억 명보비니-파블로 피카소
플라스 달리
MF 01수동 운전
6호선1909년1942년28개13.65041억 명샤를 드 골 에투알
나시옹
MP 73
MP 89CC
수동 운전
7호선1910년1987년38개18.65031억 2200만 명라 쿠르뇌브-8 마이 1945
빌쥐프-루이 아라공
메리 디브리
MF 77수동 운전
7bis선1967년8개3.1443루이 블랑
프레 생 제르베
MF 88수동 운전
8호선1913년2011년38개23.46159600만 명발라르
푸앵트 뒤 라크
MF 77수동 운전
9호선1922년1937년37개19.65431억 3100만 명퐁 드 세브르
메리 드 몽트뢰유
MF 01수동 운전
10호선1923년1981년23개11.75324200만 명불로뉴-퐁 드 생 클루
가르 드 오스테를리츠
MF 67수동 운전
11호선1935년2024년19개10.74914000만 명샤틀레
로니-부아-페리에
MP 14CC수동 운전
12호선1910년[41]2022년31개15.35108300만 명메리 도베르빌리에
메리 디시
MF 67수동 운전
(Pilotage automatique du métro de Paris|필로타주 오토마티크 뒤 메트로 드 파리|lt=PA프랑스어)
13호선1911년[41]2008년32개24.37591억 1000만 명샤티용-몽루주
생 드니-위니베르시테
레 쿠르티유
MF 77수동 운전
(Systèmes de contrôle commande des trains du métro de Paris|시스팀 드 콩트롤 코망드 데 트랭 뒤 메트로 드 파리|lt=OURAGAN프랑스어)
14호선1998년2024년20개27.67599200만 명생드니 플레옐
오를리 공항
MP 14CA자동 운전
(Système dautomatisation de lexploitation des trains|시스템 도토마티사시옹 드 렉스플루아타시옹 데 트랭|lt=SAET프랑스어)


5. 1. 운행 시간

파리 메트로의 첫차는 오전 5시경, 막차는 오전 1시경이며, 주말 및 공휴일에는 오전 2시경까지 1시간 연장 운행한다.[24]

각 시종착역에서 첫 열차는 오전 5시 30분에 출발하며, 일부 노선에서는 중간역에서 추가 열차가 출발한다. 마지막 열차는 종종 남아있는 승객을 모두 태우고 간다고 하여 "발레"(빗자루)라고 불리며, 종착역에 오전 1시 15분에 도착한다. 단, 금요일(2007년 12월 7일 이후), 토요일, 공휴일 전날 밤에는 오전 2시 15분에 운행이 종료된다.[24]

섣달 그믐날, 음악 축제(Fête de la Musique), 백야 축제(Nuit Blanche) 및 기타 행사에서는 1, 4, 6, 9, 14호선의 일부 역이 밤새 운영된다.

5. 2. 운임

파리 메트로의 운임은 구역제를 기반으로 하며, 파리 시내는 1구역으로 설정되어 동심원 형태로 7구역까지 나누어져 있다. 메트로는 대부분 1구역으로 취급되어, 1.9EUR의 균일 운임으로 대부분의 구간을 이용할 수 있다. 승차권 10장 묶음(카르네 - Carnet)은 16.9EUR에 판매되지만, Navigo Easy를 사용하면 10회 이용 기준 14.9EUR이다.

파리 메트로의 티켓 자동 발매기


종이 형태의 티켓 t+


파리 메트로 보통권(2003년~2007년)


한국과 같은 정산 제도는 없으며, 구간을 초과하여 승차하면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54] 26세 이하 청소년 및 학생을 위한 '''Imagine R''' 정기권은 350EUR에 1년 동안 5개 운임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하다. '''Carte Orange''' 정기권은 2009년 1월부터 '''Passe Navigo'''라는 이름의 RF카드로 대체되었다.

버스/트램 환승은 90분 이내, 메트로/RER 내 환승은 2시간 이내에 가능하다. 단, 메트로와 버스는 서로 환승할 수 없다. 종이 승차권 이용자는 첫 개표 후 2시간 이내에 메트로 환승이 가능한 RER 개찰구를 통해 재입장할 수 있다.

