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게는 튀르키예 안탈리아 근처 해안 평원에 위치한 고대 도시이다. 초기 청동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그리스 식민지였고, 로마 제국 시대에는 번성하여 아르테미스 숭배로 유명했다. 주요 유적으로는 로마 극장, 경기장, 아르테미스 신전, 목욕탕 등이 있으며, 특히 모자이크가 잘 보존되어 "터키의 두 번째 제우그마"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 도시 출신으로 가장 유명한 인물은 수학자 아폴로니우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탈리아의 역사 - 팜필리아
    팜필리아는 아나톨리아 지역의 고대 지명으로, 토착민과 킬리키아인, 그리스인의 혼합에서 기원하여 히타이트 제국 시대부터 리디아,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운 지역이다.
  • 안탈리아의 역사 - 피시디아
    피시디아는 지중해와 인접한 지역으로, 토로스 산맥으로 인해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헬레니즘 시대에는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로마 시대에는 갈라티아 속주에 편입되었고,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으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어려움을 겪다가 11세기에 셀주크 투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팜필리아 - 안탈리아
    안탈리아는 튀르키예 남서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다양한 시대의 영향을 받아 터키 최대의 대도시이자 지중해 관광지로 발전했으며, 온난한 기후, 아름다운 해변, 역사적 건축물, 문화 축제 등을 자랑한다.
  • 팜필리아 - 알라니아
    알라니아는 튀르키예 안탈리아 주에 있는 지중해 연안 도시로,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명을 거쳐 현재는 아름다운 해변, 유적, 기후를 가진 국제적인 관광 도시이다.
  • 안탈리아주의 건축물 - 셀리누스
    셀리누스는 터키 남부 해안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로마 시대에 트라야누스 황제가 사망했고, 난공불락의 요새와 같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현재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명목 교구로 남아 있다.
  • 안탈리아주의 건축물 - 파셀리스
    파셀리스는 기원전 690년 로도스인에 의해 건설된 고대 도시로, 동부 리키아의 항구 도시이자 상업 중심지였으며, 페르시아, 델로스 동맹, 알렉산드로스 대왕 등을 거쳐 11세기에 버려졌다.
페르게
기본 정보
페르게 전경
페르게 전경
로마자 표기Perge
그리스어Πέργη
튀르키예어Perge
히타이트어Parha
위치악수, 안탈리아 주, 튀르키예
지리 및 역사적 맥락
지역루카, 팜필리아
유형정착지
일부해당 없음
길이해당 없음
너비해당 없음
면적해당 없음
높이해당 없음
건설 및 폐기
건설기원전 1209년 이전
폐기중세 시대
문화 및 역사적 시대
시대구리 시대 ~ 중세 시대
문화루위아
리키아
히타이트
그리스
로마
비잔티움
튀르크
속국해당 없음
거주자아폴로니오스
사건해당 없음
발굴 및 관리
발굴해당 없음
고고학자해당 없음
상태해당 없음
소유해당 없음
관리해당 없음
대중 접근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참고 사항해당 없음

2. 역사

페르게는 카타라크테스 강(Düden Nehri)과 케스트루스 강(Aksu) 사이의 해안 평원에 위치해 있으며, 케스트루스 강어귀에서 약 11km 떨어져 있다.[15][16][17][18]

로마 극장


경기장


페르게는 기원전 7세기에 로도스의 그리스 식민지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팜필리아의 그리스 도시였으며, 페르시아인, 아테네인, 다시 페르시아인의 통치를 차례로 받았다. 기원전 540년, 페르가는 팜필리아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아케메네스 제국에 점령되었다. 다리우스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페르게는 이오니아 사트라피의 일부였다.[24] 디오도루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페르게는 기원전 360년 대 사트라프 반란 동안 아케메네스 통치에 반기를 든 도시 중 하나였다.[24]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셀리스를 점령한 후 기원전 334년 군대를 이끌고 페르게에서 환영을 받았다. 알렉산드로스의 통치 이후에는 디아도코이셀레우코스 제국이 들어섰다. 기원전 223년부터 저지대 도시 주변의 성벽이 건설되었다. 기원전 2세기에 이 도시는 번성하여 아르테미스 여신과 그녀의 신전 이미지를 담은 자체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25] 페르게는 도시 외곽 언덕에 신전이 있었고, 매년 축제가 열렸던 아르테미스 숭배로 유명해졌다.[26][27][28][29]

