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천현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천현녀는 도교에서 유래한 여신으로, '현녀' 또는 '검은 여인', '신비로운 여인' 등으로 번역되며, 당나라 시대에 '구천' 칭호가 더해져 '구천현녀'로 불리게 되었다. 그녀는 황제의 스승이자 서왕모의 제자로 묘사되며, 황제가 치우와 싸울 때 병법과 유물을 하사하여 승리를 돕는 등 전쟁, 무술, 장수, 연금술, 성적인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또한 소설 《수호전》과 《삼수평요전》 등에도 등장하며, 현대에는 결혼과 다산의 수호신으로도 숭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여신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중국의 여신 - 서왕모
서왕모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곤륜산에 살며 불로불사의 힘을 주관하며 도교 신앙에 흡수되어 다양한 속성을 갖게 되었다. - 전쟁의 여신 - 두르가
두르가는 "넘을 수 없는"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힌두교 여신으로, 마히샤수라마르디니라고도 불리며 나바라트리 축제의 중심인물이자 고대 기원을 가진 여신이다. - 전쟁의 여신 - 아테나
아테나는 그리스 신화에서 지혜, 전략적 전투, 공예의 여신이자 아테네의 수호신으로, 제우스의 머리에서 탄생했으며 그리스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예술과 문학에서 상징으로 남아있다. - 도교의 신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도교의 신 - 옥황상제
옥황상제는 도교의 최고신으로 하늘을 다스리고 천상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며, 인간으로서 선행을 쌓아 신이 된 존재로 숭배받고, 음력 1월 9일에 탄생을 기념하는 제사가 지내진다.
구천현녀 | |
---|---|
기본 정보 | |
![]() | |
개요 | |
이름 | 구천현녀 (九天玄女) |
다른 이름 | 현녀 (玄女), 구천낭낭 (九天娘娘) |
역할 | 전쟁, 성, 장수의 여신, 불멸 |
신화 속 정보 | |
관련 인물 | 황제 기백 여와 서왕모 송강 |
문화적 의미 | |
도교에서의 위상 | 중요한 여신 중 하나 |
문학 작품 | 《수호지》 《설당전》 《월왕구천외전》 《평요전》 |
영어 명칭 | |
영어 이름 | Dark Lady of the Nine Heavens |
2. 어원
이 여신은 처음에는 현녀(玄女중국어)로 알려졌다.[4] 이 이름은 "검은 여인"[5][6] 또는 "신비로운 여인"[6]으로 번역된다. 당나라 말기, 도교 스승 두광정(850–933)이 '구천현녀(九天玄女)'라는 칭호를 만들었는데, '구천'(九天)은 "[아홉] 하늘"을 의미한다.[7]
구천현녀는 전술과 병법을 관장하는 상고시대 여신으로, "천서"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도교 신화에서는 서왕모 다음가는 지위를 가진 여신으로 묘사되며, 상원부인과 동일시되기도 했다.[21][22] 서왕모의 부관으로서 영웅들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았으며,[23] 도교에서는 음력2월 15일을 구천현녀의 탄생일로 기념한다. 또한 육임신과와도 관련이 있다.
