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리페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리페 5세는 1700년부터 1746년까지 스페인을 통치한 부르봉 왕조의 첫 번째 국왕이다. 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왕위에 올랐으며, 프랑스 혈통으로 인해 유럽 각국의 반발을 샀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지브롤터 등 영토를 잃었고, 프랑스와 스페인의 합병은 금지되었다. 그는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고 행정 및 군사 개혁을 단행했으며, 재정 개혁을 통해 중상주의 정책을 펼쳤다. 1724년 잠시 퇴위했다가 복위한 후, 펠리페 5세는 말년에 조울증으로 고통받았으며, 그의 통치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에서 스페인으로 이민간 사람 - 에므리크 라포르트
프랑스 출신 스페인 국적의 축구 선수 에므리크 라포르트는 센터백으로, 알 나스르 FC 소속이며 아틀레틱 빌바오와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와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 프랑스에서 스페인으로 이민간 사람 - 카림 벤제마
카림 벤제마는 프랑스 출신 축구 선수로 올랭피크 리옹과 레알 마드리드에서 수많은 우승을 경험하고 2022년 발롱도르를 수상했으며 프랑스 국가대표팀에서도 UEFA U-17 유럽 선수권 대회와 2021 UEFA 네이션스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 앙주 공작 - 루이 2세 당주
앙주 공작 루이 1세의 아들인 루이 2세 당주는 앙주 가문의 유산을 상속받아 프로방스 백작이 되었고 나폴리 왕국 계승권을 주장하며 경쟁했으나 왕위 획득에는 실패했으며, 엑상프로방스에 대학교를 설립하고 프랑스 궁정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앙주 공작 -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은 프랑스 왕족으로, 형 루이 13세 치세에 반란과 음모를 일으키며 불안정한 행보를 보였고, 루이 13세 사후에는 프롱드의 난에 가담했으며, 두 번의 결혼으로 자녀를 두었고 조카 루이 14세 치세에는 '르 그랑 몽시외'로 불렸다. - 1746년 사망 - 콜린 매클로린
콜린 매클로린은 스코틀랜드의 수학자로, 테일러 급수를 활용하고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을 발견하는 등 수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저서로 《플럭시온 논문》 등이 있다. - 1746년 사망 - 프랜시스 허치슨
프랜시스 허치슨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글래스고 대학교 윤리철학 교수로, 도덕 감각 이론을 통해 인간 본성의 특징을 규명하고 고전 자유주의적 세계관을 스코틀랜드 사상에 도입하여 미국 독립혁명과 후대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펠리페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칭호 | 스페인 국왕 |
추가 정보 | (더 보기...) |
출생명 | 필리프, 앙주 공작 |
왕가 | 부르봉 왕가 |
아버지 | 루이, 그랑 도팽 |
어머니 | 마리아 안나 빅토리아 폰 바이에른 |
종교 | 가톨릭 교회 |
서명 | Philip V of Spain signature.svg |
스페인 국왕 (첫 번째 통치) | |
재위 기간 | 1700년 11월 1일 – 1724년 1월 15일 |
이전 통치자 | 카를로스 2세 |
다음 통치자 | 루이스 1세 |
스페인 국왕 (두 번째 통치) | |
재위 기간 | 1724년 9월 6일 – 1746년 7월 9일 |
이전 통치자 | 루이스 1세 |
다음 통치자 | 페르난도 6세 |
섭정 | 호세 데 그리말도 평화 후작 리퍼다 공작 호세 파티뇨 비야리아스 후작 |
나폴리 왕 및 사르데냐 왕 | |
재위 기간 | 1700년 11월 1일 – 1714년 3월 7일 |
이전 통치자 | 카를로스 5세 |
다음 통치자 | 카를 6세 |
네덜란드 영주 | |
재위 기간 | 1700년 11월 1일 – 1713년 5월 10일 |
이전 통치자 | 카를로스 2세 |
다음 통치자 | 카를 3세 |
섭정 |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바이에른 선제후 (1700–1706) |
결혼 정보 | |
