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랑크 단위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랑크 단위계는 막스 플랑크가 흑체 복사 연구를 통해 제안한 자연 단위계로, 특정 물질이나 환경에 의존하지 않는 보편적인 측정을 목표로 한다. 이 단위계는 환산 플랑크 상수, 중력 상수,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 쿨롱 상수, 볼츠만 상수를 기본 단위로 정의하며, 플랑크 시간, 플랑크 길이, 플랑크 질량, 플랑크 전하, 플랑크 온도의 5가지 기본 단위를 포함한다. 플랑크 단위계를 사용하면 물리 방정식이 단순화되며, 이론 물리학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플랑크 규모는 중력의 양자 효과가 중요해지는 에너지 척도로, 플랑크 시간과 길이는 현재의 물리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극미한 시간과 거리 규모를 나타낸다. 플랑크 단위는 중력과의 관계에서 중요하며, 대체 정규화 방식을 통해 다양한 물리 상수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고에너지 물리학에서도 플랑크 단위계가 사용되며, 플랑크 단위계는 인간 중심적인 임의성을 줄이지만, 여전히 몇 가지 임의적인 선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스 플랑크 - 플랑크 상수
플랑크 상수는 양자론에서 에너지와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 상수이며, 흑체 복사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되었고, 2019년 SI 단위계 재정의를 통해 킬로그램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막스 플랑크 - 플랑크 법칙
플랑크 법칙은 물체가 방출하는 전자기파의 분광복사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사 에너지가 증가하고 방출 스펙트럼의 피크가 짧은 파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설명하며, 막스 플랑크가 개발하여 열역학적 평형 상태의 방사에 대한 안정적인 분포를 보여준다. - 플랑크 단위계 - 플랑크 상수
플랑크 상수는 양자론에서 에너지와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 상수이며, 흑체 복사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되었고, 2019년 SI 단위계 재정의를 통해 킬로그램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플랑크 단위계 - 플랑크 질량
- 단위계 - 미터법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창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 기반의 측정 단위계로, 지구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미터를 길이의 기본 단위로 채택하여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단위계로 표준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단위계 - 측정 단위
측정 단위는 물리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준으로, 초기에는 인체 치수나 자연 현상을 기준으로 발전했으나 국제단위계(SI)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단위의 통일과 정확한 사용은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플랑크 단위계 | |
---|---|
개요 | |
이름 | 플랑크 단위계 |
유형 | 자연 단위계 |
명명 유래 | 막스 플랑크 |
기본 단위 | |
플랑크 길이 | 1.616255(18)×10⁻³⁵ m |
플랑크 질량 | 2.176435(24)×10⁻⁸ kg |
플랑크 시간 | 5.391247(60)×10⁻⁴⁴ s |
플랑크 전하 | 1.875546005(21)×10⁻¹⁸ C |
플랑크 온도 | 1.416784(16)×10³² K |
파생 단위 | |
플랑크 에너지 | 1.956×10⁹ GeV |
플랑크 힘 | 1.210×10⁴⁴ N |
플랑크 동력 | 3.628×10⁵² W |
플랑크 밀도 | 5.155×10⁹⁶ kg/m³ |
플랑크 전압 | 1.043×10²⁷ V |
플랑크 전류 | 3.479×10²⁵ A |
플랑크 임피던스 | 29.9792458 Ω |
플랑크 면적 | 2.61223×10⁻⁷⁰ m² |
플랑크 부피 | 4.22419×10⁻¹⁰⁵ m³ |
플랑크 운동량 | 6.52485 kg⋅m/s |
플랑크 에너지 밀도 | 4.633×10¹¹³ J/m³ |
플랑크 각주파수 | 1.85487 × 10⁴³ rad/s |
플랑크 압력 | 4.633 × 10¹¹³ Pa |
2. 역사
