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품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품종은 일반적으로 종 내에서 구별되는, 유전적 특성이나 표현형적 특징을 공유하는 개체군을 의미한다. 식물, 동물, 균류 등 다양한 생물에서 사용되며, 특히 식물학에서는 'forma'로, 동물학에서는 'breed'로, 균류학에서는 'race'로 불리기도 한다. 품종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인위적인 교배를 통해 만들어지며, 유전자 빈도, 형태적 특징, 생식적 격리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된다. 또한, 식물 품종은 재배 품종(cultivar)과 같이 상업적 목적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며, 한국에서는 식물신품종보호법, 종자산업법 등을 통해 품종 보호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품종 - 재래 품종
    재래 품종은 특정 지역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한 생물 품종으로, 농업 생물 다양성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분류 계급 - 속 (생물학)
    속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 유사한 종들을 묶은 분류군이며, 학명에서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탤릭체로 표기되며, 모식종이 지정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물과 식물 간에 속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 종을 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 분류 계급 - 과 (생물학)
    과는 생물 분류 체계의 한 단계로, 속보다 상위이고 목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명명법은 기준 속의 어간에 접미사를 붙여 정해진다.
  • 생물학 용어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물학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품종

2. 품종의 정의 및 개념

'품종'(品種)이라는 용어는 생물학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영어의 'Race'는 자연 발생 품종과 인간이 만든 품종을 구분하지 않고 통칭하는 경우가 많다. 자연적인 지리적 격리에 의해 형성된 품종은 'Ecotype'(생태형)이라고도 한다.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품종은 대상 생물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데, 식물의 경우 재배품종(Cultivar), 가축의 경우 'Breed'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 식물학에서는 라틴어 단어 ''stirps''와 ''proles''가 품종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proles''는 1868년 최초의 식물 명명법 규약에서 권장되기도 했다.[8]

현대 생물학에서 품종은 유전자 빈도를 포함하여 식별 가능한 모든 특성에 따라 정의된다.[9] 품종 간의 차이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9] 품종을 구별하는 적응적 차이는 상당한 유전자 흐름이나 클라인형 서식지 변이가 있는 환경에서도 축적될 수 있다.[10] 품종 간의 잡종이 형성되는 지역은 유전자 흐름을 부분적으로 막는 장벽 역할을 하기도 한다.[11] 예를 들어 오클랜드 나무 웨타의 염색체 품종 연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12]

품종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 '''염색체 품종''' (Chromosomal race): 고유한 핵형, 즉 서로 다른 염색체 수(배수성)나 구조를 가진 개체군을 의미한다.[9]
  • '''지리적 품종''' (Geographic race): 다른 개체군과 지리적 격리되어 형태적으로나 유전적으로[4] 일관되게 구별되는 개체군이다.[13] 지리적 품종은 동소적 분포를 보인다.[9]
  • '''생리적 품종''' (Physiological race): 다른 개체군과 형태는 유사하지만, 생리나 행동에서 식별 가능한 차이를 보이는 개체군이다.[14] 이는 특정 서식지나 먹이원에 적응생태형일 수 있으며,[22] 특정 식량원을 기준으로 정의되기도 한다.[22] 기생 종은 종종 지리적 위치와 관련 없이 특정 숙주에 적응된 품종이 있지만,[14][15] 염색체적으로 구별하기는 어렵다.[24] 식물학에서는 '생리적 품종', '생물학적 품종', '생물학적 형태'가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며,[14][16][17] 이는 기본적으로 ''forma specialis''와 같은 분류이다.[14]


품종 간의 차이가 충분히 뚜렷하거나 유전적으로 구별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품종들은 아종이나 다른 종내 분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생물학자 에른스트 마이어는 아종을 "별도의 이름을 부여할 가치가 있을 정도로 분류학적으로 충분히 다른 ''지리적 품종''"이라고 정의했다.[20][21] 때로는 품종으로 여겨졌던 개체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필리핀의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중 벼와 ''Leersia hexandra'' 풀에 각각 적응한 두 개체군은 먹이 적응, 잡종 형성 장벽, 교미 선호도 및 소리 차이, 산란기 변동 등 여러 구별되는 특징을 근거로 2008년 품종에서 "두 개의 뚜렷하지만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동소적 종"으로 재분류되었다.[22]