3. 역사적 배경 및 설화
『고문룡호경주소』에 따르면, 현녀는 "천부자"(세운과 하늘의 기운을 주관하는 자)로 불렸다. 현녀는 천지의 정신이자 음양의 영기이며, 만물을 알고 도교의 주(主)이다. 또한 상고의 신선이자 뭇 진(眞)의 우두머리라고 한다.[24] 갈홍의 "침중서"에 따르면, 원시천왕과 太元玉女|태원옥녀중국어 사이에서 구광현녀가 태어났으며, 태진서왕모라 칭하고 서한부인이라고도 불렸다.[25][26]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구천현녀는 서왕모의 한 측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태상노군중경』에서는 현녀가 항상 태백성을 쓰고, 태명의 구슬을 귀에 걸고, 온몸에 빛을 비추며, 즉 연년하여 죽지 않는다고 묘사한다.[27]
원래 현녀는 사람 머리에 새의 몸을 한 여신의 모습으로, 서왕모에게 파견되어 황제에게 전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또한 황제에게 치우를 제압하기 위한 다양한 술법과 도구들을 전수했다.[29] 현녀의 원형은 현조와 관련이 있으며, 은나라의 시조 계의 어머니 간적은 현조의 알을 먹고 계를 낳았다는 설화가 있다.[30] 전욱의 손녀 "女脩|여수중국어" 역시 현조의 알을 먹고 "大业|대업중국어"을 낳았다고 한다.[31] 『운급칠籤』에는 구천현녀가 황제의 스승이자 聖母元君|성모원군중국어의 제자이며, 붉은 봉황을 타고, 아홉 가지 색깔의 물총새 깃털 옷을 입고, 검은 여우 모피를 썼다는 기록이 있다.[32]
고대 중국에서는 "현소의 도(음양의 술)"라 하여 현녀와 소녀의 방중술을 가리켰다. 황제는 현녀와 소녀에게서 방중술을 전수받았다고 전해지는데,[33] 이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성애와 전쟁의 여신 이난나, 이슈타르 등과 유사하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련성은 진나라 또는 수나라의 방사(方士)들이 후대에 덧붙인 것으로, 한나라 이전의 기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당나라의 명장 이정은 구천현녀의 전법을 활용했다고 전해지며,[38] 1047년 중국 소설 『삼수평요전』의 개작에서 성고고가 구천현녀로 변경되었다는 설도 있다.[39]
3. 1. 황제(黃帝)와 치우(蚩尤)의 전쟁
두광정이 저술한 ''용성집선록(墉城集仙錄)''에는 구천현녀가 황제(黃帝)의 스승이자 서왕모(西王母)의 제자라고 언급되어 있다.[9] 이 책은 황제가 치우(蚩尤)와 갈등을 겪을 때 여신이 나타났다고 전한다.[9]
치우는 낮과 밤을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짙은 안개를 일으켰고, 황제는 며칠 동안 안개 속에 머물렀다.[9] 이때 구천현녀는 붉은 봉황을 타고 인광과 구름을 고삐 삼아 짙은 안개 속으로 들어왔다. 그녀는 아홉 가지 색깔의 물총새 깃털 의상을 입고 있었다.[9] 황제는 그녀에게 인사를 하고 명령을 받았다.[9] 구천현녀는 "나는 태상교에 근본을 두고 있다. 의문 사항이 있으면 나에게 질문해도 좋다."라고 말했다.[9] 황제는 "치우가 우리를 잔혹하게 침략하고 있다. 그의 독은 모든 검은 머리 백성을 해치고 있다. 사해가 흐느끼고 있다. 아무도 자신의 본성이나 생명을 지킬 수 없다. 나는 수많은 전투에서 수많은 승리를 거두는 기술을 원한다. 내 백성이 직면한 해악을 끊을 수 있겠는가?"라고 답했다.[9]
그러자 구천현녀는 황제에게 여러 물건과 유물을 하사했다.[9]
이후 황제는 구천현녀가 하사한 물건을 토대로 치우를 물리치고 하늘로 승천할 수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0]
신나라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용어하도》(龍魚河圖중국어)는 황제(黃帝중국어)가 치우(蚩尤중국어)에 대항하여 싸울 때, 여신이 나타나는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12]
> “황제가 권력을 잡았다. 치우와 그의 형제 80명은 모두 짐승의 몸에 사람의 말을 하였고, 구리 머리와 쇠 이마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모래와 돌을 먹고 무기를 만들며 세상을 위협했다. 그들은 마음대로, 원칙도 없이 죽이고 자비심을 보이지 않았다. 황제가 나라를 다스리며 하늘을 쳐다보며 한숨을 쉬었다. 하늘은 현녀를 땅으로 보내 황제에게 군사적인 메시지와 신성한 부적을 전달하여 그가 치우를 제압하게 했다. 돌아온 정치가(황제)는 그것들을 사용하여 적을 제압하고 팔방을 장악했다."
