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가사키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사키 본선은 일본 규슈 지방의 철도 노선으로, 토스역에서 나가사키역까지 연결된다. 1891년 규슈 철도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1909년 국철 노선 명칭 제정에 따라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34년 아리아케선이 편입되었고, 이후 복선화 및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현재는 특급 열차, 쾌속 열차, 보통 열차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2022년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과 함께 노선 운행 형태에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사키현의 철도 - 큐슈신칸센
    큐슈신칸센은 큐슈 지역의 주요 도시인 하카타와 가고시마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2004년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1년 전 구간 연결 및 산요 신칸센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6년 지진 피해 복구 후 현재 정상 운행 중이다.
  • 나가사키현의 철도 - 니시큐슈 신칸센
    니시큐슈 신칸센은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와 사가현 다케오시를 잇는 총 연장 66.0km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N700S계 전동차(카모메)가 최고 시속 260km로 운행되며, 2022년 9월 23일 다케오온센역~나가사키역 구간이 개통되어 하카타~나가사키 간 소요시간이 단축되었다.
  • 사가현의 철도 - 아마기 철도 아마기선
    아마기 철도 아마기선은 사가현 기야마역과 후쿠오카현 아마기역을 잇는 13.7km의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과거 군수물자 수송을 목적으로 개통되었으나 현재는 통근, 통학 수요를 담당하며, 재정난과 안전 문제로 폐선 위기에 직면해 있다.
  • 사가현의 철도 - 가고시마 본선
    가고시마 본선은 기타큐슈시 모지코역과 가고시마시 가고시마역을 잇는 규슈 여객철도의 핵심 간선 철도로, 일부 구간은 일본화물철도가 운영하며, 규슈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축을 담당하고 있다.
  • 189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기세이 본선
    기세이 본선은 미에현 가메야마역과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역을 연결하는 384.2km의 철도 노선으로,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운영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도 운영하고, 96개의 역과 1,067mm 협궤를 사용하며, 일부 구간은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고, ICOCA 사용이 가능하다.
  • 189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아오이모리 철도선
    아오이모리 철도선은 도호쿠 본선에서 분리되어 아오이모리현 지역 주민의 이동을 지원하며 IGR 이와테 은하 철도선과 직결 운행하는 철도 노선이다.
나가사키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나가사키 본선 키하 47
키하 47, 나가사키 본선의 비전철화 구간의 주력 (고호쿠역 2022년 9월 24일)
노선 종류간선 철도
노선 상태영업 중
노선 지역사가현, 나가사키현
기점도스역
종점나가사키역
역 수41
개업1891년 8월 20일
완전 개통1905년 4월 5일 (오무라 경유), 1934년 12월 1일 (현재 루트)
소유자규슈 여객철도 (JR 규슈)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제외 제1종 철도사업자),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제3종 철도사업자)
운영자규슈 여객철도 (JR 규슈)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제외 제1종 철도사업자,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제2종 철도사업자),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도스 - 나베시마 구간 제2종 철도사업자)
사용 차량사용 차량은 사용 차량 참조
노선 길이125.3 km (도스 - 이치노부 - 나가사키), 23.5 km (기키쓰 - 나가요 - 우라카미)
궤간1,067 mm (협궤)
복선 구간복선 (도스 - 고호쿠, 이사하야 - 기키쓰, 우라카미 - 나가사키), 단선 (상기 이외)
전철화 방식교류 20,000 V・60 Hz 가공 전차선 방식 (도스 - 히젠하마), 비전철화 (상기 이외)
신호 장치ATS-SK, ATS-DK (전 구간)
최고 속도130 km/h
나가사키 본선 노선도
나가사키 본선 노선도
노선 기호JH (도스 - 사가 구간)
운행 계통
JR 규슈특급 "가모메"
보통 열차
JR 화물화물 열차
역사
개통1891년
추가 정보
전보 약호사키호세
지도 정보

2. 역사

규슈 철도는 1891년 토스 - 사가 구간을 개통했으며, 1898년 하이키를 경유하여 나가사키까지 연장했다.[15] 1907년, 일본에서 철도 국유법이 통과되어 모든 주요 철도가 국유화되었다. 1934년, 히젠야마구치 - 이사하야 직통선이 개통되었으며, 히젠야마구치 - 하이키 구간은 사세보선, 하이키 - 이사하야 구간은 오무라선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

사가 - 나베시마 구간은 1966년에 최초로 복선화되었으며, 1969년까지 토스 - 히젠야마구치 및 이사하야 - 키키츠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우라카미 - 나가사키 구간은 1990년에 복선화되었다.

6,173m 길이의 신나가사키 터널과 관련 키키츠 - 우라카미 우회 구간은 1972년에 개통되었으며, 1976년에는 전 노선이 전철화되었다.[50] 나베시마 이남 구간의 화물 수송은 1999년에 중단되었다.

연도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월일내용
1891년8월 20일규슈 철도 사가선 토스 - 사가 구간 개통. 나카바루, 간자키, 사가역 신설.
1895년5월 5일사가 - 야마구치 - *다케오 구간 연장 개통. 우시즈, 야마구치, *기타카타, *다케오역 신설.
1896년10월 10일구보타역 신설.
1897년7월 10일*다케오 - *하야사키 구간 연장 개통. *미마사카, *아리타, *미카와치, *하야사키역 신설.
7월 22일나가요 - 나가사키(현재 우라카미역) 구간 개통. 나가요, 미치노오, 나가사키(초대)역 신설.
1898년1월 20일*하야사키 - *오무라 구간 연장 개통. *미나미카제자키, *가와타나, *하사키, *마쓰바라, *오무라역 신설.
10월 1일*나카다루(화물)역 신설.
11월 27일*오무라 - 이사하야 - 나가요 구간 연장 개통(토스 - 하야사키 - 나가사키 간 전 구간 개통). 이사하야, 깃키쓰, 오쿠사역 신설.
1905년4월 5일우라카미 - 나가사키(2대) 구간 연장 개통. 나가사키(2대)역 신설. 나가사키(초대)역을 우라카미역으로 역명 변경.
1907년7월 1일규슈 철도 매수 및 국유화. 관설 철도로 이관.
1909년10월 12일국유 철도 선로 명칭 제정. 나가사키 본선 토스 - 하야사키 - 나가사키 구간으로 지정.
1913년3월 1일야마구치역을 히젠야마구치역으로 역명 변경.
1919년12월 1일*오마치 신호소 신설.
1922년4월 1일*오마치 신호소를 신호장으로 변경.
5월 25일*다케마쓰역 신설.
1923년8월 21일*다카하시역 신설.
1926년10월 1일나베시마 신호장 신설.
1927년3월 26일메타바루 임시 승강장 신설.
1928년9월 1일*오마치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
12월 1일이가야역 신설.
1930년3월 9일아리아케선 히젠야마구치 - 히젠류오 구간 개통. 후쿠지, 히젠류오역 신설.[39]
3월 19일나가사키 - 나가사키항 구간 연장 개통.
1930년7월 7일나베시마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
1930년11월 30일아리아케선 히젠류오 - 히젠하마 구간 연장 개통. 히젠카시마, 히젠하마역 신설.[40]
1934년3월 24일아리아케니시선 이사하야 - 유에 구간 개통. 히가시이사하야, 히젠나가타, 코에, 유에역 신설. 아리아케선→아리아케히가시선으로 명칭 변경.[41]
4월 16일아리아케히가시선 히젠하마 - 타라 구간 연장 개통. 히젠나나우라, 히젠이다, 타라역 신설.[42]
1934년12월 1일【노선 분리】 사세보선 히젠야마구치-하야키, 오무라선 하야키-이사하야 【노선 편입】 히젠야마구치-이사하야, 타라-유에(나가사키 본선에 편입).[45] 코나가이, 히젠오우라역 신설.[43][44]
1940년4월 1일【역명 개칭】 후쿠지 → 히젠시라시
1942년9월 30일【신호장 신설】 히젠후모토, 미타가와
1943년10월 1일【신호장 신설】 혼카와우치
12월 1일【신호장 → 역】 미타가와 【임시 승강장 폐지】 메타바루
1945년5월 1일【역명 개칭】 칸자키 → 히젠칸자키
1947년3월 1일【신호장 → 역】 히젠후모토
1952년6월 1일【신호장 → 역】 혼카와우치
7월 5일【임시 정류장 신설】 요코시마
1956년4월 10일【역명 개칭】 히젠칸자키 → 칸자키
1961년10월 1일【신호장 신설】 히가시조노
1965년9월 26일【복선화】 사가-나베시마
1966년3월 26일【복선화】 히젠후모토-나카하라
9월 24일【복선화】 나베시마-쿠보타[46]
9월 28일【복선화】 나카하라-미타가와
10월 1일【신호장 → 역】 히가시조노
1966년10월 31일우라카미 신선 기공식[47]
1968년8월 6일【복선화】 쿠보타-우시즈
9월 3일【복선화】 이가야-사가
9월 22일【복선화】 미타가와-칸자키[48]
9월 26일【복선화】 토스-히젠후모토
1968년9월 28일【복선화】 칸자키-이가야
1969년4월 25일【신호장 신설】 사토
7월 1일【임시 정류장 폐지】 요코시마
9월 25일【복선화】 우시즈-히젠야마구치
1969년9월 27일【복선화】 이사하야-키키츠
1972년10월 2일【개업】 키키츠-이치부-우라카미 (특급·급행 열차 등을 신선 경유로 변경) 【역 신설】 이치부, 히젠코가, 겐카와 【신호장 신설】 히젠미카와
1973년10월 29일전철화 공사 착수[49]
1976년6월 1일【신호장 신설】 도이노사키
6월 6일【전철화】 토스-이치부-나가사키[50]
1982년11월 14일【노선 휴지】 나가사키-나가사키항[36][37]
1985년3월 14일【역 신설】 니시이사하야[51]
1987년3월 9일【임시 승강장 신설】 니시우라카미
3월 31일【노선 폐지】 나가사키-나가사키항
1987년4월 1일【승계】 규슈 여객철도(JR 규슈・제1종), 일본화물철도(JR 화물・제2종) 【임시 승강장→역】 니시우라카미역
시기 불명【화물선 폐지】 히젠후모토역 구내 육상자위대 도스 분둔지 인입선[52]
1989년11월 18일【임시역 신설】 벌룬사가역
1990년3월 10일【복선화】 우라카미역-나가사키역 【역 신설】 나가사토역[53]
1993년10월 1일【역명 개칭】 미타가와역→요시노가리코엔역
1994년3월 1일【역 신설】 다카다역
1999년7월 1일【화물 열차 폐지】 나베시마역-나가사키역
2002년3월 23일【원맨 운전 개시】 히젠야마구치역-나가사키역[54]
2006년3월 18일도스역-(당시) 히젠야마구치역 간, 및 이사하야역-나가사키역 간 (신선・구선)의 원맨 열차가 차내 수납식에서 역 수납식으로 변경.
2011년3월 12일【역 신설】 신도스역
2012년12월 1일이사하야역-나가사키역, 킷키쓰역-우라카미역에서 IC 카드 「SUGOCA」를 도입.
2016년12월 22일【열차 위치 정보 시스템 제공 개시】 전선[14]
2018년9월 28일【라인 컬러・노선 기호・역 넘버링 제정】 도스역-사가역[55]
2020년3월 28일【고가화】 우라카미역-나가사키역[11][12][56]
2021년4월 1일히젠야마구치역(고호쿠)-이사하야역 간의 철도 시설을 관리하는 「일반 사단 법인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설립[57]
2022년1월 31일일반 사단 법인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에 제3종 철도 사업 허가[58]
9월 23일니시큐슈 신칸센 (타케오온센역-나가사키역 간) 개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경.
고호쿠역-이사하야역 간을 상하 분리 방식으로 이행. JR 규슈가 제2종 철도 사업자, 일반 사단 법인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가 제3종 철도 사업자가 되어, 해당 구간에서 JR 규슈의 제1종 철도 사업을 폐지[59]
JR 화물에 의한 나베시마역-나가사키역 간의 제2종 철도 사업을 폐지.
【역명 개칭】 히젠야마구치역→고호쿠역[60][61]
【전화 폐지】 히젠하마역-나가사키역[62][63][61]
2022년9월 23일사가역-고호쿠역 간의 원맨 열차를 역 수납식에서 차내 수납식으로 변경. 고호쿠역-코나가이역 간에서 3량 원맨 운전, 코나가이역-이사하야역 간에서 4량 원맨 운전 개시.
2024년10월 3일사가역-고호쿠역에서 IC 카드 「SUGOCA」를 도입[64]



