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가 (여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가(Ganga)는 힌두교에서 숭배되는 여신으로, 갠지스강을 의인화한 존재이다. 베다 경전, 특히 리그베다에서 언급되며, 힌두교 신자들에게 가장 신성한 강으로 여겨진다. 강가는 흰 피부에 흰 왕관을 쓰고 악어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다양한 손 모양과 물건들을 든 모습으로 표현된다. 신화에 따르면, 강가는 비슈누, 시바의 아내로 묘사되기도 하며, 히말라야 산맥의 산신 히마바트의 딸로, 바기라타의 노력으로 지상에 강림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갠지스강은 힌두교도들의 숭배 대상이며, 강가 자얀티, 나바라트리 등의 축제에서 숭배받는다. 또한 인도 아대륙을 넘어 네팔, 스리랑카, 발리, 모리셔스, 태국, 캄보디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도 숭배되고 있다.
힌두교의 가장 오래된 경전인 리그베다에는 강가(갠지스강)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리그베다의 나디수티 (리그베다 10.75)에는 강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여기서 강가가 언급된다.[1]
베다 시대부터 갠지스강은 힌두교 신자들에게 가장 신성한 강으로 여겨져 왔으며, 여신 강가로 의인화되어 숭배된다. 강가는 선율적이고, 행운이 따르며, 젖을 많이 주는 암소, 영원히 순수하며, 즐겁고, 물고기가 가득한 몸, 눈을 즐겁게 하고 장난삼아 산을 뛰어넘는 존재, 물과 행복을 베푸는 침대, 그리고 모든 생명체의 친구 또는 은인으로 묘사된다.[2]
2. 베다 경전
2. 1. 리그베다의 언급
강가는 힌두교의 가장 오래되고 이론적으로 가장 신성한 경전인 리그베다에 언급되어 있다. 강가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강을 나열하는 나디수티(리그베다 10.75)에 언급되어 있다.[1] RV 6.45.31절에도 "강가"라는 단어가 언급되어 있지만, 강을 언급하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1] RVRV 3.58.6절은 "당신의 고대 고향, 당신의 상서로운 우정, 오 영웅들이여, 당신의 부는 자한비 강둑에 있습니다."라고 말한다.[1] 이 구절은 강가를 가리킬 수 있다. RV 1.116.18–19절에서 자한비와 갠지스강 돌고래가 인접한 두 구절에 나온다.[1]
3. 도상학
강가는 히말라야 산맥의 산신 히마바트의 딸로 태어나 천계에서 자랐으며, 파르바티의 여동생 또는 언니라고도 한다. 신화에 따르면, 강가는 비슈누 신의 발가락에서 흘러나와 천계의 브라흐마 마을 주위를 돌고 있었다. 현자 바기라타는 조상의 영혼을 정화하기 위해 강가의 성수를 지상으로 가져오려 했고, 시바 신만이 갠지스강의 맹렬한 물줄기를 받아낼 수 있었다. 바기라타는 시바 신에게 기도하여 갠지스강을 지상으로 흐르게 하였고, 그 후 갠지스강은 성스러운 강으로서 사람들에게 은혜를 베풀고 있다고 한다.[30] 이러한 신화 때문에 시바 신의 머리카락 안에 강가가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비슈누 혹은 시바의 아내라는 설도 있다. 비슈누는 세 명의 아내 (사라스바티, 락슈미, 강가)를 두었으나, 다툼이 끊이지 않아 사라스바티는 브라흐마에게, 강가는 시바에게 주고 자신은 락슈미를 아내로 삼았다고 한다.[31][32][33]
3. 1. 여신 강가의 모습
강가는 흰 왕관을 쓰고 악어 위에 앉아 있는, 피부가 흰 여성으로 표현된다. 오른손에는 수련을, 왼손에는 피리를 들고 있다.[2] 네 손을 가진 모습에서는 물 항아리, 수련, 묵주를 들고 있으며, 한 손은 보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브라흐마 바이바르타 푸라나에서는 악어 머리와 돌고래 꼬리를 가진 동물인 마카라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30]
네 팔을 가지고 악어 위에 올라타거나 악어들에 둘러싸여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도 묘사된다. 마하 비라트-루파(Maha Virat-rupa)의 한 도상학에서는 암리타 단지, 묵주, 연꽃과 바라다 무드라(varada mudra)를 들고 있다. 칼라샤 (또는 연꽃을 대체하는 2개)와 연꽃만 들고 있고, 다른 2개의 손은 바라다와 아바야 무드라를 하고 있는 다른 방식으로 묘사될 수도 있다.
