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시 시내버스는 KD 운송그룹 계열의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이 주로 운영하며, 서울, 이천, 성남, 용인, 양평 등 인접 지역의 버스 업체들도 일부 노선을 운행한다.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며, 요금은 일반시내, 일반좌석, 직행좌석, 경기순환, 광역급행 등 종류에 따라 다르다. 시내버스 노선은 광주시를 경유하는 노선과 그렇지 않은 노선으로 나뉘며, 도시형버스, 공영버스, 마을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이 운행된다. 또한, 서울, 이천, 성남, 용인, 양평 등의 타 지역 면허를 가진 버스 노선도 존재한다. 모든 시내버스에서는 이비 안내방송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광주시의 교통 - 중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하남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총연장 117.2km의 고속도로로, 1985년 착공되어 1987년 서울~대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에 고속국도 노선번호 35호선으로 변경되었고, 구간별로 왕복 4차로와 8차로로 운영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광주시의 시내버스 | |
---|---|
개요 | |
관리 기관 | 광주시청 대중교통과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광주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남양주시 구리시 하남시 이천시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고양시 안성시 파주시 부천시 |
노선 수 | 656 |
인가 대수 | 1,342 |
결제 |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웹사이트 | |
광주시청 버스 안내 | 광주시청 버스 안내 |
광주시 지선버스 안내 | 광주시 지선버스 안내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이미지 | |
![]() |
2. 버스 업체
2. 1. 시내버스
2021년 1월 기준으로, 광주시 관내에는 KD 운송그룹 계열의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이 시내버스를 운영하고 있다.[1] 이들 업체는 광주시뿐만 아니라 여주시의 시내버스와 이천시의 시내버스 일부 노선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1]운행업체 | 노선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대수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
경기고속 (KD) | 160 | 7 | 5 | - | 148 | 500 | 113 | 58 | - | 329 |
대원고속 (KD) | 198 | 6 | 19 | - | 173 | 480 | 87 | 174 | - | 219 |
2. 2. 다른 시, 군 운수업체
광주시에는 서울의 남성버스, 이천의 이천시내버스, 성남의 대원버스, 성남시내버스, 광성교통(마을버스), 용인의 경남여객, 양평의 금강고속 등의 인접 지역 운수업체들도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3. 요금 체계
광주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어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2019년 9월 28일 기준으로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는 다음과 같다.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1. 요금표
4. 노선
광주시 관할 버스 회사인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의 시내버스 사업장이 광범위하여 편의상 광주시 경유 노선과 광주시 미경유 노선을 분리하여 작성한다.
이천시 지역만 운행하는 버스 노선과 여주시 지역만 운행하는 버스 노선은 각각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광주시 경유 노선
4. 1. 1. 도시형버스
경기고속 및 대원고속에서 광주시의 도시형버스를 운행하고 있다.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 비고 | ||
---|---|---|---|---|---|---|---|
1 | 경기고속 | 광주시청 | ↔ | 목동 | 보건소, 축협, 경기광주역, 장지사거리 | 20~60분 | 목동방면 첫차 보건소에서 출발 |
2 | 경기고속 | 광주시청 | ↔ | 현산마을 | 탄벌동입구, 보건소, 축협, 경기광주역, 쌍령동, 도평리 | 평일:10~30분 | |
2-1 | 경기고속 | 세광아파트 | ↔ | 양벌대주A | 송정동, 보건소, 축협, 경기광주역, 양벌리 | 평일:10~30분 | |
2-2 | 경기고속 | 보건소 | ↔ | 선동초등학교 | 축협, 쌍령동, 초월읍사무소, 신일아파트, 용수리 | 11회 | |
2-3 | 대원고속 | 광주시청 | ↔ | 센트럴푸르지오 | 교육청, 광주터미널, 경기광주역, 쌍령동 | 평일:40~60분 | |
2-5 | 대원고속 | 광주차고지 | ↔ | 경기광주역 | 교육청, 밀목, 보건소, 광주터미널, 우방아이유쉘아파트 | 40~50분 | |