'*'가 붙어 있는 역은 이후 노선 분리로 인해 나가사키 본선에서 제외된 역이다.

2. 1. 규슈 철도 - 아리아케선 편입 전

규슈 철도는 1891년 토스 - 사가 구간을 개통했으며, 1898년 하이키를 경유하여 나가사키까지 연장했다.[15]

연도월일내용
1891년8월 20일규슈 철도 사가선 토스 - 사가 구간 개통. 나카바루, 간자키, 사가역 신설.
1895년5월 5일사가 - 야마구치 - *다케오 구간 연장 개통. 우시즈, 야마구치, *기타카타, *다케오역 신설.
1896년10월 10일구보타역 신설.
1897년7월 10일*다케오 - *하야사키 구간 연장 개통. *미마사카, *아리타, *미카와치, *하야사키역 신설.
7월 22일나가요 - 나가사키(현재 우라카미역) 구간 개통. 나가요, 미치노오, 나가사키(초대)역 신설.
1898년1월 20일*하야사키 - *오무라 구간 연장 개통. *미나미카제자키, *가와타나, *하사키, *마쓰바라, *오무라역 신설.
10월 1일*나카다루(화물)역 신설.
11월 27일*오무라 - 이사하야 - 나가요 구간 연장 개통(토스 - 하야사키 - 나가사키 간 전 구간 개통). 이사하야, 깃키쓰, 오쿠사역 신설.
1905년4월 5일우라카미 - 나가사키(2대) 구간 연장 개통. 나가사키(2대)역 신설. 나가사키(초대)역을 우라카미역으로 역명 변경.
1907년7월 1일규슈 철도 매수 및 국유화. 관설 철도로 이관.
1909년10월 12일국유 철도 선로 명칭 제정. 나가사키 본선 토스 - 하야사키 - 나가사키 구간으로 지정.
1913년3월 1일야마구치역을 히젠야마구치역으로 역명 변경.
1919년12월 1일*오마치 신호소 신설.
1922년4월 1일*오마치 신호소를 신호장으로 변경.
5월 25일*다케마쓰역 신설.
1923년8월 21일*다카하시역 신설.
1926년10월 1일나베시마 신호장 신설.
1927년3월 26일메타바루 임시 승강장 신설.
1928년9월 1일*오마치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
12월 1일이가야역 신설.
1930년3월 19일나가사키 - 나가사키항 구간 연장 개통.
7월 7일나베시마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



'*'가 붙어 있는 역은 이후 노선 분리로 인해 나가사키 본선에서 제외된 역이다.

2. 2. 아리아케선

1930년 3월 9일 히젠야마구치 - 히젠류오 구간이 '''아리아케선'''으로 개통되었고,[39] 같은 해 11월 30일 히젠류오 - 히젠하마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40]

1934년 3월 24일 이사하야 - 유에 구간이 '''아리아케니시선'''으로 개통되었고, 아리아케선은 '''아리아케히가시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1] 같은 해 4월 16일 아리아케히가시선 히젠하마 - 타라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으며,[42] 12월 1일 타라 - 유에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나가사키 본선에 편입되었다.[43][44]

개통 및 연장 개통 당시 신설된 역은 다음과 같다.

개통일구간신설역
1930년 3월 9일히젠야마구치 - 히젠류오후쿠지, 히젠류오[39]
1930년 11월 30일히젠류오 - 히젠하마히젠카시마, 히젠하마[40]
1934년 3월 24일이사하야 - 유에히가시이사하야, 히젠나가타, 코에, 유에[41]
1934년 4월 16일히젠하마 - 타라히젠나나우라, 히젠이다, 타라[42]
1934년 12월 1일타라 - 유에코나가이, 히젠오우라[43][44]


2. 3. 아리아케선 편입 후

규슈 철도는 1891년 토스-사가 구간을 개통했으며, 1898년 하이키를 경유하여 나가사키까지 연장했다.[45] 1934년에는 히젠야마구치-이사하야 직통선이 개통되면서 히젠야마구치-하이키 구간은 사세보선, 하이키-이사하야 구간은 오무라선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45]

사가-나베시마 구간은 1966년에 최초로 복선화되었으며,[46] 1969년까지 토스-히젠야마구치 및 이사하야-키키츠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우라카미-나가사키 구간은 1990년에 복선화되었다.[53]

6,173m 길이의 신나가사키 터널과 관련 키키츠-우라카미 우회 구간은 1972년에 개통되었으며, 1976년에는 전 노선이 전철화되었다.[50] 나베시마 이남 구간의 화물 수송은 1999년에 중단되었다.

