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큐슈신칸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큐슈 신칸센은 일본 규슈 지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9년 신전국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구상되어 2004년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 2011년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 노선은 하카타역을 기점으로 가고시마 중앙역까지 256.8km (영업 거리 288.9km)를 연결하며, 산요 신칸센과 직결 운행을 통해 간사이 지역까지 운행한다. 열차는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3가지 등급으로 운행되며, 2016년 구마모토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복구되어 현재 정상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사키현의 철도 - 나가사키 본선
    나가사키 본선은 토스역에서 나가사키역까지 연결되는 규슈 지방의 철도 노선으로, 1891년 개통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를 거쳐 특급 열차 등을 운행하며 2022년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으로 노선 운행에 변화가 있었다.
  • 나가사키현의 철도 - 니시큐슈 신칸센
    니시큐슈 신칸센은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와 사가현 다케오시를 잇는 총 연장 66.0km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N700S계 전동차(카모메)가 최고 시속 260km로 운행되며, 2022년 9월 23일 다케오온센역~나가사키역 구간이 개통되어 하카타~나가사키 간 소요시간이 단축되었다.
  • 사가현의 철도 - 아마기 철도 아마기선
    아마기 철도 아마기선은 사가현 기야마역과 후쿠오카현 아마기역을 잇는 13.7km의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과거 군수물자 수송을 목적으로 개통되었으나 현재는 통근, 통학 수요를 담당하며, 재정난과 안전 문제로 폐선 위기에 직면해 있다.
  • 사가현의 철도 - 나가사키 본선
    나가사키 본선은 토스역에서 나가사키역까지 연결되는 규슈 지방의 철도 노선으로, 1891년 개통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를 거쳐 특급 열차 등을 운행하며 2022년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으로 노선 운행에 변화가 있었다.
  • 가고시마현의 철도 - 가고시마 본선
    가고시마 본선은 기타큐슈시 모지코역과 가고시마시 가고시마역을 잇는 규슈 여객철도의 핵심 간선 철도로, 일부 구간은 일본화물철도가 운영하며, 규슈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축을 담당하고 있다.
  • 가고시마현의 철도 - 닛포 본선
    규슈의 고쿠라역과 가고시마역을 잇는 467.2km의 철도 노선인 닛포 본선은 JR 규슈가 운영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이 담당하고, 1067mm 협궤, 복선 및 전철화 구간, 다양한 열차 운행을 통해 규슈의 주요 교통망을 이룬다.
큐슈신칸센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규슈 신칸센 및 니시규슈 신칸센 노선도 (2022년)
규슈 신칸센 및 니시규슈 신칸센 노선도 (2022년)
노선 이름규슈 신칸센
로마자 표기Kyūshū Shinkansen
일본어 표기九州新幹線
종류고속철도
노선 시스템신칸센
지역규슈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가고시마현)
기점하카타역
종점가고시마 중앙역 (가고시마 루트)
나가사키역 (니시규슈 루트)
역 수12개 (가고시마 루트)
5개 (나가사키 루트)
개통2004년 3월 13일 (가고시마 중앙 ~ 신야쓰시로)
2011년 3월 12일 (가고시마 루트 전체)
2022년 9월 23일 (나가사키 ~ 다케오온센)
미정 (나가사키 루트 전체)
소유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운영규슈 여객철도
차량 기지구마모토
센다이
오무라 (니시규슈 루트)
사용 차량800계
N700-7000/8000계
노선 길이256.8 km
전철화 방식교류 25,000 볼트 60 헤르츠 (가공 전차선)
최소 곡선 반지름4,000 m
최고 속도260 km/h
운행 정보
운행 계통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기술 정보
최대 구배기본 15퍼밀, 최대 35퍼밀
최소 곡선 반지름기본 4000m, 최소 500m
기타 정보
신미나마타역의 800계 쓰바메
신미나마타역에 정차중인 800계 신칸센 "쓰바메" (2004년 11월)

2. 역사

## 역사

규슈 신칸센은 일본의 신전국종합개발계획(新全国総合開発計画일본어, 1969년)에 따라 구상된 신칸센 정비 계획의 일부로, 1979년 개업을 목표로 했다. 복잡한 과정을 거쳐 1989년 8월 제3시비산 터널(第三紫尾山トンネル일본어) 기공을 시작으로, 1991년 9월 신야쓰시로 ~ 서카고시마 구간에 본격 착공했다.[149][150][151] 2004년 3월 13일 신야쓰시로 ~ 가고시마추오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 2011년 3월 12일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이 개통되면서 가고시마 루트가 완성, 산요 신칸센과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149][150][151]

그러나 건설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1982년 9월, 국철의 재정 악화로 인해 큐슈 신칸센을 포함한 정비 신칸센 계획이 잠정 보류되었다. 1987년 1월, 정비 신칸센 보류 결정이 변경되어 건설 재개의 길이 열렸지만, 건설비 삭감을 위해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었다. 그중 하나는 하카타 - 가고시마 간의 여객 유동량과 환승 필요성을 고려, 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에 신칸센 철도 규격 신선 (슈퍼 특급 방식)을 건설하고, 하카타 - 니시가고시마 간에는 최고 속도 200km/h의 슈퍼 특급을 운행한다는 계획이었다.

1989년 1월 17일, 정부 여당은 사업비를 JR, 국가, 연선 지자체가 분담하고,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이 건설 후 JR에 유상으로 대여하는 방식으로 결정했다. 1991년 8월에는 야쓰시로시 - 가고시마시 간 잠정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고, 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 125.2km의 공사 실시 계획이 인가되어 9월에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1996년 12월 25일, 후나고야 - 신야쓰시로 간의 신칸센 철도 규격 신선이 신규 착공 구간으로 제시되었고, 2000년 12월 18일에는 신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을 "풀 규격화하여 2003년 말 완성을 목표로 한다"고 결정했다. 하카타 - 신야쓰시로 간 또한 "풀 규격화하여 향후 대략 12년 후 완성을 목표로 한다"고 합의했다.

2004년 3월 12일, 신야쓰시로 - 가고시마추오 구간이 개통되면서 니시가고시마역은 가고시마 중앙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신야시로역에서는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구간을 운행하는 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와 환승할 수 있도록 했다.

2011년 3월 12일, 하카타역 - 신야쓰시로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하면서 큐슈와 간사이 지역의 이동 시간도 단축되었다.

개통 이후 2016년 4월 14일, 2016년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25곳의 고가 지지 구조물에 금이 가고, 약 80곳에서 방음벽이 붕괴되는 피해가 발생했다.[15] 800계 열차가 구마모토역 부근에서 탈선하기도 했다.[15]

4월 27일, 속도와 운행 빈도를 줄여 운행을 재개했으며, 지진 발생 13일 만에 전 노선 운행을 재개했다.[17] 2017년 3월 4일부터는 구마모토역 - 신야시로역 간의 서행 운전을 해제하고, 정상 속도로 운행을 재개했다.[106]

2. 1. 구상 및 계획 결정

1969년 5월 30일, 전국 종합 개발 계획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이 계획에는 후쿠오카와 구마모토를 연결하여 규슈 남부에 이르는 규슈 신칸센 철도 건설을 추진하고, 서규슈 신칸센 철도, 동일본 신칸센 철도, 규슈·시코쿠 연락 신칸센 철도 등의 건설 구상이 포함되었다. 이는 현재의 규슈 신칸센에 상당하는 신칸센 철도를 포함한 여러 신칸센 노선 건설 구상이었다.

1970년에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이하 전간법)이 공포되었다. 이 법률은 핍박하는 간선 철도의 수송력 증강을 목적으로 한 도카이도 신칸센산요 신칸센과는 달리, 경제 발전과 지역 진흥을 목적으로 신칸센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1972년 6월 29일 기본 계획이 결정되었고, 7월 3일에는 전간법 제5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건설을 개시해야 할 신칸센 철도의 노선을 정하는 기본 계획"(쇼와 47년 운수성 고시 제243호)에 의해 홋카이도 신칸센(아오모리시·삿포로시), 호쿠리쿠 신칸센(도쿄도·오사카시), '''규슈 신칸센 (후쿠오카시·가고시마시)''' 3개 노선의 기본 계획이 고시되었다. 이 기본 계획에서 규슈 신칸센(후쿠오카시·가고시마시)는 후쿠오카시를 기점으로 가고시마시를 종점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73년 11월 13일에는 앞서 언급한 3개 노선에 더해 도호쿠 신칸센(모리오카시·아오모리시), 규슈 신칸센 (후쿠오카시·나가사키시)을 포함한 5개 노선(정비 신칸센)의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다 규슈 신칸센 (후쿠오카시·가고시마시)는 주요 경과지로 "구마모토시 부근, 센다이시 부근"이 제시되었고, 건설 주체는 일본국유철도(국철)로 결정되었다

2. 2. 건설 동결 및 잠정 정비 계획

1982년 9월, 국철의 재정 악화를 배경으로 임시 행정 조사회의 기본 답신에 따라 큐슈 신칸센을 포함한 정비 신칸센 계획은 잠정 보류되었다.

1986년 8월, 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의 인가 신청이 이루어졌다. 국철 개혁과 재정 개혁의 진전, 그리고 연선 지역의 건설 촉진 요구에 힘입어 1987년 1월, 정비 신칸센 보류 결정이 변경되어 큐슈 신칸센 건설의 길이 열렸다. 그러나 건설비 삭감을 위해 "운수성 안"이 고안되었고, 큐슈 구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검토되었다. 하카타 - 가고시마 간의 여객 유동이 크고 하카타에서의 환승 필요성이 낮다는 판단 하에, 시간 단축 효과가 큰 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에 신칸센과 같은 규격의 신선을 건설하되, 당분간 협궤를 부설하는 신칸센 철도 규격 신선(슈퍼 특급 방식)으로 정비하고, 하카타 - 니시가고시마 간에는 최고 속도 200km/h의 슈퍼 특급을 운행한다는 계획이었다. 이 방안대로라면 하카타 - 니시가고시마 간 이동 시간은 4시간 6분에서 2시간 7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87년 4월, 국철 민영화로 인해 국철이 건설 주체였던 큐슈 신칸센은 큐슈 여객 철도(JR 큐슈)로 이관되었으나, 같은 해 9월 시행된 법률에 따라 일본 철도 건설 공단으로 다시 이관되었다.

1988년 8월 31일,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에서 정비 신칸센 착공 우선 순위가 제시되었다. 호쿠리쿠 신칸센 다카사키 - 가루이자와 간 표준궤 신선이 1(i)순위였으며, 다카오카 - 가나자와 간 신칸센 규격 신선이 1(ii), 도호쿠 신칸센이 2순위, 큐슈 신칸센이 3순위, 이토이가와 - 우오즈 간 신칸센 규격 신선이 4순위였다.

1989년 1월 17일 정부 여당 합의에서는 정비 신칸센 사업비를 JR, 국가, 연선 지자체가 분담하고,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이 건설 후 JR에 유상으로 대여하는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호쿠리쿠 신칸센 다카사키 - 가루이자와 간은 1989년부터 본격적으로 착공하며, 난공사 추진 사업으로 3개 터널도 같은 해 착수하기로 했다.

1989년 6월, 난공사 추진 사업으로 이즈미 - 센다이 간의 제3 시비야마 터널 착공이 인가되었다. 1992년에는 신칸센 직통선(미니 신칸센) 및 신칸센 철도 규격 신선(슈퍼 특급)에 의한 "잠정 정비 계획"을 결정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다.

1991년 8월, 쇼와 63년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에서 우선 순위 3위였던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의 야쓰시로시 - 가고시마시 간 잠정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고, 이후 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 125.2km의 공사 실시 계획이 인가되어 9월에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신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은 가고시마 본선 센초역 남쪽 약 1km 부근에 신설되는 기타야쓰시로 신호장을 기점으로 니시가고시마역에 이르는 노선으로, 총 연장 약 128km의 계획이었다.

2. 3. 전 구간 착공 및 풀 규격화

1996년 12월 25일,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 정부·여당 합의"에서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의 신규 착공 구간으로 후나고야 - 신야쓰시로 간의 신칸센 철도 규격 신선이 제시되었다.

1998년 1월, "정부·여당 정비 신칸센 검토 위원회에서의 검토 결과"가 공표되어 기존의 정비 신칸센 계획이 유지됨을 확인하고 신규 착공 구간이 제시되었다. 같은 해 3월 12일, 후나고야 - 신야쓰시로 간의 잠정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다. 계획에 따르면 후나고야 - 신야쓰시로 간은 가고시마 본선 후나고야역 남쪽 약 1 km 지점에 신설되는 미나미후나고야 신호장에서 분기하여 기존의 구마모토역을 경유, 신야쓰시로역에 이르는 노선으로, 총 연장 약 83 km였다.

2000년 12월 18일,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 정부·여당 협의에서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의 신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을 "풀 규격화하여 2003년 말 완성을 목표로 한다"고 결정했다. 하카타 - 신야쓰시로 간에 대해서도 "풀 규격화하여 향후 대략 12년 후 완성을 목표로 하는 교통 결절점으로서 신토스역의 정비를 실시한다"고 합의했다.

2001년 4월,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 하카타 - 니시가고시마 간 전 구간이 표준궤 신선에 의한 공사 실시 계획의 추가 인가를 받아 착수했다.

2003년 10월 1일,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가 설립되면서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은 해산했고,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의 건설 및 대여 업무는 해당 기구로 인계되었다.

2. 4. 신야쓰시로 - 가고시마 중앙 구간 부분 개통



2004년 3월 12일에 큐슈 신칸센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신칸센 개통에 따라 니시가고시마역은 가고시마추오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로써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 이동 시간은 2시간 2분에서 34분으로 크게 단축되었다.

신칸센 "쓰바메"는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을 운행했으며, 신야시로역에서는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구간을 운행하는 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와 같은 플랫폼에서 마주보며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하카타역 - 가고시마추오역 간 이동 시간은 3시간 40분에서 1시간 30분 단축된 2시간 10분이 되었다. 또한 신야시로역에서 연결되는 신칸센 "쓰바메"와 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에 동일한 열차 번호를 부여하고, 승차권, 재래선 특급권, 신칸센 특급권을 한 장의 티켓으로 발매하며, 지정 좌석의 경우 두 열차에서 같은 좌석을 판매하는 등 환승객의 편의를 도모했다.

2004년 12월 16일, 정부와 여당은 "정비 신칸센 취급에 관하여" 협의를 통해 큐슈 신칸센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구간을 2010년 말까지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합의했다.

2. 5. 전선 개통 이후

2011년 3월 12일에 큐슈 신칸센 하카타역 - 신야쓰시로역 구간이 개통되어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은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로 인해 하카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은 53분 단축되어 1시간 19분으로,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은 40분 단축되어 33분이 되었다. 또한,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운전을 하루 15왕복 시작하면서 큐슈와 간사이 지역의 소요 시간도 단축되어, 신오사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이 1시간 17분 단축되어 3시간 45분으로, 신오사카역 - 구마모토역 간이 58분 단축되어 2시간 59분이 되었다.

다음 2012년 봄의 시간표 개정 시에는 신야시로역 구내의 개량 공사가 완료되면서 소요 시간이 더욱 단축되어, 신오사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이 최속 3시간 43분이 되었다. 또한, 직통 운전용 차량이 증비되어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열차는 23왕복이 되었다.

2. 6.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한 피해와 복구

2016년 4월 14일 저녁, 두 번의 강력한 지진 중 첫 번째 지진이 구마모토현을 강타한 후 가고시마 노선의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25곳의 고가 지지 구조물에 금이 가는 등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으며,[15] 약 80곳에서 방음벽이 붕괴되었다.[16]

첫 번째 지진 후, 800계 열차가 구마모토역 부근에서 탈선했다. 당시 해당 열차는 공차 회송 중이었다. 4월 18일, JR 큐슈는 탈선된 열차를 선로로 되돌리려는 시도를 시작했다.[15]

2016년 4월 27일, 노선은 속도와 운행 빈도를 줄여 다시 운행을 시작했다.[17] 2016년(헤이세이 28년) 4월 14일 21시 26분에 발생한 M6.5 최대 진도 7의 전진, 그리고 16일 1시 25분에 발생한 M7.3 최대 진도 7의 본진 등 일련의 헤이세이 28년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큐슈 신칸센은 큰 피해를 입었다. 4월 14일 밤의 전진 발생 시 큐슈 신칸센에서는 9개의 열차가 운행 중이었는데, 그 중 구마모토역에서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로 향하고 있던 회송 열차 (800계 6량 편성)가 구마모토역에서 가고시마 중앙역 방면으로 약 1.3 km 떨어진 쓰보이강 교량 위에서 탈선했으며, 그 차량은 16일 새벽의 본진으로 인해 최대 23 cm 움직였다. 다른 모든 열차는 지진 감지에 따른 송전 정지로 인해 긴급 정차했으며, 탈선하지 않았고, 역 사이에 정차한 열차 승객의 구원은 다음날 아침까지 완료되었다. 지상 설비에서는 교각 받침부의 파손, 방음벽의 낙하 등이 발생했지만, 큐슈 신칸센의 구조물은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 수준의 지진에 견딜 수 있는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구조물의 기본적인 부분에 대한 치명적인 손상은 적었다. 역 부근에서는 구마모토역이나 신야시로역에서 손괴가 발생했다. 또한, 회송 열차가 탈선하면서 궤도의 손상이 발생했다.

탈선한 회송 차량은 하천 교량 위에 있어 대형 크레인이 접근할 수 없었기 때문에, 탈선 복구 장비를 사용하여 궤도에 올린 후, 모터카로 견인하여 1량씩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로 반입되었다.