기원전 188년 로마에 의해 셀레우코스 제국이 패배한 후, 더 넓은 지역은 로마인에 의해 아탈로스 왕국에 기증되었다. 마지막 왕이 기원전 133년 후사 없이 죽자, 그는 페르게를 포함한 자신의 왕국을 로마 공화국에 유증했다. 기원전 25년 이후 로마인들은 갈라티아의 피시디아 안티오크와 페르게를 연결하는 비아 세바스테를 건설했다. 플라비우스 왕조가 황제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창설된 후, 이 도시는 리키아와 팜필리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또한 이 도시에게 네오코레이트 지위를 부여하여 로마 황제 숭배를 담당하게 했다.[30]

서기 2세기에는 팍스 로마나와 과도한 부로 인해 도시 건설 붐이 일어났다. 1세기부터 3세기까지 로마의 지배 하에, 이 도시는 팜필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의 지위를 놓고 시데와 경쟁하며 아나톨리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서기 46년 성 바울은 페르게로 여행하여 그곳에서 피시디아의 안티오케이아로 갔고, 다시 페르게로 돌아와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했다 (사도행전 14:25). 그 후 그는 도시를 떠나 아탈레이아로 갔다.[32]

늦은 로마 시대에 케스트루스 강이 둑을 막으면서, 페르게는 세속 도시로서 쇠퇴했다.[33] 4세기 전반, 콘스탄티누스 대제 (324-337)의 통치 기간 동안, 페르게는 곧 로마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된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는 5세기와 6세기에도 기독교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페르게는 대략 1000년에 셀주크 제국이 건국될 때까지 계속 거주했다.[33]

2. 1. 초기 청동기 시대

도시는 후기 채석기 시대 또는 초기 청동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9] 아크로폴리스의 초기 정착지에 대한 발굴 조사에 따르면 기원전 4000년에서 3000년 사이의 초기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20] 페르게 아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된 도기는 서부 아나톨리아의 초기 청동기 시대 도기 전통과 관련이 있다.[21]

2. 2. 후기 청동기 시대

1986년 하투사스에서 발견된 청동판에 따르면, 히타이트 대왕 투달리야 4세와 그의 봉신인 타르훈타사 왕 사이의 조약에서 타르훈타사의 서쪽 경계는 "파르하" 도시와 "카스타라야 강"으로 정의되었다.[22] 이 강은 고전 시대의 케스트루스 강으로 추정된다. 파르하 서쪽에는 "루카 땅"이 있었다.[23] 파르하는 리키아어, 신 히타이트 왕국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후기 루위아 방언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2. 3. 철기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



페르게는 기원전 7세기에 로도스의 그리스 식민지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팜필리아의 그리스 도시였으며, 페르시아인, 아테네인, 다시 페르시아인의 통치를 차례로 받았다.

기원전 540년, 페르가는 팜필리아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아케메네스 제국에 점령되었다. 다리우스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페르게는 이오니아 사트라피의 일부였다. 헤로도토스는 팜필리아인들이 그리스에 대항한 크세르크세스의 군사 작전에 지원을 보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아케메네스의 지배 하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디오도루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페르게는 기원전 360년 대 사트라프 반란 동안 아케메네스 통치에 반기를 든 도시 중 하나였다.[24]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셀리스를 점령한 후 기원전 334년 군대를 이끌고 페르게에서 환영을 받았다. 알렉산드로스의 통치 이후에는 디아도코이셀레우코스 제국이 들어섰다. 저지대 도시 주변의 성벽은 기원전 223년부터 건설되었다. 기원전 2세기에 이 도시는 번성하여 아르테미스 여신과 그녀의 신전 이미지를 담은 자체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25] 페르게는 도시 외곽 언덕에 신전이 있었고, 매년 축제가 열렸던 아르테미스 숭배로 유명해졌다.[26][27][28][29]