연도월일내용
1934년12월 1일【노선 분리】 사세보선 히젠야마구치-하야키, 오무라선 하야키-이사하야 【노선 편입】 히젠야마구치-이사하야[45]
1940년4월 1일【역명 개칭】 후쿠지 → 히젠시라시
1942년9월 30일【신호장 신설】 히젠후모토, 미타가와
1943년10월 1일【신호장 신설】 혼카와우치
12월 1일【신호장 → 역】 미타가와 【임시 승강장 폐지】 메타바루
1945년5월 1일【역명 개칭】 칸자키 → 히젠칸자키
1947년3월 1일【신호장 → 역】 히젠후모토
1952년6월 1일【신호장 → 역】 혼카와우치
7월 5일【임시 정류장 신설】 요코시마
1956년4월 10일【역명 개칭】 히젠칸자키 → 칸자키
1961년10월 1일【신호장 신설】 히가시조노
1965년9월 26일【복선화】 사가-나베시마
1966년3월 26일【복선화】 히젠후모토-나카하라
9월 24일【복선화】 나베시마-쿠보타[46]
9월 28일【복선화】 나카하라-미타가와
10월 1일【신호장 → 역】 히가시조노
1966년10월 31일우라카미 신선 기공식[47]
1968년8월 6일【복선화】 쿠보타-우시즈
9월 3일【복선화】 이가야-사가
9월 22일【복선화】 미타가와-칸자키[48]
9월 26일【복선화】 토스-히젠후모토
1968년9월 28일【복선화】 칸자키-이가야
1969년4월 25일【신호장 신설】 사토
7월 1일【임시 정류장 폐지】 요코시마
9월 25일【복선화】 우시즈-히젠야마구치
1969년9월 27일【복선화】 이사하야-키키츠
1972년10월 2일【개업】 키키츠-이치부-우라카미 (특급·급행 열차 등을 신선 경유로 변경) 【역 신설】 이치부, 히젠코가, 겐카와 【신호장 신설】 히젠미카와
1973년10월 29일전철화 공사 착수[49]
1976년6월 1일【신호장 신설】 도이노사키
6월 6일【전철화】 토스-이치부-나가사키[50]
1982년11월 14일【노선 휴지】 나가사키-나가사키항[36][37]
1985년3월 14일【역 신설】 니시이사하야[51]
1987년3월 9일【임시 승강장 신설】 니시우라카미
3월 31일【노선 폐지】 나가사키-나가사키항
1987년4월 1일【승계】 규슈 여객철도(JR 규슈・제1종), 일본화물철도(JR 화물・제2종) 【임시 승강장→역】 니시우라카미역
시기 불명【화물선 폐지】 히젠후모토역 구내 육상자위대 도스 분둔지 인입선[52]
1989년11월 18일【임시역 신설】 벌룬사가역
1990년3월 10일【복선화】 우라카미역-나가사키역 【역 신설】 나가사토역[53]
1993년10월 1일【역명 개칭】 미타가와역→요시노가리코엔역
1994년3월 1일【역 신설】 다카다역
1999년7월 1일【화물 열차 폐지】 나베시마역-나가사키역
2002년3월 23일【원맨 운전 개시】 히젠야마구치역-나가사키역[54]
2006년3월 18일도스역-(당시) 히젠야마구치역 간, 및 이사하야역-나가사키역 간 (신선・구선)의 원맨 열차가 차내 수납식에서 역 수납식으로 변경.
2011년3월 12일【역 신설】 신도스역
2012년12월 1일이사하야역-나가사키역, 킷키쓰역-우라카미역에서 IC 카드 「SUGOCA」를 도입.
2016년12월 22일【열차 위치 정보 시스템 제공 개시】 전선[14]
2018년9월 28일【라인 컬러・노선 기호・역 넘버링 제정】 도스역-사가역[55]
2020년3월 28일【고가화】 우라카미역-나가사키역[11][12][56]
2021년4월 1일히젠야마구치역(고호쿠)-이사하야역 간의 철도 시설을 관리하는 「일반 사단 법인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설립[57]
2022년1월 31일일반 사단 법인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에 제3종 철도 사업 허가[58]
9월 23일니시큐슈 신칸센 (타케오온센역-나가사키역 간) 개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경.
고호쿠역-이사하야역 간을 상하 분리 방식으로 이행. JR 규슈가 제2종 철도 사업자, 일반 사단 법인 사가・나가사키 철도 관리 센터가 제3종 철도 사업자가 되어, 해당 구간에서 JR 규슈의 제1종 철도 사업을 폐지[59]
JR 화물에 의한 나베시마역-나가사키역 간의 제2종 철도 사업을 폐지.
【역명 개칭】 히젠야마구치역→고호쿠역[60][61]
【전화 폐지】 히젠하마역-나가사키역[62][63][61]
2022년9월 23일사가역-고호쿠역 간의 원맨 열차를 역 수납식에서 차내 수납식으로 변경. 고호쿠역-코나가이역 간에서 3량 원맨 운전, 코나가이역-이사하야역 간에서 4량 원맨 운전 개시.
2024년10월 3일사가역-고호쿠역에서 IC 카드 「SUGOCA」를 도입[64]


3. 운행 형태

나가사키 본선은 전체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 외에도, 히젠카시마까지의 열차와 같이 특정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 그리고 다른 노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


  • 아침에는 히젠나나우라역에서 모지코역 (가고시마 본선)까지 직행하는 열차가 있다.
  • 이사하야에서 나가사키까지의 신선은 EMU를 사용하지만, 오무라선으로 직결하는 열차를 포함한 구선은 DMU를 사용한다. 그러나 쾌속 열차 ''씨사이드 라이너''는 DMU임에도 불구하고 신선을 사용한다.
  • 히젠나나우라역과 유에역 사이는 노선의 비교적 비활성 구간이기 때문에, 완행 열차는 아침 혼잡 시간 이후 낮 시간대에 약 5시간 동안만 운행된다.
  • ''원맨'' 운전사 승무 열차는 나가사키 본선 전체 구간에서 운행된다. 신선에서는 817계 EMU가 사용되고, 구선에서는 키하 66, 67, 200 DMU가 사용된다.


가고시마 본선도스역에서 분기하여 사가시사가역을 거쳐 나가사키시나가사키역까지 뻗어 있는 노선이다. 도중 고호쿠역(구·히젠야마구치역)에서 사세보선을 경유하여 니시큐슈 신칸센과의 접속역인 다케오온센역이나, 사세보역·하우스텐보스역 방면으로 향하는 "릴레이 카모메", "미도리", "하우스텐보스" 등, 후쿠오카시하카타역에서 사가현 내 각지와 사세보선에서 다케오온센·사세보 방면을 잇는 특급 열차가 다수 운행되는 특급 노선이다.

  • 도스 - 고호쿠 구간: 복선 구간이다. 사가역 - 쿠보타역 간에는 가라쓰선의 보통 열차도 운행한다(가라쓰선은 쿠보타역에서 분기하지만, 전 열차가 사가역을 발착한다). 고호쿠역에서는 사세보선이 분기한다. 이 구간은 사가 평야를 통과하며, 선형이 좋고, 특급 열차는 최고 속도 130km/h, 보통 열차 817계도 120km/h로 운행한다.
  •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단선이다. 모든 역에서 열차 교환이 가능하며, 역 간이 긴 다라역 - 히젠오우라역 - 코나가이역 간에는 사토 신호장, 도이노사키 신호장이 있다. 히젠카시마역 - 이사하야역 간에는 열차의 운행 횟수가 극단적으로 적어졌다. 이 구간은 아리아케해의 복잡한 연안부를 따라 선로가 지나가기 때문에, 곡선 구간이 많다.
  • 이사하야 - 나가사키 구간: 이사하야역 - 키키쓰역 간과 우라카미역 - 나가사키역 간은 복선이다. 이사하야역 - 니시이사하야역 간은 상하선이 국도 207호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지나가고 있다. 키키츠역 - 우라카미역 간은 단선의 두 루트로 나뉘어 있다.
  • 구선 (나가요 경유): 오무라만을 따라 달리고, 나가요역을 경유하는 메이지 시대 개업 루트로,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 유일하게 전철화되지 않은 구간이다. 나가요역 - 우라카미역 간에는 시가지를 지나고, 구간 운행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 신선 (이치노 경유): 1972년에 개통한, 나가사키 터널을 통과하는 전철화된 루트이다. 구선에 비해 6.7km 단축되었고, 고속 운전에 적합한 선형으로 인해, 이사하야역 - 나가사키역 간의 소요 시간을 대폭 단축했다. 신선의 대부분은 터널이며 우라카미역 측에서는 시가지의 지하를 지나 지상으로 빠져나온다. 지상 구간에 들어가면 우라카미역까지는 고가가 되어, 구선과 잠시 나란히 달린다(단선 2병렬). 쾌속 "씨사이드 라이너"는 모두 신선을 지나고 있으며, 과거 운행하던 특급 열차도 신선 경유였다.


우라카미역 - 나가사키역 간에는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이 진행되어, 2020년 3월 28일에 고가화가 완료되었다.

토스역 - 고호쿠역 간 및 이사하야역 - 나가사키역 간(구선·신선 모두)은 IC승차 카드 "SUGOCA"의 이용 구역에 포함되어 있다.

