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변형 작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전자 변형 작물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사용하여 유전자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만들어진 작물이다. 인류는 가축화를 통해 식물의 유전적 구성을 변화시켜 왔으며, 1970년대 제한 효소의 발견과 재조합 DNA 기술의 발달로 유전자 변형 작물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최초의 유전자 변형 작물은 1983년에 보고된 담배였으며, 1990년대부터 제초제 저항성, 해충 저항성, 유통 기한 연장 등의 형질을 가진 다양한 유전자 변형 작물이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 유전자 변형 작물은 유전자총, 아그로박테리움, CRISPR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다양한 품종과 형질로 개발되어 농업 생산성 향상, 환경 문제 해결 등에 기여하고 있다. 유전자 변형 작물은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환경 영향, 식품 안전, 윤리적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안전성 평가와 규제,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전공학 - CRISPR
CRISPR은 세균과 고세균이 외래 유전 물질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적응 면역 시스템으로,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발전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유전 질환 치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지닌다. - 유전공학 -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은 유성 생식 생물의 염색체 유전자 교차를 통한 유전자 재배열 현상으로,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고 유전학적 지도 작성에 활용되며,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로 이용된다. - 생명과학 산업 - 노바티스
노바티스는 1996년 씨바-가이기와 산도즈의 합병으로 탄생한 스위스 다국적 제약 회사로, 인수합병과 사업 재편을 거쳐 혁신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여러 논란과 함께 2023년 산도즈 분사 등 사업 구조 조정을 겪었다. - 생명과학 산업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2000년 합병으로 설립된 다국적 제약 회사이며, 의약품과 백신을 개발, 생산하고 일반의약품과 컨슈머 헬스케어 제품을 판매하며 윤리적 문제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유전자 변형 작물 |
---|
2. 역사
인간은 작물을 가축화하여 그 가치를 높이기 위해 식물의 유전적 구성을 변화시켜 왔다. 식물 가축화의 첫 증거는 기원전 10,500년에서 10,100년경 서남아시아의 선토기 신석기 시대 A 마을에서 발견된 엠머와 이립 밀이다.[7] 비옥한 초승달 지대, 이집트, 인도는 야생에서 채집하던 식물을 계획적으로 파종하고 수확한 최초의 장소였다. 농업은 중국 북부와 남부, 아프리카의 사헬 지대, 뉴기니 및 아메리카 대륙의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발전했다.[8] 여덟 가지 신석기 시대의 주요 작물 (엠머 밀, 이립 밀, 보리, 완두, 렌즈콩, 사료용 완두, 병아리콩, 아마)은 모두 기원전 7,000년경에 나타났다.[9]
유전자 변형 작물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사용하여 유전자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33] 과거에는 유전자총, 전기천공법, 미세주입법, 아그로박테리움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CRISPR와 TALEN 같은 더 정밀하고 효율적인 유전자 편집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O)은 농부에게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며, 이는 개발도상국에서 특히 두드러진다.[60][61][62] 2010년 연구에 따르면, Bt 옥수수는 미국 중서부 5개 주에서 14년간 69억달러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했다. 이 중 상당 부분(43억달러)은 Bt 옥수수를 재배하지 않는 농부들에게 돌아갔는데, 이는 Bt 옥수수가 해충 개체 수를 감소시켜 주변 일반 옥수수의 피해를 줄였기 때문이다.[63][64] 1996년 전 세계적으로 2.403억달러의 잉여가 증가했으며, 이 중 가장 큰 비중(59%)은 미국 농부들이 차지했다. 종자 회사 몬산토(Monsanto)가 21%로 그 뒤를 이었고, 미국 소비자(9%), 나머지 세계(6%), 미시시피 델타 & 파인 랜드 회사(Delta & Pine Land Company of Mississippi) (5%) 순이었다.[65]
식물은 가뭄,[91][92][112][113] 서리,[114] 높은 토양 염분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도록 유전자 변형되었다. 2011년, 몬산토의 드라우트가드 옥수수는 미국에서 최초로 가뭄 저항성을 인정받은 유전자 변형 작물이 되었다.[115]
전통적인 작물 육종가들은 오랫동안 새로운 교배를 통해 작물에 외래 종자원을 도입해 왔다. 1875년에는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잡종 곡물을 만들었다.[10] 그 이후로 왜성 유전자와 녹병 저항성이 도입되었다.[11] 식물 조직 배양과 의도적인 돌연변이를 통해 인간은 식물 게놈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12][13]
유전학의 현대적 발전으로 인간은 식물의 유전자를 더욱 직접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1970년 해밀턴 스미스의 연구실에서는 특정 위치에서 DNA를 절단하는 제한 효소를 발견하여 과학자들이 유기체의 게놈에서 유전자를 분리할 수 있게 되었다.[14] 끊어진 DNA를 결합시키는 DNA 연결 효소는 1967년에 이미 발견되었으며,[15] 이 두 기술을 결합하여 DNA 서열을 "잘라내어 붙여넣기"하고 재조합 DNA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1952년에 발견된 플라스미드는[16] 세포 간 정보 전달과 DNA 서열 복제를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1907년에는 식물 종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인 ''Agrobacterium tumefaciens''가 발견되었고, 1970년대 초에는 종양 유발 인자가 Ti 플라스미드라고 불리는 DNA 플라스미드임이 밝혀졌다.[17] 연구자들은 플라스미드에서 종양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제거하고 새로운 유전자를 추가하여 ''A. tumefaciens''로 식물을 감염시키고 박테리아가 선택한 DNA 서열을 식물의 게놈에 삽입할 수 있었다.[18] 모든 식물 세포가 ''A. tumefaciens''에 의한 감염에 취약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전기 천공, 미세 주입[19] 및 유전자 총을 이용한 입자 폭격(1987년 발명)을 포함한 다른 방법들이 개발되었다.[20][21]
1980년대에는 세포벽이 제거된 식물 세포에 분리된 엽록체를 다시 도입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1987년 유전자 총이 도입되면서 외래 유전자를 엽록체에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22] 유전자 변형은 일부 모델 유기체에서 매우 효율적이 되었다. 2008년에는 ''Arabidopsis thaliana''의 꽃을 ''Agrobacterium'' 용액에 담가 유전자 변형 종자를 생산했다.[23] 2013년에는 CRISPR가 처음으로 식물 게놈 변형에 사용되었다.[24]
최초의 유전자 변형 작물은 1983년에 보고된 담배였다.[25] 이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Agrobacterium''의 T1 플라스미드에 결합시킨 키메라 유전자를 생성하여 개발되었다. 담배는 이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Agrobacterium''에 감염되어 키메라 유전자가 식물에 삽입되었다. 조직 배양 기술을 통해 유전자를 포함하는 단일 담배 세포를 선택하고 여기서 새로운 식물을 재배했다.[26] 형질전환 식물의 첫 번째 포장 시험은 1986년 프랑스와 미국에서 이루어졌으며, 담배 식물은 제초제 저항성을 갖도록 조작되었다.[27]
1987년 마르크 반 몽타구와 제프 셸이 설립한 식물 유전자 시스템스는 ''Bacillus thuringiensis''(Bt)에서 추출한 살충성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를 담배에 통합하여 곤충 저항성 식물을 유전자 조작한 최초의 회사였다.[28] 중화인민공화국은 1992년 바이러스 저항성 담배를 도입하면서 형질전환 식물을 상업화한 최초의 국가였다.[29] 1994년 캘진은 유통 기한을 늘리기 위해 유전자 조작된 토마토인 Flavr Savr 토마토의 상업적 출시를 승인받았다.[89] 같은 해, 유럽 연합은 제초제 브롬옥시닐 저항성을 갖도록 유전자 조작된 담배를 승인하여 유럽에서 상업화된 최초의 유전자 변형 작물이 되었다.[30]
1995년에는 Bt 감자가 환경 보호국의 승인을 받았으며, 이는 FDA의 승인을 받은 후 미국에서 살충제를 생산하는 최초의 작물이 되었다.[31] 1996년에는 6개 국가와 EU에서 8가지 형질을 가진 8개의 형질전환 작물과 1개의 꽃 작물(카네이션)의 상업적 재배에 총 35건의 승인이 부여되었다.[27] 2010년까지 29개 국가에서 상업화된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했으며, 추가로 31개 국가에서 형질전환 작물의 수입에 대한 규제 승인을 부여했다.[215]
2024년에는 GM 바나나 품종 QCAV-4가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승인되었다. 이 바나나는 지배적인 품종인 캐번디시 바나나에 치명적인 곰팡이에 저항한다.[32]
최초의 GMO가 제작된 후 과학자들은 재조합 DNA 실험에 자발적인 모라토리엄을 요구하며 관찰했다. 모라토리엄의 한 가지 목표는 신기술의 상태와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아실로마 회의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생화학자들의 참여와 새로운 생명공학의 개발, 유전자 지도 작성 등으로 인해, 작물이 되는 식물에 대해 "목표로 하는" 형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도입하거나, "문제 있는" 형질의 유전자를 녹아웃시킬 수 있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연구 진전과 함께 엄격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후에 미국 국립 보건원 및 다른 국가에서도 해당 기관에 의해 공표되었다. 이 가이드라인은 GMO가 오늘날까지 규제되는 기초를 이루고 있다.
처음으로 시장에 등장한 유전자 재조합 작물은 안티센스 RNA 기술을 사용하여 펙틴을 분해하는 효소 폴리갈락투로나제의 생성을 억제한 토마토 "Flavr Savr"이다. 다른 토마토에 비해 익어도 과피나 과육이 부드러워지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3. 제작 방법
주요 제작 방법방법 설명 유전자총 (생체 발사)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 전기천공법 세포벽이 없는 식물 조직에 전기 펄스를 가해 세포막에 일시적인 구멍을 만들어 DNA를 주입한다. 미세주입법 미세한 주사기를 사용하여 DNA를 세포에 직접 주입한다.[37]
현대 식물 과학자들은 유전자 변형 기술이 전통적인 육종 방식보다 의도하지 않은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고 보고 있다.[38][39]
담배와 ''애기장대''는 형질전환 방법이 잘 개발되어 있고, 번식이 쉬우며, 게놈 연구가 잘 되어 있어 유전자 변형 연구에 많이 사용된다.[40][41] 이들은 다른 식물 종의 모델 유기체 역할을 한다.
식물에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할 때는 해당 유전자가 발현될 부위에 특정한 프로모터가 필요하며, 코돈 사용 빈도에 따라 유전자의 코돈을 최적화해야 한다.
4. 종류 및 형질
형질전환 식물은 다른 종에서 유래한 유전자가 삽입된 식물이다. 삽입된 유전자는 같은 계 내(식물 대 식물) 또는 계 간(예: 박테리아 대 식물)에서 올 수 있다. 많은 경우 삽입된 DNA는 숙주 생물체에서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유전자 발현되기 위해 약간 수정된다.[42] 형질전환 식물은 ''B. thuringiensis''에서 유래한 단백질, 예를 들어 cry 독소,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항체, 및 백신용 항원을 발현하는 데 사용된다.[43]
시스제닉 식물은 동일 종 또는 성적으로 호환 가능한 근연종 내에서 발견되는 유전자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는 기존의 육종으로 교배가 어려운 식물(예: 감자)에 유용하다.[54]
유전자 변형 식물은 다른 식물에서 유전자를 도입하지 않고도 유전자 침묵 또는 유전자 제거를 사용하여 식물의 유전적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개발할 수도 있다. 2014년, 중국 연구원 가오차이샤는 밀의 흰가루병 저항성 균주 개발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이 균주는 흰가루병에 대한 방어를 억제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없다. 연구자들은 밀의 6배체 게놈에서 이 유전자의 세 복제본을 모두 삭제했다. 가오는 탈렌스 및 크리스퍼 게놈 편집 도구를 사용했다.[55][56] 크리스퍼 기술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원인 이농 양에 의해 흰 버섯(''Agaricus bisporus'')을 갈변되지 않도록 수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57] 듀폰 파이오니어(DuPont Pioneer)에 의해 새로운 품종의 옥수수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었다.[58]
현재 재배되거나 개발 중인 유전자 변형 작물은 다양한 형질로 수정되었다. 이러한 형질에는 개선된 유통 기한, 질병 저항성, 스트레스 저항성, 제초제 저항성, 해충 저항성, 바이오 연료 또는 의약품과 같은 유용한 상품 생산, 독소 흡수 능력 및 오염의 생물 정화에 사용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연구 개발이 아프리카의 곤충 저항성 카우피[87]와 곤충 저항성 가지와 같이 개발 도상국에서 지역적으로 중요한 작물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88]
2014년 11월, 미국 농무부(USDA)는 멍이 드는 것을 방지하는 유전자 변형 감자를 승인했다.[91][92]
2015년 2월에는 Arctic Apples가 미국 농무부(USDA)의 승인을 받아 미국에서 판매가 승인된 최초의 유전자 변형 사과가 되었다.[93][94] 유전자 침묵 기술을 사용하여 폴리페놀 산화 효소(PPO)의 발현을 줄여 사과를 자른 후 효소적 갈변 현상을 방지했다. 이 형질은 Granny Smith 및 Golden Delicious 품종에 추가되었다.[93][95]
황금쌀은 국제 쌀 연구소(IRRI)에서 개발되었으며, 비타민 A를 더 많이 공급하여 비타민 A 결핍증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08][109]
유전자 변형 카사바는 개발 중에 있으며, 낮은 시안 배당체와 향상된 단백질 및 기타 영양소를 제공한다.(바이오카사바라고 불림).[111]
2014년 11월, 미국 농무부(USDA)는 멍이 덜 들고 튀길 때 아크릴아마이드를 덜 생성하는 감자를 승인했다.[91][92] 이 감자는 감자 외 다른 종의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 형질은 러셋 버뱅크, 레인저 러셋 및 애틀랜틱 품종에 추가되었다.[91]
식물은 가뭄,[91][92][112][113] 서리,[114] 그리고 높은 토양 염분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을 견딜 수 있도록 유전자 변형되었다. 2011년, 몬산토(Monsanto)의 드라우트가드 옥수수가 미국 시장에서 승인을 받은 최초의 가뭄 저항성 유전자 변형 작물이 되었다.[115]
가뭄 저항성은 식물이 낮은 수위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크라술라세아산 대사 (CAM)로 알려진 메커니즘을 담당하는 식물의 유전자를 수정하여 발생한다.[116][117] 여러 염분 내성 메커니즘이 염분에 강한 작물에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벼, 유채, 토마토 작물은 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전자 변형되었다.[118][119]
가장 흔한 유전자 변형 형질은 제초제 내성[120]이며, 그중 글리포세이트 내성이 가장 흔하다.[121] 글리포세이트(라운드업 및 기타 제초제 제품의 활성 성분)는 식물의 쉬키메이트 경로를 방해하여 식물을 죽인다. 쉬키메이트 경로는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의 합성에 필수적이다. 쉬키메이트 경로는 동물에게는 없으며, 동물은 식단을 통해 방향족 아미노산을 섭취한다. 더 구체적으로, 글리포세이트는 5-에놀피루빌쉬키메이트-3-인산 합성효소(EPSPS) 효소를 억제한다.
이 형질은 당시 곡물과 잔디 작물에 사용되던 제초제가 독성이 매우 강하고 좁은 잎의 잡초에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개발되었다. 따라서 글리포세이트 살포에 견딜 수 있는 작물을 개발하면 환경 및 건강 위험을 줄이고 농부에게 농업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122]
일부 미생물은 글리포세이트 억제에 내성을 가진 EPSPS 버전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글리포세이트에 내성을 가진 ''아그로박테리움'' 균주 CP4(CP4 EPSPS)에서 분리되었다.[123][124] CP4 EPSPS 유전자는 유전자 발현을 위해 유전자 융합을 통해 식물에 맞게 조작되었다. 유전자의 5' 말단을 페튜니아 EPSPS에서 유래한 엽록체 전이 펩타이드에 융합시켰다.