2. 4. 로마 제국 시대

페르게는 기원전 7세기에 로도스의 그리스 식민지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팜필리아 그리스 도시였으며, 페르시아인, 아테네인, 다시 페르시아인의 통치를 받았다. 기원전 540년, 페르가는 팜필리아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아케메네스 제국에 점령되었다. 다리우스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페르게는 이오니아 사트라피의 일부였다.[24]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파셀리스를 점령한 후 기원전 334년 군대를 이끌고 페르게에서 환영을 받았다. 알렉산드로스의 통치 이후에는 디아도코이셀레우코스 제국이 들어섰다. 기원전 2세기에 이 도시는 번성하여 아르테미스 여신과 그녀의 신전 이미지를 담은 자체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25] 페르게는 도시 외곽 언덕에 신전이 있었고, 매년 축제가 열렸던 아르테미스 숭배로 유명해졌다.[26][27][28][29]

기원전 188년 로마에 의해 셀레우코스 제국이 패배한 후, 더 넓은 지역은 로마인에 의해 아탈로스 왕국에 기증되었다. 마지막 왕이 기원전 133년 후사 없이 죽자, 그는 페르게를 포함한 자신의 왕국을 로마 공화국에 유증했다. 기원전 25년 이후 로마인들은 갈라티아의 피시디아 안티오크와 페르게를 연결하는 비아 세바스테를 건설했다. 로마가 처음 페르게를 제국에 편입했을 때, 이 도시는 갈라티아 속주의 일부였다. 플라비우스 왕조가 황제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창설된 후, 이 도시는 리키아와 팜필리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또한 이 도시에게 네오코레이트의 지위를 부여하여 이 도시가 로마 황제 숭배를 담당하게 했다.[30]

서기 2세기에는 팍스 로마나와 과도한 부로 인해 도시 건설 붐이 일어났다. 도시 중심부는 도시 남쪽으로 확장되었고 새로운 기념물이 세워졌다. 페르게는 또한 로마 제국 시대에 기념비적 구조물 건설에 자금을 지원한 많은 박애주의자들이 있었다.[31]

1세기부터 3세기까지 로마의 지배 하에, 이 도시는 많은 인상적인 건물들을 갖춘 훌륭한 도시가 되었다. 팜필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의 지위를 놓고 시데와 경쟁하며 아나톨리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총독 마르쿠스 플란키우스 바루스의 딸인 플란키아 마그나 (사망 122년)는 공공 건물 건설에 가장 큰 후원자이자 장본인이었으며, 도시 의회에 의해 세워진 조상으로 존경을 받았다. 그녀는 또한 아르테미스 신전의 여사제이자 황제 숭배의 대사제였다.

서기 46년, 사도행전에 따르면, 성 바울은 페르게로 여행하여 그곳에서 피시디아의 안티오케이아로 갔고, 다시 페르게로 돌아와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했다 (사도행전 14:25). 그 후 그는 도시를 떠나 아탈레이아로 갔다.[32]

늦은 로마 시대에 케스트루스 강이 둑을 막으면서, 페르게는 세속 도시로서 쇠퇴했다.[33] 4세기 전반, 콘스탄티누스 대제 (324-337)의 통치 기간 동안, 페르게는 곧 로마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된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는 5세기와 6세기에도 기독교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2. 5. 기독교 시대와 쇠퇴

사도 바울과 그의 동료 바나바는 성경사도행전에 기록된 대로 페르게를 두 차례 방문했다.[34] 그들은 첫 번째 선교 여행 동안 페르게에서 "말씀을 전파"했으며,[35] 그 후 남서쪽으로 15km 떨어진 아탈리아(오늘날 안탈리아 시)에서 배를 타고 안티오크로 향했다.