자연 단위계의 개념은 1874년 조지 존스턴 스토니(George Johnstone Stoney)가 전하가 양자화되어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길이, 시간, 질량의 단위를 유도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단위는 그의 이름을 따서 스토니 단위라고 불린다. 스토니는 자신의 단위를 사용하여 ''G'', ''c'', 전자 전하 ''e''가 수치적으로 1이 되도록 했다.[3] 1899년, 양자론이 등장하기 1년 전에 막스 플랑크(Max Planck)는 나중에 플랑크 상수라고 알려지게 된 것을 도입했다.[4][5]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 그는 나중에 자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기본 단위를 제안했다. 플랑크 단위는 작용의 양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현재는 일반적으로 플랑크 상수라고 알려져 있고, 이는 빈 근사에서 흑체 복사를 위해 나타났다. 플랑크는 새로운 단위계의 보편성을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이 썼다.[4]
... die Möglichkeit gegeben ist, Einheiten für Länge, Masse, Zeit und Temperatur aufzustellen, welche, unabhängig von speciellen Körpern oder Substanzen, ihre Bedeutung für alle Zeiten und für alle, auch ausserirdische und aussermenschliche Culturen nothwendig behalten und welche daher als »natürliche Maasseinheiten« bezeichnet werden können.|... 길이, 질량, 시간 및 온도의 단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특정한 물체나 물질과 무관하며, 모든 시대와 외계 및 비인간 문명을 포함한 모든 문명에 대해 그 의미를 필연적으로 유지하며, "자연 단위"라고 부를 수 있다.de
플랑크는 보편 상수 , , , 를 기반으로 하는 단위만을 고려하여 길이, 시간, 질량, 온도에 대한 자연 단위를 도출했다.[5] 그의 정의는 현대적인 정의와 의 인자로 다른데, 이는 현대적인 정의가 (디랙 상수)를 사용하고 (플랑크 상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4][5]
플랑크 단위는 다음과 같은 물리 상수들을 기본 단위로 정의한다.[6][1]
3. 정의
이 상수들의 값을 1로 설정함으로써, 시간, 길이, 질량, 전하, 온도의 5가지 기본 플랑크 단위가 정의된다. 플랑크 단위계에서는 위에 언급된 상수들이 1이 되며, 다른 물리 방정식에서도 이 상수들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은 플랑크 단위를 사용하여 무차원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2]
자연 단위계의 개념은 1874년 조지 존스턴 스토니가 처음 도입했으며, 그는 기본 전하의 양자화를 기반으로 길이, 시간, 질량의 단위를 유도했다. 이를 스토니 단위라고 한다.[3] 1899년 막스 플랑크는 플랑크 상수를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단위계를 제안했다.[4][5] 플랑크는 자신의 단위계가 특정한 물체나 물질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시간과 공간, 심지어 외계 문명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단위계라고 강조했다.
플랑크는 처음에 \(G\), \(h\), \(c\), \(k_\text{B}\)를 기반으로 단위를 정의했지만,[5] 현대적인 정의는 \(h\) 대신 \(\hbar\) (디랙 상수)를 사용한다.[4][5] 플랑크 단위계는 공식적으로 정의된 체계는 아니며, 일부 저자들은 전하 단위를 추가하거나 질량을 에너지로 대체하기도 한다.[8][9][10][11] 플랑크 단위의 SI 값은 중력 상수 \(G\)의 불확실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스토니 단위와 비교했을 때, 플랑크 기본 단위는 모두 \(\sqrt{\frac{1}{\alpha}} \approx 11.7\)배 더 크다. 여기서 \(\alpha\)는 미세 구조 상수이다.[12]
3. 1. 기본 플랑크 단위
플랑크 단위계는 막스 플랑크가 제안한 물리 단위계로, 자연 단위계의 한 종류이다. 플랑크는 중력 상수(G), 플랑크 상수(h), 빛의 속도(c), 볼츠만 상수(kB)를 기반으로 하여 길이, 시간, 질량, 온도의 단위를 정의했다.[5] 현대적인 정의는 플랑크 상수 대신 디랙 상수(\(\hbar\))를 사용한다.[4][5]
이름 | 차원 | 표현식 | 값 (SI 단위) |
---|---|---|---|
플랑크 길이 | 길이 (L) | \(\ell_\text{P} = \sqrt{\frac{\hbar G}{c^3}}\) | |
플랑크 질량 | 질량 (M) | \(m_\text{P} = \sqrt{\frac{\hbar c}{G}}\) | |
플랑크 시간 | 시간 (T) | \(t_\text{P} = \sqrt{\frac{\hbar G}{c^5}}\) | |
플랑크 온도 | 온도 (Θ) | \(T_\text{P} = \sqrt{\frac{\hbar c^5}{G k_\text{B}^2}}\) | |
플랑크 전하 | 전하 (Q) | \(q_\text{P} = \sqrt{4\pi\epsilon_0 \hbar c}\) |
- '''플랑크 길이'''(\(\ell_\text{P}\)): 양자 중력 효과가 중요해지는 거리 규모를 나타낸다.