구마모토현 이외에서는 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지만, 탈선 지점이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에 가까워 차량의 출입에 지장을 초래한 영향으로 차량 검사를 할 수 없었고, 전 노선에서 운전을 재개할 수 없었다. 그 후, 4월 21일에 신미나마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 23일 오후에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 27일 오후에 구마모토역 - 신미나마타역 간에 운전을 재개하여, 큐슈 신칸센은 지진 발생 13일 후에 전 노선에서 운전을 재개했다. 다음날 28일에는 산요 신칸센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재개했다. 다만, 일부 구간에서는 서행 운전을 실시하여 소요 시간이 평상시보다 길어지고, 운행 횟수가 평상시의 약 9할이 되며, 통상 가고시마 중앙역 발착의 일부 열차가 구마모토역 발착이 되는 등, 변칙적인 다이어로 운전되었다[85][86]。이때의 특급권 등의 취급에 대해서는,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열차는 통상대로 지정석을 판매했지만, 큐슈 신칸센 내만을 운행하는 열차에 대해서는, 보통차는 전 차량 자유석으로 하고, 그린차(N700계만)는 차내에서만 그린권을 판매하는 대응을 했다. 7월 4일부터는 통상 다이어의 횟수, 운행 구간으로 돌아와, 큐슈 신칸센 내만을 운행하는 열차의 지정석 판매도 재개되었다. 구마모토역 - 신야시로역 간에서는, 이 후에도 일부 구간에서 계속해서 서행 운전을 실시, 가고시마 중앙역 발착의 열차는 소요 시간이 평상시보다 몇 분 연장된 상태로 운행되었다[87]。2017년 3월 4일부터,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설비의 보수 및 탈선 방지 가드의 부설 등 복구·지진 대책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구마모토역 - 신야시로역 간의 일부에서 실시되던 서행 운전을 해제하고, 소정의 속도로 운전을 재개했다[106]

3. 노선 정보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하카타하카타/博多일본어●●0.00.0산요 신칸센(직결 운행 있음)
하카타미나미 선
가고시마 본선
후쿠오카 시 교통국 지하철 공항선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신토스신토스/新鳥栖일본어│●26.328.6나가사키 본선사가현
도스시구루메구루메/久留米일본어◆●32.035.7가고시마 본선, 규다이 본선후쿠오카 현구루메시지쿠고후나고야지쿠고후나고야/筑後船小屋일본어││47.951.5가고시마 본선지쿠고시신오무타신오무타/新大牟田일본어││59.769.3rowspan="2" |오무타시신타마나신타마나/新玉名일본어││76.390.4구마모토현타마나시구마모토구마모토/熊本일본어●●98.2118.4가고시마 본선, 호히 본선
구마모토 시 교통국구마모토시신야쓰시로신야쓰시로/新八代일본어│◆130.0151.3가고시마 본선야쓰시로시신미나마타신미나마타/新水俣일본어│◆172.8194.1히사쓰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시이즈미이즈미/出水일본어│◆188.8210.1히사쓰 오렌지 철도선가고시마현이즈미시센다이센다이/川内일본어◆●221.5242.8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사쓰마센다이시가고시마추오가고시마추오/鹿児島中央일본어●●256.8288.9가고시마 본선, 이부스키마쿠라자키 선
가고시마 시 교통국가고시마시


정차 패턴쓰바메는 모든 역에 정차하며, 미즈호와 사쿠라는 일부 역에만 정차한다. 하카타, 구마모토, 가고시마 중앙역은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이다. 열차 정차 패턴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범례:'''

모든 열차 정차
일부 열차 정차
모든 열차 통과



일본어하카타에서 거리(km)신오사카에서 거리(km)미즈호사쿠라쓰바메환승위치
가고시마 노선
현재 운행 중
직결 운행산요 신칸센을 경유하여 신오사카 방향으로 ↑
하카타하카타/博多일본어0.0553.7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하카타미나미 선
가고시마 본선
후쿠오카 시 교통국 지하철 공항선
하카타, 후쿠오카후쿠오카
신토스신토스/新鳥栖일본어26.3580.0나가사키 본선도스사가
구루메구루메/久留米일본어32.0585.7가고시마 본선
규다이 본선
구루메후쿠오카
지쿠고후나고야지쿠고후나고야/筑後船小屋일본어47.9601.6가고시마 본선지쿠고
신오무타신오무타/新大牟田일본어59.7613.4오무타
신타마나신타마나/新玉名일본어76.3630.0타마나구마모토
구마모토구마모토/熊本일본어98.2651.9호히 본선
가고시마 본선
구마모토 시 노면전차 (구마모토역 앞)
니시구
신야츠시로신야쓰시로/新八代일본어130.0683.7가고시마 본선야츠시로
신미나마타신미나마타/新水俣일본어172.8726.5히사쓰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
이즈미이즈미/出水일본어188.8742.5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이즈미가고시마
센다이센다이/川内일본어221.5775.2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사쓰마센다이
가고시마 중앙가고시마 중앙/鹿児島中央일본어256.8810.5이부스키 마쿠라자키선
가고시마 본선
가고시마 시 노면전차 (가고시마 중앙역 앞)
가고시마


역별 상세 정보

역명하카타에서신오사카에서도쿄에서접속 노선소재지
영업
킬로

킬로
영업
킬로

킬로
영업
킬로

킬로
하카타역0.00.0622.3553.71174.91069.1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사사구리선(후쿠호쿠 유타카선)
후쿠오카시 교통국: 후쿠오카 시 지하철 공항선・후쿠오카 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신토스역28.626.3650.9580.01203.51095.4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사가현
도스시
구루메역35.732.0658.0585.71210.61101.1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규다이 본선(유후 고원선)구루메시
지쿠고후나고야역51.547.9673.8601.61226.41117.0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지쿠고시
신오무타역69.359.7691.6613.41244.21128.8  오무타시
신타마나역90.476.3712.7630.01265.31145.4  타마나시
구마모토역118.498.2740.7651.91293.31167.3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호히 본선미스미선
구마모토시 교통국: 간선・타사키선
구마모토시
니시구
신야시로역151.3130.0773.6683.71326.21199.1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야시로시
신미나마타역194.1172.8816.4726.51369.01241.9 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시
이즈미역210.1188.8832.4742.51385.01257.9 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이즈미시
센다이역242.8221.5865.1775.21417.71290.6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
사쓰마센다이시
가고시마 중앙역288.9256.8911.2810.51463.81325.9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닛포 본선・이부스키마키노하라선
가고시마시 교통국: 제2기선・가고시마선
가고시마시
colspan="11"|


나가사키 경로후쿠오카에서 나가사키를 잇는 신칸센 노선은 1973년 기본 계획에서 '''나가사키 신칸센'''으로 처음 계획되었다. 이후 명칭이 변경되어 1995년에는 '''니시큐슈 루트'''로 확정되었으며, 니시큐슈 신칸센다케오온센나가사키 사이 구간은 2022년 9월 23일에 개통되었다.[10][11]
역 구조원칙적으로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2면 4선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는 섬식 승강장 2면을 배치하여 상하행선 각각 2개의 승강장을 제공, 총 4개의 승강장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이 구조는 상하행선에서 각각 2대의 열차가 동시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하며, 승객들의 편리한 환승을 돕는다.

통과 열차가 있는 역에서는 본선에 직접 승강장을 설치하지 않고, 대피선을 별도로 설치하여 승강장을 배치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는 고속으로 통과하는 열차와 승강장 이용객 간의 안전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며, 스크린도어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역 구내 배선 및 승강장 형식
배선 분류2면4선2면3선2면2선3면6선2면4선 (종착역)
구내도150px150px150px150px150px
해당역구마모토역・신토스 역신미나마타 역・지쿠고후나고야역구루메역・신오무타 역
신타마나 역・신야쓰시로 역
이즈미역센다이역
하카타역가고시마 중앙역



하카타역을 제외한 모든 역의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하카타역 외 역의 승강장 유효 길이는 8량이지만, 신토스역, 구마모토역, 가고시마 중앙역은 10량까지 연장 가능하다. 통과선을 가진 역은 없다.
전체 열차 정차역큐슈 신칸센의 모든 정기 여객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모두 현청 소재지에 위치한다.

3. 1. 노선 데이터



전 노선을 본사 철도사업본부 내의 신칸센부가 관할하고 있다. 단, 하카타역에서 하카타 종합 차량소 분기(하카타 종합 분기)에 걸친 구간은 JR 서일본 산요 신칸센 총괄본부의 관리에 놓여 있으며, 하카타역에서 하카타 종합 차량소 분기(하카타 종합 분기) 사이는, 하카타미나미선과 선로를 공용하기 때문에, 하카타미나미역에서 400m 정도 신토스 쪽에 회사 경계가 존재한다. 단 규슈 신칸센 상에는 하카타미나미역은 존재하지 않고, 별개의 계통이다.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간의 약 3할,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의 약 7할이 터널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요 신칸센과 마찬가지로 총 연장의 절반(49%)이 터널로 차지하는 노선이다.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해 신칸센으로서는 다소 간소한 사양으로 건설된 부분이 있어, 쓰쿠시 터널 하카타 측 갱구 측이나,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에, 신칸센에서 가장 급한 35퍼밀 구배 구간이 설치되는 등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구조 종류별 연장 비율은 다음과 같다.

3. 2. 역 목록

다음은 큐슈신칸센 역 목록에 대한 위키텍스트입니다.

쓰바메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미즈호와 사쿠라의 경우, 모든 열차가 "●"로 표시된 역에 정차하며, 일부 열차는 "▲"로 표시된 역에 정차한다. 모든 열차는 하카타, 구마모토, 가고시마 중앙역에 정차한다.

'''범례:'''

모든 열차 정차
일부 열차 정차
모든 열차 통과



일본어하카타에서 거리(km)신오사카에서 거리(km)미즈호사쿠라쓰바메환승위치
가고시마 노선
현재 운행 중
직결 운행산요 신칸센을 경유하여 신오사카 방향으로 ↑
하카타博多일본어0.0553.7JR 서일본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하카타, 후쿠오카후쿠오카
신토스新鳥栖일본어26.3580.0나가사키 본선도스사가
구루메久留米일본어32.0585.7가고시마 본선구루메후쿠오카
지쿠고후나고야筑後船小屋일본어47.9601.6가고시마 본선지쿠고
신오무타新大牟田일본어59.7613.4오무타
신타마나新玉名일본어76.3630.0타마나구마모토
구마모토熊本일본어98.2651.9호히 본선니시구
신야츠시로新八代일본어130.0683.7가고시마 본선야츠시로
신미나마타新水俣일본어172.8726.5히사쓰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
이즈미出水일본어188.8742.5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이즈미가고시마
센다이川内일본어221.5775.2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사쓰마센다이
가고시마 중앙鹿児島中央일본어256.8810.5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가고시마



역명하카타에서신오사카에서도쿄에서정차접속 노선소재지
영업 킬로실 킬로영업 킬로실 킬로영업 킬로실 킬로
하카타역0.00.0622.3553.71174.91069.1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하카타미나미선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신토스역28.626.3650.9580.01203.51095.4style="text-align:center;"|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사가현 도스시
구루메역35.732.0658.0585.71210.61101.1style="text-align:center;"|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규다이 본선후쿠오카현구루메시
지쿠고후나고야역51.547.9673.8601.61226.41117.0style="text-align:center;"|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지쿠고시
신오무타역69.359.7691.6613.41244.21128.8style="text-align:center;"|오무타시
신타마나역90.476.3712.7630.01265.31145.4style="text-align:center;"|구마모토현타마나시
구마모토역118.498.2740.7651.91293.31167.3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호히 본선 미스미선구마모토시 니시구
신야시로역151.3130.0773.6683.71326.21199.1style="text-align:center;"|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야시로시
신미나마타역194.1172.8816.4726.51369.01241.9style="text-align:center;"|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시
이즈미역210.1188.8832.4742.51385.01257.9style="text-align:center;"|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가고시마현이즈미시
센다이역242.8221.5865.1775.21417.71290.6style="text-align:center;"|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사쓰마센다이시
가고시마 중앙역288.9256.8911.2810.51463.81325.9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닛포 본선 이부스키마키노하라선가고시마시
colspan="11"|


3. 2. 1. 가고시마 경로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하카타하카타/博多일본어●●0.00.0산요 신칸센(직결 운행 있음)
하카타미나미 선
가고시마 본선
후쿠오카 시 교통국 지하철 공항선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신토스신토스/新鳥栖일본어│●26.328.6나가사키 본선사가현
도스시구루메구루메/久留米일본어◆●32.035.7가고시마 본선, 규다이 본선후쿠오카 현구루메시지쿠고후나고야지쿠고후나고야/筑後船小屋일본어││47.951.5가고시마 본선지쿠고시신오무타신오무타/新大牟田일본어││59.769.3rowspan="2" |오무타시신타마나신타마나/新玉名일본어││76.390.4구마모토현다마나시구마모토구마모토/熊本일본어●●98.2118.4가고시마 본선, 호히 본선
구마모토 시 교통국구마모토시신야쓰시로신야쓰시로/新八代일본어│◆130.0151.3가고시마 본선야쓰시로시신미나마타신미나마타/新水俣일본어│◆172.8194.1히사쓰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시이즈미이즈미/出水일본어│◆188.8210.1히사쓰 오렌지 철도선가고시마현이즈미시센다이센다이/川内일본어◆●221.5242.8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사쓰마센다이시가고시마추오가고시마추오/鹿児島中央일본어●●256.8288.9가고시마 본선, 이부스키마쿠라자키 선
가고시마 시 교통국가고시마시



'''범례:'''

모든 열차 정차
일부 열차 정차
모든 열차 통과



일본어하카타에서 거리(km)신오사카에서 거리(km)미즈호사쿠라쓰바메환승위치
가고시마 노선
현재 운행 중
직결 운행산요 신칸센을 경유하여 신오사카 방향으로 ↑
하카타하카타/博多일본어0.0553.7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
하카타미나미 선
가고시마 본선
후쿠오카 시 교통국 지하철 공항선
하카타, 후쿠오카후쿠오카
신토스신토스/新鳥栖일본어26.3580.0나가사키 본선도스사가
구루메구루메/久留米일본어32.0585.7가고시마 본선
규다이 본선
구루메후쿠오카
지쿠고후나고야지쿠고후나고야/筑後船小屋일본어47.9601.6가고시마 본선지쿠고
신오무타신오무타/新大牟田일본어59.7613.4오무타
신타마나신타마나/新玉名일본어76.3630.0타마나구마모토
구마모토구마모토/熊本일본어98.2651.9호히 본선
가고시마 본선
구마모토 시 노면전차 (구마모토역 앞)
니시구
신야츠시로신야츠시로/新八代일본어130.0683.7가고시마 본선야츠시로
신미나마타신미나마타/新水俣일본어172.8726.5히사쓰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
이즈미이즈미/出水일본어188.8742.5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이즈미가고시마
센다이센다이/川内일본어221.5775.2히사쓰 오렌지 철도선사쓰마센다이
가고시마 중앙가고시마 중앙/鹿児島中央일본어256.8810.5이부스키 마쿠라자키선
가고시마 본선
가고시마 시 노면전차 (가고시마 중앙역 앞)
가고시마



역명하카타에서신오사카에서도쿄에서접속 노선소재지
영업
킬로

킬로
영업
킬로

킬로
영업
킬로

킬로
하카타역0.00.0622.3553.71174.91069.1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사사구리선(후쿠호쿠 유타카선)
후쿠오카시 교통국: 후쿠오카 시 지하철 공항선・후쿠오카 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신토스역28.626.3650.9580.01203.51095.4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사가현
도스시
구루메역35.732.0658.0585.71210.61101.1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규다이 본선(유후 고원선)구루메시
지쿠고후나고야역51.547.9673.8601.61226.41117.0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지쿠고시
신오무타역69.359.7691.6613.41244.21128.8  오무타시
신타마나역90.476.3712.7630.01265.31145.4  타마나시
구마모토역118.498.2740.7651.91293.31167.3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호히 본선미스미선
구마모토시 교통국: 간선・타사키선
구마모토시
니시구
신야시로역151.3130.0773.6683.71326.21199.1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야시로시
신미나마타역194.1172.8816.4726.51369.01241.9 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미나마타시
이즈미역210.1188.8832.4742.51385.01257.9 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이즈미시
센다이역242.8221.5865.1775.21417.71290.6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히사츠 오렌지 철도: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
사쓰마센다이시
가고시마 중앙역288.9256.8911.2810.51463.81325.9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닛포 본선・이부스키마키노하라선
가고시마시 교통국: 제2기선・가고시마선
가고시마시
colspan="11"|


3. 2. 2. 나가사키 경로

후쿠오카에서 나가사키까지의 신칸센 노선은 1973년 기본 계획에서 처음에는 '''나가사키 신칸센(長崎新幹線)'''으로 명명되었다. 이후 '''나가사키 루트(長崎ルート)'''로 개칭되었고, 1995년 '''니시큐슈 루트(西九州ルート, Nishi Kyūshū rūto)'''로 변경되었으며, 니시큐슈 신칸센다케오온센나가사키 사이 구간은 2022년 9월 23일에 개통되었다.[10][11]

3. 3. 각 역의 구조

신타마나 역・신야쓰시로 역
이즈미역센다이역하카타역가고시마 중앙역



하카타역을 제외한 각 역의 승강장에는 가동식 안전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카타역 이외의 승강장 유효장은 8량분(하카타역 11번선은 10량분)이지만, 신토스역 - 구마모토역과 가고시마추오역은 10량분까지 연장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통과선을 가진 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각 역의 구내 배선과 승강장의 형식
배선 분류2면 4선2면 3선2면 2선3면 6선2면 4선(종착역)
구내도150px150px150px150px150px
해당 역신토스역구마모토역지쿠고후나고야역신미나마타역구루메역신오무타역신타마나역
신야시로역・이즈미역・센다이역
하카타역가고시마추오역


3. 4. 전체 열차 정차역

큐슈 신칸센 내 모든 정기 여객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모두 현청 소재지에 위치한다.

; 하카타역

: 큐슈 제일의 도시인 후쿠오카시의 대표역이다. 역명에 도시명을 사용하지 않고 지역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889년에 큐슈 철도의 역으로 개업했으며, 1907년에 국유화되었다. 1975년산요 신칸센의 종착역이 되었으며, 가고시마·구마모토·나가사키·사세보·오이타와 같은 큐슈 각 도시를 잇는 재래선 특급 열차가 발착하며, 이 열차와 신칸센과의 접속역이 되었다[24]2011년에 큐슈 신칸센과 직결되어, 이에 따른 구내 확장이 실시되어 3면 6선의 배선이 되었다. 또한 후쿠오카시 지하철공항선·나나쿠마선도 접속되어 있어, 하카타역 동쪽에 있는 후쿠오카 공항이나 큐슈 제일의 번화가인 텐진, 더 나아가 치쿠히선을 경유하여 카라쓰 방면으로 접근할 수 있다. 치쿠호 지방 방면의 후쿠호 유타카선도 발착한다. 또한 하카타 종합 차량소까지 회송선을 이용한 하카타미나미선도 접속되어 있어, 하카타미나미역까지의 구간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 큐슈 신칸센 하카타 진입 1주일 전에는 역 빌딩 재건축과 증축 공사가 완료되어, 일본 최대 규모의 역 빌딩 "JR 하카타 시티"로 다시 태어났다.

; 구마모토역

: 큐슈 중·남부 지역의 최대이자 중심 도시인 구마모토시의 중심역이다. 복수의 노선이 운행되며, 구마모토시의 거점이 되는 터미널역이다. 1891년에 큐슈 철도의 역으로 개업했으며, 1907년에 국유화되었다.

: 시모도리 등, 구마모토시의 중심 시가지에서 약간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 시가지까지는 구마모토 시덴A 계통이나 노선 버스가 접속하고 있다.

: 또한, 구마모토 시덴 타사키선·간선 (타사키선과 간선은 A 계통으로 일체적으로 운행된다)과 JR 가고시마 본선·호히 본선이 운행하며, 미스미선의 모든 열차와, 히토요시 방면에서 온 열차도 가고시마 본선을 경유하여 구마모토역까지 운행하며, "A 열차로 가자"와 "카와세미 야마세미"와 같은 관광 열차 등이 발착하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역 빌딩 "JR 구마모토 시티"가 건설되었다.

; 가고시마 중앙역

: 남큐슈에서 주요 도시의 대표 격에 해당하는 가고시마시의 중심역이다. 1913년에 센다이선 '''무역'''으로 개업했으며, 1927년가고시마 본선에 편입되어 '''니시가고시마역'''으로 개칭했다[25]2004년에 부분 개업 시부터 큐슈 신칸센의 종착역이 되었으며, 개통과 동시에 현재의 역명으로 개칭했다. 신칸센 홈과 재래선 홈이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 닛포 본선과의 경계는 옆의 가고시마역이지만, 신칸센 개통 전부터 닛포 본선 전 열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열차가 가고시마 중앙역을 발착역으로 하고 있으며, 가고시마시의 중심역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가고시마 중앙역에서 이부스키마키노하라선이 분기하고 있다. 번화가인 텐몬칸 지구 등 시의 중심부까지는 가고시마 시덴2 계통이나 노선 버스로 접근할 수 있다.

