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백은 660년 백제가 멸망하기 직전, 신라-당 연합군에 맞서 황산벌 전투에서 5천 결사대를 이끌고 싸운 백제의 장군이다. 그는 가족을 죽이고 결사항전의 의지를 다졌으나, 결국 신라군에 패하여 전사했다. 계백은 충절의 상징으로 숭앙받았으며, 조선 시대에는 유교적 가치관에 따라 충신으로 평가받았다. 그의 생애는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황산벌 전투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매체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백 - 계백로 (부여군)
    계백로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과 부여읍을 연결하며 국도 40호선, 국도 29호선, 국도 4호선 등 여러 도로와 교차하고 백제교가 위치하여 부여 지역의 접근성을 높이는 도로이다.
  • 계백 - 계백로
    충청남도 논산시부터 대전광역시 중구까지 이어지는 계백로는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주요 시설들을 연결하며 논산시 강경읍을 시작으로 계룡시 엄사면,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구, 중구를 경유한다.
  • 660년 사망 - 관창
    관창은 김품일의 아들이자 김춘추의 천거로 화랑이 된 신라의 인물로, 황산벌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다 전사하여 신라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무속신앙의 대상이 되었으며, 대중문화 작품에서 애국적 인물로 묘사된다.
  • 660년 사망 - 의자왕
    의자왕은 백제 무왕의 장남으로, 즉위 초에는 칭송을 받았으나 후기에는 방탕한 생활과 정치적 실책으로 국력을 약화시켜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가 멸망하자 당나라로 압송되어 사망한 왕이다.
계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계백 장군
한글계백
한자階伯
로마자 표기Gyebaek, Gyebaek
인물 정보
이름계백
다른 이름미상
별명미상
출생일미상
출생지미상
사망일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사망지신라 황산벌 (現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
자녀미상
경력
주군의자왕
재위? ~ 660년
관직달솔
최종 계급미상
시대7세기
지휘백제군 결사대
복무백제
근무백제 육군
시호미상
충성백제
주요 참전 전투/전쟁황산벌 전투
서훈 내역미상
기타 이력미상
사당
위치의열사(義烈祠)
삼충사(三忠祠)
충곡서원지(忠谷書院址)

2. 생애

660년 당나라 신구도대총관(神丘道大摠管) 소정방이 이끄는 13만 수군과 신라 상장군 김유신이 지휘하는 5만 육군이 수륙 협공으로 백제를 침공했을 때, 계백은 충상의 지휘 아래 5천 결사대로 황산벌에서 신라군을 만났다. 이때 계백은 "작은 나라의 병사로 당의 대군과 신라를 상대해야 하니, 국가의 존망을 알 수 없다. 처자식이 포로로 잡혀 노예가 될지도 모른다. 살아서 치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쾌히 죽는 것이 낫다."라며 자신의 칼로 직접 처자를 죽였다.[2] 황산벌에서 계백은 월나라구천이 5천 군사만으로 오나라의 70만 군사를 격파한 일을 언급하며, 무서워하지 말자는 말로 병사를 독려했다. 이때 세 곳에 나뉘어 진을 친 백제군은 신라군과 네 번의 전투에서 모두 이겼다.

이에 신라군 대장군 김유신의 동생 김흠순의 아들 반굴은 1인 돌격 전술을 구사하며 전사했고, 이어 1인 돌격 선봉에 나선 좌장군 김품일의 아들 관창은 사로잡혔다. 계백은 관창이 어린 나이에도 기품이 뛰어나고 용맹스러워 돌려보냈지만, 다시 진영으로 돌격해오자 결국 관창을 잡아 처형했다. 관창의 죽음으로 용기를 얻은 신라군은 백제군과 맹렬하게 싸웠고, 결국 백제군은 충상, 상영 등 신라에 항복한 20명을 제외한 4980명이 사망하며 패했고 계백도 전사했다.

일반적으로 '계백(階伯)'을 이름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지만, 김정호의 『대동지지』 기록에는 계백이 흑치상지와 마찬가지로 백제 왕족의 후손이었다는 견해가 최근 제기되었다. 전승에서 계백의 전명(全名)인 것처럼 언급된 '계백(階伯)'은, 사실 그의 조상이 백제 왕실로부터 분봉을 받은 구역으로 『삼국사기』 잡지에 나오는 개백현(皆伯縣, 현재의 경기도 고양시)에 비정(比定)되며, 이것이 '계백씨(階伯氏)'의 유래가 되었다는 주장이다.

3. 평가

삼국사기 열전에 따르면 고려 시대에는 유교적 대의명분에 입각하여 계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고, 조선 시대에도 유학자들은 국가를 위해 가족의 목숨을 포기한 충신으로 평가했다.

신라군과의 전투를 앞두고 가족을 죽인 것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잔인했다는 평가가 있다.[3] 반면, 본인도 결국 사망했으니 혹평할 수는 없다는 옹호론도 존재한다.[4] 가족을 죽임으로써 병사들이 겁을 먹어 싸우기도 전에 패하게 되었다는 지적[3]도 있지만, 가족을 잊으면 전투에 유리하다는 병법의 가르침을 들어 계백을 옹호하는 주장도 있다.[5] 부여를 유람한 일부 시인들은 계백의 죽음을 기리는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신유학이 후대 한국 왕조에서 영향력을 얻으면서, 계백은 역사가와 학자들에게 유교적 이상인 애국심과 의자왕에 대한 충성을 구현한 인물로 칭송받았다. 계백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바는 많지 않지만, 마지막 전투로 이어지는 그의 행적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3. 1. 논란

