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테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테콜은 상온에서 무색 고체로, 물과 에테르에 잘 녹는 물질이다. 콩과 식물인 아카시아속의 카테킨 건류 성분에 포함되어 명명되었으며,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우루시올, 카테콜아민, 카테킨 등 다양한 생체 물질의 골격을 이루며, 염료나 지혈제로 사용된다. 에드가 휴고 에밀 라인쉬에 의해 카테킨의 증류로 처음 분리되었으며, 산업적으로는 페놀의 수산화 반응을 통해 생산된다. 카테콜은 살충제 생산, 향료 및 의약품의 전구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동물 실험에서 변이원성이 확인되어 대한민국에서는 유해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다이올 - 비타민 C
    비타민 C는 결합 조직 형성, 콜라겐 합성, 항산화 작용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괴혈병 예방을 위해 섭취가 권장되며, 인체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지 않아 외부 섭취가 필요하다.
  • 카테콜 - 카테킨
    카테킨은 페그나무 유래 생약 카테큐에서 유래한 화합물로, 특정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식품에 존재하고 항산화 작용 등 생리 활성을 가지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카테콜 - 클로로겐산
    클로로겐산은 커피 등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로, 커피의 맛과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로스팅 과정에서 분해되고, 생리 활성 연구가 진행 중이나 과도한 섭취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사용된다.
  • 킬레이트제 -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제초제의 활성 성분으로, 농업, 임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장기적인 환경 및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와 안전성 논란, 저항성 잡초 문제로 사용 규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킬레이트제 - 갈산
    갈산은 탄닌 가수분해로 얻을 수 있는 떫은 맛의 산성 물질로, 철담즙 잉크, 사진술, 지혈제, 산화 방지제 등으로 사용되며 식물, 과일, 차 등에도 존재한다.
카테콜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골격 구조식
피로카테콜
공-막대 모델
공-막대 모델
IUPAC 명칭벤젠-1,2-디올
다른 이름피로카테콜
1,2-벤젠디올
2-하이드록시페놀
1,2-다이하이드록시벤젠
오르토-벤젠디올
오르토-다이하이드록시벤젠
식별
SMILESOc1c(O)cccc1
ChemSpider ID13837760
ChEBI18135
ChEMBL280998
CAS 등록번호120-80-9
UNIILF3AJ089DQ
RTECSUX1050000
PubChem289
KEGGC00090
EINECS204-427-5
Gmelin2936
Beilstein471401
DrugBankDB02232
속성
분자식C6H6O2
몰 질량110.1 g/mol
외관흰색 내지 갈색 깃털 모양 결정
냄새희미한 페놀 냄새
밀도1.344 g/cm³ (고체)
용해도312 g/L (20 °C)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피리딘에 매우 잘 녹음
클로로폼, 벤젠, 사염화 탄소, 다이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음
녹는점105 °C
끓는점245.5 °C (승화)
pKa9.45, 12.8
LogP0.88
굴절률1.604
자기 감수율-6.876e-5 cm³/mol
증기압20 Pa (20 °C)
쌍극자 모멘트2.62 D
구조
결정 구조단사정계
열화학
표준 생성 엔탈피−354.1 kJ·mol−1
융해 엔탈피22.8 kJ·mol−1 (녹는점)
위험성
NFPA 704건강: 3
화재: 1
반응성: 0
GHS 그림 문자[[파일:GHS06.svg|GHS06]], [[파일:GHS08.svg|GHS08]], [[파일:GHS05.svg|GHS05]]
신호어위험
H 문구H301, H311, H315, H317, H318, H332, H341
P 문구P261, P301+P310, P330, P331, P302+P352, P312, P305+P351+P338
인화점127 °C
자연 발화점510 °C
노출 기준 (PEL)없음
폭발 한계1.4%–?
LD50300 mg/kg (쥐, 경구)
권장 노출 한계 (REL)TWA 5 ppm (20 mg/m3) [피부]
즉시 생명 및 건강에 위험한 농도 (IDLH)해당 없음
관련 화합물
관련 벤젠디올레조르시놀
하이드로퀴논
관련 화합물1,2-벤조퀴논

2. 성질

카테콜은 상온 상압에서 무색 고체이며, 물과 에테르에 잘 녹는다. 항산화 작용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루시올(옻의 주성분), 카테콜아민(레보도파,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및 카테킨과 같은 폴리페놀 등 여러 생체 물질의 골격에 포함된다. ''o''-벤조퀴논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다. 히드록시기 위치가 다른 구조 이성질체에는 히드로퀴논 및 레조르시놀이 있다. 염료의 원료나 지혈제로 사용된다.

