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는 독일 하멜른 마을에 쥐가 창궐했을 때 피리를 불어 쥐를 없애는 대가로 금화를 요구했으나, 약속이 지켜지지 않자 아이들을 동굴로 유인하여 사라지게 했다는 전설이다. 이 이야기는 1300년경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문학 작품, 영화, 음악, 연극 등으로 재해석되었다. 전설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이들이 자연재해로 사망했거나, 이교 종교에 의해 유인되었거나, 동유럽으로 이주했다는 등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현대에는 하멜른 시가 이 전설을 관광 상품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매년 6월 26일을 "쥐 사냥꾼의 날"로 기념한다.
독일 하멜른은 평화로운 마을이었지만, 쥐 떼가 창궐하면서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쥐들은 집 안을 침입하고, 밭의 작물을 망치거나, 노점의 음식을 훔치는 등 문제를 일으켰다.[4]
이 이야기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1300년경 하멜른 교회에 설치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다.[10] 이 창문은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여러 기록에서 묘사되었으나 1660년에 파괴되었다.[11] 역사가 한스 도버틴은 현존하는 묘사를 바탕으로 창문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했는데, 여기에는 피리 부는 사나이의 화려한 모습과 흰색 옷을 입은 여러 아이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11]
여러 이론에서는 아이들이 질병이나 기아와 같은 자연적인 원인[31]으로 사망했으며, 피리 부는 사나이는 죽음을 상징하는 인물이라고 주장한다. 이 이론과 관련된 유사한 주제로는 중세 시대의 흔한 비유인 죽음의 춤(Totentanzde 또는 Danse Macabre프랑스어)가 있다. 이 이론에 부합하는 시나리오로는 아이들이 베저 강에 빠져 죽었거나, 산사태로 사망했거나, 전염병에 걸린 경우 등이 제시되었다. 또 다른 현대적 해석은 하멜른의 아이들이 이교 또는 이단 종파에 의해 Coppenbrügge 근처 숲(시의 신비로운 Koppende "언덕")으로 유인되어 의례적인 춤을 추다가 갑작스러운 산사태나 붕괴되는 싱크홀로 인해 모두 사망했다는 사건을 암시하는 것으로 본다.[32]
2. 줄거리
어느 날, 알록달록한 옷을 입은 피리 부는 사나이가 나타나 쥐를 퇴치해주겠다고 제안했다. 그는 쥐를 없애는 대가로 금화 1,000개(일본어판에서는 금화 100개가 든 자루 1개)를 요구했다. 시장은 이를 수락하고 쥐 퇴치를 약속했다.[4]
사나이는 피리를 불어 쥐들을 베저 강으로 유인했고, 쥐들은 모두 물에 빠져 죽었다.[4]
하지만 시장은 약속을 어기고 보수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다. 한국어판에서는 "쥐가 강물에 빠져 죽은 거지 피리 소리를 듣고 죽은 게 아니지 않냐"며 거절했고, 영어판에서는 50 길더로 줄이고 갈취를 시도했으며, 일본어판에서는 "너무 쉽게 쥐 퇴치가 끝나버린 것에 대해, 금화는 대가와 맞지 않는다"며 거절했다.[4]
분노한 사나이는 복수를 맹세하며 마을을 떠났다. 성 요한과 바울 축일에 사나이는 다시 나타나 피리를 불었고, 이번에는 마을의 아이들이 그를 따라나섰다. 130명의 아이들은 사나이를 따라 마을 밖 산속 동굴로 들어갔고,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4]
일부 버전에서는 다리가 불편하거나, 귀가 먹거나, 눈이 먼 아이 1~3명만이 남았다고 전해진다. 다른 버전에서는 피리 부는 사나이가 아이들을 코펠베르크 언덕 꼭대기, 코펜베르크 산, 또는 트란실바니아로 데려갔다고 한다.[5][6]
Bungelosenstrassede("북 없는 거리")라는 이름의 하멜른 거리는 아이들이 마지막으로 목격된 장소로 여겨지며, 이후 이 거리에서는 음악이나 춤이 금지되었다.[8][9]
3. 역사적 배경
이 창문은 일반적으로 이 도시의 비극적인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하멜른 시의 기록 역시 이 사건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1384년경에는 사건을 목격한 사람의 증언을 담은 라틴어 구절이 들어있는 합창 악보가 있었다고 전해진다.[13] 1440년~1450년경의 뤼네부르크 필사본에는 이 사건에 대한 초기 독일어 기록이 담겨 있다.[89]
하멜른에 있는 Rattenfängerhausde (영어: "쥐잡이 사나이의 집" 또는 피리 부는 사나이의 집)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14]
작가 파니 로스텍-뤼만(Fanny Rostek-Lühmann)에 따르면, 이것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Koppende (고지 독일어 Kuppede, 언덕 또는 돔형 언덕을 의미)은 하멜른을 둘러싼 여러 언덕 중 하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1610년에서 1617년 사이에 세워진 "웨딩 하우스(Wedding-house) 또는 호흐차이트하우스(Hochzeitshaus)"에도 비슷한 비문이 있다.[20]
하멜른 박물관에는 1556년에 건축된 도시 성문의 일부가 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전설에 대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조각 증거로 여겨지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22][23]
하멜른 박물관의 설명에 따르면, 14세기 중반 민덴 출신의 수도사 하인리히 폰 헤어포르트(Heinrich von Herford)는 "카테나 아우레아(Catena Aurea)"라는 성스러운 전설 모음을 만들었는데, 이 책은 1284년 하멜른에서 일어난 "기적"에 대해 이야기한다.[24]
1559년에서 1565년 사이, 프로벤 크리스토프 폰 짐머른 백작은 그의 짐머른 연대기(Zimmerische Chronik)de에 이 이야기를 포함시켰다.[29] 이는 쥐 떼의 재앙을 언급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보인다. 또 다른 동시대 기록으로는 요한 바이어의 악마의 미혹에 관하여(De praestigiis daemonum)la (1563년)가 있다.[30]
하멜른 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오스터 거리 동쪽 문 근처에는 "피리 부는 사나이의 집"에 인접한 형태로, 사라진 아이들을 추모하는 마음을 담아 노래하거나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금지된 무악 금지 거리(, 붕게로제슈트라세)가 설치되어 있다.
