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R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RB는 1977년부터 1991년까지 생산된 현대자동차의 버스 모델 시리즈이다. RB520, RB520L, RB520SL, RB585, RB585AR, RB600, RB600H, RB635 등 다양한 세부 모델이 존재하며, 도시형, 시외버스, 통학버스, 관광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1980년대 대한민국에서 운송 사업자에게 제공된 재정 지원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현대 에어로시티의 등장으로 단종되었다. 현재는 일부 모델이 관광 버스나 자동차 운반 트레일러로 사용되고 있다. 경쟁 차종으로는 대우 BV, 대우 BS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1970년대 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197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현대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RB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현대 RB
제조사현대자동차
차종상용차
종류단층 코치
플랫폼미쓰비시 후소
생산
생산 기간전 세계
이전 모델
이전 모델 (단축형)현대 에어로시티
이전 모델 (장축형)현대 에어로
관련 모델
관련 모델후소 MS 시리즈
MP 시리즈
디자인
디자인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
제원
변속기현대/미쓰비시 (수동)

2. 세부 종류

현대 RB 시리즈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요 모델로 나뉜다.


  • '''RB 520''': 시내버스 (도시 및 교외)
  • '''RB 585''': 관광 버스 (개인 및 상업)
  • '''RB 600''': 관광 버스 (개인 및 상업)
  • '''RB 635''': 고속버스

2. 1. 도시형 차종

1980년대~1990년대 서울 시내버스 모습. 현대 RB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 중이다.


현대 RB 버스 및 코치 섀시 제품군은 1978년까지 현대자동차의 상용차 자회사였던 템스가 제작한 설계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엔진은 차량 후면에 장착되었고, 승객 출입구는 앞쪽 차축 앞에, 운전사의 반대편에 위치했다. 초기 모델인 RB520과 RB585는 이후 지속적인 개량과 업그레이드를 거쳐 1986년에는 RB600으로 대체되었다. 1978년경에는 차량 바닥 높이를 낮추기 위해 과급 디젤 엔진을 기울여 장착하기도 했다.

RB 시리즈 중 RB520 모델이 주로 도시 및 교외 지역의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된 대표적인 도시형 차종이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에 운송 사업자에 대한 정부의 상당한 재정 지원 정책에 힘입어 RB 시리즈가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경제 상황 변화와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주식 시장 자금이 고갈되기 시작하면서 버스 수요가 점차 감소했다. 이러한 상황 변화 속에서 현대자동차1991년경 차세대 모델인 현대 에어로시티를 선보이게 된다.

현재는 소수의 RB 버스만이 여객 운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차량이 이동식 관광 버스나 자동차 운반 트레일러 등으로 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RB 시리즈에는 도시형인 RB520 외에도 관광 버스 용도의 RB585, RB600과 고속 버스 용도의 RB635 모델이 있었다.

2. 1. 1. RB520

RB520 도시형, 직행형, 자가용형은 1984년 4월에 출시되었다.[1] 출시 초기에는 후면부에 엔진 보닛과 그 우측에 7줄 형태의 그릴이 있었고, 후면 좌측 위에 흡기구가 달려 있었다. 1986년 2월에는 엔진 형식이 MAN D0846HM-V(7,255cc)에서 미쓰비시 후소 D6BR(7,545cc)으로 변경되면서 흡기구와 7줄 그릴이 사라졌다. 대신 엔진 보닛 좌측과 후진등을 감싸는 형태의 그릴이 적용되었다. 1988년에는 고출력 시외버스급 차종인 RB600이 단종되면서, 기존 스텐바디 사양에 옵션으로 제공되던 돌출형 전조등과 방향지시등이 사라졌다. 1990년에는 후면 번호판 등이 기존의 번호판 위 1개에서 번호판 양옆 2개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후반에는 후면부 그릴이 사라졌다.

RB520은 대우자동차(현 자일대우버스)의 BV101, BS105 및 아시아자동차(현 기아)의 AM927과 경쟁했던 차종이다. 서울시 좌석버스에서는 삼선버스(현 서울버스)와 서울승합에서 1985년식 RB520 도시형 및 좌석형(무냉방)을 도입한 사례가 있다. 이듬해인 1986년 1월, 서울시 좌석버스 차량 도입 조례 규정이 개정되면서 RB520이 대량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서울시 시내좌석버스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RB520 좌석형을 도입한 회사는 1991년 2월 선일교통(당시 미아운수)으로, 27번 도시형 노선과 유사한 좌석 노선을 신설하면서 신차로 구매했다. 가장 늦게까지 RB520 좌석형을 운행한 회사는 서울승합으로, 959번(현 340번) 좌석 노선에서 운행되었다. 현대 RB520은 전륜과 후륜 휠 모두 6홀 8핀 형식이다.

