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와인은 기원전 6세기에 시작되어 2천 년 이상 와인 제조를 이어온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프랑스 와인은 1935년 원산지 통제 명칭(AOC) 제도의 도입을 통해 품질을 관리하며, 뱅 드 프랑스, 보호된 지리적 표시(IGP), 아펠라시옹 도리진 프로테제(AOP) 등급으로 분류된다. 보르도, 부르고뉴, 샹파뉴, 론 밸리, 루아르 밸리, 알자스, 랑그독-루시용, 프로방스 등 주요 생산 지역에서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이 생산되며, 각 지역의 독특한 테루아와 포도 품종을 통해 차별성을 가진다. 프랑스 와인은 음식과 함께 곁들여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며, 레드, 로제, 화이트, 스파클링, 강화 와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랑스 와인 |
---|
2. 역사
프랑스 와인은 기원전 6세기에 남부 갈리아가 그리스인 정착민에 의해 식민지화되면서 시작되었다. 포도 재배는 그리스 식민지 마르세유가 설립되면서 곧 번성했다. 와인은 지중해 국가에서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왔지만, 프랑스는 이를 자국 문명의 일부로 만들었고 2천 년 이상 와인 제조를 예술로 여겨왔다. 갈리아인들은 포도나무를 재배하고 가지치기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가지치기는 야생 포도나무와 와인 생산 포도의 차이점을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갈리아에서 생산된 와인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4][5] 로마 제국은 남부 지역에 와인 생산을 허가했다. 투르의 성 마르틴(316–397)은 기독교를 전파하고 포도원을 개척했다.[6]
중세 시대 동안 수도사들은 포도원을 유지했고, 그 시대의 격동적인 시기 동안 와인 제조 지식과 기술을 보존했다. 수도원은 미사를 위한 와인을 꾸준히 공급하고 이익을 창출할 자원, 안전, 창의력을 갖추고 있었다.[7] 최고의 포도원은 수도원에서 소유했으며 그들의 와인은 우수한 것으로 여겨졌다.[8] 귀족들은 광대한 포도원을 개발했지만,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많은 포도원이 몰수되었다.[9]
프랑스 와인 산업은 노균병과 필록세라가 프랑스 전역과 유럽으로 퍼지면서 포도원을 황폐화시켜 발전에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유럽의 경제 침체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으로 프랑스 와인 산업은 수십 년 동안 침체되었다.[10] 샴페인과 보르도와 같은 프랑스 브랜드는 경쟁에 직면했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1935년에 원산지 통제 명칭''(Appellation d'origine contrôlée)이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부흥과 새로운 세대의 ''비네론''(Vigneron)의 등장으로 1970년대와 그 이후 현대 프랑스 와인 산업을 창출했다.[11]
2. 1. 중도진보적 관점의 역사 서술
프랑스의 와인 등급 분류 체계는 2006년에 개정되었으며, 2012년까지 새로운 체계가 완전히 도입되었다. 새로운 체계는 4개의 등급 대신 3개의 등급으로 구성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VDQS에 해당하는 등급이 없어졌다.[15]새로운 등급은 다음과 같다.
- '''뱅 드 프랑스(Vin de France)''': 기본적으로 '''뱅 드 타블(Vin de Table)'''을 대체하는 테이블 와인 등급이지만, 라벨에 포도 품종과 빈티지를 표시할 수 있다.
- '''보호된 지리적 표시(Indication géographique protégée, IGP)''': 기본적으로 '''뱅 드 페이(Vin de Pays)'''를 대체하는 중간 등급.
- '''아펠라시옹 도리진 프로테제(Appellation d'origine protégée, AOP)''': 기본적으로 AOC 와인을 대체하는 최고 등급.