: 하행 최종 "사쿠라"호의 도착 시간에 맞춰 재래선의 최종 열차는 전선 동시 출발로 되어 있다(2024년 4월 현재 23시 35분)[26]

4. 운행 형태

규슈 신칸센은 2011년 3월 12일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했으며[40], 하카타역 시발/종착 열차는 환승 편의를 고려한 시간표로 운행된다. 2022년 7월 1일부터는 JR 큐슈의 위치 정보 배신 시스템 "도레도레"를 통해 큐슈 신칸센의 위치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41].

규슈 신칸센에서 운행되는 열차는 속도에 따라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세 종류로 나뉜다.



style="text-align:left; padding-top:1em;"|
열차 등급하카타신토스구루메지쿠고후나고야신오무타신타마나구마모토신야쓰시로신미나마타이즈미센다이가고시마추오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정차;■=일부 정차;↔=통과


4. 1. 열차 애칭

노선에는 속도 순으로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3가지 열차 운행 계통이 있다. ''미즈호''는 아침 시간대에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왕복 2회, 저녁 시간대에 왕복 2회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3시간 45분이다. ''사쿠라''는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하루 종일 매시간 추가 정차하며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4시간 10분이다. 또한 하카타와 구마모토 또는 가고시마추오 사이에도 매시간 1~2회 ''사쿠라'' 열차가 운행된다. ''쓰바메'' 열차는 하카타와 구마모토 사이를 매시간 1~2회 각역 정차하는 셔틀 열차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가고시마추오까지 운행한다.[13] ''미즈호'' 열차는 재팬 레일 패스를 소지한 외국인 승객의 경우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N700S계 열차는 '카모메'라는 열차 등급으로 운행된다.[14]

4. 1. 1. 미즈호

미즈호는 2011년 큐슈 신칸센 개통과 동시에 산요 신칸센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신코베, 오카야마, 히로시마, 고쿠라, 하카타, 구마모토에 정차했다. 2018년 3월 17일 다이야 개정으로 왕복 2회에 한해 구루메, 센다이에도 정차하기 시작했다.[152]

규슈 신칸센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는 최고 속도 260km/h로 운행되는 6량 편성의 800계 열차로 운행된다.[7] 800계 열차는 히타치 제작소에서 개발되었으며,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노선에서 운행 중인 700계 열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N700-7000계 및 N700-8000계 8량 편성 열차는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간 직통 운행에 사용된다. 첫 번째 편성(S1)은 2008년 10월 하카타 차량기지에 인도되었다.[12]

노선에는 속도 순으로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3가지 열차 운행 계통이 있다. ''미즈호''는 아침, 저녁 시간대에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왕복 2회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3시간 45분이다. ''사쿠라''는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하루 종일 매시간 추가 정차하며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4시간 10분이다. 하카타와 구마모토 또는 가고시마추오 사이에도 매시간 1~2회 ''사쿠라'' 열차가 운행된다. ''쓰바메'' 열차는 하카타와 구마모토 사이를 매시간 1~2회 각역 정차하는 셔틀 열차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가고시마추오까지 운행한다.[13] 재팬 레일 패스를 소지한 외국인 승객은 ''미즈호'' 열차를 이용할 때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미즈호는 신오사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을 운행하는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열차 중 가장 빠르다. 열차 종류 색상은 주황색이다.[42]

1일 정기 열차 8왕복이 운행된다. 규슈 신칸센 내 정차역은 하카타역, 구마모토역, 가고시마 중앙역이며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일부 열차는 구루메역, 센다이역에도 정차한다. 소요 시간은 신오사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이 최단 3시간 41분, 신오사카역 - 구마모토역 간이 2시간 57분, 하카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이 1시간 17분,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이 32분이다. 차량은 N700계 7000번대·8000번대가 사용된다[43].

당초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열차는 '사쿠라'만 발표되었으나, 경쟁 항공 노선에 대응하기 위해 미즈호 열차가 추가로 계획되었다.[44][45]

미즈호 정기 열차 중 615호는 구마모토역이 종착역이며, 나머지 열차는 모두 신오사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을 운행한다. 615호는 성수기에 한해 가고시마 중앙역행으로 연장 운행될 수 있으며, 연장되지 않는 경우 구마모토역에서 가고시마 중앙역행 '쓰바메'로 환승해야 한다.

4. 1. 2. 사쿠라

사쿠라는 2011년 큐슈신칸센 개통과 동시에 산요 신칸센직결 운행을 하는 열차이다. 출근 시간에는 구마모토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있다. 평상시에는 가고시마추오에서 출발하여 하카타, 고쿠라, 신야마구치, 도쿠야마, 히로시마, 후쿠야마, 오카야마, 히메지, 신코베를 거쳐 종착역인 신오사카까지 정차한다.[153]

큐슈 신칸센 구간만을 운행하는 열차는 최고 속도 260km/h로 운행되는 6량 편성의 800계 열차로 운행된다.[7] 이 열차는 히타치 제작소에서 개발되었으며, 기존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노선에서 운행 중인 700계 열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N700-7000계 및 N700-8000계 8량 편성 열차는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간 직통 운행에 사용된다. 첫 번째 편성(S1)은 2008년 10월 하카타 차량기지에 인도되었다.[12]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3가지 열차 계통이 있으며, 이 중 '미즈호'는 아침, 저녁 시간대에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왕복 2회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3시간 45분이다. '사쿠라'는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하루 종일 매시간 추가 정차하며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4시간 10분이다. 또한 하카타와 구마모토 또는 가고시마추오 사이에도 매시간 1~2회 '사쿠라' 열차가 운행된다. '쓰바메' 열차는 하카타와 구마모토 사이를 매시간 1~2회 각역 정차하는 셔틀 열차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가고시마추오까지 운행한다.[13] 재팬 레일 패스 소지자는 '미즈호'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사쿠라는 '미즈호'와 함께 신오사카역 - 가고시마중앙역 구간을 운행하는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쾌속 열차, 또는 규슈 신칸센 내에서 운행되는 쾌속 열차이다.[46] 열차 종별 색상은 핑크색이다.[42]

차량은 N700계 7000번대・8000번대와 800계가 사용된다 (800계는 규슈 신칸센 내 완결 열차만 해당).

규슈 신칸센 내의 '사쿠라'는 하카타역 - 가고시마중앙역 구간에서 1시간에 2편 운행되며, 이 중 1~2편이 산요 신칸센신오사카역까지 직통 운전을 한다. 히로시마역 발착 열차도 1왕복 있다.

규슈 신칸센 내에서는 하카타역, 신토스역, 구루메역, 구마모토역, 센다이역, 가고시마중앙역에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1시간에 2편 중 1편이 구마모토역 - 가고시마중앙역 구간의 각 역에 정차한다. 치쿠고후나고야역, 신오무타역, 신타마나역에는 신오사카역 발착 열차가 1일에 2왕복 정차하며, 이 중 상하 각 1편은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구간의 각 역에 정차한다.[47]

열차 이름은 공모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2009년 2월 26일에 발표되었다.[48] '사쿠라'는 응모 총수 168,951통 중 최다인 7,927통을 획득하여 선정되었으며, 이는 신차량의 컨셉인 '일본의 아름다움'에 부합하는 점이 고려되었다.

4. 1. 3. 쓰바메

쓰바메는 2011년 큐슈 신칸센 개통과 동시에 가장 느린 등급의 열차로 변경되었다. 2012년 3월 다이야 개정으로 산요 신칸센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고쿠라역까지 연장되었다가[154] 2013년 3월 다이야 개정으로 산요 신칸센 직결 노선이 폐지되었다. 2017년 3월 다이야 개정으로 왕복 1회 운행 시 산요 신칸센과 다시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

큐슈 신칸센을 벗어나지 않는 열차는 최고 속도 260km/h로 운행되는 6량 편성의 800계 신칸센 열차로 운행된다.[7] 이 열차는 히타치 제작소에서 개발되었으며, 이미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노선에서 운행 중인 700계 열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8량 편성의 N700-7000계 및 N700-8000계 열차는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간 직통 운행에 사용된다. 첫 번째 편성(S1)은 2008년 10월 하카타 차량기지에 인도되었다.[12]

노선에는 속도 순으로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3가지 열차 운행 계통이 있다. ''미즈호''는 아침 시간대에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왕복 2회, 저녁 시간대에 왕복 2회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3시간 45분이다. ''사쿠라''는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사이를 하루 종일 매시간 추가 정차하며 운행하며, 전 구간 소요 시간은 4시간 10분이다. 또한 하카타와 구마모토 또는 가고시마추오 사이에도 매시간 1~2회 ''사쿠라'' 열차가 운행된다. ''쓰바메'' 열차는 하카타와 구마모토 사이를 매시간 1~2회 각역 정차하는 셔틀 열차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가고시마추오까지 운행한다.[13] ''미즈호'' 열차는 재팬 레일 패스를 소지한 외국인 승객의 경우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쓰바메는 하카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을 운행하는 각역 정차 타입의 열차로, 운행하는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종별 컬러는 연한 파란색이다.

부분 개통 당시의 신칸센 열차명은 속달・각역 정차를 불문하고 「쓰바메」로 통일되었지만, 전 노선 개통 후 「쓰바메」는 전 구간 각역 정차로 운행하고 있다[49][50]。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부터 상행 2편이 산요 신칸센으로 직결 운행되어, 그중 1편은 고쿠라행, 다른 1편은 신시모노세키행으로 운행되었다.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한때 산요 신칸센으로의 직결 운행이 중단되었지만, 2017년 3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아침에 1편만 고쿠라행으로 부활했다.

큐슈 신칸센 내의 전 구간에서 운행되지만, 낮에는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의 각 역으로의 접근은 구마모토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의 각 역에 정차하는 「사쿠라」[51] 가 「쓰바메」를 대체하는 형태로 담당하고 있으며[50][40], 가고시마 중앙역 발착의 「쓰바메」는 아침・저녁 운행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낮 시간대의 「쓰바메」는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주로 이 구간의 지역 간 수송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하행 시발 열차는 센다이 구 차량기지에서의 출고 열차로서, 센다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의 1구간 운행으로 이루어진다.

차량은 주로 800계가 사용되지만, 아침 저녁의 통근 시간대 등에서는 N700계 7000번대・8000번대도 사용되고 있다.

큐슈 신칸센은, 2016년 4월 14일 밤에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전 노선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같은 해 4월 20일에 신미나마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 4월 23일에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 4월 27일에 구마모토역 - 신미나마타역 간의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4월 28일에 「사쿠라」 「미즈호」의 운행 및 산요 신칸센과의 직결 운행이 재개될 때까지, 모든 열차가 「쓰바메」로 운행되었다.

4. 2. 다이어그램 패턴과 정차역

산요 신칸센의 영향으로 낮 시간대에는 매 시간 발차 시각 및 도착 시각이 거의 일정한 다이어그램이 편성되어 있다. 하지만 아침 및 저녁 시간에는 "사쿠라"의 정차 패턴이 약간 변화하거나, 규슈 내에서 완결되는 쾌속 열차인 "사쿠라"의 일부가 하카타 - 구마모토・가고시마 중앙의 "쓰바메"로 운행되는 등, 다소 변칙적인 다이어그램으로 운영된다. 규슈 신칸센 내에서 완결되는 열차는 거의 모든 열차가 하카타역에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노조미" 등과 동일한 플랫폼에서 환승할 수 있다.

다음은 2021년 3월 13일 시간표 개정 시점의 낮 시간대 1시간의 평균적인 다이어그램 패턴이며, 시간대에 따라 도착 및 발차 시각은 약간 다를 수 있다.

4. 3. 호수 배정 방식

2020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서의 호수 할당은 다음과 같다.

열차 번호는 산요 신칸센 직통 열차 (신시모노세키역·고쿠라역 발착 열차를 제외)는 "호수+A" (임시 열차 "6000+호수+A"는), "쓰바메"와 신시모노세키역·하카타역 발착의 "사쿠라"는 "5000+호수+A"가 할당되어 있다. 후자의 일부 열차의 호수는 도쿄역 - 신오사카역 간의 임시 "노조미"와 중복되지만, 열차 번호의 중복은 없다.

4. 4. 도카이도·산요 신칸센과의 연결

큐슈 신칸센과 산요 신칸센은 시간당 1~2편 정도 직통 운행을 하지만, 그 외 열차는 기본적으로 하카타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사쿠라"와 "쓰바메"이다.[52]

하카타역 출발·도착 열차는 대부분 "노조미" 등 도카이도 신칸센·산요 신칸센 방면 열차와 같은 플랫폼에서 연결되어, 산요 신칸센 직통 열차가 거의 정차하지 않는 역과의 환승 편의 및 큐슈 신칸센과 상호 운행을 하지 않는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도쿄역 - 신오사카역 간) 수요에 대응한다.[52] 또한 신토스역 - 신타마나역 사이의 각 역에서는 개업 당시 역의 전광 게시판과 안내 방송 등에서 "이 열차는 하카타역에서 노조미 ○○호 도쿄행과 연결됩니다"라고 안내했다.

그러나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으로 큐슈 신칸센 내 완결 열차 대부분이 막다른 하카타역 11번선에서 회차하면서, 이전까지 가능했던 같은 플랫폼에서의 환승이 불가능해지는 열차가 늘었다. 게다가 구마모토역 - 가고시마추오역 간 각 역에 정차하는 "사쿠라"와 연결되었던 "노조미" 일부가 এই 개정으로 감축되면서 환승 자체가 불가능해진 사례도 발생했다.[53]

4. 5. 규슈 신칸센 내에서의 연결

구마모토역을 기준으로 열차 간 환승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각 역에 정차하는 "쓰바메"는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구간을 주로 운행하며, 구마모토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은 하카타역에서 출발한 "사쿠라"가 각 역에 정차한다.

치쿠고후나고야역, 신오무타역, 신타마나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가고시마추오역 - 신오사카역 간 "사쿠라" 1왕복, 하카타역 - 가고시마추오역 간 "쓰바메" 상행 6편, 하행 2편을 제외하면 대부분 구마모토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한다.

구마모토역에서 출발/도착하는 "쓰바메"와 구마모토역 - 가고시마추오역 간 각 역에 정차하는 "사쿠라"는 일부를 제외하고 구마모토역의 동일 승강장에서 환승이 이루어진다. 신토스역 - 신타마나역 간 각 역의 전광 게시판과 구내 방송에서는 동일 승강장 환승 열차에 대해 "이 열차는 구마모토역에서 사쿠라 ○○○호 가고시마추오행과 환승합니다"와 같이 안내한다.

"미즈호"가 운행되는 시간에는 가고시마추오역에서 출발/도착하는 "쓰바메"가 구마모토역에서 "미즈호"와 환승하는 상하행 각 1편이 있다.

4. 6. 과거 운행 형태

과거에는 다양한 운행 형태와 열차 종류가 존재했다.

  • 운행 형태

직통 운행: 하카타 - 구마모토 간을 직통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있었다.
각역 정차: 하카타 - 구마모토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하는 열차도 있었다.
부분 운행: 구마모토 - 신야쓰시로 구간만을 운행하는 열차도 존재했다.

  • 열차 종류

쓰바메: 800계 전동차를 사용한 고쿠라 - 구마모토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였다. 2004년 3월 13일부터 2011년 3월 11일까지 운행했다.
릴레이 쓰바메: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을 운행하는 특급 열차로, 신칸센 개통 이전 재래선을 통해 운행했다. 신칸센 개통과 동시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가고시마 루트 개통으로 인해 운행 형태 및 열차 종류가 변경되었다.

4. 6. 1. 전선 개통 이전

2004년 3월 13일, 규슈 신칸센은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에서 부분 개통하여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당시 하카타역 - 신야쓰시로역 구간은 미개통 상태였기에 현재와는 다른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부분 개통 이후 전 노선 개통까지 약 7년간의 운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쓰바메"는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 개통과 동시에 운행을 시작했다. 상하행 모두 1시간에 2편 운행되었으며, 일부 역만 정차하는 쾌속형과 모든 역에 정차하는 완행형이 각각 1시간에 1편씩 운행되었다. 이는 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나가노 신칸센 등 다른 신칸센 노선에서 쾌속형과 완행형에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열차 번호 뒤에 붙는 영문자는 "A"가 아닌 "F"가 사용되었다.

하카타역 - 신야쓰시로역 구간은 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가 운행되었으며, 신야쓰시로역에서는 "릴레이 쓰바메"와 같은 플랫폼에서 대면 환승 방식으로 연결되어(환승 시간 3분), "쓰바메"와 "릴레이 쓰바메"는 사실상 하나의 열차처럼 운행되었다.

쾌속형(1호 - 23호)은 기본적으로 센다이역에만 정차했다.[54] 연결되는 "릴레이 쓰바메" 역시 가고시마 본선 구간에서 정차역이 적은 쾌속형으로 운행되었다. 모든 역에 정차하는 완행형(31호 - )도 "릴레이 쓰바메"와 연결되었다.[55]

"쓰바메"라는 이름은 일반 공모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5위를 차지했다.[56][57][58]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이름은 "하야토"였지만, 속도감이 느껴지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며 봄을 알리는 새의 이미지와, 과거부터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열차 이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쓰바메"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56][57][58]

개통 당시부터 규칙적인 패턴 다이어를 도입했지만, 재래선과 연계되어 운행되었기 때문에 다른 신칸센 노선과 비교하여 매 시간의 출발 및 도착 시각이 일정하지 않았다.

다음은 당시 낮 시간대의 평균적인 다이어 패턴이다.

style="text-align:left; font-weight:bold; padding-top:0.5em;" | 하행
하카타역
출발 시각
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신칸센 쓰바메
하카타후쓰카이치도스구루메하네즈카세타카오무타아라오나가스다마나가미쿠마모토구마모토신야쓰시로신미나마타이즈미센다이가고시마 중앙
14분
30분



style="text-align:left; font-weight:bold; padding-top:0.5em;" | 상행
신칸센 쓰바메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하카타역
도착 시각
가고시마 중앙센다이이즈미신미나마타신야쓰시로구마모토가미쿠마모토다마나나가스아라오오무타세타카하네즈카구루메도스후쓰카이치하카타
12분
50분



●: 정차, →: 통과

2010년 3월 13일 시간표 개정 시점의 열차 번호 배정은 다음과 같다.[59] ( )는 연결되는 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의 출발역 및 도착역을 의미한다.


