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차 십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차 십자군은 1271년부터 1272년까지 영국 에드워드 왕자가 주도한 십자군 원정이다. 맘루크 왕조의 바이바르스가 십자군 세력을 위협하자, 에드워드는 튀니스를 거쳐 아크레에 도착하여 십자군을 지원했다. 몽골 제국과의 협력을 시도했으나, 몽골군의 지원은 제한적이었다. 에드워드는 해상 작전과 휴전을 통해 십자군 세력을 유지하려 했지만, 1272년 휴전 이후 십자군 국가는 내분과 맘루크의 압력으로 쇠퇴했다. 1291년 아크레 함락으로 십자군 시대는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몽금전쟁
몽금전쟁은 1211년부터 1234년까지 몽골 제국이 선조의 복수를 명분으로 금나라를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중원 정복의 발판을 마련한 전쟁이다. - 몽골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몽송전쟁
몽송전쟁은 몽골 제국과 남송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쟁으로, 칭기즈 칸의 계획과 몽골 대사의 죽음으로 시작되어 1271년 원나라 건국 이후 쿠빌라이의 공격으로 남송이 멸망하고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종결되었다. - 13세기 십자군 - 제7차 십자군
프랑스의 루이 9세가 이끈 제7차 십자군은 예루살렘 탈환을 목표로 이집트를 공격했으나 만수라 전투에서 패배하고 포로가 되었으며, 석방 후 십자군 국가 재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프랑스로 귀환하여 종결되었다. - 13세기 십자군 - 알비 십자군
알비 십자군은 1209년부터 1229년까지 남부 프랑스 랑그도크에서 카타리파 이단을 막기 위해 교황이 선포한 종교 전쟁으로, 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와 잔혹한 군사 작전, 그리고 종교재판을 통해 집단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이집트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수단 내전
제1차 수단 내전은 1955년부터 1972년까지 수단 북부와 남부 간에 벌어진 내전으로, 북부의 권력 독점과 남부 소수 민족 차별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아냐냐 게릴라 군대의 무력 충돌로 이어졌으며, 1972년 아디스아바바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나 제2차 내전의 발발과 남수단의 독립에 영향을 미쳤다. - 이집트가 참전한 전쟁 - 제2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은 1956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반발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군사 개입하면서 발발했으며,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휴전하고 철수하면서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통제권을 유지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이스라엘은 안보를 강화한 사건이다.
제9차 십자군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분쟁 | 십자군 |
날짜 | 1271년 – 1272년 |
장소 | 근동 |
결과 | 십자군의 소규모 승리, 다만 대국에 영향 없음.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잉글랜드 왕국 프랑스 왕국 키프로스 왕국 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국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일 칸국 |
교전국 2 | 바흐리 맘루크 왕조 |
지휘관 | |
지휘관 1 | 에드워드 1세 앙주 공 샤를 레오 3세 휴 3세 보에몽 6세 아바카 칸 사마가르 |
지휘관 2 | 바이바르스 |
병력 | |
병력 1 (십자군) | 알 수 없음, 초기 잉글랜드군 1,000명 |
병력 1 (일 칸국) | 기병 10,000명 |
병력 2 (맘루크) | 알 수 없음 |
피해 규모 | |
피해 1 (십자군) | 알 수 없음 |
피해 2 (맘루크) | 알 수 없음 |
기타 정보 | |
관련 전투 | 아인 잘루트 전투 제1차 홈스 전투 제9차 십자군 엘비스탄 전투 제2차 홈스 전투 와디 알-카즈나다르 전투 마르즈 알-사파르 전투 알-라흐바 공성전 |
작전 지도 | |
![]() |
2. 서막
1260년, 맘루크 왕조는 아인잘루트 전투에서 몽골 제국의 원정군을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활약한 장군 바이바르스는 귀환 도중 주군인 쿠투즈를 암살하고 술탄 자리를 빼앗았다. 십자군 국가를 공격 목표로 삼은 바이바르스는 아르수프, 아틀리트, 하이파, 사파드, 야파, 아스칼론, 카이사레아 등 십자군의 도시들을 차례로 함락했다. 우트르메르의 기독교도들은 유럽에 원군을 요청했지만, 유럽 각국의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프랑스의 루이 9세는 이집트를 공격할 목적으로 대규모 십자군 군대를 조직했지만, 튀니스로 방향을 돌렸고, 1270년 그곳에서 사망했다.[4] 그는 에드워드에게 십자군 원정을 위해 7만 리브르 투르누아를 빌려주었다.[4] 에드워드와 그의 형제 에드먼드 크라우치백은 튀니스에서 루이 9세와 합류하기 위한 원정을 준비했지만, 아버지 헨리 3세가 합류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여 1270년 여름에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 결국 헨리 3세는 잉글랜드에 머물기로 결정했고, 십자군은 8월 20일 도버에서 출발했다.[5]
1268년, 바이바르스는 안티오키아를 함락시키고 안티오키아 공국을 멸망시켰다. 그 남쪽의 트리폴리 백국이나 예루살렘 왕국의 잔존 세력은 맘루크 왕조의 영토에 포위되는 형국이 되었다.
