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계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계훈은 1842년 남양에서 태어난 무관으로,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를 피신시킨 공으로 출세하여 충청감사, 장위영 영관 등을 역임했다.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진압 과정에서 전주 화약을 통해 농민군과 평화 협정을 맺었으며, 을미사변 당시에는 궁궐을 지키다 전사했다. 사후 군부대신에 추증되었으며, 여러 드라마, 영화, 뮤지컬 등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학농민운동 관련자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동학농민운동 관련자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1895년 사망 - 루이 파스퇴르
    루이 파스퇴르는 1822년에 태어나 1895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생물학자이자 화학자로서, 분자 키랄성을 입증하고 생물 속생설을 확립했으며, 저온 살균법과 백신 개발을 통해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895년 사망 - 전봉준
    전봉준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부패한 관리 처벌과 일본 세력 축출 등을 주장하며 농민 운동을 이끌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혁명 정신은 민주주의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 남양 홍씨 (당홍) - 홍남기
    홍남기는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주도했고,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 남양 홍씨 (당홍) - 홍준표
    홍준표는 1954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표 등을 역임하고 대선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홍계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홍계훈
한글홍계훈
한자洪啓薰
로마자 표기Hong Gyehun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Hong Kyehun
아호규산
한글 아호규산
한자 아호圭珊
로마자 표기 아호Gyusan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 아호Kyusan
성남
한글 자성남
한자 자聖南
로마자 표기 자Seongnam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 자Sŏngnam
시호충의
한글 시호충의
한자 시호忠毅
로마자 표기 시호Chungui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 시호Ch'ungŭi
출생1842년
출생지경기도화성시남양읍
사망1895년
사망지조선한성세종로
군사 경력
소속조선
군종조선군
복무 기간알 수 없음
최종 계급정령
지휘장위영
훈련대
수도 경비대
주요 전투임오군란
동학농민운동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을미사변
가족 관계
배우자알 수 없음
자녀알 수 없음
친척알 수 없음
기타 정보
서명알 수 없음

2. 생애

홍계훈은 무사 집안 출신으로 추정된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여주로 피신시킨 공으로 출세하였다. 1887년 충청감사, 1894년 장위영 영관(領官)을 지냈다. 그해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로 출전하여 전주를 탈환하고 훈련대장이 되었다.

1895년 을미사변 때 광화문 앞에서 소수의 도성수비대 병력을 이끌고 일본군 및 우범선, 이두황 등 친일 훈련대와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20][21][22]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홍계훈은 무예청 별감으로 관직을 시작하였다. 무예에 뛰어났으나 병졸 출신이라 신분 상승에 어려움을 겪었다. 출생지는 남양(南陽)이며, 본명은 홍재희(洪在羲)였다. 자는 성남(聖南), 아호는 규산(圭珊)이었다.[1] 1842년에 태어나 왕궁의 일부였던 "무예청(武藝廳)"이라는 어영(御營) 소속 무사(武士)였다. 무술에 뛰어났음에도 병졸(兵卒), 즉 병사라는 사회적 신분 때문에 출세 기회가 제한되었다.[2]

2. 2. 임오군란 (1882)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수문장[19]으로 명성황후를 누이로 속여 업고 피신시킨 뒤 경기도 여주로 호송했다. 그 공으로 출세하여, 1882년 8월 왕실 호위 무사에서 지방 관료로 전환, 포천 군수로 임명되었다.[2]

2. 3. 관직 생활

1884년 12월, 홍계훈은 태안 군수로 임명되었다. 1885년 8월, 정3품으로 승진하여 충청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86년 9월, 종2품으로 다시 승진하여 충청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88년 4월, 고종은 그에게 총애의 표시로 "호피"를 하사했다.[2] 1890년 수도 방위 사령부 부대인 장위영의 중령으로 임명되어 궁궐로 돌아왔다.[2]

1892년 5월, 동학 신자들이 충청도 보은에 모여 외세 배척 운동을 벌이자, 장위영 600명을 이끌고 청주로 향했다.[1] 1893년 1월, 홍재희는 홍계훈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 1899년 3월, 장단 군수로 임명되었다.[2]

1899년 11월, 이조는 "홍재희는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공공의 일을 존중하며 법을 지키고 있다. 임명된 지 불과 4개월 만에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2]

3. 동학 농민 운동 (1894)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자 정부는 홍계훈을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로 임명하여 진압군을 이끌게 했다. 홍계훈은 전주성에 입성했지만, 병력이 부족하여 정부에 증원을 요청했다. 장성에서 동학 농민군에게 패배한 후, 정부는 이원회를 양호선변사(兩湖宣邊使)로 임명하고 추가 병력을 파견했다. 동학 농민군은 정읍, 태인, 금구를 거쳐 전주성을 점령했고, 홍계훈은 전주성 포위전을 시작했다.[3][4]

홍계훈은 전주성에 대포를 쏘아 민간인과 재산을 공격했지만, 조선 태조의 영정이 불에 타자 공격을 중단했다. 5월 3일 전봉준은 홍계훈의 진영을 공격했으나, 우세한 화력에 패배했다. 동학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6] 조선 정부는 일본청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청나라 군대와 일본 군대가 인천에 상륙하면서, 청일 전쟁의 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15]

이후 전봉준과 홍계훈은 전주 화약을 체결하여 농민군과 타협했다. 전주 화약 이후, 전라도 지역에는 집강소가 설치되어 농민들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는 개혁이 이루어졌다.