가장 큰 변화는 뱅 드 프랑스 등급과 VDQS 와인에서 나타났으며, VDQS 와인은 AOP 와인으로 승격되거나 IGP 등급으로 강등되어야 했다. 이전 AOC 와인의 경우, AOP로의 전환은 라벨 표기의 용어에 약간의 변화만 의미하며, 아펠라시옹 자체의 실제 이름은 변경되지 않았다. 2012년부터는 이전 명칭으로 판매되는 새로운 와인은 없지만, 이미 유통 체인에 있는 병은 다시 라벨링되지 않았다.
3. AOC법에 따른 분류
프랑스 와인은 1935년에 제정된 원산지 통제 명칭(AOC)법에 따라 품질이 관리된다. 이 법은 프랑스 국립 원산지 명칭 연구소(INAO)에서 관리하며, 와인의 생산지와 제조 방법에 대한 엄격한 규정을 담고 있다.[11][12]
2009년 8월 1일에는 EU의 원산지 명칭 보호 제도가 도입되어 프랑스 와인 분류 체계가 일부 변경되었지만, 실제 와인 라벨에는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
현재 프랑스 와인은 AOC 법에 따라 다음 4가지 범주로 나뉜다. 이 분류는 와인의 맛이나 품질의 우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2005년 빈티지의 프랑스 전체 와인 생산량은 4,390만 hl였으며, 이 중 28.3%가 화이트 와인, 71.7%가 레드 또는 로제 와인이었다.[13] AOC 와인의 경우 화이트 와인의 비율이 34.3%로 더 높았다. 빈티지 조건이 좋지 않은 해에는 AOC 와인의 비율이 약간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뱅 드 테이블의 비율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감소한 반면, AOC 와인의 비율은 다소 증가했고, 뱅 드 페이의 비율은 상당히 증가했다. 2005년에는 프랑스에 472개의 와인 AOC가 있었다.[14]
3. 1. AOC 와인
AOC 와인(원산지 호칭 통제 와인)은 생산지, 포도 품종, 재배법, 양조법, 알코올 도수 등이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 지역명에서 지구명, 나아가 마을명으로 좁아질수록 AOC의 통제가 엄격해지며, 일반적으로 고급품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보르도에서는 마고 등 마을 이름이 들어간 것이 가장 세분화된 AOC이며, 부르고뉴에서는 더욱 세분화되어 밭 이름인 로마네 콩티까지 나뉜다. 포도의 원산지가 넓어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독 등의 지구명, 보르도 등 지방명으로 AOC의 범위가 넓어진다. 보다 한정된 산지(아펠라시옹)일수록 토지의 개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EU의 원산지 명칭 보호 제도에서는 원산지 명칭 보호 와인(AOP)에 해당한다.3. 2. VDQS 와인
AOC 와인보다 다소 규제가 덜한, 예비군적 존재인 VDQS (Vin Délimité de Qualité Supérieure|뱅 데리미테 드 칼리테 쉬페리외르프랑스어)가 있다. 과거에는 랑그도크루시용, 남서부 지방, 론 지방 등에 많이 있었지만, 1980년대부터 90년대에 걸쳐 대다수가 AOC로 승격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전체의 1% 미만이다. EU의 원산지 명칭 보호 제도에서는, 원산지 명칭 보호 와인(AOP)에 해당한다.3. 3. 뱅 드 페이 (IGP 와인)
뱅 드 페이(Vin de pays프랑스어)는 "지방의 와인"이라는 뜻이다. 테이블 와인 (일상 소비용 와인)의 일종이지만, 서로 다른 산지의 와인을 섞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최근에는 AOC보다 높은 평가를 받는 와인도 등장하고 있다. 뱅 드 페이에서도 산지 표시가 허용되며, 라벨에는 'Vin de Pays ~'(~에 지명이 들어간다)의 표기가 있고, 품종이나 빈티지가 표시된 경우가 많다. 이 명칭은 아펠라시옹과는 크게 다르며, 각 아펠라시옹의 상표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뱅 드 페이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산지 명칭은 남부 랑그도크루시용 지방을 나타내는 "옥"(Oc프랑스어, Vin de Pays d'Oc)이며, 루아르강변의 "자르댕 드 라 루아르"(Vin de Pays du Jardin de la Loire프랑스어)도 잘 알려져 있다. EU의 원산지 명칭 보호 제도에서는 지리적 표시 보호 와인(IGP)에 해당한다.3. 4. 뱅 드 프랑스 (Vin de France)
Vin de France프랑스어는 과거 프랑스인들이 물 대신 마시던 와인이었으나, 현재는 대형 네고시앙(와인 상사)이 생산하는 저렴하면서도 품질이 안정적인 데일리 와인으로 적합하다. 유럽 연합(EU)의 원산지 명칭 보호 제도에서는 지리적 표시가 없는 와인에 해당한다.4. 프랑스의 주요 와인 생산 지역
프랑스는 국토 거의 전역에서 와인을 생산하며, 지역별로 고유한 특징을 가진 와인을 생산한다. 주요 와인 생산 지역은 다음과 같다.