특정 숙주에 적응한 병원성 세균의 경우, 품종은 공식적으로 병원성 변종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 규약이 적용되는 기생 생물의 경우 ''특별형''(forma specialis)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품종'(race)이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가축과 관련하여 '품종(breed)'의 또 다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으며,[4] 이러한 용법은 토착 품종을 의미하는 'landrace'라는 용어에 남아 있으며, 이는 가축화된 식물에도 적용된다. 스페인어(raza|라사spa), 독일어(Rasse|라세deu), 프랑스어(race|라스fra) 등 많은 언어에서 '품종'에 해당하는 단어는 영어 'race'와는 다른 뉘앙스를 가지며, 종종 '가축 품종'(breed)의 의미로 사용된다.[19]

2. 1. 식물 품종

영어에서는 자연 발생 품종과 인위적 품종을 구분하지 않고 'Race'로 통칭하기도 하지만, 식물의 경우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식물학에서 사용되는 분류학적 '품종'과 인간이 농업 등의 목적으로 만든 '재배 품종'은 다른 개념이다.

=== 품종 (forma) ===

'''품종'''(品種, forma|포르마la, form|폼영어, 약칭: f.)은 국제 조류·균류·식물 명명 규약(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영어, '''ICN영어''')에 의해 정해진, 종보다 하위의 분류 계급 중 하나이며, 해당 계급에 속하는 분류군을 의미한다[26]. 주로 식물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자연 상태에서 특정 형태 등으로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지만,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동종의 다른 개체군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개체군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많은 현화식물에서 발견되는 흰 꽃을 피우는 개체군은 이러한 품종으로 취급될 수 있다.

품종의 학명은 이명법에 따른 종명 뒤에 표기하며, 접속어 "f."는 품종 계급을 나타낸다.

  • ''Rosa roxburghii'' f. ''normalis''


=== 재배 품종 (cultivar) ===

'''재배 품종'''(cultivar영어, 원예 품종이라고도 함)은 인간에게 유용한 식물을 특정 가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류 체계이다. 이는 다른 식물 집단과 구별되는 특성을 안정적으로 가지며, 그 특성을 유지한 채 증식시킬 수 있는 식물의 집합을 의미한다. 재배 품종은 식물학에서의 분류 계급인 '품종'(forma)이나 변종(variety)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며, 유전적으로 균일할 필요는 없다.

재배 품종의 명명법은 국제재배식물명명규약(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Cultivated Plants영어, '''ICNCP영어''')에서 정하고 있다. 재배 품종명은 특정 종에 국한되지 않으며, 잡종이나 접목 키메라에도 붙일 수 있다.

ICNCP영어에 따른 재배 품종명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27]

  • ''Cyclamen'' 'Artemis영어' (최소 표기: 속명과 재배 품종 소명 조합. 재배 품종 소명은 작은따옴표 ' '로 묶는다.)[28]
  • ''Cyclamen hederifolium'' 'Artemis영어' (종명과 재배 품종 소명 조합)
  • ''Cyclamen hederifolium'' var. ''hederifolium'' f. ''albiflorum'' (Bowles’s Apollo Group영어) 'Artemis영어' (상세 표기: 종 하위 분류군명과 재배 품종군명 기재)


=== 법적 정의 ===

식물 신품종 보호 국제 조약 (UPOV 조약)에서 사용하는 '''식물 품종'''(Plant variety영어)이라는 용어는 법적인 개념으로, 분류학상의 품종(forma)이나 변종(variety)[29]이 아닌 '''재배 품종'''(cultivar)을 의미한다. UPOV 조약 1991년 법에서는 식물 품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품종」이란, 이미 알려진 최하위의 식물학상의 1개의 분류군에 속하는 식물의 집합으로서, 육성자권의 부여를 위한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유전자형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생기는 특성의 표현에 의해 특정할 수 있으며, 이들 특성 중 1개 이상의 특성의 표현에 의해 다른 모든 식물의 집합과 구별할 수 있으며, 변화 없이 증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1개의 단위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 [https://www.jpo.go.jp/res/laws/treaty/upov/new_varieties_of_plants.pdf 식물 신품종 보호 국제 조약(UPOV 조약 1991년 법)・일본어 번역 (특허청)]


=== 일반적 용법과의 구분 ===

일상에서는 '품종'이라는 단어가 종과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셰퍼드치와와라는 종의 하위 분류인 품종(breed)이지, 별개의 종이 아니다.

