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수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수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정1품 하계 보국숭록대부 이조판서를 지냈다. 1745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1776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부인은 은진 송씨이며, 슬하에 6남 3녀를 두었다. 그의 가계는 명문가로, 9대조는 영의정 심연원, 8대조는 명종의 국구 심강, 7대조는 서인의 영수 심의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함경도관찰사 - 심열
    심열은 조선 시대 문신으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광해군과 인조 시대에 걸쳐 호조판서와 영의정 등 주요 요직을 역임하며 국정 운영에 핵심 역할을 했고, 우의정 시절 호조판서를 겸하며 재정 정책을 담당했으며, 청나라 심양에 진하사로 다녀왔고, 《방일주의》와 《남파상국문집》을 저술했다.
  • 조선의 함경도관찰사 - 심수경
    심수경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명종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선조 때 우의정,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임진왜란 때 삼도도체찰사로 의병을 지휘하기도 했다.
  • 조선의 강원도관찰사 - 정순붕
    정순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신진사류로 개혁을 시도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권력을 추구하며 변절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조선의 강원도관찰사 - 심액
    심액은 조선시대 문신으로, 이조판서와 판의금부사를 지내고 청송군에 봉해졌으며, 효종에게 십무자의 소를 올려 왕의 덕치를 강조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 1776년 사망 - 홍인한
    홍인한은 조선 후기 풍산 홍씨 가문 출신 문신으로, 영조와 정조 시대에 요직을 역임했으나 정조 즉위 후 탄핵받아 사사되었고, 철종 때 복권되었다.
  • 1776년 사망 - 데이비드 흄
    데이비드 흄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경험주의 철학자, 역사가, 경제학자, 수필가로서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은 사상을 전개했으며, 인과 관계와 귀납적 추론에 대한 회의적인 분석으로 철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수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심수
한자 표기沈鏽
출생일1707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776년
사망지조선
국적조선
직업이조판서
우참찬
병조판서
종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아버지증 좌찬성 심계현
어머니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배우자정경부인 은진 송씨
자녀6남 4녀
아들심이지(沈頤之, 한익모의 사위)
심양지
심회지
심눌지
심은지 (이석보의 사위)
심밀지 (이일회의 사위)
형제심탁
친척심속(조부)
송상유(장인)
한익모(사돈)
이천보(사돈)
이석보(사돈)
이일회(사돈)
김한철(사돈)
김원주(사위)
유경중(사위)
이문원(사위)
이덕현(사위)
심택현(숙부)
심최현(숙부)
심몽현(숙부)
심득현(숙부)
심태현(숙부)
심규(사촌)
심구(사촌)
심둔(사촌)
심진(사촌)
유언현(사촌남편)
이명식(사촌남편)
심관지(당질)
심정지(당질)
심항지(당질)
심건지(당질)
심풍지(당질)
심뇌지(당질)
심환지(당질)
홍낙성(당질사위)
어석정(당질사위)
심이지(沈履之, 조카, 어유구의 사위)
심능필(종손자, 홍인한의 사위)
심능철(종손자, 신만의 사위)
심능정(손자)
심능용(손자)
심능인(손자, 김이소의 사위)
학력 및 경력
학력1745년(영조 21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경력이조판서
우참찬
병조판서

2. 가계

심수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이다. 다음은 심수의 가계도이다.

관계이름비고
9대조심연원영의정 · 청천부원군
8대조심강명종의 국구[1], 영돈녕부사 · 청릉부원군 · 증 영의정
7대조심의겸서인의 초대 영수, 병조판서
6대조심엄옥과현감 · 증 영의정 · 청송부원군
5대조심광세홍문관 응교 · 증 이조참판
고조부심은증 이조참판
증조부심약명함창현감 · 증 이조판서
조부심속증 영의정
아버지심계현담양부사 · 증 좌찬성
어머니전주 이씨증 정경부인
숙부심택현이조판서 · 좌참찬 · 판돈녕부사
숙부심최현
숙부심몽현
숙부심득현청풍부사
숙부심태현홍문관 교리 · 증 좌찬성