대략적으로 고호쿠역, 히젠하마역, 이사하야역에서 운행 계통이 나뉜다. 전 노선에서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사가역 - 이사하야역 간의 원맨 열차에서는, 유인역인 사가역·이사하야역 및 일부 시간대에만 유인인 고호쿠역·히젠카시마역만 모든 문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며, 그 외의 무인역에서는 선두 차량에서 뒤쪽 승차, 앞쪽 하차 방식을 취한다.

보통 열차는 1시간에 2번 정도 운행된다.

  • 도스 - 고호쿠 구간: 서쪽으로는 아침에 3왕복이 사가역 발착, 절반 이상의 열차가 고호쿠역 발착이며, 그 외의 열차는 고호쿠역 이서의 나가사키 본선 또는 사세보선으로 직통한다. 동쪽으로는 기본적으로 도스역 발착이지만, 이른 아침에 하행 1편만 사가 발 히젠하마역행(고호쿠에서 칸자키역에서 회송 열차로 보내짐)도 설정되어 있으며, 아침 저녁 일부 열차는 가고시마 본선 하카타역 방면으로 직통하며, 상행만 도스역에서 가고시마 본선 구루메역 방면으로부터의 열차와 병결하는 열차가 있다. 가고시마 본선으로 직통하는 상행 열차의 일부는 "구간 쾌속"의 종별이지만,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는 쾌속 운전은 하지 않는다. 사가역 - 쿠보타역 구간은 가라쓰선의 열차도 이용 가능하며, 운행 횟수는 더욱 많아져, 최대 1시간에 4~5번이 운행된다. 기동차 열차는 가라쓰선 직통 열차만 있으며, 그 외에는 전철로 운행되고 있다.
  •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2022년 9월 23일 시간표 개정으로 히젠하마역 - 나가사키역 구간이 비전철화되면서 운행 형태가 대폭 재편되었다.
  • 고호쿠 - 히젠하마 구간: 전철화 설비가 존치되어 개정 전과 마찬가지로 전철 운전이 주를 이루며, 사가 방면과의 직통 운행도 지속된다.
  • 히젠하마 - 이사하야 구간: 전철화 설비가 폐지되어 모든 열차가 기동차로 운행하게 되어, 히젠하마역에서 환승이 필요하게 되었다. 낮 시간대에는 사가 방면으로의 직통 열차가 많지만, 아침 저녁으로는 대부분의 열차가 고호쿠역에서 계통 분할되어, 비전철화 구간인 히젠하마역 이남으로 직통하는 기동차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2022년 9월 개정으로 고호쿠역 - 이사하야역 구간을 통과하는 열차(기동차)는 하행 4개, 상행 3개로, 나가사키 방면과의 직통은 하행 5개, 상행 4개로 줄어들었으며, 이 중 1왕복이 고호쿠역 - 나가사키역 구간을 직통한다.
  • 이사하야 - 나가사키 구간: 나가사키현 경계에 가까워질수록 운행 횟수가 줄어들어, 히젠하마역 - 이사하야역 구간 전체를 운행하는 보통 열차는 하루 7.5왕복에 불과하다. 차량이 전철에서 키하 47형 기동차로 바뀌면서 가감속 성능이 나빠지고 최고 속도도 95km/h로 낮아졌지만, 대향 열차와의 열차 교환이나 특급의 통과 대기로 인한 정차가 줄어들어, 이 구간의 소요 시간이 수 분 단축된 열차가 많다. 도시 간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침저녁 러시아워 시간에는 수 분 간격으로 열차가 출발하며, 단선 구간에서는 선로 용량이 꽉 찬 상태이다. 러시아워 시간대 이외에는 신선(시부 역 경유), 구선(나가요 역 경유) 모두 1시간에 1번 운행이 확보되어 있지만, 구선의 키키츠 역 - 나가요 역 구간 및 신선의 쾌속 통과역에서는 2시간 정도 간격이 벌어지는 시간대가 있다. 신선에는 중간역 회차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구선에는 나가요 역에서 회차하는 열차가 있다. 낮 시간대, 이사하야 역에서 오무라 선으로 직통하는 보통 열차는 나가사키 본선은 기본적으로 구선 경유가 된다. 이 외에도, 이사하야 역 - 나가사키 역 간에는 신선 경유로 오무라 선 직통 쾌속·구간 쾌속 "씨사이드 라이너"가 1시간에 1번 운행된다. 이 구간 내에서, 통근 시간대에 운행되는 "쾌속"은 모든 역에 정차하는 한편, 낮 시간대의 "구간 쾌속"은 이사하야 역·키키츠 역·우라카미 역·나가사키 역에만 정차한다. "구간 쾌속"은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는 최고 속도 110km/h로 운행한다. 이전에는, 신선 및 히젠카시마 방면이 전철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선·오무라 선 직통 열차 이외에는 심야의 일부 상행 열차를 제외하고 전동차로 운행되었지만, 2022년 9월 23일부터는 모두 기동차로 운행하고 있다.

3. 1. 우등 열차

2022년 9월 23일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 이후, 나가사키 본선의 우등 열차는 고호쿠역에서 사세보선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주를 이루고 있다. 모든 정기 우등 열차는 도스역에서 가고시마 본선을 거쳐 하카타역까지 운행하며, 일부는 하카타역 이북까지 직통 운행한다.[30]

사세보선으로 직통하는 우등 열차는 다음과 같다.

"릴레이 카모메" 전 열차와 "미도리" 하행 4편, 상행 6편은 다케오온센역에서 나가사키역 방면 신칸센 "카모메"와 연결되며, 이 "미도리"는 "미도리(릴레이 카모메)"로 운행된다.[30]

사세보선으로 직통하지 않는 우등 열차는 다음과 같다.

"카사사기"는 기존 특급 "카모메"의 정차역이었던 히젠카시마역이 "카모메・릴레이 카모메" 운행 경로에서 제외되면서, 히젠카시마역 발착 특급 7왕복을 설정하기로 한 사전 발표에 따라 신설되었다. 기존 "카모메"의 사가역 발착 열차를 통합한 형태이다.[30]

D&S 열차로는 전 좌석 그린샤인 특급 "36플러스3"이 월요일에 하카타역 - 고호쿠역 - 사세보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이 중 왕복(사세보역행)은 고호쿠역 - 히젠하마역 구간을 왕복한다. 또한 다케오온센역 - 나가사키역 간 특급 "두 별 4047"은 오전 편이 고호쿠역 - 나가사키역 간 하행선을, 오후 편이 나가사키역 - 이사하야역 간 상행선을 구선(나가요역 경유)으로 운행한다.[30]

3. 1. 1. 과거의 우등 열차

1942년 11월 15일 간몬 터널 개통과 함께, 도쿄역 - 나가사키역 구간을 운행하는 특급 "후지"가 나가사키 본선을 처음으로 운행한 특급 열차가 되었다. 1943년 10월 1일에는 운행 구간이 하카타역까지로 단축되었다. 상하이 항로 운항일에는 상행 열차가 나가사키항역을 시발역으로 운행하기도 했다.[30]

1948년 8월, 오무라선 경유로 도쿄역 - 나가사키역 간을 운행하는 준급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고, 1949년에는 급행 열차로 등급이 변경, 1950년에는 "운젠"이라는 열차 애칭이 부여되었다. 이 명칭은 급행 "세이카이"와 함께 1980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다양한 애칭의 급행 열차가 운행, 변경, 통폐합되었다.[30]

1957년 10월 1일, 도쿄역 - 하카타역 간 침대 열차 특급 "사치카제"가 나가사키역까지 연장 운행되면서 나가사키 본선의 특급 열차가 부활했다. 이 열차는 1958년 "헤이와", 1959년 "사쿠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65년 10월 1일에는 침대 특급 "아카츠키"가 신오사카역 - 니시가고시마역·나가사키역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다.[30]

1961년 10월 1일, 교토역 - 하카타역 간 특급 "카모메"가 나가사키역까지 운행을 시작했고, 기동차로 운행되었다.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 하카타 연장에 따라 "카모메"가 폐지되면서, 이 노선을 운행하는 주간 특급 열차는 사라졌다.[30]

1976년 7월 1일, 나가사키 본선·사세보선 전철화로 전동차를 이용한 엘 특급 "카모메"가 고쿠라역·하카타역 - 나가사키역 구간에서, "미도리"가 고쿠라역·하카타역 - 사세보역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급행 "데지마"의 특급 승격 등으로 증편이 이루어졌다. 1992년 3월 25일에는 특급 "하우스텐보스"가 하카타역 - 하우스텐보스역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다.[30]

2000년대 들어 야행 열차 폐지가 이어지면서, 도쿄역 - 나가사키역 간 침대 특급 "사쿠라"는 2005년 3월 1일에, 교토역 - 나가사키역 간 침대 특급 "아카츠키"는 2008년 3월 15일에 폐지되어, 야행 열차 및 혼슈 직통 우등 열차 운행은 중단되었다.[30]