특히 벵골에서 인기 있는 또 다른 묘사에서는 상크, 차크라 (원반), 연꽃과 아바야 무드라를 들고 있으며, 칼라샤가 그녀의 성수를 뿜어내고 있다.
4. 신화와 전설
힌두교 경전에는 강가 여신의 탄생과 지상 강림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 바가바타 푸라나에 따르면 비슈누의 발에서 태어났다고 한다.[3]
- 라마야나에 따르면 히말라야 산맥의 왕 히마바트의 딸로 묘사된다.[4][5]
-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에서는 비슈누의 세 아내 중 한 명이었으나 다른 아내들과의 갈등으로 시바에게 보내졌다고 한다.[7][8][9]
- 마하바라타에서는 데바와 아수라 간의 전쟁 이후 가뭄이 발생했을 때 비슈누가 강가 강을 통해 바다가 채워질 것이라고 예언했다. 사가라 왕의 후손 바기라타의 노력으로 강가가 지상으로 내려왔으며, 이 과정에서 시바가 강가의 낙하를 막아 세상을 보호했다.[10] 바기라타의 노력으로 강은 바기라티 또는 자흐나비라고도 불린다.[11][10]
- 마하바라타에서 강가는 샨타누 왕의 아내이자 비슈마의 어머니로 등장한다. 강가와 샨타누는 브라흐마의 저주로 지상에 태어났으며, 샨타누는 강가에게 자신의 행동에 대해 질문하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결혼했다. 강가는 저주받은 여덟 아들을 낳아 그들의 요청대로 익사시켰으나, 여덟 번째 아들 비슈마는 샨타누에 의해 구해졌다.[13]
4. 1. 탄생
바가바타 푸라나에 따르면, 비슈누가 바마나로 화신하여 왼발을 우주의 끝까지 뻗었고, 엄지 발톱으로 우주의 덮개에 구멍을 냈다. 그 구멍을 통해 원인해의 깨끗한 물이 갠지스강으로 이 우주에 들어왔다. 붉은 사프란으로 덮인 주님의 연꽃 발을 씻어낸 강가강의 물은 매우 아름다운 분홍색을 띠게 되었다. 갠지스강은 이 우주에 내려오기 전에 직접 비슈누(나라야나)의 연꽃 발에 닿기 때문에, '바가바트-파디(Bhagavat-Padi)' 또는 '비슈누파디(Vishnupadi)'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바가반(신)의 발에서 나온'을 의미한다.[3]라마야나에서는 이와 다른 버전의 신화를 이야기한다. 강가는 히말라야 산맥의 왕인 히마바트와 그의 아내 메나바티(메루의 딸)의 장녀로 묘사된다. 그녀의 여동생은 시바와 결혼하는 파르바티이다. 강가가 젊음을 얻었을 때, 데바들은 그녀를 스바르가로 데려갔고, 그곳에서 그녀는 강의 형태를 취해 흘러갔다.[4][5]
4. 2. 강으로의 변신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에 따르면, 강가는 원래 락슈미, 사라스바티와 함께 비슈누의 세 아내 중 한 명이었다.[6] 강가가 장난스럽게 비슈누를 쳐다보는 것을 본 사라스바티는 강가를 비난했고, 락슈미가 중재하려 하자 락슈미에게도 화를 내며 툴라시 식물로 태어나도록 저주했다. 이에 격분한 강가는 사라스바티에게 땅의 강으로 화신할 것이라고 저주했고, 사라스바티도 강가에게 똑같은 저주를 내리며 죄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물로 죄를 씻을 것이라고 말했다.[7][8][9] 비슈누는 갈등을 막기 위해 락슈미를 자신의 유일한 아내로 하고, 사라스바티는 브라흐마에게, 강가는 시바에게 보냈다.[7][8][9]비슈누는 처음에 사라스바티, 락슈미, 강가 세 명의 아내를 두었지만, 셋 사이의 다툼이 끊이지 않아 결국 사라스바티를 브라흐마에게, 강가를 시바에게 주고 자신은 락슈미를 아내로 삼았다는 이야기도 있다.[31][32][33]