배우자 | 마리아 루이사 가브리엘라 디 사보이아 (1701년 11월 2일 결혼, 1714년 2월 14일 사망) 엘리사베타 파르네세 (1714년 12월 24일 결혼) |
자녀 |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683년 12월 19일 |
출생지 | 베르사유 궁전,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746년 7월 9일 |
사망지 | 마드리드, 스페인 왕국 |
매장지 | 라 그랑하 데 산 일데폰소 왕궁 |
2. 생애
베르사유 궁전에서 태어난 펠리페 5세는 앙주 공작에 책봉되었고, 조부 루이 14세와 아버지에게서 최고의 궁정 교육을 받았다.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가 후계자가 없자, 필리페는 할머니 마리 테레즈가 카를로스 2세의 이복 누이였던 관계로 왕위 계승 1순위의 추정상속자가 되었다. 1700년 카를로스 2세가 사망하면서 펠리페 5세는 스페인 왕위를 계승했는데, 여기에는 할아버지인 루이 14세의 전폭적인 지원이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프랑스 혈통인 펠리페 5세의 즉위에 대해 프랑스를 제외한 유럽 각국은 경계심을 가졌다. 결국 영국,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들이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을 일으켜 펠리페 5세의 왕위를 위협했다.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전쟁은 종결되었고, 펠리페 5세는 스페인 왕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프랑스와 스페인의 합병은 금지되었고, 스페인은 지브롤터를 영국에 넘겨주고 나폴리, 사르데냐, 플란데런, 밀라노 등을 할양하여 많은 해외 영토를 잃었다.
1724년 1월 15일, 펠리페 5세는 아들 루이스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은퇴했으나, 루이스 1세가 즉위 7개월 만에 천연두로 사망하여 펠리페 5세는 다시 왕위에 복귀했다. 이후 펠리페 5세는 폴란드 왕위계승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에서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기 위해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 젱킨스의 귀 전쟁에서는 영국에 승리하여 신대륙에서 스페인령 영토를 지켜냈다. 펠리페 5세는 중앙집권화, 중상주의 정책 추진, 군사력 강화 등 다양한 개혁을 시도했다. 1746년 7월 9일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즉위 전
베르사유 궁전[1]에서 태어난 필리페는 프랑스의 루이 왕세자(Louis, Grand Dauphin)와 그의 아내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빅토리아 공녀(Maria Anna Victoria of Bavaria)의 둘째 아들이었으며, 앙주 공작(Counts and dukes of Anjou)에 봉해졌다. 그는 스페인 국왕이 되기 전까지 앙주 공작으로 알려졌다.필리페의 형은 프랑스의 루이 왕세손(Louis, Dauphin of France, Duke of Burgundy)이었고, 동생은 베리 공작 샤를(Charles, Duke of Berry (1686–1714))이었다.
필리페는 왕실 가정교사인 루이즈 드 프리의 감독 아래에서 생활했고, 이후 프랑수아 페넬롱(François Fénelon), 캉브레 대주교에게서 교육받았다. 세 형제는 폴 드 보빌리에, 생타냥 공작(Paul de Beauvilliers, 2nd duc de Saint-Aignan)에게서도 교육을 받았다.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에게는 후계자가 없었다. 카를로스 2세는 필리페의 할머니 마리 테레즈의 이복 남동생이었기에, 필리페가 왕위 계승 1순위이자 추정상속자였다. 필리페의 동생인 베리 공 샤를, 레오폴트 1세의 아들 오스트리아의 카를 대공도 왕위 계승권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스페인 왕실과 인척 관계였으나, 혈통상 필리페가 장자에 가까웠기 때문에 카를로스 2세는 필리페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2. 2.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년 ~ 1714년)