농업이나 축산 분야에서 사용되는 품종은 인위적으로 선발된 특정 형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개체군을 의미하며, 하이브리드 품종처럼 자손이 부모와 같은 품종으로 취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품종 내 개체들이 유전적으로 반드시 균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세균, 효모, 곰팡이미생물의 경우에는 '품종' 대신 '계통'(strain)[30]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2. 2. 동물 품종

영어에서는 가축의 교배를 통해 만들어낸 동물 품종을 'Breed'라고 부른다.[9]

'품종'(race)이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가축과 관련하여 '품종(breed)'의 또 다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4] 이러한 용법은 landrace라는 용어로 남아 있으며, 이는 가축화된 식물에도 적용된다. 많은 언어에서 '품종'에 해당하는 단어(raza|라사spa; Rasse|라세deu; race|라스fra)는 영어 단어가 전달하지 않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으며, '가축 품종'의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19]

종 중에서, 다른 개체와 구별할 수 있는, 인위적으로 선발된 형질 등의 특징이 안정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다른 것과 구별할 수 있거나, 혹은 산업상 구별할 의미가 인정되는 개체군을 품종이라고 한다. 클론 개체군도 포함될 수 있다. 품종 내에서 유전적으로 획일적인지 잡다한지는 묻지 않는다.[30] 농업 (축산 포함)상의 하이브리드 품종처럼, 어떤 품종끼리의 자손이 부모와 같은 품종으로 여겨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셰퍼드치와와는 종이 아니라 의 품종이다.

한편, 동물 분류학에서 "variety"(변종)는 종 내의 모든 변이형을 가리키는 다의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색채 다형, 계절 다형, 재배 생물, 사육 생물, 아종 및 비유전적인 변이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2. 3. 균류 및 기타 생물 품종

균류(곰팡이) 미생물을 '품종'(race)으로 분류하는 작업은 균학에서, 특히 곰팡이성 식물 질병을 연구하는 식물 병리학 분야에서 자주 이루어진다. 1935년 국제 식물학 회의에서는 '생물형' 대신 '생리학적 품종'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역사적으로 식물 병리학자들은 이 용어를 다소 일관성 없이 사용해왔으나, 현대에는 품종을 "특정 숙주 유전자형에 대한 병원성을 특징짓는 그룹"으로 정의한다.[23] 즉, 기생성 곰팡이가 특정 숙주 식물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 품종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Cucumis melo''(칸탈루프와 머스크멜론)는 1925년부터 계속해서 나타나는 ''Podosphaera xanthii'' 곰팡이의 여러 품종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흰가루병과 싸워왔다. 이에 대응하여 해당 병원체에 저항성을 가진 새로운 멜론 재배품종들이 개발되는 등 생물학적인 "군비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24][25]

품종 식별은 기초 연구와 상업적 종자 산업에 중요하지만[24], 지역 병원체 집단이 지리적, 계절적, 숙주 식물에 따라 빠르게 변할 수 있어 특정 품종을 구별하는 것이 원예 분야에서는 실용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24] 또한, 곰팡이에 대한 숙주 식물의 반응이 습도, 빛, 온도 등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고, 서로 다른 품종으로 여겨지는 곰팡이 집단 간의 유전적 차이를 식별하기 어려워 품종 분류에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24]

한편, 세균, 효모, 곰팡이 등 다른 미생물의 경우에는 '품종' 대신 계통(strai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0]

3. 품종의 명명법

품종은 식물, 동물, 균류 등 각 생물 분류군에 따라 서로 다른 명명 규약과 기준을 통해 이름이 붙여진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식물 품종 명명법

식물의 품종은 크게 식물학적 분류상의 품종과 재배상의 품종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명명 규약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식물학적 품종'''(forma|포르마la, form|폼영어, 약칭: f.)은 국제 조류·균류·식물 명명 규약(ICN)에서 정한 분류 계급으로, 종보다 하위에 위치한다[26]. 주로 식물학에서 사용되며, 자연 상태에서 형태적으로는 구분되지만 같은 지역의 다른 개체들과 생식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개체군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많은 현화식물에서 발견되는 흰 꽃을 피우는 개체군은 식물학적 품종으로 취급될 수 있다.

