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퀴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드로퀴논은 무색 고체로, 물과 에테르에 잘 녹으며 환원력이 강해 쉽게 산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벤젠을 프로펜으로 이중 알킬화하거나 페놀의 하이드록실화 반응을 통해 산업적으로 생산되며, 아세틸렌과 오탄화철을 이용하는 방법 등 다른 합성법도 존재한다. 하이드로퀴논은 사진 현상액, 중합 금지제, 고분자 생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미백 화장품 및 의약품의 주성분으로도 활용된다. 하지만 피부 자극, 백반증, 발암 가능성 등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어 EU,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폭격수 딱정벌레의 방어 물질, 버섯의 독소, 프로폴리스, 캐스터리움 등 천연물에서도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드로퀴논 - 호모젠티스산
호모젠티스산은 방향족 아미노산의 이화작용 중 생성되는 대사 중간생성물로, 4-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으로부터 합성되어 4-말레일아세토아세트산으로 변환되며, 호모젠티스산 1,2-디옥시게나제 결핍 시 알캅톤뇨증을 유발할 수 있다. - 하이드로퀴논 - 삼차뷰틸하이드로퀴논
삼차뷰틸하이드로퀴논(TBHQ)은 산화 방지제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며, 식품 첨가물로 E319로 지정되어 불포화 식물성 기름 및 식용 동물성 지방의 방부제로 사용되고, 식품 보관 수명 연장 등의 장점이 있으나, 고용량에서는 잠재적인 건강 위험이 보고되기도 한다. - 환원제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환원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하이드로퀴논 | |
---|---|
기본 정보 | |
![]() | |
![]() | |
![]() | |
IUPAC 이름 | 1,4-벤젠다이올 |
다른 이름 | 하이드로퀴논 아이드로키논 퀴놀 4-하이드록시페놀 1,4-다이하이드록시벤젠 파라-다이하이드록시벤젠 파라-벤젠다이올 |
식별자 | |
ChEBI | 17594 |
SMILES | c1cc(ccc1O)O |
ChemSpider ID | 764 |
ChEMBL | 537 |
DrugBank | DB09526 |
UNII | XV74C1N1AE |
KEGG | D00073 |
Beilstein | 605970 |
Gmelin | 2742 |
PubChem | 785 |
EC 번호 | 204-617-8 |
UN 번호 | 3077, 2662 |
InChI | 1/C6H6O2/c7-5-1-2-6(8)4-3-5/h1-4,7-8H |
InChIKey | QIGBRXMKCJKVMJ-UHFFFAOYAX |
표준 InChI | 1S/C6H6O2/c7-5-1-2-6(8)4-3-5/h1-4,7-8H |
표준 InChIKey | QIGBRXMKCJKVMJ-UHFFFAOYSA-N |
CAS 등록번호 | 123-31-9 |
RTECS | MX3500000 |
일본 화학 물질 사전 번호 | J2.929G |
특성 | |
분자식 | C6H6O2 |
겉모습 | 흰색 고체 |
밀도 | 1.3 g/cm³ (고체) |
용해도 | 5.9 g/100 mL (15 °C) |
녹는점 | 172 °C |
끓는점 | 287 °C |
끓는점 주석 | 승화성 있음 |
pKa | 9.9 |
증기압 | 0.00001 mmHg (20 °C) |
자기 감수율 | -64.63e-6 cm³/mol |
상대 증기 밀도 | 3.8 (공기=1) |
구조 | |
쌍극자 모멘트 | 1.4 D |
약리학 | |
ATC 코드 | D11AX11 |
위험성 | |