- 보르도: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하며, 적포도주 생산으로 유명하다.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등을 블렌딩하여 만들며,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분류를 통해 1등급 와인을 선정하고 있다.
- 부르고뉴: 프랑스 동부에 위치하며, 적포도주와 백포도주 모두 생산한다. 테루아를 중시하며, 피노 누아와 샤르도네 품종을 주로 사용한다.
- 샹파뉴: 프랑스 북동부에 위치하며, 스파클링 와인인 샴페인의 생산지로 유명하다.
- 론 밸리: 프랑스 남동부를 따라 위치하며, 주로 적포도주를 생산한다. 북부와 남부 론은 스타일과 포도 품종 구성이 다르다.
- 루아르 밸리: 프랑스 중부와 서부에 위치하며, 주로 백포도주를 생산한다. 소비뇽 블랑, 슈냉 블랑, 카베르네 프랑 등 다양한 품종을 재배한다.
- 알자스: 프랑스 동부에 위치하며, 백포도주가 주를 이루고 과실미가 강하다. 독일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 등 독일과 유사한 품종을 재배한다.
- 랑그독-루시용: 프랑스 남부에 위치하며, 포도원 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큰 지역이다.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한다.
- 프로방스: 프랑스 남동부에 위치하며, 주로 로제 와인과 적포도주를 생산한다. 남부 론 와인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기도 한다.
이 외에도 코르시카, 쥐라, 사부아, 프랑스 남서부 등 다양한 지역에서 와인이 생산된다. 브르타뉴, 일 드 프랑스, 노르망디, 피카르디는 현재 공식적인 와인 생산 지역은 아니지만, 과거 포도 재배와 와인 제조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포도 재배가 부활하고 있다.
4. 1. 보르도 (Bordeaux)

보르도 와인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넓은 지역으로, 오랜 기간 동안 와인을 해외로 수출해 왔다. 이곳은 주로 적포도주 생산 지역으로, 메독 지역의 샤토 라피트 로쉴드, 샤토 라투르, 샤토 무통 로쉴드, 샤토 마고, 샤토 오 브리옹 와인이 유명하며, 생테밀리옹의 샤토 슈발 블랑과 샤토 오존, 포므롤의 샤토 페트뤼스와 샤토 르 팽도 유명하다. 생산되는 적포도주는 보통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때로는 카베르네 프랑을 블렌딩하여 만든다. 보르도는 샤토 디겡과 같은 소테른 아펠라시옹에서 생산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위트 와인을 포함하여 드라이하고 스위트한 백포도주도 생산한다.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분류는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시작되었는데, 당시 나폴레옹 3세 황제는 전 세계 방문객에게 전시할 프랑스 최고의 보르도 와인에 대한 분류 시스템을 요청했다. 와인 업계의 중개인들은 샤토의 명성과 거래 가격에 따라 와인 등급을 매겼다.
