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안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안포는 육상에 설치되어 해안을 방어하는 대포로, 16세기 유럽에서 요새 건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후 미국, 일본 등으로 확산되었으며, 함선의 방어력 증대에 따라 대구경화되었다. 해안포는 육상 요새에 설치되어 조준 정확도가 높고, 사격 지휘소와 탄약고 분산을 통해 생존성을 높일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은 해안 포대와 기뢰를 병용하여 전함을 격침시켰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르웨이는 해안포로 독일 순양함을 격침시켜 시간을 벌었다. 그러나 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기, 미사일, 자주포의 발달로 인해 해안포의 중요성은 감소하였고, 현대전에서는 지대함 미사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어 무기 - S-500
    S-500은 러시아가 개발한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최대 600km의 사거리를 가지며 스텔스 전투기, 첩보위성, ICBM 등을 요격할 수 있고 ICBM 탄두를 직접 파괴하는 히트 투 킬 방식을 채택했다.
  • 해안포 - 암스트롱포
    윌리엄 암스트롱이 개발한 암스트롱포는 혁신적인 구조와 강선 기술로 화포 발전에 기여했으나, 신뢰성 문제와 기술적 한계로 영국군에서 퇴출 후 해외로 수출되어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고, 암스트롱은 폐쇄기 설계를 개량하여 후장포의 실용성을 높였다.
  • 해안포 - 사격 통제 장치
    사격 통제 장치는 관측, 조준, 측정 장비들을 사용하여 목표 탐색부터 탄환 발사까지의 모든 과정을 총괄하는 시스템으로, 이동 목표와의 교전 시 미래 위치 수정각을 산정하여 화기의 축선을 설정하고,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자동 조준 및 사격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된다.
  • - 지뢰
    지뢰는 사람이나 차량의 존재, 근접, 접촉으로 폭발하도록 설치된 탄약으로, 대인용과 대전차용으로 나뉘며 다양한 폭발 방식을 가지고 있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민간인 피해로 국제적 논란이 되어 오타와 조약이 체결되기도 했다.
  • - 금색
    금색은 금의 색을 나타내는 노란색 계열의 색상으로, 금속 광택을 가지며, 빛의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조를 띠고 문화, 스포츠,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해안포
지도 정보
개요
종류해군의 대포
역할해안 방어
항구 방어
해협 방어
배치 위치해안 지역
특징주로 고정된 위치에 배치됨
사용 역사고대부터 현대까지 사용됨
중요도해군력의 중요한 요소
해상 공격으로부터 해안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
역사
고대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사용
중세중세 성에 배치되어 사용
근대화약 사용과 함께 발전
현대제2차 세계 대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로켓과 미사일로 대체되는 추세
유형
고정식 해안포콘크리트 벙커 등에 설치
이동 불가
이동식 해안포차량이나 선박에 탑재
유연성 증가
함포군함에 탑재된 대포
대공포항공기 공격에 사용되는 해안포
기술적 특징
구경대포의 구경 크기 다양
사거리단거리에서 장거리까지 다양
해안선과 해상 상황에 따라 결정
발사 속도목표에 따라 조절
정밀도최신 기술로 개선
포탄 종류고폭탄
철갑탄
연막탄 등 다양
조준 장치레이더, 광학 장치 등 사용
운용
운용 인력포병
기술병
유지 보수정기적인 점검 및 수리 필요
방어 시스템벙커
참호
철조망 등과 함께 사용
현대적 추세
변화미사일과 로켓으로 대체되는 경향
무인화 시스템 도입
역할 변화대함 미사일 방어 보조 역할
해안 감시 및 정찰 역할 증가
국가별 해안포
한국대한민국 해군에서 운용
서해 5도 등에 배치
미국미 해군에서 운용
태평양 및 대서양 연안에 배치
일본일본 해상자위대에서 운용
주요 해안 지역에 배치
영국영국 해군에서 운용
과거 대영 제국의 식민지에 배치
러시아러시아 해군에서 운용
북극해 연안 및 태평양 연안에 배치
관련 용어
해안 경비대해안 지역 순찰 및 보안 담당
해군 기지해군 함선이 정박하는 곳
해상 방어해상 공격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활동
참고 자료
https://books.google.co.kr/books?id=Y9i6_2q22JIC&redir_esc=y
웹사이트https://www.pacioos.hawaii.edu/voyager/info/three_nautical_mile.html

2. 역사

16세기 유럽에서 대포를 해안포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유럽 국가들은 본토와 식민지의 항만 방어를 위해 요새를 건설하고 해안포를 설치하여 적대국 선박을 견제하거나 격퇴했다. 해안포는 미국, 일본 등에도 확산되었고, 함선의 방어력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대구경화되었다. 쓰시마 요새 등에서는 전함의 주포에 대비하여 400mm 포를 설치하기도 했다.