  • '''본인''': 심수 - 정1품 하계 보국숭록대부[1] 이조판서

2. 1. 직계

관계이름비고
9대조심연원영의정 · 청천부원군
8대조심강명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 청릉부원군 · 증 영의정
7대조심의겸서인의 초대 영수, 병조판서
6대조심엄옥과현감 · 증 영의정 · 청송부원군
5대조심광세홍문관 응교 · 증 이조참판
고조부심은증 이조참판
증조부심약명함창현감 · 증 이조판서
조부심속증 영의정
아버지심계현담양부사 · 증 좌찬성
어머니전주 이씨증 정경부인
심탁광주목사 · 증 이조참판
조카심이지이조참판
조카며느리함종 어씨정부인, 경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 함원부원군 · 증 영의정 어유구의 딸
종손자심능필정주목사
종손자며느리풍산 홍씨좌의정 홍인한의 딸
종손자심능철
종손자며느리평산 신씨영의정 신만의 딸
본인심수정1품 하계 보국숭록대부 이조판서
부인은진 송씨정경부인, 부사 송상유의 딸, 판서 송규렴의 손녀
아들심이지호조판서 · 판중추부사 · 증 우의정
며느리청주 한씨정경부인, 영의정 한익모의 딸
손자심능정함양군수
손자심능용
손자심능인
손자며느리안동 김씨좌의정 김이소의 딸
아들심양지
며느리진주 강씨
아들심회지
며느리연일 정씨
아들심눌지
며느리경주 김씨
아들심은지
며느리연안 이씨대사간 이석보의 딸
아들심밀지
며느리고성 이씨승지 이일회의 딸
청송 심씨
사위경주 김씨 김원주판서 김한철의 아들
청송 심씨
사위기계 유씨 유경중
청송 심씨정부인
사위연안 이씨 이문원이조판서, 영의정 이천보의 아들
청송 심씨
사위전주 이씨 이덕현
숙부심택현이조판서 · 좌참찬 · 판돈녕부사
사촌심규해주목사 · 증 좌찬성
사촌부인경주 김씨증 정경부인, 영의정 김흥경의 딸
당질심관지병조참판
당질며느리안동 권씨이조판서 권혁의 딸
당질심정지삭녕군수 · 증 영의정, 영조의 부마 청성위 심능건의 아버지
당질심항지심대평의 7대조
당질청송 심씨
당질사위풍산 홍씨 홍낙성영의정
당질청송 심씨
당질사위함종 어씨 어석정경종의 국구 함원부원군 영돈녕부사 증 영의정 어유구의 장남, 경종의 두 번째 왕후 선의왕후의 남동생
사촌심구영천군수 · 증 이조판서
사촌부인평산 신씨증 정부인, 신종화의 딸, 이조판서 신정의 손녀
당질심건지호조정랑 · 증 좌찬성, 순조의 국구 영돈녕부사 ·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장인
당질심풍지예조판서 · 증 좌찬성, 대한제국 공작 청녕공 · 대훈위 · 영의정 · 총리대신 · 의정대신 심순택의 증조부
당질며느리기계 유씨증 정경부인, 첨정 유언수의 딸, 영의정 유척기의 손녀
사촌청송 심씨정부인
사촌남편기계 유씨 유언현참판, 영의정 유척기의 아들
숙부심최현
숙부심몽현
숙부심득현청풍부사
사촌심둔
당질심뇌지이조판서 · 내부대신 · 참정대신 심상훈의 고조부
사촌청송 심씨정부인
사촌남편연안 이씨 이명식이조판서
숙부심태현홍문관 교리 · 증 좌찬성
사촌심진증 영의정
당질심환지영의정, 노론 벽파의 영수


2. 2. 자녀 및 손자녀

2. 3. 형제 및 친인척

wikitext

  • 형: 심탁 - 광주목사 · 증 이조참판
  • * 조카: 심이지(沈履之) - 이조참판
  • * 조카며느리: 정부인 함종 어씨 - 경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 함원부원군 · 증 영의정 어유구의 딸
  • ** 종손자: 심능필 - 정주목사
  • ** 종손자며느리: 풍산 홍씨 - 좌의정 홍인한의 딸
  • ** 종손자: 심능철
  • ** 종손자며느리: 평산 신씨 - 영의정 신만의 딸
  • 부인: 정경부인 은진 송씨 - 부사 송상유의 딸, 판서 송규렴의 손녀
  • ** 아들: 심이지(沈頤之) - 호조판서 · 판중추부사 · 증 우의정
  • ** 며느리: 정경부인 청주 한씨 - 영의정 한익모의 딸

손자: 심능정 - 함양군수
손자: 심능용
손자: 심능인
손자며느리: 신 안동 김씨 - 좌의정 김이소의 딸

3. 생애

심수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45년(영조 21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1776년 기로소에 들어갔다.[1][2][3]

3. 1. 관직 생활

1745년(영조 21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1750년 세자시강원 사서, 사간원 정언, 1752년 세자시강원 문학, 1754년 홍문관 교리, 사간원 헌납, 1755년 승지, 1757년 강원도 관찰사, 1759년 대사간을 거쳐, 1760년 도승지에 특별히 제수되었다.[1] 1762년 대사헌, 1763년 한성부 좌윤, 1764년 도승지, 동지경연관사, 예조참판을 거쳐, 형조판서에 특별히 제수되었다.[2] 1765년 이조판서에 특별히 제수되었다.[3] 이후 병조판서 겸 지경연관사, 예조판서, 호조판서, 1766년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1767년 예조판서, 1768년 함경도 관찰사, 대사헌, 1769년 한성부판윤, 우참찬, 1770년 형조판서, 1771년 한성부판윤, 대사헌, 형조판서, 경기도 관찰사를 지내고, 1776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3. 2. 말년

1765년 이조판서에 특별히 제수되었다.[3] 이후 병조판서 겸 지경연관사, 예조판서, 호조판서를 역임했다. 1766년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1767년 예조판서, 1768년 함경도 관찰사, 대사헌, 1769년 한성부판윤, 우참찬, 1770년 형조판서, 1771년 한성부판윤, 대사헌, 형조판서, 경기도 관찰사를 지냈으며, 1776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참조

[1] 실록 영조실록 96권, 영조 36년 12월 10일 경진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실록 영조실록 104권, 영조 40년 11월 30일 정축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실록 영조실록 105권, 영조 41년 1월 4일 경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