- '''플랑크 질량'''(\(m_\text{P}\)): 플랑크 길이 정도의 콤프턴 파장을 갖는 입자의 질량을 의미한다.
- '''플랑크 시간'''(\(t_\text{P}\)): 빛이 플랑크 길이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 '''플랑크 온도'''(\(T_\text{P}\)): 플랑크 에너지를 볼츠만 상수로 나눈 값이다.
- '''플랑크 전하'''(\(q_\text{P}\)): 쿨롱 상수와 관련된 전하 단위이다.
플랑크 단위는 아래의 물리 상수들을 1로 만드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c=\frac{l_P}{t_P}\) (빛의 속도)
- \(\hbar=\frac{m_P{\ell_P}^2}{t_P}\) (디랙 상수)
- \(G=\frac{{\ell_P}^3}{m_P{t_P}^2}\) (중력 상수)
- \(\varepsilon_0=\frac{{q_P}^2{t_P}^2}{4\pi m_P{\ell_P}^3}\) (진공 유전율)
- \(k=\frac{m_P{\ell_P}^2}{{t_P}^2T_P}\) (볼츠만 상수)
3. 2. 유도 플랑크 단위
기본 플랑크 단위를 바탕으로 다양한 물리량의 단위를 유도할 수 있다.명칭 | 차원 | 식 | SI에서의 대략적인 값 |
---|---|---|---|
플랑크 에너지 | 에너지 (MLT) | ||
플랑크 힘 | 힘 (MLT) | ||
플랑크 일률 | 일률 (MLT) | ||
플랑크 밀도 | 밀도 (ML) | ||
플랑크 압력 | 압력 (MLT) | ||
플랑크 전압 | 전압 (MLTQ) | ||
플랑크 임피던스 | 전기 저항 (MLTQ) |
각 수치의 스케일에 관해서는 다음 항목들을 참고할 수 있다.
- 에너지 비교
- 힘 비교
- 일률 비교
- 밀도 비교
- 각주파수 비교
- 압력 비교
- 전류 비교
- 전압 비교
4. 물리학 방정식의 단순화
플랑크 단위계를 사용하면 많은 물리학 방정식에서 물리 상수들이 사라져 식이 간결해진다. 예를 들어, 아래 표와 같이 여러 방정식에서 상수들이 제거되어 단순한 형태로 표현된다.[55]
방정식 명칭 | 일반적인 단위계 | 플랑크 단위계 |
---|---|---|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 | ||
슈뢰딩거 방정식 | ||
각주파수 의 소립자나 광자가 갖는 에너지 | ||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 | ||
아인슈타인 방정식 | ||
열의 운동 에너지 | ||
쿨롱의 법칙 | ||
맥스웰 방정식 |
5. 플랑크 규모
플랑크 규모는 양자 중력 효과가 중요해지는 영역을 나타낸다.
