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균학은 균류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식물학의 한 분야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 잡았다. 인류는 선사 시대부터 버섯을 식량으로 사용했으며, 18세기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의 연구를 통해 근대 균학이 시작되었다. 균류는 생태계에서 분해자, 공생 관계를 맺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며, 식품, 의약,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균류 분류 및 생태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새로운 발견과 분류 체계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균학 - 발효
    발효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하여 에탄올, 젖산 등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하며, 식품 보존, 발효식품 제조,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는 이화 작용이다.
  • 균학 - 지의류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 또는 시아노박테리아의 공생체로,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가지며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복합 유기체로서,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는 등 환경 변화에 민감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 생물학에 관한 - 해부학
    해부학은 생물체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육안 해부학과 현미경 해부학으로 나뉘며, 인체 해부학 외에도 동물, 식물, 미술 해부학 등 다양한 분야가 존재한다.
  • 생물학에 관한 - 죽음
    죽음은 생명 활동의 영구적 종식으로 의학, 법, 사회, 종교, 심리, 생물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며, 전통적인 심폐사 외에 뇌사도 죽음으로 인정되고, 개발도상국은 전염병, 선진국은 노화 관련 질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문화와 종교에 따라 다양한 이해와 관습이 존재하고, 수명 연장, 냉동 보존술, 존엄사, 안락사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균학
개요
자낭균류의 다양한 자실체
자낭균류의 다양한 자실체
학문 분야생물학의 한 분과
연구 대상균류
관련 학문식물병리학, 미생물학
세부 분야
균류 생리학균류의 생리적 기능 연구
균류 생태학균류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 연구
균류 유전학균류의 유전적 특성 연구
균류 분류학균류의 분류 및 명명 연구
산업 균학균류의 산업적 이용 연구
의료 균학균류와 관련된 질병의 진단 및 치료 연구
역사
초기 연구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의 "Nova plantarum genera" (1729)
발전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
안톤 더 바리
하인리히 안톤 데 바리
응용 분야
식량 생산버섯 재배, 발효 식품 생산
의약품 개발페니실린 등 항생제 개발
농업생물학적 방제, 균근 이용
환경생물학적 정화, 유기물 분해
주요 균학자
고전 균학자크리스티안 헨드릭 페르순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
커트 폴리프렌치
하인리히 안톤 데 바리
현대 균학자데이비드 호크스워스
존 웹스터 (균학자)
메리 프라이어
토마스 융
참고 문헌
도서Ainsworth & Bisby's Dictionary of the Fungi
The Fifth Kingdom
Mycologia
Index Fungorum
CABI Bioscience Databases

2. 역사

균학은 효모, 곰팡이, 버섯 등 균류의 기초적인 성질과 응용에 대한 학문이다. 이들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지만, 균사 등 미세 구조로 이루어져 미생물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미생물학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균류는 세균류와 함께 식물계에 속한다고 여겨져 식물학에서 파생되었으나, 현재는 균계가 독립된 계로 간주되며, 균류는 식물보다 동물계에 더 가깝다고 여겨진다.

점균류와 난균류는 현재 균류가 아니지만, 오랫동안 균류로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여전히 균학 연구에 포함되기도 한다.

많은 균류가 독소[7], 항생물질[8], 그리고 다른 이차 대사 산물을 생산한다. 예를 들어,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Fusarium'' 속 균류와 이들이 생산하는, 인간에게 치명적인 급성 독성 백혈병을 유발하는 독소는 아브라함 Z. 조페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9]

균류는 균근, 곤충 공생체, 지의류공생체로서 지구 생명체에 필수적이다. 많은 균류는 리그닌, 제노바이오틱스, 석유,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복잡한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여 지구의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균류와 난균류, 점균류(점균)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중요한데, 일부는 동물(인간 포함)과 식물의 진균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이다.[10] 병원성 균류 외에도, 많은 균류 종은 다른 병원체의 식물 질병을 제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Trichoderma'' 속 균류는 화학 기반 제품의 대안으로서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 방제 제제로 여겨진다.[11]

흥미로운 균류 종을 찾기 위한 현장 모임은 1868년 울호프 자연주의자 클럽이 "균류 탐사"라는 제목으로 연 첫 번째 모임에서 유래하여 '탐사'라고 불린다.[12] 동물을 감염시키는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연구는 의학 균학이라고 한다.[13]