일반적인 티켓은 티켓 t+ (티켓 "t+")이며, 첫 사용 후 90분 이내에 여러 번 환승하여 메트로(오를리 공항 제외), 버스, 트램, RER 1구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동일 교통 수단, 버스와 트램, 메트로와 RER 1구역 간에는 무제한 환승이 가능하다. 이 티켓은 종이 형태 또는 나비고 이지 패스에 충전 가능하며, 2024년 기준 1장당 2.15EUR이고, 나비고 이지에서 10장 묶음(''카르네'')은 17.35EUR이다.[25]

나비고 카드(Navigo card) 사용자는 일일, 주간, 월간 패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RFID 기반의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이다. ''파리 비지트''(Paris Visite)는 방문객용 종이 티켓으로, 1~3존 또는 1~5존에서 1~5일 동안 무제한 여행이 가능하다.

오를리 공항을 오가는 지하철 14호선 편도 티켓은 10.3EUR이다. 2019년 3월 현재, 메트로는 전 노선 1.9EUR(약 230JPY) 균일 요금(ticket T+)이다.

RER 및 파리 시내 버스는 존 1 내에서 메트로와 동일 요금이 적용된다. 메트로와 RER의 파리 시내, 또는 버스와 트램은 환승 가능하나, 메트로와 RER, 버스는 환승 불가하다. RER 파리 시외 구간은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구입한 티켓 구간 초과 탑승 시 벌금이 부과된다.[54]

메트로 일부 노선은 파리 시외 존 3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메트로는 전 노선을 존 1로 취급하여 인접 RER 역과 요금이 다를 수 있다. 자동차 배기가스로 대기 오염이 심각한 경우 메트로와 버스를 무료 개방하기도 한다.[54]

5. 3. 운행 방식



'''운행 중인 파리 메트로 노선'''
노선개통최종
연장

길이평균
역간 거리
이용객 수
(2023년)
종착역차량
기종
제어
방식
class="noresize"|1호선1900년1992년25개1억 6600만 명라 데팡스
샤토 드 뱅센
MP 05자동 운전
(Système dautomatisation de lexploitation des trains|한국어 발음표기=시스템 도토마티사시옹 드 렉스플루아타시옹 데 트랭|lt=SAET프랑스어)
2호선1900년1903년25개9200만 명포르 도핀
나시옹
MF 01수동 운전
(Pilotage automatique du métro de Paris|한국어 발음표기=필로타주 오토마티크 뒤 메트로 드 파리|lt=PA프랑스어)
3호선1904년1971년25개8600만 명퐁 드 레발루아-베콩
갈리에니
MF 67수동 운전
(Systèmes de contrôle commande des trains du métro de Paris|한국어 발음표기=시스팀 드 콩트롤 코망드 데 트랭 뒤 메트로 드 파리|lt=OCTYS프랑스어)
3bis선1971년4개포르 데 리라
감베타
MF 67수동 운전
4호선1908년2022년29개1억 5200만 명포르 드 클리냥쿠르
바뉴-뤼시 오브락
MP 89CA
MP 05
MP 14CA
자동 운전
(Système dautomatisation de lexploitation des trains|한국어 발음표기=시스템 도토마티사시옹 드 렉스플루아타시옹 데 트랭|lt=SAET프랑스어)
5호선1906년1985년22개1억 명보비니-파블로 피카소
플라스 달리
MF 01수동 운전
6호선1909년1942년28개1억 명샤를 드 골 에투알
나시옹
MP 73
MP 89CC
수동 운전
7호선1910년1987년38개1억 2200만 명라 쿠르뇌브-8 마이 1945
빌쥐프-루이 아라공
메리 디브리
MF 77수동 운전
7bis선1967년8개루이 블랑
프레 생 제르베
MF 88수동 운전
8호선1913년2011년38개9600만 명발라르
푸앵트 뒤 라크
MF 77수동 운전
9호선1922년1937년37개1억 3100만 명퐁 드 세브르
메리 드 몽트뢰유
MF 01수동 운전
10호선1923년1981년23개4200만 명불로뉴-퐁 드 생 클루
가르 드 오스테를리츠
MF 67수동 운전
11호선1935년2024년19개4000만 명샤틀레
로니-부아-페리에
MP 14CC수동 운전
12호선1910년[41]2022년31개8300만 명메리 도베르빌리에
메리 디시
MF 67수동 운전
(Pilotage automatique du métro de Paris|한국어 발음표기=필로타주 오토마티크 뒤 메트로 드 파리|lt=PA프랑스어)
13호선1911년[41]2008년32개1억 1000만 명샤티용-몽루주
생 드니-위니베르시테
레 쿠르티유
MF 77수동 운전
(Systèmes de contrôle commande des trains du métro de Paris|한국어 발음표기=시스팀 드 콩트롤 코망드 데 트랭 뒤 메트로 드 파리|lt=OURAGAN프랑스어)
14호선1998년2024년20개9200만 명생드니 플레옐
오를리 공항
MP 14CA자동 운전
(Système dautomatisation de lexploitation des trains|한국어 발음표기=시스템 도토마티사시옹 드 렉스플루아타시옹 데 트랭|lt=SAET프랑스어)

