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스쿠스 유다이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는 로마 황제 베스파시아누스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 유대인들에게 부과한 세금이다. 이 세금은 2 데나리우스로, 예루살렘 성전세와 동일한 금액이었으며, 로마의 카피톨리누스 유피테르 신전으로 보내졌다.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세금 부과 대상을 확대했고, 네르바 황제는 유대교와 기독교를 구분하여 유대교 신자에게만 세금을 부과하도록 개혁했다.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는 2세기 중엽까지 징수되었으며, 율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폐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342년 신성 로마 제국에서 Opferpfennig라는 이름으로 부활하여 유대인들에게 징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스파시아누스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베스파시아누스 - 네 명의 황제의 해
    68년 네로 황제 자살 후 69년,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베스파시아누스 네 명의 황제가 잇달아 즉위하며 로마 제국에 혼란이 야기되었고, 이는 정치적 불안정과 군사적 개입을 심화시킨 사례로 평가받는다.
  • 세제사 - 지정은제
    지정은제는 명나라 일조편법을 계승하여 인두세를 폐지하고 지세로 통합함으로써 조세 제도를 간소화한 중국의 조세 개혁 제도이다.
  • 세제사 - 일조편법
    일조편법은 명나라에서 시행된 세제 개혁으로, 토지세를 중심으로 세금을 일원화하고 은으로 납부하는 화폐화를 추진하여 동아시아 경제와 조선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피스쿠스 유다이쿠스
개요
명칭피스쿠스 유다이쿠스 (Fiscus Iudaicus)
종류세금
대상유대인
존속 기간70년 – 96년
시행 국가로마 제국
역사적 배경
배경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 예루살렘 함락 및 예루살렘 성전 파괴
목적파괴된 예루살렘 성전 대신 유피테르 신전 유지 자금 확보
세금 내용
납세 의무모든 유대인 (남성, 여성, 어린이 포함)
세액2 데나리우스
징수 방법로마 제국 재무관 (fiscus)에 의해 징수
특징유대교로 개종한 사람에게도 부과
반발유대인의 반발 및 탈세 시도
영향
사회적 영향유대인에 대한 차별 심화 및 반유대주의 감정 고조
경제적 영향유대인의 경제적 부담 가중
종교적 영향유대교의 약화 및 기독교의 성장 촉진
폐지
폐지 시기네르바 황제 재위 기간 (96년)
폐지 이유지나친 가혹함에 대한 비판 및 제국 내 유대인과의 관계 개선 필요성 대두
같이 보기
관련 항목유대인
로마 제국
반유대주의

2. 동시대 사료

피스쿠스 유다이쿠스에 대한 현대적 지식은 다음의 네 종류 1차 자료에서 알 수 있다.[30]

3. 시행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는 로마 황제 베스파시아누스제1차 유대-로마 전쟁 (서기 66-73년)의 결과로 유대인에게 부과한 징벌적 조치였다. 이 세금은 로마에 대한 반란 가담자뿐만 아니라 제국 전역의 모든 유대인에게 부과되었다. 서기 70년 제2성전 파괴 이후, 유대인들이 성전 유지 명목으로 내던 십일조를 대체하여 부과되었으며, 징수 금액은 2 데나리우스로, 독실한 유대인들이 예루살렘 성전 유지 명목으로 내던 2분의 1 세겔과 동일한 금액이었다.[21] 징수된 세입은 로마의 카피톨리누스 유피테르 신전으로 보내졌다.[21] 로마에서는 'procurator ad capitularia Iudaeorum'라는 특별 프로쿠라토르가 세금 징수를 담당했다.[22] 유대교를 배교한 자들만이 이 세금에서 면제되었다.

3. 1. 세금 부과 대상의 변화

로마 황제 베스파시아누스가 부과한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는 원래 예루살렘 성전에 세금을 납부하던 20세에서 50세 사이의 성인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아이, 노인[4], 심지어 유대인 노예[5]에게도 부과되었다. 이집트의 세금 영수증 기록에 따르면, 61세 여성이 피스쿠스 유다이쿠스를 납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당시 로마 인두세의 부과 기준(62세)과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4.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대의 변화

도미티아누스 황제(재위 81-96년)는 피스쿠스 유다이쿠스의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유대인으로 태어난 사람,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뿐만 아니라 유대인으로 의심되는 사람, 유대교 관습을 따르는 사람들도 포함되었다.[22] 수에토니우스는 90세 노인이 할례 여부를 검사받았다는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62세 이상에게도 세금이 부과되었음을 시사한다.[22] 루이스 펠드먼은 이러한 탄압 강화가 유대교(및 기독교) 개종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6]

도미티아누스는 '유대인처럼 사는 자들'에게도 세금을 부과했는데, 이는 로마와 이탈리아 전역에서 공갈의 가능성을 열었다.[27] 유대교 관련 고발은 쉬웠지만, 이를 반박하기는 어려웠다. 특히 특정 철학 종파의 관습이 유대교 관습과 유사했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법정 공판의 불확실성 대신 고발자와 합의를 택했고, 이는 공갈을 부추겼다.[27]