2022년 9월 23일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으로 재래선 특급 "카모메"는 모지코역·하카타역 - 타케오온센역 간 "릴레이 카모메", 모지코역·고쿠라역·하카타역 - 사가역·히젠카시마역 간 "카사사기"로 재편되었다.[30][61] 이로 인해 히젠카시마역 - 나가사키역 구간을 매일 운행하는 특급 열차는 없어졌다.[30]

2020년 10월부터 하카타역 - 나가사키역 구간에서 운행되던 특급 "36플러스3"는 히젠하마역 - 나가사키역 구간 전철화 폐지로 2022년 10월부터 운행 구간을 하카타역 - 사세보역으로 변경, 하카타역 발 열차만 히젠하마역에 정차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0]

3. 2. 지역 수송

나가사키 본선은 전체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 외에도, 히젠카시마까지의 열차와 같이 특정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 그리고 다른 노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

  • 아침에는 히젠나나우라역에서 모지코역 (가고시마 본선)까지 직행하는 열차가 있다.
  • 이사하야에서 나가사키까지의 신선은 EMU를 사용하지만, 오무라선으로 직결하는 열차를 포함한 구선은 DMU를 사용한다. 그러나 쾌속 열차 ''씨사이드 라이너''는 DMU임에도 불구하고 신선을 사용한다.
  • 히젠나나우라역과 유에역 사이는 노선의 비교적 비활성 구간이기 때문에, 완행 열차는 아침 혼잡 시간 이후 낮 시간대에 약 5시간 동안만 운행된다.
  • ''원맨'' 운전사 승무 열차는 나가사키 본선 전체 구간에서 운행된다. 신선에서는 817계 EMU가 사용되고, 구선에서는 키하 66, 67, 200 DMU가 사용된다.


가고시마 본선도스역에서 분기하여 사가시사가역을 거쳐 나가사키시나가사키역까지 뻗어 있는 노선이다. 도중 고호쿠역(구·히젠야마구치역)에서 사세보선을 경유하여 니시큐슈 신칸센과의 접속역인 다케오온센역이나, 사세보역·하우스텐보스역 방면으로 향하는 "릴레이 카모메", "미도리", "하우스텐보스" 등, 후쿠오카시하카타역에서 사가현 내 각지와 사세보선에서 다케오온센·사세보 방면을 잇는 특급 열차가 다수 운행되는 특급 노선이다.

  • 도스 - 고호쿠 구간: 복선 구간이다. 사가역 - 쿠보타역 간에는 가라쓰선의 보통 열차도 운행한다(가라쓰선은 쿠보타역에서 분기하지만, 전 열차가 사가역을 발착한다). 고호쿠역에서는 사세보선이 분기한다. 이 구간은 사가 평야를 통과하며, 선형이 좋고, 특급 열차는 최고 속도 130km/h, 보통 열차 817계도 120km/h로 운행한다.
  •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단선이다. 모든 역에서 열차 교환이 가능하며, 역 간이 긴 다라역 - 히젠오우라역 - 코나가이역 간에는 사토 신호장, 도이노사키 신호장이 있다. 히젠카시마역 - 이사하야역 간에는 열차의 운행 횟수가 극단적으로 적어졌다. 이 구간은 아리아케해의 복잡한 연안부를 따라 선로가 지나가기 때문에, 곡선 구간이 많다.
  • 이사하야 - 나가사키 구간: 이사하야역 - 키키쓰역 간과 우라카미역 - 나가사키역 간은 복선이다. 이사하야역 - 니시이사하야역 간은 상하선이 국도 207호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지나가고 있다. 키키츠역 - 우라카미역 간은 단선의 두 루트로 나뉘어 있다.
  • 구선 (나가요 경유): 오무라만을 따라 달리고, 나가요역을 경유하는 메이지 시대 개업 루트로,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 유일하게 전철화되지 않은 구간이다. 나가요역 - 우라카미역 간에는 시가지를 지나고, 구간 운행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 신선 (이치노 경유): 1972년에 개통한, 나가사키 터널을 통과하는 전철화된 루트이다. 구선에 비해 6.7km 단축되었고, 고속 운전에 적합한 선형으로 인해, 이사하야역 - 나가사키역 간의 소요 시간을 대폭 단축했다. 신선의 대부분은 터널이며 우라카미역 측에서는 시가지의 지하를 지나 지상으로 빠져나온다. 지상 구간에 들어가면 우라카미역까지는 고가가 되어, 구선과 잠시 나란히 달린다(단선 2병렬). 쾌속 "씨사이드 라이너"는 모두 신선을 지나고 있으며, 과거 운행하던 특급 열차도 신선 경유였다.


우라카미역 - 나가사키역 간에는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이 진행되어, 2020년 3월 28일에 고가화가 완료되었다.

토스역 - 고호쿠역 간 및 이사하야역 - 나가사키역 간(구선·신선 모두)은 IC승차 카드 "SUGOCA"의 이용 구역에 포함되어 있다.

대략적으로 고호쿠역, 히젠하마역, 이사하야역에서 운행 계통이 나뉜다. 전 노선에서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사가역 - 이사하야역 간의 원맨 열차에서는, 유인역인 사가역·이사하야역 및 일부 시간대에만 유인인 고호쿠역·히젠카시마역만 모든 문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며, 그 외의 무인역에서는 선두 차량에서 뒤쪽 승차, 앞쪽 하차 방식을 취한다.

보통 열차는 1시간에 2번 정도 운행된다.

  • 도스 - 고호쿠 구간: 서쪽으로는 아침에 3왕복이 사가역 발착, 절반 이상의 열차가 고호쿠역 발착이며, 그 외의 열차는 고호쿠역 이서의 나가사키 본선 또는 사세보선으로 직통한다. 동쪽으로는 기본적으로 도스역 발착이지만, 이른 아침에 하행 1편만 사가 발 히젠하마역행(고호쿠에서 칸자키역에서 회송 열차로 보내짐)도 설정되어 있으며, 아침 저녁 일부 열차는 가고시마 본선 하카타역 방면으로 직통하며, 상행만 도스역에서 가고시마 본선 구루메역 방면으로부터의 열차와 병결하는 열차가 있다. 가고시마 본선으로 직통하는 상행 열차의 일부는 "구간 쾌속"의 종별이지만,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는 쾌속 운전은 하지 않는다. 사가역 - 쿠보타역 구간은 가라쓰선의 열차도 이용 가능하며, 운행 횟수는 더욱 많아져, 최대 1시간에 4~5번이 운행된다. 기동차 열차는 가라쓰선 직통 열차만 있으며, 그 외에는 전철로 운행되고 있다.
  • 고호쿠 - 이사하야 구간: 2022년 9월 23일 시간표 개정으로 히젠하마역 - 나가사키역 구간이 비전철화되면서 운행 형태가 대폭 재편되었다.
  • 고호쿠 - 히젠하마 구간: 전철화 설비가 존치되어 개정 전과 마찬가지로 전철 운전이 주를 이루며, 사가 방면과의 직통 운행도 지속된다.
  • 히젠하마 - 이사하야 구간: 전철화 설비가 폐지되어 모든 열차가 기동차로 운행하게 되어, 히젠하마역에서 환승이 필요하게 되었다. 낮 시간대에는 사가 방면으로의 직통 열차가 많지만, 아침 저녁으로는 대부분의 열차가 고호쿠역에서 계통 분할되어, 비전철화 구간인 히젠하마역 이남으로 직통하는 기동차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2022년 9월 개정으로 고호쿠역 - 이사하야역 구간을 통과하는 열차(기동차)는 하행 4개, 상행 3개로, 나가사키 방면과의 직통은 하행 5개, 상행 4개로 줄어들었으며, 이 중 1왕복이 고호쿠역 - 나가사키역 구간을 직통한다.
  • 이사하야 - 나가사키 구간: 사가·나가사키의 현 경계를 포함하는 이 구간은, 현 경계에 가까워질수록 운행 횟수가 줄어들어, 히젠하마역 - 이사하야역 구간 전체를 운행하는 보통 열차는 하루 7.5왕복에 불과하다. 차량이 전철에서 키하 47형 기동차로 바뀌면서 가감속 성능이 나빠지고 최고 속도도 95km/h로 낮아졌지만, 대향 열차와의 열차 교환이나 특급의 통과 대기로 인한 정차가 줄어들어, 이 구간의 소요 시간이 수 분 단축된 열차가 많다. 도시 간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침저녁 러시아워 시간에는 수 분 간격으로 열차가 출발하며, 단선 구간에서는 선로 용량이 꽉 찬 상태이다. 러시아워 시간대 이외에는 신선(시부 역 경유), 구선(나가요 역 경유) 모두 1시간에 1번 운행이 확보되어 있지만, 구선의 키키츠 역 - 나가요 역 구간 및 신선의 쾌속 통과역에서는 2시간 정도 간격이 벌어지는 시간대가 있다. 신선에는 중간역 회차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구선에는 나가요 역에서 회차하는 열차가 있다. 낮 시간대, 이사하야 역에서 오무라 선으로 직통하는 보통 열차는 나가사키 본선은 기본적으로 구선 경유가 된다. 이 외에도, 이사하야 역 - 나가사키 역 간에는 신선 경유로 오무라 선 직통 쾌속·구간 쾌속 "씨사이드 라이너"가 1시간에 1번 운행된다. 이 구간 내에서, 통근 시간대에 운행되는 "쾌속"은 모든 역에 정차하는 한편, 낮 시간대의 "구간 쾌속"은 이사하야 역·키키츠 역·우라카미 역·나가사키 역에만 정차한다. "구간 쾌속"은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는 최고 속도 110km/h로 운행한다. 이전에는, 신선 및 히젠카시마 방면이 전철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선·오무라 선 직통 열차 이외에는 심야의 일부 상행 열차를 제외하고 전동차로 운행되었지만, 2022년 9월 23일부터는 모두 기동차로 운행하고 있다.