RB520 직행형 및 자가용형이 출시된 지 6개월 만인 1984년 10월에는 RB520L 도시저상형이 출시되었다.[2] RB520L은 서울시 시내버스 조례 규정에 맞춰 이전 모델인 FB485 버스보다 차체 높이를 20cm 낮춘 2계단 저상형으로 개발되었다. 출시 초기 외형은 RB520과 동일하게 후면 엔진 보닛, 우측 7줄 그릴, 좌측 상단 흡기구가 있었다. 또한, 버스 안내양 제도 폐지에 맞춰 버스 하차벨이 새롭게 등장했으며, FB485에 먼저 선보인 자동 슬라이딩 중문 등 오늘날 시내버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들이 대거 적용되었다. 안내양 폐지로 운전기사의 승객 안전 확인이 중요해짐에 따라, 전문과 중문에 각각 안전 거울을 장착하여 운전기사가 승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전비(앞문) 상부에는 안전 표시등을 장착하여 문이 열려 있거나 답단(계단)에 승객이 있을 경우 점등되도록 하였다. 승객이 답단에 있을 때 중간문이 닫히지 않도록 광전식 차단 장치와 전자식 자동 감응 장치(문에 몸이 닿으면 다시 열리는 기능)가 적용되었으며, 중간문이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속 페달이 작동하지 않는 잠금 장치 또한 장착되었다. 자동문 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있는 비상 코크도 탑재되었다.[3] 서울시내버스에서는 한성여객(당시 아륙교통) 20번 노선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한때 제일여객 기자촌 종점에서 이 차종을 창고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차고지 이전으로 철거되었다. 1986년 2월, RB520L 도시형 버스 역시 엔진이 MAN D0846HM-V에서 미쓰비시 D6BR로 변경되면서 흡기구와 7줄 그릴이 사라지고 새로운 형태의 그릴이 적용되었다.

현대 RB520L의 내부


새롭게 적용된 D6BR 엔진은 185마력을 발휘했으며 4행정 자연흡기 방식의 기계식 직분사 엔진이다. 구동 방식은 헬리컬 기어가 크랭크축과 캠축을 맞물려 회전시키며 로커 암으로 2개의 밸브를 개폐한다. 플라이휠 기준으로 보았을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거버너와 인젝터 펌프는 독일 보쉬(Bosch) 제품을 사용했다. D6BR의 직분사 시스템은 다공 분사 노즐을 적용하여 실린더 내 연료 분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소 효율과 출력을 높였으며,[4] 이 엔진은 이후에도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현대의 여러 상용차 모델에 사용되고 있다. 브레이크는 자동 조절식 슬랙이 적용된 에어 드럼 브레이크 방식이며, 차체는 세미 모노코크 스켈레톤 타입에 일체형 프레임을 혼합한 구조이다.[4] 당시 차체 제작 기술의 한계로 인해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스타와는 달리 각진 '큐빅 스타일' 대신 둥근 형태의 차체를 적용하여 차체 강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현대 RB520L의 후면


현대자동차는 국산화율을 94%까지 달성했는데, 이는 당시 국산화율이 90% 미만이었던 대우자동차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5] 이로 인해 차량 가격과 부품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여기에 양사 간의 가격 경쟁(덤핑)까지 더해져, 2천만 원대에서 시작했던 도시형 버스 가격이 최대 1천 8백만 원까지 인하되어 판매되기도 했다.[6] 이러한 가격 경쟁력과 높은 국산화율 덕분에 운수회사들은 현대의 RB520L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이후 운전대는 기존의 원형에서 미쓰비시 스타일 핸들로 변경되었고, 파워 스티어링,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식 예열 장치, 콜드 스타트 스위치 등이 추가되었다. 운전석 계기판은 중앙 집중식으로 배치되었다. 연비 향상과 브레이크 성능 유지를 위해 자동 냉각팬(라디에이터 수온이 낮을 때 팬 공회전으로 엔진 마력 손실 방지)과 에어 드라이어(동절기 제동력 상실 방지)가 설치되었다.[7]

1989년부터 RB520L의 전면 행선판 부위와 바로 뒤 측면 유리창 형식이 RB520SL 모델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1990년에는 후면 번호판 등이 양옆 2개로 변경되면서 후면부 그릴이 사라졌다. 차량 바퀴는 전후륜 모두 6홀 8핀 형식이다. 대한민국에서 RB520L은 당시 도입된 도시형 리어엔진 버스 차종 중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후 대우자동차에서 각진 형태의 BS105L을 선보이면서 잠시 주춤했으나, BS105L의 구조적 결함 문제로 인해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유지했다.