NFPA 704 | 건강: 2 화재: 1 |
GHS 그림 문자 | [[파일:GHS05.svg|20px]] [[파일:GHS07.svg|20px]] [[파일:GHS08.svg|20px]] [[파일:GHS09.svg|20px]] |
GHS 신호어 | 위험 |
H-문구 | H302 H317 H318 H341 H351 H400 |
P-문구 | P201 P202 P261 P264 P270 P272 P273 P280 P281 P301+312 P302+352 P305+351+338 P308+313 P310 P321 P330 P333+313 P363 P391 P405 P501 |
인화점 | 165 °C |
PEL | TWA 2 mg/m³ |
IDLH | 50 mg/m³ |
REL | C 2 mg/m³ [15분] |
LD50 | 490 mg/kg (포유류, 경구) 245 mg/kg (쥐, 경구) 200 mg/kg (토끼, 경구) 320 mg/kg (랫, 경구) 550 mg/kg (기니피그, 경구) 200 mg/kg (개, 경구) 70 mg/kg (고양이, 경구) |
관련 화합물 | |
다른 벤젠다이올 | 피로카테콜 레조르시놀 |
기타 화합물 | 1,4-벤조퀴논 |
2. 성질
히드로퀴논은 상압에서 녹는점 172°C, 끓는점 287°C이며, 상온 상압에서 무색 고체로 존재한다.[40] 물, 에테르에 잘 녹는다. 동물 실험에서 페놀처럼 변이원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이드로퀴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산업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방법 외에도, 덜 일반적인 방법들과 역사적인 방법, 그리고 최근 연구되는 방법들이 존재한다.
히드로퀴논은 환원력이 강하며, 쉽게 산화되어 ''p''-벤조퀴논이 된다.
3. 제조 방법
하이드로퀴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최근에는 UBE에서 개발한, 환경 부하가 적은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산화제로 과산화수소, 촉매로 베타제올라이트(H-BEA), 조촉매로 디에틸케톤을 사용하며, H-BEA를 알칼리토류 금속으로 이온교환하여 선택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3. 1. 산업적 생산
하이드로퀴논은 주로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산업적으로 생산된다.[10]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덜 일반적인 방법들이 있다.3. 2. 기타 합성법
아세틸렌과 오탄화철을 이용한 하이드로퀴논 합성법이 제안되었다.[12][13][14][15][16][17] 자유 일산화탄소 기체가 존재할 때 오탄화철은 시약이 아닌 촉매 역할을 한다. 로듐이나 루테늄이 철을 대체하여 더 나은 화학적 수율을 얻을 수 있지만, 반응 혼합물에서 촉매를 회수하는 비용 문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12]
아닐린, DIPB 등 다양한 페놀의 산화를 통해서도 하이드로퀴논 및 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18] 엘브스 과황산염 산화와 데이킨 산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1820년 프랑스 화학자 펠레티에와 카방투는 퀴닌산을 건류하여 하이드로퀴논을 처음으로 얻었다.[19]
염소화 페놀의 가수분해는 중국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18] 다른 방법에 비해 오염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황산칼륨을 이용한 엘브스 과황산 산화 또한 페놀로부터 하이드로퀴논을 얻는 방법 중 하나이다.
''p''-벤조퀴논을 아황산 등 적절한 환원제로 환원시켜 하이드로퀴논을 얻을 수도 있다.