1700년, 스페인을 통치한 마지막 합스부르크 군주인 카를로스 2세가 자식 없이 사망했다. 그의 유언장에는 그의 이복 누이인 마리아 테레사 (루이 14세의 첫 번째 부인)의 손자인 필리페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만약 필리페가 거부할 경우, 스페인 왕위는 그의 남동생 베리 공 샤를, 그 다음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후에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가 됨)에게 제안될 예정이었다. 필리페는 그의 스페인 출신 할머니와 증조할머니가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의 조상들보다 연장자였기 때문에 스페인 왕위 계승에 더 나은 계보적 주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는 필리페의 할머니가 결혼 계약의 일환으로 자신과 자신의 후손을 위한 스페인 왕위를 포기했다고 주장했다. 그 포기는 그녀의 지참금이 지불되는 것을 조건으로 했다. 스페인에 대한 프랑스의 주장은 지참금이 결코 지불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2] 게다가, 필리페는 프랑스 왕위에 대한 먼 친척 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대공 카를은 신성 로마 황제가 될 더욱 가까운 권리를 가지고 있었고, 그의 즉위는 유럽의 세력 균형을 불안정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루이 14세의 행동은 영국,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 다른 나라들의 우려를 증폭시켰다. 거의 즉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시작되었다. 단일 부르봉 군주 하에 통합된 스페인과 프랑스가 국제 관계의 균형을 깨뜨릴 것이라는 다른 유럽 열강들의 우려는 프랑스와 스페인을 영국, 네덜란드 공화국, 오스트리아의 대동맹과 대립하게 만들었다.[4]
스페인 내부에서는 카스티야 왕관이 프랑스의 필리프를 지지했다. 반면, 아라곤 왕관에서는 반프랑스 감정이 강했고, 아라곤 왕관 귀족 중 일부는 레오폴트 1세의 아들이자 할머니인 마리아 안나의 권리로 스페인 왕위를 주장한 오스트리아의 카를을 지지했다.
전쟁은 스페인과 서중부 유럽(특히 저지대), 그리고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 사보이아 공자 외젠과 말버러 공작 존 처칠은 그곳에서 뛰어난 군 지휘관으로 이름을 날렸다. 식민지 북아메리카에서는 이 분쟁이 영국 식민지 주민들에게 알려졌고, 그들은 프랑스와 스페인군과 싸웠는데, 이는 앤 여왕 전쟁으로 알려져 있다. 전투 과정에서 약 40만 명이 사망했다.[5]

이 전쟁을 배경으로, 1707년부터 필리프는 누에바 플란타 법령을 발표하여 카스티야의 정치 및 행정 모델 하에 스페인 통치를 중앙 집권화하고, 그 과정에서 스페인 내 모든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왕국들의 헌장을 폐지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전쟁에서 카를 6세를 지지했던 아라곤 왕관이다. —나바라 왕국과 전쟁에서 스페인 왕위를 위해 필리프를 지지했던 나머지 바스크 지역을 제외하고, 그들은 그들의 반자치적인 자치를 유지했다. 중앙 집권화 정책은 루이 14세 치하의 프랑스 국가를 모델로 했으며, 호세 데 솔리스와 사르데냐의 정치 철학자 빈센테 바칼라르와 같은 정치인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6]

필리프는 한 가지 조건 하에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는 데 동의했다. 그것은 스페인에 반 살리크 법을 도입하는 것이었다. 유트레히트 조약의 조건에 따라 필리프는 스페인 국왕으로 인정받았지만, 미노르카와 지브롤터를 영국에, 스페인 네덜란드, 나폴리 왕국, 밀라노 공국, 사르데냐 왕국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에, 그리고 시칠리아와 밀라노 일부를 사보이아에 할양해야 했다.[7]
이러한 손실로 이미 쇠퇴하고 있던 유럽 내 스페인 제국은 크게 약화되었다. 필리프는 그의 통치 기간 내내 스페인의 힘을 회복하려고 노력했다. 유트레히트 조약의 조항을 뒤집으려고 시도하면서 그는 이탈리아에서 스페인의 주장을 재확립하려고 시도했고, 그 결과 스페인이 4개의 주요 강대국의 연합과 싸운 사중동맹 전쟁(1718~1720)을 촉발했다. 동맹국이 없던 필리프 5세는 평화를 구걸해야만 했다.
