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어 (아나톨리아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어는 아나톨리아어파에 속했던 사멸된 언어이다. 팔라어는 음운 체계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등을 사용했으며, 모음은 a, i, u를 기본으로 장단을 구별했다. 문법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의 특징을 보이며, 명사는 성, 수, 격에 따라 변화하고, 동사는 인칭, 시제, 법, 태에 따라 굴절되었다. 어휘는 하티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많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팔라어 (아나톨리아어파) | |
---|---|
기본 정보 | |
민족 | 팔라인 |
사멸 시기 | 기원전 1300년경 |
지역 | 아나톨리아 |
언어 정보 | |
계통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아나톨리아어파 |
분기 | 루비어군-리디아어? |
ISO 639-3 | plq |
Glottolog | pala1331 |
Glottolog 명칭 | 팔라어 |
2. 역사
1906년, 독일의 후고 윙클러는 터키 보아즈쾨이에서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였던 하투샤 유적을 발굴했고, 여기서 다량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 1919년 에밀 폴러는 이 점토판들에 아카드어, 히타이트어 외에 루위아어와 팔라어가 기록되어 있음을 밝혔다.[9]
1970년 오노프리오 카루바(Onofrio Carruba)는 팔라어 자료를 문법, 어휘집과 함께 정리했다. 고대 히타이트 법률 문서에 따르면 히타이트 영토는 팔라, 루위야, 하티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고,[11] 팔라는 할리스 강(크즐르르마크 강) 북서쪽에 위치했다.[10] 팔라어는 하티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쐐기 문자로 기록되었다.
2. 1. 팔라어의 소멸
신 히타이트 시대(기원전 14-13세기)에는 이미 팔라어가 사어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10] 현재까지 발견된 팔라어 자료는 하투샤에서 발견된 12개 정도의 점토판 문서가 전부이다.[11]3. 음운
멜처트는 팔라어의 음소 목록을 재구성했다.[4][5] 멜처트는 인두음 대신 "두 개의 연구개 마찰음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3. 1. 자음
멜처트는 팔라어의 음소 목록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했다.[4][5] 하지만 멜처트는 인두음 대신 "두 개의 연구개 마찰음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자음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다.[13] 는 로 음역되는 소리로, 인두음이 아닌 연구개음 일지도 모른다.[14]
3. 2. 모음
팔라어는 최소 a, i, u 세 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장단을 구별했다. /e/와 /eː/의 음소적 지위는 불확실하다. 모음에는 적어도 가 있었으며, 그 외에 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설형 문자의 표기 제약으로 인해 와 구별되었는지는 잘 알 수 없다.[12]
4. 문법
팔라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전형적인 형태론적 특징을 보여주는 굴절어이다. 히타이트어에는 없는 루위아어와의 공통된 특징을 공유하기도 한다.[6] 접어를 많이 사용한다.[17] 어순은 비교적 자유로운 편으로, 기본적으로는 SOV형이지만 강조하고자 하는 요소를 문장 맨 앞에 둘 수 있다.[19]
4. 1. 명사
팔라어는 히타이트어와 마찬가지로 명사에서 생물과 무생물의 두 가지 성을 구분했다.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 그리고 주격, 호격, 대격, 속격, 여격, 처격의 최소 여섯 개의 격을 구분했다.[4] 복수에서는 주격과 호격, 여격과 처격의 구별이 없었다.[18] 무생물의 복수형이 주어인 경우 동사는 단수형이 된다.[19]기원전 1600년경 고대 히타이트어는 속격 단수 접미사 '-aš'를 사용했다(원시 인도유럽어 '*-os'와 비교). 반면 쐐기 문자 루비아어는 '-ašša/i-' 형용사 접미사를 사용한다. 팔라어는 두 언어의 북쪽 경계에 위치하며, 후기의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와 마찬가지로 '-aš' 속격과 '-aša-' 형용사 접미사를 모두 가지고 있다.
4. 2. 동사
팔라어 동사는 수(단수, 복수), 인칭, 시제(현재, 과거), 법(직설법, 명령법)에 따라 굴절된다. 또한 능동태와 중수동태의 두 가지 태를 가지고 있다.[4] 팔라어는 접미사 '-ina'가 자주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며, 이들은 모두 타동사였다.[8] 동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변화하며, 직설법과 명령법, 현재형과 과거형, 능동태와 중동태를 구별한다. 그 외에도 접어에 따라 다양한 상을 표현한다.[18]5. 어휘
팔라어는 하티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많이 나타난다. 이는 팔라어 자료가 하티인의 제의를 다루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17]
6. 루위아어와의 관계
팔라어는 고대 히타이트어에는 없는 루위아어와의 공통된 혁신을 공유하며, 이는 이전의 루위아-팔라어 언어 복합체의 존재를 시사한다.[6]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ittites
Scarecrow Press
2004
[2]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3]
서적
Das Palaische. Texte, Grammatik, Lexikon.
Harrassowitz
1970
[4]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5]
서적
Anatolian Historical Phonology
Brill
1994
[6]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A Phylogenetic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7]
서적
Anatolian historical phonology
Rodopi
1994
[8]
서적
Anatolian Verbal Stem Formation: Luwian, Lycian and Lydian
Brill
2020
[9]
서적
1964
[10]
서적
1994
[11]
서적
2004
[12]
서적
1994
[13]
서적
1994
[14]
서적
2004
[15]
서적
2004
[16]
서적
1994
[17]
서적
2004
[18]
서적
2004
[19]
서적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