4. 반응
하이드로퀴논은 하이드록실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 아민화 반응 등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하이드록실기 반응은 약한 산성을 띠며, ''O''-알킬화되어 에테르를 생성하거나 프리델-크래프츠 반응에 의해 고리 치환을 겪는다. 온화한 조건에서 산화되어 벤조퀴논을 생성하며, 이 과정은 가역적이다.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모노아민 및 디아민 유도체로 전환될 수 있다.[10][20]
4. 1. 하이드록실기 반응
하이드로퀴논의 하이드록실기 반응성은 다른 페놀과 마찬가지로 약한 산성을 띤다. 생성된 공액 염기는 쉽게 ''O''-알킬화되어 에테르의 모노에테르 및 다이에테르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하이드로퀴논은 알킬화와 같은 프리델-크래프츠 반응에 의한 고리 치환에 매우 민감하다. 이 반응은 2-''tert''-부틸-4-메톡시페놀(BHA)과 같은 대중적인 항산화제를 생산하는 경로로 활용된다. 유용한 염료인 퀴니자린은 프탈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하이드로퀴논을 이중 아실화하여 생성된다.[10]4. 2. 산화-환원 반응
하이드로퀴논은 온화한 조건에서 산화되어 벤조퀴논을 생성한다. 이 과정은 가역적이다. 일부 자연 발생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는 이러한 반응성을 나타내는데, 코엔자임 Q가 한 예이다. 산업적으로는 하이드로퀴논 자체뿐만 아니라, 하나의 OH기가 아민으로 치환된 유도체를 사용하여 이 반응을 활용한다.[20]무색의 하이드로퀴논과 선명한 노란색 고체인 벤조퀴논을 1:1 비율로 공결정화하면 짙은 녹색 결정의 전하이동착물(녹는점 171°C)인 퀴니드론(Quinhydrone|퀴니드론영어)이 생성된다. 이 착물은 뜨거운 물에 용해되며, 용액에서는 두 분자가 분리된다.[20]
4. 3. 아민화 반응
하이드로퀴논은 모노아민 및 디아민 유도체로 전환되는 반응을 일으킨다. 메틸아미노페놀은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다.[10]:C6H4(OH)2 + CH3NH2 → HOC6H4NHCH3 + H2O영어
고무 산업에서 오존 방지제로 유용한 디아민은 아닐린으로부터 유사하게 생산된다.
:C6H4(OH)2 + 2 C6H5NH2 → C6H4(N(H)C6H5)2 + 2 H2O영어
5. 용도
하이드로퀴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다.
- '''사진 현상''': 흑백 사진 현상액의 주요 성분으로, 메톨과 함께 할로겐화 은을 은으로 환원시킨다.[21]
- '''중합 억제''': 항산화제 특성을 이용하여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 단량체의 중합을 방지한다.[21]
- '''고분자 합성''': 디나트륨 디페놀레이트 염 형태로 고분자 PEEK 생산에 사용된다.
- '''피부 미백''': 피부 미백을 위한 국소 도포제로 사용되나, 안전성 문제로 인해 사용에 제한이 있다.[22][23][24][25][26]
- '''과산화수소 생산''': 안트라퀴논 공정에서 치환된 하이드로퀴논이 과산화수소 생산에 사용된다.
5. 1. 산업적 용도
하이드로퀴논은 주로 물에 용해되는 환원제로서의 작용과 관련된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있다. 필름과 인화지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흑백 사진 현상액의 주요 성분으로, 메톨(metol)이라는 화합물과 함께 은 할로겐화물을 원소 은으로 환원시킨다.[21]환원력과 관련된 다양한 용도가 있다. 중합 금지제로서, 그 항산화제 특성을 이용하여 하이드로퀴논은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라디칼 개시 중합에 민감한 다른 단량체의 중합을 방지한다. 하이드로퀴논은 자유 라디칼 제거제 역할을 하여 세라믹 전구체 중합체와 같은 감광성 수지의 저장 수명을 연장시킨다.[21]
하이드로퀴논은 두 개의 하이드록실기에서 수소 양이온을 잃어 디페놀레이트 이온을 형성할 수 있다. 하이드로퀴논의 디나트륨 디페놀레이트 염은 고분자 PEEK 생산에서 교대 공단량체 단위로 사용된다. 합성이나 사진 현상에서 환원제로 사용된다. 또한 중합 방지제 및 그 원료, 염료의 원료, 고무의 산화 방지제 원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원료, 농약 원료 등으로도 이용된다. 히드리드를 방출하여 벤조퀴논이 될 수 있으므로 히드리드원으로도 사용된다.