인류는 선사 시대부터 식량으로 버섯 채집을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버섯은 에우리피데스(기원전 480–406년)의 저작물에 처음 언급되었다. 그리스 철학자 에레소스의 테오프라스토스(기원전 371–288년)는 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려 시도한 최초의 인물이었을 것이다. 버섯은 특정 기관이 없는 식물로 간주되었다. 나중에는 플리니우스 (대 플리니우스)(23–79 AD)가 그의 백과사전 ''박물지''에서 트러플에 대해 썼다.[14]

2. 1. 초기 균학

균은 진화적으로 식물보다 동물에 더 가까웠으나, 이는 수십 세기 전까지 인지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균학은 식물학의 한 갈래였다. 균이 분명히 동물이 아니었으므로 린네는 균을 식물계 안으로 넣었다. 그러나 19세기 에른스트 헤켈은 균을 식물계로 분류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마침내 로버트 휘태커는 1969년에 균계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4]

균학의 시작은 1737년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의 《새로운 식물의 속》(''Nova plantarum genera'')이라는 서적과 더불어 시작하였다.[45] 균학(mycology)과 균학자(mycologist)라는 용어는 1836년에 버클리(M.J. Berkeley)가 처음 사용하였다.[46] "균학"이라는 단어는 "버섯"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μύκης (''mukēs'')와 "연구"를 의미하는 접미사 -λογίαgrc (''-logia'')에서 유래했다.[3]

1913년 영국 균학회 회의에서 찍은 단체 사진


균학의 현대 시대는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가 1737년에 출판한 ''Nova plantarum genera''에서 시작된다. 피렌체에서 출판된 이 획기적인 저서는 풀, 이끼, 곰팡이의 체계적인 분류의 기초를 마련했다. 그는 현재도 사용되는 속명인 ''Polyporus''[16]와 ''Tuber''[17]를 처음 사용했으며, 두 이름 모두 1729년에 만들어졌지만 (설명은 나중에 현대 규칙에 의해 무효로 수정됨).

이명법의 창시자인 린네는 1753년 그의 이명법에 곰팡이를 포함시켰는데, 각 유기체 유형은 으로 구성된 두 단어의 이름을 갖는다 (그 전까지는 유기체를 여러 단어를 포함하는 라틴어 구문으로 종종 지정했음).[18] 그는 많은 잘 알려진 버섯 분류군의 학명을 만들었는데, 예를 들어 현재에도 사용되는 ''Boletus''[19]''Agaricus''가 있다.[20] 이 기간 동안 곰팡이는 여전히 식물계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져 그의 ''종의 식물''에 분류되었다.

초창기 균학자로는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 크리스티안 헨드릭 페르손, 하인리히 안톤 데 바리, 엘리자베스 이튼 모스, 루이스 데이비드 드 슈웨이니츠가 있다. 비아트릭스 포터는 ''피터 래빗 이야기''의 작가이기도 한데, 이 분야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4]

중세 시대에는 곰팡이에 대한 지식이 거의 발전하지 않았다. 그러나 인쇄술의 발명으로 저자들은 고전 작가들이 영속시킨 곰팡이에 대한 미신과 오해를 없앨 수 있었다.

2. 2. 근대 균학

균이 진화적으로는 식물보다 동물에 더 가까웠으나 이는 수십 세기 전까지 인지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균학은 식물학의 한 갈래였다. 균이 분명히 동물이 아니었으므로 린네는 균을 식물계 안으로 넣었다. 그러나 19세기 에른스트 헤켈은 균을 식물계로 분류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마침내 로버트 휘태커는 1969년에 균계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균학의 시작은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의 1737년 저서 《새로운 식물의 속》(''Nova plantarum genera'')과 더불어 시작하였다.[45] 균학(mycology)과 균학자(mycologist)라는 용어는 1836년에 버클리가 처음 사용하였다.[46]

피에르 안드레아 사카르도는 포자 색상과 형태를 기준으로 불완전균류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는데, 이는 유전자 지문 분석을 통한 분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주요하게 사용된 시스템이다. 그는 이명법을 사용한 모든 버섯의 이름을 포괄적으로 담은 ''Sylloge Fungorum''[5]으로 가장 유명하다. ''Sylloge''는 균계 균류에 대해 포괄적이고 비교적 현대적인 유일한 저작물이다.[6]