담배는 제초제 브로목시닐에 저항성을 갖도록 유전자 변형되었다.[125]
제초제 글루포시네이트에 내성이 있는 작물도 상업화되었다.[126] 농부들이 두세 가지 또는 네 가지의 서로 다른 화학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제초제에 내성이 있도록 유전자 조작된 작물은 증가하는 제초제 저항성에 대처하기 위해 개발 중이다.[127][128]
담배, 옥수수, 쌀 및 기타 일부 작물은 바실루스 튜린기엔시스(Bt)에서 유래한 살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유전자 조작되었다.[138][139]
식물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식물 질병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작물 수확량 손실의 10~1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1] 파파야, 감자, 호박은 이름과 달리 다양한 식물을 감염시키는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병원체에 저항하도록 유전자 변형되었다.[142][141]
바이러스 저항성 파파야는 1990년대 후반 하와이에서 발생한 파파야 링스팟 바이러스 (PRV) 발병에 대응하여 개발되었다. 이들은 PRV DNA를 통합한다.[143][144] 2010년까지 하와이 파파야 식물의 80%가 유전자 변형되었다.[145][146]
감자는 1998년에 감자 잎말림 바이러스와 감자 Y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유전자 변형되었다. 판매 부진으로 3년 만에 시장에서 철수되었다.[147]
처음에는 두 가지, 그 다음에는 세 가지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노란 호박이 1990년대부터 개발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수박, 오이, 주키니/코르제트 옐로우 모자이크 바이러스이다. 호박은 미국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은 두 번째 GM 작물이었다. 이 특성은 나중에 주키니에 추가되었다.[148]작물 사용 승인 국가 최초 승인[172] 비고 알팔파 가축 사료[173] 미국 2005 2007년에 승인 철회[174], 2011년에 재승인[175] 카놀라 식용유 호주 2003 캐나다 1995 미국 1995 면화 섬유
면실유
가축 사료[173]아르헨티나 2001 호주 2002 브라질 2008 콜롬비아 2004 코스타리카 2008 멕시코 2000 파라과이 2013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0 미국 1994 옥수수 가축 사료 아르헨티나 1998 브라질 2007 캐나다 1996 콜롬비아 2007 쿠바 2011 유럽 연합 1998 포르투갈, 스페인, 체코, 슬로바키아 및 루마니아에서 재배[176] 온두라스 2001 파라과이 2012 필리핀 2002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2 미국 1995 우루과이 2003 대두 가축 사료 아르헨티나 1996 볼리비아 2005 브라질 1998 캐나다 1995 칠레 2007 코스타리카 2001 멕시코 1996 파라과이 2004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1 미국 1993 우루과이 1996 사탕무 식품[178] 캐나다 2001 미국 1998 2007년 상업화,[177] 2010년 생산 중단, 2011년 재개.[178] 작물 용도 승인 국가 최초 승인[172] 비고 목화 섬유
목화씨 기름
동물 사료[173]아르헨티나 1998 오스트레일리아 2003 브라질 2005 부르키나파소 2009 중화인민공화국 1997 콜롬비아 2003 코스타리카 2008 인도 2002 Bt 목화 최대 생산국[179] 멕시코 1996 미얀마 2006[180] 파키스탄 2010[180] 파라과이 2007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7 수단 2012 미국 1995 가지 식품 방글라데시 2013 2014년에 120개 농장에서 12ha 재배[181] 옥수수 동물 사료 아르헨티나 1998 브라질 2005 콜롬비아 2003 멕시코 1996 옥수수 원산지[182] 파라과이 2007 필리핀 2002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7 우루과이 2003 미국 1995 포플러 나무 중화인민공화국 1998 2014년에 543ha의 bt 포플러 재배[183] 작물 용도 형질 승인 국가 최초 승인[172] 비고 카놀라 식용유 높은 라우르산 카놀라 캐나다 1996 미국 1994 피테이스 생산 미국 1998 카네이션 관상용 지연된 노화 호주 1995 노르웨이 1998 변형된 꽃 색상 호주 1995 콜롬비아 2000 2014년에는 수출을 위해 온실에서 4ha가 재배[184] 유럽 연합 1998 두 가지 사례는 2008년에 만료되었고, 다른 하나는 2007년에 승인됨 일본 2004 말레이시아 2012 관상용으로 노르웨이 1997 옥수수 동물 사료 증가된 라이신 캐나다 2006 미국 2006 가뭄 내성 캐나다 2010 미국 2011 파파야 식품[173] 바이러스 저항성 중국 2006 미국 1996 주로 하와이에서 재배[173] 페튜니아 관상용 변형된 꽃 색상 중국 1997[185] 감자 식품[173] 바이러스 저항성 캐나다 1999 미국 1997 산업용[186] 변형된 전분 미국 2014 장미 관상용 변형된 꽃 색상 호주 2009 갱신 포기 콜롬비아 2010[187] 수출용 온실 재배만 해당 일본 2008 미국 2011 대두 동물 사료 증가된 올레산 생산 아르헨티나 2015 캐나다 2000 미국 1997 스테아리돈산 생산 캐나다 2011 미국 2011 호박 식품[173] 바이러스 저항성 미국 1994 사탕수수 식품 가뭄 내성 인도네시아 2013 환경 인증만 해당 담배 담배 니코틴 감소 미국 2002
5. 경제적 측면
국제 농업 생명공학 응용 획득 서비스(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에 따르면, 2014년에는 약 1,800만 명의 농부가 28개국에서 생명공학 작물을 재배했으며, 이 중 약 94%는 개발도상국의 자원 빈곤층 농부였다. 전 세계 생명공학 작물 재배 면적의 53%가 20개 개발도상국에서 재배되었다.[72] 2012년 PG Economics의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 변형 작물은 2010년에 전 세계적으로 농가 소득을 140억달러 증가시켰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개발도상국 농부에게 돌아갔다.[66]
이러한 경제적 이점을 포기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을 초래한다.[67][68] 2017년 연구에서는 우간다의 유전자 변형 바나나, 서아프리카의 유전자 변형 카우피, 케냐의 유전자 변형 옥수수 등 여러 작물 도입 지연에 따른 손실을 추정했다. 나이지리아만 연간 3300만달러~4600만달러를 손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7]
그러나 일각에서는 편향된 관찰과 무작위 대조 시험 부족을 이유로 이러한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개발도상국 소규모 농부들이 주로 재배하는 Bt 작물은 면화인데, 2006년 연구 검토에서는 경제적 수익이 연도, 농장 유형, 지리적 위치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고 결론지었다.[69]
2013년 유럽 학술원 과학 자문 위원회(EASAC)는 EU에 농업 유전자 변형 기술 개발을 허용하여 더 지속 가능한 농업을 가능하게 할 것을 요청했다. EASAC는 EU의 규제 틀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고 비판하며, EU가 유전자 변형 기술 채택에 뒤처졌다고 지적했다.[70]
농업 비즈니스 시장에는 종자 회사, 농약 회사, 유통업체, 농부, 곡물 엘리베이터, 대학 등이 참여한다. 2012년 검토에 따르면, 매년 재배되는 유전자 변형 작물의 대부분은 가축 사료로 사용되며, 육류 수요 증가에 따라 유전자 변형 사료 작물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71] 사료 곡물 사용량은 옥수수의 경우 70%, 콩과 같은 유채 종자 식단의 경우 90% 이상이다. 약 65000000ton의 유전자 변형 옥수수 곡물과 약 70000000ton의 유전자 변형 콩에서 추출한 콩 식사가 사료로 사용된다.[71]
2014년 생명공학 종자의 전 세계 가치는 157억달러였으며, 이 중 72%는 선진국, 28%는 개발도상국에 있었다.[72] 2009년 몬산토(Monsanto)는 종자 판매와 기술 라이선싱으로 73억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듀폰 파이오니아(DuPont Pioneer) 자회사를 통해 듀폰(DuPont)이 그 뒤를 이었다.[73] 2009년 현재 유전자 변형 종자를 포함한 전체 라운드업 제품군은 몬산토 사업의 약 50%를 차지했다.[74]
일부 유전자 변형 형질에 대한 특허가 만료되면서, 일반 균주 개발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글리포세이트 내성 유전자 변형 콩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제품 선택과 경쟁을 증가시킬 수 있다.[75] 몬산토의 최초 ''라운드업 레디'' 작물(콩)에 대한 특허는 2014년에 만료되었으며,[76] 특허 만료 콩의 첫 수확은 2015년 봄에 이루어졌다.[77] 몬산토는 싱젠타(Syngenta)[80]와 듀폰 파이오니아(DuPont Pioneer)[81]를 포함한 여러 회사에 글리포세이트 내성 형질을 라이선스했다.[78][79]
2014년에 발표된 대규모 검토 결과, 유전자 변형 작물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었다. 1995년부터 2014년 3월까지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 제초제 내성 작물은 생산 비용이 낮았고, 해충 저항성 작물은 살충제 사용 감소가 종자 가격 상승으로 상쇄되어 전체 생산 비용은 거의 동일했다.[82][83] 제초제 내성은 수확량이 9% 증가했고, 해충 저항성 품종은 25% 증가했다. 유전자 변형 작물을 채택한 농부들은 그렇지 않은 농부들보다 69% 더 높은 수익을 올렸다. 특히 개발도상국 농부들에게 도움이 되어 수확량을 14%p 증가시켰다.[83] 연구자들은 출판 편향을 수정하기 위해 학술 저널 외의 자료들을 고려했으며, 자금 출처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83]
유전자 편집은 살생물제/살충제 사용과 관계없이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2022년 3월, 현장 시험 결과에 따르면 옥수수의 KRN2와 벼의 OsKRN2의 CRISPR 기반 유전자 제거는 곡물 수확량을 약 10% 및 8% 증가시켰다.[85][86]
2013년, 유전자 변형 작물은 27개국에서 재배되었으며, 그 중 19개국은 개발도상국이었다. 2013년은 개발도상국이 전체 유전자 변형 작물 수확량의 과반수(54%)를 생산한 두 번째 해였다. 1,800만 명의 농부가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했으며, 이 중 약 90%는 개발도상국의 소규모 농부였다.[1]국가 2013년 – 유전자 변형 작물 재배 면적 (백만 헥타르)[211] 생명공학 작물 미국 70.1Mha 옥수수, 콩, 면화, 카놀라, 사탕무, 알팔파, 파파야, 호박 브라질 40.3Mha 콩, 옥수수, 면화 아르헨티나 24.4Mha 콩, 옥수수, 면화 인도 면화 캐나다 10.8Mha 카놀라, 옥수수, 콩, 사탕무 총계 175.2Mha ----
미국 농무부(USDA)는 매년 미국에서 재배되는 유전자 변형 작물 품종의 총 면적을 보고한다.[212][213]
농부들은 유전자 변형 기술을 널리 채택했다. 1996년과 2013년 사이에 유전자 변형 작물이 재배되는 토지 총 면적은 17000km2에서 1750000km2로 100배 증가했다.[1] 2010년에는 세계 경작지의 10%가 유전자 변형 작물로 재배되었다.[215]
2024년 기준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의 재배는 38개국에서 금지되어 있으며, 9개국에서는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222] 유럽 연합(EU)은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새로운 유전자 변형 작물 승인을 '사실상' 금지했다.[226][227] 유전자 변형 작물은 현재 EU에서 규제된다.[228] 개발도상국은 2013년에 유전자 변형 작물의 54%를 재배했다.[1]
최근 몇 년 동안 유전자 변형 작물은 개발 도상국에서 빠르게 확장되었다. 2013년에는 약 1,800만 명의 농부가 개발도상국에서 전 세계 유전자 변형 작물의 54%를 재배했다.[1]
유전자 변형 품종을 개발한 기업이 종자 지배를 통해 식량 생산을 통제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유전자 변형 종자 판매 회사와 생산 농가는 수확한 종자를 다음 작물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계약을 맺고 있다.
F1 품종이 많은 옥수수 등을 제외하고, 카놀라와 콩의 유전자 변형 품종과 관련해서는 농가에 의한 자가 채종으로 불법 증식되어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몬산토(Monsanto)사는 농가의 자가 채종에 대해 "특허 침해"로 많은 소송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에 반발하는 농가도 존재한다.[454]
그 외, 농가에 의한 자가 채종에는, 경제적인 측면 외에도, Bt toxin 생산 작물 등의 해충 저항성 품종에 관해서는 Bt toxin 저항성 해충의 출현을 조장한다는 중대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268]
매번 종자를 구입해야 하는 필요성을 통해 개발한 종묘회사에 의한 종자 지배가 강화된다는 비판이 있다. 이는 농민에게는 수확한 종자의 일부를 다음 작물에 이용할 권리가 있으며, 이를 침해한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이는 형질전환 품종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현대 농업에서는 교잡에 의한 잡종 제1대가 재배되고 있다. F1 품종에서 열린 종자는 F2 세대이며, F2 세대는 유전적으로 불균일하기 때문에 F2 세대는 재배가 가능하지만, F2 세대를 재배하면 다양한 표현형의 식물 잡다한 집단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재배 관리상 현저히 불리해진다.
그래서 F1 품종을 재배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동일 형질의 작물을 얻기 위해서는 매번 종자를 구입해야 한다. 더욱이 F1 품종이 아니더라도 자가 채종한 종자는 유전적인 순수성 문제, 병원균 오염 및 종자 품질 문제, 그 품종명을 칭하며 판매하는 경우 종묘법 문제가 있어, 많은 농가가 종자를 종묘 회사에서 구입하는 현상이 있다. 즉, 특정 기업에 의한 종자 지배 문제는 유전자 재조합 품종에 특유한 문제는 아니다.
한편, 이 의견에 대한 반론도 있다. 기존의 교배 및 돌연변이에 의한 육종에서 우량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루는 재료가 방대하고, 인원과 시간이 대량으로 필요하며 비용이 드는 반면, 우량 품종을 얻을 확률이 낮았다. 이에 비해 유전자 재조합 육종에서는 아이디어만 좋으면 비교적 단기간·저비용으로 우량 품종을 육종할 수 있는 확률이 높기 때문에 소자본의 벤처 기업이나 소규모 연구기관에서도 재조합 품종 개발에 참여할 수 있었다.
다만, 재조합 품종을 개발하는 것 자체는 비교적 용이하더라도, 이를 상품화하여 출시하기 위해서는 안전성 심사에 합격해야 한다. 안전성 심사에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소자본의 벤처 기업이나 중소 자본의 종묘 회사 및 중소 연구기관에는 그 여유가 없고, 이를 견딜 수 있는 대자본의 종묘 회사에 기업째 인수되거나 특허를 매각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즉, 유전자 재조합 품종에 대한 규제 강화의 결과로 대자본의 종묘 회사에 의한 과점화가 진행되었다는 해석도 성립한다.[458]
작물의 생육에는 지역의 기후와 토양과의 적합성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다국적 종묘 회사라고 해도 이미 실적이 있는 종묘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종묘에 적합한 유사한 기후나 토양의 지역으로 한정된다. 기존 품종에 적합하지 않은 기후대나 토양 특성의 지역에 수출했을 경우에는 기대하는 수확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현지에서 새로운 품종을 육종해야 한다.
그런데 진출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은 지적 재산 법 제도이다. 지적 재산 법 제도는 각국 고유의 것이기 때문에 종묘에 대한 지적 재산권 보호의 제도 및 그 실효성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
그 때문에 지적 재산 법 제도 및 그 실효성이 부족한 국가나 지역에 다국적 종묘 회사는 진출하기 어려워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적 재산 법 제도의 정비보다, 실제로는 "진출 기업 수가 경작 면적과 공적 종묘 판매자 수와 정(+)의 상관 관계를 갖는다는 결과는, 이윤에 민감한 다국적 종묘 기업의 행동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라는 분석이 나왔다.[461]
더욱이 작물과 품종에 따라 종묘 회사의 지적 재산권 보호의 실효성이 다르다. 옥수수의 잡종 제1대와 같이 매 작기마다 F1 종자를 구입해야 하는 품종의 경우에는 종묘 회사의 지적 재산권은 비교적 지켜질 수 있게 된다. 반면, 쌀이나 밀과 콩과 같이 우선적으로 자가 수분을 하기 때문에 유전자좌의 호모 접합성이 높은 작물의 고정된 품종의 경우에는 열매를 맺은 종자가 부모와 같은 유전 형질을 가지므로, 감자나 딸기와 같이 영양 번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불법적인 증식을 막는 실효성이 부족하게 된다.
사실, 아르헨티나에서 재배되었던 몬산토(Monsanto)가 육종한 유전자 변형 콩(라운드업 레디 콩)의 대부분이 불법으로 증식되었던 사실이 보고되었다.[461]
이것은 종묘 회사의 지적 재산권이 지켜지기 쉬운 F1 작물이나 그 개량 품종을 선호하여 육종한다는 것처럼, 종묘 회사가 어떤 작물을 선택하여 육종하는가 하는 것과도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461] 또한, 불법 증식이 있었을 경우에는 다국적 종묘 회사가 종자 판매를 중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행위를 "기업에 의한 종자의 지배"로 볼 것인가, 침해된 지적 재산권을 회복하기 위한 "정당한 행위"로 볼 것인가, 의견이 나뉜다. 또한, 라운드업 레디 콩에 대한 특허료 지불과 관련해서는, 아르헨티나 정부와 몬산토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 정부도 얽혀, 2005년 이후에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으며,[462][463] 지적 재산권의 국제적인 분쟁 해결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1998년, 캐나다 몬산토(Monsanto) 사는 캐나다 서스캐처원(Saskatchewan) 주의 농부 퍼시 슈마이저(Percy Schmeiser)의 농장에서 라운드업 저항성 유채(카놀라)가 무허가로 재배되고 있다는 이유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슈마이저는 종자에 특허가 존재하지 않으며, 농장의 유채의 90% 이상이 라운드업 저항성 유채가 된 것은 의도적으로 재배한 것이 아니라 주변에서 재배되는 라운드업 저항성 유채에 의한 "유전자 오염"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교잡 등의 가능성이 있더라도 약 400ha에 심어진 유채의 95-98%가 라운드업 저항성 유채가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다는 이유로 캐나다 대법원은 몬산토의 특허 침해를 인정했다. 하급심의 판결을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슈마이저는 패소했다.
먼저, 캐나다 연방 법원이 2001년 3월 29일에 내린 판결[464]에서는, 슈마이저가 라운드업을 분무기로 직접 살포하여 라운드업 저항성 유채를 의도적으로 선택하고 증식하여 재배한 것을 인정했다.
또한, 2002년 9월 4일의 캐나다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465]에서도, 슈마이저의 항소 사유를 세 명의 판사가 전원 일치로 모두 기각했다. 2004년 5월 21일에 캐나다 대법원에 의해 내려진 판결[466]에서도 슈마이저는 패소했다.