식물학적 품종의 학명은 이명법에 따른 종명 뒤에 품종을 나타내는 접속어 'f.'와 품종 형용어를 붙여 표기한다.

  • 예시: `''Rosa roxburghii''` f. `''normalis''`


'''재배 품종'''(cultivar|컬티바영어)은 원예 품종이라고도 불리며, 사람이 이용하기 위해 가치를 부여한 식물 분류 체계이다. 이는 식물학적 분류 계급과는 다른 개념으로, 다른 개체와 구별되는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번식시킬 수 있는 식물 집단을 의미한다. 유전적으로 동일한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으며, 잡종이나 접목 키메라 등에도 재배 품종명을 붙일 수 있다.

재배 품종의 명명은 국제재배식물명명규약(ICNCP)에 따른다. 재배 품종명은 보통 속명이나 종명 뒤에 작은따옴표(' ')로 묶인 재배 품종 소명(epithet)을 붙여 표기한다. 필요에 따라 재배품종군 명칭을 포함하여 더 자세히 표기할 수도 있다.[27]

  • 예시:
  • * `''Cyclamen''` ‘Artemis|아르테미스영어’ (속명 + 재배 품종 소명)[28]
  • * `''Cyclamen hederifolium''` ‘Artemis|아르테미스영어’ (종명 + 재배 품종 소명)
  • * `''Cyclamen hederifolium''` var. `''hederifolium''` f. `''albiflorum''` (Bowles’s Apollo Group|볼스 아폴로 그룹영어) ‘Artemis|아르테미스영어’ (종 하위 분류군명 + 재배 품종군명 + 재배 품종 소명)

3. 2. 동물 품종 명명법

(내용 없음)

3. 3. 균류 품종 명명법

식물학에서는 전통적으로 라틴어 단어 ''stirps''와 ''proles''가 사용되었으며, ''proles''는 1868년 최초의 식물 명명 규약에서 권장되었다.[8] 균류(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을 품종(race)으로 분류하는 것은 균학, 특히 곰팡이로 인한 식물 질병을 연구하는 식물 병리학 분야에서 자주 이루어진다. 1935년 국제 식물학 회의에서는 "생물형" 대신 "생리학적 품종"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역사적으로 식물 병리학자들은 이 용어를 일관성 없이 사용하기도 했지만, 현대에는 품종을 "특정 숙주 유전자형에 대한 병원성을 특징짓는 그룹"으로 정의한다([23], 간단히 말해, 기생성 곰팡이가 특정 숙주 식물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 품종으로 나누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Cucumis melo''(칸탈루프와 머스크멜론)는 1925년부터 ''Podosphaera xanthii'' 곰팡이의 여러 품종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흰가루병과 끊임없는 싸움을 벌여왔다. 이에 대응하여 병원체에 저항성을 가진 새로운 멜론 품종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24][25]

이 문제에 대한 2004년 문헌 검토에서는 품종 식별이 기초 연구와 특히 상업적 종자 산업에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지역 병원체 집단이 지리적으로나 계절적으로, 또는 숙주 식물에 따라 빠르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원예 분야에서는 실제적인 효용성이 적을 수 있다고 보았다.[24]

균류 품종의 분류는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 곰팡이에 대한 숙주 식물의 반응이 습도, 빛, 온도 등 환경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서로 다른 숙주 식물이 특정 곰팡이 집단에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품종으로 여겨지는 집단 간의 유전적 차이를 명확히 식별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24]