4. 전설의 기원에 관한 가설
어떤 이론에서는 아이들의 실종이 집단 심인성 질환의 일종인 무도병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무도병 발병은 13세기에 발생했으며, 1237년에는 많은 수의 아이들이 에르푸르트에서 아른슈타트 (약 20km)까지 이동하면서 내내 뛰고 춤을 추었다.[42] 이는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전설과 매우 유사하며, 이 전설은 이와 비슷한 시기에 생겨났다.[43]
다른 사람들은 아이들이 순례나 소년병으로 이루어진 군사 원정, 혹은 심지어 새로운 어린이 십자군 (1212년에 일어났다고 함)에 참여하기 위해 하멜른을 떠났지만, 부모에게 돌아오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이름 없는 피리 부는 사나이를 그들의 지도자 또는 모집책으로 본다. 마을 사람들은 교회나 왕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사실을 기록하는 대신) 이 이야기를 지어냈다.[44]
이주 이론은 13세기 무렵 이 지역의 과잉 인구로 인해 장남이 모든 토지와 권력(장자 상속)을 소유하고 나머지는 농노로 전락했다는 생각에 기반을 두고 있다.[33] 또한 어린이들의 이주가 기록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당시 흔했던 관행인 동유럽 발트해 지역의 모집인에게 아이들이 팔려갔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볼프강 미더는 저서 『피리 부는 사나이: 핸드북』에서 하멜른을 포함한 이 지역 사람들이 트란실바니아 일부를 정착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역사적 문서가 존재한다고 말한다.[34] 에밀리 제라드는 『숲 너머의 땅』에서 "민간 전승에 따르면, 그 무렵 트란실바니아에 나타난 독일인들은 하멜른에서 사라진 아이들이며, 그들은 지하 통로를 통해 긴 여정을 마치고, 트란실바니아 북동부에 있는 알메셔 횔레라는 동굴 입구를 통해 세상 밖으로 나왔다"는 설화를 전한다.[35] 트란실바니아는 칭기즈 칸의 두 손자들에 의해 이끌어진, 13세기 초 피리 부는 사나이 전설이 처음 등장한 시기와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몽골의 유럽 침략으로 인해 고통을 겪었다.[36]
하멜른 시 공식 웹사이트에 게시된 전설의 버전에 따르면, 이주 이론의 또 다른 측면이 제시된다. "다양한 해석 중, 저지 독일에서 시작된 동유럽 식민지화에 대한 언급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 '하멜른의 아이들'은 당시 모라비아, 동프로이센, 포메라니아 또는 튜튼 기사단 영토에 정착하기 위해 토지 소유주에 의해 모집된 이주 의향이 있는 시민들이었을 것이다. 과거에는 오늘날에도 흔히 사용되는 것처럼, 마을의 모든 사람을 '마을의 아이들' 또는 '마을 아이들'이라고 불렀다고 추정된다. '아이들의 엑소더스 전설'은 나중에 '쥐를 쫓아내는 전설'과 연결되었다. 이것은 중세 제분 도시에서 큰 위협이었던 쥐 재앙과 어느 정도 성공적인 전문적인 쥐 덫 사냥꾼을 확실히 의미한다."[37] 이 이론은 당시 하멜른에서 흔했던 성씨가 "베를린 근처의 우커마르크와 프리그니츠 지역에서 놀라운 빈도로 나타난다"는 사실에 의해 신뢰성을 얻는다.[38]
역사가 우르술라 자우터는 언어학자 위르겐 우돌프의 연구를 인용하며 이주 이론을 뒷받침하는 가설을 제시한다. "1227년 본회베데 전투에서 덴마크군이 패배한 후, 당시 슬라브족이 거주하던 발트해 남쪽 지역이 독일인들의 식민지화에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고 우돌프는 설명한다. 포메라니아, 브란덴부르크, 우커마르크, 프리그니츠의 주교와 공작들은 새로운 땅으로 이주하려는 사람들에게 풍부한 보상을 제공하는, 중세 시대의 모집 관리인인 "로카토르"들을 파견했다. 작센과 베스트팔렌에서 수천 명의 젊은 성인들이 동쪽으로 향했다. 증거로, 베스트팔렌의 지명 약 12개가 이 지역에서 나타난다. 실제로 베스트팔렌에서 포메라니아까지 일직선으로 뻗어 있는 힌덴부르크라는 이름의 마을이 5개 있으며, 동쪽에 3개의 슈피겔베르크가 있고, 하멜른 남쪽의 베버룽겐에서 베를린 북서쪽의 베버링겐, 그리고 현대 폴란드의 베베링겐까지 이어지는 어원 연구가 있다.[39]