2. 1. 물리적 성질

상온 상압에서 무색 고체이며, 물과 에테르에 잘 녹는다. 콩과 식물아카시아속의 페그아선약(''Acacia catechu'')에 포함된 카테킨의 건류 성분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명명되었다. 공기 중에 장기간 방치하면 서서히 산화되어 옅은 분홍색을 띤다.

2. 2. 화학적 성질

카테콜은 공기 중에 장기간 방치하면 서서히 산화되어 옅은 분홍색을 띤다.[11] 강한 환원력을 가지며,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성질이 있다.

카테콜의 염기성 용액은 (III)과 반응하여 붉은색을 생성한다.[12] 염화 철(III) 수용액과 반응하여 녹색을 띠며, 알칼리성 용액은 공기에 노출되면 빠르게 녹색으로 변하고 결국 검은색으로 변한다.[12] 철을 함유한 이산소화 효소는 카테콜의 결합 절단을 촉매한다.

카테콜은 세미퀴논 라디칼로 변환될 수 있다. pH = 7에서 이 변환은 100 mV에서 발생한다.

:

세미퀴논 라디칼은 pH에 따라 전위가 달라지며 카테콜레이트 이중 음이온으로 환원될 수 있다.

:

카테콜은 1,2-벤조퀴논의 가역적인 2전자, 2양성자 환원에 의해 생성된다.( vs SHE; vs SHE).[13]

산화 환원 계열인 카테콜레이트 이중 음이온, 단일 음이온 세미퀴노네이트 및 벤조퀴논은 통칭하여 '''디옥소렌'''이라고 한다. 디옥소렌은 금속 이온의 리간드로 기능할 수 있다.[14]

다른 몇몇 이작용성 벤젠 유도체와 마찬가지로, 카테콜은 쉽게 축합하여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삼염화 인 또는 인산옥시염화물을 사용하면 각각 고리형 클로로포스파이트 또는 클로로포스포네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염화 설퓨릴은 황산염을, 포스겐()은 탄산염을 생성한다:[11]

: 여기서 X = PCl 또는 POCl; ; CO

3. 역사

카테콜은 1839년 에드가 휴고 에밀 라인쉬(Edgar Hugo Emil Reinsch, 1809–1884)가 고체 탄닌 제제 카테킨증류하여 처음 분리하였다. 카테킨은 ''Mimosa catechu'' (''Acacia catechu'')의 끓이거나 농축한 즙인 카테추의 잔류물이다.[4] 카테킨을 분해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라인쉬가 처음 ''Brenz-Katechusäure''(탄 카테추산)라고 명명한 물질이 흰색 백색 침전으로 승화되었다. 이것은 카테킨에 있는 플라반-3-올의 열분해 생성물이었다. 1841년 빌헬름 하인리히 바켄로더와 츠벵거는 카테콜을 독립적으로 재발견했다. 그들의 연구 결과를 보고하면서, ''철학 잡지''는 ''파이로카테킨''이라는 이름을 만들었다.[5] 1852년 오토 린네 에르트만은 카테콜이 벤젠에 두 개의 산소 원자가 추가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1867년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카테콜이 벤젠의 다이올임을 밝혔고, 1868년까지 카테콜은 ''파이로카테콜''로 등재되었다.[6] 1879년 ''화학 학회지''는 "카테콜"이라는 명칭을 권장하였고, 이후 널리 사용되었다.[7]

이후 카테콜은 키노와 너도밤나무 타르에서 자연적으로 자유 형태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술폰산은 말과 사람의 소변에서 검출되었다.[8]

