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아바 (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아바는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다년생 나무로,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서 잘 자란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흰색 꽃이 피고, 구형 또는 서양배형의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식용하며, 잎과 나무껍질은 약용으로 사용된다. 구아바는 샴푸 등 향을 내는 제품과 분재로도 활용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 등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며, '반지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앤티가 바부다의 나무 - 베이럼나무
    베이럼나무는 카리브 제도 원산의 식물로, 잎과 열매는 요리, 차 등에 사용되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베이 럼을 생산하고, 추출물은 의학적으로 활용된다.
  • 도미니카 연방의 나무 - 베이럼나무
    베이럼나무는 카리브 제도 원산의 식물로, 잎과 열매는 요리, 차 등에 사용되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베이 럼을 생산하고, 추출물은 의학적으로 활용된다.
  • 바하마의 나무 - 반얀
    반얀은 *Ficus* 속의 수목성 무화과나무를 통칭하며, 교살식물의 특징과 거대한 크기, 문화적 중요성, 분재 활용, 다양한 문화 콘텐츠 등장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바하마의 나무 - 소돔사과
    소돔사과는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대륙 등에서 발견되는 식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고 문학 및 음악 작품에도 등장하며, 중동에서는 전통 의학에, 자메이카에서는 독성 있는 열매로, 호주에서는 유해 식물로 취급받는다.
구아바 (종)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반적인 구아바 (Psidium guajava) 열매
학명Psidium guajava
명명자L.
상태LC
상태 기준IUCN3.1
이명{{접이식 목록 | 제목 = 이명 목록 | 1 = Guajava pumila (Vahl) Kuntze | 2 = Guajava pyrifera (L.) Kuntze | 3 = Myrtus guajava (L.) Kuntze | 4 = Myrtus guajava var. pyrifera (L.) Kuntze | 5 = Psidium angustifolium Lam. | 6 = Psidium aromaticum Blanco | 7 = Psidium cujavillus Burm.f. | 8 = Psidium cujavus L. | 9 = Psidium fragrans Macfad. | 10 = Psidium guajava var. cujavillum (Burm.f.) Krug & Urb. | 11 = Psidium guajava var. guajava L. | 12 = Psidium guajava var. minor Mattos | 13 = Psidium guava Griseb. | 14 = Psidium igatemyense Barb.Rodr. | 15 = Psidium igatemyensis Barb. Rodr. | 16 = Psidium intermedium Zipp. ex Blume | 17 = Psidium pomiferum L. | 18 = Psidium pomiferum var. sapidissimum (Jacq.) DC. | 19 = Psidium prostratum O.Berg | 20 = Psidium pumilum Vahl | 21 = Psidium pumilum var. guadalupense DC. | 22 = Psidium pyriferum L. | 23 = Psidium pyriferum var. glabrum Benth. | 24 = Psidium sapidissimum Jacq. | 25 = Psidium vulgare Rich. | 26 = Syzygium ellipticum K.Schum. & Lauterb. }}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아강코어 진정쌍떡잎식물군
상목장미상군
장미군
상목장미군 II / Malvidae
도금양목
도금양과
구아바속 (반지로우속)
명칭
영어guava (구아바)
스페인어guayaba (과야바)
포르투갈어goiaba (고이아바)
일본어バンジロウ (반지로-)
영양 정보 (생것)
수분80.8 g
열량68 kcal
에너지285 kJ
단백질2.55 g
지방0.95 g
탄수화물14.32 g
섬유질5.4 g
당류8.92 g
칼슘18 mg
철분0.26 mg
마그네슘22 mg
40 mg
칼륨417 mg
나트륨2 mg
아연0.23 mg
망간0.15 mg
셀레늄0.6 μg
비타민 C228.3 mg
티아민0.067 mg
리보플라빈0.04 mg
니아신1.084 mg
판토텐산0.451 mg
비타민 B60.11 mg
엽산49 μg
콜린7.6 mg
비타민 B120 μg
비타민 A31 μg
베타카로틴374 μg
리코펜5204 μg
루테인0 μg
비타민 E0.73 mg
비타민 D0 IU
비타민 K2.6 μg
포화지방산0.272 g
단일 불포화 지방산0.087 g
다중 불포화 지방산0.401 g
기타