바울과 바나바는 첫 번째 선교 여행 중 페르게에 왔지만, 그곳에 잠시 머물렀을 뿐 설교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36][44] 요한 마가가 바울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간 곳이 바로 페르게였다. 비시디아에서 돌아온 바울은 페르게에서 설교했다.[37][44]

6세기의 페르게의 마트로나 성녀는 학대하는 남편을 피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여장을 한 것으로 알려진 여성 성인이었다.[38] 그녀는 또한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단성설 정책에 반대했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39] 마트로나는 내시 바빌로스로서 성 바시온 수도원에 숨어 있었다. 정체가 드러나자 그녀는 여성 수도원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수녀원장이 되었다. 그녀는 놀라운 치유의 은사로 유명했다. 그녀는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수녀원을 세웠다. 성 마트로나는 100세에 사망했다. 그녀의 삶은 작가와 정확한 시기가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비타 프리마''를 통해 전해졌다.[40]

그리스어 ''주교 관할 구역 목록''에는 13세기까지 이 도시를 팜필리아 세군다의 대교구로 언급하고 있다. Le Quien은 11명의 주교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41]

이름재임 기간비고
에피다우루스312년앙키라 공의회 참석
칼리클레스325년제1차 니케아 공의회 참석
베레니아누스426년콘스탄티노폴리스
에피파니우스449년-451년제2차 에페소스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 참석,[42] 황제 레오에게 보낸 지방 주교들의 서한에 서명
힐라리아누스536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에울로기우스553년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아페르기우스680년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단일의지설로 정죄됨
요한692년트룰로 공의회 참석
시시니우스 파스틸라스754년경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죄된 비잔틴 성상 파괴
콘스탄스787년선임자를 정죄한 제2차 니케아 공의회 참석
요한869년–870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페르게는 더 이상 주거지가 아니며, 이 주교직은 가톨릭 교회의 명목 주교구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3]

페르게는 대략 1000년에 셀주크 제국이 건국될 때까지 계속 거주했다.[33]

2. 6. 주교 관할 구역

사도 바울과 그의 동료 바나바는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와 같이 두 차례 페르게를 방문했다.[34] 그들의 첫 번째 선교 여행 동안 그들은 "말씀을 전파"했으며[35] 그 후 남서쪽으로 15km 떨어진 아탈리아(오늘날 안탈리아 시)에서 배를 타고 안티오크로 향했다. 바울과 바나바는 첫 번째 선교 여행 중 페르게에 왔지만, 그곳에 잠시 머물렀을 뿐 설교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36][44] 요한 마가가 바울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간 곳이 바로 그곳이었다. 비시디아에서 돌아온 바울은 페르게에서 설교했다.[37][44]

6세기의 페르게의 마트로나 성녀는 학대하는 남편을 피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여장을 한 것으로 알려진 여성 성인이었다.[38] 그녀는 또한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단성설 정책에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마트로나는 내시 바빌로스로서 성 바시온 수도원에 숨어 있었다. 정체가 드러나자 그녀는 여성 수도원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수녀원장이 되었다. 그녀는 놀라운 치유의 은사로 유명했다. 그녀는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수녀원을 세웠다. 성 마트로나는 100세에 사망했다. 그녀의 삶은 작가와 정확한 시기가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비타 프리마''를 통해 전해졌다.[40]

그리스어 ''주교 관할 구역 목록''에는 13세기까지 이 도시를 팜필리아 세군다의 대교구로 언급하고 있다. Le Quien은 11명의 주교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41]

주교 이름활동 시기비고
에피다우루스312년앙키라 공의회 참석
칼리클레스325년제1차 니케아 공의회 참석
베레니아누스426년콘스탄티노폴리스
에피파니우스449년, 451년제2차 에페소스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 참석,[42] 황제 레오에게 보낸 지방 주교들의 서한에 서명
힐라리아누스536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에울로기우스553년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아페르기우스680년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단일의지설로 정죄됨
요한692년트룰로 공의회 참석
시시니우스 파스틸라스754년경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죄됨 (비잔틴 성상 파괴)
콘스탄스787년제2차 니케아 공의회 참석, 선임자를 정죄함
요한869년–870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더 이상 주거지가 아니며, 이 주교직은 가톨릭 교회의 명목 주교구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3]

페르게는 대략 1000년에 셀주크 제국이 건국될 때까지 계속 거주했다.[33]