2. 3. 통치와 정책
1700년 카를로스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펠리페 5세는 루이 14세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스페인의 왕위를 계승했다.[2] 그러나 프랑스 혈통인 펠리페 5세의 즉위에 대해 프랑스를 제외한 유럽 각국은 달갑지 않게 여겼다. 결국 영국,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들이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을 일으켜 펠리페 5세의 왕위를 위협했다.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전쟁은 종결되었고, 펠리페 5세는 스페인 왕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프랑스와 스페인의 합병은 금지되었고, 스페인은 지브롤터를 영국에 넘겨주고 나폴리, 사르데냐, 플란데런, 밀라노 등을 할양하여 많은 해외 영토를 잃었다. 이로 인해 스페인은 유럽 강대국의 지위에서 서서히 몰락하기 시작했다.
1724년 1월 15일, 펠리페 5세는 왕세자 루이스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물러났다. 그러나 루이스 1세가 7개월 만에 천연두로 사망하여, 펠리페 5세는 다시 왕위에 복귀했다. 펠리페 5세는 폴란드 왕위계승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에서 잃어버린 해외 영토를 되찾기 위해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 젱킨스의 귀 전쟁에서는 영국에 승리하여 신대륙에서 영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스페인령 영토를 굳건히 지켜냈다.
펠리페 5세는 중앙집권화를 추진하고, 중상주의 정책을 펼쳤으며, 군사력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개혁을 시도했다. 그는 1746년 7월 9일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3. 1. 누에바 플란타 법령과 중앙집권화
1707년부터 펠리페 5세는 누에바 플란타 법령을 발표하여 카스티야의 정치 및 행정 모델을 기반으로 스페인 통치를 중앙집권화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인 내 모든 독립적으로 관리되던 왕국들의 헌장이 폐지되었다. 특히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카를 6세를 지지했던 아라곤 왕관이 이에 해당한다. 다만, 나바라 왕국과 전쟁에서 펠리페 5세를 지지했던 바스크 지역은 반자치적인 자치를 유지했다.[6] 이러한 중앙집권화 정책은 루이 14세 치하의 프랑스를 모델로 한 것이었으며, 호세 데 솔리스와 사르데냐 출신의 정치 철학자 빈센테 바칼라르 등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6]
펠리페 5세는 중앙집권 국가 형성을 목표로, 연합 왕국의 특권을 박탈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1707년 아라곤과 발렌시아, 1714년 카탈루냐에 신국가기본법(신조직왕령)을 발표하여 각 왕국에 있던 의회, 참사회 등 지방 기관과 특권을 폐지하고, 연합 왕국의 중심이었던 카스티야의 법률로 통일할 것을 명확히 했다. 다만, 전쟁 중 펠리페 5세를 지지했던 나바라와 바스크 지방은 특권이 인정되었다.
신국가기본법 발표 이후에도 개혁은 계속 추진되었다. 1711년부터 중앙에서 지방으로 파견하던 부왕 대신 방면군 사령관직을 신설하고, 신설된 지방 고등법원의 의장으로 임명하여 중앙에서 지방을 통제했다. 1724년에는 중앙 기관에 외무, 법무, 재무, 육군, 해군을 담당하는 5개 부처를 신설하고, 귀족 중심의 고문 회의를 유명무실하게 만들어 중소 계층 출신을 등용하여 권력을 집중시키는 등 행정 개혁도 실시되었다.
2. 3. 2. 행정 및 군사 개혁
펠리페 5세는 중앙집권 국가 형성을 목표로, 연합 왕국의 특권을 박탈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1707년 아라곤과 발렌시아, 1714년 카탈루냐에 신국가기본법(신조직왕령)을 발표하여 각 왕국에 있던 의회·참사회 등 지방 기관과 특권을 폐지하고, 카스티야의 법률로 통일할 것을 명확히 했다.[6] 다만, 전쟁 중 펠리페 5세를 지지했던 나바라와 바스크는 특권을 인정받았다.[6]신국가기본법 발표 후에도 개혁을 계속 추진하여, 1711년부터 중앙에서 지방으로 파견하는 부왕을 대신하여 방면군 사령관직을 신설하고, 신설된 지방 고등법원의 의장으로 임명하여 중앙에서 지방을 통제했다. 1724년에는 중앙 기관에 외무·법무·재무·육군·해군을 담당하는 5개의 부처를 신설하고, 귀족 중심의 고문 회의를 형해화시켜 중소 계층 출신을 등용하여 권력을 집중시키는 등 행정 개혁도 실시했다. 군사 개혁에도 착수하여 징병제를 실시하고, 연대 제도를 도입했으며, 카디스, 페롤, 카르타헤나에 조선소를 설립하여 해군을 강화했다.