2. 분포

아메리카에 분포한다.[15] 북아메리카(멕시코), 카리브(과들루프, 그레나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마르티니크, 몬트세랫, 바베이도스, 바하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앤티가 바부다, 앵귈라, 자메이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푸에르토리코, 히스파니올라),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니카라과, 벨리즈,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남아메리카(가이아나,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수리남,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 프랑스령 기아나)가 원산지이다.[15]

''P. guajava'' 열매


붉은 구아바 ''Psidium guajava''


구아바는 햇볕이나 따뜻한 기온에서 잘 자라는 다년생 나무이기 때문에 열대 기후 또는 아열대 기후를 가진 많은 국가에서 발견된다.[5] 길가, 초원 또는 해발 1600m 근처에서 서식하며, 습한 초원에서 더 흔하게 자란다.[5] 카리브해 연안,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북부, 동남아시아 등지에 자생한다. 일본어명은 '''번석류'''('''반지로''' 또는 반자크로, 반세키류)이다.

일본에서는 오키나와현과 아마미 제도에서 민가의 정원수로 자주 볼 수 있다.

3. 특징

구아바(Psidium guajava) 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는 5-15cm 정도이다. 잎은 대생하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은 흰색이며, 5장의 꽃잎과 다수의 수술을 가진다.

열매는 구형 또는 서양배형이며, 지름 3-10cm 정도이다. 껍질은 얇고, 옅은 녹색에서 황색을 띠며, 성숙하면 품종에 따라 분홍색이나 붉은색이 된다. 과육은 흰색에서 주황색을 띠며, 작고 단단한 씨가 많이 들어 있다.

구아바 잎에는 폴리페놀은 α-말테이스에 의한 전분 분해를 억제하여 당의 흡수를 완만하게 하고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11] 열매는 비타민A, B, C가 풍부하다.

3. 1. 식물학적 특징

구아바(Psidium guajava)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는 5-15cm 정도이다. 잎은 대생하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11] 꽃은 흰색이며, 5장의 꽃잎과 다수의 수술을 가진다.[11]

열매는 구형 또는 서양배형이며, 지름 3-10cm 정도이다.[11] 껍질은 얇고, 옅은 녹색에서 황색을 띠며, 성숙하면 품종에 따라 분홍색이나 붉은색이 된다.[11] 과육은 흰색에서 주황색을 띠며, 작고 단단한 씨가 많이 들어 있다.[11]

3. 2. 화학적 성분

구아바 잎에는 모린, 모린-3-O-리소사이드, 모린-3-O-아라비노사이드, 퀘르세틴 및 퀘르세틴-3-O-아라비노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다.[6] 잎에 포함된 폴리페놀은 α-말테이스에 의한 전분 분해를 억제하여 당의 흡수를 완만하게 하고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11] 열매는 비타민A, B, C가 풍부하다.

3. 3. 목재

구아바 나무는 곤충과 곰팡이의 공격에 강하다.[7] 건조된 나무의 밀도는 약 670 kg/m³이며, 나이지리아에서는 지붕 트러스에 사용되기도 한다.[7] 하와이에서는 고기를 훈연할 때 흔히 사용된다.[7]

4. 용도

열매구아바는 식용하며, 나무껍질은 약용한다.[14]

;식용

열매는 식용하며, 생으로 먹거나 주스, , 젤리, 넥타 등으로 가공하여 먹는다.[9] 대만에서는 생 구아바에 식염, 고춧가루, 자두 가루 등을 섞은 "산메이펀"을 찍어 먹기도 한다.[14] 과일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9]

;약용

구아바는 중앙 아메리카, 카리브해, 아프리카, 아시아 전역의 여러 문화권에서 전통 의학에 사용되어 왔다.[8] 염증, 당뇨병, 고혈압, 충치, 상처, 진통, 발열, 설사, 류마티즘, 폐 질환, 궤양 등에 사용된다.[8] 나무껍질은 약용으로 사용된다.[14]