3. 주요 유적

1946년에 시작된 발굴 작업을 통해 로마 극장, 경기장, 팔라이스트라, 아르테미스 신전, 두 개의 교회 등 많은 기념비적인 건물들이 발견되었다.[44]

2020년 세데프 초카이 케프체가 이끄는 고고학자들은 로마 제국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옷을 입은 여성의 전신 조각상을 발견하여 안탈리아 박물관에 전시하였다.[49][50]

3. 1. 극장

경기장 근처 성벽 밖에 있는 극장은 페르게에서 가장 인상적인 기념물 중 하나이다. 이 극장은 미라파타라의 극장보다 크다.[44]

3. 2. 경기장

경기장 근처 성벽 밖에 미라, 파타라의 극장보다 큰 극장이 있다.

3. 3. 성벽과 문

기원전 3세기에 헬레니즘 시대의 성벽이 지어졌으며, 3개의 문이 있었다. 남쪽 문은 특히 기념비적인데, 원뿔형 지붕을 가진 3층 높이의 탑 두 개와 그 뒤에 말굽 모양의 광장이 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 치세인 서기 121년에는 개선문이 안뜰 북쪽 벽에 삽입되었고, 정면은 귀중한 대리석으로 덮여 기둥과 조각상으로 장식되었다.[44]

3. 4. 목욕탕

1세기에 만들어진 남쪽 목욕탕은 보존 상태가 가장 좋은 건물 중 하나이며, 그 크기와 기념비적인 모습, 그리고 그곳에서 발견된 대량의 조각품으로 유명하다.[44]

남쪽 목욕탕 평면도


로마 시대에 이 도시는 2개의 수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았다.[47] 쿠르순루 수로는 길이가 11km였으며, 쿠르순루 폭포 근처에서 목욕탕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을 것이다. 21km 길이의 후기 수로는 듀덴바시 폭포 근처의 듀덴 강에서 더 많은 물을 사용했다.[48]

페르게에는 적어도 6개의 님파이움이 있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북쪽, 즉 "하드리아누스" 님파이움(서기 122년경)과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광장에 있는 남쪽 님파이움(2세기 말~3세기 초)이다. 하드리아누스 님파이움은 풍부한 물 공급의 유출을 포착하기 위해 아크로폴리스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그곳에서 도시를 통과하는 수로로 물을 공급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광장을 마주보고 있는 남쪽 님파이움은 수압 시스템으로 물을 공급하는 남쪽 목욕탕의 프로필론(기념비적인 입구) 옆에 위치해 있다.

3. 5. 님파이움

페르게에는 적어도 6개의 님파이움이 있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북쪽의 "하드리아누스" 님파이움(서기 122년경)과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광장에 있는 남쪽 님파이움(2세기 말~3세기 초)이다. 하드리아누스 님파이움은 풍부한 물 공급의 유출을 포착하기 위해 아크로폴리스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그곳에서 도시를 통과하는 수로로 물을 공급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광장을 마주보고 있는 남쪽 님파이움은 수압 시스템으로 물을 공급하는 남쪽 목욕탕의 프로필론(기념비적인 입구) 옆에 위치해 있다.[47][48]

3. 6. 아르테미스 신전

페르게의 아르테미스 신전은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었다.[44] 도시에서 주조된 많은 동전에는 아르테미스 여신과 그녀의 성소가 모두 묘사되어 있었다.[45]

3. 7. 모자이크

페르게는 발굴된 모자이크의 매혹적인 모습 때문에 "터키의 두 번째 제우그마"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3년 고고학자들은 오케아노스메두사를 묘사한 보존 상태가 좋은 그리스 모자이크를 발견했고, 2017년에는 이피게네이아의 희생을 묘사한 모자이크가 발견되었다.[46][45]

4. 주목할 만한 인물

4. 1. 페르게의 아폴로니우스

페르게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거주자는 그곳에서 살고 일했던 수학자 아폴로니우스 (기원전 262년경 – 기원전 190년경)였다. 그는 , 타원, 포물선, 쌍곡선으로 구성된 원뿔 곡선으로 알려진 8권의 책을 저술했다.