4. 품종과 관련된 용어

'품종'(Race)이라는 용어는 생물학적 분류 외에도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어 다른 분류학 용어와 혼동하기 쉽다. 따라서 품종과 관련된 주요 용어들을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영어권에서는 자연 발생 품종과 인간이 만든 품종을 포괄적으로 'Race'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자연 상태에서 지리적 격리를 통해 형성된 품종은 생태형(Ecotype)으로 불리기도 한다. 인간이 특정 목적을 가지고 만든 품종은 대상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데, 식물의 경우 재배품종(Cultivar), 가축의 경우 Breed라고 칭한다. 역사적으로 '품종'(Race)이라는 용어가 가축의 'Breed'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으며,[4] 이는 가축화된 식물에 적용되는 landrace라는 용어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스페인어(es), 독일어(de), 프랑스어(fr) 등 다른 언어에서는 해당 단어가 영어 'race'와는 달리 '가축 품종'이라는 의미로 더 자주 사용된다.[19]

식물학에서는 과거 라틴어 단어 ''stirps''나 ''proles''가 품종과 유사한 개념으로 쓰였으며, 특히 ''proles''는 1868년 최초의 식물 명명법 규약에서 사용이 권장되기도 했다.[8]

품종과 혼동될 수 있는 주요 분류학적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아종 (Subspecies): 품종보다 상위의 종내 분류군이다. 품종 간의 차이가 뚜렷하거나 유전적으로 명확히 구별될 때 아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에른스트 마이어는 아종을 "별도의 이름을 부여할 가치가 있을 정도로 분류학적으로 충분히 다른 지리적 품종"이라고 정의했다.[20][21]
  • 변종 (Variety): 식물학에서는 국제 조류·균류·식물 명명 규약에 따라 종과 아종 사이의 공식적인 분류 계급(varietasla, 약칭: var.)으로 인정된다. 하지만 일상적인 용어나 동물학에서는 종 내의 다양한 변이(색깔, 계절, 사육/재배 상태 등)를 포괄하는 비공식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농업이나 축산 분야에서는 인위적으로 선발된 특정 형질을 가진 개체군을 가리켜 '품종'과 유사한 의미로 '변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품종 (Forma): 식물학에서 국제 조류·균류·식물 명명 규약에 따라 사용되는 종 하위의 공식 분류 계급(formala, 약칭: f.)이다.[26] 주로 형태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지만 동일 지역 내 다른 개체군과 생식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같은 종 내에서 꽃 색깔만 다른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재배품종 (Cultivar):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고 유지되는 식물의 집단으로, 식물학적 분류 계급인 품종(Forma)이나 변종(Variety)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국제재배식물명명규약(en)에 따라 관리되며, 학명 뒤에 작은따옴표(' ')로 묶인 고유 이름을 붙여 표기한다(예: ''Cyclamen hederifolium'' 'Artemis'). 식물 신품종 보호 국제 조약(UPOV 조약)에서 법적으로 정의하는 '식물 품종'(Plant variety영어)은 바로 이 재배품종을 의미한다.[29]
  • 특별형 (Forma specialis): 기생 생물, 특히 균류가 특정 숙주에 적응한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분류 단위이다. 학명 뒤에 "f. sp."라는 약어를 붙여 표기한다(예: ''Puccinia graminis'' f. sp. ''avenae'').
  • 계통 (Strain): 세균, 효모, 곰팡이미생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유전적 또는 생리적 특징을 공유하는 하위 집단을 지칭한다. 식물이나 동물의 품종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미생물에 특화되어 사용된다.[30]


이 외에도 특정 기준에 따라 염색체 품종(chromosomal race), 지리적 품종(geographical race), 생리적 품종(physiological race)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용어들은 각기 다른 기준과 맥락에서 사용되므로, '품종'(Race)이라는 용어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4. 1. 생물학적 용어

품종은 유전자 빈도를 포함하여 식별 가능한 모든 특성에 따라 정의된다.[9] 품종 간의 차이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다.[9] 상당한 유전자 흐름과 클라인 형태의 서식지 변이 속에서도 품종을 구별하는 적응적 차이가 축적될 수 있다.[10] 품종 간의 잡종 구역은 유전자 흐름에 대한 부분적인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11] 예를 들어, 오클랜드 나무 웨타의 염색체 품종 사이에서 이러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12]

생물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품종을 구분한다.