4. 2. 부르고뉴 (Bourgogne)

부르고뉴 또는 프랑스 동부의 ''부르고뉴''(Bourgogne)는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이 모두 중요한 지역이다.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테루아에 대한 인식이 강한 부르고뉴는 프랑스 지역 중 가장 많은 수의 아펠라시옹으로 나뉜다. 부르고뉴의 중심부인 코트 도르에서 생산되는 최고급 와인은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부르고뉴 지역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 코트 드 뉘 (마르사네 라 코트에서 뉘 생 조르주까지)
- 코트 드 본 (본 북쪽에서 산트네까지)
- 코트 샬로네즈
- 마코네
부르고뉴에는 때때로 별도의 지역으로 간주되는 두 부분이 있다.
- 남쪽에 위치한 보졸레, 론 밸리 지역과 가까우며, 주로 레드 와인을 생산하며, 일반적으로 숙성되지 않은 과일향 스타일을 띤다. "보졸레 누보"는 생산 연도에 합법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유일한 와인이다(11월 셋째 주 주말).
- 샤블리, 코트 도르와 파리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석회질 토양에서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여 부르고뉴의 다른 지역보다 더 선명하고 강철 같은 스타일을 낸다.
부르고뉴에서는 주로 두 가지 주요 품종의 포도를 사용하는데, 화이트 와인에는 샤르도네, 레드 와인에는 피노 누아가 사용된다. 화이트 와인은 알리고테로 만들기도 하며, 다른 품종의 포도도 가끔 발견된다.
부르고뉴 출신의 유명한 와인 생산자인 구스타브 앙리 랄리(Gustave Henri Laly)는 20세기 초에 몽 다르동에서 생산한 그의 몽라셰를 프랑스 국회에 공급했다.
4. 3. 샹파뉴 (Champagne)
샹파뉴는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근처의 프랑스 북동부에 있으며, 프랑스의 주요 와인 지역 중 가장 추운 곳이자 주요 스파클링 와인인 샴페인의 고향이다. 샹파뉴 와인은 화이트 와인과 로제 와인 모두 생산될 수 있다. 소량의 스틸 와인도 샹파뉴에서 생산되며 (AOC 꼬또 샹페누아) 일부는 레드 와인일 수 있다.[1]4. 4. 론 밸리 (Rhône Valley)
론 밸리는 프랑스 남동부 론 강을 따라 위치한, 주로 적포도주 생산 지역이다. 북부 론과 남부 론의 스타일과 포도 품종 구성은 다르지만, 두 지역 모두 적포도주의 전통적인 생산지로서 보르도와 경쟁한다.4. 5. 루아르 밸리 (Loire Valley)
루아르 계곡은 프랑스 중부와 서부에 위치한 루아르 강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주로 백포도주 생산 지역이며, 포도 품종과 와인 스타일은 강을 따라 다양하다. 루아르 강을 따라 4개의 하위 지역이 있다.- 상 루아르(Upper Loire)는 소비뇽 블랑으로 유명하며, 상세르 AOC와 같은 와인을 생산하고, 여러 VDQS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투렌은 부브레 AOC의 슈냉 블랑으로 만든 서늘한 기후 스타일의 화이트 와인(드라이, 스위트 또는 스파클링)과 부르귈 AOC와 시농 AOC의 카베르네 프랑으로 만든 레드 와인을 생산한다.
- 앙주]-소뮈르는 품종 측면에서 투렌 와인과 유사하지만, 드라이한
4. 6. 알자스 (Alsace)
알자스는 프랑스 동부 일 강에 위치한 와인 생산 지역으로, 주로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지만 일부 레드 와인, 로제 와인, 스파클링 와인, 스위트 와인도 생산한다. 독일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리슬링, 게뷔르츠트라미너, 피노 그리, 피노 블랑, 피노 누아, 머스캣 등 많은 포도 품종을 공유하며, 품종별 라벨링에 대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알자스 와인은 백색 와인이 주류를 이루며 과실미가 강하고, 라인 강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독일 와인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1]
4. 7. 랑그독-루시용 (Languedoc-Roussillon)
랑그독-루시용은 포도원 면적과 생산량 면에서 가장 큰 지역이며, 프랑스 저가 벌크 와인의 상당 부분이 생산되는 곳이다. 소위 "와인 호수"라고도 불리는 랑그독-루시용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스파클링 와인인 블랑케 드 리무와 같은 전통적인 프랑스 와인과 신세계 와인의 교훈을 활용하여 국제적인 스타일을 결합하는 혁신적인 생산자들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랑그독-루시용 와인의 대부분은 뱅 드 페이 도크로 판매된다.