우돌프는 하멜른의 젊은이들이 현재 폴란드에 정착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40] 족보학자 딕 이스트만은 폴란드 전화번호부에서 나타난 하멜른 성씨에 대한 우돌프의 연구를 인용했다. 언어학 교수 위르겐 우돌프는 1284년 6월 어느 날 독일 하멜른(Hamelnde) 마을에서 130명의 아이들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우도르프는 당시 마을의 알려진 모든 성씨를 입력한 다음 다른 지역에서 일치하는 성씨를 찾기 시작했다. 그는 같은 성씨가 베를린 북쪽에 있는 프리그니츠와 우커마르크 지역에서 놀라운 빈도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현재 폴란드의 일부인 옛 포메라니아 지역에서도 같은 성씨를 발견했다. 우도르프는 아이들이 실제로는 동유럽의 새로운 정착지를 식민지화하려는 독일의 움직임에 휩쓸린 실업 상태의 젊은이들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피리 부는 사나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동쪽으로 정착민을 모집하기 위해 북부 독일을 돌아다니는 '로카토르'로 알려진 인물들이 있었다"고 한다. 그들 중 일부는 화려한 옷을 입었고 모두 입심이 좋았다. 우도르프 교수는 하멜른의 엑소더스가 1227년 본회베데 전투와 연결되어야 하며, 이 전투가 동유럽에 대한 덴마크의 지배를 무너뜨렸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그것은 독일의 식민지화를 위한 길을 열었고, 13세기 후반에 브란덴부르크와 포메라니아로 건강한 젊은이들을 데려오려는 체계적인 시도가 있었다. 교수의 성씨 조사에 따르면, 정착지는 현재 폴란드 북서부에 있는 스타로가르트 근처에서 끝났다. 예를 들어 하멜른 근처의 베버룽겐이라는 마을은 베를린 북쪽의 프리츠발크 근처에 베베링겐이라는 거의 정확한 대응 마을을 가지고 있으며, 스타로가르트 근처에는 베베링겐이라는 마을이 있다. 폴란드의 지역 전화번호부에는 해당 지역에서 예상되는 전형적인 슬라브 이름이 아닌 이름들이 기재되어 있다. 대신, 많은 이름들이 13세기에 하멜른 마을에서 흔했던 독일 이름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오늘날 폴란드 전화번호부에 있는 이름에는 하멜, 햄러, 하멜니코프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원래 마을의 이름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41]
윌리엄 맨체스터의 저서 ''불로만 밝혀진 세상''에서는 이 사건이 1484년에 일어났다고 언급하며, 피리 부는 사나이가 정신병적인 소아성애자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45]
볼프강 반은 피리 부는 사나이 전설의 기원을 무도병, 이주, 소년 십자군, 순례, 꾸며낸 이야기, 익사, 산사태, 유괴, 전사, 역병 등 25가지로 분류했으며, 해석은 다양하다.
5. 문학 작품
6. 영화 및 TV 드라마
7. 오디오
-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는 여러 번 녹음되었으며, 보리스 칼로프, 진 켈리, 잉그리드 버그만, 피터 유스티노프, 오슨 웰스, 페기 애쉬크로프트, 로렌스 올리비에, 안톤 레서, 데이비드 테넌트 등이 내레이터로 참여했다.
- 미키 마우스 극장은 1938년 3월 13일에 각색된 내용을 방송했다.
- 컬럼비아 워크숍은 1946년 7월 21일 CBS에서 도널드 오그던 스튜어트가 내레이터, 아서 Q. 브라이언("Elmer Fudd"의 목소리)이 "시장" 역할을 맡아 각색된 내용을 방송했다.
- 작가 놀이터는 1944년 12월 11일 NBC에서 각색된 내용을 방송했다.
