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비에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비에 제도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섬들로, 망가레바 섬과 테모에 환초를 포함한다. 기원전 1000년경 소시에테 제도에서 이주해온 폴리네시아인들이 정착했으며, 1797년 제임스 윌슨에 의해 유럽에 발견되었다. 1830년대에 가톨릭 선교사들이 들어와 기독교를 전파하고, 1881년 프랑스에 병합되었다. 2017년 기준 1,431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진주 양식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망가레바어는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로,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군도 - 마르키즈 제도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속하는 마르키즈 제도는 12개의 화산섬과 1개의 환초로 이루어진 외딴 군도로, 1595년 스페인 탐험가에 의해 발견되어 19세기 말 프랑스령이 되었으며, 훔볼트 해류의 영향과 전염병으로 인구 변화를 겪다가 202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군도 - 소시에테 제도
    소시에테 제도는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위치하며 풍상 제도와 풍하 제도로 나뉘고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열대 및 아열대 기후의 제도이다.
  • 태평양의 군도 - 마르키즈 제도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속하는 마르키즈 제도는 12개의 화산섬과 1개의 환초로 이루어진 외딴 군도로, 1595년 스페인 탐험가에 의해 발견되어 19세기 말 프랑스령이 되었으며, 훔볼트 해류의 영향과 전염병으로 인구 변화를 겪다가 202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태평양의 군도 - 소시에테 제도
    소시에테 제도는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위치하며 풍상 제도와 풍하 제도로 나뉘고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열대 및 아열대 기후의 제도이다.
강비에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감비에 제도의 지도. 북서쪽에는 투아모투 제도의 일부인 섬들이, 남동쪽에는 감비에 제도 본섬 (망가레바, 아카마루, 타라바이, 테모에)이 표시되어 있음.
코뮌인 감비에의 지도. 북서쪽에는 투아모투 제도에 속하는 섬들이, 남동쪽에는 감비에 제도 본섬 (망가레바, 아카마루, 타라바이, 테모에)이 표시되어 있음.
기본 정보
감비에 제도의 기
감비에 제도의 기
별칭(정보 없음)
위치태평양
군도폴리네시아
총 섬 수14
주요 섬망가레바섬, 아카마루섬, 아우케나섬, 타라바이섬
면적27.8 km²
행정 구역
국가프랑스
국가 행정 구역 종류집단
국가 행정 구역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최대 도시리키테아
최대 도시 인구(정보 없음)
인구 통계
인구1,431명
인구 조사 기준 시점2017년 8월
인구 밀도51명/km²
민족 구성(정보 없음)
기타 정보
시간대UTC-9

2. 역사

1797년 런던 선교 협회(London Missionary Society) 소속 선박 ''더프''(Duff)호의 선장 제임스 윌슨이 유럽인 최초로 강비에 제도를 발견했다.[7] 윌슨은 타히티, 통가, 마르키즈 제도에서 선교 활동을 위해 영국을 출발했으며, 자신의 롤모델이자 탐험을 재정적으로 지원한 위그노 제임스 갬비어 1세 남작 갬비어의 이름을 따서 섬들의 이름을 지었다.

1825년 영국인 프레데릭 윌리엄 비치는 북아메리카의 태평양북극으로 향하는 탐험 중 자신의 선박 HMS ''블러섬''을 타고 강비에 제도에 도착했다.

1834년 예수 성심 수도회의 선교사 오노레 라발과 프랑수아 카레는 1775년 스페인인들의 타히티에서의 실패한 시도 이후 폴리네시아 최초의 가톨릭 선교부를 설립하기 위해 이 섬들에 도착했다.[7] 이들은 타히티의 프랑스 합병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처음에는 망가레바의 마지막 왕인 마푸테오아 왕이 저항했지만, 심각한 질병에서 회복된 것을 새로운 신에게 돌린 후, 기독교 선교사들의 영향력에 굴복했고 1836년에 세례를 받았다.