4. 8. 프로방스 (Provence)
프로방스는 프랑스 남동부에 위치하며 지중해와 가깝다. 프랑스에서 가장 따뜻한 와인 생산 지역 중 하나로, 주로 로제 와인과 레드 와인을 생산한다. 프로방스는 프로방스의 대표 와인인 방돌을 필두로 8개의 주요 원산지 통제 명칭(AOC)을 포함한다.[27] 일부 프로방스 와인은 포도 품종, 스타일, 기후를 공유하기 때문에 남부 론 와인과 비교될 수 있다.[27][28][29] 프로방스는 또한 보르도와 마찬가지로 가장 권위 있는 와이너리를 분류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30]
4. 9. 기타 지역
브르타뉴는 더 이상 공식적인 와인 지역은 아니지만, 포도 재배와 와인 제조와 관련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포도 재배 부활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렌, 캥페르, 모르레, 르 키요, 클레게렉, 생 쉴리아크, 르 폴고에 등지에 몇몇 소규모의 취미용 포도원이 세워졌다.[25]
코르시카는 지중해에 있는 섬으로, 와인은 주로 섬 자체에서 소비된다. 코르시카는 9개의 AOC(원산지 통제 명칭) 지역과 섬 전체를 아우르는 뱅 드 페이(Vin de pays, 지역 와인) 지정을 가지고 있으며, 생산 방식과 지역 스타일을 발전시키고 있다.[25]
일 드 프랑스는 더 이상 공식적인 와인 생산 지역은 아니다. 하지만 포도 재배와 와인 생산과 관련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포도 재배가 부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 드 프랑스 지역의 5개 마을(센에마른 지역 북동부)은 샴페인 지역에 속하며, 지난 수십 년 동안 200개 이상의 소규모 여가용 포도원이 조성되어 총 12헥타르를 덮고 있다.[25]
쥐라는 스위스 근처 산악 지역으로, 특히 ''뱅 존''과 ''뱅 드 빠유''와 같은 독특한 와인 스타일을 생산하는 곳이다. 이 지역은 6개의 아펠라시옹을 포함하며, 부르고뉴 포도 품종인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는 점에서 부르고뉴와 관련이 있지만, 다른 품종도 사용된다. 또한 부르고뉴와 비슷한 서늘한 기후를 공유한다.[25]
노르망디는 더 이상 공식적인 와인 생산 지역은 아니다. 하지만 포도 재배와 와인 제조와 관련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포도 재배 부활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몇몇 소규모의 레크리에이션용 포도원이 조성되었으며, 적어도 한 곳은 캉(Caen) 근처의 그리시(Grisy)에서 상업적으로 운영되고 있다.[25]
피카르디는 더 이상 공식적인 와인 지역이 아니다. 그러나 포도 재배와 와인 제조와 관련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포도 재배가 부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피카르디의 40개 마을(아인의 남쪽)은 현재 샹파뉴 지역에 속하며, 지난 20년 동안 쿠시 르 샤토(Coucy le Château), 제르베로이(Gerberoy), 구비외(Gouvieux), 클레로아(Clairoix) 등에서 몇몇 소규모 레크리에이션 포도원이 설립되었다.[25]
사부아 또는 ''사부아''(Savoie)는 스위스 인근 알프스 지역의 주요 화이트 와인 생산 지역으로, 이 지역 고유의 많은 포도 품종이 재배된다.[25]
프랑스 남서부 또는 ''쉬드-우에스트''(Sud-Ouest)는 보르도 내륙 또는 남쪽에 위치한 다소 다양한 와인 지역을 묶어 일컫는 말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레드 보르도와 비슷한 스타일의 주로 레드 와인을 생산하며, 다른 지역에서는 드라이 또는 스위트 화이트 와인을 생산한다. ''쉬드-우에스트'' 지역에는 다음이 포함된다.[25]- 베르주라크와 상류 도르도뉴의 다른 지역