- 1963년, 이 이야기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성냥팔이 소녀를 각색한 내용과 함께 ''어린이를 위한 테일 스피너'' 바이닐 레코드 시리즈 (UAC 11017)의 일부로 각색되었다.
- 2000년 8월 23일, 데이비드 시스비(David Sheasby)가 쓴 ''놀라운 쥐 인간 이야기''가 BBC 라디오 4의 애프터눈 플레이 시리즈의 일환으로 버나드 크리빈스와 제럴딘 피츠제럴드와 함께 방송되었다.[58] 이 라디오 드라마는 이후 BBC 라디오 7과 BBC 라디오 4 엑스트라에서 여러 번 재방송되었다. (피리 부는 사나이 이야기의 이 버전은 은퇴한 양로원을 배경으로 하며, 한 노인이 피리 부는 사나이, 시장, 그리고 쥐로 고통받는 마을에 대한 이야기를 텔레비전 제작진에게 들려주기 위해 거래를 한다는 내용이다.)
- 존 코놀리(작가)의 이야기 ''쥐 왕''은 피터 마린커(Peter Marinker)가 낭독했으며, 2016년 10월 28일 BBC 라디오 4에서 방송되었고[59] 2019년 1월 20일과 21일 BBC 라디오 4 엑스트라에서 재방송되었다.[60]
- 2014년, 러셀 브랜드는 사이먼 앤 슈스터 오디오(Simon & Schuster Audio)를 위해 자신의 책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의 오디오북 버전을 낭독했다.[61]
- 셸 실버스타인은 자신의 시 "The One Who Stayed"를 자신의 컬렉션 ''인도로 가는 길''의 오디오북 녹음에서 낭독했다.[62]
8. 음악
- 카를 바이글은 1934년 헬렌 쉐우-리즈의 대본으로 어린이 오페레타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를 작곡했다. 2021년에는 다비데 카살리의 지휘 아래, 페스티벌 빅토르 울만이 이 오페레타를 독일어 원어 대신 이탈리아어로 극화하여 공연했다.
- 1966년 팝송 피리 부는 사나이는 크리스피언 세인트 피터스가 가장 유명하게 녹음했으며, 이 전설에 대한 내용이다.
- 1970년, 니콜라스 플라젤로는 오페라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를 작곡했다. 1999년, 뉴포트 클래식스는 세서미 스트리트의 밥 맥그래스가 해설자로, 브레이스 네그론이 피리 부는 사나이로 출연한 메트로폴리탄 음악학교 예비부의 오페라 실황 공연 녹음을 발매했다.[63]
- 1972년, EMI의 스타라인 레코드(SRS 5144)에서 ''데이비드 프로스트 프레젠트'' 시리즈의 일환으로, ''피리 부는 사나이''라는 제목의 이 이야기의 뮤지컬 버전이 발매되었다. 이 시리즈는 데이비드 프로스트가 동화를 해설하고 50년대와 60년대의 유명한 영국 코미디언들이 노래와 보컬 드라마를 지원하며, 로저 웹의 음악, 노먼 뉴웰의 가사, 그리고 ''닥터 후'' 스타 존 퍼트위가 피리 부는 사나이 역으로, 미리엄 마골리스가 출연했다.[64]
- 1985년, 하비 쉴드의 뮤지컬 ''하멜린: 쥐에서 부까지의 뮤지컬 이야기''는 리처드 자보와 매튜 웰스와 함께 쓴 작품으로,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의 서클 인 더 스퀘어 다운타운 극장에서 오프 브로드웨이로 제작되었으며, 로스앤젤레스의 올리오와 뉴욕의 뮤지컬 극장 작품을 거쳐 33회 공연했다.[65] 2003년에는 ''하멜린의 피리 부는 사나이: 뮤지컬''이라는 제목으로 녹음본이 발매되었다.
-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의 1988년 오페라 ''빛의 월요일''(''빛''의 일부)에는 "어린이 사냥꾼"(독일어로 "아이를 잡는 사람") 또는 피리 부는 사나이 캐릭터가 등장한다.
- 1989년, W11 오페라는 작곡가 스티브 그레이와 작사가 노먼 브룩이 의뢰한 오페라 ''코펠베르크''를 초연했다. 이 작품은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를 기반으로 했다.[66]
- 데몬스 앤 위저즈의 첫 번째 앨범 ''데몬스 앤 위저즈''(2000)에는 피리 부는 사나이의 이야기를 담은 "휘슬러"라는 트랙이 수록되어 있다.
- 2016년, 빅토리아 오페라는 리처드 밀스의 오페라 ''피리 부는 사나이''를 공연했다. 이 공연은 호주 빅토리아주 멜버른의 아트 센터 플레이하우스에서 열렸다.
- 방탄소년단의 노래 "피리 부는 사나이"는 팬들에게 헌정되었다. 이 노래는 팬들에게 그룹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시켜주었다.