종자에 대한 특허가 인정된 것에 대해 캐나다의 시민 단체와 생산자 단체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슈마이저는 자신을 유전자 오염의 피해자라고 칭하며, 유전자 변형 작물 반대론자들과 함께 일본 내에서도 여러 차례 반대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인도에서는 2002년부터 유전자 변형 Bt 면화가 도입되어 그 재배 면적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녹색 혁명에 대한 비판자이자 유전자 변형 식품 반대파로서 국제적으로 유명한 인도의 환경 운동가인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 등은 "인도에서 유전자 변형 Bt 면화 종자의 도입은 비용을 80배로 증가시키고, 농민을 빚더미에 앉혀 자살로 내몰았다."[467]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조사에 따르면, 유전자 변형 Bt 면화가 인도에 도입되기 전인 1997년부터 재배 면적이 대폭 증가한 2007년에 걸쳐 10년 동안 인도 농민의 자살자 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자살자 수와 유전자 변형 Bt 면화의 재배 면적 사이의 상관관계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로부터 네이처는 2013년 5월 2일 자에서 시바 등의 주장은 오류라고 결론 내렸다[468].
6. 환경 영향
가뭄 저항성은 식물이 낮은 수위에서도 생존할 수 있게 하는 크라술라세아산 대사(CAM) 메커니즘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수정하여 얻어진다. 이는 벼, 밀, 콩, 포플러와 같이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 물 부족 환경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16][117] 벼, 유채, 토마토 등은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높이기 위해 유전자 변형되었다.[118][119]
영국 요크 대학교의 과학자들은 2011년에 TNT와 RDX 폭발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는 애기장대를 개발했다.[162] 미국에서는 국토의 1.5%에 해당하는 1600만ha가 TNT와 RDX로 오염된 것으로 추정된다.[163] 그러나 ''애기장대''는 군사 실험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충분히 강하지 않아, 2016년에는 스위치그래스와 갯잔디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64]
유전자 변형 식물은 수은, 셀레늄, 폴리염화 바이페닐(PCB)과 같은 유기 오염 물질로 오염된 토양의 생물 정화에 사용되어 왔다.[163][165]
해양 환경은 원유 유출과 같은 오염에 취약하다. 매년 수백만 톤의 석유가 자연적 누출로 해양에 유입된다. 독성에도 불구하고, 해양에 유입되는 석유의 상당 부분은 미생물 군집의 탄화수소 분해 활동으로 제거된다. 특히, 탄화수소 분해 박테리아(HCCB)는 유용한 유전자를 제공할 수 있다.[166]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연구자들은 화성에서 식물 생명체 건설을 돕기 위해 온실이나 폐쇄 생태계인 바이오돔에서 살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식물 또는 씨앗을 설계하고 있다. NIAC는 화성 표토 및 화성의 대기의 혹독한 환경(자외선, 극심한 추위, 낮은 대기압, 과염소산염, 가뭄 내성 등)을 견딜 수 있도록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연구를 후원하고 있다.[189] 이러한 식물과 씨앗은 화성 테라포밍을 위한 생태계를 시작하기 위해 야외에서 시험될 수 있다.[190][191][192][193]
독성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해당 독성에 내성을 가진 해충이 생겨날 수 있다.[194]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제초 방법의 다양성 부족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14종의 잡초와 콩에서 글리포세이트 내성이 확산되었다.[188][4]
Bacillus thuringiensis(Bt) 작물에 대한 내성을 줄이기 위해, 1996년 유전자 변형 면화와 옥수수 상업화와 함께 곤충 내성 관리 계획이 의무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계획은 해충의 큰 개체군을 장려하여 내성 유전자가 개체군 내에서 희석되도록 하는 것이다. 내성은 스트레스 요인인 Bt가 없을 때 진화적 적합성을 낮추며, 피난처에서 내성이 없는 계통이 내성이 있는 계통보다 경쟁력이 높다.[195]
충분히 높은 수준의 형질전환체 발현은 이형 접합체(S/s)의 거의 전부가 성숙하기 전에 죽어 내성 유전자의 자손 전달을 막을 수 있다.[196] 형질전환 작물과 인접한 피난처(비형질전환 식물 재배지)는 동형 접합체 내성 개체(s/s) 및 생존한 이형 접합체가 내성 대립 유전자를 가진 다른 개체 대신 피난처에서 온 감수성 개체(S/S)와 교배할 가능성을 높인다. 결과적으로 개체군에서 내성 유전자 빈도는 낮게 유지된다.
여러 요인이 고용량/피난처 전략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열 스트레스가 Bt 독소 생산을 낮춰 식물을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 프로모터의 DNA 메틸화로 인한 늦은 계절 발현 감소도 기록되었다.[197] Bt 작물의 가치는 낮은 초기 내성 대립 유전자 빈도, 내성과 관련된 적합성 비용, 피난처 외부의 비 Bt 숙주 식물의 풍부함 등 관리 전략과 무관한 요인 덕분에 유지되어 왔다.[198]
Bt 종자를 생산하는 회사들은 여러 Bt 단백질을 가진 계통을 도입하고 있다. 몬산토는 이를 인도의 Bt 면화에 적용하여 빠르게 채택되었다.[199] 몬산토는 또한 농지에 피난처 구현을 단순화하기 위해 Bt 종자와 혼합된 일정 비율의 피난처(비형질전환) 종자를 판매하는 "가방 내 피난처"(RIB)를 판매하기 시작했다.[200] 이 전략은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한 Bt 내성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지만, 유럽 옥수수 천공충과 같은 나비목 옥수수 해충의 내성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종자 혼합물에 대한 내성 우려가 증가하는 요인으로는 Bt 식물에 있는 부분적으로 내성이 있는 유충이 생존하기 위해 감수성 식물로 이동하거나, 피난처 꽃가루가 Bt 식물로 교차 수분되어 이삭을 먹는 곤충의 씨앗에 발현되는 Bt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201][202]
잡초 방제를 위한 최적 관리 기법(BMP)은 저항성 발생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BMP에는 서로 다른 작용 기작을 가진 여러 제초제 살포, 작물 교대, 무잡초 종자 파종, 정기적인 포장 점검, 장비 청소, 포장 경계 유지 등이 포함된다.[188] 가장 널리 재배되는 유전자 변형 작물은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2006년까지 일부 잡초 개체군은 동일한 제초제에 내성을 갖도록 진화했다. 털비름은 목화와 경쟁하는 잡초로, 2006년에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저항성이 처음 발견되었다.[203][204]
농부들은 일반적으로 해충 저항성 작물을 심을 때 살충제 사용량을 줄인다. 옥수수 농장에서의 살충제 사용량은 1995년 에이커당 약 0.10kg에서 2010년 약 0.01kg로 감소했다. 이는 Bt 옥수수와 면화의 영향으로 유럽 옥수수 천공충 개체수가 감소한 것과 일치한다. 최소 피난처 요건 설정은 Bt 저항성 진화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일부 Bt 형질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나고 있다.[188] 콜롬비아에서는 유전자 변형 면화로 살충제 사용량이 25% 감소했고, 제초제 사용량이 5% 감소했으며, 유전자 변형 옥수수로 살충제와 제초제 사용량이 각각 66%와 13% 감소했다.[205]
최소 30% 이상의 작물 잔여물을 토양 표면에 남겨두는 보존 경운은 바람과 물에 의한 토양 침식을 줄이고, 보수력을 높이며, 토양 황폐화와 물 및 화학 물질 유출을 줄여준다. 또한, 보존 경운은 농업의 탄소 발자국을 줄인다.[206] 1996년부터 2006년까지 12개 주를 대상으로 한 2014년 연구에 따르면 제초제 내성(HT) 콩 사용이 1% 증가하면 보존 경운이 0.21% 증가하고 품질 조정 제초제 사용이 0.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6]
수확량 증가, 토지 사용 감소, 비료 사용 감소 및 농업 기계 사용 감소는 농업 관련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선순환을 만든다. 이러한 감소는 EU 전체 농업 배출량의 7.5% 또는 3,300만 톤의 이산화탄소, 콜롬비아에서 876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로 추정된다.[207][205]
가뭄 저항성 작물은 물 부족 지역에서 수확량을 증가시켜 새로운 지역에서의 농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가나에서 가뭄 저항성 옥수수를 도입한 결과 수확량이 150% 이상 증가하고 상업화 강도가 높아졌지만, 농가 소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208]
바이러스 저항성 품종은 바이러스 피해는 줄지만, 해충에 의한 식해나 해충에 의해 매개되는 세균성 병해에 취약해진다는 보고가 있다.[280] 예를 들어, 호박의 일종인 스쿼시를 바이러스 내성으로 만들 경우, 바이러스가 확산되었을 때는 바이러스 저항성 품종의 생산성이 높지만, 해충인 오이 딱정벌레가 건강한 식물체인 바이러스 저항성 품종을 선호하여 식해하기 때문에, 오이 딱정벌레가 매개하는 ''Erwinia''속 세균 등의 병해가 증가한다.
유전자 변형 작물을 일반 포장에서 재배하기 전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카르타헤나 의정서에 따라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과학적으로 평가된다.
각각 "경쟁 우위에 의한 생물 다양성 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유해 물질 생성성에 의한 생물 다양성 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교잡성에 의한 생물 다양성 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로 평가된 후에, 농림수산 대신 및 환경 대신으로부터 일반 포장에서의 재배가 승인된다.
꽃과 같은 비식용 유전자 변형 작물에 관해서는 카르타헤나 의정서에 따른 승인만 요구되며, 식품으로서의 안전성 심사는 필요하지 않다.
1994년에 Flavr Savr가 출시된 이후, GM 작물은 1996년 미국에서 콩 재배가 시작된 이후 꾸준히 보급되어 왔다. 2015년 현재, 전 세계 콩 재배 면적의 83%, 옥수수의 29%, 면화의 75%, 카놀라의 24%가 GM 작물이다(ISAAA 조사). 특히 식생활 변화에 따른 육류 소비 증가를 배경으로 한 사료용 곡물 수요 증가는 해충, 제초제에 대한 내성이 높고 생산성도 높은 GM 작물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394][268]
콩 재배 면적 확대는 광우병(BSE) 문제와 관련이 있다. 광우병으로 인해 가축 사료로서 육골분 사용이 꺼려지면서 이를 대체하는 단백질원으로 콩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395] 그 결과, 유전자 변형 품종 비율이 높은 콩 재배 면적이 유전자 변형 작물 재배 면적 증가로 이어졌다.
그 외, 옥수수 재배 증가에는 바이오에탄올 증산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미국을 시작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등 각국으로 보급되었으며,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재배 면적은 다음과 같다(ISAAA 조사).
연도 | 재배 국가 수 | 재배 면적 |
---|---|---|
2006 | 22 | 1.02억ha |
2007 | 23 | 1.143억ha |
2008 | 25 | 1.25억ha |
2009 | 25 | 1.34억ha |
2010 | 29 | 1.48억ha |
2011 | 29 | 1.6억ha |
2012 | 28 | 1.703억ha |
2013 | 27 | 1.7519999999999998억ha |
2014 | 28 | 1.815억ha |
2015 | 28 | 1.797억ha |
2015년에 처음으로 재배 면적이 감소한 주된 이유는 2015년 농산물 가격 하락으로 여겨졌다(ISAAA 조사). 참고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관방 통계부에 따르면, 2009년 일본의 전체 경작 면적은 약 459.99999999999994만ha이다.[397] 또한,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2006년 전 세계 재배 면적은 경작 면적 약 14.117170000000002억ha와 영년성 작물 재배 면적 1.41976억ha를 합한 15.53693억ha였다. 즉, 2012년에는 전 세계 경작 면적의 약 12%, 경작 면적 + 영년성 작물 재배 면적의 약 11%에서 유전자 변형 작물이 재배되었다.
2015년 유전자 변형 작물 생산국은 다음과 같다.
지역 | 국가 |
---|---|
북미 | 미국, 캐나다 |
중남미 | 멕시코, 온두라스, 콜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브라질,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
아시아, 오세아니아 |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파키스탄, 미얀마, 필리핀, 베트남, 방글라데시, 오스트레일리아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부르키나파소, 수단 |
유럽 | 포르투갈, 스페인, 체코,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
일본에서는 유전자 변형 장미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최근 특징으로, 여러 형질(stacked traits)이 도입된 품종의 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ISAAA 조사, 미국 농무부(USDA) 조사[398]). 여러 형질이란, 여러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나 제초제 내성과 해충 저항성을 함께 갖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유전자가 도입된 여러 유전자 변형 작물을 교배하여 만들어진다.
한국은 많은 양의 곡물을 수입하고 있으며, 그 상당량은 이미 유전자 변형 품종으로 추정된다.
유전자 변형 작물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평가를 할 때 중요한 것은 무엇과 비교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세포 융합이나 종간 교잡, 돌연변이 육종, 고전적 교배를 포함한 종래의 방법으로 육종된 품종이나, 관행 농법(관행 재배)이나 유기농업, 자연 농법과의 비교를 실시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평가를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해 종합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유채인 카놀라의 낙곡 발아나 다른 배추속 식물과의 교잡, 대두에 관해서는 자생하고 있는 야생종(원종)인 돌콩과의 교잡 가능성이 지적되어, 다양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일본에는 옥수수와 교잡 가능한 야생 식물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전자 변형 옥수수를 일본에서 재배하는 경우, 유전자 변형 옥수수에 의한 야생종으로의 유전자 오염 문제는 없다. 그래서, 카놀라와 대두의 교잡 문제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래 유전자 변형 작물이 가지고 있고 야생 식물이 가지고 있지 않은 형질이 유전자 변형 작물의 꽃가루 비산 등으로 인해 근연 식물과의 사이에서 교잡하여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유전자 오염). 따라서 유전자 변형 작물에서도 생태계에 대한 영향으로 유전자 변형 품종과 재래종 또는 야생종과의 교잡 위험성이 거론될 수 있다. 다만 재래종이나 야생종과의 교잡에 관해서는 유전자 변형 품종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방법으로 육종된 품종에서도 마찬가지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전자 변형 품종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유전자 변형 작물과 재래종 또는 야생종과의 교잡을 막는 수법 중 하나로, 꽃가루를 만들지 않는 웅성불임 형질이 요구되고 있다. 그 외의 해결책으로 엽록체 등의 플라스티드(plastid)나 미토콘드리아의 게놈은 기본적으로 모계 유전이기 때문에 꽃가루를 통해 확산되지 않는다는 성질을 이용하기도 한다. 모든 식물의 형질전환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티드의 DNA에 목적하는 외래 DNA를 상동 재조합에 의해 도입하여 플라스티드 내에서 발현시키는 것이다. 이것을 플라스티드 형질전환이라고 한다. 이러한 플라스티드 형질전환 식물의 외래 DNA는 형질전환 식물 자신에 결실한 종자를 통해서만 후대에 전달되므로 꽃가루를 통한 유전자 확산을 회피할 수 있다. 그 외에 자가수분하는 벼나 콩 등의 작물에서는 폐화수분성을 이용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폐화수분성이란 개화하지 않고 동일한 꽃의 수술의 꽃가루에 의해 암술이 수분하는 성질이다. 이 성질을 이용할 수 있다면 꽃가루를 통한 유전자 확산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현재는 이용되지 않지만, 이른바 "터미네이터 기술"을 이용하면 유전자 확산을 막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종자나 꽃가루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의해 서열 특이적인 재조합 효소와 그 표적 서열을 이용하여 도입 유전자를 꽃가루나 종자에서 제거하는 유전자 변형 유전자 제거 기술(genetically modified gene deletor) 등의 이용이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변형 품종을 대량으로 재배하면 유전적 다양성이 상실될 것이라는 우려도 유전자 변형 품종 특유의 문제가 아니라, 재래 품종에서도 소수의 품종의 대규모 재배에 따른 문제이다. 농업도 산업인 이상, 경영상 유리한 고품질, 저비용 등 경쟁력이 높은 품종이 나타나면 유전자 변형 작물에 국한되지 않고 재배가 확대된다. 그 과정에서 경쟁에 패한 품종은 도태된다. 그러나, 야생종이나 경쟁력이 낮은 구 품종에도 중요한 유전자나 게놈 구조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유지·보존은 중요하다.
한편,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해나가는 데 있어, 유전자 변형 기술이 크게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있다. 그 의견은,
- 기존의 육종법에서, 많은 품종을 육종 재료로 사용하여 그들에게 새로운 형질을 도입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료를 다루게 되어 곤란하다. 따라서, 비교적 소수의 품종 등밖에 육종의 재료가 될 수 없고, 육종 재료로 선택되지 않은 것의 유전자나 게놈 구조가 소실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한편,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한 경우에는, 새로운 형질을 발현시키기 위한 유전자 발현 카세트를 다수의 품종에 도입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따라서, 다수의 품종을 유지·보존하는 데 유리하다.
라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즉, 재래 품종에 유전자 변형 기술에 의해 유용한 유전자를 도입하여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재래 품종의 게놈 구조가 남기 쉬워진다는 의미이다.