4. 제법

카테콜은 1839년 에드가 휴고 에밀 라인쉬(Edgar Hugo Emil Reinsch, 1809–1884)가 탄닌 제제 카테킨증류하여 처음 분리했다. 카테킨은 ''Mimosa catechu'' (''Acacia catechu'')의 즙을 끓이거나 농축한 카테추의 잔류물이다.[4] 라인쉬는 카테킨을 분해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Brenz-Katechusäure''(탄 카테추산)라고 명명한 흰색 백색 침전을 승화시켜 얻었다. 이것은 카테킨에 있는 플라반-3-올의 열 분해 생성물이었다. 1841년, 빌헬름 하인리히 바켄로더와 츠벵거는 카테콜을 독립적으로 재발견했고, ''철학 잡지''는 이 물질에 ''파이로카테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5] 1852년, 오토 린네 에르트만은 카테콜이 벤젠에 두 개의 산소 원자가 추가된 것임을 알아냈고, 1867년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카테콜이 벤젠의 다이올임을 확인했다. 1868년까지 카테콜은 ''파이로카테콜''로 등재되었다.[6] 1879년, ''화학 학회지''는 "카테콜"을 정식 명칭으로 제안했고, 다음 해에 채택되었다.[7]

이후 카테콜은 키노와 너도밤나무 타르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었으며, 술폰산 형태로 말과 사람의 소변에서 검출되었다.[8]

4. 1. 산업적 제법

카테콜은 과산화 수소를 사용하여 페놀을 수산화시켜 산업적으로 생산된다.[9]

4. 2. 실험실 제법

살리실알데히드를 염기와 과산화 수소로 반응시키거나(Dakin 산화)[10], 특히 2-클로로페놀과 같은 2-치환 페놀을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함유한 뜨거운 수용액으로 가수 분해하여 생산할 수 있다. 구아이아콜(메틸 에테르 유도체)은 요오드화 수소산(HI)에 의해 촉진되는 가수 분해를 통해 카테콜로 변환된다.[10]

5. 반응

다른 몇몇 이작용성 벤젠 유도체와 마찬가지로, 카테콜은 쉽게 축합하여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삼염화 인 또는 인산옥시염화물을 사용하면 각각 고리형 클로로포스파이트 또는 클로로포스포네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염화 설퓨릴은 황산염을, 포스겐(COCl2)은 탄산염을 생성한다.[11]

:C6H4(OH)2 + XCl2 → C6H4(O2X) + 2 HCl (여기서 X = PCl 또는 POCl; SO2; CO)

카테콜의 염기성 용액은 철(III)과 반응하여 붉은색 [Fe(C6H4O2)3]3-을 생성한다. 염화 철(III)는 수용액과 녹색을 띠게 하며, 알칼리성 용액은 공기에 노출되면 빠르게 녹색으로 변하고 결국 검은색으로 변한다.[12] 철을 함유한 이산소화 효소 효소는 카테콜의 결합 절단을 촉매한다.

6. 유도체

3,4-다이하이드록시-9,10-세코안드로스타-1,3,5(10)-트라이엔-9,17-다이온(콜레스테롤의 대사산물)
[15]

피세아탄놀(일부 적포도주에서 발견되는 항산화제)


우루시올(옻나무, 독 덩굴의 활성 물질)


카테콜아민(이를 모방한 약물(MDMA 등), 호르몬신경전달물질)


도파민(아미노산 티로신에서 유래, 홍합이 사용하는 접착제)
[16]

퀘르세틴(많은 음식에서 발견됨)


카테콜 유도체는 자연계에서 널리 발견된다. 이들은 종종 페놀의 수산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17] 절지동물큐티클은 카테콜 부분에 의해 키틴단백질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특히 곤충의 경우 가교 결합(태닝 및 경화)으로 큐티클이 강화될 수 있으며, 생물광물화에 의해서도 강화된다.[18]

합성 유도체인 4-''tert''-부틸카테콜은 산화 방지제 및 중합 억제제로 사용된다. 상온 상압에서 무색 고체이며, 물과 에테르에 잘 녹는다. 콩과 식물아카시아속의 페그아선약(''Acacia catechu'')에 포함된 카테킨의 건류 성분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명명되었다.

항산화 작용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루시올(옻의 주성분), 카테콜아민(레보도파,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및 카테킨과 같은 폴리페놀, 그 외 많은 생체 물질의 골격에 포함된다. ''o''-벤조퀴논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다. 히드록시기 위치가 다른 구조 이성체에는 히드로퀴논 및 레조르시놀이 있다. 염료의 원료나 지혈제로 사용된다. 공기 중에 장기간 방치하면 서서히 산화되어 옅은 분홍색을 띤다.