  • '''쓰바메(속달형)'''
  • (하카타역) -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1 - 20번대
  • '''쓰바메(각역 정차형)'''
  • (하카타역) -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30 - 70번대
  • (구마모토역) -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100 - 103번
  • 신미나마타역·센다이역 - 가고시마 중앙역: 200 - 204번

4. 6. 2. 2011년 3월 12일 다이어 개정

2011년 3월 12일,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가 전 구간 개통되어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산요 신칸센 직통 열차로 '''미즈호'''가 4왕복, '''사쿠라'''가 11왕복 설정되어 총 15왕복이 운행되었다.

style="text-align:left; font-weight:bold; padding-top:0.5em" | 하행
열차 종류시발역하카타역
발차 시각
하카타신토스구루메지쿠고후나고야신오무타신타마나구마모토신야시로신미나마타이즈미센다이가고시마추오가고시마추오역
도착 시각
종착역
사쿠라하카타09분48분가고시마추오
사쿠라하카타18분(구마모토 00분)구마모토
미즈호 ★신오사카27분46분가고시마추오
사쿠라 ★신오사카41분09・13분가고시마추오
쓰바메하카타48분(구마모토 39분)구마모토



style="text-align:left; font-weight:bold; padding-top:0.5em" | 상행
열차 종류시발역가고시마추오역
발차 시각
가고시마추오센다이이즈미신미나마타신야시로구마모토신타마나신오무타지쿠고후나고야구루메신토스하카타하카타역
도착 시각
종착역
사쿠라 ★가고시마추오30・34분02분신오사카
사쿠라구마모토(구마모토 42분)23분하카타
사쿠라 ◆가고시마추오50분27분하카타・신오사카
사쿠라가고시마추오53・57분32・36분하카타
미즈호 ★가고시마추오58분17분신오사카
쓰바메구마모토(구마모토 04분)55분하카타


  • '''미즈호'''
  • * 신오사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 600 - 607호
  • '''사쿠라'''
  • * 신오사카역 - 구마모토역・가고시마 중앙역 간: 정기 열차는 540 - 580호대, 임시 열차는 590호대 (신오사카역 - 히로시마역・하카타역 간의 "히카리"와 공용).
  • * 신시모노세키역・하카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 정기 열차는 400 - 430호대, 임시 열차는 390호대.
  • *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 300 - 310호대
  • '''쓰바메'''
  • * 하카타역 - 지쿠고후나고야역・구마모토역・가고시마 중앙역 간, 구마모토역・센다이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 320 - 380호대

4. 6. 3.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

출발 시각하카타신토스구루메지쿠고후나고야신오무타신타마나구마모토신야시로신미나마타이즈미센다이가고시마중앙가고시마중앙역
도착 시각종착역사쿠라신오사카(하카타)09분●▲▲→→→●●●●●●40・44분가고시마중앙사쿠라하카타19분●●●→→→●(구마모토 58분)구마모토미즈호 ※신오사카27분●→→→→→●→→→→●44분가고시마중앙사쿠라신오사카41분●▲▲△△△●→→→●●05・09분가고시마중앙쓰바메하카타48분●●●●●●●(구마모토 37분)구마모토



style="text-align:left; font-weight:bold; padding-top:0.5em" | 상행
종류시발역가고시마중앙역
출발 시각
가고시마중앙센다이이즈미신미나마타신야시로구마모토신타마나신오무타지쿠고후나고야구루메신토스하카타하카타역
도착 시각
종착역
미즈호 ※가고시마중앙00분17분신오사카
사쿠라가고시마중앙00・03분36분(하카타)신오사카
쓰바메구마모토(구마모토 06분)55분하카타
사쿠라가고시마중앙34・38분02분신오사카
사쿠라구마모토(구마모토 44분)23분하카타
사쿠라 ◆가고시마중앙53분33분(하카타)신오사카


  • 범례
  • * ●: 정차
  • * ▲: 일부 정차
  • * △: 1일 1편 정차
  • * →: 통과
  • * ◆: 임시 열차
  • * ※: 아침 저녁에 운행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 시점의 열차 번호 할당은 다음과 같다.

4. 6. 4. 2017년 3월 4일 다이어 개정

2017년 3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음과 같이 운행 체계가 변경되었다.

style="text-align:left; font-weight:bold; padding-top:0.5em" | 하행
종류시발역하카타역
발차 시각
하카타신토스구루메지쿠고후나고야신오무타신타마나구마모토신야시로신미나마타이즈미센다이가고시마 중앙가고시마 중앙역
도착 시각
종착역
사쿠라신오사카(하카타)18분53분가고시마 중앙
미즈호 ※신오사카27분43분가고시마 중앙
사쿠라신오사카44・45분09-12분가고시마 중앙
쓰바메하카타51・56분(구마모토 40・45분)구마모토



style="text-align:left; font-weight:bold; padding-top:0.5em" | 상행
종류시발역가고시마 중앙역
발차 시각
가고시마 중앙센다이이즈미신미나마타신야시로구마모토신타마나신오무타지쿠고후나고야구루메신토스하카타하카타역
도착 시각
종착역
미즈호 ※가고시마 중앙02분18분신오사카
사쿠라가고시마 중앙04분39・40분(하카타) 신오사카
쓰바메구마모토(구마모토 10・11분)59-01분하카타
사쿠라가고시마 중앙48분14분신오사카
사쿠라 ◆가고시마 중앙10분45분(하카타) 신오사카



범례:


  • ●: 정차
  • △: 1일 1회 정차
  • →: 통과
  • ◆: 임시 열차
  • ※: 낮 시간대 일부 시간대에는 운행하지 않음


2017년 3월 4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서의 열차 번호 할당은 다음과 같다.

5. 차량

(단위 : km/h)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미즈호
사쿠라쓰바메N700계2602011년운영 중800계2602004년운영 중





파일:JRW N700-7000series S1.jpg|N700계 7000번대

파일:Kyushu Shinkansen 800 series Shin-Minamata 20041123.jpg|800계



800계는 2004년 부분 개업 이후 '쓰바메'에 사용되어 온 차량이며, 내부 디자인은 일본풍이다. 모든 차량이 동력차이며, 최고 속도는 260km/h이다. 6량 편성으로 U편성 9개 편성이 있다. 이후 증비된 1000번대・2000번대 3개 편성은 내외장을 변경했다.[27][28] 부분 개업 당시 열차 애칭은 '쓰바메' 1종류였으며, 전선 개업 후 '사쿠라'에도 사용되면서 승객의 혼란을 막기 위해 새로운 로고 마크로 변경되었다.[29][30] 산요 신칸센 직통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조되어 산요 신칸센에서 시운전도 했다.[31] 원래는 신시모노세키역 발착 '사쿠라'에 투입할 계획이었으나 실현되지 않았고,[32] 큐슈 신칸센 내 회차 열차로만 운용되고 있다.

N700계는 '사쿠라', '미즈호', '쓰바메'에 사용되는 차량이다.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용 N700계를 기반으로 JR 큐슈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8량 편성이다. 급경사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대차에 억속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 자체는 최고 속도 300km/h로 운행 가능하지만, 큐슈 신칸센 내에서는 노선 설계 속도인 260km/h로 운행한다. 2012년 봄까지 총 29개 편성이 제작되었고, 6호차는 절반이 그린샤이다. 보통차는 2000년 등장한 히카리 레일스타와 같이 지정석은 2열+2열, 자유석(3량)은 2열+3열 좌석 배치이다. 현재 산요 신칸센 직통 열차는 모두 이 형식을 사용하며, 큐슈 신칸센 내 회차 열차 일부는 JR 서일본 S편성이 운행한다.

규슈 신칸센의 발차 멜로디와 차내 멜로디(JR 큐슈 소속 차량만)는 키보디스트 무카이야 미노루가 작곡한 곡이 채용되었다[33]. 차내 멜로디는 표준 멜로디와 하카타·구마모토·가고시마 중앙 각 역의 발차·도착용 특별 멜로디 총 4곡이 있으며, 구마모토역 도착 시에는 "'''오테모야'''", 가고시마 중앙역 도착 시에는 "'''오하라절'''"을 어레인지한 것이 사용된다[34].

발차 멜로디는 구마모토역과 가고시마 중앙역은 어레인지 멜로디, JR 서일본 관할의 하카타역에서는 고다이고의 "은하철도 999"[35], 다른 역은 모두 "'''The Journey'''"[36]로 되어 있다.

큐슈 신칸센의 전선 개업 전에는 모든 역에서 발차 멜로디·차내 멜로디[37]에 무카이야 미노루가 작곡한 "'''바람은 남쪽에서'''"가 사용되었지만, 전선 개업을 계기로 모두 새로운 멜로디로 변경되었다.

'''The Journey'''와 '''바람은 남쪽에서'''는 둘 다 한 곡으로 완성한 버전이 있으며, 아이튠즈 스토어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38].

덧붙여, JR 서일본 소속 차량에서는 하카타·구마모토·가고시마 중앙 각 역용 특별 멜로디는 나오지 않고, 차내 멜로디는 "좋은 날 여행을 떠나자・서쪽으로"가 큐슈 신칸센 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으며, 중간역용 (후렴)과 시발·종착역용 (노래 시작 부분)의 두 가지 구별밖에 없다[39].

5. 1. 각 형식 개요

큐슈신칸센은 급경사 구간이 많아, 이에 대응하기 위해 800계와 N700계 7000·8000번대가 개발, 제조되었다.

; 800계

: '쓰바메', '사쿠라'에 사용되는 차량이다. 2004년 부분 개업 이후 '쓰바메'에 사용되었으며, 내부 디자인은 재패니즈풍이고, 모든 차량이 동력차이다. 최고 속도는 260km/h이다. 6량 편성으로, U편성 9개 편성이 있다. 이후 증비된 1000번대, 2000번대 3개 편성은 내외장을 변경했다.[27][28] 부분 개업 당시 열차 애칭은 '쓰바메' 하나뿐이었고, 초기에는 차체 측면에 '쓰바메' 필기체 로고가 있었지만, 전선 개통 후 '사쿠라'에서도 사용되면서 혼란을 막기 위해 새로운 로고 마크로 변경되었다.[29][30]

: 산요 신칸센 직통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조되어 산요 신칸센에서 시운전을 하기도 했다.[31] 원래는 신시모노세키역 발착 '사쿠라'에 투입할 계획이었지만 실현되지 못했고[32], 큐슈 신칸센 내 운행으로 한정되었다.

; N700계

: '사쿠라', '미즈호', '쓰바메'에 사용되는 차량이다.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용 N700계를 기반으로 JR 큐슈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8량 편성으로, 35‰의 급경사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대차에 억속 브레이크를 장착했다. 차량 자체는 최고 속도 300km/h로 운행 가능하지만, 큐슈 신칸센 내에서는 노선 설계 속도인 260km/h로 운행한다. 2012년 봄까지 JR 서일본이 7000번대(S편성) 19개 편성, JR 큐슈가 8000번대(R편성) 10개 편성, 총 29개 편성(232량)을 제작했고, 같은 해 7월에 R편성 1개 편성이 추가 제작되었다. 6호차 절반은 그린샤이며, 일반실은 2000년에 등장한 히카리 레일스타와 동일하게 지정석은 2열+2열, 자유석(3량)은 2열+3열 좌석 배치이다. 현재 산요 신칸센 직통 열차는 모두 이 차량으로 운행하며, 큐슈 신칸센 내 일부는 JR 서일본 S편성이 운행하기도 한다.

5. 1. 1. 800계 신칸센 전동차

'쓰바메', '사쿠라'에 사용되는 800계는 2004년 부분 개업 이후 '쓰바메'에 사용되어 온 차량으로, 내부와 디자인이 일본풍이다. 모든 차량이 동력차이며, 최고 속도는 시속 260km이다. 6량 편성으로, U편성 9개 편성이 있다. 이후 증비된 1000번대・2000번대 3개 편성은 내외장을 변경했다.[27][28] 부분 개업 당시 열차 애칭은 '쓰바메' 1종류였으며, 차체 측면에 '쓰바메'의 필기체 로고가 그려져 있었지만, 전선 개업 후 '사쿠라'에서도 사용되면서 승객의 혼란을 막기 위해 새로운 로고 마크로 변경되었다.[29][30]

산요 신칸센 직통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조되어 산요 신칸센에서 시운전도 했다.[31] 원래는 신시모노세키역 발착 '사쿠라'에 투입할 계획이었으나 실현되지 않았고,[32] 큐슈 신칸센 내 회차 열차로만 운용되고 있다.

5. 1. 2. N700계 신칸센 전동차

급경사 구간이 많은 노선 특성상 800계와 N700계 7000·8000번대가 운행된다.
'쓰바메', '사쿠라'에 사용되는 차량이다. 2004년 부분 개업 이후 '쓰바메'에 사용되었으며, 내부 디자인은 재패니즈풍이다. 모든 차량이 동력차이며, 최고 속도는 260km/h이다. 6량 편성으로 U편성 9개 편성이 있다. 이후 증비된 1000번대・2000번대 3개 편성은 내외장을 변경했다.[27][28] 부분 개업 당시 열차 애칭은 '쓰바메'뿐이었으나, 전선 개업 후 '사쿠라'에도 사용되면서 혼란 방지를 위해 새로운 로고 마크로 변경되었다.[29][30]

산요 신칸센 직통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조되어 산요 신칸센에서 시운전을 실시했다.[31] 당초 신시모노세키역 발착 '사쿠라'에 투입할 계획이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했고,[32] 큐슈 신칸센 내 회차 열차로만 운용된다.
'사쿠라', '미즈호', '쓰바메'에 사용되는 차량이다.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용 N700계를 기반으로 JR 큐슈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8량 편성이다. 내리막 35‰의 급경사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대차에 억속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 자체는 최고 속도 300km/h로 운행 가능하지만, 큐슈 신칸센 내에서는 노선 설계 속도인 260km/h로 운행한다. 2012년 봄까지 JR 서일본이 7000번대(S편성) 19개 편성, JR 큐슈가 8000번대(R편성) 10개 편성, 총 29개 편성(232량)을 제작했고, 같은 해 7월에 R편성 1개 편성이 추가 제작되었다. 6호차는 절반이 그린샤이다. 보통차는 2000년 등장한 히카리 레일스타와 같이 지정석은 2열+2열, 자유석(3량)은 2열+3열 좌석 배치이다. 현재 산요 신칸센 직통 열차는 모두 이 형식을 사용하며, 큐슈 신칸센 내 회차 열차 일부는 JR 서일본 S편성이 운행한다.

5. 2. 차내·발차 멜로디

규슈 신칸센의 발차 멜로디와 차내 멜로디(JR 큐슈 소속 차량만)는 모든 곡이 키보디스트무카이야 미노루가 작곡한 곡이 채용되었다[33]. 차내 멜로디는 표준 멜로디와 하카타·구마모토·가고시마 중앙 각 역의 발차·도착용 특별 멜로디 총 4곡이 있으며, 구마모토역 도착 시에는 "'''오테모야'''", 가고시마 중앙역 도착 시에는 "'''오하라절'''"을 어레인지한 것[34]이 사용된다.

발차 멜로디는 구마모토역과 가고시마 중앙역은 전술한 어레인지 멜로디, JR 서일본 관할의 하카타역에서는 고다이고의 "은하철도 999"[35], 다른 역은 모두 "'''The Journey'''"[36]로 되어 있다.

큐슈 신칸센의 전선 개업 전에는 모든 역에서 발차 멜로디·차내 멜로디[37]에 무카이야 미노루가 작곡한 "'''바람은 남쪽에서'''"가 사용되었지만, 전선 개업을 계기로 모두 새로운 멜로디로 변경되었다.

'''The Journey'''와 '''바람은 남쪽에서'''는 둘 다 한 곡으로 완성한 버전이 있으며, 아이튠즈 스토어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38].

덧붙여, JR 서일본 소속 차량에서는 하카타·구마모토·가고시마 중앙 각 역용 특별 멜로디는 나오지 않고, 차내 멜로디는 "좋은 날 여행을 떠나자・서쪽으로"가 큐슈 신칸센 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으며, 중간역용 (후렴)과 시발·종착역용 (노래 시작 부분)의 두 가지 구별밖에 없다[39].

6. 사업 효과 및 영향

규슈 신칸센은 개통 이후 지역 교통과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후쿠오카 - 가고시마:후쿠오카현과 가고시마현 사이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규슈 신칸센 개통 이후 크게 변화했다. 1991년 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구간이 슈퍼 특급 방식으로 착공될 당시 항공 40%, 철도 50%, 버스 10%였던 것이, 2012년 전 구간 개통 후에는 항공 3%, 철도 84%, 버스 11%로 철도 이용이 압도적으로 증가했다.[60] 운행 횟수 또한 철도가 크게 증가하여 2011년 3월 기준 철도 35편, 버스 24편, 항공 2편으로 변화했다.[62] 철도 이용 실적은 2000년 83만 명에서 2013년 204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정기 이용객 또한 크게 늘었다.[63]
구마모토 - 가고시마:구마모토현과 가고시마현 사이에서는 1991년 10월 철도 16편, 고속버스 10편이었던 운행 횟수가 2004년 부분 개통 후 철도 32편으로 2배 증가했다. 구마모토 - 가고시마 간 고속버스는 폐지되었으나, 히토요시 - 가고시마 공항 간 노선이 신설되기도 했다. "기리시마호"는 이후 운행을 재개했다.
후쿠오카 - 구마모토:후쿠오카현과 구마모토현 사이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2000년 철도 71%, 버스 28%, 항공 1%에서 2011년 철도 65%, 버스 34%, 항공 1%로 큰 변화는 없었다. 운행 횟수는 철도가 2000년 41편에서 2011년 65편으로 증가했지만, 고속버스 또한 80편으로 다수 운행되었다. 철도 이용 실적은 2000년 440만 명에서 2013년 503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정기 이용객 또한 크게 늘었다.
후쿠오카 - 미야자키:하카타역 - 미야자키역 간 이동 시, 규슈 신칸센 전 구간 개통 후에는 신야시로역에서 고속버스(B&S 미야자키호)로 환승하는 경로가 육상에서 가장 빨라져 소요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간사이 - 구마모토:간사이와 구마모토 간의 교통 분담률은 2000년 항공 77%, 철도 20%, 버스 3%에서 2011년 철도 57%, 항공 42%, 버스 1%로 역전되었다. 철도 운행 횟수는 2000년 30편에서 2011년 56편(직통 15편 포함)으로 크게 증가했다. 2014년부터는 간사이 국제공항구마모토 공항 간에 저가 항공사(LCC)가 취항하면서 항공 운행 편수도 소폭 증가했다. 철도 이용객은 2000년 21만 명에서 2011년 73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간사이 - 가고시마:간사이와 가고시마 간 대중교통 분담률은 2000년 항공 92%, 철도 6%, 버스 2%에서 2011년 항공 63%, 철도 36%, 버스 1%로 크게 변화했다. 철도 운행 횟수는 2000년 11편에서 2011년 30편(직통 15편)으로 크게 증가했다. 2012년에는 철도 직통 횟수가 23편으로 늘었지만, 같은 해 간사이 국제공항가고시마 공항 사이에 저비용 항공사(LCC)가 취항하면서 항공편 운행 횟수도 소폭 증가했다. 철도 이용객 수는 2000년 9만 명에서 2011년 57만 명으로 크게 늘었다가 2013년 47만 명으로 감소했다.
병행 재래선:규슈 신칸센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 개업 당시, 병행 재래선 중 가고시마 본선 야시로역 - 센다이역 구간이 제3섹터인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으로 경영 분리되었다. 이 구간에서는 보통 열차가 증편되었지만, 운임이 약 30% 상승했고, 수송 밀도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이용 상황:큐슈신칸센의 구간별 평균 통과 인원은 2004년 8,087명/일에서 2012년 16,825명/일로 증가했다. 2016년에는 전 구간 17,567명/일, 하카타 - 구마모토 구간 25,657명/일, 구마모토 - 가고시마 중앙 구간 11,950명/일이었으며, 여객 운송 수입은 501억 2100만 엔이었다.[67]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크게 감소했지만, 2023년에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되었다.[74]

6. 1. 대중교통 기관의 변화

큐슈 신칸센 개통으로 인해 철도, 항공, 고속버스 간의 교통 분담률에 변화가 있었다. 하카타역을 기준으로 한 후쿠오카 ~ 가고시마 구간의 교통 분담률 변화는 다음과 같다.