프랑스 왕 루이 9세는 제7차 십자군에 이어 이집트 상륙을 예정하고 있었지만, 동생인 시칠리아 왕 샤를 당주(카를로 1세)의 의도로 튀니스의 하프스 왕조를 공격했다. 1270년의 제8차 십자군은 루이 9세 자신이 역병으로 사망하는 등 실패로 끝났다. 잉글랜드의 왕자 에드워드가 튀니스에 도착했을 때, 이미 샤를 당주는 하프스 왕조의 아미르와 강화하고 시칠리아로 돌아가려 하고 있었다. 어쩔 수 없이 에드워드는 샤를 당주 등 십자군의 잔병과 함께, 성지에서 맘루크 왕조에게 위협받고 있는 안티오키아 공 및 트리폴리 백작 보에몽 6세를 지원하기로 했다. 에드워드는 1271년 5월 9일 아크레에 도착했고[26], 1000명 정도의 소규모 군대 (그중 225명이 기사)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27]。
3. 전쟁
에드워드는 프랑스를 천천히 여행하며 9월 말 아그 모르트에 도착하여 사르데냐를 거쳐 튀니스로 향했지만, 11월 10일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전투가 끝난 뒤였다.[4][5] 10월 30일에 체결된 튀니스 조약으로 십자군 전쟁은 종식되었고, 에드워드는 이 조약 협상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했다.[6]
다른 십자군들이 귀환을 결정했지만, 에드워드는 예루살렘 왕국의 잔재에 대한 맘루크의 위협에 맞서 보에몽 6세를 돕기 위해 성지로 계속 가기로 결정했다. 1271년 5월 9일, 에드워드는 8척의 범선과 30척의 갤리선을 이끌고 아크레에 도착했다.[7][8] 그는 225명의 기사를 포함하여 1,000명이 넘지 않는 작지만 중요한 병력을 데려왔다.[10][11]
3. 1. 십자군의 초기 활동
1271년 5월 9일, 에드워드 1세는 225명의 기사를 포함하여 약 1,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아크레에 도착했다.[7][8][10][11] 에드워드가 이끄는 군대는 맘루크 군과 직접 맞서기에는 규모가 작았고, 맘루크 군이 튜튼 기사단의 몽포르 성을 포위하는 것조차 막지 못했다.[46] 십자군은 나자렛을 기습 공격하여 점령하고 주민들을 학살했지만,[47] 성 요한 드 레빈을 기습한 것은 곡물과 가옥 몇 채를 불태운 것에 그쳤다.[46]
이후 잉글랜드와 키프로스 왕국에서 추가 병력이 도착하자, 에드워드는 더욱 과감한 군사 행동을 전개했다. 그는 템플 기사단, 병원 기사단, 튜튼 기사단의 지원을 받아 카쿤 지역에 대규모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십자군은 투르크인 1,500명을 살육하고 5,000마리의 가축을 노획했다고 주장했다.[48] 이슬람 측 기록에는 1명의 에미르가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했으며, 이슬람 사령관은 지휘권을 포기해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8] 그러나 에드워드는 성을 점령하지 못하고, 바이바르스가 대응하기 전에 철수했다.[49]
1271년 12월, 에드워드와 그의 군대는 아크레에서 바이바르스의 공세를 격퇴했다.[50] 바이바르스는 이후 트리폴리에 대한 포위를 포기했지만, 그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51][52]
3. 2. 몽골과의 협력 시도
에드워드는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기 위해 프랑코-몽골 동맹을 맺으려 시도하여, 일 칸국의 몽골 통치자 아바가 칸에게 사절단을 보냈다. 이 사절단은 레지날드 로셀, 고드프로이 드 보, 존 오브 파커가 이끌었으며, 몽골로부터 군사 지원을 얻는 것이 임무였다.[18] 1271년 9월 4일자 답신에서 아바가는 협력에 동의하고 맘루크에 대한 합동 공격이 언제 이루어져야 하는지 물었다.[19]
1271년 10월 말, 셀주크 아나톨리아의 점령군과 셀주크 보조 부대로 구성된 장군 사마가르 휘하의 몽골 기병 10,000명이 시리아에 도착했다. 투르키스탄에서의 다른 분쟁에 시달리던 아바가는 비교적 적은 병력만을 보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도착은 멀리 카이로까지 무슬림 인구의 탈출을 촉발했다. 몽골은 알레포를 보호하던 맘루크 투르크멘 군대를 격파하고 남쪽으로 약탈하여 아파메아까지의 지역을 황폐화시켰다. 그러나 몽골은 머물지 않았고, 맘루크 지도자 바이바르스가 11월 12일에 이집트에서 반격을 가하자, 몽골은 이미 전리품을 챙겨 유프라테스 강 너머로 퇴각했다.[20][21]
3. 3. 해상 작전과 휴전
맘루크의 술탄 바이바르스는 십자군을 고립시키기 위해 키프로스를 공격하려 했다. 그는 17척의 갤리선을 기독교 선박으로 위장시켜 리마솔을 공격했다. 그러나 이어진 해전에서 그의 함대는 리마솔 해안에서 파괴되었고, 바이바르스는 군대를 철수해야 했다.[22][23]
이 승리 이후, 에드워드는 예루살렘 탈환을 위한 군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독교 국가 내부의 불안을 종식시켜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키프로스의 이블린 가문 출신인 휴 3세와 그의 기사들 사이를 중재했다. 이와 동시에 에드워드와 휴 3세는 바이바르스와 휴전 협상을 시작했고, 1272년 5월 카이사레아에서 10년 10개월 10일간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24]