7. 용도

살충제 생산에 합성 카테콜의 약 50%가 소비되며, 나머지는 향수 및 의약품과 같은 정밀 화학 물질의 전구체로 사용된다.[9] 유기 합성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본 화합물이다.[19] 카테콜을 재료로 하여 몇 가지 산업적으로 중요한 향료와 향료 화합물이 제조된다. 구아이아콜은 카테콜의 메틸화에 의해 제조되며, 연간 약 1000만kg 규모(1990년)로 바닐린으로 전환된다. 카테콜의 관련 모노에틸 에테르인 구에톨은 초콜릿 과자의 성분인 에틸바닐린으로 전환된다. 백단유의 대체제로 널리 사용되는 3-''트랜스''-아이소캠필사이클로헥산올은 구아이아콜과 캠퍼를 거쳐 카테콜로부터 제조된다. 꽃향기를 내는 피페로날은 카테콜의 메틸렌 디에테르에서 시작하여 글리옥살과의 축합 및 탈탄산을 통해 제조된다.[20]

카테콜은 흑백 사진 현상액으로 사용되었지만, 특수한 목적의 응용 분야를 제외하고는 그 사용은 대체로 역사적이다. 이스트만 코닥의 HC-110 현상액에 잠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테테날의 Neofin Blau 현상액의 구성 성분으로도 알려져 있다.[21] 이는 독일 Moersch Photochemie의 Finol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현대 카테콜 현상은 유명 사진작가 샌디 킹에 의해 개척되었다. 그의 "PyroCat" 제형은 현대 흑백 필름 사진 작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22] 킹의 작업은 이후 Jay De Fehr가 Hypercat 및 Obsidian Acqua 현상액을 개발하는 등 21세기에 다른 사람들의 추가적인 개발에 영감을 주었다.[21]

지혈제로도 사용된다.

8. 안전성

동물 실험에서 변이원성이 확인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PRTR법에 의해 제1종 지정 화학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독물 및 극물 취체법에 의해 극물로 지정되어 있다.[26]

9. 기타

SF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는 카테콜이 물에 잘 녹는 성질에서 영감을 받아 가상의 물질 "티오티몰린"을 고안했다.[1]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논문 The Dipole Moments of Catechol, Resorcinol and Hydroquinone
[3] 간행물 PGCH
[4] 간행물 Einige Bemerkungen über Catechu http://babel.hathitr[...] 1839
[5] 간행물 Properties of catechu acid http://babel.hathitr[...] 1841
[6] 간행물 Ueber die Farbstoffe des Gelbholzes (Morus tinctoria.) http://babel.hathitr[...] 1852
[7] 간행물 Nomenclature of organic bodies https://books.google[...] 1879-06-20
[8] 논문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atechol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icroglia cells: Inhibition of microglial neurotoxicity
[9] 간행물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0
[10] 논문 Catechol
[11] 논문 o-Phenylene Carbonate
[12] 논문 Models for the bacterial iron-transport chelate enterochelin
[13] 논문 Chemical properties of catechols and their molecular modes of toxic action in cells, from microorganisms to mammals. Minireview
[14] 논문 Recent Advances in Dioxolene Chemistry
[15] 논문 Studies of a ring-cleaving dioxygenase illuminate the role of cholesterol metabolism in the pathogenesi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2009-03
[16] 논문 The Chemistry behind Catechol-Based Adhesion
[17] 논문 Formation and Biological Targets of Botanical o-Quinones
[18] 논문 Molecular taphonomy of animal and plant cuticles: selective preservation and diagenesis
[19] 간행물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2001
[20] 간행물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3
[21] 서적 The Darkroom Cookbook Taylor & Francis 2012-09-10
[22] 서적 The Film Developing Cookbook
[23] 웹사이트 Preferred IUPAC Names http://old.iupac.org[...] 2004-09
[24] 웹사이트 R-5.5.1.1 Alcohols and phenols. http://www.acdlabs.c[...]
[25] 서적 A Guide to IUPAC Nomenclature of Organic Compounds 1993 Blackwell Science
[26] 웹사이트 毒物及び劇物取締法に関する通知等 https://www.nihs.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