6. 설비 및 차량

연장역
수차량
기종제어
방식1호선1900년1992년25개MP 05자동 운전2호선1900년1903년25개MF 01수동 운전3호선1904년1971년25개MF 67수동 운전3bis선1971년-4개MF 67수동 운전4호선1908년2022년29개MP 89CA, MP 05, MP 14CA자동 운전5호선1906년1985년22개MF 01수동 운전6호선1909년1942년28개MP 73, MP 89CC수동 운전7호선1910년1987년38개MF 77수동 운전7bis선1967년-8개MF 88수동 운전8호선1913년2011년38개MF 77수동 운전9호선1922년1937년37개MF 01수동 운전10호선1923년1981년23개MF 67수동 운전11호선1935년2024년19개MP 14CC수동 운전12호선1910년[41]2022년31개MF 67수동 운전13호선1911년[41]2008년32개MF 77수동 운전14호선1998년2024년20개MP 14CA자동 운전


6. 1. 설비

파리 메트로는 2005년 기준으로 16개 노선, 총 221.6km, 역 수 292개, 다른 노선과의 환승역 5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간 평균 거리는 548m이다. 프랑스 철도는 좌측통행이 기본이지만, 파리 메트로는 도로교통에 맞춰 우측통행을 한다. 전력 공급은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하며 전압은 직류 750볼트이다.

차량은 크게 두 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2006년에는 2호선, 2010년에는 5호선, 2013년에는 9호선에 신형 차량 MF 01형(--|]])이 투입되기 시작했는데, 이 차량은 파리 메트로 최초로 자동문과 에어컨을 갖추고 있다.

2012년 6월 26일, 대부분의 역에서 Wi-Fi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더 빠른 인터넷 연결을 위한 유료 옵션도 제공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26] 2020년 기준으로 터널을 포함한 RATP 전체 네트워크가 4G 서비스를 지원한다.[27] 1호선, 4호선, 14호선13호선의 혼잡한 일부 역에는 승강장과 선로를 분리하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메트로 역은 교통약자에게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는다.[28][29] 1998년에 처음 개통된 14호선의 20개 역은 완전한 접근성을 갖추고 있으며, 1992년 이후 모든 노선 연장 구간의 새로운 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30] 2025년까지 기존 노선 연장에 따라 23개 역이 추가로 접근 가능하게 될 것이다.[31]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의 4개 신규 노선 또한 처음부터 완전한 접근성을 갖출 것이다.[32][33]

차량 수는 노선별로 일정하며, 1호선 등 가장 혼잡한 곳은 6량, 3bis호선 등 적은 곳은 3량이다. 궤간은 1435mm의 표준궤이며, 차체는 프랑스 국철 등에 비해 좁고 짧다. 우측 통행은 지상 도로 교통과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며, 좌측 통행인 국철, RER과는 반대이다. 전기 방식은 제3궤조 방식, 직류 750V이다.