RB520 시리즈는 1991년 현대자동차가 새롭게 개발한 큐빅 스타일의 에어로시티 버스를 출시하면서 단종되었다. 이후 1990년대까지 많은 수가 운행되다가 점차 대차되기 시작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1999년 삼화PTS(현 삼화피티에스) 운행 차량을 마지막으로 사라졌고, 대구광역시에서는 2000년 광남자동차 운행 차량이 마지막으로 대차되었다. 인천광역시에서도 같은 해 모두 대차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서는 서울승합에서 2001년 12월까지 마지막으로 운행한 후 폐차되었다.

2. 1. 2. RB520L

1987년 서울시 시내버스 조례 규정에 맞추어 RB520을 기반으로 개발된 2계단 저상형식 차종이다. 1987년식까지는 앞바퀴 휠 하우징 주변 바닥이 갱웨이(통로)처럼 좌석이 있는 부분이 중앙 통로 바닥보다 8cm 정도 높았다. 외형상 특징으로는 전면 행선판 공간이 기존 RB520보다 넓었고, 전문(앞문) 바로 뒤의 측면 유리창 크기는 기존 RB520보다 작았다. 또한 중문(가운데 문)의 폭은 더 넓었다. 1988년식부터는 전문 바로 뒤 측면 유리창의 개폐 방식이 변경되어, 창문 아랫부분 1/3만 열 수 있었고 윗부분에는 측면 행선판을 부착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에는 후면부 차량 번호판 등이 기존의 번호판 위 1개에서 번호판 양옆으로 2개 부착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이로 인해 후면부에 있던 엔진 열기 배출 그릴이 사라졌다. 휠은 전륜과 후륜 모두 6홀 8핀 형식이다.

2. 2. 시외버스, 통학버스, 관광버스 차종

현대자동차의 RB 버스 시리즈는 1978년경 템스 상용차 자회사의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리어엔진 버스 라인업이다. 엔진은 차량 후면에, 승객 출입문은 앞 차축 앞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졌다.

RB 시리즈 중 RB585 모델은 11.5m급 준고속형 버스로[8], 주로 시외버스, 통학버스, 관광 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이 외에도 시내버스용 RB520, 고속버스용 RB635 등 용도에 따라 여러 모델이 생산되었다.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1986년에는 RB600 모델이 등장하기도 했다.

198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정부의 차량 교체 지원 정책에 힘입어 RB 시리즈가 운수업체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정책 변화와 시장 상황 변동으로 버스 수요가 점차 감소하였고, 이는 현대자동차가 1991년경 후속 모델인 에어로시티 개발에 나서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RB 시리즈 버스는 대부분 운행 수명을 다했으나, 일부 차량은 개조되어 이동식 관광 버스나 자동차 운반 트레일러 등 특수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RB 시리즈의 주요 모델별 용도는 다음과 같다.

  • RB 520: 시내버스 (도시 및 교외 노선)
  • RB 585: 시외버스, 통학버스, 관광 버스 (개인 및 상업용)
  • RB 600: 관광 버스 (개인 및 상업용)
  • RB 635: 고속버스

2. 2. 1. RB585

RB585는 현대자동차가 1978년부터 생산한 RB 시리즈 버스 모델 중 하나이다. 이 시리즈는 현대의 템스 상업용 차량 자회사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엔진은 차량 후면에 장착되고 승객 출입구는 앞쪽 차축 앞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졌다.

초기 모델 중 하나인 RB585는 주로 개인 및 상업용 관광 버스로 사용되었다.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1984년에는 최후기형 모델이 등장했다. 이 시기에는 에어서스펜션을 장착한 고급 사양 차량(이후 RB600H로 이어짐)도 함께 나왔는데, 이 차량은 헤드램프와 범퍼 디자인에서 RB585와 차별화되었지만 기본적인 차체나 동력기관은 RB585 최후기형과 유사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에 운송 사업자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에 힘입어 RB 시리즈가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1986년 이후 정부 정책 변화 등으로 자금 지원이 줄어들면서 버스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B585는 1986년 후속 모델인 에어로 E가 등장한 이후 점차 단종 수순을 밟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대부분의 RB585는 운행 수명을 다했지만, 일부 차량은 이동식 관광 버스나 자동차 운반 트레일러 등으로 개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2. 2. 2. RB585AR

1985년 12월에 최후기형 RB585의 마이너체인지 개량형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이전 모델인 RB585보다 휠베이스와 전장이 길어졌으며, 엔진은 기존 MAN사의 D2156HM(10350cc) 형식에서 미쓰비시 후소의 6D22(D6AU, 11149cc)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외관상으로는 이전 모델의 흡기구와 7줄 그릴이 사라지고, 대신 엔진 보닛 좌측과 후진등 주변에 새로운 디자인의 그릴이 적용되었다.

이 차종은 서울의 공항버스와 대구 경일여자고등학교 등에서 운행되었으며, 통학버스 및 직행버스 업체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주요 운행 업체는 다음과 같다.