이후 피쿠시안들은 통치자의 묵인과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에 대한 광범위한 개발 프로그램을 펼쳤다.[7] 1836년 강비에 제도 전체 주민에게 세례를 준 후, 타히티로 이동했다. 윌슨의 탐험 이후, 이 섬에는 영국의 영사이자 폼아레 바히네 여왕의 고문이었던 프리차드가 이끄는 개신교 선교부가 있었다. 프리차드는 가톨릭 선교부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외교적 갈등을 야기했다. 프랑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뒤페티-투아르 제독을 파견했고, 제독은 결국 보호령을 설정하고 나중에 타히티를 병합했다.

1837년 강비에 제도는 강한 지진과 쓰나미를 겪었다. 라발과 카레는 군도로 돌아와 신정 정치 체제를 수립했다. 그들은 섬의 주민들에게 글을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쳤고, 유럽 상인과 포경업자로부터 그들을 보호했다.[7] 라발 신부의 말처럼 "문명은 만족으로 이어진다."

종교적 열정으로 인해 모든 우상과 사원을 체계적으로 대체하고, 그 자리에 백 개가 넘는 석조 건물을 짓도록 명령했다.[7] 교회, 예배당, 수도원, 신학교, 묘지, 사제관, 개선문 등이 있었다. 망가레바의 성 미카엘 대성당만 2,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었다. 라발과 카레가 떠났을 때 2,000명이 넘었던 인구 감소는 질병과 이주로 인해 19세기 말에 500명으로 감소했다. 많은 노동자들이 1856년 파페에테의 대성당을 짓기 위해 망가레바에서 타히티로 보내졌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위한 노동력 모집은 작은 강비에 제도들의 인구를 감소시켰고, 일부 자료에 따르면 기아로 이어졌는데, 이는 매일의 식량 조달이 소홀해졌기 때문이다.[7]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전염병의 확산과 함께 빈곤과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다. 한편, 선교사들은 끊임없는 부족 간의 전쟁, 인신 제사, 식인 풍습을 억제했다.

성 베드로 가톨릭 예배당, 리키테아, 요셉 그레고리 왕과 그의 아버지 마푸테오아가 묻혀 있는 곳


타히티의 프랑스 총독은 수년 동안 섬에서의 일들을 지켜보았다. 상인과 상선들의 불만이 더 자주 제기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개입했다. 라발 신부는 타히티의 플로렌틴 에티엔 "테파노" 자센 주교의 권유로 1871년 망가레바를 떠나야 했다. 그는 1880년 11월 1일에 사망하여 타히티에 묻혔다.

강비에 제도는 결국 1881년 2월 21일 베르나르도 푸타이리 섭정공 아래에서 병합되었고, 1882년 1월 30일 쥘 그레비 프랑스 대통령에 의해 승인되었다.[7]

강비에 제도는 약 400km 떨어진 무루로아에서 진행된 프랑스 핵실험 활동의 물류 기지 역할을 했다. 이 기간 동안 프랑스군은 대형 선박의 통행을 위해 더 넓고 깊은 수로를 내고자 일부 산호초 지대를 쇠사슬로 끌어 훼손했다. 그 결과 시가테라에 의한 감염률이 증가했다.[9]

2. 1. 유럽인 도래 이전

호놀룰루의 비숍 박물관의 인류학자 케네스 P. 에모리(Kenneth P. Emory)는 강비에 제도가 동 폴리네시아의 다른 섬들과 마찬가지로 마르케사스 제도에서 식민지화되었다고 추정했다.[4] 하지만 현재는 기원후 1000년경 소시에테 제도에서 정착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진다.[5] 망가레바, 타라바이, 아가카우이타이, 아카마루, 아우케나, 카마카 섬이 선사 시대에 폴리네시아인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6] 사회 형태는 엄격하게 계층화된 부족 사회였으며, 끊임없는 씨족 간의 전쟁과 간헐적인 식량 부족이 있었고, 식인 풍습도 드물지 않았다. 유럽의 영향이 시작되기 직전, 사회 계급 간의 혼란과 내전을 초래하는 사회적 불안이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7] 이러한 사회적 격변은 19세기 초 타히티의 포마레 2세 왕에 의한 군도의 정복을 크게 용이하게 했을 수 있다. 19세기 후반까지 군도는 타히티의 포마레 왕가의 영향권에 남아 있었다.