초창기 균학자로는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 크리스티안 헨드릭 페르손, 하인리히 안톤 데 바리, 엘리자베스 이튼 모스, 루이스 데이비드 드 슈웨이니츠가 있다. 비아트릭스 포터는 ''피터 래빗 이야기''의 작가이기도 한데, 이 분야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4]

균학의 현대 시대는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가 1737년에 출판한 ''Nova plantarum genera''에서 시작된다. 피렌체에서 출판된 이 획기적인 저서는 풀, 이끼, 곰팡이의 체계적인 분류의 기초를 마련했다. 그는 현재도 사용되는 속명인 ''Polyporus''[16]와 ''Tuber''[17]를 처음 사용했으며, 두 이름 모두 1729년에 만들어졌지만 (설명은 나중에 현대 규칙에 의해 무효로 수정됨).

이명법의 창시자인 린네는 1753년 그의 이명법에 곰팡이를 포함시켰는데, 각 유기체 유형은 으로 구성된 두 단어의 이름을 갖는다 (그 전까지는 유기체를 여러 단어를 포함하는 라틴어 구문으로 종종 지정했음).[18] 그는 많은 잘 알려진 버섯 분류군의 학명을 만들었는데, 예를 들어 현재에도 사용되는 ''Boletus''[19]와 ''Agaricus''가 있다.[20] 이 기간 동안 곰팡이는 여전히 식물계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져 그의 ''종의 식물''에 분류되었다.

균학은 역사적으로 식물학의 한 분야로 간주되었지만, 1969년 곰팡이가 동물과 밀접한 진화적 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연구가 독립적인 분야로 재분류되었다.[27] "균학"이라는 용어와 이를 보완하는 "균학자"라는 용어는 전통적으로 1836년 마일스 조셉 버클리에게 귀속된다. 그러나 "균학자"는 1823년에 영국 식물학자 로버트 카이 그레빌의 저작물에 루이스 데이비드 드 슈바이니츠를 언급하면서 처음 등장했다.[28]

3. 균류의 특징 및 생물학적 특성

균류는 효모, 곰팡이, 버섯 등과 같이 눈으로 볼 수 있는 생물부터, 균사와 같이 미세한 구조로 이루어진 생물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균류는 미생물로 취급되며, 미생물학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균류는 세균과 함께 식물계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식물학에서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독립된 균계로 분류되며, 균학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된다. 또한, 균류는 식물보다 동물계에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3]

점균류와 난균류 등은 과거에 균류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균류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오랫동안 균류로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여전히 균학의 연구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초기 균학자로는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 크리스티안 헨드릭 페르순, 하인리히 안톤 데 바리, 루이스 데이비드 드 슈웨이니츠 등이 있다.

균학은 눈으로 볼 수 있는 버섯 연구와 현미경을 통해 발견되는 미생물 연구가 함께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세균을 중심으로 한 미생물 연구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루이 파스퇴르가 효모 배양 기술을 개발하면서 균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3. 1. 생화학 및 유전학

효모세포 수준의 생물학에서 모델 생물의 최초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호흡효소에 관한 생화학 분야는 여기서 시작되었다. 이어서 붉은빵곰팡이유전학 연구에 이용되면서 유명해졌다. 그 이후에도 기초적인 생물학의 여러 분야는 미생물을 모델로 사용해 왔지만, 오히려 균류보다 더 작고 단순한 미생물인 세균류나 바이러스분자생물학이나 유전학의 모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생물은 원핵 세포이며, 우리와 같은 진핵 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가장 다루기 쉬운 진핵생물로서 균류가 사용되는 예가 많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은 출아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와 분열 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이다.