  • 염색체 품종 (Chromosomal race): 고유한 핵형을 가진 개체군으로, 서로 다른 염색체 수(배수성)나 구조로 구별된다.[9]
  • 지리적 품종 (Geographical race): 종의 다른 개체군과 지리적 격리되어[13] 형태적 또는 유전적으로[4] 일관되게 구별되는 별개의 개체군이다. 지리적 품종은 동소적이다.[9] 자연 상태에서 지리적 격리에 따라 형성된 품종은 생태형(Ecotype)이라고도 불린다.
  • 생리적 품종 (Physiological race): 종의 다른 구성원과 형태는 반드시 다르지 않지만, 식별 가능한 다른 생리나 행동을 가진 개체군이다.[14] 생리적 품종은 특정 지역 서식지적응생태형일 수도 있으며, 특정 식량원을 기준으로 정의되기도 한다.[22] 기생 종의 경우, 특정 숙주에 적응한 품종이 흔하며, 이는 지리적 위치와 관련이 없을 수 있다.[14][15] 이러한 품종들은 염색체적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24]
  • 관련 용어 및 명명법: 식물학, 특히 진균학에서는 '생리적 품종', '생물학적 품종', '생물학적 형태'가 동의어로 사용되어 왔으며,[14][16][17] 기본적으로 ''forma specialis''와 동일한 분류로 간주된다.[14] 다만, ''forma specialis''는 하위종 이름의 일부로 라틴어 기반의 과학적 명명 규칙에 따라 "f. sp." 형태로 삽입되어 사용된다(예: ''Puccinia graminis'' f. sp. ''avenae''). 반면, 품종의 이름은 이명법으로 표기된 종명 뒤에 추가되며, 때로는 임의적인 알파벳 코드로 표기되기도 한다(예: ''Podosphaera xanthii'' 품종 S).[24]
  • 주의: 생리적 품종은 숨은 종을 지칭하던 구식 용어[18]나, 공식적인 식물학적 분류군인 ''forma''[26], 또는 분류학적 지위가 없는 동물학적 형태와는 구분되어야 한다.


영어에서는 자연 발생 품종(생태형 Ecotype)과 인간이 만든 품종(식물재배품종 Cultivar, 동물의 가축 품종 Breed)을 구분하지 않고 'Race'로 통칭하는 경향이 있다. 역사적으로 '품종'이라는 용어는 가축의 '품종'(Breed)을 의미하기도 했으며,[4] 이는 가축화된 식물에도 적용되는 landrace라는 용어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스페인어(es), 독일어(de), 프랑스어(fr) 등 다른 언어에서는 해당 단어가 영어 'race'와 달리 '가축 품종'의 의미로 더 자주 사용된다.[19]

품종 간의 차이가 뚜렷하거나 유전적으로 구별된다면, 이들을 아종이나 다른 종내 분류군으로 식별하고 명명할 수 있다. 에른스트 마이어는 아종을 "별도의 이름을 부여할 가치가 있을 정도로 분류학적으로 충분히 다른 지리적 품종"이라고 정의했다.[20][21] 때로는 품종으로 여겨졌던 개체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8년 필리핀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는 벼와 ''Leersia hexandra'' 풀에 각각 적응한 두 개체군이 서로 다른 생존율, 잡종 형성의 어려움, 뚜렷한 교미 선호도 및 소리 차이 등을 근거로 품종에서 별개의 동소적 종으로 재분류되었다.[22]

특정 숙주에 적응한 병원성 세균의 경우, 품종은 공식적으로 병원성 변종(pathovar)으로 명명될 수 있다.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 규약의 적용을 받는 기생 생물의 경우에는 특별형(forma specialis, 복수형 formae speciale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식물학에서는 국제 조류·균류·식물 명명 규약(en)에 따라 종보다 하위의 분류 계급으로 '품종'(forma|포르마la, form|폼영어, 약칭: f.)을 사용한다.[26] 이는 주로 식물학 분야에서 쓰이며, 자연 상태에서 형태 등은 명확히 구분되지만 같은 지역의 동종 개체군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개체군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많은 현화 식물에서 발견되는 흰 꽃 품종 등이 이에 해당한다. 품종의 학명은 종명 뒤에 접속어 "f."와 품종을 나타내는 형용어를 붙여 표기한다(예: ''Rosa roxburghii'' f. ''normalis'').