플랑크 길이는 양자 요동으로 인해 시공간 구조가 불확정해지는 거리 규모로 여겨진다. 1950년대부터 시공간 계량의 양자 요동이 플랑크 길이 아래에서 친숙한 거리 개념을 적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고 추측되어 왔다.[31][32][33] 이것은 때때로 "시공간이 양자 거품이 된다"라고 표현된다.[34]
플랑크 시간은 현재 물리학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빅뱅 직후의 극히 짧은 시간 간격이다. 현재의 어떠한 물리 이론도 빅뱅 이후의 초기 사건과 같이 플랑크 시간보다 짧은 시간 규모를 설명할 수 없다.[22]
플랑크 에너지는 입자 가속기로 도달하기 어려운 매우 높은 에너지 영역이다. 입자 물리학과 물리 우주론에서 플랑크 척도는 약 (플랑크 에너지) 부근의 에너지 척도이며, 이 척도에서 중력의 양자 효과가 중요해진다.
플랑크 온도는 현재 알려진 물리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극한의 온도이다. ''T''P보다 높은 온도를 설명할 수 있는 알려진 물리적 모델은 없다.
6. 중력과의 관계
플랑크 길이 척도에서 중력의 세기는 다른 힘과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모든 기본 힘이 그 척도에서 통합된다는 이론이 있지만, 이 통합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18] 따라서 플랑크 척도는 다른 기본 상호작용에서 양자 중력의 영향을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지점이며, 현재의 계산과 접근 방식이 무너지기 시작하고, 그 영향을 고려할 수단이 필요한 지점이다.[19]
물리학자들은 양자 수준에서 다른 기본 힘의 상호작용에 대해 상당히 잘 이해하고 있지만, 중력은 문제가 있으며, 일반적인 양자장론의 틀을 사용하여 매우 높은 에너지에서 양자역학과 통합될 수 없다. 낮은 에너지 수준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시되지만, 플랑크 척도에 근접하거나 초과하는 에너지의 경우 양자 중력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에는 끈 이론, M-이론, 루프 양자 중력, 비가환 기하학, 인과 집합 이론 등이 있다.[21]
7. 대체 정규화
플랑크 단위는 유일한 자연 단위계가 아니며, 다른 물리 상수를 정규화하여 다른 자연 단위계를 정의할 수 있다. 중력 상수 ''G'' 대신 $4\pi G$ 또는 $8\pi G$를 1로 정규화하는 방식도 제안되었으며, 이는 중력 관련 방정식들을 단순화하는 데 유용하다.[51][52]
1899년 당시에는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이 정확한 법칙으로 여겨졌으나, 1915년 일반 상대성 이론이 개발되면서 근사적인 법칙임이 밝혀졌다. 1899년 이후의 이론에서는 ''G''가 $4\pi$ 또는 그 정수배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연 단위계를 설계할 때, $4\pi G$를 정규화하여 제거할지 여부를 선택해야 한다.
- $4\pi G$를 1로 정규화하면 ($G = \frac{1}{4\pi}$):
- 가우스의 중력 법칙은 $\Phi_{\mathbf{g}} = -M$이 된다.
- 푸아송 방정식에서 $4\pi G$가 제거된다.
- 약한 중력장 또는 국소적으로 평평한 시공간에서 유효한 중력전자기학(GEM) 방정식에서 $4\pi G$가 제거된다. 이 방정식은 전자기학의 맥스웰 방정식 및 로렌츠 힘 방정식과 동일한 형식을 가지며, 질량 밀도가 전하 밀도를 대체하고, $\frac{1}{4\pi G}$가 $\epsilon_0$를 대체한다.
- 자유 공간에서 중력파의 특성 임피던스 $Z_\mathbf{g}$가 1로 정규화된다.
- 블랙홀의 엔트로피를 나타내는 Bekenstein–Hawking 공식에서 $4\pi G$가 제거되어, $S_{BH} = \pi A_{BH} = (m_{BH})^2$로 단순화된다.
- $8\pi G = 1$로 설정하면 ($G = \frac{1}{8\pi}$):
-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 아인슈타인-힐베르트 작용, 중력에 대한 프리드만 방정식에서 $8\pi G$가 제거된다.