4. 균류의 생태 및 역할

균류는 자연계에서 생물의 사체와 배설물을 분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식물 사체의 주성분인 리그닌셀룰로스 분해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생태계의 탄소 순환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균류는 지의류균근과 같이 다른 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한다. 지의류는 조류와 균류의 공생체이며,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가 결합한 형태이다. 특히 관다발균근은 대부분의 지상 식물에서 발견되며, 식물에게 필요한 비료 성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균류의 생태는 연구하기 어려운데, 균류는 배양을 해야 관찰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 야외에서의 존재와 활동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4. 1. 분해자로서의 역할

균류는 많은 미생물과 함께 분해자로 여겨지며, 자연계의 생물 유해나 배설물의 분해를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식물 유해의 주성분인 리그닌이나 셀룰로스의 분해에 균류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된다. 그 점에서 생태계에서의 탄소 순환 역할은 중요하다.[1] 균류는 다른 생물과의 공생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은데, 지의류조류와 균류의 밀접한 공생에 의해, 언뜻 독립된 생물로 보인다. 균근은 일부 고등 식물과 균류만의 특수한 관계라고 생각되었지만, 관다발균근 연구가 진보하면서 대부분의 지상 식물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비료 성분의 운반과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져 그 방면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

4. 2. 공생 관계

균류는 다른 생물과의 공생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다. 지의류조류와 균류의 밀접한 공생에 의해, 언뜻 독립된 생물로 보인다. 또한 균근은 일부 고등 식물과 균류만의 특수한 관계라고 생각되었지만, 관다발균근 연구가 진보함에 따라, 대부분의 지상 식물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비료 성분의 운반과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져 그 방면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3]

4. 3. 한국의 균류 생태 연구

균류의 생태학은 다루기 어려운 분야이다. 균류는 배양을 시작해야 관찰할 수 있는 경우가 많고, 야외에서의 존재나 활동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자연계에서의 역할의 중요성은 분명하다. 일반적으로 균류는 많은 미생물과 함께 분해자로 여겨지며, 자연계의 생물 유해나 배설물의 분해를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특히 식물 유해의 주성분인 리그닌이나 셀룰로스의 분해와 관련하여 균류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된다. 그 점에서 생태계에서의 탄소 순환에서의 역할은 중요하다. 또한 균류는 다른 생물과의 공생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다. 지의류조류와 균류의 밀접한 공생에 의해, 언뜻 독립된 생물로 보인다. 또한 균근은 일부 고등 식물과 균류만의 특수한 관계라고 생각되었지만, 관다발균근 연구의 진보에 따라, 대부분의 지상 식물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비료 성분의 운반과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지기 시작했으며, 그 방면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5. 균류 분류학

균류 분류학은 균류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학문 분야이다. 균학의 발전과 더불어 균류 분류 체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해왔다.

초기 균학자로는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 크리스티안 헨드릭 페르손, 하인리히 안톤 데 바리, 엘리자베스 이튼 모스, 루이스 데이비드 드 슈웨이니츠 등이 있다. 특히, ''피터 래빗 이야기''의 작가로 알려진 비아트릭스 포터는 균류 연구에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4]

피에르 안드레아 사카르도는 포자 색상과 형태를 기준으로 불완전균류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는데, 이는 유전자 지문 분석을 통한 분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주요하게 사용된 시스템이다. 그는 이명법을 사용한 모든 버섯의 이름을 포괄적으로 담은 ''Sylloge Fungorum''[5]으로 가장 유명하며, 이 저작물은 균계 균류에 대해 포괄적이고 비교적 현대적인 유일한 저작물이다.[6]

많은 균류가 독소[7], 항생물질[8], 그리고 다른 이차 대사 산물을 생산한다. 예를 들어,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속인 ''Fusarium''과 인간에게 치명적인 급성 독성 백혈병을 유발하는 이들의 독소는 아브라함 Z. 조페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9]

균류는 균근, 곤충 공생체, 지의류와 같은 공생체로서 지구상의 생명체에 필수적이다. 많은 균류는 나무의 내구성이 강한 성분인 리그닌과 제노바이오틱스, 석유,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오염 물질 등 복잡한 유기 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자를 분해함으로써, 균류는 지구의 탄소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균류와 난균류, 점균과 같이 전통적으로 균류로 여겨지는 다른 유기체는 경제적 및 사회적으로 중요한데, 일부는 동물 (인간 포함)과 식물의 진균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이다.[10] 병원성 균류 외에도, 많은 균류 종은 다른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 질병을 제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실 모양의 균류 속인 ''Trichoderma''의 종은 효과적인 작물 질병 관리를 위한 화학 기반 제품의 대안으로서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 방제 제제로 여겨진다.[11]

흥미로운 균류 종을 찾기 위한 현장 모임은 1868년 울호프 자연주의자 클럽이 조직하고 "균류 탐사"라는 제목으로 열린 첫 번째 모임에서 유래하여 '탐사'라고 불린다.[12] 동물을 감염시키는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연구는 의학 균학이라고 한다.[13]

5. 1. 전통적 분류

균류는 구조가 단순한 것이 많아 외부 형태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분류 방법은 충분한 증거를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현대에는 생화학, 분자 유전학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균류의 분류 체계를 재검토하고 있다.