카놀라 수입항 근처나 유채유 공장 근처, 나아가 그곳에 이르는 길가에서는 유전자 변형 카놀라의 자생이 확인되고 있다[445]. 2015년도 조사에서는 유채류의 일본 수입항 18곳 중 10곳 주변에서 유전자 변형체를 가진 개체가 유채류 1215개체 중 130개체 발견되었다[446]. 해당 조사에서는 겨자 또는 재래 유채와 유전자 변형 카놀라의 잡종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 외의 배추속 작물과의 교배에 관해서는 재배되는 작물이 F1 잡종이고, 그 외에도 품종의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자를 재배 농가가 매년 구입하고 있으므로, 배추속 작물에 유전자 변형 품종의 형질이 도입될 가능성은 낮다. 현재 수입되고 있는 카놀라의 종은 ''Brassica napus''(유채)이며, 복이배체의 종이기 때문에 그 게놈 구성은 AACC (2''n'' = 38)이다. 일본에서 재배되고 있는 많은 배추속 작물은 ''Brassica rapa''(게놈 구성: AA, 2''n'' = 20) 또는 ''B. oleracea''(게놈 구성: CC, 2''n'' = 18) 또는 ''B. juncea''(게놈 구성: AABB, 2''n'' = 4''x'' = 36)이며, 카놀라와의 교잡도 보고되고 있지만, 동종간에 비해 교잡과 발아의 가능성은 낮고, 또한 교잡된 것의 결실성도 낮다. 그러나 야생화된 ''B. rapa''와 유전자 변형 카놀라의 교잡 식물체(게놈 구성: AAC, 2''n'' = 3''x'' = 29)의 자생도 확인되고 있다[445]. 또한, 일본에서 재배되고 있는 ''B. napus''는 유채, 芯摘菜, かぶれ菜, 노라보 채, 미에나바나 등이다.
콩(''Glycine max'')의 원종인 돌콩(''G. soja'')은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와 시베리아에서 자생한다. 돌콩과 콩 모두 폐쇄화수분에 의한 자가수분성이 강한 식물이지만, 돌콩과 콩은 교잡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전자 변형 콩을 동아시아에서 재배하면 도입 유전자가 돌콩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그래서, 어느 정도의 교잡 빈도인지 조사하는 정량 분석이 수행되었다. 콩과 돌콩이 얽힐 정도로 혼식한 혼식구와 2m, 4m, 6m, 8m, 10m 간격으로 심은 거리구를 설정하여 실험했다. 또한, 개화기가 다른 유전자 변형 콩 품종을 여러 종류 사용하고, 파종 시기를 조절하여 최대한 돌콩과 유전자 변형 콩의 개화기를 맞추도록 했다. 그리고 돌콩에 결실된 종자만을 회수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혼식구에서는 25,741개체 중 교잡 개체는 35개체였고, 거리구(66,671개체)에서도 유전자 변형 콩에서 2m, 4m, 6m 거리구에서 교잡 개체는 각각 1개체, 8m, 10m 거리구에서는 교잡 개체가 인정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로부터, 의도적으로 교잡 빈도를 높이는 조작을 해도 유전자 변형 콩과 돌콩의 교잡은 매우 낮은 빈도임을 알 수 있었고, 일반적인 재배 조건에서는 더욱 낮은 빈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Bt 옥수수 꽃가루가 생태계에 미치는 다른 영향으로, Bt 옥수수 꽃가루가 옥수수 밭 근처의 유독 잡초인 박주가리에 묻어, 이를 먹이로 하는 나비인 왕나비 유충의 생육을 저해하여 생존율을 낮추었다는 보고가 유명하다[449]。이 논문은 실험실 내에서 박주가리 잎에 Bt 옥수수, 옥수수 재배 품종의 꽃가루를 뿌린 것과 뿌리지 않은 것을 먹이로 왕나비 유충을 사육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체중과 생존율을 측정한 것이다. 그 때, 박주가리에 살포한 꽃가루의 밀도가 정량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체중 변화나 생존율을 정량적으로 나타냈다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Bt 옥수수 재배와 관행 재배에 따른 위험 평가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며, 살충제 살포에 따른 생태계 영향이나 잔류 농약, 식해에 따른 미생물 오염 등의 위험과 Bt 옥수수의 위험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관행 농법에 의해 살충제를 살포함으로써 해충 이외의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과 Bt 옥수수 재배에 따른 영향을 상호 비교했을 때, 어느 쪽이 생태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는 것 등이다. 또한, Bt toxin을 생산하기 위한 발현 카세트의 프로모터를 꽃가루에서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함으로써, 꽃가루에 포함된 Bt toxin의 양을 격감시킬 수 있다. MON80100, Mon809처럼 Bt 단백질이 꽃가루에는 거의 포함되지 않지만 다른 조직에는 포함되는 옥수수 재조합 품종 등이 그 예이다. 또한, 모든 조직에서 강하게 발현한다고 알려진 CaMV 35s 프로모터나 그 개량된 것, 다른 바이러스의 프로모터, 유비퀴틴, 열 쇼크 단백질 유사 단백질 유전자의 프로모터 등이 Bt toxin 생산에 사용되는 재조합 품종에서도 꽃가루에는 Bt toxin이 거의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모든 조직에서 강하게 발현한다고 알려진 프로모터를 사용한 경우라도, 얻어진 형질전환 식물의 계통 중에서 Bt toxin을 꽃가루에서 생산하지 않는 계통을 선택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또한, "캠벨 생물학"에서는 이 논문과 논쟁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450]。
> 한 연구실 연구에 따르면 왕나비의 유충(애벌레)이 형질전환 ''Bt'' 옥수수 꽃가루가 많이 묻은 박주가리 잎(이들이 선호하는 먹이)을 먹은 후, 악영향을 받고 심지어 죽기까지 했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이제 신뢰를 잃었고, 과학의 자기 교정적 특성의 좋은 예를 제공한다. 결국, 원래의 (논문의) 연구자가 옥수수의 수꽃을 박주가리 잎에 실험실에서 뿌렸을 때, 수술의 꽃실이나 터진 화분낭과 다른 꽃 부분도 잎에 쏟아져 내렸다. 후속 연구는, Bt 독소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던 것은, 꽃가루가 아니라, 이러한 다른 꽃 부분임을 밝혀냈다. 꽃가루와는 달리, 이들 꽃 부분은 자연적인 포장의 환경 하에서 낙하했을 경우, 바람에 의해 인접한 박주가리 식물체로 운반되지 않는다.
이처럼 이 논문에 대한 평가는 거의 정해져 있다.
제초제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 변형 작물이 널리 보급된 요인 중 하나는 단일 약제를 한 번 사용하는 것만으로 잡초를 제거할 수 있어, 수고와 비용, 환경 부하가 기존보다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제초제를 번갈아 사용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단일 제초제에만 의존하면서 잡초가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쉽게 획득하게 되어 제초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지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451]
잡초의 저항성 획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전자 변형 작물과 이에 대응하는 단일 제초제만을 사용하는 것을 피하고, 윤작(輪作)·경작(耕作)·경운(耕起)·여러 종류의 제초제 사용과 같은 기존 방식을 조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방식으로 회귀할수록 수고, 비용, 환경 부하 등 유전자 변형 기술의 장점이 상실된다는 지적이 있다.[452][453]
7. 안전성 논란
유전자 변형 기술은 도입 이후 논란이 되어 왔다. 대부분의 논란은 작물 자체보다는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한 것이다. 유전자 변형 식품은 시위, 기물 파손, 국민 투표, 법률 제정, 법정 소송[229] 및 과학적 분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논란에는 소비자, 생명 공학 회사, 정부 규제 기관, 비정부 기구 및 과학자들이 관련되어 있다.
반대론자들은 환경 영향, 식품 안전, 유전자 변형 작물이 식량 수요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지 여부, 개발 도상국의 농부들이 유전자 변형 작물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230] 지적 재산권 법 적용에 대한 우려, 종교적 이유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유전자 변형 작물에 반대해 왔다.[231] 부수적인 문제로는 라벨링, 정부 규제 기관의 행동, 살충제 사용의 영향 및 살충제 내성이 있다.
유전자 변형 작물 사용에 대한 중요한 환경적 우려는 관련 작물과의 교배 가능성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품종보다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한 가지 예는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에 내성을 가진 벼 작물이 잡초와 교배하여 잡초에게 경쟁 우위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이 유전자 변형 잡종은 비유전자 변형 잡종보다 광합성률이 높고, 줄기와 꽃이 많았으며, 씨앗도 더 많았다.[232] 이는 유전자 변형 작물 사용으로 인한 생태계 피해 가능성을 보여준다.
유전자 변형 작물 개발에서 생물 해적 행위의 역할 또한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선진국이 개발 도상국의 유전자원을 사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얻었기 때문이다. 20세기 동안 국제 벼 연구소는 아시아 농장에서 수집한 약 8만 종의 벼 유전체를 목록화했는데, 이는 이후 새로운 고수확 벼 품종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이 새로운 품종은 매년 호주, 미국, 캐나다 및 뉴질랜드에 약 6.55억달러의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준다.[233]
현재 시판되는 유전자 변형 작물에서 얻은 식품이 기존 식품보다 인체 건강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과학적 합의가 있으며, 각 유전자 변형 식품은 도입 전에 개별적으로 테스트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은 과학자보다 유전자 변형 식품을 안전하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훨씬 낮다. 유전자 변형 식품의 법적 및 규제적 지위는 국가별로 다르며, 일부 국가는 유전자 변형 식품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다른 국가는 광범위하게 규제하여 허용한다.
인구 집단에서 유전자 변형 식품으로 인한 유해한 영향에 대한 보고는 문서화된 바 없다.[234][235][236] 유전자 변형 작물 라벨링은 많은 국가에서 요구되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은 그렇지 않으며, 승인된 유전자 변형 식품과 비유전자 변형 식품을 구별하지도 않는다.[237] 미국은 2018년 7월까지 라벨링 규정을 발급하도록 요구하는 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전화번호, 바코드 또는 웹사이트와 같은 간접적인 공개를 허용한다.[238]
식품 안전 센터(Center for Food Safety), 우려 과학자 연합(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그린피스와 같은 옹호 단체들은 유전자 변형 식품과 관련된 위험이 적절하게 검토되고 관리되지 않았으며, 유전자 변형 작물이 충분히 테스트되지 않았고 라벨링되어야 하며, 규제 당국과 과학 단체가 업계와 너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유전자 변형 작물이 해를 입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239][240] 이러한 연구 중 6개의 데이터를 재분석한 2016년 검토 결과, 해당 연구의 통계적 방법론에 결함이 있어 해를 입증하지 못했으며, 유전자 변형 작물의 안전성에 대한 결론은 "단일 연구에서 나온 터무니없는 증거가 아닌... 증거의 전체"에서 도출해야 한다고 밝혔다.[241]
8. 한국의 상황
현재 한국의 법률 및 규정에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과 그 가공식품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어,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본에서는 식품위생법과 일본 농림 규격 등에 관한 법률(JAS법)에 근거하여 유전자 변형 농산물 및 가공식품에 대한 표시 규칙이 정해져 있으며, 2001년 4월부터 의무화되었다.[426] 표시 의무 대상은 대두, 옥수수, 감자, 유채, 면실, 알팔파, 사탕무, 파파야의 8가지 농산물과 이를 원재료로 한 가공식품 33가지 품목 군, 그리고 고올레산 유전자 변형 대두와 고리신 옥수수 및 이를 주요 원재료로 사용한 가공식품(대두유 등)이다.[426]
분리 유통 관리(IP 핸들링)를 통해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섞이지 않도록 관리하고, 서류 등으로 증명된 경우에는 '유전자 변형 아님'을 표시할 수 있다.[426] 그러나, 분리 유통 관리를 하더라도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5% 이하로 의도치 않게 섞이는 것은 허용된다.[426]
가공 과정에서 DNA나 단백질이 제거/분해되어 검출되지 않는 유지, 간장 등의 가공식품은 표시 의무가 없지만, 임의로 '유전자 변형', '유전자 변형 불분리' 또는 '유전자 변형 아님'을 표시할 수 있다.[426]
안전성 심사를 거친 8가지 유전자 변형 농산물 외의 농산물(예: 쌀, 밀) 및 가공식품에는 '유전자 변형 아님' 표시를 할 수 없다.[426][429] 이는 해당 농산물이 원래 비유전자 변형이기 때문에 오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426]
주류의 경우, 국세청 고시에 따라 농림수산대신의 정하는 기준의 가공식품 규정을 준용하여 유전자 변형 관련 표시를 해야 한다.[427][426]
고올레산 대두나 고리신 옥수수와 같이 기존 농산물과 성분, 영양가 등이 현저하게 다른 유전자 변형 농산물 및 가공식품은 JAS법에 따라 '고올레산 유전자 변형' 등으로 표시해야 한다.
9. 윤리적 문제 및 사회적 논쟁
유전자 변형 작물의 개발 및 이용에 대해서는 찬성 측과 반대 측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243] 주요 논점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경제 문제, 윤리적인 측면, 식품으로서의 안전성 등이다.[243]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윤리적 문제 및 사회적 논쟁은 다음과 같다.
논쟁 주제 | 내용 | 찬성 측 주장 | 반대 측 주장 |
---|---|---|---|
생태계 영향 | 유전자 변형 작물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단일 작물/품종 대규모 재배(모노컬처) 문제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음 | |
경제 문제 | 종자 독점, 농가 자가 채종 제한 등 | 유전자 변형 작물이 수확량이 높고 경제적으로 유리함[268] | * 유전자 변형 품종 개발 기업의 종자 지배 및 식량 생산 통제 우려[454] |
윤리적 문제 | 유전자 조작 자체에 대한 거부감 | 골든 라이스 등 인도적 목적의 유전자 변형 작물 개발 | 종교적, 신념적 이유로 유전자 조작 자체 혐오 |
식품 안전성 | 유전자 변형 작물 자체의 안전성 문제 | 특정 유전자 변형 작물이 아닌 유전자 변형 조작 자체가 식품 안전성을 해친다는 주장[243] |
- 생태계 영향: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 경제 문제에 관해서는 단일 작물이나 품종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것(모노컬처)에 수반되는 여러 문제를 유전자 변형 작물 특유의 문제와 혼동하여 논의되는 경우가 많다.[243]
- 경제 문제: 유전자 변형 품종을 개발한 기업이 종자 지배를 통해 식량 생산을 통제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454] 대부분 유전자 변형 종자 판매 회사와 생산 농가는 수확한 종자를 다음 작물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계약을 맺고 있다.[454] 몬산토사는 농가의 자가 채종에 대해 "특허 침해"로 많은 소송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에 반발하는 농가도 존재한다.[454] 그 외 농가에 의한 자가 채종에는 경제적인 측면 외에도, Bt toxin 생산 작물 등의 해충 저항성 품종에 관해서는 Bt toxin 저항성 해충의 출현을 조장한다는 중대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268] 유전자 변형 작물이 수확량이 낮다는 지적(Benbrook reports[455] 등)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유전자 변형 작물이 수확량이 높고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보고도 있다.
- 윤리적 문제: 종교적 또는 기타 신념에 따라 유전자 조작 자체를 혐오하며 반대 활동을 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480][481][482] 한편, 골든 라이스와 같이 인도적인 것에까지 반대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발도 있다.[480][481][482]
- 식품 안전성: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에 관해, 특정 유전자 변형 작물이 아니라 유전자 변형 조작 자체가 식품 안전성을 해치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243] 그러한 주장의 근거가 되는 연구에 대해 실험 설계의 미비나 데이터 해석상의 오류를 다수 지적하는 한편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반론도 있다.[243]
사례 연구
- 퍼시 슈마이저 사건: 1998년, 캐나다 몬산토사는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의 농부 퍼시 슈마이저의 농장에서 라운드업 저항성 유채(카놀라)가 무허가로 재배되고 있다는 이유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464][465][466] 슈마이저는 종자에 특허가 존재하지 않으며, 농장의 유채 대부분이 라운드업 저항성 유채가 된 것은 의도적인 재배가 아니라 주변의 유전자 변형 유채에 의한 "유전자 오염"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캐나다 대법원은 몬산토의 특허 침해를 인정하여 슈마이저는 패소했다.[464][465][466]
- 인도 농민 자살 문제: 인도에서는 2002년부터 유전자 변형 Bt 면화가 도입되어 재배 면적이 급격히 확대되었다. 반다나 시바 등은 유전자 변형 Bt 면화 종자의 도입이 농민을 빚더미에 앉혀 자살로 내몰았다고 주장했다.[467] 그러나 다른 조사에 따르면, 인도 농민의 자살자 수는 유전자 변형 Bt 면화 도입 전후 큰 변화가 없었고, 자살자 수와 유전자 변형 Bt 면화 재배 면적 사이의 상관관계도 발견되지 않았다.[468]
- 골든 라이스 논쟁: 세계 보건 기구(WHO)와 유엔 아동 기금(UNICEF)은 비타민 A 결핍증[469]을 해결하기 위해 쌀에 β-카로틴을 포함시켜 비타민 A 결핍증을 완화하려고 육종된 골든 라이스 개발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472] 그러나 반다나 시바는 사과 하나로 비타민을 보충할 수 있으며, 골든 라이스 같은 획일적인 포장(圃場)을 만들기 위해 쓰러진 약초로 비타민을 보충하던 인도 아이들이 실명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골든 라이스에 반대한다.[473] 이러한 주장에 대해 영양학적인 반론과 빈곤 가정의 사람들이 균형 잡힌 식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비타민 A 결핍증에 빠지고 있다는 현실을 무시하고 있다는 반론이 있다.[474][475]
참조
[1]
웹사이트
ISAAA 2013 Annual Report
http://www.isaaa.org[...]