2. 3. 3. 경제 정책
펠리페 5세는 중앙집권 국가 형성을 목표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자신을 지지했던 나바라와 바스크를 제외한 다른 왕국들의 특권을 박탈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1707년 아라곤과 발렌시아, 1714년 카탈루냐에 신국가기본법(신조직왕령)을 발표하여 각 왕국의 의회, 참사회 등 지방 기관과 특권을 폐지하고, 카스티야의 법률로 통일했다.[6]신국가기본법 발표 후에도 1711년 중앙에서 지방으로 파견하는 부왕 대신 방면군 사령관직을 신설하고, 지방 고등법원 의장으로 임명하여 중앙 통제를 강화했다. 1724년에는 중앙 기관에 외무·법무·재무·육군·해군 5개 부처를 신설하고, 귀족 중심의 고문 회의를 형해화하여 중소 계층 출신을 등용, 권력을 집중시켰다.[6]
재정 개혁에서는 중상주의를 채택하여 직접세를 신설하고, 스페인령 아메리카와의 무역항을 세비야에서 카디스로 옮겼다. 국내 관세를 폐지하고 제품 수출을 위한 제조 공장을 설립하여 대서양 무역을 진흥시켰다. 그 결과 인구는 증가했지만, 무역을 둘러싼 영국과의 대립은 계속되었고,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바라와 바스크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1723년 관세가 부활했다. 카스티야어를 공용어로 통일하고자 카탈루냐어 사용을 금지했지만, 카탈루냐어가 주변 지역에 침투하지 못하고 카탈루냐의 발전이 두드러지는 등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33]
2. 4. 퇴위와 복위
1724년 1월 15일 펠리페 5세는 왕세자 아스투리아스 공 루이스에게 왕위를 넘겨준다는 교서를 발표하고 물러났다.[33] 그러나 루이스 1세가 즉위 7개월 만에 천연두로 사망하면서 펠리페 5세는 다시 왕위에 올랐다.[33] 이후 펠리페 5세는 폴란드 왕위계승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에서 잃어버린 해외 영토를 되찾기 위해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 또한 젱킨스의 귀 전쟁에서 영국에 맞서 승리하며 신대륙에서 스페인령 영토를 굳건히 지켜냈다. 펠리페 5세는 1746년 7월 9일 62세의 나이로 서거하였다.2. 5. 말년과 사망
1724년 1월 15일 펠리페 5세는 왕세자 아스투리아스 공 루이스에게 왕위를 넘겨준다는 교서를 발표하고 물러났다. 그러나 루이스 1세가 7개월 만에 천연두로 사망하여 펠리페 5세가 다시 왕으로 즉위하였다. 펠리페 5세는 폴란드 왕위계승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에서 잃어버린 해외 영토를 다시 얻기 위해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 젱킨스의 귀 전쟁에서는 영국과 싸워 승리하여 신대륙에서 영국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상황에서도 스페인령 영토들을 굳건히 지켜냈다.재위 마지막 10년 동안 필리페 5세는 조울증을 겪었고 점점 심한 우울증에 시달렸다.[12] 이 기간 동안 그의 두 번째 왕비 엘리사베타 파르네세는 그의 건강을 돌보는 데 전념하였다. 1737년 8월부터 그의 정신 질환은 카스트라토 가수 파리넬리에 의해 완화되었다. 파리넬리는 "폐하의 궁정 음악가(Musico de Camara)"가 되었고, 매일 밤 왕과 왕비를 위해 보통 세 명의 음악가와 함께 8곡 또는 9곡의 아리아를 불렀다.