- 아담 콘포드가 추가 자료를 제공하고 다니엘 스티븐 크래프츠가 작곡한 시를 바탕으로 한 1막 오페라 ''피리 부는 사나이''가 있다.
- GWAR의 2022년 노래 ''쥐잡이''는 GWAR의 리드 싱어가 피리 부는 사나이라고 주장하며, 청구서가 지불되지 않아 아이들을 훔쳐갔다고 말한다.
- 1803년에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이 전설에 기초한 시를 썼다. 이 시는 프란츠 슈베르트의 『쥐 쫓는 사나이』와 후고 볼프의 『쥐 쫓는 사나이』로 각각 가곡으로 만들어졌다.
- 도레미단의 "하멜른"(2005년, 앨범 "격정초록" 수록)은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 레피슈의 "하멜른"(1990년, 앨범 "make" 수록, 싱글로도 발매)은 피리 부는 사나이를 따라가는 아이의 시점에서 쓰여졌다.
- 다하라 토시히코의 "나는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1984년, 앨범 "메르헨" 수록)는 이와야 토키코 작사, 스기야마 코이치 작곡이다.
- 아날로그 피쉬의 "하멜른"(2005년, 앨범 "KISS" 수록)이 있다.
- Reol의 "하멜른/Hameln"(2020년, 앨범 "금자탑" 수록)이 있다.
- 조르진(암흑동화P)의 "하멜른의 악몽"이 있다.
- Sound Horizon의 "엘의 그림책 피리 부는 사나이와 퍼레이드"(2005년, 앨범 "Elysion 낙원환상이야기조곡" 수록)는 Revo가 작사·작곡했다.
- 방탄소년단(BTS)의 "Pied Piper"(2017년, 앨범 "Love Yourself 承" 수록)가 있다.
9. 기타
- 월트 켈리는 1954년 자신의 포고 모음집 ''Pogo Stepmother Goose''에서 만화 버전인 ''The Town on the Edge of the End''를 출판했다.[67]
- 1995년 비디오 게임 ''파이퍼''는 피리 부는 사나이의 오리지널 전설을 서부극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 문제아들이 이세계에서 온다는 모양인데요?''(2013)는 일본 라이트 노벨 시리즈의 애니메이션화 작품으로, 주요 이야기는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의 "거짓 전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67]
- ''에버 애프터 하이''에서 피리 부는 사나이에게는 멜로디라는 딸이 있다.
- 2019년, 수집형 카드 게임 ''매직 더 개더링''은 유럽 민속 및 동화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세트인 ''엘드레인의 왕좌''를 선보였다. 2023년에는 쥐와 ''토텐탄츠''라는 이름의 피리 부는 사나이 인물이 더 언급된 ''엘드레인의 황야''가 이어졌다.
- 피리 부는 사나이는 ''파스테크 게임즈(Passtech Games)''에서 개발하고 ''나콘(Nacon)''에서 배급한 2024년 비디오 게임 ''레이븐스워치''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이다.
- 아이온 온라인 게임의 "(코럽트) 어빌리티 사커 하멜른"은 상대를 세뇌하여 뜻대로 조종하는 능력을 사용한다.
- 던전 앤 파이터 MMORPG의 "유혹의 도시 하멜른"에는 피리 소리를 사용하여 사람을 조종하거나 쥐를 불러내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보스 "피터 더 파이퍼"가 등장한다.
- 타임 크라이시스 4는 비디오 게임으로, 작중에 등장하는 가상의 미군 극비 생물 병기 (동물 병기) 특수 부대 "하멜른 대대"의 원안이 되었다.
- 절대미궁 그림 ~ 일곱 개의 열쇠와 낙원의 소녀 ~는 PSP, Windows 게임으로,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하멜른"이라는 이름의 피리 부는 사나이가 등장한다.
- 원더랜드 워즈는 아케이드 게임으로, 피리 부는 사나이를 모티브로 한 플레이어블 캐릭터 "마그스 크라운", "엘루칸"이 등장한다.
- 파트너 시즌1 에피소드 9(2002년)에서 파이드 파이퍼(Pied Piper)가 사건 암시에 사용된 주문으로 사용되었다.
- 모래의 탑 ~너무 잘 아는 이웃~(2016년) 극중에서 일어나는 어린이 연쇄 유괴 사건을 "하멜른 사건"이라고 칭하고 있다.
- 에우레카 세븐 AO(2012년)에서 주인공이 소속된 팀의 이름이 "Pied Piper(피리 부는 사나이)"이다.
- 옛날 옛적 총사 아카즈킨에는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를 모티브로 한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 굉굉전대 보우켄저 12화(2006년)에서 "하멜른의 피리"라는 이름으로 프레셔스로 등장한다.
- 잭커 전격대 24화(1977년)에서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를 모티브로 한 적 괴인이 아이들을 피리로 조종한다.