- 가론 강 상류 지역, 카오르 포함
- 가스코뉴, 아르마냑, 마디랑, 코트 드 가스코뉴, 생-몽, 파체랭 뒤 빅-빌, 튀르상 생산지
- 베아른, 쥐랑송 등
- 바스크 지방, 이루레기 등
이러한 주요 지역 외에도 여러 소규모 생산 지역이 있다. 이들 중 많은 곳이 VDQS 와인이며, 일부, 특히 북쪽 지역에 있는 곳은 한때 더 컸던 생산 지역의 잔재이다.[25]
5. 프랑스 와인의 특징
프랑스 와인은 국가적 정체성보다는 지역적 특색을 강하게 띠며, 다양한 포도 품종, 생산 방식, 지역별 분류 시스템으로 나타난다. 품질과 가격대는 매우 다양하며, 즉시 소비하거나 장기 보관할 수 있는 와인이 모두 생산된다.[16]
프랑스 와인은 대부분 음식과 함께 곁들여 먹기 위해 만들어졌다. 프랑스 전통에서는 와인을 음식과 함께 제공하므로, 와인 자체를 즐기기 위한 "바 와인"은 거의 개발되지 않았다.[17]
프랑스 와인 라벨에는 등급, 생산자 이름, 생산 지역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다. 알자스 와인을 제외하고는 사용된 포도 품종을 라벨에 표시하지 않는 전통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품종 라벨링을 사용하는 와이너리가 늘고 있다. 라벨에는 와인이 병입된 장소도 표시되는데, 이는 와인의 품질 수준과 생산 방식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독립 와인 생산자"는 일부 독립 와인 생산자들이 사용하는 특별한 표지로, 대규모 기업 와인 생산 운영과 차별화된다.[22]
5. 1. 테루아 (Terroir)

테루아는 특정 포도원과 관련된 자연적 요소들의 독특한 조합을 의미하며, 프랑스 ''포도 재배자''들에게 중요하다.[12] 여기에는 토양, 기반암, 고도, 언덕이나 지형의 경사, 태양을 향한 방향, 미기후 (전형적인 강우량, 바람, 습도, 온도 변화 등)와 같은 요소가 포함된다. 같은 지역에서도 두 개의 포도원은 정확히 동일한 테루아를 갖지 않으며, 이것이 원산지 통제 명칭 (AOC) 시스템의 기반이 되었고, 이는 전 세계의 원산지 명칭 및 와인 법률의 모델이 되었다. 다시 말해, 동일한 포도 품종을 서로 다른 지역에 심으면 서로 상당히 다른 와인을 생산할 수 있다.[20] 프랑스에서 ''테루아'' 개념은 부르고뉴 지역에서 가장 극명하게 나타난다.[12]
''테루아''가 와인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범위는 와인 산업에서 논란이 되어 왔다.[21]
5. 2. 포도 품종
프랑스에는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품종과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 품종 등 다양한 포도 품종이 재배된다. 실제로 소위 "국제 품종"의 대부분은 프랑스에서 유래되었거나, 프랑스에서 재배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 프랑스 원산지 명칭 규칙은 일반적으로 각 지역, 구 또는 원산지 명칭의 와인을 소수의 허용된 포도 품종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프랑스 전역에서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품종은 원칙적으로 없다.대부분의 포도 품종은 보르도의 카베르네 소비뇽, 론의 시라와 같이 특정 지역과 주로 관련이 있지만, 부르고뉴(샤블리 포함)와 샴페인의 샤르도네, 루아르와 보르도의 소비뇽 블랑과 같이 두 개 이상의 지역에서 발견되는 품종도 있다. 규칙의 예로, 기후 조건이 유리해 보이지만 론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 와인이, 루아르에서는 리슬링 와인이, 보르도에서는 샤르도네 와인이 생산되지 않는다. (이러한 와인이 생산되는 경우, 비 드 페이 또는 프랑스 테이블 와인으로 강등되어야 하며, 원산지 명칭이나 지역을 표시할 수 없다.)