2. 2. 유럽인의 발견과 식민지화

1797년 런던 선교 협회(London Missionary Society) 소속 선박 ''더프''(Duff)호의 선장 제임스 윌슨이 유럽인 최초로 강비에 제도를 발견했다.[7] 윌슨은 타히티, 통가, 마르키즈 제도에서 선교 활동을 위해 영국을 출발했으며, 자신의 롤모델이자 탐험을 재정적으로 지원한 위그노 제임스 갬비어 1세 남작 갬비어의 이름을 따서 섬들의 이름을 지었다.

1825년 영국인 프레데릭 윌리엄 비치는 북아메리카의 태평양북극으로 향하는 탐험 중 자신의 선박 HMS ''블러섬''을 타고 강비에 제도에 도착했다.

1834년 예수 성심 수도회의 선교사 오노레 라발과 프랑수아 카레는 1775년 스페인인들의 타히티에서의 실패한 시도 이후 폴리네시아 최초의 가톨릭 선교부를 설립하기 위해 이 섬들에 도착했다.[7] 이들은 타히티의 프랑스 합병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처음에는 망가레바의 마지막 왕인 마푸테오아 왕이 저항했지만, 심각한 질병에서 회복된 것을 새로운 신에게 돌린 후, 기독교 선교사들의 영향력에 굴복했고 1836년에 세례를 받았다.

이후 피쿠시안들은 통치자의 묵인과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에 대한 광범위한 개발 프로그램을 펼쳤다.[7] 강비에 제도 전체 주민에게 세례를 준 후, 1836년 타히티로 이동했다. 윌슨의 탐험 이후, 이 섬에는 영국의 영사이자 폼아레 바히네 여왕의 고문이었던 프리차드가 이끄는 개신교 선교부가 있었다. 프리차드는 가톨릭 선교부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외교적 갈등을 야기했다. 프랑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뒤페티-투아르 제독을 파견했고, 제독은 결국 보호령을 설정하고 나중에 타히티를 병합했다.

1837년 강비에 제도는 강한 지진과 쓰나미를 겪었다. 라발과 카레는 군도로 돌아와 신정 정치 체제를 수립했다. 그들은 섬의 주민들에게 글을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쳤고, 유럽 상인과 포경업자로부터 그들을 보호했다.[7] 라발 신부의 말처럼 "문명은 만족으로 이어진다."

종교적 열정으로 인해 모든 우상과 사원을 체계적으로 대체하고, 그 자리에 백 개가 넘는 석조 건물을 짓도록 명령했다.[7] 교회, 예배당, 수도원, 신학교, 묘지, 사제관, 개선문 등이 있었다. 망가레바의 성 미카엘 대성당만 2,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었다. 라발과 카레가 떠났을 때 2,000명이 넘었던 인구 감소는 질병과 이주로 인해 19세기 말에 500명으로 감소했다. 많은 노동자들이 1856년 파페에테의 대성당을 짓기 위해 망가레바에서 타히티로 보내졌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위한 노동력 모집은 작은 강비에 제도들의 인구를 감소시켰고, 일부 자료에 따르면 기아로 이어졌는데, 이는 매일의 식량 조달이 소홀해졌기 때문이다.[7]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전염병의 확산과 함께 빈곤과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다. 한편, 선교사들은 끊임없는 부족 간의 전쟁, 인신 제사, 식인 풍습을 억제했다.