4. 2. 식물병리학 용어

식물병리학에서는 품종(race)이라는 용어가 특정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균학(진균 연구) 분야와 곰팡이로 인한 식물 질병을 다루는 식물 병리학 연구에서 자주 등장한다. 1935년 국제 식물학 회의에서는 기존의 "생물형" 대신 "생리적 품종"(physiological race)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8] 역사적으로 이 용어는 다소 일관성 없이 사용되었지만, 현대 식물 병리학에서는 품종을 "특정 숙주 유전자형에 대한 병원성을 특징짓는 그룹"으로 정의한다.[23] 간단히 말해, 특정 기생성 곰팡이가 특정 숙주 식물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 품종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특정 숙주에 적응한 병원성 세균의 경우, 품종은 공식적으로 병원성 변종(pathovar)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 규약''의 적용을 받는 기생 생물의 경우에는 ''특별형''(forma specialis|포르마 스페키알리스la, 복수형 ''formae speciale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진균 품종의 분류는 실제 연구에서 어려움을 동반한다. 습도, 빛, 온도 등 환경 요인이 숙주 식물의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숙주 식물마다 특정 곰팡이 집단에 대한 반응이 다르거나, 반대로 특정 곰팡이 집단이 모든 숙주에 반응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서로 다른 품종으로 여겨지는 곰팡이 집단 간의 유전적 차이를 명확히 식별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품종 식별은 기초 연구와 상업적 종자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4]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Cucumis melo''(칸탈루프 및 머스크멜론)는 1925년부터 ''Podosphaera xanthii''라는 곰팡이의 여러 품종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흰가루병과 지속적인 싸움을 벌여왔다. 연구자들은 병원체에 저항성을 가진 새로운 멜론 품종을 개발하며 일종의 생물학적 "군비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24][25] 하지만 2004년의 한 문헌 검토에서는 지역 병원체 집단이 지리적, 계절적, 숙주 식물에 따라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특정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원예 분야에서는 실질적인 효용성이 낮을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24]

5. 한국의 품종 보호 제도

한국에서는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한 육종가의 권리를 보호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품종 보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의 가장 중요한 법적 기반은 식물신품종 보호법으로, 이는 식물 신품종 보호 국제 조약(UPOV)에 근거하여 신품종의 보호 요건, 육성자의 권리 등을 상세히 규정한다.

5. 1. 식물신품종보호법

식물 신품종 보호 국제 조약 (UPOV 조약)에서의 '''식물 품종''' (Plant varietyeng)은 분류학상의 품종이나 변종[29]이 아닌, 재배 품종을 법적으로 정의한 단어이다. 식물 품종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품종」이란, 이미 알려진 최하위의 식물학상의 1개의 분류군에 속하는 식물의 집합으로서, 육성자권의 부여를 위한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유전자형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생기는 특성의 표현에 의해 특정할 수 있으며, 이들 특성 중 1개 이상의 특성의 표현에 의해 다른 모든 식물의 집합과 구별할 수 있으며, 변화 없이 증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1개의 단위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6. 품종 개량과 보존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 (중도진보적 관점)