2013
[2]
논문
Impact of genetically engineered maize on agronomic, environmental and toxicological traits: a meta-analysis of 21 years of field data
2018-02
[3]
웹사이트
Study Says Overuse Threatens Gains From Modified Crops
https://www.nytimes.[...]
2010-04-13
[4]
논문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nd pesticide use in U.S. maize and soybeans
2016-08
[5]
논문
The human health benefits from GM crops
2020-04
[6]
논문
Bt Cotton and Farmer Suicides in India: An Evidence-based Assessment
[7]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The Origin and Spread of Domesticated Plants in Southwest Asia,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Basi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3-01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aize cultivation in southern Mexico dates back 9,000 years.
https://www.nytimes.[...]
2010-05-25
[9]
서적
The Origins and Spread of Domestic Plants in Southwest Asia and Europe
https://archive.org/[...]
Left Coast Press
[10]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polyploidy and hybrid vigor
2010-02
[11]
논문
Plant genetic resources: what can they contribute toward increased crop productivity?
1999-05
[12]
논문
Mutation induction and tissue culture in improving fruits
[13]
서적
Advances in Agronomy Volume 58
[14]
논문
How restriction enzymes became the workhorses of molecular biology
2005-04
[15]
논문
Enzymatic breakage and joining of deoxyribonucleic acid, I. Repair of single-strand breaks in DNA by an enzyme system from Escherichia coli infected with T4 bacteriophage
1967-04
[16]
논문
Cell genetics and hereditary symbiosis
http://profiles.nlm.[...]
1952-10
[17]
웹사이트
"Agrobacterium": The Natural Genetic Engineer (100 Years Later)
http://www.apsnet.or[...]
2012-10-05
[18]
논문
Ti plasmid vector for the introduction of DNA into plant cells without alteration of their normal regeneration capacity
[19]
웹사이트
Transforming Plants – Basic Genetic Engineering Techniques
http://www.accessexc[...]
2010-01-28
[20]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he "Gene Gun" At Cornell
http://www.nysaes.co[...]
1999-02
[21]
논문
Biologists Invent Gun for Shooting Cells with DNA Issue
http://ecommons.corn[...]
1987-05-14
[22]
웹사이트
Timelines: 1987: Next The gene gun
http://www.lifescien[...]
[23]
논문
Floral dip: a simplified method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Arabidopsis thaliana
1998-12
[24]
논문
Demonstration of CRISPR/Cas9/sgRNA-mediated targeted gene modification in Arabidopsis, tobacco, sorghum and rice
2013-11
[25]
논문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 and Foods: A Scientist's Analysis of the Issues (Part I)
[26]
논문
A chimaeric antibiotic resistance gene as a selectable marker for plant cell transformation. 1983
[27]
웹사이트
Global Review of the Field Testing and Commercialization of Transgenic Plants: 1986 to 1995
http://www.isaaa.org[...]
The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1996
[28]
논문
Transgenic plants protected from insect attack
[29]
간행물
Global Status of Transgenic Crops in 1997
http://www.isaaa.org[...]
[30]
잡지
Transgenic tobacco is European first
https://www.newscien[...]
1994-06-18
[31]
뉴스
Genetically Altered Potato Ok'd For Crops
https://news.google.[...]
1995-05-06
[32]
웹사이트
A1274 - Food derived from disease-resistant banana line QCAV-4
https://www.foodstan[...]
2024-02-21
[33]
웹사이트
How To Genetically Modify a Seed, Step By Step
http://www.popsci.co[...]
2011-01-24
[34]
웹사이트
Bombarded - Define Bombarded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35]
논문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cereals: a promising approach crossing barriers
2006-11
[36]
서적
Genetically modified crops
Imperial College Press
2012
[37]
논문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social concerns
2011-07
[38]
웹사이트
Information Systems for Biotechnology News Report
http://www.isb.vt.ed[...]
[39]
논문
Hierarchical metabolomics demonstrates substantial compositional similarity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and conventional potato crops
2005-10
[40]
논문
The development of Arabidopsis as a model plant
2010-03
[41]
논문
Expression of an Arabidopsis sodium/proton antiporter gene (AtNHX1) in peanut to improve salt tolerance
2012-01-01
[42]
웹사이트
GM corn set to stop man spreading his seed
https://www.theguard[...]
2001-09-09
[43]
논문
Plants for delivery of edible vaccines
2000-04
[44]
논문
Possible consequences of the overlap between the CaMV 35S promoter regions in plant transformation vectors used and the viral gene VI in transgenic plants
[45]
웹사이트
First plant-made drug on the market
http://blogs.nature.[...]
2012-05-02
[46]
간행물
NWT magazine
2011-04
[47]
웹사이트
Molecular Physiology
http://www.plantsci.[...]
University of Cambridge
[48]
논문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cyanobacterial CO2-concentrating-mechanism (CCM): functional components, Ci transporters, diversity, genetic regulation and prospects for engineering into plants
2008
[49]
논문
Increased leaf size: different means to an end
2010-07
[50]
논문
Auxin patterns Solanum lycopersicum leaf morphogenesis
http://dev.biologist[...]
2009-09
[51]
논문
Higher Stomatal Density Improves Photosynthetic Induction and Biomass Production in Arabidopsis Under Fluctuating Light
2020-10
[52]
웹사이트
One Per Cent: Grow your own living lights
https://www.newscien[...]
2013-05-04
[53]
논문
Cisgenic plants are similar to traditionally bred plants: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should be altered to exempt cisgenesis
[54]
웹사이트
How the humble potato could feed the world
https://www.newscien[...]
2008-08-02
[55]
웹사이트
Beijing Researchers Use Gene Editing to Create Disease-Resistant Wheat | MIT Technology Review
http://www.technolog[...]
Technologyreview.com
2014-07-19
[56]
논문
Simultaneous editing of three homoeoalleles in hexaploid bread wheat confers heritable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2014-09
[57]
논문
Gene-edited CRISPR mushroom escapes US regulation
2016-04
[58]
웹사이트
The next generation of GMO food is here, and it's technically not a GMO
https://www.business[...]
2016-04-18
[59]
논문
Optimized breeding strategies for multiple trait integration: III. Parameters for success in version testing
[60]
웹사이트
Economic Impact of Transgenic Crops in Developing Countries
http://www.agbioworl[...]
[61]
논문
Economic and agronomic impact of commercialized GM crops: A meta-analysis
[62]
논문
A Meta Analysis on Farm-Level Costs and Benefits of GM Crops
https://www.research[...]
[63]
논문
Areawide suppression of European corn borer with Bt maize reaps savings to non-Bt maize growers
http://lib.dr.iastat[...]
2010-10
[64]
웹사이트
'Good neighbor' corn fights borers at home, nearby
https://www.seattlet[...]
2010-10-07
[65]
논문
Surplus Distribution from the Introduction of a Biotechnology Innovation
[66]
서적
GM crops: glob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1996-2010
http://www.pgeconomi[...]
PG Economics Ltd.
[67]
논문
Genetic Engineering of Livestock: The Opportunity Cost of Regulatory Delay
Annual Reviews (publisher)
2021-02-16
[68]
논문
The Loss from Underutilizing GM Technologies
http://agbioforum.or[...]
Illinois Missouri Biotechnology Alliance
2022-02-17
[69]
논문
Bales and balance: A review of the methods used to assess the economic impact of Bt cotton on farmers in developing economies
http://www.agbioforu[...]
[70]
논문
Planting the futur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using crop genetic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http://www.easac.eu/[...]
2013-06-27
[71]
논문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lifeline for livestock-a review.
http://www.cabdirect[...]
2010
[72]
논문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4
http://isaaa.org/res[...]
2014
[73]
웹사이트
The Planet Versus Monsanto
https://www.forbes.c[...]
2009-12-31
[74]
뉴스
The Seeds Of A Monsanto Short Play
https://www.forbes.c[...]
2009-06-26
[75]
웹사이트
Monsanto Roundup Ready Soybean Patent Expiration Ushers in Generic GMOs
http://www.technolog[...]
2015-10-22
[76]
뉴스
Monsanto Will Let Bio-Crop Patents Expire
http://www.businessw[...]
2010-01-21
[77]
웹사이트
Roundup Ready Soybean Patent Expiration
http://www.monsanto.[...]
Monsanto
[78]
웹사이트
Monsanto ~ Licensing
http://www.monsanto.[...]
Monsanto.com
2008-11-03
[79]
뉴스
Monsanto GMO Ignites Big Seed War
https://www.npr.org/[...]
[80]
웹사이트
Syngenta US | Corn and Soybean Seed – Garst, Golden Harvest, NK, Agrisure
http://www.syngenta.[...]
Syngenta.com
[81]
웹사이트
Agronomy Library – Pioneer Hi-Bred Agronomy Library
https://www.pioneer.[...]
Pioneer.com
2015-03-01
[82]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impacts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83]
뉴스
Genetically modified crops - Field research
https://www.economis[...]
2016-10-03
[84]
서적
Failure To Yield -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http://www.ucsusa.or[...]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09-04
[85]
뉴스
Rice and maize yields boosted up to 10 per cent by CRISPR gene editing
https://www.newscien[...]
2022-04-19
[86]
논문
Convergent selection of a WD40 protein that enhances grain yield in maize and rice
https://www.science.[...]
2022-03-25
[87]
웹사이트
SeedQuest - Central information website for the global seed industry
https://www.seedques[...]
[88]
웹사이트
Bt Brinjal in India - Pocket K - ISAAA.org
http://www.isaaa.org[...]
[89]
논문
The case of the FLAVR SAVR tomato
http://ucanr.org/rep[...]
[90]
서적
Food Fray
Amacom Publishing
2008-12
[91]
웹사이트
U.S.D.A. Approves Modified Potato. Next Up: French Fry Fans
https://www.nytimes.[...]
2014-11-07
[92]
웹사이트
J.R. Simplot Co.; Availability of Petition for Determination of Nonregulated Status of Potato Genetically Engineered for Low Acrylamide Potential and Reduced Black Spot Bruise
https://www.federalr[...]
2013-05-03
[93]
웹사이트
Gene-Altered Apples Get U.S. Approval
https://www.nytimes.[...]
2015-02-13
[94]
웹사이트
First Genetically Modified Apple Approved for Sale in U.S.
https://www.wsj.com/[...]
2016-10-03
[95]
웹사이트
Apple-to-apple transformation
http://www.arcticapp[...]
2012-08-03
[96]
웹사이트
Arctic apples FAQ
http://www.arcticapp[...]
Arctic Apples
2016-10-03
[97]
웹사이트
FDA concludes Arctic Apples and Innate Potatoes are safe for consumption
https://www.fda.gov/[...]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03-20
[98]
논문
Improving photosynthesis and crop productivity by accelerating recovery from photoprotection
2016-11
[99]
뉴스
Plants modified to boost photosynthesis produce greater yields, study shows
https://www.theguard[...]
2019-07-27
[100]
웹사이트
How GM crops can help us to feed a fast-growing world
https://theconversat[...]
2017-01-24
[101]
웹사이트
Advanced genetic tools could help boost crop yields and feed billions more people.
https://www.technolo[...]
2018-08-10
[102]
웹사이트
'Supercharged' GMO rice could increase yields 50 percent with improved photosynthesis
https://geneticliter[...]
2017-10-24
[103]
논문
Improvement of photosynthesis in rice (Oryza sativa L.) by inserting the C4 pathway
2013-10
[104]
논문
Improving photosynthesis
2013-08
[105]
웹사이트
In a Bean, a Boon to Biotech
https://www.nytimes.[...]
2013-11-15
[106]
웹사이트
Crop plants – "green factories" for fish oils
http://www.rothamste[...]
2013-11-14
[107]
논문
Successful high-level accumulation of fish oil omega-3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a transgenic oilseed crop
2014-01
[108]
웹사이트
About Golden Rice
http://www.irri.org/[...]
2012-08-20
[109]
논문
Grants aim to fight malnutrition
[110]
웹사이트
WTF Happened to Golden Rice?
https://www.motherjo[...]
2016-02-03
[111]
논문
The BioCassava plus program: biofortification of cassava for sub-Saharan Africa
[112]
간행물
Maize in Africa, Anticipating Regulatory Hurdles
http://www.ilsi.org/[...]
2011-01
[113]
웹사이트
Australia continues to test drought-resistant GM wheat
http://www.gmo-compa[...]
2008-07-16
[114]
웹사이트
USA: USDA allows large-scale GM eucalyptus trial
http://www.gmo-compa[...]
2011-05-14
[115]
논문
Plant breeding: Discovery in a dry spell
2013-09
[116]
웹사이트
Scientists aim to develop drought-resistant crops using genetic engineering
https://www.independ[...]
2017-12-04
[117]
서적
Drought Stress Tolerance in Plants
Springer
2016
[118]
웹사이트
Biotechnology with Salinity for Coping in Problem Soils
http://www.isaaa.org[...]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
[119]
웹사이트
Genetic change could make crops thrive on salty soils
https://www.scidev.n[...]
2009-07-22
[120]
웹사이트
ISAAA Brief 55-2019: Executive Summary
https://www.isaaa.or[...]
2023-09-29
[121]
논문
Current state of herbicides in herbicide-resistant crops
https://onlinelibrar[...]
2014-01-20
[122]
논문
Herbicide tolerant soybeans: Why growers are adopting Roundup Ready varieties
http://agbioforum.or[...]
[123]
논문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CP4 EPSPS-Based, Glyphosate-Tolerant Corn Event
http://crop.scijourn[...]
2005-01-01
[124]
논문
Molecular basis for the herbicide resistance of Roundup Ready crops
2006-08
[125]
논문
Transgenic tobacco is European first
https://www.newscien[...]
1994-06-18
[126]
서적
Plant biotechnology: current and potential impact for improving pest management in US agriculture: an analysis of 40 case studies.
http://www.massey.ac[...]
National Center for Food and Agricultural Policy
2002-06
[127]
웹사이트
Attack of the Superweed
https://www.bloomber[...]
2011-09-08
[128]
웹사이트
New Herbicide Resistant Crops Being Considered By USDA
http://midwestwinepr[...]
2013-08-24
[129]
웹사이트
Gene list: aad1
http://www.isaaa.org[...]
2015-02-27
[130]
웹사이트
EPA Announces Final Decision to Register Enlist Duo, Herbicide Containing 2, 4-D and Glyphosate/Risk assessment ensures protection of human health, including infants, children
http://yosemite.epa.[...]
2014-10-15
[131]
웹사이트
EPA Documents: Registration of Enlist Duo
http://www2.epa.gov/[...]
2014-09-18
[132]
논문
Utility of Aryloxyalkanoate Dioxygenase Transgenes for Development of New Herbicide Resistant Crop Technologies.
http://www.isb.vt.ed[...]
2011-05
[133]
웹사이트
The USDA Approved a New GM Crop to Deal With Problems Created by the Old GM Crops
http://www.smithsoni[...]
2014-09-25
[134]
웹사이트
2,4-D- and Dicamba-tolerant Crops – Some Facts to Consider
https://www.extensio[...]
2012-11
[135]
웹사이트
Widespread crop damage from dicamba herbicide fuels controversy - August 21, 2017 Issue - Vol. 95 Issue 33 - Chemical & Engineering News
https://cen.acs.org/[...]
[136]
웹사이트
Iowa Soybeans: Dicamba – How Many Hours Were Available to Spray in 2017?
http://agfax.com/201[...]
2017-09-19
[137]
웹사이트
Pest & Crop Newsletter
https://extension.en[...]
Purdue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138]
뉴스
Genetically Altered Potato Ok'd For Crops]
https://news.google.[...]
Lawrence Journal-World
1995-05-06
[139]
논문
Transgenic plants protected from insect attack
[140]
웹사이트
The Present and Future Role of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Cotton in IPM
http://www.a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8-04-22
[141]
논문
RNA-Based Vaccination of Plants for Control of Viruses
2022-09-29
[142]
서적
Transgenic Plants and World Agriculture
National Academy Press
[143]
웹사이트
Genetically Altered Papayas Save the Harvest
http://www.mhhe.com/[...]
2000-02
[144]
웹사이트
The Rainbow Papaya Story
http://www.hawaiipap[...]
Hawaii Papaya Industry Association
2014-12-27
[145]
웹사이트
Genetically Engineered Distortions
https://www.nytimes.[...]
2010-05-14
[146]
웹사이트
Production Of UH Sunup Transgenic Papaya Seed In Hawaii
http://www.harc-hspa[...]
Hawaii Agriculture Research Center
2000-10
[147]
웹사이트
Genetically Engineered Foods - Plant Virus Resistance
https://scholarworks[...]
Cornell University
2016-10-03
[148]
웹사이트
How Many Foods Are Genetically Engineered?
http://ucbiotech.org[...]
University of California
2016-10-03
[149]
웹사이트
Genetic Engineering for Maize Improvement in China
http://ejbiotechnolo[...]
2015-12-01
[150]
웹사이트
FDA approves Protalix Gaucher treatment
http://www.globes.co[...]
2012-05-02
[151]
웹사이트
Julian Ma: I'm growing antibodies in tobacco plants to help prevent HIV
https://www.theguard[...]
2012-03-12
[152]
웹사이트
GM microbe breakthrough paves way for large-scale seaweed farming for biofuels
https://www.theguard[...]
2012-03-12
[153]
논문
Tailoring Microalgae for Efficient Biofuel Production
2018-11-21
[154]
웹사이트
Singapore Biodiesel Company Develops GM Jatropha- Crop Biotech Update
http://www.isaaa.org[...]