특히 항공에서 철도로의 전환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신칸센 개통으로 인해 이동 시간 단축과 편리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속버스의 경우, 신칸센 개통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을 바탕으로 일정 수준의 수요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1. 1. 후쿠오카 - 가고시마

후쿠오카현과 가고시마현 간의 대중교통 분담률 변화는 야쓰시로 - 니시가고시마 구간이 슈퍼 특급 방식으로 착공된 1991년에는 항공 40%, 철도(JR 정기 외) 50%, 시외버스 10%였다. 전 구간 풀 규격화가 결정된 2000년에는 항공 40%, 철도 47%, 버스 13%였다. 부분 개통 후인 2004년에는 항공 16%, 철도 66%, 버스 18%[59]로 철도가 증가하고 항공이 감소했다. 전선 개통 후인 2012년에는 항공 3%, 철도 84%, 버스 11%로 철도가 더욱 증가하여 항공은 5% 이하가 되었다[60].

운행 횟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1991년 10월 시점에서는 철도가 15편, 항공이 10편, 고속버스가 18편이었으나, 2000년 10월 시점에서는 철도가 16편, 고속버스가 24편, 항공이 13편이었다. 2004년 10월 시점에서는 철도가 30편으로 대폭 증가하고 고속버스도 24편으로 증가, 항공이 8편으로 감소했다[61]. 2011년 3월 시점에서는 철도가 35편으로 소폭 증가, 고속버스가 24편으로 보합세였으며 항공이 2편으로 더욱 감소했다[62].

철도 이용 실적은 2000년에 83만 명이었으나 부분 개통 후인 2004년에는 142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전선 개통 후인 2011년에는 207만 명으로 더욱 증가하여, 2013년에는 204만 명으로 개통 전의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또한, 정기 이용객은 2000년에는 거의 없었으나, 2011년에는 1.20만 명으로 증가했고, 2013년에는 2.26만 명이 되었다[63].

6. 1. 2. 구마모토 - 가고시마

구마모토현과 가고시마현 사이의 운행 횟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야시로 - 니시가고시마 구간이 슈퍼 특급 방식으로 착공된 1991년 10월 시점에서는 철도 16편[61], 고속버스 10편이었다. 전 구간 풀 규격화가 결정된 2000년 10월 시점에서도 철도 16편, 고속버스 10편으로 변동은 없었다. 그러나 부분 개업 후인 2004년 10월에는 철도가 32편으로 2배 증가한 반면, 구마모토 - 가고시마 간을 운행하던 고속버스 (기리시마호, 하이비스커스호)는 폐지되었다. 대신 히토요시 - 가고시마 공항 간 12왕복 노선이 개설되었다. 4년 후인 2008년 10월에 "기리시마호"는 운행을 재개했다.

6. 1. 3. 후쿠오카 - 구마모토

후쿠오카현과 구마모토현 사이의 대중교통 분담률 변화는 다음과 같다. 2000년 풀 규격으로 착공될 당시에는 철도(JR 정기 외)가 71%, 시내버스가 28%, 항공이 1%를 차지했다. 부분 개통 후인 2004년에는 철도 63%, 버스 36%, 항공 1%로 변화했으며, 전 구간 개통 후인 2011년에는 철도 65%, 버스 34%, 항공 1%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운행 횟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2000년 10월에는 철도가 41편, 고속버스가 50편 운행되었다.[62][63] 2004년 10월에는 철도는 41편으로 동일했지만, 고속버스는 80편으로 크게 증가했다. 2011년 3월에는 철도가 65편으로 증가했지만, 고속버스도 80편으로 다수 운행되었다.

철도 이용 실적은 2000년에 440만 명이었으나, 전 노선 개통 직전인 2010년에는 402만 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전 노선 개통 후인 2011년에는 460만 명으로 증가세로 전환되었고, 2013년에는 503만 명으로 증가했다. 정기 이용객은 2000년에 102만 명이었으나, 2010년에는 113만 명으로 소폭 증가했고, 2011년에는 146만 명, 2013년에는 167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6. 1. 4. 후쿠오카 - 미야자키

하카타역 - 미야자키역의 영업 거리는 닛포 본선 경유로 405.5km이며, 규슈 신칸센 개업 전인 2002년 10월 시점에서는 닛포 본선 경유로 소요 시간이 5시간 23분이었지만, 전 구간 개통 후인 2014년 10월 시점에서는 규슈 신칸센과 고속버스(B&S 미야자키호)를 신야시로역에서 환승하는 경로가 육상에서는 가장 빨라져, 소요 시간은 하행 최단 2시간 58분이 되었다.

6. 1. 5. 간사이 - 구마모토

간사이와 구마모토 간의 교통 분담률은 2000년 풀 규격 착공 당시 항공이 77%로 가장 높았고, 철도(JR 정기 외) 20%, 시내버스 3%였다. 부분 개업 후인 2004년에도 항공이 72%로 여전히 높았지만, 철도가 24%로 소폭 증가, 버스가 4%를 차지했다. 그러나 전선 개업 후인 2011년에는 철도가 57%, 항공이 42%로 역전되었고, 버스는 1%로 감소했다.

오사카와 구마모토현 간의 운행 횟수를 살펴보면, 2000년 10월에는 철도 30편, 항공 9편, 고속버스 1편이었으나, 2004년에는 철도가 35편으로 소폭 증가했고, 항공 9편, 고속버스 1편으로 유지되었다. 2011년에는 철도가 56편으로 크게 증가(직통 15편 포함)했지만, 항공과 고속버스는 각각 9편과 1편으로 동일했다. 2012년에는 철도 직통 편수가 23편으로 늘었지만, 2014년부터 간사이 국제공항구마모토 공항 간에 저가 항공사(LCC)가 취항하면서 항공 운행 편수도 소폭 증가했다. 고속버스는 야간에만 운행된다.

철도 이용객은 2000년에 21만 명이었고, 전선 개업 직전인 2010년에는 35만 명이었으나, 2011년 전선 개업 후에는 73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2013년에도 73만 명을 유지했다.

6. 1. 6. 간사이 - 가고시마

간사이와 가고시마 간 대중교통 분담률 변화를 살펴보면, 전 구간 풀 규격으로 착공된 2000년에는 항공이 92%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으며, 철도(JR 정기권 외) 6%, 시내버스 2%였다. 부분 개통 후인 2004년에도 항공이 88%로 여전히 높았지만, 철도가 9%로 소폭 증가했고, 버스는 3%였다. 그러나 전 구간 개통 후인 2011년에는 항공이 63%로 크게 감소하고, 철도가 36%로 대폭 증가했으며, 버스는 1%로 줄었다.

오사카와 가고시마현 간 운행 횟수 변화를 보면, 2000년에는 항공 12편, 철도 11편, 고속버스 2편이었으나, 2004년에는 항공 13편, 철도 19편으로 철도가 크게 증가했다. 이후 철도는 19편, 버스 2편으로 유지되다가, 2011년에는 항공 12편, 철도 30편(직통 15편)으로 철도가 더욱 증가하고, 버스는 2편으로 유지되었다. 2012년에는 철도 직통 횟수가 23편으로 늘었지만, 같은 해 간사이 국제공항과 가고시마 공항 사이에 저비용 항공사(LCC)가 취항하면서 항공편 운행 횟수도 소폭 증가했다. 고속버스는 야간 운행만 제공되고 있다.

철도 이용객 수는 2000년 9만 명에서 부분 개통 후인 2004년 14만 명으로 증가했고, 전 구간 개통 후인 2011년에는 57만 명으로 크게 늘었지만, 2013년에는 47만 명으로 감소했다.

6. 2. 병행 재래선

히사츠 오렌지 철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4년 규슈 신칸센 신야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 개업 당시, 병행 재래선 중 가고시마 본선 야시로역 - 센다이역 구간이 제3섹터인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으로 경영 분리되었다. 이 구간에서는 특급 열차의 틈새 운행 등이 불필요해졌고, 이즈미역 - 센다이역 구간에서 보통 열차가 6편 증편되었지만, 경영 분리된 구간에서는 운임이 약 30% 상승했다. 수송 밀도는 경영 분리 후 수 년간 900명/일 전후였지만 점차 감소하여, 2012년도에는 765명/일로 감소 추세에 있다.

6. 3. 이용 상황

큐슈신칸센의 구간별 평균 통과 인원과 여객 운송 수입은 다음과 같다. 2004년도에는 전 구간 평균 통과 인원이 8,087명/일이었으며[66], 2007년도에는 8,528명/일이었다.[66] 2012년도에는 16,825명/일로 증가했다. 2016년도에는 전 구간 17,567명/일, 하카타 - 구마모토 구간 25,657명/일, 구마모토 - 가고시마 중앙 구간 11,950명/일이었으며, 여객 운송 수입은 501억 2100만 엔이었다.[67] 2017년도에는 각각 19,012명/일, 27,579명/일, 13,062명/일, 541억 5500만 엔을 기록했다.[68] 2018년도에는 19,275명/일, 27,986명/일, 13,226명/일, 549억 4000만 엔이었다.[69] 2019년도에는 18,445명/일, 27,046명/일, 12,473명/일, 523억 2500만 엔으로 소폭 감소했다.[70]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도에는 8,235명/일, 11,939명/일, 5,663명/일, 229억 4200만 엔으로 크게 감소했다.[71] 2021년도에는 9,507명/일, 13,625명/일, 6,648명/일, 274억 6200만 엔으로 소폭 회복되었고,[72] 2022년도에는 13,984명/일, 20,142명/일, 9,707명/일, 415억 900만 엔으로 회복세를 이어갔다.[73] 2023년도에는 17,004명/일, 24,763명/일, 11,616명/일, 526억 6000만 엔을 기록하며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되었다.[74]

7. 특급 요금 및 운임

큐슈 신칸센의 특급 요금은 영업 킬로에 따라 산출되며, 이는 병행하는 가고시마 본선과 동일 기준이다. 단, 병행 재래선이 제3섹터화된 신야시로역 - 센다이역 구간은 실 킬로로 계산된다. 신토스역은 토스역, 신오무타역은 오무타역, 신타마나역은 타마나역과 동일한 위치로 간주된다.

상한 특급 요금은 각 역 간 개별적으로 정해져 있으며, 201 km 이상의 요금 수준은 다른 신칸센에 비해 다소 높게 설정되어 있다. 좌석 지정 시에는 도카이도·산요 신칸센과 마찬가지로 한산기, 통상기, 번잡기 설정이 적용되어, 한산기에는 200엔 할인, 번잡기에는 200엔 증액(2023년 4월부터 신설되는 최번잡기는 400엔 증액)된다. 전선 개업 이전의 좌석 지정 요금은 연중 동일했으며, 익스프레스 예약에서는 연중 동일 요금이 적용된다.

다음과 같은 특정 특급 요금 구간이 있다.

# 인접역 간의 자유석 특급 요금(하카타역 - 구루메역 간 포함, 신야시로역 - 센다이역 간 제외)

# 상기 외 50 km 이하 구간(신야시로역 - 센다이역 간 포함) 및 하카타역 - 지쿠고후나고야역 간(영업 킬로 51.5 km, 50 km 이하와 동일 요금)

#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간(영업 킬로 151.3 km, 150 km 이하와 동일 요금)

그린차 이용 시에는 자유석 특급 요금과 동일한 요금(상기 특정 특급 요금 구간 중 1.에 해당하는 구간은 1,260엔)에 이용 구간에 따른 그린 요금을 더한 금액이 적용된다(2023년 4월 승차분부터 특급 요금 부분에 대해 한산기 200엔 할인, 번잡기 200엔 증액, 최번잡기 400엔 증액). 자세한 내용은 그린 요금을 참조한다.

일부 직통 운전을 하는 산요 신칸센과는 특급 요금 및 그린 요금 산출 시 영업 킬로를 합산하지 않고, 하카타역까지의 개별 요금을 합산한다. 특정 특급 요금 대상 구간(고쿠라역 - 하카타역 간, 하카타역 - 신토스역 간 등)은 통상적인 계산 규칙 대신 특정 특급 요금이 합산된다.

큐슈 신칸센과 산요 신칸센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직통 열차 이용 또는 하카타역에서 환승) 특급 요금(지정석)은 "자유석 특급 요금 합산액 + 530엔(통상기)"으로 감액된다. 이 경우 자유석 특급 요금은 특정 특급 요금으로 계산될 수 있어 지정석 특급 요금 단순 합산보다 저렴해지는 구간도 있다.[76] 이 감액 조치는 산요 신칸센 각 역과 큐슈 신칸센 각 역 사이를 승차할 때 적용되며, 도카이도 신칸센 (교토 이서)에서부터 함께 승차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미즈호의 지정석은 산요 신칸센 구간에서 노조미와 동일한 요금표를 사용하지만(320 - 740엔 가산 요금 발생[77]), 큐슈 신칸센 구간에서는 "사쿠라", "츠바메"와 동일한 요금표를 따른다.

특별 기획 승차권으로는 JR 큐슈의 다양한 할인 티켓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간 큐슈 신칸센과 신야시로역 앞 - 미야코 시티・미야자키역 간 고속 버스 "B&S 미야자키호"를 환승하여 이용할 수 있는 2매 묶음 회수권인 B&S 미야자키 2매 승차권이 있다. 큐슈 신칸센 내에서는 신야시로역을 통과하는 열차를 포함한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의 보통차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지정석 또는 그린샤 이용 시에는 추가 요금이 필요하다. "B&S 미야자키호"는 전 좌석 지정석이므로 사전 좌석 지정이 필수다.

조기 구매 왕복 승차권은 출발일로부터 일정 기간 전에 왕복 열차를 예약·구매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티켓이다. 당일 구매 가능한 할인 티켓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된다. 큐슈 신칸센에서 판매하는 주요 하야토쿠 왕복 승차권은 다음과 같다.



JR 큐슈 인터넷 열차 예약을 통해 예약 및 구입하는 경우 할인 티켓이 발매된다. 2장 티켓이나 왕복 할인 티켓과 달리, 1인당 편도 티켓부터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산요 신칸센과 큐슈 신칸센을 연결하는 할인 티켓은 JR 서일본의 인터넷 예약 서비스 신 e5489에서도 예약 및 구입할 수 있다. 인터넷 예약 전용 할인 서비스가 제공된다.

참고 - 큐슈 신칸센 특급 요금표
(2019년 10월 1일 개정. 보통차 통상기·어른 요금)[75]
영업 킬로·구간특급 요금(엔)
자유석지정석
50 km 이하인접역 간
(신야시로역 - 센다이역 간을 제외),
하카타역 - 구루메역 간
8701,790
상기 이외1,260
51 – 100 km하카타역 - 지쿠고후나고야역 간
상기 이외1,7602,290
101 – 150 km2,5303,060
151 – 200 km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간
상기 이외3,2403,770
201 – 250 km3,8704,400
251 km 이상4,5005,030


7. 1. 2025년 4월 1일 이후 특급 요금 및 운임

2025년 4월 1일, JR 큐슈는 운임 및 요금 개정을 시행하며, 큐슈 신칸센의 보통 운임은 평균 14.6%, 신칸센 특급 요금은 평균 12.8% 인상된다.[78] 단, 신야츠시로역과 센다이역 사이를 제외한 인접 역 간, 그리고 하카타역과 구루메역 간을 자유석으로 이용할 때 적용되는 특정 특급 요금 870엔은 변동이 없다.[78]

다음은 개정된 큐슈 신칸센 특급 요금표이다 (보통차 기준, 통상기, 성인 요금).[78]

영업 거리·구간특급 요금 (엔)
자유석지정석
50 km 이하인접역 간 (신야츠시로역 - 센다이역 간 제외), 하카타역 - 구루메역 간8701,920
상기 이외1,390
51 – 100 km하카타역 - 지쿠고후나고야역 간
상기 이외2,0102,540
101 – 150 km2,8903,420
151 – 200 km하카타역 - 신야츠시로역 간
상기 이외3,7004,230
201 – 250 km4,4304,960
251 km 이상5,1505,680


7. 2. 특별 기획 승차권

자세한 내용과 설정 구간은 JR 큐슈의 공식 사이트 등을 참조하는 것이 좋다.

7. 2. 1. B&S 미야자키 2매 승차권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간의 큐슈 신칸센과 신야시로역 앞 - 미야코 시티・미야자키역 간의 고속 버스 "B&S 미야자키호"를 환승하여 이용할 수 있는 2매 묶음의 회수권이다. 큐슈 신칸센 내에서는 신야시로역을 통과하는 열차를 포함한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의 보통차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다. 보통차 지정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정 요금권이, 그린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린 요금권이 필요하다. "B&S 미야자키호"는 전 좌석 지정석이므로, 미리 좌석 지정을 받아야 한다.

7. 2. 2. 조기 구매 왕복 승차권

조기 구매 왕복 승차권은 출발일로부터 지정된 일수 이전에 왕복 열차를 예약·구매하면 통상 요금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기획 승차권이다. 당일까지 구매 가능한 할인 티켓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큐슈 신칸센에서는 다음과 같은 하야토쿠 왕복 승차권을 판매한다.

7. 2. 3. 인터넷 예약 할인

큐슈 신칸센에서는 JR 큐슈 인터넷 열차 예약을 통해 예약 및 구입하는 경우에 한해 할인 티켓이 발매된다. 2장 티켓이나 왕복 할인 티켓과는 달리, 1인당 편도 티켓부터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산요 신칸센과 큐슈 신칸센을 연결하는 할인 티켓은 JR 서일본의 인터넷 예약 서비스 신 e5489에서도 예약 및 구입할 수 있다.

인터넷 예약 전용 할인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7. 3. 과거 할인 티켓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할인 티켓들이 판매되었다.

큐슈 신칸센 전 구간 개통 이전에는 다음과 같은 할인 티켓이 판매되었다.

7. 4. 신칸센 정기 승차권

규슈 신칸센에서는 '''신칸센 엑셀 패스'''라는 정기권을 발매한다. 이 패스는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 열차의 보통차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근용과 통학용으로 나뉜다. 사용 기간은 1개월, 3개월, 6개월의 세 종류가 있다.

'''정기권 전용 신칸센 특급 요금 회수권'''은 일반 정기 승차권과 함께 사용하여 큐슈 신칸센의 보통차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4장 묶음으로 판매되는 신칸센 특급 요금 회수권이다.

이 회수권은 하카타역, 구마모토역, 가고시마 중앙역을 중심으로 일부 구간에서만 판매되며, 해당 구간을 포함하는 일반 정기 승차권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재래선 역이 없는 신오무타역과 신타마나역의 경우, 각각 오무타역과 타마나역을 포함하는 정기 승차권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하카타역과 신토스역 구간은 하카타역과 토스역 구간의 일반 정기 승차권과 조합할 수 없다.

이 회수권은 일반 정기 승차권과만 조합 가능하며, 다른 승차권이나 SUGOCA 정기 승차권과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8. 연혁

규슈 신칸센의 건설 및 운영 과정은 다음과 같다.

1969년, 일본의 신전국종합개발계획(新全国総合開発計画일본어)에서 규슈 신칸센이 1979년 개업 예정으로 계획되었다. 여러 의견 충돌 끝에 1989년 8월 첫 공사 구간인 제3시비산 터널(第三紫尾山トンネル일본어) 기공을 시작으로, 1991년 9월 신야쓰시로 ~ 서카고시마 구간의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갔다.[149][150][151]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큐슈 신칸센은 큐슈 여객철도(JR 큐슈)의 관할이 되었으나, 이후 건설 업무는 일본 철도 건설 공단으로 이관되었다. 1988년 큐슈 신칸센의 노선 명칭이 확정되었고, 1989년에는 난공사 추진 사업 계획이 인가되어 제3 시비야마 터널 안전 기원제가 개최되었다. 1990년에는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하카타미나미선 하카타역 - 하카타미나미역 구간이 개업했다.