50파운드짜리 1811년형 콜럼비아드포(구경 7.25인치 또는 184mm)와 조지 봄포드가 실험적인 해안 방어포로 설계한 중앙 피벗 장착 방식. 이 포는 1811년 미국 요새화의 제2체계의 구성 요소로 제작되었다.


최초로 기록된 해안포병 사용 사례 중 하나는 1381년 포르투갈의 페르디난드 1세와 카스티야의 엔리케 2세 사이의 전쟁이다. 당시 포르투갈 왕의 군대는 카스티야 해군 함대의 공격으로부터 리스본을 방어하기 위해 대포를 사용했다.

해안포병의 사용은 16세기 대항해 시대에 확대되었다. 식민 열강이 해외 영토를 점령할 때 가장 먼저 하는 일 중 하나는 경쟁 해군 세력을 억제하고 원주민을 복속시키기 위해 해안 요새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마르텔로 타워는 방어용 포병(이 경우에는 전장식 대포)을 설치한 널리 사용된 해안 요새의 좋은 예이다. 19세기 중국은 서구 해군의 위협에 맞서 수백 개의 해안 요새를 건설하기도 했다.

해안포병 요새는 일반적으로 육상 요새의 발전을 따라갔다. 때로는 해안 요새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육상 방어 요새가 건설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해안 요새는 성채식 요새, 성채식 요새, 다각형 요새 또는 해상 요새일 수 있었으며, 처음 세 가지 유형은 종종 "수상 포대"라고 불리는 분리된 포대를 갖추고 있었다.[3] 역사를 통틀어 해안 방어 무기는 무거운 해군포 또는 해군포를 기반으로 한 무기였으며, 종종 더 가벼운 무기가 보충되었다. 19세기 후반 일부 국가에서는 해안포병의 별도 포대가 요새를 대체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무기 사정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20세기 중반까지 지리적으로 널리 분산되었다. 제공되는 육상 방어의 양은 19세기 후반부터 국가별로 다르게 시작되었으며, 1900년까지 새로운 미국 요새는 이러한 방어를 거의 완전히 무시했다. 붐(Boom, 항해 장벽)도 일반적으로 보호된 항구의 방어의 일부였다. 19세기 중반에는 해상 기뢰와 후에 원격 기뢰가 자주 사용되었거나 평시에 비축되어 전시에 사용할 수 있었다. 20세기 초 잠수함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잠수함 방지 그물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붐 방어에 추가되었고, 주요 군함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까지 종종 이를 갖추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철도포병이 등장하여 곧 일부 국가의 해안포병의 일부가 되었다. 해안 방어에 철도포병을 사용하면 빠르게 움직이는 표적을 추적할 수 있도록 회전식 장착대가 제공되어야 했다.[4]

해안포병은 해군의 일부(스칸디나비아 국가, 전시 독일, 소련과 같이) 또는 육군의 일부(영어권 국가와 같이)일 수 있었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일부 해안포병 위치를 '육상 포대'라고 부르기도 했다.[5][6][7] 이러한 형태의 포병 포대를 예를 들어 부유 포대와 구별하기 위해서였다.[8][9] 영국에서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해안포병의 육상 포대는 왕립 포병대(Royal Garrison Artillery)의 책임이었다.

미국에서는 해안포병이 1794년 육군의 한 부대로 설립되었고, 해안 방어의 일련의 건설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794년 "제1체계", 1804년 "제2체계", 1816년 "제3체계" 또는 "영구 체계"이다. 남북 전쟁 이후 석조 요새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고, 전후 지상 방어 프로그램은 자금이 부족했다. 1885년 엔디콧 위원회(Endicott Board)는 새로운 라이플 포병과 기뢰밭 방어를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한 새로운 미국 항만 방어 프로그램을 권고했으며, 위원회의 권고 사항 대부분이 시행되었다. 새로운 무기와 시스템이 처음부터 개발되었기 때문에 초기에는 건설이 느렸지만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크게 빨라졌다. 그 직후인 1907년 의회는 야전포병과 해안포병을 별도의 부대로 분리하여 별도의 미국 육군 해안포병대(Coast Artillery Corps, CAC)를 창설했다. CAC는 1950년 별도의 부대로 해체되었다.[10]

20세기 첫 10년 동안 미국 해병대는 선진 기지 부대(Advanced Base Force)를 설립했다. 이 부대는 해외 선진 기지를 설치하고 방어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해군과의 긴밀한 유대 관계를 통해 이러한 기지 주변의 해안포병을 운용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도 연안 방어 수단으로 에도 시대 말기부터 의식하게 되어, 각지에 다이바(포대)가 설치되었다. 메이지 중기 이후에는 도쿄만 요새와 쓰시마 요새 등 항만 방비와 해협 봉쇄 목적의 요새가 건설되어 대함 무기로 해안포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해안 요새, 해안포는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운용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유지되었지만, 잠수함, 항공기에는 영향이 없고 패전과 함께 해체되었다. 자위대는 해안포를 운용하고 있지 않고, 지대함 미사일 연대를 보유하고 있다.