[155]
웹사이트
Genetically modified crops' results raise concern
http://www.sfgate.co[...]
2012-04-30
[156]
웹사이트
Wout Boerjan Lab
http://www.vib.be/en[...]
VIB (Flemish Institute for Biotechnology) Gent
2013-04-27
[157]
논문
Suppression of CINNAMOYL-CoA REDUCTASE increases the level of monolignol ferulates incorporated into maize lignins
2017
[158]
논문
Monolignol ferulate transferase introduces chemically labile linkages into the lignin backbone
2014-04
[158]
간행물
Redesigned crops could produce far more fuel
https://www.newscien[...]
2014-04-03
[159]
논문
Production of renewable polymers from crop plants
2008-05
[160]
뉴스
The History and Future of GM Potatoes
http://www.potatopro[...]
2012-08-31
[161]
웹사이트
GM plant grows insect sex pheromones as alternative to crop pesticides
http://allianceforsc[...]
2021-07-17
[162]
뉴스
Scientists engineer plants to eat toxic pollution
http://www.irishtime[...]
2011-09-20
[163]
웹사이트
Growing a grass that loves bombs
http://www.britishsc[...]
2011-09-20
[164]
웹사이트
New grasses neutralize toxic pollution from bombs, explosives, and munitions
https://www.scienced[...]
2016-11-30
[165]
논문
Phytoremediation of toxic elemental and organic pollutants
2000-04
[166]
서적
Microbial Biodegradation: Genomics and Molecular Biology
https://archive.org/[...]
Caister Academic Press
[167]
논문
Corn That Clones Itself
http://www.technolog[...]
2003-03-01
[168]
논문
Rapid customization of Solanaceae fruit crops for urban agriculture
2020-02
[169]
논문
Rapid breeding of parthenocarpic tomato plants using CRISPR/Cas9
2017-03
[169]
간행물
Gene editing opens doors to seedless fruit with no need for bees
https://www.newscien[...]
2017-04-11
[170]
웹사이트
Algae-gene-boosted crop plants grow better by using more light
https://newatlas.com[...]
2024-03-13
[171]
논문
Biosynthesis of chlorophyll c in a dinoflagellate and heterologous production in planta
2024-03-05
[172]
웹사이트
GM Crops List {{!}} GM Approval Database- ISAAA.org
http://www.isaaa.org[...]
2016-01-30
[173]
간행물
All the GMOs Approved In the U.S.
https://time.com/384[...]
2016-02-11
[174]
웹사이트
Lucerne - GMO Database
http://www.gmo-compa[...]
2016-02-11
[175]
뉴스
UPDATE 3-U.S. farmers get approval to plant GMO alfalfa
https://www.reuters.[...]
2016-02-11
[176]
웹사이트
Infographics: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4 - ISAAA Brief 49-2014 ! ISAAA.org
http://www.isaaa.org[...]
2016-02-11
[177]
뉴스
Round 2 for Biotech Beets
https://www.nytimes.[...]
2007-11-27
[178]
뉴스
Modified Beet Gets New Life
https://www.wsj.com/[...]
2016-02-15
[179]
웹사이트
Facts and trends - India
http://www.isaaa.org[...]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180]
문서
No official public documentation available
[181]
웹사이트
Executive Summary: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4 - ISAAA Brief 49-2014 ! ISAAA.org
http://www.isaaa.org[...]
2016-02-16
[182]
웹사이트
Facts and trends-Mexico
http://www.isaaa.org[...]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183]
웹사이트
Facts and trends- China
http://www.isaaa.org[...]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184]
웹사이트
Facts and trends - Colombia
http://www.isaaa.org[...]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185]
서적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Global Welfare (Frontiers of Economics and Globalization)
https://archive.org/[...]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86]
뉴스
GM potato to be grown in Europe
https://www.theguard[...]
2010-03-03
[187]
문서
No public documents
[188]
웹사이트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the United States (summary)
http://www.e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4-02
[189]
웹사이트
NASA - Designer Plants on Mars - NASA
https://www.nasa.gov[...]
[190]
웹사이트
Making a Greenhouse on Another World: Where Can We Paraterraform in Our Solar System?
https://interestinge[...]
[191]
웹사이트
(PDF) Crop growth and viability of seeds on Mars and Moon soil simulants
https://www.research[...]
[192]
웹사이트
Growing Crops on Mars Possible With Gene Editing
https://www.isaaa.or[...]
[193]
웹사이트
One giant leap for plant-kind: engineering plants for Mars
https://www.mewburn.[...]
2023-06-22
[194]
웹사이트
As Biotech crops lose their power, scientist push for new restrictions
http://www.npr.org/2[...]
2020-10-29
[195]
간행물
Insect resistance to transgenic Bt crops: lessons from the laboratory and field
http://www.gmo-safet[...]
2003-08
[196]
간행물
Bt-transgenic crops: just another pretty insecticide or a chance for a new start in the resistance management?
[197]
간행물
Variability of Endotoxin Expression in Bt Transgenic Cotton
[198]
간행물
Insect resistance to transgenic Bt crops: lessons from the laboratory and field
2003-08
[199]
웹사이트
Monsanto - Pink Bollworm Resistance to GM Cotton in India
http://www.monsanto.[...]
[200]
웹사이트
The Real Deal: Explaining Monsanto's Refuge-in-the-Bag Concept
http://www.monsanto.[...]
2015-12-03
[201]
간행물
Understanding successful resistance management: the European corn borer and Bt corn in the United States
http://lib.dr.iastat[...]
[202]
간행물
Resistance evolution to the first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Diabrotica-active Bt-maize events by western corn rootworm: management and monitoring considerations
http://digitalcommon[...]
2013-04
[203]
간행물
Glyphosate-resistant Palmer amaranth (Amaranthus palmeri) confirmed in Georgia
[204]
간행물
Pigweed in the Cotton: A superweed invades Georgia
[205]
간행물
Genetically modified (GM) crop use in Colombia: farm leve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tributions
2020-07-02
[206]
간행물
Conservation Tillage, Herbicide Use, and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the United States: The Case of Soybeans
http://www.agbioforu[...]
2016-10-03
[207]
간행물
Genetically modified crops support climate change mitigation
2022-02-08
[208]
간행물
Economic impacts of smallholder farmers' adoption of drought-tolerant maize varieties
https://www.scienced[...]
2020-05-01
[209]
서적
EU Policy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eas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2011
[210]
서적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global welfare
Emerald Group Publishing
2011
[211]
웹사이트
Executive Summary
http://www.isaaa.org[...]
[212]
서적
Adop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the U.S.
http://www.ers.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9-07-01
[213]
웹사이트
Adop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the U.S.
http://www.ers.usda.[...]
2014-08-06
[214]
서적
G 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07
The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
2009-09-24
[215]
웹사이트
ISAAA Brief 43,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1
http://www.isaaa.org[...]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
2012-06-02
[216]
웹사이트
Roundup Ready soybean trait patent nears expiration in 2014
http://www.hpj.com/a[...]
Hpj.com
2016-06-06
[217]
웹사이트
USDA ERS - Adop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the U.S.
http://www.ers.usda.[...]
[218]
웹사이트
Acreage NASS
http://usda.mannlib.[...]
2010-07-23
[219]
웹사이트
USA :Cultivation of GM Plants in 2009, Maize, soybean, cotton: 88 percent genetically modified
http://www.gmo-compa[...]
2010-07-25
[220]
웹사이트
Adop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the U.S. – Recent Trends
http://www.ers.usda.[...]
2012-09-29
[221]
간행물
Genetic engineering: the future of foods?
http://permanent.acc[...]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3-11
[222]
웹사이트
Countries that Ban GMOs 2024
https://worldpopulat[...]
2024-05-30
[223]
간행물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 and Foods: A Scientist's Analysis of the Issues (Part I)
2008-02-19
[224]
웹사이트
Spain, Bt maize prevails
http://www.gmo-compa[...]
2010-08-10
[225]
웹사이트
GM plants in the EU in 2009 Field area for Bt maize decreases
http://www.gmo-compa[...]
2010-08-10
[226]
웹사이트
EU GMO ban was illegal, WTO rules
http://www.euractiv.[...]
Euractiv.com
2010-01-05
[227]
웹사이트
GMO Update: US-EU Biotech Dispute; EU Regulations; Thailand
http://ictsd.org/i/n[...]
International Centre for Trad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2010-01-05
[228]
웹사이트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6-10-17
[229]
간행물
The threa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to organic agriculture: A case study update.
http://orgprints.org[...]
2015-06
[230]
간행물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d small-scale farmers: mai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https://biblio.ugent[...]
2016
[231]
문서
The Seeds of Disaster
http://www.princeofw[...]
2021-10-13
[232]
간행물
Genetically modified crops pass benefits to weeds
https://www.nature.c[...]
2013-08-16
[233]
문서
Biopiracy
https://doi.org/10.1[...]
Springer
2023-10-20
[234]
웹사이트
Report 2 of the Council on Science and Public Health: Labeling of Bioengineered Foods
http://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2
[235]
서적
Safety of Genetically Engineered Foods: Approaches to Assessing Unintended Health Effects.
http://www.nap.edu/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236]
간행물
Genetically modified plants and human health
2008-06
[237]
웹사이트
An Entrepreneur Bankrolls a Genetically Engineered Salmon
https://www.nytimes.[...]
2012-05-21
[238]
웹사이트
National bioengineered food disclosure standard
https://www.congress[...]
2016-07-29
[239]
간행물
A literature review on the safety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plants
http://gaiapresse.ca[...]
2011-05
[240]
간행물
An Illusory Consensus behind GMO Health Assessment
http://www.tufts.edu[...]
2016-02-09
[241]
간행물
Published GMO studies find no evidence of harm when corrected for multiple comparisons
2017-03
[242]
뉴스
GM小麦を初承認 アルゼンチン 食用混入に注視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20-10-13
[243]
문서
遺伝子組換え食品を理解するⅡ
http://www.ilsijapan[...]
特定非営利活動法人 国際生命科学研究機構(ILSI) バイオテクノロジー研究会
2010-09
[244]
문서
安全性審査の手続を経た旨の公表がなされた遺伝子組換え食品及び添加物一覧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医薬食品局食品安全部
2018-02-23
[245]
문서
Yellow flowers generated by expression of the aurone biosynthetic pathway
http://www.pnas.org/[...]
2006
[246]
문서
高セルロース含量ギンドロtrg300-2 (''AaXEG2'', ''Populus alba'' L.) 第一種使用規程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47]
문서
低リグニンアルファルファ (''CCOMT'', ''Medicago sativa'' L.) (KK179, OECD UI: MON-ØØ179-5) 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48]
문서
チョウ目及びコウチュウ目害虫抵抗性並びに除草剤グルホシネート及びグリホサート耐性トウモロコシ (''cry1A.105'', 改変''cry2Ab2'', ''cry1F'', ''pat'', 改変''cp4 epsps'', 改変''cry3Bb1'', ''cry34Ab1'', ''cry35Ab1'', ''Zea mays'' subsp. ''mays'' (L.) Iltis)(MON89034×''B.t.'' Cry1F maize line 1507×MON88017×''B.t.'' Cry34/35Ab1 Event DAS-59122-7, OECD UI: MON-89Ø34-3×DAS-Ø15Ø7-1×MON-88Ø17-3×DAS-59122-7) ( MON89034, ''B.t.'' Cry1F maize line 1507, MON88017 及び''B.t.'' Cry34/35Ab1 Event DAS-59122-7 それぞれへの導入遺伝子の組合せを有するものであって当該トウモロコシから分離した後代系統のもの(既に第一種使用規程の承認を受けたものを除く。)を含む。)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49]
문서
除草剤グリホサート誘発性雄性不稔、チョウ目及びコウチュウ目害虫抵抗性並びに除草剤アリルオ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グルホシネート及びグリホサート耐性トウモロコシ(''cry1A.105'', 改変''cry2Ab2'', 改変''cry1F'', ''pat'', ''DvSnf7'', 改変''cry3Bb1'', 改変''cp4 epsps'', ''cry34Ab1'', ''cry35Ab1'', 改変''aad-1'', ''Zea mays'' subsp. ''mays'' (L.) Iltis)(MON87427×MON89034×''B.t.'' Cry1F maize line 1507× MON87411×''B.t.'' Cry34/35Ab1 Event DAS-59122-7×DAS40278、OECD UI: MON-87427-7× MON-89Ø34-3×DAS-Ø15Ø7-1×MON-87411-9×DAS-59122-7 ×DAS-4Ø278-9)並びに当該トウモロコシの分離系統に包含される組合せ(既に第一種使用規程の承認を受けたものを除く。)の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50]
문서
低飽和脂肪酸・高オレイン酸及び除草剤グリホサート耐性ダイズ(''GmFAD2-1A'', ''GmFATB1A'', 改変''cp4 epsps'', ''Glycine max'' (L.) Merr.)(MON87705, OECD UI: MON-877Ø5-6)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51]
논문
除草剤耐性遺伝子組換え作物の普及と問題点
2006
[252]
간행물
GMO情報:組換え作物のメリットとデメリット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0-06-01
[253]
문서
除草剤ブロモキシニル耐性セイヨウナタネ(''oxy'', ''Brassica napus'' L.)(OXY-235, OECD UI: ACS-BNØ11-5)の生物多様性影響評価書の概要
https://www.env.go.j[...]
[254]
논문
Herbicide resistance in transgenic plants with mammalian P450 monooxygenase genes.
http://www.ncbi.nlm.[...]
2005-03
[255]
문서
イミダゾリノン系除草剤耐性ダイズ(改変''csr1-2'', ''Glycine max'' (L.) Merr.)(CV127, OECD UI: BPS-CV127-9) 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56]
논문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metabolism in transgenic tolerant cotton (''Gossypium hirsutum'')"
http://pubs.acs.org/[...]
2000-11
[257]
문서
アリルオ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除草剤耐性トウモロコシ (改変''aad-1'', ''Zea mays'' subsp. ''mays'' (L.)Iltis.) (DAS40278, OECD UI:DAS-4Ø278-9) 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env.go.j[...]
[258]
문서
除草剤ジカンバ耐性ダイズ (改変''dmo'', ''Glycine max'' (L.) Merr.)(MON87708, OECD UI : MON-877Ø8-9)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59]
문서
除草剤グリホサート及びイソキサフルトール耐性ダイズ(''2mepsps'', 改変''hppd'', ''Glycine max'' (L.) Merr.)(FG72,OECD UI: MST-FG072-3)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60]
문서
除草剤メソトリオン耐性ダイズ(改変''avhppd'', ''Glycine max'' (L.) Merr.)(SYHT04R, OECD UI: SYN-∅∅∅4R-8) 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61]
간행물
GMO情報: 中国のBtワタ、ワタ以外の作物でも防除効果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8-10-01
[262]
간행물
GMO情報: バイオ燃料と遺伝子組換え作物 -トウモロコシの連作を可能にした技術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7-07-01
[263]
논문
Multi-State Trials of Bt Sweet Corn Varieties for Control of the Corn Earworm (Lepidoptera: Noctuidae)
http://esa.publisher[...]
2013
[264]
논문
“Western Bean Cutworm, Striacosta albicosta (Smith) (Lepidoptera: Noctuidae), as a Potential Pest of Transgenic Cry1Ab Bacillus thuringiensis Corn Hybrids in South Dakota”
http://esa.publisher[...]
2006
[265]
논문
Widespread adoption of Bt cotton and insecticide decrease promotes biocontrol services.
https://www.nature.c[...]
2012-07-19
[266]
간행물
GMO情報: Btトウモロコシの害虫抵抗性管理対策 〜緩衝帯ルールと小口栽培制限〜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0-01-01
[267]
간행물
GMO情報: Btワタに抵抗性発達 -対策は緩衝帯と複数トキシン品種-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8-04-01
[268]
간행물
GMO情報: 商業栽培15年、強まる飼料作物の組換え依存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1-04-01
[269]
간행물
GMO情報: 不正種子利用に潜む抵抗性発達の危険性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0-04-01
[270]
논문
Restoring a maize root signal that attracts insect-killing nematodes to control a major pest.
http://www.pnas.org/[...]
2009-08-11
[271]
논문
Production of transgenic potato exhibiting enhanced resistance to fungal infections and herbicide applications
http://springerlink.[...]
2008
[272]
간행물
GMO情報: 一難去ってまた一難 米国ワタ害虫防除作戦の教訓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9-04-01
[273]
웹사이트
Rainbow Papaya
http://www.hawaiipap[...]
[274]
문서
パパイヤリングスポットウイルス抵抗性パパイヤ(改変''PRSV CP'', ''uidA'', ''nptII'', ''Carica papaya'' L.)(55-1, OECD UI: CUH-CP551-8)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275]
뉴스
平成23年2月22日 未承認の遺伝子組換えパパイヤの種子の混入に関する検査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env.go.j[...]
2011-02-22
[276]
뉴스
平成23年4月21日 未承認の遺伝子組換えパパイヤの種子の混入に関する検査結果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www.env.go.j[...]
2011-04-21
[277]
뉴스
平成23年4月21日 農林水産省 パパイヤ種子の検査結果について
http://www.maff.go.j[...]
2011-04-21
[278]
뉴스
平成23年2月22日 更新:平成23年2月24日 安全性未審査の遺伝子組換えパパイヤについて
https://www.mhlw.go.[...]