1991년 야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의 잠정 정비 계획이 결정되고 기공식이 거행되었으며, 신칸센 철도 보유 기구가 해산하고 철도 정비 기금이 설립되었다. 1992년에는 운수 정책 심의회가 5대 도시에서 지방 주요 도시까지를 3시간 정도로 연결한다는 답신을 발표했다.

1994년 비자민 연립 정권과 자사사 연립 정권은 신규 착공 동결을 협의했으나, 1996년 신칸센의 신 재원 스킴, 신규 착공 구간 등이 결정되었다. 1997년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이 개정되어 재원 스킴이 재검토되었고, 철도 정비 기금이 선박 정비 공단과 통합되어 운수 시설 정비 사업단이 설립되었다.

1998년 정부・여당 정비 신칸센 검토 위원회에서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 하카타 - 니시가고시마 간의 유지를 확인하고, 후나고야 신호장 - 신야시로 간을 우선적으로 인가・착공하기로 결정했다. 1999년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후나고야 신호장 - 신야시로 간의 공사 실시 계획 변경이 인가되었다.

2000년 정부・여당 협의에서 하카타 - 후나고야 신호장 간의 착공, 전선의 풀 규격화, 교통 결절점으로서 신토스역 정비를 결정했다. 2001년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신야시로 - 니시가고시마 간의 공사 실시 계획 추가 인가(풀 규격화) 및 하카타 - 신야시로 간의 공사 실시 계획 추가 인가(풀 규격화, 하카타 - 후나고야 신호장 간 착공)가 이루어졌다.

2003년 큐슈 신칸센의 열차 애칭이 속달형・각역 정차형 모두 '츠바메'로 발표되었고, 하카타역 - 신야시로역 간을 운전하는 재래선 특급의 애칭을 '릴레이 츠바메'로 변경했다. 운수 시설 정비 사업단과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이 통합되어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가 설립되었다.

2004년 3월 13일 신야쓰시로 ~ 가고시마추오 구간이 부분 개업하며 신야쓰시로, 신미나마타, 이즈미, 센다이, 가고시마추오 5개 역이 영업을 개시했다. 동시에 신야츠시로-하카타를 잇는 재래선 특급인 '릴레이 츠바메'의 운행이 시작되었다. 2004년 3월 12일,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로부터 신청되었던 가고시마 루트의 신야시로 - 가고시마 중앙 간의 대부료에 대해 국토교통성이 연액 20.4억 엔으로 인가했다.[96]

2008년 4월에는 나가사키 루트 중 다케오 온천 ~ 이사하야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1년 3월 12일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이 개통되어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가 완성되었고, 산요 신칸센과 상호 직결 운행을 개시했다. 릴레이 츠바메 운용은 폐지되었다. 그러나 개업 전날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인해 개업식은 취소되었다. 2011년 3월 9일,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에서 신청된 가고시마 루트의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의 대여료에 대해 국토교통성이 연액 816억 엔으로 인가했다.[104]

2016년 2016년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전선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4월 20일 가고시마추오 - 신미나마타 간, 4월 23일 하카타 - 구마모토 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6년 4월 14일 구마모토 지진이 발생하여 구마모토역에서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로 회송 중이던 열차가 전 차량 탈선하고 고가교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 전 노선에서 운행이 중단되었다.[87]

2017년 3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으로 인한 서행 운전을 완전히 해제하여 정상 속도로 운행을 재개했고, 고빈도로(기본적으로 매일) 운행하는 임시 '미즈호' 2왕복을 설정했으며, '쓰바메'의 고쿠라역 운행이 부활했다.[106]

2018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1일당 운행 편수를 125편에서 119편으로 감축했다.[107]

2019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미즈호'와 '사쿠라'를 포함한 모든 열차에서 규슈 신칸센 내 차내 판매를 종료하고,[108] 구루메역과 센다이역에 정차하는 정기 '미즈호'를 각 1왕복씩 설정했다.[109][110] 11월 28일에는 지쿠고후나고야역 - 신오무타역 간 '신 미야마키 전력 구분소'에 신칸센 최초로 회생 전력 융통 장치를 설치했다.[111]

2020년 5월 20일부터 사전 예약제인 '특대형 짐 공간이 있는 좌석'이 시작되었으며,[112][113] 역에는 '수하물 사이즈 측정대'가 설치되었다. 7월 5일 레이와 2년 7월 호우의 영향으로 구마모토역 - 가고시마중앙역 간 운행이 8일까지 중단되었다.[114]

2022년 6월 25일 EX 서비스(익스프레스 예약, 스마트 EX)가 시작되었고,[115] 7월 1일에는 JR 규슈의 위치 정보 시스템 '도레도레'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 배신이 시작되었다.[41]

2023년 10월 1일부터 방일 외국인 여행객용 승차권인 재팬 레일 패스로 별도 전용 승차권인 '【재팬 레일 패스 전용】 노조미·미즈호 이용권'을 구입하면 '미즈호'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16]

2024년 3월 16일 도카이도, 산요, 규슈 신칸센에서 흡연실이 폐지되고 비상용 음료수 비축고로 전환됨에 따라 일본 국내 모든 신칸센에서 흡연이 금지되었다.[117][118][119]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큐슈 신칸센은 큰 피해를 입었으며, 4월 14일 밤의 지진 발생 시 큐슈 신칸센에서는 9개의 열차가 운행 중이었는데, 그 중 구마모토역에서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로 향하고 있던 회송 열차 (800계 6량 편성)가 구마모토역에서 가고시마 중앙역 방면으로 약 1.3 km 떨어진 쓰보이강 교량 위에서 탈선했다.[15] 지진 발생 13일 후인 4월 27일, 전 노선에서 운행이 재개되었다.[17]

8. 1. 개통 전 국철 시대

1964년 3월 23일 일본철도건설공단이 발족했다.[88] 같은 해 10월 1일에는 도카이도 신칸센이 도쿄역 - 신오사카역 구간을 개통했다.

1969년 5월 30일, 신 전국 종합 개발 계획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1970년 5월 18일에는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이 공포되었다.[89]

1972년 3월 15일, 산요 신칸센이 신오사카역 - 오카야마역 구간을 개통했다. 6월 29일에는 홋카이도 신칸센(아오모리시 - 삿포로시), 도호쿠 신칸센(모리오카시 - 아오모리시), 호쿠리쿠 신칸센(도쿄도 - 오사카시), 큐슈 신칸센(후쿠오카시 - 가고시마시) 4개 노선의 기본 계획이 결정 및 조사 지시되었다.[90][91][92] 7월 3일, 쇼와 47년 운수성 고시 제243호에 의해, 앞서 언급한 4개 노선의 기본 계획이 공시되었다.

1973년 11월 13일, 홋카이도 신칸센(아오모리시 - 삿포로시), 도호쿠 신칸센(모리오카시 - 아오모리시), 호쿠리쿠 신칸센(도쿄도 - 오사카시), 큐슈 신칸센(후쿠오카시 - 가고시마시), 큐슈 신칸센(후쿠오카시 - 나가사키시) 5개 노선의 정비 계획이 결정 및 건설 지시되었다.[93]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이 오카야마역 - 하카타역 구간을 개통했다.

1982년 9월 24일, 임시 행정 조사회 제3차 답신에서 재정 적자 확대, 국철의 경영 악화를 이유로 정비 신칸센 건설 계획의 당분간 보류를 각의에서 결정했다.[92]

1984년 10월 12일, 환경 영향 평가 보고서 초안이 공표되었다.

1986년 8월 29일, 하카타 - 니시가고시마 간의 공사 실시 계획 인가 신청이 있었다.

1987년 1월 30일, 정비 신칸센 계획 보류의 각의 결정이 변경되었다.

8. 2. 개통 전 JR 규슈 발족 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8. 3. 부분 개통 후

2004년 3월 13일,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본선)의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 (126.8 km)이 개통되었다.[97] 800계 전동차가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신야쓰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에 '쓰바메' 운행이 개시되었다. 기존 가고시마 본선의 특급 '쓰바메'는 '릴레이 쓰바메'로 명칭이 변경되어 하카타역 - 신야쓰시로역 구간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쓰바메'와 '릴레이 쓰바메'는 신야쓰시로역의 동일 플랫폼에서 환승이 가능하도록 운행되었다. 한편, 병행 재래선인 가고시마 본선야쓰시로역 - 센다이역 구간은 JR 큐슈에서 히사츠 오렌지 철도로 이관되었다.

6월 24일에는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의 공사 실시 계획이 추가로 인가되었으며 (하카타역 승강장 1면 2선 증설, 후나고야역(가칭) 설치),[98] 12월 16일에는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 정부·여당 중간 합의에서 새로운 재원 스킴(기존 신칸센 양도 수입의 선취 활용 등) 및 착공 구간이 결정되어,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은 '2010년 말 완성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2005년 3월 25일,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 시행령의 일부를 개정하는 정령안이 각의에서 결정되었고,[99] 12월 26일에는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의 공사 실시 계획(그 2)가 추가 인가되어 공사 완료 예정 시기가 2010년 말로 변경되었으며, 완성을 향해 역 형태 등이 인가되었다.

2006년 2월 13일에는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 선로 건설 공사 및 이에 따른 JR 큐슈 가고시마 본선 가선 공사 및 현도, 시도 및 농업용 용수로 대체 공사 등에 대해 국토교통대신으로부터 토지 수용법에 근거한 사업 인정이 공시되었다.[101]

2007년 5월 1일,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 선로 건설 공사 및 이에 따른 부대 공사 및 시도, 정, 수로, 농업용 도로 및 농업용 용수로 대체 공사에 대해 국토교통대신으로부터 토지 수용법에 근거한 사업 인정이 공시되었다.[102]

2009년 8월 4일에는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의 공사 실시 계획이 추가 인가되어 공사 예산이 8,920억 엔으로 증액되었다.[103]

2011년 3월 9일,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에서 신청된 가고시마 루트의 하카타 - 신야쓰시로 구간의 대여료에 대해 국토교통성이 같은 날 연액 816억 엔으로 인가했다.[104]

8. 4. 전선 개통 후

2011년 3월 12일, 규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 하카타역 - 신야츠시로역 구간(130.0 km)이 개업하여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105] 다이어 개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통 기념식은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모두 중지되었다. 6월 19일에는 개통 100일 기념 및 동일본 대지진으로부터의 부흥을 기원하는 '규슈 신칸센 100일 축하' 행사가 하카타역 등에서 열렸다.[105]

2012년 3월 13일 오후 4시경, 구루메역 - 지쿠고후나고야역 구간에서 전차선에 비닐 부착으로 인한 대규모 수송 장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다이어가 전 노선에서 종일 혼란을 겪어 상하행 총 48편이 운휴하고 28편이 최대 약 8시간 지연되었으며, 9000명에게 영향을 미쳤다.

3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47]

11월 12일 오전 9시경, 신타마나 - 구마모토 간에서 연선의 재래선 입체 교차화 사업 공사 중 크레인차가 전도되어 붐이 신칸센 하행선 전차선에 접촉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신타마나 - 신야츠시로 간 하행선이 정전되어 하카타 - 신미나마타 간 상하행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크레인 붐 철거 작업 후 오후 3시경 운행을 재개했으나, 상하행 총 54편이 운휴하고 16편이 지연되어 12,800명에게 영향을 미쳤다.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사쿠라'의 신시모노세키역 발 가고시마중앙역행, 가고시마중앙역 발 하카타역행 각 1편을 히로시마역 발착으로 변경했다. 이는 정기 열차로서는 처음으로 히로시마역 발착 '사쿠라'가 설정된 것이다. '쓰바메'의 산요 신칸센 운행은 잠정 폐지되었다.

2014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사쿠라'의 모든 열차가 신토스역과 구루메역에 정차하게 되었고, 이용률이 저조했던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발착 정기 '사쿠라'는 모두 폐지되었다.

2016년 4월 14일 구마모토 지진이 발생하여 구마모토역에서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로 회송 중이던 열차가 전 차량 탈선하고 고가교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 전 노선에서 운행이 중단되었다.[87] 4월 20일 신미나마타역 - 가고시마중앙역 간 운행을 재개했고,[87] 4월 23일 오후부터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 운행 편수를 줄여 운행을 재개했다.[87] 4월 27일 구마모토역 - 신미나마타역 간 운행을 재개하여 규슈 신칸센 전 노선에서 운행이 재개되었으며,[87] 4월 28일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운전을 재개했다.[87] 7월 4일부터는 통상 편수로 운행이 정상화되었으나 구마모토역 - 신야츠시로역 간 일부 구간에서는 서행 운전이 계속되었다.

2017년 3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으로 인한 서행 운전을 완전히 해제하여 정상 속도로 운행을 재개했고, 고빈도로(기본적으로 매일) 운행하는 임시 '미즈호' 2왕복을 설정했으며, '쓰바메'의 고쿠라역 운행이 부활했다.[106]

2018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1일당 운행 편수를 125편에서 119편으로 감축했다.[107]

2019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미즈호'와 '사쿠라'를 포함한 모든 열차에서 규슈 신칸센 내 차내 판매를 종료하고,[108] 구루메역과 센다이역에 정차하는 정기 '미즈호'를 각 1왕복씩 설정했다.[109][110] 11월 28일에는 지쿠고후나고야역 - 신오무타역 간 '신 미야마키 전력 구분소'에 신칸센 최초로 회생 전력 융통 장치를 설치했다.[111]

2020년 5월 20일부터 사전 예약제인 '특대형 짐 공간이 있는 좌석'이 시작되었으며,[112][113] 역에는 '수하물 사이즈 측정대'가 설치되었다. 7월 5일 레이와 2년 7월 호우의 영향으로 구마모토역 - 가고시마중앙역 간 운행이 8일까지 중단되었다.[114]

2022년 6월 25일 EX 서비스(익스프레스 예약, 스마트 EX)가 시작되었고,[115] 7월 1일에는 JR 규슈의 위치 정보 시스템 '도레도레'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 배신이 시작되었다.[41]

2023년 10월 1일부터 방일 외국인 여행객용 승차권인 재팬 레일 패스로 별도 전용 승차권인 '【재팬 레일 패스 전용】 노조미·미즈호 이용권'을 구입하면 '미즈호'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16]

2024년 3월 16일 도카이도, 산요, 규슈 신칸센에서 흡연실이 폐지되고 비상용 음료수 비축고로 전환됨에 따라 일본 국내 모든 신칸센에서 흡연이 금지되었다.[117][118][119]

8. 4. 1.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한 피해와 복구

2016년 4월 14일 저녁, 두 번의 강력한 지진 중 첫 번째 지진이 구마모토현을 강타한 후 가고시마 노선의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25곳의 고가 지지 구조물에 금이 가는 등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으며,[15] 약 80곳에서 방음벽이 붕괴되었다.[16]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큐슈 신칸센은 큰 피해를 입었다. 4월 14일 밤의 지진 발생 시 큐슈 신칸센에서는 9개의 열차가 운행 중이었는데, 그 중 구마모토역에서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로 향하고 있던 회송 열차 (800계 6량 편성)가 구마모토역에서 가고시마 중앙역 방면으로 약 1.3 km 떨어진 쓰보이강 교량 위에서 탈선했으며, 그 차량은 16일 새벽의 본진으로 인해 최대 23 cm 움직였다. 다른 모든 열차는 지진 감지에 따른 송전 정지로 인해 긴급 정차했으며, 탈선하지 않았고, 역 사이에 정차한 열차 승객의 구원은 다음날 아침까지 완료되었다. 지상 설비에서는 교각 받침부의 파손, 방음벽의 낙하 등이 발생했지만, 큐슈 신칸센의 구조물은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 수준의 지진에 견딜 수 있는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구조물의 기본적인 부분에 대한 치명적인 손상은 적었다. 역 부근에서는 구마모토역이나 신야시로역에서 손괴가 발생했다. 또한, 회송 열차가 탈선하면서 궤도의 손상이 발생했다.

탈선한 회송 차량은 하천 교량 위에 있어 대형 크레인이 접근할 수 없었기 때문에, 탈선 복구 장비를 사용하여 궤도에 올린 후, 모터카로 견인하여 1량씩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로 반입되었다.

구마모토현 이외에서는 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지만, 탈선 지점이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에 가까워 차량의 출입에 지장을 초래한 영향으로 차량 검사를 할 수 없었고, 전 노선에서 운전을 재개할 수 없었다.

4월 18일, JR 큐슈는 탈선된 열차를 선로로 되돌리려는 시도를 시작했다.[15]

그 후, 4월 21일에 신미나마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 23일 오후에 하카타역 - 구마모토역 간, 27일 오후에 구마모토역 - 신미나마타역 간에 운전을 재개하여, 큐슈 신칸센은 지진 발생 13일 후에 전 노선에서 운전을 재개했다.[17] 다음날 28일에는 산요 신칸센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재개했다. 다만, 일부 구간에서는 서행 운전을 실시하여 소요 시간이 평상시보다 길어지고, 운행 횟수가 평상시의 약 9할이 되며, 통상 가고시마 중앙역 발착의 일부 열차가 구마모토역 발착이 되는 등, 변칙적인 다이어로 운전되었다[85][86]。이때의 특급권 등의 취급에 대해서는, 산요 신칸센과의 직통 열차는 통상대로 지정석을 판매했지만, 큐슈 신칸센 내만을 운행하는 열차에 대해서는, 보통차는 전 차량 자유석으로 하고, 그린차(N700계만)는 차내에서만 그린권을 판매하는 대응을 했다. 7월 4일부터는 통상 다이어의 횟수, 운행 구간으로 돌아와, 큐슈 신칸센 내만을 운행하는 열차의 지정석 판매도 재개되었다. 구마모토역 - 신야시로역 간에서는, 이 후에도 일부 구간에서 계속해서 서행 운전을 실시, 가고시마 중앙역 발착의 열차는 소요 시간이 평상시보다 몇 분 연장된 상태로 운행되었다[87]

2017년 3월 4일부터,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설비의 보수 및 탈선 방지 가드의 부설 등 복구·지진 대책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구마모토역 - 신야시로역 간의 일부에서 실시되던 서행 운전을 해제하고, 소정의 속도로 운전을 재개했다[106]

8. 5. 연표

큐슈 신칸센의 연표는 다음과 같다.