4. 3. 지상 강림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데바와 아수라 사이에 전쟁이 있었다. 아수라 지도자 브리트라가 인드라에게 죽임을 당하자, 그 추종자들은 바다에 숨었다. 데바들은 현자 아가스티아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아가스티아는 신성한 힘으로 바다를 삼켜 아수라들을 드러냈다. 데바들이 아수라들을 물리친 후, 현자는 물을 되돌릴 수 없었고 지구에 가뭄이 발생했다. 비슈누는 간가 강이 행성으로 흘러 바다가 채워질 것이라고 확신했다.[10]
사가라 왕의 후손 바기라타의 노력으로 간가가 지구로 강림한 이야기는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그리고 다양한 푸라나에 서술되어 있다.[11] 사가라 왕은 아슈바메다 의식을 수행했는데, 인드라가 의식을 막기 위해 말을 훔쳤다. 사가라 왕은 6만 명의 아들을 보내 말을 찾게 했고, 아들들은 저승의 카필라 현자 아쉬람에서 말을 찾았다. 아들들은 카필라가 말을 훔쳤다고 생각해 명상 중인 그를 방해했고, 분노한 카필라는 아들들을 재로 태워버렸다.[12]
사가라 왕은 손자 암슈만을 보내 카필라에게 영혼 구원 방법을 물었다. 카필라는 스바르가에서 흘러내리는 갠지스 강물만이 그들을 해방시킬 수 있다고 조언했다.[12] 암슈만의 손자 바기라타는 고행을 통해 브라흐마와 시바의 호의를 얻었다. 브라흐마는 간가가 지구로 강림하도록 허락했고, 시바는 간가의 낙하를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막아 지구를 보호했다.[12] 간가가 내려오자 바기라타는 그녀를 바다로 인도했고, 강은 저승에 이르러 사가라 왕의 아들들을 해방시켰다.[10]
바기라타의 노력으로 강은 바기라티라고도 불린다. 그녀는 천국, 지구, 저승의 세 세계를 흐르기 때문에 트리파타가라고도 불린다.[11] 간가의 또 다른 별칭은 자흐나비인데, 바기라타의 인도를 받던 중 자흐누 현자의 아쉬람을 침수시켜 현자가 갠지스 강물을 모두 마셨기 때문이다. 바기라타가 간가 강림의 사명을 설명한 후 자흐누 현자는 왼쪽 귀로 물을 내보냈다. 이 사건으로 간가는 '자흐나비'(자흐누 현자의 딸)라고 불리게 되었다.[10]
히말라야 산맥의 산신 히마바트의 딸로 태어나 천계에서 자란 아름다운 여신으로, 파르바티의 여동생이다. 파르바티(우마)의 언니라고 하는 설도 있다.
신화에 따르면, 처음에는 갠가(강가)는 비슈누 신의 발가락에서 흘러나와 천계에 있는 브라흐마의 마을 주위를 돌고 있었다. 현자 바기라타는 실수로 카필라 선인의 분노를 사 불타 죽은 조상의 영혼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갠가의 성수를 지상으로 가져오려 히말라야 산중에서 수행을 했다. 갠가 여신은 그 소원을 받아들였지만, 천계에서 지상으로 낙하하는 갠가의 맹렬한 물줄기를 받아낼 수 있는 것은 시바 신뿐이라고 전했다. 바기라타는 카일라스 산에 가서 시바 신에게 기도를 드려 소원을 들어주었다. 시바 신은 지상에 떨어지는 갠가를 풍성한 머리카락으로 받아 히말라야 산중에 쏟아냈다. 바기라타의 선조의 유해는 그 물로 정화되어, 영혼은 천국으로 올라갈 수 있었다. 그 이후 갠가는 성스러운 강으로서 지상의 사람들에게 은혜를 계속 가져다주고 있다고 한다[30]. 이 신화를 바탕으로 시바 신의 머리카락 안에 갠가가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비슈누 혹은 시바의 아내라는 설도 있다. 비슈누는 처음에 사라스바티, 락슈미, 갠가라는 3명의 아내를 두었지만, 3명 사이에서 다툼이 끊이지 않아, 결국 참을 수 없게 되어, 사라스바티를 브라흐마에게, 갠가를 시바에게 주고, 비슈누 자신은 락슈미를 아내로 삼았다고 한다.[31][32][33]