- $8\pi G = 1$로 수정된 플랑크 단위를 '축소된 플랑크 단위'라고 하며, 플랑크 질량이 $\sqrt{8\pi}$로 나누어진다.
- 블랙홀의 엔트로피에 대한 Bekenstein–Hawking 공식은 $S_{BH} = \frac{(m_{BH})^2}{2} = 2\pi A_{BH}$로 단순화된다.
8. 고에너지 물리학에서의 이용
고에너지 이론 물리학에서는 보통 빛의 속도(c)와 디랙 상수(ħ)를 1로 잡는 자연 단위계를 사용한다. 이때, 빛의 속도와 디랙 상수는 단위를 가지지 않는 1이라는 수로 간주된다.[2]
이러한 자연 단위계 표기법에서 시간과 공간은 같은 단위로 측정될 수 있으며, 질량과 에너지 역시 마찬가지이다. 디랙 상수를 1로 간주하면, 시간은 에너지의 역수 차원을 갖게 되어, 시간 역시 에너지 단위의 역수로 표현할 수 있다.[6][1]
고에너지 물리학에서는 주로 전자볼트(eV)를 에너지 단위로 사용하며, 빛의 속도, 디랙 상수, 볼츠만 상수를 1로 놓고, 질량, 시간, 공간, 온도를 모두 에너지 단위 또는 에너지 단위의 역수로 표현한다.
플랑크 단위계를 사용하면 아래 표와 같이 여러 물리학 방정식에서 변환 상수가 필요 없어져 식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어 이론 물리학에서 자주 사용된다.[55]
방정식 명칭 | 일반적인 단위계 | 플랑크 단위계 |
---|---|---|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 | ||
슈뢰딩거 방정식 | ||
각주파수의 소립자나 광자가 갖는 에너지 | ||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 | ||
아인슈타인 방정식 | ||
열의 운동 에너지 | ||
쿨롱의 법칙 | ||
맥스웰 방정식 |
9. 한계 및 의의
플랑크 단위는 대부분의 경우 실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크거나 작지만, 이론 물리학에서는 중요한 기준점 역할을 한다. 플랑크 단위는 현재 물리학 이론의 한계를 보여주며, 양자 중력과 같은 새로운 이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33][16][31][17]
플랑크가 그의 단위를 제안했을 당시의 목표는 단일 단위를 측정하는 양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물체를 측정하는 보편적인 ("자연적인")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1918년 아서 에딩턴은 플랑크 길이가 중력을 이해하는 데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큰 영향력을 얻지 못했다.[33][16] 1950년대 레프 란다우와 오스카 클라인을 포함한 여러 저자들은 플랑크 규모 정도의 양이 양자장론의 타당성의 한계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존 아치볼드 휠러는 1955년에 시공간의 양자 요동이 플랑크 규모에서 중요해진다고 제안했지만, 당시 플랑크 단위 체계를 알지 못했다.[33][31] 1959년 C. A. 미드는 플랑크 길이 정도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플랑크 시간 정도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와 관련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참조
[1]
서적
Gravitation
1973
[2]
논문
The application of dimensional analysis to cosmology
[3]
논문
Natural Units Before Planck
https://ui.adsabs.ha[...]
1983-03-01
[4]
논문
Über irreversible Strahlungsvorgänge
https://www.biodiver[...]
[5]
간행물
Natural Systems of Units. To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the Planck System
http://old.ihst.ru/p[...]
1999
[6]
논문
On Absolute Units, I: Choice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05
[7]
서적
A First Course in String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Encyclopedia of Dista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6
[9]
웹사이트
Blackbody Radiation
https://physics.info[...]
[10]
서적
The Landscape of Theoretical Physics: A Global View
https://www.springer[...]