차량은 주로 알스톰사에서 제조하며, 이후 동사의 브랜드 『알스톰 메트로폴리스』의 파생형(테일러 메이드형) 시리즈로 분류되어 스위스, 칠레에도 동일한 타입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55]

차량 문은 도착 시 모든 문이 일제히 열리는 방식도 있지만, 승객이 레버나 버튼으로 문을 조작하는 반자동문 방식도 많다. 어느 쪽이든 발차 시에는 자동으로 닫힌다. 14호선에는 개통 초기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고, 1호선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추가 설치 공사가 진행 중이다.

6. 2. 차량

파리 메트로는 알스톰사에서 제조한 강철 차륜(''MF'', ''matériel fer'')과 고무 차륜(''MP'', ''matériel pneu'') 차량을 사용한다. 각 종류별로 설계 연도에 따라 구분되며, 일부 열차는 운전자가 운전하는 ''CC''(''Conduite Conducteur'')와 자동 운전 열차인 ''CA''(''Conduite Automatique'')를 구별하는 접미사가 붙는다.[55]

파리 메트로 차량 종류
종류운행 노선
강철 차륜 차량 (MF)MF 67 (3, 3bis, 10, 12호선), MF 77 (7, 8, 13호선), MF 88 (7bis호선), MF 2000/MF 01 (2, 5, 9호선)
고무 차륜 차량 (MP)MP 73 (6호선), MP 89 CA (4호선), MP 89 CC (6호선), MP 05 (1, 4호선), MP 14 (4, 11, 14호선)



「MPxx」계 차량의 단면 모형


1, 4, 6, 11, 14호선은 철제 차륜 외부에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MPxx" 계열 차량을 사용하고, 나머지 노선은 일반적인 철제 차륜을 사용하는 "MFxx" 계열 차량을 사용한다.[55] "MPxx" 계열 차량은 궤도에 일반적인 금속 레일 외에 고무 타이어용 주행로와 안내 궤조가 설치되어 있다. 대차에는 금속 차륜과 함께 고무 타이어 차륜, 안내륜이 장착되어 있다. 금속 차륜은 주로 안내 궤조 역할을 하며, 고무 타이어 차륜이 주행과 차체 하중을 담당한다. 고무 타이어에는 질소 가스가 봉입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체적 변화를 줄였다.[56]

고무 타이어와 금속 차륜을 병용하여 소음 감소, 제동 거리 단축, 승차감 및 구배 능력, 가속 성능 향상을 꾀했다. 고무 타이어가 펑크 나도 어느 정도 주행이 가능하며, 구조상 탈선 위험이 적다. 이 기술은 멕시코시티 지하철 등에도 제공되었다.[56]

차량의 문은 도착 시 모든 문이 일제히 열리는 방식과 승객이 레버나 버튼으로 조작하는 반자동 방식이 혼용되고 있다. 발차 시에는 자동으로 닫힌다. 14호선에는 개통 초기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1호선에도 설치되었다.

파리 메트로 노선별 차량 정보
노선개통최종
연장

차량
기종
제어
방식
1호선1900년1992년25개MP 05자동 운전
2호선1900년1903년25개MF 01수동 운전
3호선1904년1971년25개MF 67수동 운전
3bis선1971년-4개MF 67수동 운전
4호선1908년2022년29개MP 89CA, MP 05, MP 14CA자동 운전
5호선1906년1985년22개MF 01수동 운전
6호선1909년1942년28개MP 73, MP 89CC수동 운전
7호선1910년1987년38개MF 77수동 운전
7bis선1967년-8개MF 88수동 운전
8호선1913년2011년38개MF 77수동 운전
9호선1922년1937년37개MF 01수동 운전
10호선1923년1981년23개MF 67수동 운전
11호선1935년2024년19개MP 14CC수동 운전
12호선1910년[41]2022년31개MF 67수동 운전
13호선1911년[41]2008년32개MF 77수동 운전
14호선1998년2024년20개MP 14CA자동 운전


7. 역

1845년 파리와 철도 회사들은 도시 내부를 연결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을 구상했다. 철도 회사들과 프랑스 정부는 간선 철도를 지하 네트워크로 확장하려 했지만, 파리 시민들은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선호했다. 1856년부터 1890년까지 인구 밀집과 교통 체증이 심화되면서, 시는 도시 철도 시스템 건설 권한을 얻게 되었다.[44]