「黃帝攝政。蚩尤兄弟八十人,並獸身人語,銅頭鐵額。食沙石,造兵杖,威震天下。誅殺無道,不仁不慈。黃帝行天下,仰事天而歎。天遣玄女下,授黃帝兵信神符, 而令制伏蚩尤,歸臣因使鎮兵以制八方。」중국어
황제는 현녀와 소녀에게서 방중술(성기)을 전수받았다고 전해진다.[33]
3. 2. 송강(宋江)과 수호전(水滸傳)

중국 고전 소설 《수호전》에서 구천현녀는 양산박의 두령 송강에게 나타나 천서를 전달하고, 요나라 군대에 맞서는 병법을 가르쳐주는 등 영웅을 돕고 정의를 실현하는 신으로 묘사된다.[10]
송강은 구천현녀를 두 번 만난다.[10]
- 첫 번째는 체포하려는 군인들을 피해 사찰에 몸을 숨겼을 때로, 이때 구천현녀는 송강에게 "하늘을 대신하여 정의를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권의 신성한 책을 준다.
- 두 번째는 송강이 양산군을 이끌고 요나라 침략자들에게 저항할 때 꿈에 나타난 것으로, 이때 구천현녀는 요나라 군대의 진형을 깨는 법을 가르쳐 준다.
3. 3. 삼수평요전(三隋平妖傳)
나관중과 풍몽룡이 공동 저술한 소설 《삼수평요전(三隋平妖傳)》에서 구천현녀는 솜씨가 뛰어나고 무술에 능하며, 도교에도 정통하고 불멸의 존재였다. 구천현녀는 흰색 얽힌 팔 원숭이(袁公)를 천상으로 데려가 천서(天書)를 관리하게 한다. 여기서 흰 원숭이(위안 씨—위안은 "긴팔 원숭이"의 동음이의어)는 천서를 열람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비밀 상자를 열어 천국의 가르침을 세상에 유출시킨다. 이는 왕택(王澤)의 반란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결국 흰 원숭이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하여 백운동주(白雲洞主)의 이전 지위로 복귀한다.[11]3. 4. 기타
당나라의 명장 이정은 구천현녀의 전법을 활용했다고 전해진다.[38]4. 특징 및 상징
구천현녀는 전술과 병법을 관장하는 상고시대의 여신으로, "천서"를 가지고 있으며 전술의 신이자 정의의 신이다. 도교 신통기에서는 서왕모 다음 지위에 있는 여천신으로 언급되며, 상원부인과 동일시되기도 했다.[21][22] 서왕모의 부관으로서 영웅들의 수호신 역할을 하며,[23] 도교에서는 음력2월 15일을 구천현녀의 생일로 기념한다. 또한, 육임신과와 관련되어 있다.
『고문룡호경주소』에 따르면, 현녀는 "천부자"(세운과 하늘의 기운을 관장하는 자)라고 칭해졌다. 현녀는 천지의 정신·음양의 영기이며, 만물을 알고 있으며, 도교의 주이다. 또한, 현녀는 상고의 신선이며, 뭇 진의 장이다.[24] 갈홍의 "침중서"에 따르면, 원시천왕과 太元玉女|태원옥녀중국어는 구광현녀를 낳았고, 태진서왕모라 칭했으며, 서한부인의 일이다.[25][26] 구천현녀는 서왕모의 한 측면으로 여겨진다. 『태상노군중경』에 따르면, 현녀는 항상 태백성을 쓰고, 태명의 구슬을 귀에 걸고, 온몸에 빛을 비추며, 연년하여 죽지 않는다.[27]
원래 현녀는 사람 머리에 새의 몸을 한 부인의 모습을 한 여신으로, 서왕모에게 파견되어 황제에게 전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또한, 황제에게 치우를 제압하기 위한 여러가지 도구를 하사했다.[29]
현녀의 사람 머리에 새의 몸을 한 원형은 현조라고 하며, 은의 시조 계의 어머니 간적은 현조의 알을 마시고 계를 낳았다.[30] 전욱의 손녀 女脩|여수중국어가 베를 짜고 있을 때, 현조의 알을 마시고 잉태하여, 大业|대업중국어을 낳았다.[31] 또한 『운급칠籤』에 그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구천현녀는 황제의 스승·聖母元君|성모원군중국어의 제자이며, 단봉(붉은 봉황)을 타고, 구색의 취의를 입고, 현호의 구(검은 여우의 모피)를 쓰고 있다.[32]