타히티의 프랑스 총독은 수년 동안 섬에서의 일들을 지켜보았다. 상인과 상선들의 불만이 더 자주 제기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개입했다. 라발 신부는 타히티의 플로렌틴 에티엔 "테파노" 자센 주교의 권유로 1871년 망가레바를 떠나야 했다. 그는 1880년 11월 1일에 사망하여 타히티에 묻혔다.

강비에 제도는 결국 1881년 2월 21일 베르나르도 푸타이리 섭정공 아래에서 병합되었고, 1882년 1월 30일 쥘 그레비 프랑스 대통령에 의해 승인되었다.[7]

2. 3. 프랑스 핵실험

강비에 제도는 약 400km 떨어진 무루로아에서 진행된 프랑스 핵실험 활동의 물류 기지 역할을 했다. 이 기간 동안 프랑스군은 대형 선박의 통행을 위해 더 넓고 깊은 수로를 내고자 일부 산호초 지대를 쇠사슬로 끌어 훼손했다. 그 결과 시가테라에 의한 감염률이 증가했다.[9]

3. 지리

감비에 제도는 세 곳의 좁은 해협을 통해서만 공해로 연결되는 산호초로 둘러싸인 망가레바 제도(감비에 제도 본섬)와 망가레바 제도에서 남동쪽으로 45km 떨어진 테모에 환초를 포함한다. 망가레바 제도에는 망가레바 (본섬) 외에도 아카마루, 앙가카우이타이, 오케나, 카마카, 쿠아쿠, 마카푸, 마카로아, 마누이, 메키로, 타라바이 등이 주요 고산 섬이다. 이 섬들은 주로 화산 기원이다. 파푸리, 푸아우무, 토텐게기 및 토코루아 군도를 포함한 다른 섬들은 산호섬으로, 2차 화산 기원이다.

망가레바 제도


망가레바 제도는 육지 면적이 25.71km2이며, 2017년 인구 조사에서 1,431명의 인구가 있었다.[3] 주요 도시는 망가레바에 위치한 리키테아이며, 감비에 제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두프 산은 해당 섬의 남쪽 해안을 따라 441m까지 솟아 있다.

감비에 제도의 섬은 다음과 같다.

  • 테모에 환초 (2.1km2; [2] 무인도): 망가레바 제도에서 남동쪽으로 4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하나의 주요 섬과 산호초 위의 해협으로 분리된 수십 개의 모투로 구성된다.
  • 망가레바 제도 (25.71km2; [1] 2017년 인구 조사 기준 1,431명):
  • 중앙 석호의 섬 (고산 섬만 영구 거주):
  • 북쪽: 망가레바 고산 섬 (13.93km2, 환초에서 가장 큰 섬, 2017년 인구 조사 기준 1,384명), 루마레이 섬
  • 북동쪽: 오케나 고산 섬 (1.41km2; 2017년 인구 조사 기준 25명)
  • 남동쪽: 아카마루 고산 섬 (1.96km2; 2017년 인구 조사 기준 12명), 마카푸 (0.04km2; 무인도), 메키로 (0.07km2; 무인도), 아투마타, 테오호테포하투
  • 남쪽: 카마카 고산 섬 (0.47km2; 2017년 인구 조사 기준 1명), 마카로아 (0.17km2; 무인도), 마누이 (0.08km2; 무인도), 모투 테이쿠 (0.01km2; 무인도)
  • 서쪽: 타라바이 (4.96km2; 2017년 인구 조사 기준 8명), 앙가카우이타이 (0.76km2; 2017년 인구 조사 기준 1명), 테푸 누이, 모투-오-아리
  • 산호초 위의 저지대 섬 (모두 무인도):
  • 북서쪽: 테노코 섬
  • 북쪽: 파푸리 섬, 테아우아오네, 테파푸리, 푸아우무
  • 북동쪽: 바이아테케우에, 테아우오투, 아푸, 투에우, 토테게기 (토테게기 공항 위치), 타라우루 로아, 가이오이오
  • 동쪽: 타우나, 테카바
  • 남동쪽: 쿠아쿠 섬
  • 서쪽: 토코루아 암초 (가끔 나타남)