1845년 이전 도시 교통은 주로 옴니버스 노선으로 구성되었고, 프랑스 정부는 이를 통합하려 했다. 플로랑스 드 케리주에는 지상 케이블카 시스템을 제안했고, 1855년 에두아르 브람과 외젠 플라샤는 지하 화물 도시 철도를 제안했다. 1871년 센 일반 협의회는 도시 철도 네트워크 계획을 의뢰했고, 1872년 협의회는 계획을 승인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거부했다. 이후 고가 노선과 지하 노선에 대한 논쟁이 있었고, 결국 지하 방식이 선호되었다.[44]

시는 장-밥티스트 베를리에에게 철도 시스템 설계를 의뢰했고, 베를리에는 특수 궤간을 권고했지만, 이는 문제를 악화시켰다. 1895년 공공 사업 장관은 도시의 지방 시스템 건설 권리를 인정하고, 표준 궤간을 채택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었다.[44]

일반적인 역 구조, 역 디자인, 역 입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2018년 가장 붐볐던 역은 다음과 같다.[44]

2018년 파리 메트로 이용객 순위
순위역명이용객 수 (만 명)
1생 라자르4,670
2가르 뒤 노르4,580
3가르 드 리옹3,690
4몽파르나스 – 비앙브뉘3,060
5가르 드 레스트2,140
6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1,880
7레퓌블리크1,830
8레 알1,750
9라 데팡스1,600
10바스티유1,320



몇몇 유령역은 더 이상 열차 운행을 하지 않는다. 포르 데 릴라 역의 3개 플랫폼 중 하나는 영화 촬영에 사용된다.

파시역의 개요

7. 1. 일반적인 역 구조

전형적인 역은 4m 폭의 플랫폼 두 개와 중앙 선로 두 개로 구성된다.[44] 예외적으로 약 50개의 역은 3개의 선로와 2개의 플랫폼(포르 도를레앙) 또는 2개의 선로와 중앙 플랫폼(포르 도핀)을 가지고 있다.[44] 일부 역은 어려운 지형(생 조르주), 좁은 도로(리에주) 또는 선로 루프(에글리즈 도퇴유) 때문에 단일 선로를 사용한다.[44]

원래 역의 길이는 75m로, 5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었다.[44] 이후 6량 열차가 운행되는 1호선 및 4호선 등 교통량이 많은 노선에서는 90m으로 연장되었고, 일부 역은 7량 열차를 수용하기 위해 105m로 건설되었다.[44]

일반적으로 역은 개착식 공법으로 지표면 가까이에 건설되어 아치형 구조를 띤다.[44] 과거 ''Nord-Sud'' 네트워크(12호선 및 13호선)의 역은 천장 전차선 때문에 천장이 더 높다.[44] 아치형 구조가 아닌 예외는 다음과 같다.[44]

7. 2. 역 디자인

전형적인 역은 4m 폭의 두 개의 플랫폼으로 둘러싸인 두 개의 중앙 선로로 구성된다. 약 50개의 역은 예외적으로 3개의 선로와 2개의 플랫폼(포르 도를레앙) 또는 2개의 선로와 중앙 플랫폼(포르 도핀)을 가지고 있다. 일부 역은 어려운 지형(생 조르주), 좁은 거리(리에주) 또는 선로 루프(에글리즈 도퇴유) 때문에 단일 선로를 사용한다.

역의 길이는 원래 75m였으나, 교통량이 많은 노선(1호선 및 4호선)에서는 90m로 연장되었고, 일부 역은 105m로 지어졌다.

일반적으로 역은 개착식 공법으로 지표면 근처에 건설되었으며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이전 ''Nord-Sud'' 네트워크(12호선 및 13호선)의 역은 천장이 더 높다. 지표면 근처의 아치형 구조에 대한 예외는 다음과 같다.

포르 데 릴라 역의 3개 플랫폼 중 하나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선로 구간에 있으며, 영화 배경으로 자주 사용된다.

통로들은 1900년 메트로 개통 당시 정의된 아르누보 양식으로 장식되었다. 이러한 미학은 일반적으로 개보수 과정에서도 존중되어 왔다.

