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구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구 국가는 작가의 이상을 구현하거나, 현실 국가에 대한 논평을 위해 만들어지는 가상의 국가를 의미한다. 문학 작품, 영화, 게임 등 다양한 창작물에서 허구 국가가 등장하며, 현실의 국가를 묘사하거나 특정 지역의 특징을 반영하기도 한다. 허구 국가는 창작의 자유를 높이고, 비판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군사 훈련 시나리오나 의식 조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 기반의 마이크로네이션 형태로 존재하기도 하며, 전설적인 국가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구 국가 | |
|---|---|
| 개요 | |
| 위치 | 가상의 세계 |
| 주요 특징 |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국가 |
| 등장 매체 | 소설 영화 드라마 만화 게임 |
| 정의 및 특징 | |
| 정의 | 허구 작품 속에서 작가가 창조해낸 가상의 국가 |
| 특징 | 현실 세계의 국가와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음 작가의 상상력에 따라 독특한 문화, 역사, 정치 체제를 가질 수 있음 |
| 창작 목적 및 기능 | |
| 창작 목적 | 이야기의 배경 설정 특정 주제나 메시지 전달 현실 세계의 문제점 비판 또는 풍자 독자에게 새로운 세계 경험 제공 |
| 이야기 내 기능 | 등장인물의 활동 무대 사건 전개의 중심지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상징적 공간 |
| 허구 국가의 예시 | |
| 소설 | 오즈의 마법사의 오즈 걸리버 여행기의 릴리펏 반지의 제왕의 곤도르 해리 포터 시리즈의 마법사 사회 |
| 영화 | 블랙 팬서의 와칸다 바라트리아 장군님 만세의 바나나 공화국 |
| 만화 | 닥터 둠의 라트베리아(Latveria) 퀸 비의 비알리아(Bialya) 케인의 쿠락(Qurac) |
| 주의점 | |
| 현실과의 혼동 방지 | 허구는 허구일 뿐, 현실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 창작의 자유 존중 | 작가의 상상력을 존중하며, 획일적인 시각으로 비판하지 않아야 함 |
2. 목적
허구 국가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는데, 대표적으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에서처럼 작가의 이상향을 구현하는 경우가 있다. 허구 국가는 종종 실제 국가를 의도적으로 닮거나 대표하며, 때로는 유토피아나 디스토피아를 제시하여 현실을 비판하기도 한다. 국가 이름을 변형하여 어떤 국가를 염두에 두고 있는지 명확하게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2] 작가는 실제 국가 대신 허구 국가를 사용함으로써 등장인물, 사건, 배경을 창작하는 데 더 큰 자유를 누릴 수 있으며, 독자들에게는 어렴풋이 친숙한 장소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국가의 역사, 정치, 문화의 제약에서 벗어나 플롯 구성의 폭을 넓히고, 실제 국가, 정당, 사람들을 비방하는 것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로워진다. 찰리 채플린은 영화 ''위대한 독재자''에서 프토마인에서 이름을 따온 허구 국가 토마니아를 배경으로 설정하여, 나치 독일을 패러디하고 종교적 편협함, 군국주의, 인종차별 등을 조롱했다.[2]
허구 국가는 종종 실제 국가를 의도적으로 닮거나 대표하며, 때로는 비판적인 논평을 위해 유토피아나 디스토피아를 제시하기도 한다. 국가 이름의 변형을 통해 어떤 실제 국가를 염두에 두고 있는지 명확하게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작가는 실제 국가 대신 허구 국가를 사용함으로써 등장인물, 사건, 배경을 창작하는 데 더 큰 자유를 누릴 수 있으며, 동시에 독자들에게는 어렴풋이 친숙한 장소를 제시할 수 있다. 허구 국가는 작가가 실제 국가의 역사, 정치, 문화의 제약에서 벗어나 플롯 구성의 폭을 넓히고, 실제 국가, 정당 또는 사람들을 비방하는 것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있게 해준다.