펠리페 5세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1746년 7월 9일 마드리드의 엘 에스코리알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했지만, 그가 가장 좋아했던 세고비아 근처의 산 일데폰소 왕궁에 매장되었다. 그의 첫 번째 왕비 사보이아의 마리아 루이사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페르난도 6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3. 가족 관계
펠리페 5세는 두 번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1701년, 펠리페 5세는 사보이아의 마리아 루이사와 결혼했다. 마리아 루이사는 사보이 공국 공작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의 딸로, 펠리페 5세와는 사촌 관계였다. 마리아 루이사는 남편을 대신해 섭정을 할 정도로 인기가 많았으며, 1702년에는 펠리페 5세가 이탈리아 영토를 순방하는 동안 섭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는 1714년 결핵으로 사망했다.[12] 마리아 루이사와의 사이에서는 네 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루이스 1세 | 1707년 8월 25일 | 1724년 8월 31일 | 오를레앙의 루이즈 엘리자베트와 결혼, 자녀 없음 |
펠리페 왕자 | 1709년 7월 2일 | 1709년 7월 18일 | 요절 |
펠리페 왕자 | 1712년 6월 7일 | 1719년 12월 29일 | 요절 |
페르난도 6세 | 1713년 9월 23일 | 1759년 8월 10일 | 포르투갈의 바르바라와 결혼, 자녀 없음 |
1714년, 펠리페 5세는 이사벨 디 파르네시오와 재혼했다. 이사벨 디 파르네시오는 파르마 공국 공작 라누치오 2세 파르네세의 손녀였다. 이사벨과의 사이에서는 4남 3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카를로스 3세 | 1716년 1월 20일 | 1788년 12월 14일 |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와 결혼, 자녀 있음 |
프란시스코 왕자 | 1717년 3월 21일 | 1717년 4월 21일 | 요절 |
마리안나 빅토리아 왕녀 | 1718년 3월 31일 | 1781년 1월 15일 | 포르투갈의 주제 1세와 결혼, 자녀 있음 |
펠리페 왕자 | 1720년 3월 15일 | 1765년 7월 18일 | 파르마 공작, 부르봉파르마 가문의 창시자, 프랑스의 루이즈 엘리자베트와 결혼, 자녀 있음 |
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왕녀 | 1726년 6월 11일 | 1746년 7월 22일 | 프랑스의 루이 왕태자와 결혼, 자녀 있음 |
루이스 안토니오 왕자 | 1727년 7월 25일 | 1785년 8월 7일 | 추기경, 친촌 백작, 마리아 테레사 데 발라브리가와 사실혼 관계, 자녀 있음 (왕족 작위는 받지 못함) |
마리아 안토니에타 왕녀 | 1729년 11월 17일 | 1785년 9월 19일 | 사르데냐의 빅토르 아마데우스 3세와 결혼, 자녀 있음 |
4. 평가와 유산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펠리페 5세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린치는 펠리페 5세가 전임자들보다 정부를 약간 발전시켰을 뿐이며, 카를로스 2세보다 더 큰 부담이었다고 말한다. 스페인과 프랑스의 이익이 상충될 때 그는 대개 프랑스를 지지했다. 그러나 펠리페 5세는 정부 개혁을 시행하고 중앙 정부의 권한을 지방에 비해 강화했다. 실력이 더 중요해졌지만, 대부분의 고위직은 여전히 지주 귀족에게 돌아갔다. 엘리트 계층 아래에서는 카를로스 2세 시대에 존재했던 비효율성과 부패가 여전히 만연했다. 펠리페 5세가 시작한 개혁은 훗날 카를로스 3세의 개혁으로 이어졌다. 전반적으로 경제는 지난 50년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기근과 전염병이 줄어들면서 발전했다. 정부는 산업, 농업 및 조선업을 장려했다.[13] 1702년 비고에서 주요 은 함대가 파괴된 후 해군이 재건되었으나, 새로운 함대는 여전히 광대한 세계 제국을 지원하기에는 너무 작았다.[14]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알만사 전투에서 승리한 후, 펠리페 5세는 샤티바 시를 불태우고 '산 필리페'로 개명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 결과 샤티바 지역 박물관인 알모디에는 그의 초상화가 거꾸로 걸려 있다.[15]
1716년, 현재 미국 텍사스 주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신필리핀 지방이 펠리페 5세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16]
펠리페 5세는 스페인의 아메리카 식민지와의 대서양 무역을 장려하여 식민지 무역에 대한 세비야의 독점을 종식시켰다. 이 대서양 무역 동안 아마로 파르고와 같은 스페인 해군 역사상 중요한 인물들이 등장했다. 펠리페 5세는 아마로 파르고의 상업적 침입을 자주 지원했는데, 1714년 9월 마드리드의 엘파르도 왕궁에서 내린 왕명으로 카라카스로 향하는 상선의 선장으로 임명했다.[17] 또한 국왕은 카디스의 계약청에 의해 구금되었을 때 아마로의 석방을 중재했고[18][19] 사략선처럼 무장된 캄페체행 선박 건조를 허가했다.[18]
4.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펠리페 5세에 대한 대한민국에서의 평가는 구체적으로 기록되거나 연구된 바가 없어, 어떠한 평가를 내렸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참조
[1]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ædia
Dodd, Mead and Company
[2]
서적
The Age of Louis XIV
Simon and Schuster
[3]
웹사이트
Letters Patent to Felipe V of Spain
https://frenchunioni[...]