9. 부기

큐슈신칸센은 다양한 방면에서 부가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캐치프레이즈는 시기별로 변화를 겪었다. 2004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는 "쓰바메, 날다",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는 "쓰바메로, 그것!", 2006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는 "내일, 쓰바메와." 등의 문구가 사용되었다. 2007년 1월부터 2009년 1월까지는 "가고시마 스위치・후쿠오카 스위치", 2009년 2월부터 2010년 9월까지는 "쓰바메. 여행하는 신칸센."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2010년 10월부터 2011년 2월까지는 "새로운 큐슈 기동"이라는 캐치프레이즈가 사용되었으며, 이를 홍보하기 위해 2010년 8~9월에는 "기동" 문구와 전원 스위치 일러스트가 담긴 포스터와 걸이 광고가 게시되었다.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는 "축! 큐슈~큐슈가 하나가 된다."라는 문구가 사용되었고, 같은 해 3월부터는 산요・큐슈 신칸센 직통 운행을 기념하여 JR 서일본과 공동으로 "간사이! 직결! 신칸센!"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다. JR 서일본에서는 "큐슈! 직결! 신칸센!"이라는 문구를 사용했으며, 가고시마현의 간사이 지역 대상 캠페인에서는 "진짜. 가고시마현"이라는 문구와 함께 사용되었다. 2011년 6월부터는 JR 큐슈에서 "개업 100일째"를 기념하여 "새로운 곳으로 가자"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고, JR 서일본에서는 "신칸센으로, 큐슈로."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2012년 1월부터 3월까지는 "고마워요! 직통 1주년~산요·큐슈 신칸센~그리고 앞으로도."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2015년 3월부터 2016년 3월까지는 "꿈을 이루러, 오늘 가자. "드림즈 컴 트루 신칸센""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으며, 2016년 3월부터는 "KAGOSHIMA by ROLA"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규슈신칸센은 이미지 모델을 활용한 홍보 활동도 전개했다. 개통 초기에는 구로키 히토미가 이미지 모델로 활동했으며, 2007년에는 코니시 마나미가 그 뒤를 이었다.[123] 2015년에는 DREAMS COME TRUE가 캠페인 송을 제공하며 이미지 모델로 활동했고,[120] 2016년에는 로라가 "JR 큐슈 공식 포토그래퍼"로 활동했다.[121] 이외에도 구마모토현에서는 스잔느가, 구루메시에서는 다나카 레나가, 사가현에서는 유메노 세이카와 아사카 마나토가 각 지역 홍보 활동을 펼쳤다.[124][125][126][127]

규슈 신칸센 전선 개통을 기념하는 이미지 송으로는 오추겐이 부른 「봄의 행인」이 2011년 3월 9일 에픽 레코드 재팬에서 발매되었으며,[128][129] 전선 개통 5주년인 2015년에는 DREAMS COME TRUE가 '드리카무 신칸센' 캠페인 송으로 「큐슈를 어디까지라도」를 발표했다.[130]

JR 규슈와 JR 서일본은 규슈 신칸센 전선 개업에 맞춰 다양한 CM을 제작했다. JR 서일본에서는 구마모토, 가고시마 관광 캠페인 CM을 제작하며 유즈의 "카나타"를 CM송으로 사용했다. JR 규슈에서는 전선 개업 기념 이벤트 "[http://www.shuku9.com/ 축! 큐슈 종단 웨이브]"를 CM으로 제작하여 칸 영화제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JACKSON 5의 「I Want You Back」를 BGM으로 사용한 CM도 제작되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선 개업을 기념하여 영화 기적을 연출했으며, 마에다 마에다가 주연을 맡았다.

규슈 신칸센은 응급 환자 이송 협력 체계인 '닥터 트레인'을 운영하고 있다.[133] 이는 N700계 및 800계 신칸센 차량에 설치된 다목적실을 활용하여 신생아 등 주산기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이송하는 시스템이다.[134] 2010년 1월에는 이즈미시에서 가고시마 시립 병원으로 신생아과 의사를 이송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2011년 4월에는 가고시마 시립 병원에 입원 중이던 1세 남자아이를 도쿄도의 병원으로 이송하는 데 활용되었다.[137][138] JR 큐슈, JR 서일본, JR 도카이는 "차내에서 수술은 하지 않는다", "감염력이 강한 병 환자 수송은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합의했다.[136]

사가와큐빙과 JR 큐슈는 2021년 5월 18일부터 규슈 신칸센 하카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에서 화객혼재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2021년 11월 8일에는 후쿠오카 출신의 남성이 사쿠라 신칸센 열차에 방화를 시도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8]

신야츠시로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에서는 시험 주행 시기부터 진동과 소음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JR규슈는 해당 구간에서 감속 운전을 실시하고 소음 경감을 위한 기술 개발 시험을 진행했다.[140][141][142] 또한, 2010년 7월 23일에는 터널 콘크리트 조각 낙하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143][144]

2012년 3월 13일에는 가선에 농업용 비닐 시트가 걸려 운행이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2012년 11월 12일에는 연선 공사 크레인이 전복되어 가선에 접촉, 수송 장애가 발생하기도 했다.[146][147][148] 사고 이후 국토교통성 큐슈 운수국은 JR규슈에 경고 문서를 발송했다.

9. 1. 홍보 관련

규슈 신칸센은 개통 전부터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쳤다.
캐치프레이즈전체 캐치프레이즈는 "Hello! New Kyushu"이며, 2011년 봄의 전체 캠페인 캐치프레이즈는 "祝! 全線開業 (축! 전선 개업)"이었다.
이미지 모델

9. 1. 1. 캐치프레이즈

쓰바메, 날다 (2004년 3월 - 2005년 2월)

쓰바메로, 그것! (2005년 3월 - 2006년 2월)

내일, 쓰바메와. (2006년 3월 - 2006년 12월)

가고시마 스위치・후쿠오카 스위치 (2007년 1월 - 2009년 1월)

쓰바메. 여행하는 신칸센. (2009년 2월 - 2010년 9월)

새로운 큐슈 기동 (2010년 10월 - 2011년 2월)

축! 큐슈~큐슈가 하나가 된다. (2011년 3월 - 2011년 5월)

간사이! 직결! 신칸센! (2011년 3월 - )

새로운 곳으로 가자 (2011년 6월 - )

신칸센으로, 큐슈로. (2011년 6월 - )

고마워요! 직통 1주년~산요·큐슈 신칸센~그리고 앞으로도. (2012년 1월 - 2012년 3월)

꿈을 이루러, 오늘 가자. "드림즈 컴 트루 신칸센" (2015년 3월 - 2016년 3월)

KAGOSHIMA by ROLA (2016년 3월 - )

9. 1. 2. 이미지 모델

JR 큐슈는 규슈 신칸센 부분 개업 후 초기에 구로키 히토미(후쿠오카현 출신)를 이미지 모델로 기용했다.[123] 이후 코니시 마나미(가고시마현 출신)가 2007년에 이미지 모델을 맡았다. 2015년에는 DREAMS COME TRUE가 기용되어 캠페인 송을 제공했으며,[120] 2016년에는 로라가 "JR 큐슈 공식 포토그래퍼"로 활동했다.[121]

구마모토현에서는 구마모토현 선전부장인 스잔느[124], 구루메시에서는 구루메 고향 특별 대사인 다나카 레나[125], 사가현에서는 신토스역 개업 미시요넬 "사가 사쿠라 젠느"로 위촉된 유메노 세이카와 아사카 마나토[126][127]가 규슈 신칸센 전선 개업에 맞춰 각 자치체의 홍보 활동을 펼쳤다.

9. 1. 3. 이미지 송

규슈 신칸센 전선 개통 이미지 송으로, 나카고스케와 모토 치토세 2인조 유닛인 '오추겐'이 부른 「봄의 행인」이 2011년 3월 9일 에픽 레코드 재팬에서 발매되었다.[128][129]

전선 개통 5주년인 2015년에는 DREAMS COME TRUE가 '드리카무 신칸센' 캠페인 송으로 「큐슈를 어디까지라도」를 발표하고, 같은 해 4월 8일에 배포 한정 싱글로 발매했다.[130]

9. 1. 4. CM

규슈 신칸센 전선 개업에 맞춰 JR 규슈와 JR 서일본에서 여러 버전의 CM이 제작되었다.

JR 서일본에서는 "규슈! 직결! 신칸센!" 캠페인의 일환으로 구마모토, 가고시마 관광 캠페인 CM을 제작했다. CM송으로는 유즈의 "카나타"(앨범 『2-NI-』에 수록)를 채용했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한때 방송이 중단되었지만, 3월 하순부터 방송이 재개되었다.

JR 규슈의 CM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JR 규슈에 의한 전선 개업 기념 이벤트 "[http://www.shuku9.com/ 축! 큐슈 종단 웨이브]"에 의한 CM이다. 2011년 2월 개업 전에 가고시마 중앙역에서 하카타역을 향해 운행된 특별 열차를 향해 연선에서 손을 흔드는 등의 퍼포먼스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지진으로 인해 CM이 자제된 영향으로 텔레비전에서는 규슈 내에서 몇 차례만 방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튜브 등에서 공개된 CM 영상이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리고 칸 영화제(칸 라이언즈) 2011에 출품되어, 아웃도어 부문에서 금상, 미디어 부문에서 은상, 필름 부문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JR 규슈에서는 그 외에도 JACKSON 5의 「I Want You Back」를 BGM으로, "왜 멈춰 서 있는 거야?", "미래는 밝을 거야"라는 캐치 카피와 함께 규슈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30초, 45초 버전의 CM이 방송되었다.

9. 1. 5. 영화

기적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선 개업을 기념하여 JR 큐슈와 제이알 동일본 기획(JR 동일본 계열 광고 회사)가 기획 및 제작에 참여했다. 마에다 마에다가 주연을 맡았으며, 2011년 6월에 개봉했다.

9. 2. 닥터 트레인

규슈 신칸센 열차에서 시행되는 응급 환자 이송 협력 체계이다.[133] 몸 상태가 좋지 않은 승객이 쉴 수 있도록 N700계 및 800계 신칸센 차량에 설치된 다목적실을 활용하며, 신생아 등 주산기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대상이다.[134]

기존 일본의 응급 이송 체계는 구급차와 닥터헬기 등이 있지만, 수가 부족하여 긴급 시 이용이 어려울 수 있다. 헬기는 급격한 기압 변화가 우려되고, 육상 구급차 이송은 진동과 긴 소요 시간으로 환자에게 부담을 주며, 장거리 운전 스탭에게도 부담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135] 이에 의료계는 고도 의료 담당 병원이 많은 거점 도시 간을 짧은 시간에 연결하는 신칸센에 주목, JR 측에 협력을 요청하여 실현되었다.

JR 큐슈는 N700계와 800계의 다목적실을 활용, 규슈, 산요, 도카이도 신칸센 전철을 이용하여 규슈 각 현과 긴키 지방, 간토 지방의 병원으로 이송이 필요한 환자를 이송한다. 2일 전까지 예약이 필요하지만, JR 큐슈는 가능한 전날이나 당일 요청에도 응할 수 있도록 담당 창구에 전화하면 열차에서 역 구내 이동까지 수배 가능한 체제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JR 큐슈, JR 서일본, JR 도카이는 협의를 통해 "차내에서 수술은 하지 않는다", "감염력이 강한 병 환자 수송은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합의했다.[136]

응급 의료 활동에서 큐슈 신칸센을 활용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도쿄 방면으로는 큐슈 신칸센 차량이 도카이도 신칸센에 직결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대면 환승이 가능한) 오카야마역 또는 히로시마역 출발 "노조미"로 환승할 계획으로 진행된다.

9. 3. 화객 혼재 사업

사가와큐빙과 JR 큐슈는 2021년 5월 18일부터 규슈 신칸센 하카타역 - 가고시마 중앙역 구간에서 하루 왕복 1편씩(매일) 후쿠오카시가고시마시 간의 택배 화물 수송 화객혼재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9. 4. 문제점 및 수송 장애 사례

2021년 11월 8일 아침, 후쿠오카 출신의 69세 남성이 사쿠라 신칸센 열차에 방화를 시도했다.[18] 사쿠라 401호 열차는 방화 시도 당시 구마모토역과 신야쓰시로역 사이를 운행 중이었다.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범행 동기에 대해 용의자는 2021년 10월 도쿄 공격을 모방하려 했다고 진술했다.

=== 소음 문제 ===

신야츠시로역 - 가고시마추오역 구간의 시험 주행 실시 시기부터 신칸센이 지하를 달리는 가고시마시 무오카 지구 등에서는 예상 밖의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여 주민들의 불만이 잇따랐다[140]. JR규슈는 해당 구간에서 2004년 10월 1일부터 감속 운전을 실시하고,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에 의한 소음 경감을 위한 기술 개발 시험의 일환으로 사쓰마타가미 터널 내 노반 개량 등의 공사에 착수했다[141]. 소음 경감 효과가 확인된 2011년 3월 12일부터 해당 터널 내 감속 운전이 해제되었다[142].

=== 터널 콘크리트 조각 낙하 사고 ===

2010년 7월 23일 큐슈 신칸센 운행 개시 이후 최초의 콘크리트 박락 사례가 센다이역 - 가고시마추오역 간의 제3 우메키 터널에서 확인되었다[143][144]. 내용은 상행선 선로 옆 바깥쪽의 터널 입구에 있는 완충공 안쪽의 콘크리트 조각(세로 약 40 cm, 가로 약 26 cm, 두께 약 3 cm, 무게 약 3 kg)이 떨어져 낙하하였고, 같은 날 오전 1시 40분 경에 점검 중이던 JR규슈 작업원이 발견했지만, 열차 운행에는 지장이 없었다[143].

2012년 6월 20일에는 센다이역 - 가고시마추오역 간의 시오츠루 터널에서 100g의 콘크리트 조각이 낙하한 것이 발견되었다. 새벽에 보선 작업 점검 중이던 작업원이 발견했지만, 열차 운행에는 지장이 없었다.[145]

=== 가선 지장으로 인한 수송 장애 ===

2012년 3월 13일 오후 4시경, 구루메역 - 치쿠고후나고야역 간에서 가선에 농업용 비닐 시트가 걸려 있는 것을 해당 구간을 주행 중이던 사쿠라 557호의 운전사가 발견하고 긴급 정지했다. 상하선에서 운행이 중단되었다. 약 2시간 후에 비닐 시트가 제거되었지만, 사쿠라 557호는 송전 정지를 위해 누른 보호 접지 스위치가 용착되었다. 정전 상태에서 해제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동안 차량의 축전지 전압이 저하되어 자력 주행 불능이 되어, 후속 열차를 연결하고 나서야 겨우 운전을 재개했다. 이 영향으로 승객 수 명이 컨디션 불량을 호소했고, 상하선 합계 45편이 운휴, 28편이 최대 7시간 51분 지연, 약 9000명에게 영향이 있었다. 보호 접지 스위치 용착은 산요 신칸센에서는 수년에 1번 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JR서일본에서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146], JR규슈는 당시 대처법을 매뉴얼화하지 않았다[147].

=== 연선 공사 크레인 전복에 의한 수송 장애 ===

2012년 11월 12일 오전 9시 8분 경, 신타마나역 - 구마모토역 간의 구마모토시 주오구 요코테 부근에서 연선의 가고시마 본선 연속 입체 교차화 사업의 공사를 시공하고 있던 대형 크레인차가 주행 중 밟은 지면 아래에 있는 암거의 함몰로 인해 전복되어, 크레인의 붐이 신칸센 하행선 가선에 접촉했다. 이 영향으로 신타마나역 - 신야츠시로역 간의 하행선이 정전 상태가 되어, 하행선은 하카타역 - 신미나마타역 간에서 운행 중단, 이내 상행선도 크레인 붐 제거 작업 때문에 해당 구간에서 운행을 중단했다. 그 후 크레인 붐 제거 작업을 실시하여 오후 3시 15분에 운전을 재개했다. 이 영향으로 상하선 합계 54편이 운휴, 16편이 지연, 12800명에게 영향이 있었다. 운행 중단 기간 동안, 하카타역 - 야츠시로역 간의 재래선에서는 대체 임시 특급 열차가 운행되었고, 신야츠시로역 - 신미나마타역 간에서는 버스에 의한 대행 수송이 이루어졌다. 크레인차 전복 원인에 대해, 해당 공사를 관리하던 JR규슈는 함몰된 암거에 적절한 방호 조치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148]. 또한, 영향 인원이 많았던 점을 감안하여 국토교통성 큐슈 운수국은 11월 12일자로 JR규슈에 경고 문서를 발송했다.

10. 노선 형태 상세

규슈 신칸센의 노선은 후쿠오카현의 하카타역에서 시작하여 가고시마현의 가고시마 중앙역까지 이어지며, 여러 터널과 역을 지난다.

구체적인 노선 형태는 다음과 같다. 하카타역을 출발한 신칸센은 다케시타역을 지나고, 하카타 미나미 선과 하카타 종합 차량소 방면으로 분기된다. 이후 나카가와 터널과 지쿠시 터널(11,865m)을 통과하며, 지쿠호 본선과 합류하는 지점을 지난다. 하라다역과 토스역을 거쳐 신토스역에 도달하며, 이곳에서 나가사키 본선이 분기된다. 히젠아사히역을 지나 지쿠고강을 건너 구루메역에 도착하며, 규다이 본선이 연결된다.

아라키역, 니시무타역, 하네즈카역을 차례로 지나 지쿠고후나고야역에 도착하고, 야베강을 건넌다. 세타카역을 지나 다카다 터널을 통과한 후, 신오무타역에 이른다. 오무타역을 지난 후에는 미이케 터널(5,415m)과 타마나 터널(6,757m)을 통과하여 신타마나역에 도착한다. 타마나역을 지나 기쿠치강을 건너고, 기노하 터널, 노다 터널, 신타바루자카 터널(2,940m), 코즈카 터널을 차례로 통과한다. 가미쿠마모토역을 지나 구마모토역에 도착하며, 이곳에서 호히 본선이 분기된다.

시라카와를 건너 니시쿠마모토역과 가와지리역을 지나고, 미도리가와를 건넌다. 토미아이역을 지나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방면으로 연결선이 있으며, 우토역을 지나 미스미선이 합류하는 지점을 지난다. 히카와를 건너 릴레이 츠바메용 연락선을 지나 신야츠시로역에 도착하며, 이곳에서 가고시마 본선이 분기되고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이 연결된다. 묘켄 터널(1,997m)을 지나 히사츠 선과 합류하는 지점을 지나 구마강을 건넌다. 제2 이마이즈미 터널(4,680m), 타가미 터널(6,991m), 쿠와가와우치 터널(3,440m), 요시오 터널(6,040m)을 차례로 통과하고, 신츠나기 터널(5,160m)을 지나 신미나마타역에 도착한다. 미나마타강을 건너 미나마타역을 지나고, 오다시로 터널과 후쿠로 터널을 통과한다. 이즈미역을 지나 요네노츠강을 건너고, 제1 시오야마 터널(2,435m), 제2 시오야마 터널(3,394m), 제3 시오야마 터널(9,987m), 타카기 터널을 차례로 통과한다. 센다이가와를 건너 센다이역에 도착하며, 가고시마 본선과 연결된다. 센다이 신칸센 차량 센터를 지나 시오츠루 터널(4,175m), 제1 칸무리카케 터널(3,548m)을 통과하고, 제6 사츠마 터널과 사츠마타가미 터널(3,302m)을 지나 가고시마 중앙역에 도착한다. 마지막으로 닛포 본선과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이 분기된다.

규슈 신칸센은 다음과 같은 자치 단체를 통과한다. 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하카타구, 미나미구), 가스가시, 나카가와시, 사가현도스시, 다시 후쿠오카현의 구루메시, 지쿠고시, 미야마시, 오무타시, 구마모토현다마나군난칸마치, 다시 후쿠오카현의 오무타시, 다시 구마모토현의 다마나군 난칸마치, 다마나시, 교쿠토마치, 구마모토시(기타구, 니시구, 주오구, 니시구, 미나미구), 우토시, 우키시, 야쓰시로군히카와마치, 야쓰시로시, 아시키타군아시키타마치, 아시키타군 쓰나기마치, 미나마타시, 가고시마현의 이즈미시, 아쿠네시, 사쓰마센다이시, 이치키쿠시키노시, 히오키시, 가고시마시를 지난다.