일반적으로 계백을 성명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지만, 김정호의 《大東地志》 기록[6]을 증거로 계백이 흑치상지처럼 백제 왕족의 후예였다는 가설이 있다. 열전에서 성명이 언급된 '계백'은 계백의 조상이 분봉받은 지역으로서, 그곳은 음운상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 잡지에 기록된 당시 개백현(皆伯縣)으로[7] 비정되며, 계백의 조상이 분봉된 지역이자 계백씨(階伯氏)의 유래가 된 곳이라는 가설이다.[8]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려 시대에는 이미 유교적인 대의명분에 입각하여 계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후 조선 왕조 역시 성리학을 국시로 삼았으므로, 유학자들로부터 "이미 멸망의 조짐이 뚜렷해진 조국을 끝까지 지키려 자신의 목숨을 던진 충의로운 영웅"이라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었다. 조선 유학자들은 백제 말의 재상이었던 성충과 흥수와 함께 계백을 백제 말 삼충신 중 한 명으로 꼽았으며, 백제의 역사를 다룰 때 백제 멸망 부분에서는 반드시 계백을 언급하게 되었다.

신라군과의 전투를 앞두고 자신의 처자를 죽였다는 『삼국사기』 열전의 기록에 대해서는 도의에 어긋나는 지나친 행동이었다는 평가가 있는 한편, 자신 역시 결국 전장에서 전사했으므로 시기만 다를 뿐 이것만으로 그를 쉽게 비난할 수는 없다는 "계백 옹호론"이 대부분이다. 승리의 묘책을 찾지 못한 채 섣불리 처자를 죽인 것이 병사들의 사기를 저하시켜 결국 싸우기도 전에 패배를 결정지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자신의 가족이나 목숨에 대한 미련을 끊고 배수진을 친 것이라는 반론이 제기된다. 또한 조선의 문인 묵객들은 계백의 최후를 기리고 추모하는 시문을 지었다.

4. 사당 및 묘소

조선 선조 8년(1575년) 부여현감 홍가신(洪可臣)이 용정리 망월산에 처음 지은 의열사(義烈祠)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14호이다. 처음에는 백제의 성충, 흥수, 계백과 고려 후기 충신 이존오를 제사 지냈으며, 인조 19년(1641년)에 새로 고쳐 지으면서 선조 때 선비 정택뢰(鄭澤雷)와 인조 때 문신 황일호(黃一皓)를 추가로 모셨다. 고종 3년(1866년) 서원철폐령으로 폐지되었다가 다시 지어졌고, 1971년 남령공원으로 옮겨져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1]

충남 논산시에 있는 충곡서원지(忠谷書院址)는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12호로, 계백과 사육신을 추모하기 위해 숙종 6년(1680)에 세워졌다. 고종 5년(1868년)에 폐쇄되었다가 1933년 복원되었으며, 현재는 문신 11명을 추가로 배향하고 있다. 충남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 산13에 있다.[1]

부소산성 내 삼충사(三忠祠)는 1957년에 처음 지어졌고, 해마다 백제문화제 때 삼충제를 지낸다. 현재 모습은 1981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안에는 성충, 흥수, 계백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1]

신라백제의 전장이었던 신라 황산벌 서북쪽,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산기슭에는 오래전부터 계백의 무덤이라 전해오는 고분이 존재했지만, 이 고분이 확실히 계백의 것임을 보여주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곳은 '계백장군유적전승지'라는 이름으로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었다.[1]

5. 관련 문화재

계백 장군 유적 전승지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74호이다.

6. 대중 문화 속의 계백

계백은 여러 드라마에서 다뤄졌는데, 1986년 KBS 드라마 《원효대사》에서는 배우 이정웅이, 1992년 KBS 드라마 《삼국기》에서는 배우 유동근이 계백 역을 맡았다. 황산벌 전투를 소재로 한 소설, 게임 등에서도 계백이 등장한다.

6. 1. 드라마


  • 2003년 영화 《황산벌》에서 박중훈이 연기했다.
  • 2006년~2007년 SBS TV 드라마 《연개소문》에서 정흥채가 연기했다.
  • 2009년 MBC TV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최원영이 연기했다.
  • 2011년 MBC TV 드라마 《계백》에서 이서진과 이현우가 연기했다.
  • 2012년~2013년 KBS1 TV 드라마 《대왕의 꿈》에서 최재성이 연기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I》 HD 에디션에 등장한다.

6. 2. 영화

6. 3. 게임


  • 2003년 영화 《황산벌》에서 박중훈이 연기했다.
  • 2006년~2007년 SBS TV 드라마 《연개소문》에서 정흥채가 연기했다.
  • 2009년 MBC TV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최원영이 연기했다.
  • 2011년 MBC TV 드라마 《계백》에서 이서진과 이현우가 연기했다.
  • 2012년~2013년 KBS1 TV 드라마 《대왕의 꿈》에서 최재성이 연기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I》 HD 에디션에 등장한다.

6. 4. 소설


  • 이광복의 소설 『불멸의 혼』(2004년, 조이에듀넷)
  • 정수인의 소설 『고구려』(전7권) (2005년, 도서출판 새움)
  • 황운성의 소설 『계백의 칼』(전2권) (2007년, 경성라인)
  • 최성준의 소설 『황산벌의 침묵』(2009년, 도서출판 심지)
  • 김정산의 소설 『삼한지』(전10권) (2009년, 서돌)
  • 홍남권의 소설 『계백, 신을 만난 사나이』(2018년, 온하루출판사)

참조

[1] 문서 Korean calendar
[2] 인용
[3] 서적 《양촌선생문집》
[4] 서적 《동사강목》
[5] 서적 《동사강목》
[6] 서적 《대동지지》
[7] 문서 경기도 고양시 행주내동 ·외동
[8] 논문 백제사비시대 정치사연구 전남대학원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