전통적으로 많은 프랑스 와인은 여러 포도 품종을 혼합하여 만들어졌다. 단일 품종 화이트 와인은 단일 품종 레드 와인보다 더 흔했고, 지금도 그렇다.
2007년 수확 당시 가장 흔한 포도 품종은 다음과 같다.[18][19]
프랑스 주요 포도 품종 (2007년 상황, 모든 품종 1000ha 이상) | |||
---|---|---|---|
품종 | 색상 | 면적(%) | 면적(헥타르) |
1. 메를로 | 적포도 | 13.6% | 116715ha |
2. 그르나슈 | 적포도 | 11.3% | 97171ha |
3. 우니 블랑 | 백포도 | 9.7% | 83173ha |
4. 시라 | 적포도 | 8.1% | 69891ha |
5. 까리냥 | 적포도 | 6.9% | 59210ha |
6. 카베르네 소비뇽 | 적포도 | 6.7% | 57913ha |
7. 샤르도네 | 백포도 | 5.1% | 43887ha |
8. 카베르네 프랑 | 적포도 | 4.4% | 37508ha |
9. 가메 | 적포도 | 3.7% | 31771ha |
10. 피노 누아 | 적포도 | 3.4% | 29576ha |
11. 소비뇽 블랑 | 백포도 | 3.0% | 26062ha |
12. 생소 | 적포도 | 2.6% | 22239ha |
13. 멜론 드 부르고뉴 | 백포도 | 1.4% | 12483ha |
14. 세미용 | 백포도 | 1.4% | 11864ha |
15. 피노 뫼니에 | 적포도 | 1.3% | 11335ha |
16. 슈냉 블랑 | 백포도 | 1.1% | 9756ha |
17. 무르베드르 | 적포도 | 1.1% | 9494ha |
18. 콜롬바르 | 백포도 | 0.9% | 7710ha |
19. 뮈스카 블랑 아 프티 그랭 | 백포도 | 0.9% | 7634ha |
20. 말벡 | 적포도 | 0.8% | 6291ha |
21. 알리칸테 부셰 | 적포도 | 0.7% | 5680ha |
22. 그르나슈 블랑 | 백포도 | 0.6% | 5097ha |
23. 비오니에 | 백포도 | 0.5% | 4111ha |
24. 뮈스카 드 앙부르 | 적포도 | 0.4% | 3605ha |
25. 리슬링 | 백포도 | 0.4% | 3480ha |
26. 베르멘티노 | 백포도 | 0.4% | 3453ha |
27. 아라몽 | 적포도 | 0.4% | 3304ha |
28. 게뷔르츠트라미너 | 핑크포도 | 0.4% | 3040ha |
29. 타나 | 적포도 | 0.3% | 3001ha |
30. 그로 망상 | 백포도 | 0.3% | 2877ha |
31. 마카베우 | 백포도 | 0.3% | 2778ha |
32. 뮈스카 다르크상드리 | 백포도 | 0.3% | 2679ha |
33. 피노 그리 | 회색포도 | 0.3% | 2582ha |
34. 클레레트 | 백포도 | 0.3% | 2505ha |
35. 칼라독 | 적포도 | 0.3% | 2449ha |
36. 그롤로 | 적포도 | 0.3% | 2363ha |
37. 옥세루아 블랑 | 백포도 | 0.3% | 2330ha |
38. 마르셀란 | 적포도 | 0.3% | 2255ha |
39. 모작 | 백포도 | 0.2% | 2077ha |
40. 알리고테 | 백포도 | 0.2% | 1946ha |
41. 폴 블랑슈 | 백포도 | 0.2% | 1848ha |
42. 그르나슈 그리 | 회색포도 | 0.2% | 1756ha |
43. 샤슬라 | 백포도 | 0.2% | 1676ha |
44. 니엘루치오 | 적포도 | 0.2% | 1647ha |
45. 페르 | 적포도 | 0.2% | 1634ha |
46. 뮈스카델 | 백포도 | 0.2% | 1618ha |
47. 테레 블랑 | 백포도 | 0.2% | 1586ha |
48. 실바너 | 백포도 | 0.2% | 1447ha |
49. 피크풀 블랑 | 백포도 | 0.2% | 1426ha |
50. 빌라르 누아 | 적포도 | 0.2% | 1399ha |
51. 마르산 | 백포도 | 0.2% | 1326ha |
52. 네그레트 | 적포도 | 0.2% | 1319ha |
53. 루산 | 백포도 | 0.2% | 1307ha |
54. 피노 블랑 | 백포도 | 0.2% | 1304ha |
55. 플랑테 | 백포도 | 0.1% | 1170ha |
56. 자케르 | 백포도 | 0.1% | 1052ha |
모든 백포도 품종 | 30.1% | 259130ha | |
모든 적포도, 핑크포도 및 회색포도 품종 | 69.9% | 601945ha | |
총계 | 100.0% | 861075ha |
6. 한국과 프랑스 와인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와 요약이 모두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France will uproot 27,500 hectares of vineyards to combat oversupply crisis