4. 사용 차량

나가사키 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415계 (오이타 차량센터): 도스 - 사가 구간에서 아침 1왕복만 2개 편성 연결 8량으로 사용된다. 2022년 9월 개정 전까지는 오이타 차량센터 소속 차량이 히젠야마구치까지,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소속 차량(개정으로 전 차량이 오이타 차량센터로 전출)이 나가사키까지 운행했다.[1]
  • 811계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도스 - 히젠하마 구간에서 출퇴근 시간에 사용된다. 2개 편성 연결 8량으로 운전되는 열차도 있다. 2010년대 전반까지는 히젠오우라까지 운행했으며, 한때 히젠야마구치 이남의 운용이 폐지된 후 2022년 9월 개정으로 다시 운용 범위가 확대되었다.[1]
  • 813계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도스 - 고호쿠 구간에서 야간 하행·아침 상행 1왕복만 2개 편성 연결 6량으로 사용된다. 2009년 3월 개정까지는 나가사키까지, 2022년 9월 개정까지는 히젠오우라까지 운행했다.[1]
  • 817계 (사세보 차량센터): 원맨 운전 대응의 0번대가 도스 - 히젠하마 구간에서 사용된다. 출퇴근 시간에는 2개 편성 연결 4량으로 운전되는 열차도 있다. 2011년 3월 개정까지는 이 형식 2개 편성에 813계 1개 편성을 연결한 7량, 2018년 3월 개정까지는 3개 편성을 연결한 6량으로 운전되는 열차가 있었으며, 2022년 9월 개정까지는 나가사키까지 운행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롱 시트화 개조된 500번대(개정으로 전 차량 가고시마 차량센터로 전속)도 사용되었다.[1]
  • KiHa47형 (사세보 차량센터, 가라쓰 차량센터): 사세보 소속 차량은 고호쿠 - 나가사키 구간, 가라쓰 소속 차량은 사가 - 구보타 구간에서 가라쓰선 직통 열차에 한하여 사용된다.[1]
  • KiHa125형 (가라쓰 차량센터): 사가 - 구보타 구간에서 가라쓰선 직통 열차에 한하여 사용된다.[1]
  • YC1계 (사세보 차량센터): 오나가이 - 나가사키 구간에서 사용된다. 2-4량으로 운용되며, 이 형식에 한해 차량 수에 관계없이 원맨 운전이 된다.[1]


도스 - 고호쿠 구간에서는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소속의 817계 3000번대와 821계 (2022년 9월 개정으로 전 차량이 구마모토 차량센터로 전출된 후는 불명)도 813계의 대행으로 운용될 수 있다.[1]

특급 열차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 "=== 특급 열차 ==="에서, 보통·쾌속 열차에 대한 정보는 "=== 보통·쾌속 열차 ==="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4. 1. 특급 열차

783계 전동차 (미도리, 하우스텐보스)

787계 전동차 (미도리, 하우스텐보스)

885계 전동차 (릴레이 가모메)

2022년 9월 23일 현재, 특급 ''릴레이 카모메''는 고호쿠까지 나가사키 본선을 운행하며, 여기서 분기되어 다케오온센으로 향한다. 승객들은 니시큐슈 신칸센으로 갈아타 나가사키로 갈 수 있다. 병결 운행하는 ''미도리''/''하우스텐보스'' 특급은 고호쿠역 동쪽에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다케오온센까지 릴레이 카모메로 추가 운행한다. 새로운 신칸센 노선 개통 전에는 특급 열차가 이사하야우라카미역 사이의 새로운 노선을 운행했다. 특급 릴레이 카모메 열차는 JR 큐슈에서 6량 885계와 8량 787계를 사용하여 운행한다.[3] 새로운 특급 열차 ''카사사기''가 히젠카시마와 하카타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6량 885계, 8량 787계, 8량 783계 전동차를 사용하여 이 노선에서 카모메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모지코까지 직통 운행한다.[4]

도쿄와 나가사키 간의 ''사쿠라''와 교토와 나가사키 간의 ''아카츠키''와 같은 야간 침대 열차는 2008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 885계 (''릴레이 카모메'', 카사사기, ''미도리'')
  • 783계 (''미도리'', ''하우스텐보스'')
  • 787계 (''릴레이 카모메'', ''미도리'')

4. 2. 보통·쾌속 열차

415계 전동차, 811계 전동차, 813계 전동차, 817계 전동차, YC1계 동차가 사용된다.

811계 전동차


813계 전동차


817계 전동차


나가사키 본선 전체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 외에도, 히젠카시마까지의 열차와 같이 특정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 그리고 다른 노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 2022년 9월 23일부터 히젠하마와 나가사키 사이의 모든 전동차는 DMU와 하이브리드 디젤-전기 동차로 교체되었다.[1]

  • 아침에는 히젠나나우라역에서 모지코역 (가고시마 본선)까지 직행하는 열차가 있다.
  • 이사하야에서 나가사키까지의 신선은 EMU를 사용하지만, 오무라선으로 직결하는 열차를 포함한 구선은 DMU를 사용한다. 그러나 쾌속 열차 ''씨사이드 라이너''는 DMU임에도 불구하고 신선을 사용한다.
  • 히젠나나우라역과 유에역 사이는 노선의 비교적 비활성 구간이기 때문에, 완행 열차는 아침 혼잡 시간 이후 낮 시간대에 약 5시간 동안만 운행된다.
  • ''원맨'' 운전사 승무 열차는 나가사키 본선 전체 구간에서 운행된다. 신선에서는 817계 EMU가 사용되고, 구선에서는 키하 66, 67, 200 DMU가 사용된다.[1]


보통 열차는 1시간에 2번 정도 운행된다. 서쪽으로는 아침에 3왕복이 사가역 발착, 절반 이상의 열차가 고호쿠역 발착이며, 그 외의 열차는 고호쿠역 이서의 나가사키 본선 또는 사세보선으로 직통한다. 동쪽으로는 기본적으로 도스역 발착이지만, 이른 아침에 하행 1편만 사가 발 히젠하마역행(고호쿠에서 칸자키역으로 회송 열차로 보내짐)도 설정되어 있으며, 아침 저녁 일부 열차는 가고시마 본선 하카타역 방면으로 직통하며, 상행만 도스역에서 가고시마 본선 구루메역 방면으로부터의 열차와 병결하는 열차가 있다. 또한 가고시마 본선으로 직통하는 상행 열차의 일부는 "구간 쾌속"이지만,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는 쾌속 운전을 하지 않는다. 사가역 - 구보타역 구간은 가라쓰선의 열차도 이용 가능하며, 운행 횟수는 더욱 많아져, 최대 1시간에 4~5번이 운행된다. 기동차 열차는 가라쓰선 직통 열차만 있으며, 그 외에는 전철로 운행되고 있다. 2022년 9월 23일 이후로는 이 구간에서 히젠하마역을 넘어 이사하야역·나가사키역 방면으로 향하는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1]

2022년 9월 23일 시간표 개정으로 히젠하마역 - 나가사키역 구간이 비전철화되면서 운행 형태가 대폭 변경되었다.[1]

고호쿠역 - 히젠하마역 구간은 전철화 설비가 존치되어 개정 전과 마찬가지로 전철 운전이 주를 이루며, 사가 방면과의 직통 운행도 지속되는 한편, 전철화 설비가 폐지된 히젠하마역 - 이사하야역 구간에서는 모든 열차가 기동차로 운행하게 되어, 히젠하마역에서 환승이 필요하게 되었다. 고호쿠역 - 히젠하마역 구간에서는 낮 시간대에는 사가 방면으로의 직통 열차가 많지만, 아침 저녁으로는 대부분의 열차가 고호쿠역에서 계통 분할되어, 비전철화 구간인 히젠하마역 이남으로 직통하는 기동차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2022년 9월 개정으로 고호쿠역 - 이사하야역 구간을 통과하는 열차(기동차)는 하행 4개, 상행 3개로, 나가사키 방면과의 직통은 하행 5개, 상행 4개로 줄어들었으며, 이 중 1왕복이 고호쿠역 - 나가사키역 구간을 직통한다.[1]