;기타

구아바는 샴푸 등 향을 내는 제품에 사용된다.[9] 분재로도 인기가 높다.[9] 과일 가공 부산물과 잎은 가축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9]

4. 1. 식용

열매는 식용하며, 생으로 먹거나 주스, , 젤리, 넥타 등으로 가공하여 먹는다.[9] 대만에서는 생 구아바에 식염, 고춧가루, 자두 가루 등을 섞은 "산메이펀"을 찍어 먹기도 한다.[14] 과일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9]

4. 2. 약용

구아바는 중앙 아메리카, 카리브해, 아프리카, 아시아 전역의 여러 문화권에서 전통 의학에 사용되어 왔다.[8] 염증, 당뇨병, 고혈압, 충치, 상처, 진통, 발열, 설사, 류마티즘, 폐 질환, 궤양 등에 사용된다.[8] 나무껍질은 약용으로 사용된다.[14]

4. 3. 기타

구아바는 샴푸 등 향을 내는 제품에 사용된다.[9] 분재로도 인기가 높다.[9] 과일 가공 부산물과 잎은 가축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9]

5. 재배

구아바는 씨앗에서 재배할 경우, 초기 몇 달 동안은 성장 속도가 매우 느리지만, 이후 매우 빠르게 성장한다.[3] 일반적인 구아바는 씨앗에서 자라면 2년에서 8년 사이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3] 꺾꽂이, 접목, 공중 취목은 상업적 과수원에서 주로 사용되는 번식 방법이다.[3]

구아바는 햇볕이 잘 들고 따뜻한 기온에서 잘 자라는 다년생 나무로,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를 가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된다.[5] 해발 1600m 근처의 길가, 초원, 습한 초원 등에서 서식한다.[5] 온대 지역에서는 용기 식물로 쉽게 재배할 수 있지만,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것은 다소 예측하기 어렵다.[3]

갈라파고스 제도를 비롯한 일부 열대 지역에서는 구아바가 침입종이 될 수 있다.[3] 한편, 구아바는 향을 내기 위해 다양한 샴푸 제품에 사용되며,[4] 인도와 동아시아에서는 인기 있는 분재 종으로 재배되기도 한다.[4]

6. 외래 침입종 문제

구아바는 란타나와 함께 하와이 제도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침입성 외래종으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12] 일부 열대 지역에서는 구아바가 침입종이 될 수 있으며,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주요 문제가 되었다.[3]

7. 한국에서의 구아바

한국에서는 제주도 등 남부 지역에서 구아바가 재배되고 있으며, 민가의 정원수로도 볼 수 있다. 일본어 명칭인 '반지로'에서 유래한 '반시루', '반시로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Psidium guajava''" 2019
[2] GRIN
[3] 웹사이트 "Forest of daisy trees in Santa Cruz | Wondermondo" http://www.wondermon[...] 2012-03-11
[4] 웹사이트 Ma-Ke Bonsai Care Guide for Psidium guajava http://guide.makebon[...] Ma-Ke Bonsai 2011-04-22
[5] 논문 The Taming of Psidium guajava: Natural and Cultural History of a Neotropical Fruit 2021-09-28
[6] 간행물 Bacteriostatic effect of flavonoids isolated from leaves of Psidium guajava on fish pathogens. Rattanachaikunsopon Pongsak and Phumkhachorn Parichat, Fitoterapia, 2007, volume 78, number 6, pages 434-436
[7] 웹사이트 Preliminary Evaluation of Guava (Psidium guajava L.) Tree Branches for Truss Fabrication in Nigeria https://ecommons.lib[...] 2022-03-25
[8] 논문 Psidium guajava: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2008
[9] 웹사이트 Guava (Psidium guajava) https://www.feediped[...] 2017
[10]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11] 기타 グァバ葉抽出茶の糖類分解酵素活性阻害ならびに消化管輸送およびグルコース吸収抑制による血糖値上昇抑制作用 2008
[12] 서적 Alien Species in North America and Hawaii: Impacts on natural Ecosystems https://www.google.c[...] Island Press
[13] 웹인용 "''Psidium guajava'' L."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2-03-23
[14] 웹인용 구아버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08-30
[15] 웹인용 "''Psidium guajava'' L."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7-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