5. 2. 미용 및 의학적 용도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미백을 위해 국소 도포제로 사용된다. 메톨처럼 피부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22][23] 200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하이드로퀴논 승인을 취소하고 모든 일반의약품 제제에 대한 금지를 제안했으나,[24] 2020년 일반의약품 검토 과정 개혁의 일환으로 하이드로퀴논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25] FDA는 하이드로퀴논이 잠재적 발암물질로 배제될 수 없다고 밝혔다.[26] 이는 인체 내 흡수 정도와 쥐의 종양 발생률( 갑상선 여포 세포 증식증, 이핵성(핵 크기의 변화), 단핵구성 백혈병, 간세포 선종, 신세뇨관 세포 선종 등) 증가에 따른 결과였다.[27]하이드로퀴논은 과색소침착 치료제로 널리 처방되지만, 안전성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아젤라익산,[32] 코직산, 레티노이드, 시스테아민,[33] 국소 스테로이드, 글리콜산 등 유사한 효능을 가진 다른 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하다.[30][31] 4-부틸레조르시놀은 멜라닌 관련 피부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며, 일반의약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었다.[34]
외용약에서는 하이드로퀴논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하이드로퀴논은 강력한 표백 작용을 이용한 기미 치료제로 피부과 등에서 처방되거나, 약국 등에서 하이드로퀴논이 함유된 연고·크림 등이 시판된다. 시판되는 하이드로퀴논 제제는 일반적으로 2%~4% 정도의 농도이며, 미국 FDA 규제에 따르면 2% 이상은 의사의 감독하에 처방된다. 이러한 제품 사용 중 및 사용 후에는 썬크림 사용이나 피부 보호 의복 착용이 권장된다.
트레티노인(레티노이드의 일종)과 스테로이드 외용제가 배합된 하이드로퀴논 함유 크림도 미국에서 승인되었다.[44] 기미에 대한 비교 연구에서는 하이드로퀴논과 코직산 함유 크림에 스테로이드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41] 하이드로퀴논은 기미 등 색소침착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광범위한 사용이 제한되어 대체 약제가 필요하다.[42] 부작용과 발암성 우려로 인해 다른 성분을 사용한 제품이 시장에 증가해왔다.[44]
도쿄공업대학과 니가타약과대학 연구 그룹은 하이드로퀴논과 세탈코니움 클로라이드(benzylcetyldimethylammonium chloride, BCDAC) 등의 계면활성제와의 결정성 분자 착체를 개발하여, 하이드로퀴논의 안정성을 높이고 서방성을 갖게 했다.[43] 산화·변질되기 어려운 성질을 이용하여 "신형 하이드로퀴논", "안정형 하이드로퀴논" 등의 명칭으로 화장품 등에 배합되고 있다.
6. 안전성 및 부작용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미백을 위해 사용되지만,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메톨보다는 덜하지만,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처방전이 있어야 구매할 수 있다.[22][23]
흔한 부작용으로는 피부 자극,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44] 등이 있다. 장기간 사용 시에는 피부 변색, 조직 흑갈색 반점[57][45]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고농도 사용 시 주의해야 한다.[46] 2% 농도의 외용약을 장기간 사용한 경우에도 1980년대 이후 흑갈색 반점이 보고되었다.[46]
백반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지만,[54] 2017년 검토에서는 명확한 관계가 불분명하며, 아마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되었다.[53] 다만, 2014년 검토에서는 하이드로퀴논에 의한 색소 탈락 보고가 있었고, 의사는 환자에게 이러한 잠재적 부작용을 알려야 한다고 권장했다.[54] 일본에서는 2014년 이후 "색깔이 빠짐(백반)이나 검은 반점"에 대한 주의 사항을 제품에 표기하고 있다.[55]
제인 오바지(Zane Obagi)는 하이드로퀴논을 장기간 사용하면 심각한 리바운드성 색소 침착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49]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내성 문제가 있어 4~5개월 후에는 피부색 개선이 멈추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문에 사용 중단 기간을 갖는 것이 권장된다.[49]