3. 1. 기후

아카마루 섬


강비에 제도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10]로 열대 기후의 특징을 지니면서 비교적 시원하다. 강수량은 연중 비교적 일정하다. 기온은 오스트랄 제도와 유사하며, 11월부터 4월까지는 따뜻한 계절, 5월부터 10월까지는 서늘한 계절이다. 강비에(리키테아 기상 관측소)에서 기록된 최저 및 최고 기온은 13.2°C (1992년 8월 27일)와 31.2°C (1989년 1월 23일)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31.2°C30.8°C31.4°C30.9°C29.6°C27.5°C26.9°C28.1°C27.7°C28.5°C29.1°C30.1°C31.4°C
평균 최고 기온 (°C)28°C28.3°C28.4°C27°C25.4°C24.1°C23.4°C23.5°C23.8°C24.6°C25.8°C27°C25.8°C
평균 기온 (°C)25.5°C25.8°C26°C24.9°C23.4°C22.2°C21.4°C21.3°C21.5°C22.3°C23.5°C24.7°C23.5°C
평균 최저 기온 (°C)23.1°C23.4°C23.6°C22.7°C21.4°C20.3°C19.5°C19.1°C19.3°C20.1°C21.2°C22.3°C21.3°C
최저 기온 기록 (°C)18.5°C19.3°C18.3°C17.8°C16°C15.6°C13.9°C13.2°C14.6°C14.4°C16.6°C15.7°C13.2°C
강수량 (mm)187.4175.3167.2164.8174.1155.6127.9135.3119.9153.7165.8186.51913.5
평균 강수일수 (≥ 1.0 mm)14.913.213.112.312.312.112.511.210.711.411.313.6148.6
평균 일조시간216.7194.4203.5155.3142.5123.4135.7154.8150.7164.7174.1180.51996.1

[11]

3. 2. 동식물



화산 섬들은 무성한 열대 식물로 덮여 있다. 듀프 산의 바람받이 쪽은 건조한 초원 지대이다.

가장자리에 산호초가 있는 섬들은 토양 비옥도가 낮아 종이 빈약하다. 여기에는 주로 코프라 생산에 경제적으로 사용되는 코코넛 나무가 번성한다.

종이 빈약한 산호 섬의 동물군은 조류, 곤충 및 도마뱀으로 제한된다. 반대로, 수중 동물군은 종이 풍부하다. 모든 종류의 산호 물고기가 석호를 다이버들의 천국으로 만든다.

3. 3. 지질

강비에 제도는 열점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는 연간 12.5cm의 속도로 북서쪽으로 이동하는 태평양판 아래에 위치해 있다.[12] 이 제도는 560만 년에서 570만 년 사이에 형성된 환초의 일부이다.[13] 중앙 섬은 이미 부분적으로 가라앉았으며, 따라서 화구 가장자리의 고대 부분은 여전히 화성암 섬으로 물 밖으로 솟아 있다. 오랫동안 잠긴 칼데라는 석호 내 섬들의 위치로 여전히 확인할 수 있다.

전체 군도는 남쪽과 동쪽에서 비교적 빠르게 가라앉는 수중 융기에 위치해 있어, 65km 길이의 띠 모양의 산호초가 세 면에서만 수면 위로 솟아 있다. 그곳에서 산호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수많은 낮은 모투(motu)가 해수면 바로 위로 솟아 있다.

4. 경제

오늘날, 진주 양식[14]은 갬비에 석호[14]의 수많은 진주 양식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교적 차가운 수온은 고품질의 진주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14개의 회사를 포함하여 129개의 농장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비록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대규모 인구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군도는 진주 양식과 진주조개 껍데기의 채취 덕분에 인구가 증가했다.