직접 실용성이 없는 분야에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분류에 관해서는 지금도 신종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 특히 미세 균류라고 불리는 작은 자실체를 만드는 자낭균문 등은 매년 신종이 발견된다. 또한 균류는 야외에서 발견이 어렵고, 발견 방법이 개발되면 새로운 분류군이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생 불완전균은 1942년에 처음 발견되어 현재는 하나의 분야로 성장하고 있다.[14]

5. 2. 현대적 분류

균학은 직접적인 실용성이 없는 분야에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많은 분야이다. 분류에 관해서는 지금도 신종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 특히 미소 균류라고 불리는, 소형 자실체를 만드는 자낭균류 등은 매년 계속해서 신종이 발견된다. 또한, 균류는 야외에서 발견하기가 어려워, 발견 방법이 개발되면 새로운 분류군이 쏟아져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생 불완전균은 1942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하나의 분야로까지 성장했다.

한편, 분류 체계 자체의 재검토도 진행되고 있다. 균류는 구조가 단순한 것이 많아, 외부 형태에 의존한 분류로는 충분한 증거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많다. 현재는 생화학, 분자 유전학 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것들을 이용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5. 3. 한국의 균류 분류 연구

분류에 관해서는 지금도 신종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 특히, 미소 균류라고 불리는, 소형 자실체를 만드는 자낭균류 등은 매년 계속해서 신종이 발견된다. 또한, 균류는 야외에서 발견하기가 어려워, 발견 방법이 개발되면 새로운 분류군이 쏟아져 나올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수생 불완전균은 1942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하나의 분야로까지 성장했다.

한편, 분류 체계 자체의 재검토도 진행되고 있다. 균류는 구조가 단순한 것이 많아, 외부 형태에 의존한 분류로는 충분한 증거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많다. 현재는 생화학, 분자 유전학 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것들을 이용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6. 균학의 응용

효모 연구가 발효 산업의 요청으로 시작된 것처럼 이와 직접 연계된 분야는 큰 발전을 이루었다. 균류는 발효, 페니실린을 비롯한 항생물질 등 2차 생산물 이용에 있어 실용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며, 현재도 전 세계 제약 회사 등에서 다양한 균류가 만드는 물질을 찾고 있다. 한편, 식물에 병원성을 가지는 균이 많아 식물병리학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독성을 가진 균류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균류는 균근, 곤충 공생체, 지의류공생체로서 지구 생명체에 필수적이다. 많은 균류는 나무리그닌, 제노바이오틱스, 석유,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 복잡한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여 지구의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1. 식품 및 발효 산업

효모 연구가 발효 산업의 요청으로 시작되었듯이, 실용에 직결된 분야는 큰 발전을 이루었다. 균류에 관해서는 발효와 관련된 것, 페니실린으로 시작하는 항생 물질 등의 2차 생산물의 이용 등이 실용적인 면에서 중요하며, 현재도 다양한 균류가 만드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세계 각국의 제약 회사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29] 한편, 식물에 병원성을 가진 균이 많기 때문에 식물 병리학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큰 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가진 균류도 있다.

6. 2. 의약 및 생명공학

효모 연구가 발효 산업의 요청으로 시작되었듯이, 이와 직접 관련된 분야는 큰 발전을 이루었다. 균류에 관해서는 발효와 관련된 것, 페니실린으로 시작하는 항생 물질 등의 2차 생산물의 이용 등이 실용적인 면에서 중요하다. 현재도 다양한 균류가 만드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전 세계 제약 회사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식물에 병원성을 가진 균이 많기 때문에, 식물 병리학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큰 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가진 균류도 있다.[3] 많은 균류가 독소,[7] 항생물질,[8] 그리고 다른 이차 대사 산물을 생산한다. 예를 들어,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속인 ''Fusarium''과 인간에게 치명적인 급성 독성 백혈병을 유발하는 이들의 독소는 아브라함 Z. 조페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9] 페니실린, 사이클로스포린, 그리세오풀빈, 세팔로스포린 및 사이로시빈은 곰팡이 또는 기타 균류에서 분리된 약물의 예이다.[44]