4. 십자군 이후
에드워드는 1274년 잉글랜드로 귀환하여 왕위에 올랐다.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1274년 리옹 공의회에서 새로운 십자군을 소집했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그 사이 시칠리아의 샤를 1세는 키프로스의 휴 3세, 템플 기사단, 베네치아 간의 분쟁을 이용하여 십자군 국가들을 자신의 통제하에 두려 했다. 그는 안티오키아의 마리아의 예루살렘 왕국에 대한 주장을 매입하고, 휴 3세를 공격하여 내전을 일으켰다.[24] 1277년에는 샤를을 위해 로제 드 상 세베리노가 아크레를 점령했다.
샤를 아래 십자군이 통일될 가능성도 있었지만, 베네치아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할 것을 제안하면서 무산되었다. 미하일 8세가 비잔틴 제국을 재건하고 베네치아인들을 몰아냈기 때문이다. 교황 마르티노 4세는 1281년 샤를의 비잔틴 원정을 승인했지만,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사건으로 샤를은 본국으로 돌아가야 했다.
이후 맘루크의 압력이 거세졌다. 1289년 술탄 칼라온은 트리폴리를 함락시켰다. 1291년에는 아크레가 함락되면서 십자군 국가는 사실상 멸망했다. 1299년 가잔 칸이 이끄는 몽골군이 맘루크를 상대로 승리했지만, 1300년 시리아에서 철수했다. 1303년 샤카브 전투에서 몽골과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연합군이 패배하고, 루아드 섬이 함락되면서 십자군 시대는 종결되었다.[25]
4. 1. 한국과의 관계
제9차 십자군 원정이 벌어질 당시, 한국은 고려 시대로 원 간섭기에 해당하였다.[41] 고려는 몽골의 침략을 받아 삼별초가 진압되는 등, 사실상 원나라의 영향력 아래에 놓여 있었다.특히 몽골의 일본 원정에는 고려군이 동원되기도 하였다. 비록 9차 십자군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당시 몽골의 움직임은 고려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십자군과 몽골의 협력 시도는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Crusade of the Lord Edward (1270–1272)
https://erenow.org/p[...]
[2]
간행물
Lord Edward's crusade (act. 1270–1274)
https://www.oxforddn[...]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005
[3]
서적
The Tunis Crusade of 1270: A Mediterrane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4]
서적
2018
[5]
서적
2018
[6]
서적
2018
[7]
서적
[8]
웹사이트
Crusade of the Lord Edward (1270-1272)
https://erenow.org/p[...]
[9]
서적
2018
[10]
서적
[11]
서적
2018
[12]
서적
Itinerary of King Edward the First throughout his reign
https://books.google[...]
Alexander Gardner
1900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Eleanor of Castile: The Shadow Queen
Amberley
2015-12-19
[18]
서적
Histoire des Croisades III
[19]
서적
[20]
서적
Histoire des Croisades III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The Later Crusades, 1189–1311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Or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Eleanor of Castile: The Shadow Queen
Amberley
2015-12-19
[34]
서적
Histoire des Croisades III
[35]
서적
[36]
서적
Histoire des Croisades III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The Later Crusades, 1189-1311
[40]
웹사이트
Edward 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05-20
[41]
서적
[42]
서적
A Manual of Church History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간행물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Or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Eleanor of Castile: The Shadow Queen
Amberley
2015-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