토테게기에 공항, 갬비에 제도
관광 측면에서 갬비에 제도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가장 방문객이 적은 곳 중 하나이다. 외딴 위치와 타히티까지의 항공료가 이러한 현상의 주된 원인이지만, 이 섬들은 기후, 환경 및 독특한 역사적 과거로 인해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몇 척의 범선이 리키테아 만에 기항하며, 영국령 핏케언 제도를 방문하려는 관광객들은 기지로 망가레바를 거쳐간다.

갬비에 제도의 지역 생산은 자급 농업 및 어업과 같은 소수의 생산적인 부문에 국한되며, 대부분의 소비재는 3주마다 교대로 운항하는 두 척의 스쿠너가 운영하는 화물 서비스로 운송된다.

주민들은 자급자족한다. 그들은 고구마, 토란, 빵나무 열매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열대 과일을 재배하며, 수출용 커피도 소량 재배한다.

5. 정치와 행정

정치적으로 강비에 제도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속해 있다.[15] 이곳은 파페에테, 타히티에 있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고등 판무관(Haut-commissariat de la République en Polynésie française프랑스어)의 하위 행정 구역(Subdivision administrative des Tuamotu-Gambier프랑스어)에서 관리하는 17개의 코뮌(Commune des Gambier프랑스어) 중 하나를 형성한다. 지리적 의미에서 강비에 제도(즉, 강비에와 테모에 환초 포함) 외에도, 투아모투 제도 남동부에 있는 다음 환초들이 강비에 코뮌에 속한다.

환초 이름
마투레이 바바오 환초
테나라로 환초
테나룽가 (또는 테나니아) 환초
바항가 환초
마리아 환초
마루테아 쉬드 환초
모란 환초



강비에 코뮌의 총 인구는 2012년 자료에 따르면 1,421명이며,[15] 인구 밀도는 43명/km2이다.[15]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다. 통화는 (여전히) CFP 프랑이며, 유로에 고정되어 있다. 강비에 제도의 행정 예산은 프랑스유럽 연합의 자금으로 상당 부분 보조된다.

주요 섬은 망가레바인데, 이곳에는 지방 행정부의 소재지가 위치해 있다.[15]

리키테아 타운 홀

6. 인구

2017년 인구 조사에서 강비에 제도의 인구는 1,431명이었다.[3]

인구는 다음과 같은 섬에 분포되어 있다.

섬 이름인구
테모에 환초무인도
망가레바 제도
망가레바 섬1,384명
오케나 섬25명
아카마루 섬12명
타라바이 섬8명
앙가카우아이타이 섬1명
카마카 섬1명



역대 인구[16]
연도인구
1983년553명
1988년612명
1996년873명
2002년907명
2007년1,098명
2012년1,310명
2017년1,431명


7. 종교

강비에 제도의 인구 대다수는 기독교를 믿으며,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개신교를 포함한 다양한 개신교 교파를 따른다. 이는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시작된 선교 활동의 유산이다. 1991년 자료에 따르면, 인구의 5~6%가 개신교 기독교 집단에 속했다.[17]

타라바이의 성 가브리엘 교회


오랜 폐쇄 끝에 최근 복원된 강비에 제도 망가레바의 옛 생 미셸 대성당은 19세기에 첫 번째 가톨릭 선교사들이 정착했던 시대를 증언한다. 이 건물은 프랑스의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18] 이 구조물은 폴리네시아 가톨릭의 중심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가톨릭 교회의 활동은 피크푸스의 예수 성심 수도회의 선교 사업에 의해 촉진되었다. 가톨릭 선교사들은 거의 모든 인구를 빠르게 개종시켰다.[20] 그들은 많은 종교 건물을 건설했으며 고대 지역 들의 예배 장소였던 마라에를 파괴했다.[20]