6. 3. 농업 및 식물병리학

효모 연구가 발효 산업의 요청으로 시작되었듯이, 실용에 직결된 분야는 큰 발전을 이룬다. 균류에 관해서는 발효와 관련된 것, 페니실린으로 시작하는 항생 물질 등의 2차 생산물의 이용 등이 실용적인 면에서 중요하며, 현재도 다양한 균류가 만드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세계 각국의 제약 회사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3] 한편, 식물에 병원성을 가진 균이 많기 때문에, 식물 병리학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3] 또한, 큰 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가진 균류도 있다.[3]

병원성 균류 외에도, 많은 균류 종은 다른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 질병을 제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실 모양의 균류 속인 ''Trichoderma''의 종은 효과적인 작물 질병 관리를 위한 화학 기반 제품의 대안으로서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 방제 제제로 여겨진다.[11]

식물 병원성 곰팡이는 작물 가용성과 식량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이러한 곰팡이는 식물과 작물, 식량 작물에 침투하여 여러 국가의 농업 산업에 심각한 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32] 다양한 식물 병원균은 환금 작물을 식용 불가 상태로 만들어 재배 농가에 실질적으로 쓸모없게 만들 수 있다. 이 문제는 단일 재배의 사용이 더욱 보편화되면서 수년 동안 증가했다. 한 지역에 제한된 종류의 식물이 있으면 특정 병원균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36] ''Puccinia graminis''는 아프리카에서 유럽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작물을 공격하는 줄기 녹병의 일종이다.[37][38] 또 다른 치명적인 곰팡이 병원균은 ''Sarocladium oryzae''로, 인도에서 흔히 발생하는 잎집썩음병의 일종이며 쌀 재배의 역사에 큰 위협이 된다.[39] 역사적으로 식물-곰팡이 대유행의 가장 잘 알려진 사례 중 하나는 ''Phytophthora infestans''로 알려진 물곰팡이에 의해 발생한 아일랜드 감자 역병이었다. 이 사건은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알려져 있다.[40]

6. 4. 목재 산업

목재 및 목재 제품은 국제 무역의 핵심 요소이며,[29] 건축에서 장작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사용된다. 사용 가능한 목재를 생산하기 위한 산림 생태계의 재배는 식물, 특히 나무와 곰팡이 사이의 균근 공생 관계에 크게 의존한다. 곰팡이는 질병 내성, 성장 및 광물 영양 개선, 스트레스 내성, 비료 이용과 같은 공생 식물 파트너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30]

6. 5. 기타 응용

효모 연구가 발효 산업의 요청으로 시작된 것처럼 이와 직접 연계된 분야는 큰 발전을 이루었다. 균류에 관해서는 발효에 관련된 것, 페니실린을 시작으로 하는 항생제 등의 이차 생산물의 이용 등이 실용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 현재도 다양한 균류가 만드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전 세계 제약 회사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식물에 병원성을 가지는 균이 많이 있어, 식물병리학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큰 영향을 주는 독성을 가진 균류도 있다.[1]

7. 균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에서 요약 및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빈 출력만 생성되었습니다.)