표준 아치형 역들은 20세기 초 전등의 낮은 효율성 때문에 선택된 작은 흰색 도자기 타일로 덮여 있다. 초기 역의 포스터는 원래 운영자(CMP 또는 ''Nord Sud'')의 이름을 색깔 타일로 표현했다. 이전 ''Nord Sud'' 역(12호선 대부분과 13호선 일부)은 일반적으로 더 세심한 장식을 갖추고 있다. 역 이름은 일반적으로 파란색 배경에 흰색 문자로 된 금속 판에, 또는 파란색 타일 배경에 흰색 타일로 새겨져 있다.

첫 번째 개조 공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형광등 설치로 인해 원래 타일의 열악한 상태가 드러나면서 이루어졌다. 세 가지 주요 장식 스타일이 차례로 이어졌다.

일부 역은 해당 위치의 문화적 중요성을 반영하기 위해 독창적인 장식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처리를 처음 받은 곳은 1호선의 루브르 – 리볼리로, 박물관에 전시된 걸작의 복제품을 소장하고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예로는 바스티유 (1호선), 생 제르맹 데 프레 (4호선), 클뤼니 – 라 소르본 (10호선) 및 아르 에 메티에 (11호선)가 있다.

7. 3. 역 입구

엑토르 기마르가 설계한 아르 누보 양식의 포르 도핀 역 입구


파리의 상징적인 아르 누보 양식의 역 입구는 현재 83개가 남아있다. 1900년 엑토르 기마르가 디자인한 이 양식은 당시에는 다소 놀라움과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8]

여러 상징적인 기마르식 입구는 다른 도시에 기증되었다. 파리 외에 지하철역에 있는 유일한 오리지널 입구는 몬트리올의 스퀘어-빅토리아-OACI 역으로, RATP 그룹 엔지니어들의 협력을 기념하는 기념물로 설치되었다. 오리지널 몰드에서 주조된 복제품은 리스본 지하철 (피코아스 역), 멕시코 시티 지하철 (벨라스 아르테스 지하철, "Metro" 표지판 포함)에 기증되었으며, 이는 팔레 루아얄 –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된 우이촐 벽화에 대한 답례로 제공되었다. 또한 2001년에는 시카고 메트라 (반 뷰렌 스트리트, 사우스 미시간 애비뉴와 이스트 반 뷰렌 스트리트, "Metra" 표지판 포함)에도 기증되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의 키옙스카야 역에는 2006년 RATP 그룹에서 기증한 기마르식 입구가 있다. 워싱턴 D.C. 다운타운의 조각 정원에는 이 입구가 전시되어 있지만, 지하철역으로 연결되지는 않고 단순히 관람용으로 설치되었다.[8]

후기 역과 재단장을 통해 입구는 점점 더 단순한 스타일로 변화했다.

소수의 입구는 독창적인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생-라자르 역), 여러 입구는 주거용 건물이나 독립 건물과 통합되어 있다 (펠르포르 역).

8. 문화적 의의

메트로는 원래 이 노선의 대부분을 운영했던 엉팡 그룹의 자회사 ''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 S.A.'' ("파리 메트로 철도 회사 주식회사")의 약칭이다. "Le Métropolitain"으로 불리던 것이 빠르게 ''Métro''로 줄여졌고, 프랑스와 다른 많은 도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의 일반적인 명칭이자 브랜드 이름이 되었다.[16]

메트로는 파리 자치 교통 공단(RATP)에서 운영하며, RER 노선, 경전철 노선 및 많은 버스 노선도 운영한다. ''Métro''라는 이름은 여러 언어로 채택되어 (일반적으로 지하의)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을 지칭하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가 되었다.

파리 메트로는 파리를 넘어 예술 분야에서도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metro"라는 용어는 지하철 및 도시 지하 철도의 일반적인 이름이 되었다.

엑토르 기마르가 디자인한 역 입구 키오스크는 아르 누보 건축 스타일(한때 "르 스타일 메트로"로 널리 알려짐)을 발전시켰다. 하지만 일부 프랑스 평론가들은 기마르 역 키오스크의 녹색과 표지 글자, 가독성 등을 비판하기도 했다.