지역업체
경기도용남여객
경상남도경전여객
김해여객
부산교통
대한여객
영화여객
경상북도경북고속
아진고속
아성고속
천마고속



관광버스 업계에서는 경남, 안동, 삼화(대구), 무궁화 등에서 이 차량을 도입하였다. 1988년에 후속 모델인 에어로 600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2. 2. 3. RB600

1986년에 RB585AR의 부분 변경 모델로 등장한 경제형 에어서스펜션 차종이다.[1] RB585AR의 후속으로 에어로E가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에어로E와 RB600 사이를 이어주는 과도기적 모델이었다.[1] 외형적으로는 RB585AR과 거의 동일한 차체를 사용했으며, 헤드램프, 범퍼, 후면 엔진룸 도어 등은 에어로 버스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1] 에어서스펜션을 채용한 것 외에는 전체적인 제원은 이전 모델과 비슷했다.[1]

RB600은 주로 개인 및 상업용 관광 버스로 사용되었다.[2] 하지만 포지션이 다소 애매하여 판매량은 많지 않았고, 1988년에 에어로E 모델 라인업에 통합되는 형태로 단종되었다.[1]

주요 사용 업체는 다음과 같다.[1]



단종된 지 23년이 지난 후, 경제형 에어서스펜션 차종의 계보는 유니시티로 이어져 판스프링 서스펜션을 사용하던 준고속형 버스 시장을 대체하고 있다.[1]

2. 2. 4. RB600H

1979년 6월현대자동차에서 메르세데스-벤츠 O 303의 차대를 일부 변경하여 출시한 12m급 고속버스 차종이다. 엔진은 이전 모델인 RB585에 탑재되었던 독일 만트럭버스사의 D2156HM 엔진(10,350cc)을 사용했다.

당시 경쟁 차종에 비해 출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자, 1982년 9월부터는 미쓰비시 후소의 8기통 8DC80A 엔진(14,886cc)을 선택 사양으로 추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은 계속 저조했고, 결국 1984년 12월에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이후 1985년 2월에 출시된 현대 에어로가 실질적인 후속 차종 역할을 했다.

주요 1군 고속버스 회사 중 광주고속, 동양고속, 동부고속, 삼화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한진고속 등이 RB600H를 도입하여 운행했다. 광주고속의 경우, 1985년 5월BH120S 후기형 모델로 비교적 일찍 교체했다.[9] 비공식적인 기록에 따르면 천일고속과 한진고속에서는 1991년까지 운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 생산 대수는 484대이다.

2. 2. 5. RB635

RB635는 고속버스 용도로 사용된 모델이다.

3. 모델 컨셉 (영문판 번역)



RB 버스 및 코치 섀시 제품군은 1978년까지 현대의 템스 상업용 차량 자회사가 제작한 설계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엔진은 차량 후면에 장착되었으며, 승객 출입구는 앞쪽 차축 앞에, 운전사의 반대편에 설치되었다. 최초의 RB520 및 RB585 모델은 이후 자동 변속기 모델이 추가되었으며, 지속적인 개량과 업그레이드를 거쳐 1986년에는 RB600으로 대체되었다. 차량의 바닥 높이를 낮추기 위해 1978년경에 과급 디젤 엔진을 한쪽으로 기울여 장착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 RB는 1980년대에 운송 사업자에게 차량 갱신을 위한 상당한 재정 지원이 제공되면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1986년 이후 당시 정부 정책 변화와 함께 주식 시장 자금이 고갈되기 시작하면서 버스 수요가 감소했다. 이로 인해 현대자동차는 1991년경 차세대 모델인 현대 에어로시티를 개발하게 되었다.

현재는 소수의 RB 버스만 여객 운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차량이 이동식 관광 버스 및 자동차 운반 트레일러로 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4. 경쟁 차종

참조

[1] 뉴스 http://newslibrary.n[...] 1984-04-03
[2] 뉴스 http://newslibrary.n[...] 1984-10-26
[3] 웹인용 현대 RB520L 시내저상버스 D6BR 중기형 카탈로그 해석본 http://www.bobaedrea[...] 現代自動車 2019-07-17
[4] 웹인용 현대 RB520L 시내저상버스 D6BR 중기형 카탈로그 해석본 http://www.bobaedrea[...] 現代自動車 2019-07-17
[5] 뉴스 大型車国産化率낮아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19-07-17
[6] 뉴스 치열한 버스 販促戰・・・・덤핑攻勢까지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19-07-17
[7] 웹인용 현대 RB520L 시내저상버스 D6BR 중기형 카탈로그 해석본 http://www.bobaedrea[...] 現代自動車 2019-07-17
[8] 뉴스 http://newslibrary.n[...] 1984-04-03
[9] 뉴스 고속버스 30대 代廢車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5-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