Kluwer Academic
[11]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 Basics in Mathematics and Physics
https://cds.cern.ch/[...]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6
[12]
논문
Stoney's Fundamental Units
[13]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n a Nutshel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Road to Reality
Alfred A. Knopf
[15]
논문
Scaling Mount Planck I: A View from the Bottom
[16]
서적
The Prism of Science
Springer
[17]
논문
Possible Connection Between Gravitation and Fundamental Length
American Physical Society
1964-08-10
[18]
arXiv
Quest For Unification
[19]
웹사이트
Can experiment access Planck-scale physics?
https://cerncourier.[...]
2006-10-04
[20]
논문
Particle Creation by Black Holes
http://projecteuclid[...]
1975
[21]
논문
Quantum gravity
[22]
웹사이트
Birth of the Universe
http://abyss.uoregon[...]
University of Oregon
[23]
서적
The Early Univers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4]
서적
The Constants of Nature: From Alpha to Omega – The Numbers that Encode the Deepest Secrets of the Universe
Pantheon Books
[25]
문서
BarrowTipler1986
[26]
논문
The value of the cosmological constant
[27]
서적
Physics Meets Philosophy at the Planck Sca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논문
Six easy roads to the Planck scale
[29]
웹사이트
What Is The Smallest Possible Distance In The Universe?
https://www.forbes.c[...]
Forbes
2019-06-26
[30]
논문
Three new roads to the Planck scale
http://aapt.scitatio[...]
2017-11
[31]
논문
Geons
1955-01
[32]
논문
Gravitational fields and quantum mechanics
https://doi.org/10.1[...]
1958-01-01
[33]
서적
Studies in the History of General Relativity: Based on the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General Relativity, Luminy, France, 1988
http://people.bu.edu[...]
Birkhäuser
1992
[34]
논문
What's bad about this habit
http://physicstoday.[...]
2009-05
[35]
논문
Quantum Black Holes
https://pdfs.semanti[...]
2005-05
[36]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I: Introductions to Quantum Gravity, Supersymmetry and String Theory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03-22
[37]
서적
Geoffrey Chew: Architect of the Bootstrap
World Scientific
2021-12
[38]
간행물
Minimal Length Scale Scenarios for Quantum Gravity
2013-12
[39]
간행물
Physical Implications of a Fundamental Period of Time
2020-06-19
[40]
웹사이트
HiRes – The High Resolution Fly's Eye Ultra High Energy Cosmic Ray Observatory
http://www.cosmic-ra[...]
2016-12-21
[41]
간행물
Detection of a cosmic ray with measured energy well beyond the expected spectral cutoff due to cosmic microwave radiation
1995-03
[42]
간행물
Conservation laws in "doubly special relativity"
https://link.aps.org[...]
2003-08-04
[43]
간행물
The Soccer-Ball Problem
http://www.emis.de/j[...]
2022-04-16
[44]
서적
Quantum Gravity
Oxford University Press
[45]
간행물
On limiting field strengths in gravitation
1993
[46]
간행물
The Maximum Tension Principle in General Relativity
2002
[47]
간행물
Counterexamples to the maximum force conjecture
2021-02-03
[48]
간행물
Where will Einstein fail? Leasing for Gravity and cosmology
Astronomical Society of India, NASA Astrophysics Data System
2012-03-01
[49]
서적
The Hour of Our Delight
W. H. Freeman Company
[50]
Arxiv
Scrambling Time and Causal Structure of the Photon Sphere of a Schwarzschild Black Hole
2018-07-17
[51]
간행물
Kaluza-Klein Monopole
[52]
서적
Fundamental Problems in Quantum Physics
Springer
2018-01-16
[53]
서적
General Relativity and the Einstein Equations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54]
서적
Curvature of Space and Time, with an Introduction to Geometric Analysi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20
[55]
문서
たとえば『ニュートンの万有引力の法則』の『プランク単位系』の方程式において、右辺のの次元はM{{sup|2}} L{{sup-|2}}ではなくM L T{{sup-|2}}である。
[56]
간행물
2018 CODATA
https://physics.nist[...]
科学技術データ委員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