고무차륜 방식 노선의 성공은 몬트리올 지하철을 시작으로 전 세계 지하철 시스템으로의 수출로 이어졌다. 몬트리올의 성공은 1960~1970년대의 "국제 지하철 붐을 가속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 과정에서 프랑스의 우위를 보장"했다. 고무차륜 시스템은 멕시코 시티, 산티아고, 로잔, 토리노, 싱가포르 및 기타 도시에서 채택되었다. 일본은 고베, 삿포로, 도쿄 일부 지역의 시스템에 고무차륜 지하철(자체 기술 및 제조 회사)을 채택했다.

파리 메트로의 토끼는 1977년부터 열차 문에 부착된 스티커에 등장하는 의인화된 토끼로, 문이 열릴 때 손이 끼일 위험, 에스컬레이터에서 부상을 입을 위험, 닫히는 문에 갇힐 위험 등을 승객(특히 어린이)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 토끼는 현재 런던의 "mind the gap" 문구와 유사한 파리의 인기 아이콘이다.

9. 미래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여러 노선이 계획 및 건설 중이다.[45]

style="margin:inherit; padding-bottom:0.25em"|'''파리 메트로 계획 노선'''
노선계획 개통계획 완료역 수총 길이평균 역간 거리기점차량 시스템전력 공급 방식
class="noresize"|19호선2040년9 ~ 1125km ~ 30km2083m낭테르-라 폴리 ~ 샤를 드 골 2 TGV 공항자동