일부 연구에서는 하이드로퀴논의 발암 가능성을 제기했다.[26] 200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하이드로퀴논의 잠재적 발암성을 이유로 일반의약품 판매 금지를 제안했다.[24] FDA는 2020년 하이드로퀴논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25] 동물 실험에서 종양, 갑상선암, 백혈병 등 발생률 증가가 확인되었다.[57] 그러나 국제암연구소(IARC)는 1977년 하이드로퀴논을 인체 발암성 분류 불가능 그룹으로 분류했다.[56] 2016년까지의 연구 결과는 모순되어 발암 물질로 분류되지 않았다.[58]
2019년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지방 자치 단체 협의회는 하이드로퀴논 함유 미백 크림이 암 위험을 증가시키고 간과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다며 사용 자제를 권고했다.[59]
하이드로퀴논은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 대한 독성 작용을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51] 따라서 장기간 사용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다른 성분을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52]
7. 규제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하이드로퀴논이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200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모든 일반의약품 제제에 대한 금지를 제안했으나,[24] 2020년에 하이드로퀴논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25] FDA는 하이드로퀴논이 잠재적인 발암물질로 배제될 수 없다고 밝혔다.[26] 이는 인체 내 흡수 정도와 쥐의 종양 발생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쥐 실험에서 갑상선 여포 세포 증식증, 이핵성(핵 크기의 변화), 단핵구성 백혈병, 간세포 선종, 신세뇨관 세포 선종을 포함한 종양 발생률 증가가 확인되었다.[27]
과색소침착 치료제로 널리 처방되지만, EU, 일본, 미국 규제 기관에서 안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여 다른 약물을 찾는 연구가 활발하다.[30]
유럽 연합 회원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는 처방전이 필요한 성분이다.[22][23] 일본에서는 厚生労働省(후생노동성)에 의해 2%까지의 배합이 허가되어 있다.[64] 과거 하이드로퀴논모노벤질에테르에 의한 백반증 발생으로 사용이 허가되지 않았으나,[64] 2001년부터 법 개정에 따라 사용이 허가되었다.[64]
2019년, 동아프리카 입법 회의(East African Legislative Assembly)는 하이드로퀴논을 포함한 미용 물질의 제조 및 수입 금지를 위한 조약 제정을 의결했다.[66] 2010년대에는 부작용 우려로 코트디부아르에서는 2% 이상의 제품을 금지했고,[67] 르완다[68]와 가나는 하이드로퀴논 첨가를 금지했다.[69]
8. 천연에서의 존재
하이드로퀴논은 폭격수 딱정벌레의 방어샘에 과산화수소(그리고 종에 따라 다른 화합물들)와 함께 두 가지 주요 시약 중 하나로, 저장소에 모인다. 저장소는 근육으로 조절되는 밸브를 통해 두꺼운 벽의 반응실로 열린다. 이 반응실은 카탈라아제와 퍼옥시다아제를 분비하는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저장소의 내용물이 반응실로 강제로 들어가면, 카탈라아제와 퍼옥시다아제는 과산화수소를 빠르게 분해하고 하이드로퀴논의 산화를 ''p''-퀴논으로 촉매한다. 이러한 반응은 활성산소를 방출하고 혼합물을 비등점까지 올리고 그 약 1/5을 기화시킬 만큼 충분한 열을 발생시켜 딱정벌레의 배에서 뜨거운 분무를 생성한다.[35]
하이드로퀴논은 ''아가리쿠스 혼덴시스'' 버섯의 활성 독소로 여겨진다.[36]
하이드로퀴논은 천연물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구성 성분 중 하나로 밝혀졌다.[37]
또한 캐스터리움에서 발견되는 화학 물질 중 하나이다. 이 화합물은 비버의 사향낭에서 채취된다.[38]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웹사이트
Hydroquinone
https://web.archive.[...]