4. 2. 플란키아 마그나

사도 바울과 그의 동료 바나바는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와 같이 두 차례 페르게를 방문했다.[34] 그들의 첫 번째 선교 여행 동안 그들은 "말씀을 전파"했으며[35] 그 후 남서쪽으로 15km 떨어진 아탈리아(오늘날 안탈리아 시)에서 배를 타고 안티오크로 향했다.

바울과 바나바는 첫 번째 선교 여행 중 페르게에 왔지만, 그곳에 잠시 머물렀을 뿐 설교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36][44] 요한 마가가 바울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간 곳이 바로 그곳이었다. 비시디아에서 돌아온 바울은 페르게에서 설교했다.[37][44]

6세기의 페르게의 마트로나 성녀는 학대하는 남편을 피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여장을 한 것으로 알려진 여성 성인이었다.[38] 그녀는 또한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단성설 정책에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마트로나는 내시 바빌로스로서 성 바시온 수도원에 숨어 있었다. 정체가 드러나자 그녀는 여성 수도원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수녀원장이 되었다. 그녀는 놀라운 치유의 은사로 유명했다. 그녀는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수녀원을 세웠다. 성 마트로나는 100세에 사망했다. 그녀의 삶은 작가와 정확한 시기가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비타 프리마''를 통해 전해졌다.[40]

그리스어 ''주교 관할 구역 목록''에는 13세기까지 이 도시를 팜필리아 세군다의 대교구로 언급하고 있다. Le Quien은 11명의 주교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41]

주교 이름재임 기간주요 사건
에피다우루스312년앙키라 공의회 참석
칼리클레스325년제1차 니케아 공의회 참석
베레니아누스426년콘스탄티노폴리스
에피파니우스449년-451년제2차 에페소스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 참석,[42] 황제 레오에게 보낸 지방 주교들의 서한에 서명
힐라리아누스536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에울로기우스553년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아페르기우스680년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단일의지설로 정죄됨
요한692년트룰로 공의회 참석
시시니우스 파스틸라스754년경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죄된 비잔틴 성상 파괴
콘스탄스787년선임자를 정죄한 같은 공의회에 참석
요한869–70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44]

더 이상 주거지가 아니며, 이 주교직은 가톨릭 교회의 명목 주교구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3]

페르게는 대략 1000년에 셀주크 제국이 건국될 때까지 계속 거주했다.[33]

4. 3. 페르게의 마트로나

페르게의 마트로나는 6세기의 여성 성인으로, 남편의 학대를 피해 일시적으로 여장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8] 아나스타시우스 1세 황제의 단성설 정책에 반대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39] 마트로나는 내시 바빌로스로서 성 바시온 수도원에 숨어 지냈다. 정체가 드러난 후에는 여성 수도원으로 보내져 그곳의 수녀원장이 되었다. 그녀는 놀라운 치유 능력으로 유명했으며,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수녀원을 세웠다. 마트로나는 100세에 사망했으며, 그녀의 삶은 작가와 정확한 시기가 알려지지 않은 ''비타 프리마''를 통해 전해진다.[40]