4. 4. 샨타누와의 결혼과 비슈마의 탄생
마하바라타에서 강가는 샨타누 왕의 아내이자 비슈마를 포함한 여덟 바수의 어머니로 등장한다.[15][13] 강가와 샨타누는 브라흐마의 저주로 인해 지상에 태어나게 되었다. 샨타누는 갠지스강에서 강가를 만나 결혼을 제안했고, 강가는 샨타누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질문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이를 승낙했다.[13] 샨타누는 이 조건에 동의했고 둘은 결혼하여 평화롭게 함께 살면서 여덟 아들을 낳았는데, 이들은 모두 여덟 바수의 화신이었다.하지만 이 여덟 아들들 역시 저주를 받았는데, 그들은 지상에 태어났을 때 강가에게 자신들의 생명을 끝내달라고 요청했다. 강가는 그들의 요청에 따라 샨타누가 지켜보는 가운데 태어난 아들들을 차례로 익사시켰다. 그러나 여덟 번째 아들 비슈마를 익사시키려 할 때, 샨타누가 강가를 막았다.[13] 강가는 이후 비슈마를 데리고 떠났지만, 비슈마가 열 살이 되자 그를 샨타누에게 돌려주었다.[13]

5. 숭배와 축제
갠지스강(강가)은 힌두교에서 "성스러운 강"으로 숭배되며, 힌두교도들은 이 강물에 목욕하면 죄가 정화되고, 죽은 사람의 유해를 강에 흘려보내면 윤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믿는다.[16]
5. 1. 강가 자얀티
전설에 따르면, 강가 여신이 땅으로 내려오는 동안 실수로 자누 성자의 오두막을 파괴했고, 이에 성자는 강물을 전부 마셔버렸다. 바기라타와 강가 여신의 요청으로, 성자는 강물을 귀에서 흘려보냈고, 강가는 자흐나비라는 별칭을 얻었다.[16] 강가 자얀티는 바이사카 달의 팍샤의 7일에 해당한다.5. 2. 나바라트리
강가는 나바라트리 축제 기간 동안 모든 형태의 아디샤크티로 숭배된다.5. 3. 로이 크라통 (태국)
타이인들은 크라통을 띄워 물의 여신이자 힌두교 여신인 프라 매 콩카(Phra Mae Khongkha, พระแม่คงคาth)에게 감사를 표한다.6. 인도 아대륙과 힌두교를 넘어선 숭배
갠지스강은 인도 아대륙을 넘어 네팔, 스리랑카, 발리, 모리셔스, 태국, 캄보디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숭배된다.
6. 1. 네팔
갠지스는 네팔에서 수호 여신으로 존경받으며, 야무나 여신과 함께 숭배된다.[17][18] 갠지스 여신의 조각상은 파탄 두르바 광장과 고카르네스와르 마하데브 사원 (바그마티 주 카트만두 구의 자치 단체)에서 볼 수 있다.[19]6. 2. 스리랑카
스리랑카에서 강가는 다른 힌두교 신들과 함께 불교적 인격을 띤다. 그녀의 조각상은 켈라니야 라자 마하 비하라에서 볼 수 있다.[20][21]6. 3. 발리
발리 힌두교에서 강가는 데위 다누 여신과 함께 숭배된다. 갠지스강의 물은 발리에서 성스러운 것으로 여겨진다. 그녀가 비슈마와 모성적 연관성을 갖는다는 것은 발리에서 알려져 있다. 발리에서 그녀와 관련된 종교 유적지는 티르타 강가, 푸라 타만 뭄불 상헤, 콩코 푸라 타만 간다사리이다.[22]6. 4. 모리셔스
강가 탈라오는 모리셔스의 힌두교도들에게 갠지스강과 동등하게 여겨진다. 1972년 당시 모리셔스 총리였던 시우사구르 람굴람은 갠지스강의 발원지인 고무크에서 성수를 가져와 그랜드 바신의 물과 섞어 강가 탈라오라고 이름을 바꿨다.