UNEP Publications
2018-09-17
[3]
논문
The Dipole Moments of Catechol, Resorcinol and Hydroquinone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assets.openst[...]
2014-01-25
[5]
PGCH
[6]
IDLH
Hydroquinone
[7]
간행물
Untersuchungen über das Chinon
http://babel.hathitr[...]
[8]
웹사이트
The Top 300 of 2021
https://clincalc.com[...]
2024-01-14
[9]
웹사이트
Hydroquinone - Drug Usage Statistics
https://clincalc.com[...]
2024-01-14
[10]
서적
Hydroquinone
Wiley-VCH, Weinheim
[11]
서적
Oxidation
Wiley-VCH, Weinheim
[12]
논문
Cyclization of Acetylenic Compounds
[13]
특허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d cyclic compounds and products resulting therefrom US3149138 A
https://docs.google.[...]
Union Carbide Corp.
[14]
특허
Preparation of hydroquinone US3355503 A
https://docs.google.[...]
Lonza Ag
[15]
특허
Production of hydroquinones US3394193 A
https://docs.google.[...]
Basf Ag
[16]
특허
Preparation of hydroquinone US3459812 A
https://docs.google.[...]
Lonza Ag
[17]
특허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quinone US 3742071 A
https://docs.google.[...]
Eastman Kodak Co.
[18]
Review article
Hydrogen peroxide and applications in green hydrocarbon nitridation and oxidation
2021-10-28
[19]
간행물
A Treatise on Chemistry, Volume 3, Part 3
https://books.google[...]
Macmillan & Co.
[20]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Prentice Hall
1992
[21]
논문
Additive manufacturing of ceramics from preceramic polymers
https://www.research[...]
[22]
CELEX
[23]
웹사이트
Clear N Smooth Skin Toning Cream recalled
https://www.beskinfo[...]
2011-10-04
[24]
보고서
Skin Bleaching Drug Products for Over-the-Counter Product Use; Proposed Rule
https://www.fda.gov/[...]
[25]
웹사이트
Congress Enacts OTC Monograph Reform
https://www.jdsupra.[...]
2021-12-19
[26]
웹사이트
About the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 Hydroquinone Studies Under The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https://www.fda.gov/[...]
2017-02-12
[27]
웹사이트
Campaign For Safe Cosmetics - Hydroquinone
http://www.safecosme[...]
[28]
논문
Complications of chronic use of skin lightening cosmetics
2008-04
[29]
웹사이트
Hydroquinone 10022-H
https://ntp.niehs.ni[...]
2023-08-18
[30]
논문
Skin lightening preparations and the hydroquinone controversy
2007-09-01
[31]
논문
Topical treatment of melasma
2009-01-01
[32]
논문
Comparison of efficacy of products containing azelaic acid in melasma treatment
2016-09-01
[33]
논문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cysteamine 5% cream in the treatment of epidermal melasma: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2015-07-01
[34]
서적
Phenols—Advances in Research and Application: 2013 Edition
Scholastic
2013
[35]
서적
Organic Chemistry
Wiley Publishing
[36]
논문
Hydroquinone: the toxic compound of Agaricus hondensis
1996-04
[37]
논문
Review of the biological properties and toxicity of bee propolis (propolis)
[38]
서적
The Beaver: Its Life and Impact
https://books.google[...]
[39]
논문
In vitro Dermal Absorption of Hydroquinone: Protocol Validation and Applicability on Illegal Skin-Whitening Cosmetics
https://doi.org/10.1[...]
2016
[40]
일반
[41]
논문
Kojic acid vis-a-vis its combinations with hydroquinone and betamethasone valerate in melasma: A randomized, single blind, comparative study of efficacy and safety
https://doi.org/10.4[...]