2-7 | 대원고속 | 송정동(광주하남교육청) | ↔ | 쌍령동 (쌍령1통마을회관) | 밀목사거리.광주시청앞, 파라다이스아파트, 나산아파트, 보건소.공설운동장, 파발교.최영일산부인과, 제일정형외과, 경안동 행정복지센터 | 80~90분 | |
3 | 경기고속 | 보건소 | ↔ | 태전쌍용A | 광주터미널, 경기광주역, 태전동 | 20~35분 | |
9 | 대원고속 | 사송동 | ↔ | 남한산성 | 야탑역, 모란역, 태평동, 산성역, 민속마을, 남한산성입구, 민속마을 | 8~15분 | |
9-1 | 대원고속 | 산성역 | ↔ | 남한산성 | 10~15분 | 주말만 운행 | |
13 | 경기고속 | 광주터미널 | ↔ | 강변역 | 보건소, 밀목, 번천삼거리, 광지원리, 상산곡동, 신장시장, 상일초등학교, 명일역, 천호역 (← 광나루역) | 20~40분 | |
13-2 | 대원고속 | 퇴촌(관음리) | ↔ | 강변역 | 퇴촌농협, 도마삼거리, 번천삼거리, 광지원리, 상산곡동, 신장시장, 상일초등학교, 명일역, 천호역 (← 광나루역) | 25~60분 | |
15-1 | 경기고속 | 경기광주역 | ↔ | 남한산성 | 해태그린아파트, 광주중, 보건소, 밀목, 번천삼거리, 광지원리, 오전리, 검복리 | 20~60분 | |
15-2 | 경기고속 | 경기광주역 | ↔ | 엄미리 | 중앙고, 광주중, 보건소, 밀목, 번천삼거리, 광지원리 | 4~5회 | |
15-3 | 경기고속 | 경기광주역 | ↔ | 상번천3리 | 중앙고, 광주중, 보건소, 밀목, 상번천리 | 6회 | 맞춤형버스 |
15-5 | 경기고속 | 경기광주역 | ↔ | 광주도시관리공사 | 중앙고, 광주중, 보건소, 밀목, 번천초등학교, 하번천리 | 2회 | 맞춤형버스 |
17 | 경기고속 | 광주차고지 | ↔ | 금광동 | 보건소, 광주터미널, 경기광주역, 우림아파트, 추자리, 신영프로방스아파트, 문형리, 신현리, 장안타운, 효자촌, 동국대한방병원,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수진역, 신흥역, 단대오거리역, 신구대학교 | 5~15분 | |
17-1 | 경기고속 | 광주차고지 | ↔ | 금광동 | 보건소, 축협, 경기광주역, 양벌리, 우림아파트, 추자리, 신영프로방스아파트, 문형리, 신현리, 장안타운, 효자촌, 동국대한방병원,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수진역, 신흥역, 단대오거리역, 신구대학교 | 40~60분 | |
17-1A | 경기고속 | 광주차고지 | ↔ | 금광동 | 보건소, 축협, 경기광주역, 양벌리, 우림아파트, 추자리, 신영프로방스아파트, 봉골우림아파트, 신현리, 장안타운, 효자촌, 동국대한방병원,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수진역, 신흥역, 단대오거리역, 신구대학교 | 평일:8~10회 | |
31-2 | 경기고속 | 경기광주역 | ↔ | 모란역 | 축협, 보건소, 탄벌동, 회덕동, 목현동, 이배재터널, 상대원동, 하대원동, 중원구청 | 30~60분 | |
31-3 | 경기고속 | 광주터미널 | ↔ | 모란역 | 파라다이스A, 보건소, 회덕동, 목현동, 이배재터널, 상대원동, 하대원동, 중원구청 | 5~20분 | |
32 | 대원고속 | 광주차고지 | ↔ | 잠실광역환승센터 | 보건소, 광주터미널, 역동, 경기광주역, 태전지구, 광남중고, 직동삼거리, 삼동, 갈현동, 모란역, 태평역, 가천대역, 동서울대학교, 복정역,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 20~40분 | |
32-1 | 대원고속 | 오포금호A | ↔ | 태평역 | 태전지구, 직동삼거리, 삼동, 삼동역, 갈현동, 모란역 | 20~30분 | |
33 | 대원고속 | 광주터미널 | ↔ | 태전동 | 보건소, 광주경찰서, 태전지구 | 17회 | |
60 | 경기고속 | 광주차고지 | ↔ | 수원역 | 나산아파트, 광주보건소, 역동사거리, 모현사거리, 오리역, 풍덕천사거리, 상현마을, 장안문 | 10~12 | |
119 | 경기고속 | 오산리 | ↔ | 군자역 | 능평리, 태재고개, 율동공원, 이매사거리,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복정역, 가락시장역, 잠실역, 잠실대교, 광진구청, 어린이대공원 | 10~20 | |
320 | 경기고속 | 태전지구 | ↔ | 성남중앙시장 | 중대물빛공원, 삼동역, 갈마터널, 모란역, 태평역 | 25~50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520 | 대원고속 | 오리역 | ↔ | 신현3리 | 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1동주민센터, 율동공원, 분당요한성당, 신현현대모닝사이드, 청솔마을 | 8~10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521 | 대원고속 | 판교역 | ↔ | 통정골 | 서현역, 서현중학교, 율동공원, 분당요한성당, 태재고개, 오포e편한세상, 신현현대모닝사이드, 광명초등학교, 산하빌라 | 15~25 | |
522 | 대원고속 | 서현역 | ↔ | 수레실 | 율동공원, 분당요한성당, 태재고개, 신현현대모닝사이드, 광명초등학교, 용상골 | 50~60 | |
522-1 | 대원고속 | 수레실 | ↔ | 강남300CC | 용상골, 광명초등학교, 신현현대2차, 청솔마을 | ||
522-2 | 대원고속 | 소을마을 | ↔ | 서현역 | 신현4리 마을회관, e편한세상 후문, 태재고개, 율동공원, 서현중학교 | 35~45 | |
660 | 대원고속 | 광교차고지 | ↔ | 광주터미널 | 상현동, 수지구청, 단국대학교, 오포(능골), 태전지구, 경기광주역 | 45-60 |
4. 1. 2. 공영버스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에서 광주시 공영버스를 운행한다.4. 1. 3. 마을버스
번호(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