품종 개량 기술의 발전은 인류에게 식량 생산 증대, 질병 저항성 향상 등 많은 혜택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다양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며 깊은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유전자 변형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논쟁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GM) 작물을 둘러싼 논쟁이 대표적이다. 식량 생산량을 늘리고 특정 영양소를 강화하며, 병충해에 강한 작물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은 식량 안보 확보와 기아 문제 해결에 기여할 잠재력을 지닌다. 그러나 생태계 교란 가능성, 인체 유해성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 그리고 소수의 다국적 기업에 의한 종자 시장 독점 심화는 중요한 비판 지점이다. 이러한 독점은 특히 개발도상국 농민들의 종자 주권을 위협하고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동물 품종 개량 역시 동물 복지 측면에서 심각한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다. 생산성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공장식 축산 환경에서의 품종 개량은 해당 동물이 극심한 고통을 겪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육계를 짧은 기간에 크게 키우거나 젖소의 우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개량은 동물의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질병 발생률을 높이고 정상적인 삶을 불가능하게 만들기도 한다. 반려동물의 경우에도 특정 외모를 선호하는 경향 때문에 유전 질환을 가진 품종이 양산되거나, 무분별한 교배와 유기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품종 개량 연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동물 실험의 윤리성 또한 지속적인 논쟁거리이다.

생물 다양성 보존과 종자 주권 문제도 중요하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소수의 개량 품종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각 지역의 고유한 토종 종자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켜 새로운 질병이나 환경 변화에 대한 농업 생태계 전체의 취약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국적 종자 기업들이 유전자원에 대한 특허를 통해 이익을 독점하고, 개발도상국이나 토착 공동체가 자신들의 유전자원에 대한 권리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ABS) 문제도 국제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품종 개량 기술과 그 결과물의 접근성 차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고가의 개량 종자나 관련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소농이나 개발도상국 농민들은 경쟁에서 뒤처지기 쉬우며, 이는 농가 소득 격차 및 국가 간 경제적 불균형을 확대할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전자 변형 식품(GMO)의 안전성에 대한 정보 부족과 표시제 논란 속에서 소비자 선택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결론적으로, 품종 개량은 인류에게 큰 이익을 줄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그 과정과 결과가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환경 보호, 동물 복지, 사회적 약자 보호, 생물 다양성 보존 등의 가치를 균형 있게 고려하고,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참조

[1] 논문 Conceptualizing human variation 2004
[2] Submitted manuscript Host race formation in ''Tetranychus urticae'': Genetic differentiation, host plant preference, and mate choice in a tomato and a cucumber strain https://pure.uva.nl/[...] 1993
[3] 논문 Copper- and streptomycin-resistant strains and host differentiated race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in North Carolina https://www.apsnet.o[...] 1991
[4]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Chambers Harrap / Allied Chambers 2004
[5]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Harcourt Brace Jovanovich) 1992
[6] 논문 Criteria for Ascertaining the Existence of Host Races 1981
[7] 논문 Taxonomic considerations in listing subspecies under the U.S. Endangered Species Act https://researchrepo[...] 2006-12
[8] 간행물 Laws of Botanical Nomenclature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held at Paris in August 1867; together with an Historical Introduction and Commentary by Alphonse de Candolle, Translated from the French https://archive.org/[...] L. Reeve and Co. 1868
[9] 서적 A glossary of genetics and cytogenetics: Classical and molecular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1968
[10] 논문 Incipient habitat race formation in an amphibian 2014
[11] 논문 Analysis of Hybrid Zones 1985-11-01
[12] 논문 A Comparison of Five Hybrid Zones of the Weta Hemideina Thoracica (orthoptera: Anostostomatidae): Degree of Cytogenetic Differentiation Fails to Predict Zone Width 2003
[13]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Chambers Harrap / Allied Chambers 2004
[14]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Chambers Harrap / Allied Chambers 2004
[15]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92
[16]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Chambers Harrap / Allied Chambers 2004
[17]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Chambers Harrap / Allied Chambers 2004
[18]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92
[19] 문서
[20] 서적 Populations, Species, and Evolution Belknap /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21] 논문 The Biology of Race and the Concept of Equality 2002-Winter
[22] 논문 The status of weed-associated population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 host race or biological species? 1985-05
[23] 서적 Dictionary of the Fungi CAB International 2008
[24] 논문 Monitoring Physiological races of ''Podosphaera xanthii'' (syn. ''Sphaerotheca fuliginea''), the Causal Agent of Powdery Mildew in Curcubits: Factors Affecting Race Identification and the Importance for Research and Commerce 2004
[25] 논문 Inheritance of Resistance in Melon PI 313970 to Cucurbit Powdery Mildew Incited by ''Podosphaera xanthii'' Race S 2011-06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