2013
[42]
논문
Rationale of using hypopigmenting drugs and their clinical application in melasma
2015-01
[43]
특허
특허公開2004-99542、特許第3712066号
[44]
논문
Melasma and Post 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Management Update and Expert Opinion
https://www.skinther[...]
2016-01
[45]
논문
Complications of chronic use of skin lightening cosmetics
2008-04
[46]
논문
Exogenous ochronosis After Prolonged Use of Topical Hydroquinone (2%) in a 50-Year-Old Indian Female
https://doi.org/10.4[...]
2012-09
[47]
논문
にきび治療 オバジ・ニューダーム・システム
2012-02
[48]
논문
美容皮膚科医に必要なZOスキンケアプログラムについての知識
2017-10
[49]
논문
Taking the Pulse of Hydroquinone Therapy: A Plea for Caution
http://modernaesthet[...]
2013
[50]
웹사이트
Hydroquinone-Free Products Reign Supreme
https://zoskinhealth[...]
ZO Skin Health Blog
2015-03-25
[51]
논문
Short-sequence oligopeptides wi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ushroom and human tyrosinase
2009-09
[52]
논문
Efficacy of Trifecting((R)) Night Cream, a Novel Triple acting Skin Brightening Product: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https://www.ncbi.nlm[...]
2018-12
[53]
논문
Chemical-Induced Vitiligo
https://www.ncbi.nlm[...]
2017
[54]
논문
Hydroquinone-Induced Depigmentation
2014
[55]
웹사이트
平成26年度第3回薬事・食品衛生審議会医薬品等安全対策部会安全対策調査会 資料
https://www.mhlw.go.[...]
2014-05-23
[56]
서적
Hydroquinone : health and safety guide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57]
보고서
Skin Bleaching Drug Products for Over-the-Counter Product Use; Proposed Rule
http://www.fda.gov/O[...]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6
[58]
논문
Skin Bleaching and Dermatologic Health of African and Afro-Caribbean Populations in the US: New Directions for Methodologically Rigorous, Multidisciplinary, and Culturally Sensitive Research
https://doi.org/10.1[...]
2016-12
[59]
웹사이트
美白クリームの成分は有害物質、健康被害の恐れも
https://www.cnn.co.j[...]
CNN
2019-10-01
[60]
웹사이트
Countries and Regions where Hydroquinone and Other Skin Lightening Ingredients are Banned
https://www.beskinfo[...]
Be:Skinformed
2019-05-28
[61]
웹사이트
Hydroquinone-free products on the rise in US professional skin care, says Kline
https://www.cosmetic[...]
Cosmetics Design North America
2015-05-12
[62]
웹사이트
アーサー・ペリー医師による危険性についての回答文
http://www.doctoroz.[...]
[63]
웹사이트
NaturalFairness.comによる警告文
http://www.natural-f[...]
[64]
논문
ハイドロキノンの安全性試験について
https://doi.org/10.2[...]
2006
[65]
논문
市販されているハイドロキノンはどこまで効くか
2009-04
[66]
웹사이트
Regional MPs want a ban on beauty products containing hydroquinone
https://www.theeasta[...]
The East African
2019-05-14
[67]
뉴스
禁止されても「色白」の肌が欲しい、コートジボワール女性たち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5-08-14
[68]
뉴스
美白クリーム禁止のルワンダ、取り締まりで化粧品押収も
https://www.cnn.co.j[...]
CNN.co.jp
2019-01-13
[69]
뉴스
Ghana implements ban on import, sale of skin bleaching products
https://www.africane[...]
africanews
2017-08-18
[70]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71]
웹인용
Hydroquinone
http://www.inchem.or[...]
UNEP Publications
2022-04-23
[72]
저널
The Dipole Moments of Catechol, Resorcinol and Hydroquinone
[7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assets.openst[...]
2014-01-25
[74]
PGCH
[75]
IDLH
Hydroquinone
[76]
간행물
Untersuchungen über das Chinon (Investigations of quinone)
http://babel.hathi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