3. 1. 전주 화약 (1894)

1894년 5월 7일, 전주의 새로운 관찰사 김학진은 홍계훈에게 동학 농민군과 평화 협정을 맺으라고 명령했다. 식량 부족과 청나라, 일본 군대의 조선 진격으로 위협을 느낀 전봉준은 홍계훈과 휴전을 위한 서신을 교환했다.[1]

동학군은 14개 항목의 조건을 제시했다. 홍계훈은 전운소 폐지, 토지 분배 중단 및 세금으로 곡물 납부, 곡물 거래 금지, 봄가을 공납을 가구당 양 2마리로 감축하는 등의 조치를 제안했다. 각 읍에서는 사유 농지를 강제로 몰수하여 농민에게 분배하고, 조상 제례 관련 문서를 불태우며, 과부의 재혼을 허용하는 조건이었다. 홍계훈은 동학군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에 증서를 발급했다.[7]

이것이 전주 화약으로 불리게 되었다. 홍계훈은 14개의 요구 중 12개를 수용했다.[8][9][10] 농민군은 유혈 사태 없이 물러났고, 전라북도와 주변 지역을 장악했다.[1] 전주 화약을 통해 동학 농민군과 정부는 전라북도 지역 개혁 업무를 감독할 "집강소"라는 통치 기구를 설립하기로 합의하고, 농민이 제안한 개혁안을 시행하는 조건으로 동학 농민군을 해산하기로 합의했다. 전주 화약 직후, 동학 농민군은 전주성을 철수하고 집강소를 설립하여 개혁을 추진하기 시작했다.[15]

4. 을미사변 (1895)

1895년 을미사변 당시, 홍계훈은 소수의 도성 수비대 병력을 이끌고 광화문 앞에서 일본군 및 친일 훈련대와 맞서 싸웠다.[16][17] 훈련대는 명성황후가 러시아와 결탁하여 러시아 군대를 한반도로 불러들이려 한다고 확신했고, 1895년 10월 8일 새벽 훈련대의 총성이 경복궁에 쏟아지는 소리를 듣고 일본군이 궁궐에 침투한 것을 알아차렸다. 그는 500명의 궁궐 호위병을 이끌고 광화문에 도착하여 일본군의 침입을 막기 위해 문을 봉쇄했다. 그는 칼을 뽑아 "역적놈들! 너희는 누구냐? 물러가라!"라고 훈련대를 꾸짖었다. 그러나 일본 낭인과 훈련대는 궁궐 호위병들과 교전을 벌여 밀고 들어갔다. 홍계훈은 여섯 발의 총을 맞고 칼에 찔려 전사하였고, 궁궐 호위병들이 후퇴하게 되면서 낭인들이 더 깊숙이 진격하여 옥호루에서 명성황후를 시해하게 되었다.[18][1]

5. 사후

사후 군부대신에 추증되고 충의공(忠毅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900년 장충단에 이경직과 함께 배향되었다.[22][1]

6. 평가

황현은 《매천야록》에서 홍계훈을 "졸병에서 일어나 높은 지위에까지 올랐는데, 인품이 염결(廉潔)하고 근신(勤愼)했다."라고 호평했다.[4] 명성황후와 연관된 인물 중 황현이 거의 유일하게 호평한 인물이다.[4]

7. 대중 매체

홍계훈은 여러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7. 1. 드라마


7. 2. 영화

7. 3. 뮤지컬

참조

[1] 웹사이트 홍계훈 (洪啓薰) https://encykorea.ak[...]
[2] 웹사이트 [캡틴 조선] 조선의 무인(武人) 이야기 – 홍계훈 http://withinnews.co[...]
[3] 웹사이트 '전주화약일'은 동학농민혁명의 오점, 국가기념일 절대 안돼 https://newsis.com/p[...]
[4] 웹사이트 동학농민군의 전주 입성 http://www.usjournal[...]
[5] 웹사이트 Basic Korean History Terminology-Jeonju Truce http://terms.naver.c[...] 2013-01-10
[6] 웹사이트 전주 화약 http://contents.hist[...]
[7] 뉴스 황토현, 황룡촌대첩과 전주화약(2) http://www.smgnews.c[...] Saemangeum Ilbo
[8] 웹사이트 "동학농민군이 집강소에서 폐정개혁안을 실천했다"는 교과서 서술은 잘못 http://pub.chosun.co[...] 2017-08-02
[9] 웹사이트 전주 하면 이곳, 동학혁명기념관이지요 http://www.ohmynews.[...] 2014-03-10
[10] 웹사이트 '동학농민혁명과 전주화약'…국회의원회관서 23일 학술대회 https://www.yna.co.k[...] 2016-09-15
[11] 웹사이트 1894년 갑오왜란 일본 조선정벌2 https://bobjyeon.tis[...] 가야제국과 불휘 2018-05-26
[12] 웹사이트 청일전쟁 당시, 조선군 끼리 전투를 한 까닭! https://m.blog.naver[...]
[13] 웹사이트 일본군 경복궁을 점령하다 - 전쟁의 서막 < 청. 일 전쟁 > https://bykk.tistory[...] 무님의 역사 이야기 2020-11-22
[14] 웹사이트 [운명20년] (9) 일본, 경복궁을 점령하다 https://www.chosun.c[...] chosun 2020-08-12
[15] 웹사이트 홍계훈[洪啓薰,?~1895] https://www.doopedia[...]
[16] 뉴스 "명성황후, 시해 전 '능욕'당했다" 한일월드컵과 107년전 '을미사변' http://www.ohmynews.[...] OhmyNews 2002-06-03
[17] 웹사이트 을미사변(乙未事變) http://encykorea.aks[...]
[18] 웹사이트 우리시대 광화문 수난사 https://www.sejongki[...]
[19] 문서 서반 종4품
[20] 문서 홍계훈 사망 경위
[21] 문서 이사벨라 비숍의 기록
[22] 서적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효형출판 2001-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