오늘날 가톨릭 교회는 아고노코, 타라바이에 있는 성 가브리엘 교회(Église de Saint-Gabriel|성 가브리엘 교회프랑스어)[21], 아카마루의 평화의 성모 교회(Église de Notre-Dame-de-Paix|평화의 성모 교회프랑스어)[22], 오케나의 성 라파엘 교회(Église de Saint-Raphaël|성 라파엘 교회프랑스어)[23], 망가레바의 타쿠의 성 요셉 교회(Église de Saint-Joseph-de-Taku|성 요셉 교회프랑스어)[24], 마루테아의 성 요셉 교회(Église de Saint-Joseph|성 요셉 교회프랑스어)[25], 그리고 앞서 언급한 리키테아의 고대 생 미셸 대성당(Ancienne cathédrale Saint-Michel|옛 생 미셸 대성당프랑스어)[26] (1833년에서 1848년 사이 동부 오세아니아 대성당)[26] 등 이 지역에 6개의 건물을 관리하고 있다.

8. 문화

고대 신의 조각상(로고), 망가레바 섬


유럽의 영향 이전 강비에 제도의 예술과 문화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식민주의자에 의해 예술 작품이 매우 짧은 시간 안에 거의 사라졌기 때문에 과학적 근거를 둔 민족학적 연구는 수행될 수 없었다. 라발 신부는 하루에 40개의 나무 우상을 불태웠다고 주장했다.[27] 감비에 제도의 종교와 숭배에 대한 정보는 주로 선교사들이 그들의 종교 상사에게 쓴 편지에서 비롯된다.[27]

프레데릭 윌리엄 비치는 자신의 저서 '태평양과 베링 해협으로의 항해 이야기'에서 당시 우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유럽 이전 시대의 감비에 제도 유물은 세계에 8점만 남아 있는데, 여기에는 비치가 설명한 조각된 신의 조각상[27]이 포함되어 있다. 이 조각상은 프랑스 파리의 Musée national des Arts d'Afrique et d'Océanie|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 국립 미술관프랑스어에 소장되어 있다. 나무 조각상은 높이가 약 1미터이고 인간과는 거리가 멀지만, 카렛 신부의 설명에 따르면 "불공정의 신"인 라오 신을 나타내며, 망가레바 판테온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신이다.

비치가 묘사한 것과 같은 네 팔 스탠드는 파리의 Musée de l'Homme|인류 박물관프랑스어에 전시되어 있다.[27] 약 1미터 높이의 또 다른 자연주의적 조각상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망가레바의 신화적 창시자인 타가로아와 하우메아의 여섯 번째 아들인 로고 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로고는 고대 신으로 평화와 환대의 신이었으며 무지개로 나타났다. 그의 숭배는 재배 시스템과 관련이 있었다.

8. 1. 언어

2017년 인구 조사에서 강비에 제도 15세 이상 인구 중 24.8%만이 여전히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로 망가레바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으며(2007년 조사 38.6%에서 감소), 62.6%는 프랑스어를 주요 사용 언어로 응답했다(2007년 조사 52.3%에서 증가). 4.9%는 타히티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고(2007년 6.4%에서 감소), 4.6%는 일부 중국 방언(주로 하카어)을 사용한다고 응답했다(2007년 3.5%에서 증가).[28]

강비에 제도에서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가 망가레바어라고 응답한 15세 이상 인구는 2007년 인구 조사에서 300명에서 2017년 인구 조사에서 270명으로 감소했다.[28]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전체에서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가 망가레바어라고 응답한 15세 이상 인구는 2007년 인구 조사에서 424명에서 2017년 인구 조사에서 332명으로 감소했다.[28] 2017년 인구 조사에서 강비에 제도 밖에서 망가레바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타히티섬에 거주하고 있었다.