중국 고대에는 "현소의 도(음양의 술)"로, 현녀와 소녀의 방술을 가리킨다. 황제는 현녀와 소녀에게서 방중술(성기)을 전수받았다고 전해진다.[33]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성애와 전쟁을 관장하는 여신 이난나, 이슈타르 등과 공통점이 지적되는 설도 있지만, 진, 혹은 수나라의 방사들에 의해 후대에 덧붙여진 것이며, 한나라 이전의 기록에서는 현녀와 소녀도 이들과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통속대명녀선전』(원제:『여선외사』)의 여주인공인 당새아는 구천현녀에게서 받은 일곱 권의 천서를 배우고, 여러 가지 환술을 사용하여 연군을 농락한다.[34] 현녀는 검선들을 통솔하는 천선의 장이며, 소녀는 현녀의 여동생이라고 한다.[35][36][37] 1인칭은 "짐"이다.[34]
1047년 중국 소설 『삼수평요전』의 개작에서 성고고에서 구천현녀로 변경되었다는 설이 있다.[39]
4. 1. 전쟁과 병법
두광정이 저술한 ''용성집선록(墉城集仙錄)''에는 구천현녀가 황제(黃帝)의 스승이자 서왕모(西王母)의 제자로, 황제가 치우(蚩尤)와 싸울 때 병법을 전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9][12]치우가 짙은 안개를 일으키자, 구천현녀는 봉황을 타고 나타나 황제에게 다음과 같은 물건들을 하사하여 치우를 물리치도록 도왔다.[9]
물품 |
---|
육갑육임병신지부(六甲六壬兵信之符) |
영보오제책사귀신지서(靈寶五帝策使鬼神之書) |
제요통령오명지인(制妖通靈五明之印) |
오음오양둔갑지식(五陰五陽遁甲之式) |
태일십정사신승부악기지도(太一十精四神勝負握機之圖) |
오악하도(五嶽河圖) |
책정지결(策精之訣) |
이후 황제는 구천현녀가 하사한 물건을 토대로 치우를 물리치고 하늘로 승천할 수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0]
소설 ''수호전(水滸傳)''에서 구천현녀는 송강(宋江)에게 나타나 "하늘을 대신하여 정의를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권의 신성한 책을 주고, 요나라 군대의 진형을 깨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전술과 병법을 관장하는 상고의 여신으로, "천서"를 가지고 있으며, 전술의 신과 정의의 신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다.[21] 당의 명장 이정은 구천현녀의 전법을 활용했다고 한다.[38]
4. 2. 무술과 마법
구천현녀는 몸을 숨기는 은신술(隱身)과 북두칠성의 별들을 동원하는 마법을 부릴 수 있었다.[12] 이러한 능력은 국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12]구천현녀의 시녀인 육정옥녀(六丁玉女)는 은신술을 할 때 각자 다른 역할을 맡았다.[12] 정묘옥녀(丁卯玉女)는 육신, 정사옥녀(丁巳玉女)는 운명, 정해옥녀(丁亥玉女)는 재산, 정유옥녀(丁酉玉女)는 혼, 정미옥녀(丁未玉女)는 백, 정축옥녀(丁丑玉女)는 정신을 숨기는 역할을 했다.[12] 은신술은 적을 물리치고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군사 전략으로 여겨졌으며, 악을 물리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을 숨기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전해진다.[12]
《비장통현변화육음동미둔갑진경(秘藏通玄變化六陰洞微遁甲真經)》에 따르면, 구천현녀와 관련된 주문을 외우고 우보(禹步)를 수행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한다.[12] 포박자(抱朴子)에서는 우보를 기문둔갑(遁甲)의 점술 시스템 요소로 묘사하며, 이를 통해 육정의 시공간 구조에서 즉각적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12]
《북두치법무위경(北斗治法武威經)》은 구천현녀가 수당 교체기 동안 관리였던 원청(遠清)에게 북두칠성의 별들을 동원하는 방법인 《북두십이성(北斗十二星)》을 가르쳤다고 기록한다.[17] 남송 시대에 제작된 《상청천심정법(上清天心正法)》에는 이 방법에 사용되는 《천강신주(天罡神咒)》라는 주문이 전해진다.[17]