2011-02-22
[279]
문서
遺伝子組換えパパイヤ(注)による我が国の生物多様性への影響について(農林水産省及び環境省の共同見解)
https://www.env.go.j[...]
[280]
논문
Indirect costs of a nontarget pathogen mitigate the direct benefits of a virus-resistant transgene in wild Cucurbita.
http://www.ncbi.nlm.[...]
2009-11-10
[281]
웹사이트
どんとこい
https://archive.fo/7[...]
[282]
웹사이트
いもち病及び白葉枯病抵抗性イネ(''DEF'', ''Oryza sativa'' L.) (AD41)申請書等の概要
http://www.biodic.go[...]
[283]
논문
"Overexpression of the wasabi defensin gene confers enhanced resistance to blast fungus (''Magnaporthe grisea'') in transgenic rice."
http://www.ncbi.nlm.[...]
2002-11
[284]
특허
JP 2003088379-A
2003-03-25
[285]
웹사이트
陳述書 (2)
http://www2.odn.ne.j[...]
[286]
학술지
ディフェンシン産生の遺伝子組換えイネが高感染性のヒト病原菌を生み出す
日本科学者会議
2006-12
[287]
웹사이트
BD285518
http://www.ncbi.nlm.[...]
[288]
웹사이트
アミノ酸配列
http://getentry.ddbj[...]
[289]
논문
"Transgenic expression of cecropin B, an antibacterial peptide from ''Bombyx mori'', confers enhanced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in rice"
http://www.sciencedi[...]
2000-10-27
[290]
논문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cationic peptide chimeras exhibit broad-spectrum resistance to phytopathogens."
http://www.ncbi.nlm.[...]
2000-11
[291]
웹사이트
FLAVR SAVR
http://cera-gmc.org/[...]
[292]
웹사이트
B, Da, F
http://cera-gmc.org/[...]
[293]
웹사이트
S-adenosyl-L-methionine
http://www.genome.jp[...]
[294]
웹사이트
1-amino cyclopropane-1-carbonic acid
http://www.genome.jp[...]
[295]
웹사이트
1345-4
http://cera-gmc.org/[...]
[296]
웹사이트
2-oxobutyrate
http://www.genome.jp[...]
[297]
논문
"Control of Ethylene Synthesis by Expression of a Bacterial Enzyme in Transgenic Tomato Plants"
http://www.ncbi.nlm.[...]
1991-11
[298]
웹사이트
8338
http://cera-gmc.org/[...]
[299]
웹사이트
35+1+N
http://cera-gmc.org/[...]
[300]
웹사이트
A, B
http://cera-gmc.org/[...]
[301]
논문
"Oxidative deamination of hydrolyzed fumonisin B(1) (AP(1)) by cultures of ''Exophiala spinifera''."
http://www.ncbi.nlm.[...]
1999
[302]
논문
"Prospects for reducing fumonisin contamination of maize through genetic modification."
http://www.ncbi.nlm.[...]
2001-05
[303]
웹사이트
ゼアラレノン
http://ss.niah.affrc[...]
[304]
논문
"Reduced Contamination by the ''Fusarium'' Mycotoxin Zearalenone in Maize Kernels through Genetic Modification with a Detoxification Gene."
http://aem.asm.org/c[...]
2007-03
[305]
웹사이트
除草剤グリホサート誘発性雄性不稔及び除草剤グリホサート耐性トウモロコシ(改変 ''cp4 epsps'', ''Zea mays'' subsp. ''mays'' (L.) Iltis)(MON87427, OECD UI: MON-87427-7)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306]
웹사이트
676, 678, 680
http://cera-gmc.org/[...]
[307]
웹사이트
除草剤グルホシネート耐性及び雄性不稔及び稔性回復性セイヨウナタネ(改変''bar'', ''barnase'', ''barstar'', ''Brassica napus'' L.)(MS8RF3, OECD UI: ACS-BNØØ5-8×ACS-BNØØ3-6)の生物多様性影響評価書の概要
http://www.affrc.maf[...]
[308]
웹사이트
耐熱性α-アミラーゼ産生並びにチョウ目及びコウチュウ目害虫抵抗性並びに除草剤グルホシネート及びグリホサート耐性トウモロコシ (耐熱性α-アミラーゼ産生並びにチョウ目及びコウチュウ目害虫抵抗性並びに除草剤グルホシネート及びグリホサート耐性トウモロコシ(改変''amy797E'', 改変''cry1Ab'', ''cry34Ab1'', ''cry35Ab1'', 改変''cry3Aa2'', ''cry1F'', ''pat'', ''mEPSPS'', ''Zea mays'' subsp. ''mays'' (L.) Iltis) (3272×Bt11×B.t. Cry34/35Ab1 Event DAS-59122-7×MIR604×B.t. Cry1F maize line 1507×GA21, OECD UI:SYN-E3272-5×SYN-BTØ11-1×DAS-59122-7×SYN-IR6Ø4-5×DAS-Ø15Ø7-1×MON-ØØØ21-9)並びに当該トウモロコシの分離系統に包含される組合せ(既に第一種使用規程の承認を受けたものを除く。)の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309]
논문
"Genetically engineered alteration in the chilling sensitivity of plants"
https://www.nature.c[...]
1992-04-23
[310]
논문
"An Increase in Unsaturation of Fatty Acids in Phosphatidylglycerol from Leaves Improves the Rates of Photosynthesis and Growth at Low Temperatures in Transgenic Rice Seedlings"
http://www.ncbi.nlm.[...]
2002
[311]
논문
"OsSDIR1'' overexpression greatly improves drought tolerance in transgenic rice."
http://www.ncbi.nlm.[...]
2011-05
[312]
웹사이트
乾燥耐性トウモロコシ(改変''cspB'', ''Zea mays'' subsp. ''mays'' (L.) Iltis)(MON87460, OECD UI: MON-8746Ø-4)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313]
웹사이트
オリジナルの''cspB''の塩基配列
http://getentry.ddbj[...]
[314]
웹사이트
betaine aldehyde
http://www.genome.jp[...]
[315]
논문
"Transgenic Arabidopsis expressing osmolyte glycine betaine synthesizing enzymes from halophilic methanogen promote tolerance to drought and salt stress"
http://link.springer[...]
2014-07
[316]
논문
"Removal of feedback inhibition of delta(1)-pyrroline-5-carboxylate synthetase results in increased proline accumulation and protection of plants from osmotic stress."
http://www.ncbi.nlm.[...]
Hong Z, Lakkineni K, Zhang Z, Verma DP.
2000-04
[317]
논문
"Improved drought tolerance without undesired side effects in transgenic plants producing trehalose."
http://www.ncbi.nlm.[...]
Karim S, Aronsson H, Ericson H, Pirhonen M, Leyman B, Welin B, Mäntylä E, Palva ET, Van Dijck P, Holmström KO.
2007-07
[318]
웹사이트
トレハロース-6-リン酸
http://www.genome.jp[...]
[319]
간행물
"Enhancement of salt tolerance in transgenic rice expressing an ''Escherichia coli'' catalase gene, ''katE''"
Kenji Nagamiya, Tsuyoshi Motohashi, Kimiko Nakao, Shamsul Haque Prodhan, Eriko Hattori, Sakiko Hirose, Kenjiro Ozawa, Yasunobu Ohkawa, Tetsuko Takabe, Teruhiro Takabe, Atsushi Komamine
2007
[320]
간행물
"Overexpression of the ''Escherichia coli'' catalase gene, ''katE'', enhances tolerance to salinity stress in the transgenic indica rice cultivar, BR5"
Teppei Moriwaki, Yujirou Yamamoto, Takehiko Aida, Tatsuya Funahashi, Toshiyuki Shishido, Masataka Asada, Shamusul Haque Prodhan, Atsushi Komamine, Tsuyoshi Motohashi
2008
[321]
웹사이트
nicotianamine
http://www.genome.jp[...]
[322]
웹사이트
3"-deamino-3"-oxonicotianamine
http://www.genome.jp[...]
[323]
웹사이트
2'-deoxymugineic acid
http://www.genome.jp[...]
[324]
논문
"Enhanced tolerance of rice to low iron availability in alkaline soils using barley nicotianamine aminotransferase genes."
http://www.ncbi.nlm.[...]
Takahashi M, Nakanishi H, Kawasaki S, Nishizawa NK, Mori S.
2001-05
[325]
문서
鉄欠乏耐性イネ(''HvNAS1'', ''Oryza sativa'' L.) (gHvNAS1-1)申請書等の概要
http://www.bch.biodi[...]
[326]
문서
鉄欠乏耐性イネ(''HvNAAT-A'', ''HvNAAT-B'', ''Oryza sativa'' L.) (gHvNAAT1)申請書等の概要
http://www.bch.biodi[...]
[327]
문서
鉄欠乏耐性イネ(''HvIDS3'', ''Oryza sativa'' L.) (gHvIDS3-1)申請書等の概要
http://www.bch.biodi[...]
[328]
논문
"Functional replacement of ferredoxin by a cyanobacterial flavodoxin in tobacco confers broad-range stress tolerance."
http://www.ncbi.nlm.[...]
Tognetti VB, Palatnik JF, Fillat MF, Melzer M, Hajirezaei MR, Valle EM, Carrillo N.
2006-08
[329]
논문
"Combating stress with flavodoxin: a promising route for crop improvement."
http://www.ncbi.nlm.[...]
Zurbriggen MD, Tognetti VB, Fillat MF, Hajirezaei MR, Valle EM, Carrillo N.
2008-10
[330]
논문
"Cyanobacterial flavodoxin complements ferredoxin deficiency in knocked-down transgenic tobacco plants."
http://www.ncbi.nlm.[...]
Blanco NE, Ceccoli RD, Segretin ME, Poli HO, Voss I, Melzer M, Bravo-Almonacid FF, Scheibe R, Hajirezaei MR, Carrillo N.
2011-03
[331]
뉴스
"GMO情報: 除草剤耐性品種でなぜ収量が増えるのか?"
http://www.niaes.aff[...]
独立行政法人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8-05-01
[332]
논문
"Express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transgenic banana plants."
http://www.ncbi.nlm.[...]
Kumar GB, Ganapathi TR, Revathi CJ, Srinivas L, Bapat VA.
2005-10
[333]
웹사이트
stearoyl-CoA
http://www.genome.jp[...]
[334]
웹사이트
oleoyl-CoA
http://www.genome.jp[...]
[335]
웹사이트
Δ9-desaturase
http://www.genome.jp[...]
[336]
문서
高オレイン酸ダイズ(''GmFad2-1'', ''Glycine max'' (L.) Merr.)(260-05, OECD UI :DD- Ø26ØØ5-3) 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env.go.j[...]
[337]
문서
低飽和脂肪酸・高オレイン酸及び除草剤グリホサート耐性ダイズ(''GmFAD2-1A'', ''GmFATB1A'', 改変''cp4 epsps'', ''Glycine ma''x (L.) Merr.)(MON87705, OECD UI: MON-877Ø5-6)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338]
웹사이트
linoleoyl-CoA
http://www.genome.jp[...]
[339]
웹사이트
γ-linolenoyl-CoA
http://www.genome.jp[...]
[340]
웹사이트
stearidonoyl-CoA
http://www.genome.jp[...]
[341]
웹사이트
α-linolenoyl-CoA
http://www.genome.jp[...]
[342]
문서
스테아リドン酸産生及び除草剤グリホサート耐性ダイズ(改変''Pj.D6D'', 改変''Nc.Fad3'', 改変''cp4 epsps'', ''Glycine max'' (L.) Merr.)(MON87769×MON89788, OECD UI:MON-87769-7×MON-89788-1)申請書等の概要
https://www.biodic.g[...]
[343]
문서
生物多様性影響評価書の概要
https://www.env.go.j[...]
[344]
문서
高リシン(lysine)トウモロコシ(''cordapA'', ''Zea mays'' subsp. ''mays'' (L.) Iltis)(LY038, OECD UI: REN-ØØØ38-3)の生物多様性影響評価書の概要
https://www.env.go.j[...]
[345]
웹사이트
国際アグリバイオ事業団(ISAAA)アグリバイオ最新情報【2012年8月31日】
https://bio.nikkeibp[...]
日経バイオテクオンライン
2012-09-13
[346]
간행물
Improving the nutritional value of Golden Rice through increased pro-vitamin A content
https://www.nature.c[...]
2005-04
[347]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ライス
https://photosyn.jp/[...]
日本光合成学会
2023-03-05
[348]
간행물
Carotenoid biosynthesis in flowering plants
https://www.scienced[...]
2001-06-01
[349]
웹사이트
The science behind Golden Rice
http://www.goldenric[...]
2023-03-05
[350]
웹사이트
Patents for Humanity Awards Ceremony at the White House
http://www.ipwatchdo[...]
2015-04-20
[351]
웹사이트
US FDA approves GMO Golden Rice as safe to eat {{!}} Genetic Literacy Project
https://geneticliter[...]
2018-05-30
[352]
뉴스
GM米 商業栽培認可 フィリピンで世界初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23-03-06
[353]
논문
PLoS One. 2007 Apr 4;2(4):e350.
http://www.ncbi.nlm.[...]
[354]
논문
BMC Plant Biol. 2006 Jun 26;6:13.
http://www.ncbi.nlm.[...]
[355]
논문
BMC Plant Biol. 2007 Mar 2;7:11
http://www.ncbi.nlm.[...]
[356]
논문
Plant Cell Rep. 2007 Jan;26(1):61-70.
http://www.ncbi.nlm.[...]
[357]
논문
Enrichment of tomato fruit with health-promoting anthocyanins by expression of select transcription factors
http://www.nature.co[...]
Nature Biotechnology
2008
[358]
서적
救え!世界の食料危機: ここまできた遺伝子組換え作物
https://books.google[...]
化学同人
2009-03
[359]
문서
H2
http://getentry.ddbj[...]
[360]
논문
Iron fortification of rice seed by the soybean ferritin gene.
http://www.ncbi.nlm.[...]
Nat Biotechnol.
1999-03
[361]
논문
Iron accumulation does not parallel the high expression level of ferritin in transgenic rice seeds.
http://www.ncbi.nlm.[...]
Planta.
2005-10
[362]
뉴스
鉄分3倍含むコメ開発、貧血解消にも効果期待
読売新聞
2010-01-14
[363]
뉴스
鉄分3倍のイネ開発 東大など 遺伝子組み換えで
朝日新聞
2010-02-16
[364]
논문
Transgenic maize plants expressing a fungal phytase gene.
http://www.ncbi.nlm.[...]
Transgenic Res.
2008-08
[365]
논문
Corn expressing an Escherichia coli-derived phytase gene: comparative evaluation study in broiler chicks.
http://www.ncbi.nlm.[...]
Poult Sci.
2008-10
[366]
논문
Corn expressing an Escherichia coli-derived phytase gene: residual phytase activity and microstructure of digesta in broiler chicks.
http://www.ncbi.nlm.[...]
Poult Sci.
2009-07
[367]
논문
Endosperm-specific co-expression of recombinant soybean ferritin and Aspergillus phytase in maize results in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levels of bioavailable iron.
http://www.ncbi.nlm.[...]
Plant Mol Biol.
2005-12
[368]
간행물
GMO情報: ヨーロッパのポテト―商業栽培と試験栽培の承認
http://www.niaes.aff[...]
独立行政法人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0-05-01
[369]
논문
Cyanogenesis in Cassava The Role of Hydroxynitrile Lyase in Root Cyanide Production
http://www.ncbi.nlm.[...]
Plant Physiol.
1998-04
[370]
논문
Overexpression of Hydroxynitrile Lyase in Cassava Roots Elevates Protein and Free Amino Acids while Reducing Residual Cyanogen Levels.
http://www.plosone.o[...]
PLoS ONE
2011
[371]
논문
Engineering cottonseed for use in human nutrition by tissue-specific reduction of toxic gossypol.
http://www.ncbi.nlm.[...]
Proc Natl Acad Sci U S A.
2006-11-28
[372]
논문
Ultra-low gossypol cottonseed: generational stability of the seed-specific, RNAi-mediated phenotype and resumption of terpenoid profile following seed germination.
http://www.ncbi.nlm.[...]
Plant Biotechnol J.
2012-02
[373]
논문
Low-acrylamide French fries and potato chips.
http://www.ncbi.nlm.[...]
Plant Biotechnol J.
2008-10
[374]
논문
Tuber-specific silencing of asparagine synthetase-1 reduces the acrylamide-forming potential of potatoes grown in the field without affecting tuber shape and yield.
http://onlinelibrary[...]
Plant Biotechnol J.
2012
[375]
간행물
DIRECTIVE 2001/1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2 March 2001 on the deliberate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repealing Council Directive 90/220/EEC
http://www.gmo-compa[...]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1-04-17
[376]
논문
A novel dominant selectable system for the selection of transgenic plants under in vitro and greenhouse conditions based on phosphite metabolism
http://onlinelibrary[...]
Plant Biotechnology Journal
2013-05
[377]
논문
Molecular breeding of a novel herbicide-tolerant rice by gene targeting.
http://www.ncbi.nlm.[...]
The Plant Journal
2007
[378]
논문
Gene targeting by homologous recombination as a biotechnological tool for rice functional genomics.
http://www.ncbi.nlm.[...]