사가나가사키의 현 경계를 포함하는 이 구간은, 현 경계에 가까워질수록 운행 횟수가 줄어들어, 히젠하마역 - 이사하야역 구간 전체를 운행하는 보통 열차는 하루 7.5왕복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구간을 이동하는 경우, 시간대에 따라서는 사세보선오무라선 경유가 더 빨리 도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토쿠 자동차가 사가현 측의 가시마 버스센터(히젠가시마역 앞) - 오우라역 앞 - 다케자키항 사이에, 나가사키현 교통국이 나가사키현 측의 이사하야역 - 고나가이역 앞 - 현계 사이에 각각 국도 207호선 경유로 나가사키 본선과 병행하는 노선 버스를 운행하고 있어, 구간에 따라서는 나가사키 본선의 보통 열차보다 운행 횟수가 많다.[1]

차량이 전철에서 키하 47형 기동차로 바뀌면서 가감속 성능이 나빠지고 최고 속도도 95km로 낮아졌지만, 대향 열차와의 열차 교환이나 특급의 통과 대기로 인한 정차가 줄어들어, 이 구간의 소요 시간이 수 분 단축된 열차가 많다.[1]

도시 간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침저녁 러시아워 시간에는 수 분 간격으로 열차가 출발하며, 단선 구간에서는 선로 용량이 꽉 찬 상태이다. 러시아워 시간대 이외에는 신선(시부 역 경유), 구선(나가요 역 경유) 모두 1시간에 1번 운행이 확보되어 있지만, 구선의 키키츠 역 - 나가요 역 구간 및 신선의 쾌속 통과역에서는 2시간 정도 간격이 벌어지는 시간대가 있다. 신선에는 중간역 회차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구선에는 나가요 역에서 회차하는 열차가 있다. 낮 시간대, 이사하야 역에서 오무라 선으로 직통하는 보통 열차는 나가사키 본선은 기본적으로 구선 경유가 된다.[1]

이사하야 역 - 나가사키 역 간에는 신선 경유로 오무라 선 직통 쾌속·구간 쾌속 "씨사이드 라이너"가 1시간에 1번 운행된다. 이 구간 내에서, 통근 시간대에 운행되는 "쾌속"은 모든 역에 정차하는 한편, 낮 시간대의 "구간 쾌속"은 이사하야 역·키키츠 역·우라카미 역·나가사키 역에만 정차한다. 2022년 9월 23일 시간표 개정 이전에는, 니시이사하야 역·시부 역·히젠코가 역·아라카와 역을 통과하는 "쾌속"도 있었다. "구간 쾌속"은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는 최고 속도 110km로 운행한다.[1]

이전에는, 신선 및 히젠카시마 방면이 전철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선·오무라 선 직통 열차 이외에는 심야의 일부 상행 열차를 제외하고 전동차로 운행되었지만, 2022년 9월 23일부터는 모두 기동차로 운행하고 있다.[1]

나가사키 본선 내에서 쾌속 운전을 하는 정기 열차는 "씨사이드 라이너"뿐이지만, 임시 열차에서는 골든 위크 기간에 운행되는 쾌속 "아리타 도자기 시장호"가 쾌속 운전을 한다. "아리타 도자기 시장호" 중 하카타・미나미후쿠오카・토스 발착의 노선 내 정차역은 통상 이 구간을 운행하는 특급 열차의 정차역에 더해, 칸자키역에 정차한다. 또한 사가 인터내셔널 벌룬 페스타 개최 시에는 보통 열차에 더하여 임시 쾌속 "벌룬 페스타호"가 토스 방면 - 코호쿠역 간에 운행될 수 있다. "벌룬 페스타호"는 히젠후모토역・이가야역・나베시마역을 제외한 각 역에 정차한다.[1]

과거에 운행되었던 나가사키 발착의 "아리타 도자기 시장호"는 쾌속 "씨사이드 라이너"에 준하여 이사하야역 - 나가사키역 간은 키키츠역・우라카미역에 정차했다. 또한, 코호쿠 경유가 아닌 비전철화된 오무라선 경유로 운행되었기 때문에, 2022년 이전에도 기동차로 운행되었다(키키츠역 - 우라카미역 간은 신선 경유). 2023년 이후는 서큐슈 신칸센에 접속하는 셔틀 열차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운행을 종료했다.[1]

  • 415계 (오이타 차량센터) - 토스 - 사가 구간에서 아침 1왕복만 2개 편성 연결 8량으로 사용. 2022년 9월 개정 전까지는 오이타 차량센터 소속 차량이 히젠야마구치까지,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소속 차량(동 개정으로 전 차량이 오이타 차량센터로 전출)이 나가사키까지 운행했다.[1]
  • 811계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 토스 - 히젠하마 구간에서 러시 아워에 사용. 2개 편성 연결 8량으로 운전되는 열차도 있다. 2010년대 전반까지는 히젠오우라까지 운행했으며, 한때 히젠야마구치 이남의 운용이 폐지된 후 2022년 9월 개정으로 다시 운용 범위가 확대되었다.[1]
  • 813계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 토스 - 코호쿠 구간에서 야간 하행·아침 상행 1왕복만 2개 편성 연결 6량으로 사용. 2009년 3월 개정까지는 나가사키까지, 2022년 9월 개정까지는 히젠오우라까지 운행했다.[1]
  • 817계 (사세보 차량센터) - 원맨 운전 대응의 0번대가 토스 - 히젠하마 구간에서 사용. 러시 아워에는 2개 편성 연결 4량으로 운전되는 열차도 있다. 2011년 3월 개정까지는 이 형식 2개 편성에 813계 1개 편성을 연결한 7량, 2018년 3월 개정까지는 3개 편성을 연결한 6량으로 운전되는 열차가 있었으며, 2022년 9월 개정까지는 나가사키까지 운행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롱 시트화 개조된 500번대(동 개정으로 전 차량 가고시마 차량센터로 전속)도 사용되었다.[1]
  • KiHa47형 (사세보 차량센터, 가라쓰 차량센터) - 사세보 소속 차량은 코호쿠 - 나가사키 구간, 가라쓰 소속 차량은 사가 - 구보타 구간에서 가라쓰선 직통 열차에 한하여 사용.[1]
  • KiHa125형 (가라쓰 차량센터) - 사가 - 구보타 구간에서 가라쓰선 직통 열차에 한하여 사용.[1]
  • YC1계 (사세보 차량센터) - 오나가이 - 나가사키 구간에서 사용. 2-4량으로 운용된다. 이 형식에 한해 차량 수에 관계없이 원맨 운전이 된다.[1]


토스 - 코호쿠 구간에서는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구 소속의 817계 3000번대와 821계 (2022년 9월 개정으로 전 차량이 구마모토 차량센터로 전출된 후는 불명)도 813계의 대행으로 운용될 수 있다.[1]

5. 역 목록

(임시)バルーンさが|바룬사가일본어29.8구보타久保田|구보타일본어31.4가라쓰선[5]우시즈牛津|우시즈일본어34.2오기시고호쿠江北|고호쿠일본어39.6사세보선기시마군 고호쿠정히젠시로이시肥前白石|히젠시로이시일본어44.7rowspan="16" |시로이시정히젠류오肥前竜王|히젠류오일본어49.4히젠카시마肥前鹿島|히젠카시마일본어54.6가시마시히젠하마肥前浜|히젠하마일본어57.6히젠나나우라肥前七浦|히젠나나우라일본어61.5히젠이다肥前飯田|히젠이다일본어63.6다라多良|다라일본어67.7후지쓰군 다라정사토 신호장里信号場|사토 신호장일본어(72.3)히젠오우라肥前大浦|히젠오우라일본어75.6도이자키 신호장土井崎信号場|도이자키 신호장일본어(78.9)나가사키현이사하야시고나가이小長井|고나가이일본어82.3나가사토長里|나가사토일본어84.7유에湯江|유에일본어87.6오에小江|오에일본어90.9히젠나가타肥前長田|히젠나가타일본어95.6히가시이사하야東諫早|히가시이사하야일본어97.8이사하야諫早|이사하야일본어100.4오무라선, 시마바라 철도 시마바라 철도선니시이사하야西諫早|니시이사하야일본어103.2기키쓰喜々津|기키쓰일본어106.9나가요 경로이치누노市布|이치누노일본어109.4rowspan="4" |히젠코가肥前古賀|히젠코가일본어112.3나가사키시우쓰쓰가와現川|우쓰쓰가와일본어114.8히젠미카와 신호장肥前三川信号場|히젠미카와 신호장일본어(118.5)우라카미浦上|우라카미일본어123.7나가요 경로, 나가사키 전기 궤도나가사키長崎|나가사키일본어125.3나가사키 전기 궤도