참조

[1] 간행물 The Annals of Hattusilis III. https://www.jstor.or[...] 2022-11-25
[2] 간행물 Review: The Historical Geography of Western Anatolia in the Late Bronze Age: still an open question https://www.jstor.or[...] 2022-11-25
[3] 간행물 Tlos, Oinoanda and the Hittite Invasion of the Lukka lands. Some Thoughts on the History of North-Western Lycia in the Late Bronze and Iron Age https://www.research[...] 2022-11-25
[4] 서적 The kingdom of Purušhanda and its relations with the kings of Mari and Kanesh in the 18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Joost Blasweiler 2019
[5] 학위논문 Hitit Tapınak Kentleri https://www.academia[...] Ege Üniversitesi 2011
[6] 서적 Hittite Landscape and Geography https://brill.com/ed[...] Brill 2012
[7] 서적 Hittite Texts and Greek Religion: Contact, Interaction, and Comparis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 간행물 The Annals of Hattusilis III. https://www.jstor.or[...] 1997
[9] 간행물 Lukka Revisited https://www.jstor.or[...] 1992
[10] 서적 Anadolu Kültürlerine Bir Bakış Some Observations on Anatolian Cultures Armağan Erkanal'a Armağan Compiled in Honor of Armağan Erkanal https://www.research[...] Hacettepe Üniversitesi Yayınları 2014
[11] 학위논문 Yazılı Belgeler Işığında Lukka, Pedassa ve Walma Ülkelerinin Tarihi ve Tarihi Coğrafyası http://nek.istanbul.[...] İstanbul Üniversitesi 2012
[12] 서적 Cult in Pisidia: Religious Practice in Southwestern Asia Minor from Alexander the Great to the Rise of Christianity https://www.academia[...] Brepols Publishers 2015
[13] 서적 Officials and Administration in the Hittite World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15
[14] 서적 From Hellenism to Islam: Cultural and Linguistic Change in the Roman Near E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9-03
[15] 문서 Strabo
[16] 문서 Pliny the Elder
[17] 문서 Pomponius Mela
[18] 문서 Ptolemy
[19] 서적 Anadolu Kültürlerine Bir Bakış Some Observations on Anatolian Cultures Armağan Erkanal'a Armağan Compiled in Honor of Armağan Erkanal https://www.academia[...] Koç Üniversitesi 2020
[20] 웹사이트 Perge http://www.trekearth[...] 2006-10-30
[21] 서적 Die Akropolis von Perge. Band 1: Survey und Sondagen 1994-1997 http://nek.istanbul.[...] wbg Philipp von Zabern in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04
[22] 서적 Hittite diplomatic texts
[23] 간행물 The Arzawa letters in recent perspective
[24] 서적 Euergetes: Prof. Dr. Haluk Abbasoğlu'na 65. Yaş Armağanı. Festschrift für Prof. Dr. Haluk Abbasoğlu zum 65. Geburtstag http://nek.istanbul.[...] Suna - İnan Kıraç Akdeniz Medeniyetleri Araştırma Enstitüsü 2008
[25] 문서 Perge
[26] 문서 Strab
[27] 문서 Callim
[28] 문서 Scylax
[29] 문서 Dionys
[30] 서적 Çağlar Boyunca Anadolu'da Konut Sempozyumu Bildirileri https://www.academia[...] Ege Yayınları 1999
[31] 서적 Anadolu Kültürlerine Bir Bakış Some Observations on Anatolian Cultures Armağan Erkanal'a Armağan Compiled in Honor of Armağan Erkanal https://www.academia[...] Koç Üniversitesi 2020
[32] 성경 Acts
[33] 웹사이트 Perge http://www.anatolia.[...]
[34] 성경 Acts
[35] 성경 Acts
[36] 성경 Acts 13:13
[37] 성경 Acts 14:24
[38] 웹사이트 https://konutkurdu.c[...] 2020-05
[39] 웹사이트 Holy Women of Byzantium: Ten saints lives' in English translation http://www.doaks.org[...]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2014-11-19
[40] 웹사이트 vita prima http://www.fordham.e[...] 2014-11-19
[41] 간행물 Ecclesia Perges Oriens Christianus
[42] 서적 The Acts of the Council of Chalcedon, Volume 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Liverpool Press
[43]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44] 웹사이트 Perge Catholic
[45] 웹사이트 A Bevy Of Greek Mythology-Depicting Mosaics Uncovered At The Ancient City Of Perga, Turkey https://www.realmofh[...] 2018-02-11
[46] 뉴스 1,800-year-old mosaic found in ancient city of Perge http://www.hurriyetd[...]
[47] 논문 Perge kenti tarihsel su yapilari (Historical water structures of the city of Perge)
[48]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Perge (Turkey) http://www.romanaque[...]
[49] 웹사이트 3rd-century statue unearthed in ancient city https://www.hurriyet[...] 2020-07-29
[50] 웹사이트 3rd-century statue unearthed in ancient Greek city of Perge https://archaeologyn[...] 2020-07-29
[51]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John Wiley & Sons,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