2. 1. 해안포의 장점

해안포는 육상 요새나 진지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방어에 유리하다. 흔들림이 없어 조준 기선을 길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준 및 포격 정확도가 높다. 또한, 사격 지휘소와 탄약고를 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여러 군데 설치하여 생존성을 높일 수 있다.[1] 제1차 세계 대전의 갈리폴리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은 해안 포대와 기뢰를 함께 사용하여 영국프랑스의 전함을 격침시키거나 파괴한 사례가 있다.[1]

2.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의 갈리폴리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은 해안 포대와 기뢰를 함께 사용하여 영국과 프랑스의 전함을 격침시키거나 파괴했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노르웨이는 해안포와 육상 발사 어뢰독일 순양함 블뤼허를 격침시켜 정부와 왕실의 수도 탈출 시간을 확보했다. 그러나 노르웨이 전역 점령은 막지 못했다. 전쟁이 격화되자 각국은 대서양 방벽처럼 해안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해안포가 사용되었지만, 함대 규모가 커지고 전함 방어력과 함포 위력이 향상되었으며, 항공기 정찰과 폭격으로 해안포 효과는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전국에 기여하는 바는 적었다.

싱가포르 전투에서 일본 제국은 해안포 위협 때문에 해상이 아닌 육로로 공격했다. 웨이크섬 전투에서 미국 해병대는 해안포로 일본군 함대를 공격, 구축함 1척을 침몰시켰다. 타라와 전투에서 일본군 해안포는 미국 해군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각국은 연안 방어에 항공기, 미사일, 자주포를 중심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대소련 방어에 해안포를 중시해 온 북유럽 일부 국가에서도 대함 미사일로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현대전에서 해안포는 지대함 미사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13]

폴란드는 해상 공격 미사일로 무장한 해안 미사일 사단을 유지하고 있다.[13]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크로아티아군 해안포병은 유고슬라비아 해군 및 공군의 공격으로부터 크로아티아 아드리아해 연안, 특히 자다르, 시베니크, 스플리트 주변을 방어하고, 달마티아 해협 전투에서 유고슬라비아 해군을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5. 대한민국

조선 시대 대한제국 시기에는 근대식 해안포 도입을 추진했지만, 재정 부족과 일제강점기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이 각지에 다이바(포대)를 만들고 대포를 설치했으며, 메이지 중기 이후에는 도쿄만 요새와 쓰시마 요새 등 항만 방비와 해협 봉쇄를 목적으로 요새를 건설하여 해안포를 설치했다. 이러한 해안 요새와 해안포는 일본 제국 육군이 운용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유지되었지만, 잠수함과 항공기에는 영향이 없었고 패전과 함께 해체되었다.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자위대와 달리 해안포를 운용하지 않고 지대함 미사일 연대를 보유하고 있다.

3. 해안포 목록

국가별 주요 해안포 목록
국가주요 해안포
영국
영국 해외 연안 포대
미국
캐나다
아시아
나치 독일
남아메리카 및 중앙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기타


참조

[1] 서적 Fields of Battle: Terrain in Military History Kluwer Academic
[2] 웹사이트 PACIOOS Voyager https://www.pacioos.[...] 2023-06-01
[3] 서적 A Legacy in Brick and Stone: American Coastal Defense Forts of the Third System, 1816–1867 Redoubt Press
[4] 서적 British & American Artillery of World War II Stackpole Books
[5] 서적 Technological military dictionary, German-English-French https://books.google[...]
[6] 서적 Notes on Sea-Coast Defence https://archive.org/[...] D. Van Nostrand
[7] 웹사이트 Batteries, River and Coast Defense https://lly.org/~rcw[...] 2004-12-14
[8] 서적 Chickamauga: Bloody Battle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Pickle Partners Publishing
[9] 뉴스 The Great Ironclad Floating Gun Battery For Bay and Harbour Defences http://trove.nla.gov[...] Illustrated Sydney News 1867
[10] 간행물 Coast Artillery Organization: A Brief Overview http://cdsg.org/shor[...] CDSG Press
[11] 서적 Battle Report (Volume 2); The Atlantic War Farrar and Rinehart, Inc.
[12] 학술지 The Other D-Day: The Invasion Of Southern France http://findarticles.[...] 2009-06-23
[13] 웹사이트 Altair Agencja Lotnicza http://www.altair.co[...] 2018-03-29
[14] 서적 Fields of Battle: Terrain in Military History Kluwer Academ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