두광정이 저술한 ''용성집선록(墉城集仙錄)''에는 황제(黃帝)가 치우(蚩尤)와의 전투에서 짙은 안개로 어려움을 겪을 때, 구천현녀가 나타나 여러 물건과 유물을 하사하여 황제를 도왔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9] 이때 구천현녀가 하사한 물품은 다음과 같다.[9]
물품명 |
---|
육갑육임병신지부(六甲六壬兵信之符) |
영보오제책사귀신지서(靈寶五帝策使鬼神之書) |
제요통령오명지인(制妖通靈五明之印) |
오음오양둔갑지식(五陰五陽遁甲之式) |
태일십정사신승부악기지도(太一十精四神勝負握機之圖) |
오악하도(五嶽河圖) |
책정지결(策精之訣) |
4. 3. 장수(長壽)와 연금술
구천현녀는 장수와 연금술과도 관련이 깊다. 여러 도교 경전에서 구천현녀는 신체의 기 순환을 돕고 생명력을 길러 장수를 돕는 존재로 나타난다.[14]구천현녀는 인체를 우주의 축소판으로 보는 여러 생리적 소우주론 작품에 등장하며, 신들이 그 안에 존재하는 곳으로 묘사된다.[13] 이 텍스트들에서 구천현녀는 신체의 중앙선에 위치하며, 생명력을 기르고 장수를 제공하는 기의 순환과 연관된다.[14]
황정경에는 적어도 세 번 구천현녀가 등장하는데, 여기서 수련자는 기를 내려보내 여신의 입으로 들어가도록 지시받는다.[14]
5세기경의 ''태상노군중경''에서는 구천현녀가 "신장 사이에 위치하며, 금성(태백성)의 흰색과 빛나는 별들만 걸치고 있다"고 묘사된다. 그녀의 대광명의 구슬은 수련자의 온몸 안을 밝게 비추어 수명을 연장하고 죽지 않도록 한다."[14]
''노자중경''에서 구천현녀는 신성한 거북 위에 앉아 있는 세 명의 신 중 하나로 묘사되며, "현녀는 허무의 도의 어머니이다"라고 언급된다.[14] 이 텍스트는 수련자들에게 "눈을 감고 어깨 사이의 흰 기를 명상하라. 그 중심에는 흰 거북이 있다. 거북 위에는 현녀가 있다."라고 지시한다.[14] 그녀 옆에는 두 명의 지배자가 있으며, 수련자들은 "운명의 지배자와 등록의 지배자여, 누구누구의 이름을 죽음 목록에서 삭제하고 옥력의 생명 목록에 기록하라."라고 말함으로써 그들을 소환한다.[14] 이 의식은 장수를 약속하는 절차를 가리킨다.[14]
3세기 이후부터 구천현녀는 연금술과 연관되어 왔다.[15] 갈홍의 ''포박자''에서는 구천현녀가 다른 신들과 함께 영약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수련자들이 금의 영약을 만들 때 여신에게 제단을 세우며, 그녀가 체조와 식단에 대해 황제와 논의했다고 언급한다.[15] 송나라 시대에 여신은 내단 (내부 연금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었다.[15]
4. 4. 성(性)
초기 도교 문헌에서 구천현녀는 성적인 기술과도 관련이 있었다. 《현녀경(玄女經)》(玄女經|현녀경중국어)과 소녀경(素女經)(素女經|소녀경중국어)은 한나라 시대에 쓰여진 성에 관한 지침서였다.[16] 《현녀경》의 내용은 수나라 판 《소녀경》에 부분적으로 통합되었다.[16] 이러한 지침서들은 한나라 시대부터 상류층에게 익숙한 것이었다.[16]당나라 시대와 그 이전 시대 동안, 구천현녀는 종종 성적인 기술과 연관되었다.[16] 《현녀경》은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문인들 사이에서 익숙한 작품으로 남아 있었다.[16] 유종원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7세기 시인의 작품 《동현자방중술》(洞玄子房中術)(洞玄子房中術|동현자방중술중국어)에는 구천현녀로부터 전해졌다고 하는 성적인 기술에 대한 묘사가 들어있다.[16]