2018-11-10
[4]
서적
The Emergence of the Great Powers: 1685–1715
[5]
웹사이트
Statistics of Wars, Oppressions and Atrocities of the Eighteenth Century
http://necrometrics.[...]
Users.erols.com
2012-08-22
[6]
서적
Tradizione e innovazione nel pensiero politico di Vincenzo Bacallar
[7]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6: The Rise of Great Britain and Russia, 1688–1715/25
[8]
웹사이트
The Abdication of the throne of Spain by Felipe V (1724)
https://www.heraldic[...]
[9]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English and European History
[10]
웹사이트
The Abdication of the throne of Spain by Felipe V (1724)
https://www.heraldic[...]
[11]
웹사이트
The Abdication of the throne of Spain by Felipe V (1724)
https://www.heraldic[...]
[12]
웹사이트
Joan's Mad Monarchs Series
https://web.archive.[...]
2009-09-20
[13]
학술지
Money and Economic Recovery in Spain under the First Bourbon, 1701–1746
[14]
학술지
The Destruction of the Spanish Silver Fleet at Vigo in 1702
1966-11
[15]
서적
Sights and insights: interactive images of Europe and the wider world
Pisa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The Relación geográfica e histórica de la provincia de Texas o Nuevas Filipinas: 1673–1779. A Manuscript from the Franciscan Archive of the National Library
http://publicaciones[...]
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México
2007
[17]
서적
El corsario de Dios. Documentos sobre Amaro Rodríguez Felipe (1678–1747)
https://www.research[...]
Archivo Histórico Provincial de Santa Cruz de Tenerife
2015-07-08
[18]
서적
Amaro Pargo: documentos de una vida, I. Héroe y forrajido
https://www.research[...]
Ediciones Idea
2017
[19]
뉴스
La evolución de una fortuna indiana: D. Amaro Rodríguez Felipe (Amaro Pargo).
http://mdc.ulpgc.es/[...]
[20]
서적
Histoire généalogique et chronologique de la maison royale de France
https://books.google[...]
La compagnie des libraires
[21]
NDB
[22]
ADB
[23]
NDB
[24]
웹사이트
Fernando VI, Rey de España (1713–1759)
http://encuadernacio[...]
Royal Library of Spain
[25]
서적
Ciencia heroyca, reducida a las leyes heráldicas del blasón
J. Ibarra
[26]
웹사이트
Le monete delle due Sicilie: Coniate nella zecca di Napoli
http://www.ilportale[...]
[27]
웹사이트
Filippo V di Borbone, 1700–1713
http://www.rhinocoin[...]
[28]
웹사이트
Filippo V di Borbone, 1700–1713
http://www.rhinocoin[...]
[29]
서적
スペイン文化読本
丸善出版
[30]
서적
長谷川、P146 - P147、友清、P21 - P26
[31]
서적
友清、P156 - P159、P177 - P179、P197 - 199、P292 - P294、P365 - P366、関、P379 - P382
[32]
웹사이트
El corsario de Dios. Documentos sobre Amaro Rodríguez Felipe (1678-1747)
https://www.research[...]
[33]
서적
関、P382 - 390
[34]
서적
西川、P71 - P88、P101 - P105、長谷川、P161 - P1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