5. 1. 신선 경유 (이치노 경유)

거리총계기키쓰喜々津3.7106.9style="text-align:center;"|>●나가사키 본선 (구간) (이사하야역에서/로 직통)∨이사하야나가사키현이치누노市布2.5109.4style="text-align:center;"|>▲ ◇히젠코가肥前古賀2.9112.3style="text-align:center;"|>▲ |나가사키우쓰쓰가와現川2.5114.8style="text-align:center;"|>▲ ◇우라카미浦上8.9123.7style="text-align:center;"|>●나가사키 본선 (구간) (나가사키역에서/로 직통)
나가사키 전기 궤도: 본선 (우라카미에키마에)^


5. 2. 구선 (나가요 경유)

나가사키 전기 궤도: 나가사키 전기 궤도 본선 (우라카미역 앞 정류장)◇

참조

[1] 서적 にっぽん列島 - 鉄道紀元 [Nippon Rettō - Tetsudō-kigen] http://www.rurubu.co[...] JTB Publishing Inc. 2007-05-10
[2] 웹사이트 TrainReview's Guide to Limited Express Kamome Trains https://trainreview.[...]
[3] 웹사이트 TrainReview https://trainreview.[...] 2020-08-05
[4] 웹사이트 新特急「かささぎ」「リレーかもめ」9月23日デビュー 西九州新幹線開業に合わせ誕生(乗りもの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2-09-23
[5] 문서 Karatsu Line trains run through to Saga Station
[6] 웹사이트 JR Nagasaki Main Line (Hizen Yamaguchi-Isahaya) railway business license https://www.mlit.go.[...] 2022-01-31
[7] 웹사이트 The Nishi-Kyushu Shinkansen will open. We will review the schedule for each conventional line section. https://www.jrkyushu[...] 2022-06-23
[8] 서적 鉄道電報略号 null null 1959-09-17
[9] 문서 FACt SHEETS 2017 https://www.jrkyushu[...] JR九州
[10] 문서 列車交換設備は道ノ尾駅、本川内駅、東園駅にもあったが、道ノ尾駅と東園駅の交換設備は国鉄時代に廃止されている。本川内駅は[[스위치백]]の廃止により交換設備もなくなった。
[11] 간행물 新型車両を投入し、通勤・通学をより快適にします ダイヤをよりわかりやすく利用しやすく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9-12-13
[12] 간행물 JR長崎本線(長崎駅から浦上駅間)の高架化について https://www.pref.nag[...] 長崎県都市政策課 2019-12-13
[13] 웹사이트 JR九州 [SUGOCA]|利用可能・発売エリア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5-06-02
[14] PDF 〜 運行情報のご案内を充実 〜 「JR九州アプリ」で列車位置情報を表示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6-12-20
[15]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
[16] 문서 2018年(平成30年) 3月期 有価証券報告書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7]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6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03
[18] 뉴스 JR九州、区間別の利用状況を初公表 路線維持へ地元議論促す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7-31
[19]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7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03
[20]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18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03
[21]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19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03
[22]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20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03
[23]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21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03
[24] 웹사이트 線区別ご利用状況(2022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03
[25] 문서 長崎鉄道事業部長崎運輸センター
[26]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2009
[27] 지도 地理院地図 https://maps.gsi.go.[...] 国土地理院
[28] 서적 全線全駅鉄道の旅 10 九州 JR私鉄2500キロ 小学館 1991
[29] 논문 わが国における鉄道トンネルの沿革と現状(第5報) ―旧・九州鉄道をめぐって― 土木学会 1995-06
[30] 웹사이트 西九州新幹線と接続する特急「リレーかもめ」885系・787系で運転へ https://news.mynavi.[...] 2022-06-10
[31] 문서 JR九州ユニオン業務速報27号 JR九州ユニオン中央本部 2022-12-21
[32] 문서 当該区間には長崎本線経由の乗車券で佐世保線・大村線経由でも乗車できる[[경로특정구간]]が設定されていたが、1994年に廃止されており、乗車券は実乗経路通りに発券・使用しなければならなくなった。運賃計算についても同様である。
[33] 뉴스 長崎本線「並行しない並行在来線」を巡る 西九州新幹線の開業後どう変わる https://news.railway[...] 鉄道プレスネット 2022-04-19
[34] 문서 元々交換待ちが少なかった早朝深夜においては一部列車の所要時間が大幅に増大している。その影響が最も大きい長崎発江北(肥前山口)行き最終列車は2022年9月23日ダイヤ改正前後で終点江北(肥前山口)の到着時刻は0:01のまま変更なしだが、長崎の発車時刻が22:20から21:47へと33分も繰り上げられた。
[35] 문서 コンテナ時刻表 https://www.jrfreigh[...] JR貨物
[36] 서적 新長崎市史 第四巻現代編 長崎市 2014-03
[37] 서적 鉄輪の轟き 九州の鉄道100年記念誌 九州旅客鉄道 1989-10
[38] 문서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Ⅱ JTB 1998-10-01
[39] 간행물 「鉄道省告示第32号・第33号」『官報』1930年3月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0-03-04
[40] 간행물 「鉄道省告示第323号・第324号」『官報』1930年11月26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0-11-26
[41] 간행물 「鉄道省告示第94号・第95号」『官報』1934年3月20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4-03-20
[42] 간행물 「鉄道省告示第169号・第170号」『官報』1934年4月1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4-04-14
[43] 간행물 「鉄道省告示第533号・第534号」『官報』1934年11月1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4-11-01
[44] 간행물 記念スタンプ「逓信省告示第3018号」『官報』1934年11月2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4-11-29
[45] 간행물 「鉄道省告示第533号」『官報』1934年11月1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4-11-01
[46] 뉴스 通報 ●長崎本線肥前麓・三田川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66-09-26
[47] 웹사이트 14.国鉄浦上新線の開通 (昭和47年10月) http://www.nagasaki-[...]
[48] 뉴스 10月ダイヤ改正まであと9日 工事も最後のヤマ場 前日まで続く切替作業 交通協力会 1968-09-22
[49] 서적 485系物語 JTBパブリッシング 2013
[50] 논문 6月のメモ帳 電気車研究会 1976-09-01
[51] 뉴스 長崎本線に「西諌早駅」来月14日開業 交通協力会 1985-02-15
[52] 트윗 陸上自衛隊目達原駐屯地 2023-04-30
[53]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0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0-08-01
[54]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55] 보도자료 訪日外国人のお客さまに、安心してご利用いただけるご案内を目指します! 北部九州エリア157駅に「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8-09-28
[56] 뉴스 JR 新「長崎駅」開業 高架化、踏切4カ所廃止 長崎-浦上両駅 新型コロナで式典で中止 https://this.kiji.is[...] 長崎新聞社 2020-03-29
[57] 뉴스 佐賀・長崎で新法人「鉄道管理センター」鹿島市に設立 https://www.saga-s.c[...] 佐賀新聞社 2021-04-01
[58] 보도자료 長崎本線(肥前山口・諫早間)の第三種鉄道事業許可について http://www.saga-naga[...] 一般社団法人佐賀・長崎鉄道管理センター 2022-01-31
[59] 보도자료 九州旅客鉄道株式会社の鉄道事業の一部を廃止する届出及び本届出に係る公衆の利便の確保に関する意見の聴取について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九州運輸局 2021-09-03
[60] 보도자료 長崎本線 肥前山口駅の駅名改称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佐賀県江北町/九州旅客鉄道 2021-04-21
[61] 보도자료 2022年9月23日ダイヤ改正 西九州新幹線が開業します 在来線各線区でダイヤを見直します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6-10
[62] 뉴스 <新幹線長崎ルート> 並行在来線の電化区間を1駅分延伸 「肥前鹿島まで」から「肥前浜まで」へ JR長崎線 https://www.saga-s.c[...] 2021-06-17
[63] 뉴스 JR長崎線の並行在来線、肥前浜まで電化区間延伸 管理費はJR九州負担 https://www.nishinip[...] 2021-06-15
[64] 보도자료 西九州エリアへのICカード乗車券SUGOCAの導入日が決定しました!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佐賀県/長崎県 2024-09-04
[65] 논문 架線下DC行進曲 急行<出島3号/弓張2号>博多→長崎・佐世保 鉄道ジャーナル社 1978-10
[66] 저널 1978-10
[67] 저널 新幹線開業で懸念される西九州在来線の今後 2022-12
[68] 문서 唐津線の列車は佐賀駅まで乗り入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