https://www.decanter[...]
2024-11-15
[2]
웹사이트
World wine production reaches record level in 2018, consumption is stable
https://www.bkwine.c[...]
2019-04-14
[3]
웹사이트
French attempt to arrest drastic fall in wine sales
https://www.theguard[...]
[4]
뉴스
When Did the French Start Making Wine?
https://www.winespec[...]
2013-06-03
[5]
서적
Medieval France: an encyclopedia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6]
서적
Alcohol, Culture, and Society
Duke University Press
1952
[7]
서적
Alcohol: Customs and Rituals
Chelsea House
1986
[8]
서적
Alcohol, Culture, and Society
Duke University Press
1952
[9]
서적
Monks and Wine
Mitchell Beazley, Publishers
1979
[10]
논문
A leader in an emerging new international market: the determinants of French wine exports, 1848–1938
http://zaguan.unizar[...]
[11]
서적
Wines of the World
Dorling Kindersly
2004
[12]
서적
Fine Wine Guide
Websters International Publishers Ltd.
2001
[13]
웹사이트
INAO statistics of vineyard surfaces and production volumes for the 2005–2006 campaign
http://www.inao.gouv[...]
[14]
웹사이트
INAO: overview of AOC wine production in 2005
http://www.inao.gouv[...]
[15]
웹사이트
What are the future developments for Alsace wines?
http://www.sommelier[...]
2008
[16]
서적
World Atlas of Wine
Mitchell Beazley
[17]
백과사전
Fra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Viniflhor stats 2008: Les cepages noirs dans le vignoble
http://www.onivins.f[...]
[19]
웹사이트
Viniflhor stats 2008: Les cepages blanc dans le vignoble
http://www.onivins.f[...]
[20]
서적
Wein
Tandem Verlag GmbH
2004
[21]
백과사전
France
https://archive.org/[...]
[22]
웹사이트
Oenologie: conseils pratiques
http://och.free.fr/o[...]
[23]
웹사이트
Guide to EU Wine Regulations
http://www.food.gov.[...]
Food Standards Agency
[24]
웹사이트
Your 2022 guide to Beaujolais wine region
https://www.winetour[...]
[25]
백과사전
France
https://archive.org/[...]
[26]
백과사전
France
https://archive.org/[...]
[27]
서적
French Wine for Dummies
Wiley Publishing
2001
[28]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29]
웹사이트
Wine Regions of France
http://www.emporiumn[...]
[30]
서적
The Sotheby's Wine Encyclopedia
Dorling Kindersley
2005
[31]
웹인용
Production quantities by country (tonnes) in 2011
http://faostat3.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