이미 건설 중이거나 연구 중인 프로젝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제안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APPORT D'ACTIVITÉ 2015 http://www.stif.org/[...] STIF 2017-03-17
[2]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Paris metro https://web.archive.[...] 2013-09-21
[3] 웹사이트 The Metro: a Parisian institution https://web.archive.[...] RATP 2014-01-29
[4] 웹사이트 Statistiques Syndicat des transports d'Île-de-France rapport 2005 http://www.stif.info[...] 2012-06-17
[5] 웹사이트 Automation Of Paris Metro's Line 4 Complete https://www.railsist[...] Railsistem 2022-09-13
[6] 뉴스 Метрополитен в цифрах [Metro in figures] https://web.archive.[...] 2016-09-17
[7] 웹사이트 Les chiffres des déplacements à Paris en 2019 https://www.paris.fr[...] 2023-04-05
[8] 웹사이트 RÉAMÉNAGEMENT DU PÔLE RER CHÂTELET-LES HALLES CONCERTATION PRÉALABLE – Un pôle de transport d'envergure régionale https://web.archive.[...] Syndicat des transports d'Île-de-France (STIF)
[9] 웹사이트 Plan tram à Paris et en Ile-de-France RATP https://www.ratp.fr/[...] 2023-04-05
[10] 웹사이트 Plan transilien à Paris et en Ile-de-France RATP https://www.ratp.fr/[...] 2023-04-05
[11] 웹사이트 Plan de la ligne ORLYVAL Orlyval https://www.orlyval.[...] 2023-04-05
[12] 웹사이트 Parisian panache: six of the most spectacular Paris Métro stations https://www.theguard[...] 2023-07-24
[13] 웹사이트 Cinéma : 7 films qui immortalisent le métro parisien https://www.lesechos[...] 2023-12-06
[14] 웹사이트 Chansons métropolitaines https://musique.rfi.[...] 2001-02-07
[15] 웹사이트 Prêt de parapluie dans le métro parisien: comment ça marche https://rmc.bfmtv.co[...] 2024-01-15
[16] 웹사이트 10 incredible facts you may not know about the Metropolitan line https://www.standard[...] 2016-07-01
[17] 웹사이트 subway https://www.britanni[...] 2023-03-13
[18] 웹사이트 1968–1983 : le RER et la modernisation du réseau parisien http://www.amtuir.or[...] 2011-02-06
[19]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Fra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뉴스 Après 45 ans d'attente, la ligne 4 du métro arrive "enfin" à Bagneux ! https://www.leparisi[...] 2022-01-13
[21] 뉴스 Vers l'automatisation de la ligne 13 du métro parisien, d'ici 2030 ? La RATP veut reproduire celles des lignes 4 et 1 https://www.lemonde.[...] 2024-01-19
[22] 웹사이트 Line 14 Automatic Metro, Paris https://www.railway-[...]
[23] 서적 Métro insolite
[24] 웹사이트 Press statement from RATP 2 October 2007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Ticket t+ https://www.iledefra[...] 2024-04-16
[26] 웹사이트 Le Wi-Fi gratuit arrive dans le métro parisien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L'ensemble du réseau RATP équipé en très haut débit mobile par les opérateurs de téléphonie mobile – Travaux RATP https://www.ratp.fr/[...] 2022-06-02
[28] 뉴스 No entry: Why is the Paris Metro still out of bounds for disabled people? https://www.thelocal[...] 2017-12-06
[29] 뉴스 As 2024 Olympics and Paralympics Approach, Paris's Metro Is Mostly Off-Limits to the Disabled https://www.bloomber[...] 2018-10-26
[30] 웹사이트 Le plan des stations de notre réseau, accessibles aux Personnes à Mobilité Réduite (PMR) RATP https://www.ratp.fr/[...]
[31] 웹사이트 Le plan des stations de notre réseau, accessibles aux Personnes à Mobilité Réduite (PMR) RATP https://www.ratp.fr/[...]
[32] 웹사이트 Adapted public transport Adapted metros in the Paris area https://en.parisinfo[...]
[33] 웹사이트 Tout savoir sur l'accessibilité du nouveau métro https://www.societed[...] 2019-11-13
[34] 웹사이트 Accessibilité : le métro parisien à la traîne https://www.lefigaro[...] 2014-07-16
[35] 웹사이트 Accessibilité : le métro qui valait quatre milliards ! https://informations[...] 2014-05
[36] 뉴스 Pourquoi le métro parisien est-il l'un des pires du monde pour les personnes handicapées? https://www.lemonde.[...] 2022-06-26
[37] 웹사이트 Network accessibility {{!}} RATP https://www.ratp.fr/[...] 2022-06-26
[38] 문서
[39] 뉴스 A quelle vitesse roule le métro parisien ? https://www.liberati[...] 2018-02-14
[40] 뉴스 Cinq faits à connaître sur le métro parisien https://www.lefigaro[...] 2013-03-12
[41] 문서
[42] 웹사이트 The Grand Paris Express is making headway https://www.grandpar[...]
[43] 문서
[44] 웹사이트 Trafic annuel entrant par station du réseau ferré 2018 https://data.ratp.fr[...] 2020-03-01
[45] 웹사이트 Grand Paris Express, the largest transport project in Europe https://web.archive.[...] 2020-05-26
[46] 웹사이트 Grand Paris Express Ligne 15 Sud https://www.societed[...] 2018-05-30
[47] 웹사이트 Ligne 15 Sud https://www.societed[...] 2020-05-26
[48] 웹사이트 La Société du Grand Paris réactualise le calendrier du Grand Paris Express https://www.societed[...] 2021-08-04
[49] 웹사이트 Ligne 16 https://www.societed[...] 2020-05-26
[50] 웹사이트 Ligne 17 https://www.societed[...] 2020-05-26
[51] 웹사이트 Grand Paris facts. Grand Paris Express. https://www.parisdig[...] 2018-08-05
[52] 웹사이트 Prolongement du Métro ligne 1 à Val de Fontenay, le projet en bref http://val-de-fonten[...] 2018-05-30
[53] 웹사이트 Prolongement de la ligne 10 à Ivry Gambetta https://www.ratp.fr/[...] 2018-05-30
[54] 웹사이트 パリ市内のメトロ・バスが今週末無料 - フランス生活情報 フランスニュースダイジェスト http://www.newsdiges[...]
[55] 간행물 Metropolis & Metro Train Solutions http://www.alstom.co[...] 2018-07-15
[56] 서적 知られざる鉄道 けいてつ協會
[57] 문서
[58] 웹사이트 Création des nouvelles lignes reliant le Nouveau Grand Paris https://web.archive.[...]
[5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