- 타임보칸 39화(1976년)에서 쥐 퇴치는 욕심 없는 소년의 피리 불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 용자경찰 제이데커(1994년)에서 "하멜른 시스템"이라는 특수 음파로 로봇을 불러 모아 지배하려는 에피소드가 있다.
- 파뇨파뇨 데・지・캐럿 34화(2002년)에서 피리 연주로 쥐를 조종하는 대결을 펼친다.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uperS 세일러 9전사 집결! 블랙・드림・홀의 기적(1995년) 극중에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를 모티브로 한 요정이 등장한다.
- 가면라이더 위자드(2013년) 극중에 "하멜케인"이라는 이름의 무기를 사용하는 마법사가 등장한다.
- 문제아들이 이세계에서 온다는 모양인데요?(2013년) 애니메이션 및 라이트 노벨에 등장한다.
- 메르헨 메드헨(애니메이션 및 라이트 노벨)- 제국 연합의 ''몰리 C. 퀸이 계약한 원서로 등장했다.''
- 극단 해바라기의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연출: 쿠리타 요시히로)[97][98][99]
10. 언어학
언어학에서 ''파이프 파이핑''은 Wh-이동이라고 불리는 현상의 일부로서, 의문사나 관계대명사가 문장 앞으로 이동할 때 다른 단어들을 함께 끌고 가는 능력을 일컫는 일반적인 명칭이다. 예를 들어, "For whom are the pictures?"에서 "for"는 "whom"에 의해 선언적인 위치("The pictures are for me")에서 ''파이프 파이핑''되며, "The mayor, pictures of whom adorn his office walls"에서 "pictures of"라는 두 단어 모두 관계대명사 앞으로 파이프 파이핑되며, 관계대명사는 일반적으로 관계절을 시작한다.[68]
일부 연구자들은 이 이야기가 "pay the piper"라는 영어 표현에 영감을 주었다고 믿는다.[68] 이 표현은 무언가에 대한 지불이나 자금을 제공하는 사람이 그것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할 권한이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pay the piper"라는 구절은 "he who pays the piper calls the tune"(피리를 부는 사람에게 돈을 지불하는 사람이 곡을 정한다)이라는 영어 속담의 축약일 수도 있다.[68] 이 속담은 무언가에 대한 재정적 책임을 지는 사람이 그것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권리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부채를 지불하는 현대적 해석과는 대조적이다.[69]
11. 현대
오늘날 하멜른 시는 피리 부는 사나이 전설과 이야기의 기원에 대한 정보를 웹사이트에서 관리하고 있다. 2009년에는 하멜른에서 마을의 어린이들이 사라진 지 725주년을 기념하는 관광 축제가 열렸다.[70] 쥐 사냥꾼의 집은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있지만, 전설의 쥐 사냥꾼 버전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쥐 사냥꾼의 집은 그 외관에 새겨진 초기 비문이 전설을 언급했기 때문에 그 이야기에 연관되어 있으며, 1602년과 1603년에 지어졌다. 현재는 하멜른 시에서 소유한 레스토랑으로, 피리 부는 사나이 테마로 꾸며져 있다.[71] 또한 시는 쥐를 주제로 한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상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표지에 전설적인 피리 부는 사나이를 묘사한 인기 보드 게임 ''모노폴리''의 공식 라이선스 하멜른 에디션을 제공한다.[72]
매년 6월 26일은 "쥐 사냥꾼의 날"로 기념된다. 미국에서는 쥐 사냥꾼의 날을 기반으로 한 해충 방제사들을 위한 유사한 휴일이 7월 22일에 기념되지만,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73]
참조
[1]
뉴스
Was the Pied Piper of Hamelin real?
http://arynews.tv/en[...]
2015-01-03
[2]
웹사이트
Pied piper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1-12-07
[3]
웹사이트
Deutungsansätze zur Sage: Ein Funken Wahrheit mit einer Prise Phantasie
https://www.hameln.d[...]
2017-12-29
[4]
웹사이트
The Pied Piper of Hameln and related legends from other towns
http://www.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2017-12-29
[5]
서적
Hameln
[6]
웹사이트
True Story The Pied Piper of Hamelin Never Piped
http://www.trivia-li[...]
Trivia-Library.Com
1975-1981
[7]
웹사이트
Die wohl weltweit bekannteste Version
https://www.hameln.d[...]
2017-12-29
[8]
웹사이트
The Lost Children of Hamelin
https://www.dailygra[...]
2019-02-19
[9]
웹사이트
On the trail of the real Pied Piper
http://news.bbc.co.u[...]
BBC
2005-02-18
[10]
서적
Reader's Digest the Truth about History: How New Evidence is Transforming the Story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Reader's Digest Association
[11]
웹사이트
Kirchenfenster
http://www.marktkirc[...]
2017-12-29
[12]
웹사이트
Der Rattenfänger von Hameln
http://www.museum-ha[...]