티투스 플라비우스 클레멘스는 서기 95년에 "유대인의 삶을 살거나", "유대적 방식에 빠져" 사형에 처해졌는데, 이는 도미티아누스 시기 피스쿠스 유다이쿠스 행정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28]

5. 유대교와 기독교의 분리

네르바는 서기 96년에 피스쿠스 유다이쿠스의 집행 방식을 개혁하고 유대교를 종교로서 재정의하였다. 이는 유대교를 기독교와 별개의 것으로 보았다는 것과 유대교를 믿는 자들만이 세금을 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30][31] 이러한 개혁은 몇 년 후에 시작되어 313년에 밀라노 칙령까지 계속된 로마의 기독교 박해에 관한 길을 닦았다.[30][32] 네르바의 주화에는 도미티아누스의 가혹한 정책들에 관한 그의 개혁 일환[33]에 있는 '유대세와 관련한 악의적 기소의 폐지'[34]를 뜻하는 'fisci Iudaici calumnia sublatala'[35]라는 문구가 담겨 있다.

6. 폐지

피스쿠스 유다이쿠스가 정확히 언제 폐지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기록물 증거들은 2세기 중엽의 세금 징수를 확인해주었고, 문헌 자료들은 이 세금이 3세기 초에도 여전히 존재했음을 나타낸다.[36] 공식적으로 언제 폐지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 역사가들은 율리아누스 황제가 361년 혹은 362년경에 폐지한 것으로 본다.[22][37]

7. 중세 시대의 부활

루트비히 4세는 1342년에 Opferpfennig(희생의 페니) 세금을 도입했다. Opferpfennigde(원래 Guldenpfennigde)라고 불린 이 세금은 12세 이상이고 20 굴덴을 소유한 모든 유대인에게 보호를 위해 연간 1굴덴을 지불하도록 강제했다. 이러한 조치는 신성 로마 황제로마 황제의 법적 후계자로서, 제2성전 파괴 이후 유대인들이 로마인들에게 지불하던 성전세를 받을 정당한 권리가 있다는 논리로 정당화되었다. Opferpfennig는 성탄절에 징수되었다.[38]

이후 카를 4세 황제는 Opferpfennig 세금을 트리어 대주교에게 전달하도록 지시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 세금이 공동체 세금으로 대체되기도 했다.[38]

참조

[1] 서적 Jews and Christians: Graeco-Roman Vi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2]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Fiscus Judaicus http://jewishencyclo[...]
[3] 백과사전 Fiscus Judaicus
[4] 서적 1998
[5] 서적
[6] 서적
[7] 서적 1993
[8] 서적 1915
[9] 서적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10] 서적 The Jewish Christians and the Jewish tax Éditions du Cerf
[11] 웹사이트 The Fiscus Judaicus and the Parting of the Ways https://www.biblical[...] 2020-12-31
[12] 서적 1996
[13] 웹사이트 Fiscus Judaicus https://www.livius.o[...] 2020-12-31
[14] 백과사전 Fiscus Judaicus 1915
[15] 서적 Jews and Christians: Graeco-Roman Vi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6] 간행물 Nerva, the Fiscus Judaicus and Jewish Identity 1989
[17] 웹사이트 How Rome's administration of the Fiscus Judaicus accelerated the parting of the ways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https://www.rug.nl/r[...]
[18] 웹사이트 Julian and the Jews (361-363 CE) http://www.fordham.e[...]
[19] 백과사전 Opferpfennig http://www.jewishvir[...] 2008
[20] 서적 Jews and Christians: Graeco-Roman Vi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21]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Fiscus Judaicus http://jewishencyclo[...]
[22] 백과사전 Fiscus Judaicus
[23] 서적 1998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1993
[27] 서적 1915
[28] 서적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29] 서적 The Jewish Christians and the Jewish tax Éditions du Cerf
[30] 웹사이트 The Fiscus Judaicus and the Parting of the Ways https://www.biblical[...] 2020-12-31
[31] 서적 1996
[32] 웹사이트 Fiscus Judaicus https://www.livius.o[...] 2020-12-31
[33] 간행물 Nerva, the Fiscus Judaicus and Jewish Identity 1989
[34] 서적 Jews and Christians: Graeco-Roman Vi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5] 백과사전 Fiscus Judaicus 1915
[36] 논문 How Rome's administration of the Fiscus Judaicus accelerated the parting of the ways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https://www.rug.nl/r[...]
[37] 웹인용 Julian and the Jews (361-363 CE) http://www.fordham.e[...] 2022-06-05
[38] 백과사전 OPFERPFENNIG. Encyclopaedia Judaica http://www.jewishvir[...]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