참조

[1] 서적 Agriculture and Food Production Elsevier 2001
[2] 서적 Yeast Fermentation Handbook: Essential Guide and Recipes for Beer and Bread Makers Callisto Publishing LLC
[3] 서적 A Glossary of Scientific Terms for General Use
[4] 학술지 On the Emergence of ''Candida auris'': Climate Change, Azoles, Swamps, and Birds 2019-07
[5] 서적 Sylloge fungorum omnium hucusque cognitorum https://www.biodiver[...] 1882
[6] 학술지 What mysteries lay in spore: taxonomy, data,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mycology in Saccardo's Sylloge Fungorum 2023-09
[7] 서적 Microbial Toxins, Vol. VI Fungal Toxins Academic Press 1971
[8] 학술지 Antibiotics produced by fungi 1951-06
[9] 학술지 Intoxication produced by toxic fungi Fusarium poae and F. sporotrichioides on chicks 1978-01
[10] 학술지 Harmful fungi in both agriculture and medicine 2007-03
[11] 학술지 Fate of Trichoderma harzianum in the olive rhizosphere: time course of the root colonization process and interaction with the fungal pathogen Verticillium dahliae 2016-06
[12] 학술지 A foray among the funguses https://www.biodiver[...] Woolhope Naturalists' Field Club. 2018-01-14
[13] 서적 Pathogenic Fungi: Insights in Molecular Biology Caister Academic Press 2008
[14] 웹사이트 Book 19, Chapter 11. https://www.perseus.[...] 2021-02-28
[15] 학술지 Micheli and the discovery of reproduction in fungi. 1915
[16] 웹사이트 the Polyporus P. Micheli page https://www.indexfun[...] 2024-06-12
[17] 웹사이트 the Tuber P. Micheli page https://www.indexfun[...] 2024-06-12
[18] 서적 Mushrooms and Toadstools of Britain & Europe https://books.google[...] Geoffrey Kibby 2017
[19] 웹사이트 the Boletus L. page https://www.indexfun[...] 2024-06-12
[20] 웹사이트 the Agaricus L. page https://www.indexfun[...] 2024-06-12
[21] 웹사이트 Home http://fmhibd.librar[...] 2024-06-12
[22] 서적 Caroli Linnaei ... Species plantarum :exhibentes plantas rite cognitas, ad genera relatas, cum differentiis specificis, nominibus trivialibus, synonymis selectis, locis natalibus, secundum systema sexuale digestas... https://www.biodiver[...] Impensis Laurentii Salvii 2020-07-16
[23] 서적 Fungi of Temperate Europ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24] 웹사이트 the Agaricus deliciosus L. page https://www.speciesf[...] 2024-06-12
[25] 웹사이트 the Agaricus campestris L. page https://www.speciesf[...] 2024-06-12
[26] 학술지 New concepts of kingdoms of organisms: evolutionary relations are better represented by new classifications than by the traditional two kingdoms 1969-01-10
[27] 학술지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1990-06
[28] 학술지 Observations on a New Genus of Plants, belonging to the Natural Order Gastromyci 1823-04
[29] 서적 Applied mycology https://www.worldcat[...] CABI 2009
[30] 서적 Mycorrhizal Fungi: Soil, Agriculture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Nova Science Publishers, Incorporated 2011
[31] 학술지 Changes in world patterns of wild edible mushrooms use measured through international trade flows https://linkinghub.e[...] 2020-03-01
[32] 서적 Agriculture and Food Production Elsevier 2001
[33] 서적 Yeast Fermentation Handbook: Essential Guide and Recipes for Beer and Bread Makers Callisto Publishing LLC
[34] 학술지 Fermented beverage and food storage in 13,000 y-old stone mortars at Raqefet Cave Israel: Investigating Natufian ritual feasting https://doi.org/10.1[...] 2018-09-08
[35] 학술지 Fermentation for future food systems: Precision fermentation can complement the scope and applications of traditional fermentation https://doi.org/10.1[...] 2021-05-05
[36]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sources https://www.worldcat[...] Salem Press, a division of EBSCO Information Services, Inc. ; Grey House Publishing 2019
[37] 간행물 Emergence of Virulence to SrTmp in the Ug99 Race Group of Wheat Stem Rust, Puccinia graminis f. sp. tritici, in Africa https://apsjournals.[...] 2016-02
[38] 간행물 Characterization of Puccinia graminis f. sp. tritici isolates derived from an unusual wheat stem rust outbreak in Germany in 2013 https://bsppjournals[...] 2017
[39] 간행물 Effect of abiotic factors on progress and severity of sheath rot ( Sarocladium oryzae ) in rice https://onlinelibrar[...] 2023-03
[40] 간행물 The Plant Pathogen Phytophthora andina Emerged via Hybridization of an Unknown Phytophthora Species and the Irish Potato Famine Pathogen, P. infestans 2011-09-16
[41] 서적 Medicinal Mushrooms: Their therapeutic properties and current medical usage with special emphasis on cancer treatments https://www.academia[...] 2024-06-12
[42] 간행물 Chemical and medicobiological properties of chaga (review) 2006-10
[43] 간행물 A Review of Mushrooms as a Potential Source of Dietary Vitamin D 2018-10
[44] 기타 Current trend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n the fungi?. https://doi.org/10.1[...] 2024
[45] 문서
[4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