허구 국가는 군사 훈련 시나리오의 목적으로도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하와이 주변의 섬들은 국제 해상 훈련인 RIMPAC 98에서 블루랜드와 오렌지랜드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3][4]
허구 국가는 여론 조사를 목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2004년 4월에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 영국인의 8%는 허구 국가 루바니아(Luvania)가 곧 유럽 연합에 가입할 것이라고 믿었다.[5] 1989년 일반 사회 조사에서는 미국 응답자들에게 허구의 국적 "위시안(Wisian)"을 가진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를 평가하도록 요청했는데, 대다수가 위시안을 미국의 사회적 계층에 위치시킬 수 없다고 답했지만, 그렇게 한 사람들은 9점 척도(9점이 가장 높은 사회적 지위)에서 평균 4.12점으로 매우 낮게 평가했다.[6] 타임 지는 "일단 위시안을 받아들이면, 동네는 엉망이 된다"라고 재치 있게 말했다.[7]
허구 국가는 종종 특정 지역의 전형적인 특징(스테레오타입)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허구의 서유럽 국가는 과거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 국가이거나 왕실 이야기가 있는 국가로 묘사될 수 있다. 허구의 중동 국가는 아라비아 반도에 위치하고 석유가 풍부하며, 이슬람 근본주의자와 문제를 겪고, 술탄이나 독재자가 통치하는 경우가 많다. 라틴 아메리카의 허구 국가는 혁명이나 군사 독재 정권, 쿠데타에 시달리는 바나나 공화국으로, 아프리카의 허구 국가는 빈곤, 내전, 역병으로 고통받는 곳으로 그려지는 경향이 있다.
18세기 초 조르주 살마나자르는 자신을 포르모사 섬(현재의 대만)의 왕자라고 칭하며, 자서전 『대만지』 등에서 섬 및 인근 동아시아 국가에 관한 이야기를 꾸며 스폰서들을 속였다.
몇몇 사기꾼들은 사람들을 속이기 위한 도구로 허구 국가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1820년대 그레고르 맥그리거는 조작된 "포야이스"(Poyais)라는 나라의 토지를 판매했다. 현대에도 "멜기세덱"이나 "에넨키오 왕국" 등이 같은 수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용적인 예로, 10자리 ISBN의 고갈로 인해 신설된 13자리 ISBN에 EAN 코드를 통합하기 위해, Bookland라고 불리는 EAN 국가 코드 상의 허구 국가가 설정되었다.
3. 종류
허구 국가는 군사 훈련 시나리오의 목적으로도 만들어진다.[2] 예를 들어, 하와이 주변의 섬들은 국제 해상 훈련인 RIMPAC 98에서 블루랜드와 오렌지랜드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3][4]
이야기, 신화, 전설에서 유래하여 일부 사람들이 실존한다고 믿거나, 과거에 존재했다고 믿는 국가들도 있다.
몇몇 사기꾼들은 사람들을 속이기 위한 도구로 허구 국가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1820년대에는 그레고르 맥그리거가 조작된 "포야이스"(Poyais)라는 나라의 토지를 판매했다. 현대에도 "멜기세덱"이나 "에넨키오 왕국" 등이 같은 수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허구 국가는 의식 조사를 목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2004년 4월의 의식 조사에서, 영국인의 10%는 허구 국가인 "루바니아"[8]가 곧 EU에 가입할 것이라고 믿었다.[9]
실용적인 예로, 10자리 ISBN의 고갈로 인해 신설된 13자리 ISBN에 EAN 코드를 통합하기 위해, Bookland라고 불리는 EAN 국가 코드 상의 허구의 국가가 설정되었다.
3. 1. 창작물에서의 허구 국가
창작물에서 허구 국가는 실제 국가를 모방하거나, 유토피아 또는 디스토피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작가들은 실제 국가 대신 허구 국가를 사용함으로써 더 큰 창작의 자유를 얻고, 동시에 독자들에게 친숙한 배경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찰리 채플린의 영화 ''위대한 독재자''에서는 토마니아(프토마인에서 이름을 따온 나치 독일의 패러디)라는 허구 국가를 배경으로 하여 종교적 편협함, 군국주의 등을 조롱한다.[2]
허구 국가는 군사 훈련 시나리오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RIMPAC 98 국제 해상 훈련에서 하와이 주변 섬들은 블루랜드와 오렌지랜드라는 허구 국가로 설정되었다.[3][4]
몇몇 허구 국가들은 특정 지역의 전형적인 모습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허구의 서유럽 국가는 과거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 국가 또는 왕족 이야기가 있는 국가로 묘사될 수 있다. 허구의 중동 국가는 석유가 풍부하고 이슬람 근본주의와 관련된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라틴 아메리카의 허구 국가는 혁명이나 군사 독재 정권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으며, 아프리카의 허구 국가는 빈곤, 내전, 역병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18세기 초 조르주 살마나자르는 자신을 포르모사 섬(현재의 대만)의 왕자라고 속이며, 자서전 『대만지』에서 섬에 대한 이야기를 꾸며냈다. 1820년대에는 그레고르 맥그리거가 조작된 "포야이스"라는 나라의 토지를 판매했다. 현대에도 "멜기세덱"이나 "에넨키오 왕국" 등이 같은 수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4년 영국인의 10%는 "루바니아"[8]라는 허구 국가가 EU에 가입할 것이라고 믿었다.[9] 2007년 헝가리인의 3분의 2는 "Piresa"라는 허구 국가에서 온 이민자들의 피난처를 마련하지 않도록 요청했다.[10]
10자리 ISBN의 고갈로 인해 신설된 13자리 ISBN에 EAN 코드를 통합하기 위해, Bookland라고 불리는 EAN 국가 코드 상의 허구의 국가가 설정되었다.