Plant Physiology
2007-06
[379]
논문
High-frequency modification of plant genes using engineered zinc-finger nucleases.
http://www.ncbi.nlm.[...]
Nature
2009-05-21
[380]
논문
Precise genome modification in the crop species Zea mays using zinc-finger nucleases.
http://www.ncbi.nlm.[...]
Nature.
2009-05-21
[381]
논문
Targeting DNA to a previously integrated transgenic locus using zinc finger nucleases.
http://www.ncbi.nlm.[...]
Methods Mol Biol
2012
[382]
논문
Technical advance: An estrogen receptor-based transactivator XVE mediates highly inducible gene expression in transgenic plants.
http://www.ncbi.nlm.[...]
Plant J.
2000-10
[383]
논문
Chemical-regulated, site-specific DNA excision in transgenic plants.
http://www.ncbi.nlm.[...]
Nat Biotechnol.
2001-02
[384]
논문
Applications of chemical-inducible expression systems in functional genomics and biotechnology.
http://www.ncbi.nlm.[...]
Methods Mol Biol.
2006
[385]
논문
Technical advance: transcriptional activator TGV mediates dexamethasone-inducible and tetracycline-inactivatable gene expression
http://www.ncbi.nlm.[...]
Plant J.
1999-07
[386]
논문
"Characterisation of novel target promoters for the dexamethasone-inducible/tetracycline-repressible regulator TGV using luciferase and isopentenyl transferase as sensitive reporter genes."
http://www.ncbi.nlm.[...]
Mol Gen Genet
2001-02
[387]
논문
"'GM-gene-deletor': fused ''loxP''-FRT recognition sequences dramatically improve the efficiency of FLP or CRE recombinase on transgene excision from pollen and seed of tobacco plants."
http://www.ncbi.nlm.[...]
Plant Biotechnol J
2007-03
[388]
문서
5’-CGTAAATTATAAATCTTAAATATCAAAGTT ACATGTTATATATGGTTAAAAATCATTTAA ATGTTACATAGTTTTAAGAACTTTTATATT GTAACTTTAGGGTATACTCTAAAATAACA-3’
[389]
논문
"Transgene excision in pollen using a codon optimized serine resolvase CinH-''RS2'' site-specific recombination system."
http://www.ncbi.nlm.[...]
Plant Mol Biol
2011-04
[390]
논문
"Transgene excision from wheat chromosomes by phage phiC31 integrase."
http://www.ncbi.nlm.[...]
Plant Mol Biol
2010-04
[391]
웹사이트
日本での利用状況
https://cbijapan.com[...]
バイテク情報普及会
2021-03-25
[392]
웹사이트
遺伝子組換え食品(種子植物)の安全性評価基準
https://www.fsc.go.j[...]
[393]
웹사이트
遺伝子組換え飼料及び飼料添加物の安全性評価の考え方
https://www.fsc.go.j[...]
[394]
뉴스
遺伝子組み換え作物、事実上の勝利 安全性への懸念をよそに栽培農家は世界中で急増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7-12-17
[395]
간행물
"BSE・大豆・アマゾン"
http://www.maff.go.j[...]
農林水産政策研究所
2006-10-16
[396]
뉴스
“遺伝子組み換え作物”中国進む技術開発 コメ商業栽培もう一歩
産経新聞
2007-10-29
[397]
웹사이트
平成21年耕地面積(7月15日現在)
http://www.maff.go.j[...]
[398]
웹사이트
Recent Trends in GE Adoption, Adop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the U.S.
http://www.ers.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Service
2014-07-14
[399]
웹사이트
GMO Crops, Animal Food, and Beyond
https://www.fda.gov/[...]
U.S.FOOD & DRUGS ADMINISTRATION(アメリカ食品医薬品局)
2021-03-29
[400]
웹사이트
Genetically modified plants: Global Cultivation Area Soybean
http://www.gmo-compa[...]
[401]
웹사이트
Genetically modified plants: Global Cultivation Area Maize
http://www.gmo-compa[...]
[402]
웹사이트
Genetically modified plants: Global Cultivation Area Cotton
http://www.gmo-compa[...]
[403]
웹사이트
Acreage 2008
http://usda.mannlib.[...]
[404]
웹사이트
Acreage 2009
http://usda.mannlib.[...]
[405]
웹사이트
Acreage 2010
http://usda.mannlib.[...]
[406]
웹사이트
Acreage 2011
http://usda01.librar[...]
[407]
웹사이트
Acreage 2012
http://www.usda.gov/[...]
[408]
웹사이트
Acreage 2013
http://usda01.librar[...]
[409]
웹사이트
Acreage 2014
http://www.nass.usda[...]
[410]
웹사이트
Genetically modified plants: Global Cultivation Area Rapeseed
http://www.gmo-compa[...]
[411]
간행물
ブラジルにおける遺伝子組換え(GM)作物の栽培許可をめぐる経緯
http://lin.alic.go.j[...]
独立行政法人 農畜産業振興機構
2005-10
[412]
서적
Bt Cotton in India: A Country Profile
http://www.isaaa.org[...]
ISAAA
2010-07
[413]
서적
Adoptation and impact of Bt cotton in India, 2002 to 2010
http://www.isaaa.org[...]
[414]
서적
Socio-Economic and Farm Level Impact of Bt Cotton in India
http://www.isaaa.org[...]
[415]
논문
"Economic impacts and impact dynamics of Bt (''Bacillus thuringiensis'') cotton in India"
http://www.pnas.org/[...]
PNAS
2012-07-02
[416]
뉴스
Genetically modified cotton gets high marks in India
http://www.nature.co[...]
Nature | News
2012-07-03
[417]
웹사이트
北海道遺伝子組換え作物の栽培等による交雑等の防止に関する条例
http://www.pref.hokk[...]
2005-03-31
[418]
간행물
農林水産物輸出入状況2008年(平成20年)確定値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国際部国際政策課
2009-04-10
[419]
간행물
遺伝子組換え作物 -世界の動向と今後の日本の展望-
財団法人 報農会
[420]
뉴스
遺伝子組み換えに賛否 新潟で農水省農産物シンポ
新潟日報
2009-09-17
[421]
웹사이트
日本での利用状況
https://cbijapan.com[...]
バイテク情報普及会
2021-03-31
[422]
간행물
”遺伝子組換え作物の社会的便益の評価に関する研究-遺伝子組換え作物の日本経済への貢献度の計測-”、バイテク情報普及会研究報告書、東京大学大学院農学生命科学研究科、本間正義、齋藤勝宏
https://cbijapan.com[...]
東京大学大学院農学生命科学研究科
2016-09-30
[423]
문서
日本農林規格等に関する法律(JAS法)
https://laws.e-gov.g[...]
[424]
문서
遺伝子組換えに関する表示に係る加工食品品質表示基準第7条第1項及び生鮮食品品質表示基準第7条第1項の規定に基づく農林水産大臣の定める基準
http://www.caa.go.jp[...]
農林水産省
2011-08-31
[425]
문서
食品衛生法
https://laws.e-gov.g[...]
[426]
문서
食品表示に関する共通Q&A(第3集:遺伝子組換え食品に関する表示について)
http://www.caa.go.jp[...]
[427]
문서
酒類における有機等の表示基準を定める件
https://www.nta.go.j[...]
国税庁
[428]
문서
食品衛生法第19条第1項の規定に基づく表示の基準に関する内閣府令等の施行について
http://www.caa.go.jp[...]
消費者庁
[429]
문서
大豆加工品の「国産大豆使用」表示等に関する特別調査の結果について
http://www.maff.go.j[...]
[430]
문서
バルク輸送非GMO流通マニュアル(とうもろこし・大豆)
http://www.shokusan.[...]
[431]
문서
バルク輸送非GMO流通マニュアル(ばれいしょ)
http://www.shokusan.[...]
[432]
문서
科学的手法を用いて実施した食品の品質表示実施状況調査の結果について(平成21年度)
http://www.famic.go.[...]
独立行政法人 農林水産消費安全技術センター
2010-12-28
[433]
문서
Regulation No 1830/2003 concerning the traceability and labell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traceability of food and feed products produced from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ttp://www.gmo-compa[...]
[434]
문서
Questions and answers on the regulation of GMOs in the European Union (October 2005)
http://europa.eu/rap[...]
[435]
문서
遺伝子組換え樹木/遺伝子組換え作物をめぐる諸外国の政策動向、第6章 EUにおける遺伝子組換え食品等の表示制度及び実施状況について
http://www.maff.go.j[...]
農林水産政策研究所
2009-03
[436]
문서
有機農産物の日本農林規格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437]
문서
有機農産物及び有機加工食品のJAS規格のQ&A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食料産業局 食品製造課
2016-07
[438]
문서
農業環境技術研究所資料 第27号, 欧州農業における遺伝子組換え作物、一般栽培作物および有機栽培作物の共存のためのシナリオ
http://agriknowledge[...]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3-09
[439]
문서
NEDO海外レポート NO.1047
http://www.nedo.go.j[...]
NEDO
2009-07-01
[440]
문서
COMMISSION RECOMMENDATION of 13 July 2010 on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existence measures to avoid the unintended presence of GMOs in conventional and organic crops
http://ecob.jrc.ec.e[...]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2010-07-13
[441]
문서
Coexistence in the countries of the EU: A European patchwork
http://ucbiotech.org[...]
GMO Safety.eu
[442]
문서
EU report on national coexistence measures: Coexistence to continue to be regulated by member states for the time being
http://ucbiotech.org[...]
GMO Safety.eu
[443]
문서
遺伝子組換え樹木/遺伝子組換え作物をめぐる諸外国の政策動向、第4章 欧州委員会における遺伝子組換え作物をめぐる共存政策の動向
http://www.maff.go.j[...]
農林水産政策研究所
2009-03
[444]
문서
欧州委、遺伝子組換作物の栽培を許可、制限または禁止できる権限を加盟国に付与する規則を提案
http://www.alic.go.j[...]
独立行政法人 農畜産業振興機構
2010-07-16
[445]
문서
平成26年度 環境省請負業務 遺伝子組換え生物による影響監視調査 報告書
https://www.biodic.g[...]
[446]
문서
「平成27年度遺伝子組換え植物実態調査」の結果について
http://www.maff.go.j[...]
[447]
문서
「ほ場で遺伝子組換えダイズとツルマメが交雑する可能性は低い」
http://www.niaes.aff[...]
農業環境技術研究所
[448]
논문
Flowering phenologies and natural hybrid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and wild soybeans under field conditions
http://onlinelibrary[...]
2009-03
[449]
논문
Transgenic pollen harms monarch larvae
http://www.ncbi.nlm.[...]
1999
[450]
서적
Angiosperm Reproduction and Biotechnology, BIOLOGY Eighth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2008
[451]
논문
遺伝子組み換え作物の栽培国および輸入国における雑草問題
https://doi.org/10.1[...]
2015
[452]
논문
Herbicide Resistance: Toward an Understanding of Resistance Development and the Impact of Herbicide-Resistant Crops
https://www.cambridg[...]
2012
[453]
논문
The Economics of Glyphosate Resistance Management in Corn and Soybean Production
https://www.ers.usda[...]
2015
[454]
문서
CENTER FOR FOOD SAFETY,Monsant vs. U.S. Farmers
http://www.centerfor[...]
monsanto
2007
[455]
문서
Evidence of the Magnitude and Consequences of the Roundup Ready Soybean Yield Drag from University-Based Varietal Trials in 1998
http://stopogm.net/s[...]
Benbrook Consulting Services, Sandpoint, Idaho
[456]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Impacts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http://www.plosone.o[...]
2014-11-03
[457]
웹사이트
Table S3. Weighted mean impacts of GM crop adoption.
http://www.plosone.o[...]
[458]
서적
遺伝子組換え食品―どこが心配なのですか?
丸善
2002-07
[459]
간행물
"GMO情報: 進まぬ新規形質作物の実用化、原因は消費者意識か審査のハードルか"
http://www.niaes.aff[...]
独立行政法人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1-05-01
[460]
간행물
"GMO情報: ウイルス病抵抗性パパイヤ、承認までの長い道のり"
http://www.niaes.aff[...]
独立行政法人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10-02-01
[461]
논문
다국적종묘기업의 국제전개 (특집 발전도상국과 지적재산권--경제학적 접근)
https://hdl.handle.n[...]
일본무역진흥기구아시아경제연구소
[462]
간행물
"알젠틴에 있어서 GM콩의 특허료 지불 문제"
http://lin.alic.go.j[...]
独立行政法人 農畜産業振興機構
2005-04-12
[463]
간행물
"RR콩의 특허료 지불 문제, 재연(알젠틴)"
http://lin.alic.go.j[...]
独立行政法人 農畜産業振興機構
2005-08-02
[464]
웹사이트
MONSANTO CANADA INC. and MONSANTO COMPANY Plaintiffs and PERCY SCHMEISER and SCHMEISER ENTERPRISES LTD. Defendants, 카나다연방재판소판결문
http://decisions.fct[...]
[465]
웹사이트
Monsanto Canada Inc. v. Schmeiser (C.A.) (2003)2 F.C. 165, 카나다연방공소재판소판결문
http://decisions.fca[...]
[466]
웹사이트
Monsanto Canada Inc. v. Schmeiser, (2004) 1 S.C.R. 902, 2004 SCC 34, 카나다최고재판소판결문
https://scc-csc.lexu[...]
[467]
웹사이트
Prop 37-vital for Food Democracy
http://www.navdanya.[...]
[468]
뉴스
GM cotton has driven farmers to suicide: False, Case studies: A hard look at GM crops
http://www.nature.co[...]
2013-05-02
[469]
웹사이트
비타민A결핍증 목표 비타민A결핍증을 박멸한다.
http://www.unicef.or[...]
UNICEF
[470]
웹사이트
A few salient facts
http://www.who.int/n[...]
[471]
간행물
Global prevalance of vitamin A deficiency in populations at risk 1995-2005
http://whqlibdoc.who[...]
WHO Global Database on Vitamin A Deficiency
2009
[472]
웹사이트
golden Rice Project
http://www.goldenric[...]
[473]
서적
「ゆっくりノートブック1 SLOW FOOD, IT'S ABOUT TIME! そろそろスローフード 〜今、何をどう食べるのか?」
株式会社 大月書店
2008-06-20
[474]
웹사이트
果実類
http://www.mext.go.j[...]
[475]
간행물
국별WID정보정비조사
http://gwweb.jica.go[...]
[476]
웹사이트
http://www.yasudaset[...]
[477]
웹사이트
穀類
http://www.mext.go.j[...]
[478]
기타
有色素米の色素特性
1991-11-30
[479]
논문
Antioxidant Activity of Anthocyanin Extract from Purple Black Rice.
http://www.ncbi.nlm.[...]
2001
[480]
간행물
GMO정보: ビタミンA強化米 ゴールデンライスの開発阻害要因
http://www.niaes.aff[...]
独立行政法人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7-08
[481]
웹사이트
Regulated to blindness and death
http://www.cropgen.o[...]
[482]
간행물
Analyzing the health benefits of biofortified staple crops by means of the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approach: a handbook focusing on iron, zinc and vitamin A.
2005
[483]
뉴스
Golden Rice Opponents Should Be Held Accountable for Health Problems Linked to Vitamin A Deficiency
http://blogs.scienti[...]
2014-03-15
[484]
논문
Safety and nutritional assessment of GM plants and derived food and feed: the role of animal feeding trials.
http://www.ncbi.nlm.[...]
2008-03
[485]
논문
Safety and Advantages of ''Bacillus thuringiensis''-Protected Plants to Control Insect Pests
http://www.ncbi.nlm.[...]
2000
[486]
논문
Identification of a Brazil-Nut Allergen in Transgenic Soybeans
http://content.nejm.[...]
1996
[487]
간행물
"GMO情報: 스타링크의 비극 〜8년후도 남는 마이너스 이미지〜"
http://www.niaes.aff[...]
独立行政法人 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8-06-01
[488]
서적
遺伝子組換え植物の光と影 Ⅱ
学会出版センター
2003-06-20
[489]
논문
A generational study of glyphosate-tolerant soybeans on mouse fetal, postnatal, pubertal and adult testicular development.
http://www.ncbi.nlm.[...]
2004
[490]
웹사이트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情報誌 くらしの健康 第8号 (2005年6月)「生体影響試験が教えてくれること」
https://web.archive.[...]
[491]
간행물
「生体影響試験が教えてくれること」-緑茶抽出物及び遺伝子組み換え大豆の動物実験の結果から-
http://www.tokyo-eik[...]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2004-09-30
[492]
논문
Effect of diets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potatoes expressing ''Galanthus nivalis'' lectin on rat small intestine
http://www.sciencedi[...]
the Lancet
1999-10-16
[493]
웹사이트
http://www.mhlw.go.j[...]
[494]
논문
Genetically modified foods: "absurd" concern or welcome dialogue?
http://www.sciencedi[...]
the Lancet
1999-10-16
[495]
논문
GM debate
http://www.thelancet[...]
Lancet
1999-11-13
[496]
보고서
平成22年度遺伝子組換え農作物等に関する意識調査報告書
https://web.archive.[...]
[497]
보고서
Exploring attitudes to GM food ''Final Report''
https://web.archive.[...]
[498]
웹인용
ISAAA 2013 Annual Report
http://www.isaaa.org[...]
2013
[499]
저널
Impact of genetically engineered maize on agronomic, environmental and toxicological traits: a meta-analysis of 21 years of field data
201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