2017-12-29
[13]
서적
Der Rattenfänger von Hameln: Eine Untersuchung über das werden der sage
E. Ebering
1934
[14]
문서
Illustrated in [[Rattenfänger von Hameln]]
[15]
서적
John H. Richter Collection 1904-1994
https://archive.org/[...]
[16]
웹사이트
The Pied Piper of Hamelin: A Medieval Mass Abduction?
https://www.medieval[...]
2021-12-13
[17]
서적
Tradition and Innovation in Folk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8-11
[18]
웹사이트
The Lüneburg Manuscript – The original manuscript published digitally. HAB – Handschriftendatenbank – Handschrift lg-rb-theol-2f-25
https://diglib.hab.d[...]
2021-12-15
[19]
웹사이트
Der Rattenfänger von Hameln
http://hinrich-luehm[...]
Hinrich Lühmann
2018-01-14
[20]
웹사이트
Museum Hameln – 400 years Hochzeitshaus
https://museumhameln[...]
2021-12-16
[21]
서적
Folklore
https://archive.org/[...]
London, Folk-lore Society
[22]
웹사이트
Commemorative stone (New Gate Stone) – Hameln Museum
https://museumhameln[...]
2021-12-16
[23]
서적
Tradition and Innovation in Folk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8-11
[24]
웹사이트
The Hameln Museum – The Pied Piper in Literatur and Arts: The Children's Exodus
https://museumhameln[...]
2021-12-16
[25]
서적
RERVM GERMANICARVM TOM. III. Dissertationes Historicas varii argumenti & Chronica Monasteriorum Saxoniae nonnulla continets MEIBOMIIS Auctoribus
https://books.google[...]
Typis & Sumptibus Georgii Wolffgangi Hammii, Acad. Typogr.
1688
[26]
웹사이트
Ad fontes: A Timeline of Accounts of the Pied Piper Story
https://www.academia[...]
[27]
서적
Folklore
https://archive.org/[...]
London, Folk-lore Society
[28]
웹사이트
Ad fontes: A Timeline of Accounts of the Pied Piper Story
https://www.academia[...]
[29]
문서
Zimmerische Chronik
Stuttgart
1869
[30]
서적
De Praestigiis Daemonum, Et Incantationibus ac veneficiis
https://books.google[...]
2018-01-14
[31]
간행물
A Plaguey Piper
1965-04
[32]
서적
Der Koppen-Berg der Rattenfängersage von Hameln
Coppenbrügge Museum Society
1990
[33]
서적
The Black Death in Egypt and England: A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5
[34]
서적
The Pied Piper: A Handbook
Greenwood Press
2007
[35]
서적
The Land Beyond the Forest: Facts, Figures, and Fancies from Transylvania
Harper & Brothers
1888
[36]
뉴스
Climate probably stopped Mongols cold in Hungary
Science News
2016-05-26
[37]
웹사이트
The Legend of the Pied Piper
http://www.hameln.co[...]
2008-09-03
[38]
웹사이트
The grim truth behind the Pied Piper
https://www.bbc.com/[...]
2020-10-28
[39]
뉴스
Fairy Tale Ending
Time International
1998-04-27
[40]
뉴스
Twist in the tale of Pied Piper's kidnapping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8-01-27
[41]
뉴스
Pied Piper of Hamelin
http://www.eogn.com/[...]
Ancestry Publishing
2008-09-05
[42]
서적
The Story of Hypnotism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43]
간행물
The Dancing Pilgrims at Muelebeek
Oxford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Wie liest man ein Buch, ein Theaterstück oder einen Film?! Rattenfäger von Hameln 'Nur' eine Sage aus der Vergangenheit?
http://pages.pedf.cu[...]
2017-12-29
[45]
서적
A World Lit Only by Fire: The Medieval Mind and the Renaissance – Portrait of an Age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46]
웹사이트
The Pied Piper of Hamelin
http://www.lancsngfl[...]
2010-07-27
[47]
간행물
Review Of "The Ratcatcher: A Lyrical Satire" By M. Tsvetaeva And Translated By A. Livingstone
https://works.swarth[...]
2002
[48]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Rainbow Valley, by Lucy Maud Montgomery
https://www.gutenber[...]
2022-11-22
[49]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text of Rilla of Ingleside, by Lucy Maud Montgomery
https://www.gutenber[...]
2022-11-22
[50]
웹사이트
The Pied Piper (1924)
https://www.imdb.com[...]
2024-10-29
[51]
웹사이트
The Pied Piper (1933)
https://www.imdb.com[...]
2017-12-29
[52]
웹사이트
The Pied Piper (1972)
https://web.archive.[...]
2017-12-29
[53]
웹사이트
The Sweet Hereafter
https://variety.com/[...]
2020-04-01
[54]
웹사이트
The Piper (2015)
https://www.imdb.com[...]
IMDB
2017-12-29
[55]
뉴스
Charlotte Hope & Julian Sands To Star In Millennium Horror 'The Piper'; Filming Underway In Bulgaria
https://deadline.com[...]