화자들은 타히티어와 6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며 이중 언어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29] 일반적으로 프랑스어도 사용한다. 망가레바어는 마르키스어군의 구성원이며, 따라서 하와이어 및 마르키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30]

''위험에 처한 언어 프로젝트''에 따르면 망가레바어는 1,491명의 민족 인구 중 900명 미만의 화자를 가지고 있어 소멸 위기 언어로 간주된다.[31] 강비에 제도 인구의 더 많은 부분은 프랑스어를 사용한다.[31]

참조

[1] 웹사이트 Gambier – Guide Floristique https://www.service-[...] Government of French Polynesia, Directorate of the Environment 2022-02-17
[2] 웹사이트 Annexe 3 : Indicateurs par île et classement par archipel pour la PF http://www.cetop.upf[...] Centre d'Etudes du Tourisme en Océanie-Pacifique (CETOP) 2022-02-17
[3] 웹사이트 Population http://www.ispf.pf/b[...] 2022-02-17
[4] 서적 Preliminary Report on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Polynesia. Honolulu 1965
[5] 서적 On the Road of the Winds – An Archaeological History of the Pacific Islands before European Contac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Los Angeles/London 2000
[6] 간행물 An Archaeological Survey of Mangareva: Implications for Regional Settlement Models and Interaction Studies. 1996
[7] 서적 On the Road of the Winds – An Archaeological History of the Pacific Islands before European Contac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Los Angeles/London 2000
[8] Thesis Law as a Tool of Oppression and Liberation: Institutional Histories and Perspectives on Political Independence in Hawaiʻi, Tahiti Nui/French Polynesia and Rapa Nui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08-08
[9] 뉴스 French accused of Pacific nuclear cover-up http://observer.guar[...] 2008-05-12
[10] 웹사이트 Cruising French Polynesia: the best times to visit the different archipelagoes https://www.pitufa.a[...] 2021-08-18
[11] 웹사이트 Fiche Climatologique Statistiques 1991–2020 et records https://donneespubli[...] Météo-France 2022-08-26
[12] 문서 The earth’s fractured surface National Geographic Map, Washington, D.C. 1995
[13] 문서 Ages of seamounts, islands and plateaus on the Pacific plate Paris 2004
[14] 웹사이트 French Polynesia – Economy https://www.britanni[...] 2021-08-18
[15] 문서 Institut Statistique de Polynésie Française (ISPF) –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2012 [Population census 2012]
[16] 웹사이트 Evolution de la population https://www.ispf.pf/[...] 2022-02-17
[17] 간행물 The Tahitian Churches and the Problem of the French Presence in 1991 https://www.jstor.or[...] 1991
[18] 웹사이트 Polynésie: les îles Gambier, au pays des missionnaires bâtisseurs déglises https://www.magcentr[...] 2013-05-26
[19] 웹사이트 Mangareva, la Polynésie traditionnelle https://tahititouris[...] 2021-08-19
[20] 웹사이트 Voyage aux Gambier: Mangareva et les îles du bout du monde https://tahitileblog[...] 2019-01-24
[21] 웹사이트 Église de Saint-Gabriel http://www.gcatholic[...] 2021-08-19
[22] 웹사이트 Église de Notre-Dame-de-Paix http://www.gcatholic[...] 2021-08-19
[23] 웹사이트 Église de Saint-Raphaël http://www.gcatholic[...] 2021-08-19
[24] 웹사이트 Église de Saint-Joseph-de-Taku http://www.gcatholic[...] 2021-08-19
[25] 웹사이트 Église de Saint-Joseph http://www.gcatholic[...] 2021-08-19
[26] 웹사이트 Ancienne cathédrale Saint-Michel http://www.gcatholic[...] 2021-08-19
[27] 서적 Narrative of a voyage to the Pacific and Beering's strait, to co-operate with the polar expeditions: performed in His Majesty’s ship Blossom, under the command of Captain F. W. Beechey ... in the years 1825, 26, 27, 28 Philadelphia: Carry & Lea 1831
[28] 웹사이트 Recensement 2017 – Données détaillées Langues http://ispf.pf/bases[...] 2019-04-07
[29] 웹사이트 Mangarevan – A Shifting Language http://apo.org.au/sy[...] 2018-09-29
[30] 뉴스 Mangareva https://www.ethnolog[...] 2018-09-24
[31] 웹사이트 Did you know Mangareva is endangered? http://www.endangere[...] 2018-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