다음은 창작물에 등장하는 허구 국가의 예시이다:3. 2. 지역별 허구 국가
허구 국가는 다음과 같이 지역별로 분류할 수 있다.3. 2. 1. 아시아
3. 2. 2. 유럽
3. 2. 3. 아프리카
3. 2. 4. 아메리카
3. 2. 5. 오세아니아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년에 등장하는 전체주의 국가이다. 오세아니아는 아메리카 대륙, 영국, 호주, 아프리카 남부를 통치하며,[1] 소설 속 주인공 윈스턴이 살고 있는 영국은 제1공항으로 불린다.[1]
3. 2. 6. 중동
3. 2. 7. 기타 지역
3. 3. 인터넷 기반 허구 국가
인터넷 기반 허구 국가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웹상에 영토를 두는 마이크로네이션이고, 다른 하나는 대체역사를 가진 지구상이나 그 외 지역에 존재하는 대체 역사 가상국가이다.
3. 3. 1. 마이크로네이션
마이크로네이션으로서의 허구 국가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웹상에 영토를 두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대체 역사를 가지고 지구상이나 그 외 지역에 존재하는 대체 역사 가상국가이다.
마이크로네이션으로서의 허구 국가의 대표적인 예는 다다월즈의 소수 유저가 해당 서비스의 사용자 건축 월드를 기반으로 2004년 헌법을 갖추고 건국한 시민월드연방국이다. 2009년 관리자와 시민월드연방국 사이의 관계 악화로 사용자 건축 월드에 대한 지원이 중단되었지만, 2010년 세컨드 라이프에 기반한 프로그램으로 독자적인 월드를 구축했다.
4. 비판 및 논란
허구 국가는 종종 실존 국가를 모방하거나 그 대용으로 사용되며, 유토피아나 디스토피아를 표현하기도 한다. 작가들은 허구 국가를 통해 현실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허구 국가는 종종 특정 지역의 스테레오타입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허구의 서유럽 국가는 과거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 국가나 왕족 이야기가 있는 국가로 묘사될 수 있다. 중동 국가는 석유가 풍부하고 이슬람 근본주의자와 갈등을 겪는 국가로, 라틴 아메리카 국가는 혁명과 군사 독재에 시달리는 바나나 공화국으로, 아프리카 국가는 빈곤과 내전, 역병으로 고통받는 국가로 묘사되곤 한다.
현대 작가들은 이러한 허구 국가를 사실로 취급하지 않지만, 과거에는 허구 국가를 이용한 사기 사건도 있었다. 18세기 초 조르주 살마나자르는 자신을 포르모사 섬(현재의 대만)의 왕자라고 속이며 『대만지』를 통해 사람들을 속였다. 1820년대 그레고르 맥그리거는 "포야이스"라는 허구 국가의 토지를 판매했다.[8] 2004년 영국인의 10%는 "루바니아"가 EU에 가입할 것이라고 믿었으며[9], 2007년 헝가리인의 3분의 2는 "Piresa"라는 허구 국가 이민자의 피난처를 마련하지 않도록 요청했다.[10]
5. 전설적인 국가
참조
[1]
서적
Schott's Quintessential Miscellany
[2]
웹사이트
Navy News - News Desk - News - HMS Edinburgh works out in the Pacific
http://www.navynews.[...]
www.navynews.co.uk
2008-12-14
[3]
뉴스
RIMPAC simulates conflict between divided countries - Asian Political News
http://findarticles.[...]
findarticles.com
1998-08-03
[4]
웹사이트
Rim of the Pacific Exercise (RIMPAC)
http://www.globalsec[...]
www.globalsecurity.org
2008-12-14
[5]
웹사이트
Brits welcome Luvania to EU
https://www.theregis[...]
2004-04-29
[6]
뉴스
Bias Thrives In a Vacuum
https://query.nytime[...]
1992-01-08
[7]
간행물
American Notes: Ethnicity
https://web.archive.[...]
1992-01-20
[8]
문서
2004年4月29日(木)15:21 多くのイギリス国民は新規EU加盟国についてほとんど知らず ロンドン(AFP)
http://ecowww.leh.ka[...]
[9]
웹사이트
Brits welcome Luvania to EU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04-04-29
[10]
웹사이트
Hungarians demand ejection of Piresan immigrants
http://www.theregist[...]
The Register
2007-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