Deadline Hollywood
2021-06-28
[56]
웹사이트
The Piper (2023)
https://www.imdb.com[...]
2024-10-29
[57]
웹사이트
Happily Ever After: Fairy Tales for Every Child
https://www.imdb.com[...]
IMDB
2017-12-29
[58]
웹사이트
Afternoon Play: The Amazing Ratman Story
https://genome.ch.bb[...]
2024-11-12
[59]
웹사이트
Book at Bedtime: The Rat King
https://genome.ch.bb[...]
2024-11-12
[60]
웹사이트
The Rat King by John Connolly
https://genome.ch.bb[...]
2024-11-12
[61]
웹사이트
The Pied Piper of Hamelin: Russell Brand's Trickster Tales
https://www.audible.[...]
2024-11-12
[62]
웹사이트
Shel Silverstein - Where the Sidewalk Ends
https://www.amazon.c[...]
2024-11-12
[63]
웹사이트
Nicolas Flagello, Manhattan School Of Music Preparatory Division, Jonathan Strasser, Bob McGrath – The Piper Of Hamelin
https://www.discogs.[...]
2024-11-14
[64]
웹사이트
David Frost Presents: The Pied Piper (of Hamelin)
https://www.discogs.[...]
2024-11-12
[65]
웹사이트
Hamelin: A Musical Tale from Rats to Riches
http://www.iobdb.com[...]
2024-11-12
[66]
웹사이트
Koppelberg
http://www.w11opera.[...]
2017-04-05
[67]
episode
8. It Seems that a Great Disaster will Come with the Playing of a Flute?
[68]
웹사이트
"To pay the Piper" and the legend of "The Pied Piper of Hamelin"
http://www.deproverb[...]
2008-09-03
[69]
웹사이트
He who pays the piper calls the tune.
http://dictionary.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웹사이트
Goosebumps and romance in Hamelin
http://www.pied-pipe[...]
2008-11-13
[71]
웹사이트
Rattenfängerhaus – The Rat Catcher's House in Hameln
http://www.travelsig[...]
2012-06
[72]
웹사이트
Monopoly Hameln
http://hmtshop.dev4u[...]
2005-01
[73]
뉴스
Rat Catcher's Day Eludes Pest Control Industry
http://news.national[...]
2004-07-21
[74]
서적
グリム ドイツ伝説集(上)
人文書院
[75]
간행물
Pied Piper Revisited
Routledge
[76]
서적
Der Rattenfänger von Hameln. Die berühmte Sagengestalt in Geschichte und Literatur, Malerei und Musik, auf der Bühne und im Film
Niemeyer, Hameln
[77]
간행물
Zogen die Hamelner Aussiedler nach Mähren? Die Rattenfängersage aus namenkundlicher Sicht
[78]
뉴스
What happened to these children?
Saturday Evening Post
1955-12-24
[79]
웹사이트
Pied Piper of Hamelin
http://www.encyclope[...]
2008
[80]
웹사이트
German Traditions
http://www.goethe.de[...]
[81]
웹사이트
GERMAN-BOHEMIAN Mailing List
http://listsearches.[...]
[82]
서적
'The Black Death in Egypt and England: A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83]
서적
The Pied Piper: A Handbook
http://books.google.[...]
Greenwood Press
[84]
뉴스
Twist in the tale of Pied Piper's kidnapping
http://findarticles.[...]
Independent, The (London)
1998-01-27
[85]
문서
阿部、pp63-64
[86]
서적
Rat: How the World's Most Notorious Rodent Clawed Its Way to the Top
Macmillan
[87]
문서
阿部、pp.29
[88]
서적
Der Rattenfänger von Hameln: Eine Untersuchung über das werden der sage
http://books.google.[...]
E. Ebering
[89]
웹사이트
www.triune.de
http://www.triune.de[...]
[90]
문서
Zimmerische Chronik
Stuttgart
[91]
서적
Deutsche Sagen
Diederichs
[92]
간행물
平成期の日本における「ハーメルンの笛吹き男」
日本独文学会
2022-10-08
[93]
문서
世界の童話30 外国の絵話
小学館
[94]
간행물
平成期の日本における「ハーメルンの笛吹き男」
日本独文学会
2022-10-08
[95]
간행물
ハーメルンの「鼠捕り男」-感染症の立場から-
2004-07-10
[96]
문서
幻想と怪奇3
ハヤカワ文庫
[97]
웹사이트
【公演終了!】劇団ひまわりミュージカル「The Hameln」大阪公演
http://www.himawari.[...]
[98]
웹사이트
劇団ひまわりミュージカル「ハーメルンの笛吹き男」大阪公演
http://www.himawari.[...]
[99]
웹사이트
【公演終了しました!】2018年5月5日(土)・6日(日)新潟エクステンションスタジオ公演「ハーメルンの笛吹き男2018」開催!
http://www.himawa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