11. 지리

규슈 신칸센은 다음 자치 단체를 통과한다.



1991년 가고시마 루트 건설이 시작되었고, 가고시마신야쓰시로 사이 첫 구간은 2004년 3월 13일 개통되었다. 이 구간 개통으로 두 도시 간 이동 시간은 2시간 10분에서 35분으로, 하카타와 가고시마 간 이동 시간은 4시간에서 2시간으로 단축되었다. 전체 노선 완공 후 하카타에서 가고시마까지 이동 시간은 약 1시간 20분으로 더 단축되었다. 2012년 기준 하카타와 가고시마 사이 최고 속도는 260km/h이다.[7] 모든 신칸센 노선과 마찬가지로 규슈 신칸센은 표준궤이다.

사쿠라미즈호 열차는 종종 산요 신칸센을 경유하여 신오사카역까지 운행된다. 각역 정차 열차는 과거 하카타-가고시마 간 특급 열차 이름이었던 쓰바메(제비)로 명명되었으며, 규슈 신칸센에서만 운행된다.

2011년 9월, 노선 완공 6개월 후 JR 큐슈는 규슈 남부(구마모토와 가고시마 사이) 승차율이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회사가 예상한 40% 증가를 훨씬 넘어선 수치이다. 개통 1주년이 되면서 승차율은 간사이와 주고쿠 지역 관광객을 중심으로 증가했다.[8] 일반 JR 쾌속 열차, 사철인 니시닛폰 철도, 고속 버스와 경쟁이 치열한 규슈 북부에서는 신칸센 승차율이 38% 증가(현재 운행이 중단된 재래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와 비교)에 그쳐 예상에 미치지 못했다.[9]

11. 1. 통과하는 자치 단체

규슈 신칸센은 다음과 같은 자치 단체를 통과한다.

12. 참고 문헌

다음은 큐슈 신칸센 관련 참고 문헌 목록이다.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에서 발행한 보고서로는 다음이 있다.

12. 1. 홍보 자료 및 보도 자료 등 1차 자료

큐슈신칸센 관련 정보는 국토교통성과 철도·운수기구에서 제공하는 홍보 및 보도 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신칸센 건설 및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노선 정보, 기술적 특징, 경제적 효과 등을 포함한다. 큐슈신칸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기관의 공식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12. 2. 잡지 기사

다음은 규슈 신칸센 관련 잡지 기사 목록이다.

12. 3. 보고서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에서 발행한 보고서로는 2009년 3월에 발행된 "규슈 신칸센(신야시로・가고시마추오 간) 사업에 관한 사후 평가 보고서"와 2016년 3월에 발행된 "규슈 신칸센(하카타・신야시로 간) 사업에 관한 사후 평가 보고서"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九州新幹線全線開通 博多-鹿児島中央 計画決定から38年 / 西日本新聞 https://web.archive.[...] 2022-06-11
[2]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new bullet train route starts in Kyushu : National : … https://archive.toda[...] 2022-06-11
[3] 웹사이트 建設計画・ルート https://web.archive.[...] Pref.nagasaki.jp 2022-06-11
[4] 웹사이트 Shorter N700S to serve Nagasaki https://www.railwayg[...] 2022-06-11
[5] 웹사이트 2022年度秋頃に西九州新幹線が開業します!列車名「かもめ」 https://www.jrkyushu[...] 2022-06-11
[6] 웹사이트 JR初の新型特急「783系」は型破りな異端児だった 「ハイパーサルーン」の愛称でJR九州の主力担う https://toyokeizai.n[...] 2022-06-11
[7] 간행물 300km/hのトップランナー Kōyūsha Co., Ltd. 2012-04
[8] 웹사이트 Shinkansen spurs Kyushu Business https://web.archive.[...] 2022-06-11
[9] 뉴스 南部好調、北部で苦戦 九州新幹線、全線開通から半年 http://www.asahi.com[...] 2011-09-12
[10] 웹사이트 九州新幹線長崎ルート https://web.archive.[...] 2022-06-11
[11] 웹사이트 西九州新幹線の開業日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2022-06-11
[12] 서적
[13] 간행물 平成23年春ダイヤ改正 https://web.archive.[...] JR Kyushu 2010-12-19
[14] 웹사이트 西九州新幹線の最高速度、開通後の時短効果は? もしかして料金が高くなってしまうのでは……? https://nlab.itmedia[...] 2022-06-11
[15] 웹사이트 Pictures reveal serious damage to Shinkansen in Kyushu https://web.archive.[...] The Asahi Shimbun 2022-06-11
[16] 뉴스 Reopening of Kyushu Shinkansen still a long way off https://mainichi.jp/[...] Mainichi Japan 2016-04-19
[17] 웹사이트 Kyushu Shinkansen resumes after quakes- News – NHK WORLD – English https://web.archive.[...] NHK 2022-06-11
[18] 웹사이트 Man Arrested after Setting Fire on Kyushu Shinkansen Train https://www.nippon.c[...] 2022-09-06
[19] 서적 特急列車のすべて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0-07-23
[20] 웹사이트 九州新幹線 800 系『つばめ』の開発 https://www.jsme.or.[...] 九州旅客鉄道株式会社 2019-01-25
[21] 문서 『鉄道ピクトリアル 2008年2月号(Vol.800)』電気車研究会 p.145「日本の高速鉄道 - その軌跡と今後の展望 -」高津 俊司、土井 充
[22] 문서 산陽 신칸센 구간의 영업 거리는 기본적으로 병행하는 산요 본선의 것이 적용되지만, 산요 신칸센의 승차 구간에 신이와쿠니 역 - 도쿠야마 역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이와쿠니 역 - 구시가하마 역 간에서 이와토쿠선을 경유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운임・요금을 계산한다. 이와토쿠선은 지방 교통선이므로, 운임을 계산하는 경우는 환산 킬로가 적용되어 운임 계산 킬로는 영업 거리보다 4.4km 많아진다.
[23] 서적 【図説】日本の鉄道特別編成 山陽・九州新幹線ライン(講談社)ISBN 9784062700733、40–43頁・48頁
[24] 문서 또한, 가고시마・구마모토 방면의 재래선 특급은 규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의 전선 개업 후, 후자로 대체되었다. 고쿠라・오이타 방면의 재래선 특급은 종래보다 하카타 발이며, 규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의 전선 개업 후에도 본수는 그다지 변하지 않았다. 나가사키 방면의 재래선 특급은 증편되었다.
[25] 문서 이때 가고시마 본선 야쓰시로 역 - 가고시마 역 간의 루트는, 현재의 히사쓰선 루트에서 동중국해 연안부를 통과하는 루트로 변경되었다.
[26] 웹사이트 JR九州/駅別時刻表/鹿児島中央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4-17
[27] 뉴스 九州新幹線「新800系」順次導入へ-車内随所に九州の伝統工芸 http://hakata.keizai[...] 博多経済新聞 2009-12-19
[28] 뉴스 九州新幹線新800系を投入 JR九州 http://www.tetsudo.c[...] 2008-12-23
[29] 뉴스 800系の九州新幹線「つばめ」の文字、消します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0-11-06
[30] 간행물 800系のデザイン変更について http://www13.jrkyush[...] 九州旅客鉄道 2010-12-17
[31] 뉴스 800系U009編成が山陽新幹線で試運転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11-01-29
[32] 문서 「鉄道ファン」2012年7月号p.48。
[33] 웹사이트 向谷実の鉄道と音楽がいっぱい(鉄音モバイル) http://tetsuon.net/
[34] 웹사이트 CD「さくら〜九州新幹線全線開業記念BGM」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20-08-12
[35] 문서 2016年3月から使用。
[36] 문서
[37] 문서
[38] 웹사이트 向谷倶楽部 音楽部 http://www.mukaiyacl[...]
[39] 문서
[40] 간행물 平成23年春ダイヤ改正 http://www13.jrkyush[...] 九州旅客鉄道 2010-12-17
[41] 웹사이트 ~ 運行情報のご案内を充実 ~ 「JR九州アプリ」の列車位置情報提供機能「どれどれ」 の対象路線に九州新幹線を追加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7-03
[42] 뉴스 車内照明に新幹線表示板… 鉄道もLED化進行中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0-12-13
[43] 뉴스 九州新幹線:「みずほ」正式決定…最速列車の名称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0-10-20
[44] 뉴스 九州新幹線:「みずほ」検討認める 博多駅ビル開業「3月初旬」--JR九州社長会見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0-08-26
[45] 뉴스 最速「みずほ」で3時間47分 大阪—鹿児島直通新幹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0-08-24
[46] 간행물 2010年10月定例社長会見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0-10-20
[47] 간행물 平成24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13.jrkyush[...] 九州旅客鉄道 2011-12-16
[48] 간행물 山陽新幹線・九州新幹線直通列車の列車名決定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09-02-26
[49] 간행물 山陽・九州新幹線直通列車「みずほ」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0-10-20
[50] 간행물 平成23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新幹線管理本部・福岡支社 2010-12-17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뉴스 春を告げるイメージ 九州新幹線は「つばめ」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03-03-21
[57] 뉴스 交通新聞 2003-03-25
[58] 뉴스 読売新聞 2003-03-21
[59] 서적 JTB時刻表 JTBパブリッシング 2010-03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웹사이트 交通・営業データ(平成27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7-08-18
[68] 웹사이트 交通・営業データ(平成28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7-08-18
[69]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18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9-10-10
[70]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19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5-21
[71]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20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5-21
[72]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21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11-10
[73]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22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9-22
[74]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23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9-22
[75] 웹사이트 運賃・料金改定のご案内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9-12-10
[76] 문서 小倉駅 (福岡県) - 久留米駅間(営業キロ118.7 km)の通常期特急料金は、2290円(山陽新幹線指定席100 km以下)+1790円(九州新幹線指定席50 km以下)=4080円でも、1760円(山陽新幹線自由席100 km以下)+1260円(九州新幹線自由席50 km以下)+530円=3550円でもなく、990円(小倉 - 博多間特定特急料金)+870円(博多 - 久留米間特定特急料金)+530円=2390円となる。ちなみにこれは、山陽新幹線および九州新幹線単独区間相当の自由席特急料金(100 - 150 km間、共に2530円)よりも安い。
[77] 웹사이트 新幹線各駅間の運賃・特急料金早見表 https://www.jr-odeka[...] 西日本旅客鉄道(JRおでかけネット)
[78] 웹사이트 運賃・料金の改定申請の認可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11-29
[79] 간행물 九州行くなら、新幹線。「のぞみ&九州新幹線」早特往復きっぷの発売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1-02-21
[80] 간행물 「九州新幹線&のぞみ」早特往復きっぷ(博多乗換)の発売について http://www13.jrkyush[...] 九州旅客鉄道 2011-02-21
[81] 간행물 「のぞみ&九州新幹線」早特往復きっぷの発売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1-02-15
[82] 간행물 「ビックリつばめ2枚きっぷ」を継続発売! http://www13.jrkyush[...] 九州旅客鉄道 2013-06-03
[83] 간행물 割引きっぷ見直しのお知らせ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1-09-14
[84] PDF 「つばめ限定!九州ネット早特7」を継続発売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85] PDF 新幹線時刻表(4月28日以降分)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6-04-28
[86] 뉴스 九州新幹線、全面再開=主要交通網、ほぼ復旧-熊本地震2週間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6-05-24
[87] 간행물 山陽・九州新幹線直通列車を通常の運転本数で運転します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16-06-03
[88] 서적 日本国有鉄道百年史年表 日本国有鉄道
[89] 웹사이트 整備新幹線に係る主な経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90] 웹사이트 九州新幹線 全線開業までの経緯 http://www.pref.fuku[...] 福岡県 2014-10-17
[91] 웹사이트 鹿児島ルートの経緯 http://www.pref.saga[...] 佐賀県
[92] 웹사이트 鹿児島ルートの役割と経緯 http://www.pref.kago[...] 鹿児島県
[93] 웹사이트 鹿児島ルートの計画概要 http://www.pref.kago[...] 鹿児島県
[94] 간행물 「全国新幹線鉄道整備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案」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12-16
[95] 뉴스 九州新幹線 列車名は「つばめ」/JR九州-在来特急は「リレーつばめ」 http://373news.com/2[...] 南日本新聞 2018-12-13
[96] 간행물 九州新幹線(新八代・鹿児島中央間)の貸付料の額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12-26
[97] 서적 日本鉄道史年表(国鉄・JR) グランプリ出版
[98] 간행물 九州新幹線博多・新八代間の工事実施計画の変更認可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12-26
[99] 간행물 全国新幹線鉄道整備法施行令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案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12-26
[100] 간행물 整備新幹線の工事実施計画(その2)の認可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5-02-03
[101] PDF 国土交通省告示第二五二号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02] PDF 国土交通省告示第五百二十三号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03] 간행물 九州新幹線(博多・新八代間)工事実施計画の変更認可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12-16
[104] 간행물 九州新幹線(博多・新八代間)の貸付料の額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12-26
[105] 뉴스 九州新幹線開業100日、仕切り直しの出発式 震災復興願う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社 2016-05-10
[106] 간행물 平成29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6-12-16
[107] 웹사이트 平成30年3月にダイヤを見直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9-11-19
[108] Wayback 九州新幹線車内販売等の終了のお知らせ https://www.jrkyushu[...] 2019-01-26
[109] 문서 高頻度で運行する臨時「みずほ」2往復のうち1往復を定期列車化。
[110] 간행물 筑肥線「糸島高校前駅」が開業します。香椎線が快適に生まれ変わり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9-01-26
[111] 웹사이트 回生電力を有効活用し、省エネ効果を発揮!!JR九州初!九州新幹線に 「電力融通装置」 を導入!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9-11-19
[112] 간행물 【社長会見】東海道・山陽・九州新幹線 「特大荷物スペースつき座席」サービスの開始日等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2-11-29
[113] 문서 東海道・山陽・九州新幹線への特大荷物のお持ち込みについて https://railway.jr-c[...] 東海旅客鉄道 2020-05-20
[114] 웹사이트 令和2年7月豪雨災害による被害状況等について(第10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0-07-08
[115] 간행물 「EXサービス」が6月25日より九州新幹線でご利用可能になります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3-25
[116] 간행물 「ジャパン・レール・パス」の価格改定日および商品内容の拡充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JRグループ 2023-10-26
[117] 간행물 九州新幹線 車内喫煙ルームの廃止日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3-16
[118] 간행물 東海道新幹線 車内喫煙ルームの廃止日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2024-03-16
[119] 간행물 山陽新幹線 車内喫煙ルームの廃止日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3-16
[120] 문서 「ドリカム新幹線」プロジェクト スタート! 九州旅客鉄道
[121] 문서 ローラがJR九州公式フォトグラファーに就任!『KAGOSHIMA by ROLA』ローラが新しい「九州新幹線で行く鹿児島の旅」を伝えます! 九州旅客鉄道
[122] 문서 KAGOSHIMA by ROLA http://kagoshimabyro[...] 九州旅客鉄道
[123] 문서 九州新幹線「つばめ」/イメージタレント 女優 黒木瞳さんに決定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24] 문서 “宣伝部長”スザンヌ「熊本がダ〜イスキ」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1-01-02
[125] 문서 久留米ふるさと特別大使紹介 http://www.kurume-ho[...] 久留米・新幹線活用プロモーション実行委員会特別サイト
[126] 문서 当時[[宝塚歌劇団]]所属。夢乃は2015年、朝夏は2017年退団。
[127] 뉴스 新鳥栖駅PR役「さがさくらジェンヌ」に委嘱状 http://www.saga-s.co[...] 佐賀新聞 2011-01-23
[128] 문서 九州新幹線全線開業を「お中元」も歌で歓迎 http://news.music.bi[...]
[129] 문서 作曲は[[大橋卓弥]]・[[常田真太郎]]([[スキマスイッチ]])、作詞は[[岡本定義]] ([[COIL]])。
[130] 문서 キャンペーンソング「九州をどこまでも」 http://www.dct-shink[...] 九州旅客鉄道
[131] 문서 カンヌ受賞も夢じゃない? まえだまえだが是枝裕和監督『奇跡』で映画初主演 https://www.moviecol[...] MOVIE Collection 2010-09-16
[132] 뉴스 映画「奇跡」九州で先行公開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1-06-04
[133] 문서 九州新幹線にドクタートレイン導入 多目的室利用し広域医療を充実 http://qq.kumanichi.[...] 熊本日日新聞 2011-02-03
[134] 뉴스 九州新幹線で急患搬送 11年春「ドクタートレイン」 http://www.47news.jp[...] 南日本新聞 2009-12-31
[135] 문서 九州新幹線先行開業区間は高速道路網が貧弱な地域を走行するため(この点は[[南九州西回り自動車道]]を参照のこと)、この点は特に深刻である。
[136] 뉴스 JR九州が九州新幹線800系の仕様を変更した「やさしい」理由とは? 重症患者の搬送受け入れ JR九州、新幹線多目的室を活用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6-03-12
[137] 뉴스 新生児救命へ新幹線・防災ヘリ活用 大雪の中、鹿児島―出水 http://www.47news.jp[...] 47NEWS・南日本新聞 2010-01-14
[138] 뉴스 新幹線で患者搬送、「ドクタートレイン」が活躍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 2011-06-17
[139] 웹사이트 九州新幹線を使用した貨客混載事業を開始します https://www.jrkyushu[...] 佐川急便株式会社、九州旅客鉄道株式会社 2021-09-18
[140] 뉴스 トンネル上の住民が苦情 九州新幹線で振動、騒音 http://www.47news.jp[...] 47NEWS 2004-03-03
[141] 뉴스 九州新幹線騒音問題 つばめ120キロ減速開始 http://373news.com/2[...] 南日本新聞社 2004-10-02
[142] 웹사이트 九州新幹線 田上トンネルの徐行運転解除へ http://373news.com/m[...] 2010-12-07
[143] 웹사이트 九州新幹線トンネル入り口でコンクリ片剥落 http://kyushu.yomiur[...] 読売新聞 2010-07-23
[144] 웹사이트 九州新幹線で初、トンネル内のコンクリが落下 鹿児島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0-07-23
[145] 웹사이트 トンネルでコンクリ片落下 JR九州・塩鶴トンネル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2-06-20
[146] 뉴스 スイッチ溶着が原因=列車送電停止、元に戻らず-九州新幹線トラブル http://www.jiji.com/[...] 2012-03-19
[147] 뉴스 九州新幹線立ち往生、スイッチ溶け作動せず https://news.ntv.co.[...] 日テレNEWS24 2012-03-19
[148] PDF 11 月 12 日に発生した九州新幹線 新玉名駅〜熊本駅間における輸送障害につい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株式会社
[149] 간행물 "山陽・九州新幹線直通用車両 量産先行車" 2008-12
[150] 서적 300km/hのトップランナー Koyusha Co., Ltd. 2012-04
[151] 웹인용 平成23年春ダイヤ改正 http://www13.jrkyush[...] JR Kyushu 2010-12-17
[152] 웹인용 平成30年3月にダイヤを見直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7-12-15
[153] 간행물 헤이세이 23년 봄 다이어그램 개정 http://www13.jrkyush[...] 규슈여객철도 2010-12-17
[154] 웹인용 平成24年春ダイヤ改正-山陽・九州新幹線時刻表 http://www.jrkyushu.[...] 큐슈여객철도 2011-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