6. 5. 태국
태국의 왕실 트리얌파와이 의식에서 갠지스는 힌두교 신 시바, 프라 매 부미, 프라 수르야, 프라 찬드라와 함께 소환된다.[23][24][25] 그녀는 태국 불교 내에서 여신 프라 매 토라니와 함께 숭배받으며, 타이 민간 신앙에서 여신 포솝과 함께 숭배받는다. 수판부리 주의 네 개의 성스러운 연못은 갠지스강과 야무나 강에서 물을 가져와 의식에 사용된다.[23][24][25]6. 6. 캄보디아
크메르 제국 이후 캄보디아에서 숭배되었다. 시바의 도상 형태인 '우마-강가파티스바라'(ព្រះឧមាគង្គាបតិស្វរkm)에서 시바는 강가와 그의 아내 우마(파르바티)와 함께 묘사된다. 갠지스의 이미지는 바콩, 톰마논의 상인방에서 발견되며, 국제 박물관 협의회에서 전시된다.[26][27]7. 대중문화 속 갠지스
2024년 바이스나비 파텔의 소설 강가의 여신은 마하바라타의 사건을 강가의 시점에서 다시 이야기한다.[28]
참조
[1]
서적
The Rigveda: A Histor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Aditya Prakashan
2000
[2]
서적
Iconography of Gaṅgā and Yamunā
https://books.google[...]
B.R. Publishing Corporation
2018
[3]
웹사이트
Story of Gaṅgā
https://www.wisdomli[...]
2019-01-28
[4]
서적
The Concise R_m_ya_a of V_lm_ki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8-01-01
[5]
서적
Kingdom of Shiva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Pvt Ltd
2015-01-23
[6]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7]
웹사이트
On the coming in this world of Lakṣmī, Gaṅgā and Sarasvatī [Chapter 6]
https://www.wisdomli[...]
2013-05-15
[8]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OUP USA
2008-03-27
[9]
서적
The Book of Devi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010-06
[10]
서적
Kamandalu: The Seven Sacred Rivers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MAYUR University
2014-12
[11]
서적
India : a sacred geography
Harmony Books
[12]
서적
Ganges : the many pasts of an Indian River
Yale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Introduction: Feminine Journeys of the Mahabharata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of Hindu Mythology, and Religion, Geography, History,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4
[17]
웹사이트
Statue of the River Goddess Ganga in Royal Palace in Patan, Kathmandu Valley, Nepal Stock Photo - Image of Nepalese, Asian: 89398650
https://www.dreamsti[...]
2020-06-21
[18]
웹사이트
Nepal Patan Ganga Statue High Resolution Stock Photography and Images - Alamy
https://www.alamy.co[...]
2020-06-21
[19]
웹사이트
53 Kathmandu Gokarna Mahadev Temple Ganga Statue
http://www.mountains[...]
Mountainsoftravelphotos.com
2010-10-10
[20]
웹사이트
Kelaniya Raja Maha Vihara
https://www.photodha[...]
2020-06-21
[21]
웹사이트
The Goddess Ganga (Bas-relief depicting the goddess Ganga atop her crocodile (Makara) mount at Kelaniya Temple, Sri Lanka) | Mahavidya
http://www.mahavidya[...]
2020-06-21
[22]
웹사이트
Taman Mumbul dengan Panglukatan Pancoran Solas di Sangeh, Simbol Dewata Nawasanga
https://bali.tribunn[...]
2020-06-21
[23]
웹사이트
พระราชพิธีตรียัมปวาย-ตรีปวาย
http://www.srichinda[...]
2020-06-21
[24]
웹사이트
อุทยานศาสนาพระโพธิสัตว์กวนอิม
http://pioneer.netse[...]
2020-06-21
[25]
웹사이트
"พันปีไม่เคยแห้ง" น้ำศักดิ์สิทธิ์ ของพญานาค จากสระทั้งสี่ ที่เมืองสุพรรณบุรี
https://www.silpa-ma[...]
2019-03-04
[26]
웹사이트
Vasudha Narayanan | Department of Religion
http://users.clas.uf[...]
2020-06-21
[27]
웹사이트
Shiva with Uma and Ganga, sandstone, 101 x 53 x 13 cm
https://icom.museum/[...]
2020-06-21
[28]
웹사이트
Review Of 'Goddess Of The River': The Currents Of Choice
https://www.outlooki[...]
2024-12-01
[29]
문서
[30]
Citation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中央公論新社]]"
2003年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웹인용
On the coming in this world of Lakṣmī, Gaṅgā and Sarasvatī [Chapter 6]
https://www.wisdomli[...]
2013-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