구천현녀가 가르쳤다고 여겨지는 성적 행위는 종종 연금술과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생리적 절차와 비교되었다.[16] 갈홍의 《포박자》에는 구천현녀가 황제에게 성 기술은 "물과 불의 혼합과 같아서, 올바른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죽이거나 새로운 생명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하는 구절이 있다.[16]
4. 5. 외모
九天玄女중국어는 아름다운 여신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태상노군중경(太上老君中經)》에서는 금성의 흰색과 빛나는 별들로 옷을 입고, 그녀의 대광명주가 빛을 낸다고 묘사된다.[14] 《용성집선록(墉城集仙錄)》에서 황제(黃帝) 앞에 나타난 구천현녀는 아홉 가지 색깔의 얼룩덜룩한 물총새 깃털 의상을 입고, 인광과 구름을 고삐로 한 주사 봉황을 탔다.[9]명(明)에 출판된 소설 《수호전》의 융여당(容與堂) 판에 나오는 시에서는 구천현녀의 외모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5. 발전 및 숭배
구천현녀는 고대 중국에서 널리 숭배받았지만, 한나라 이후로는 그 정도가 줄어들었다.[2] 이후 몇 세기 동안 도교에 점차 흡수되었다.[2] 당나라 시대에는 구천현녀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공존했으며,[16] 이 시기 도교의 부상은 마법과 지적인 수단을 통해 승리하고 불사의 기술을 전수하는 전쟁의 여신이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었다.[16] 성, 전쟁에서의 승리, 영원한 생명과 같은 속성들이 이 새로운 이미지에 맞게 수정되었다.[16] 도교의 두광정은 구천현녀의 대중적인 전설에서 에로틱하고 성적인 힘을 부여하는 여신의 본성과 같은 이단적이고 조잡한 요소를 모두 제거하여 상청파 도교에 적합한 무술 여신의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려고 시도했다.[12]
명나라 시대에 구천현녀는 공식적으로 천상의 수호자가 되었으며 국가의 수호신으로 숭배받았다.[17] 1493년, 홍치제의 부인이었던 장황후(1470–1541)는 서품을 받았고, 그녀의 서품은 ''장황후의 서품''이라는 두루마리에 인증되었으며, 여기에는 수많은 신들의 이미지(구천현녀는 아님)와 정일파의 도사 장현경(張玄慶중국어, d. 1509)이 쓴 비문이 포함되어 있다.[17] 이 비문은 구천현녀를 장군, 원수, 천병, 육정옥녀, 육갑장군과 같은 신성한 범주보다 위에 위치시켜 다른 모든 천상의 전사들보다 높이 평가한다.[17] 또한 그녀에게 ''구천참사호정현녀''(九天斬邪護正玄女중국어, "악을 처단하고 정의를 수호하는 구천의 현녀"로 번역)라는 더 긴 공식 칭호를 부여했다.[17] ''영보육정비법''은 "악을 처단하고 정의를 수호하는 것"(斬邪護正중국어)이라는 구절을 여신과 연관시키며 "악을 처단하고 정의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먼저 보이지 않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斬邪歸正,先須知隱形중국어)고 강조한다.[17]
구천현녀 숭배와 승격에는 귀족 가문을 다른 가문보다 우위에 두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었을 수 있다.[17] 장황후와 구천현녀의 관계는 명나라 황제와 도교의 또 다른 중요한 신인 현무의 관계와 매우 유사하며, 이는 황후와 그녀의 가문의 지위를 조정에 높였다.[17] 이는 장씨 가문과 주씨 가문(홍치제의 할머니인 주태후) 사이의 갈등이 있던 시기였으며, 주씨 가문은 불교를 따랐다.[17] 구천현녀는 다산의 여신이기도 하며, 이는 장황후가 이 여신을 숭배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17]
현대에는 결혼과 다산의 수호신으로도 여겨지며,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결혼하는 것을 금지하는 중국 문화의 관습에 책임이 있다고 신자들은 믿고 있다.[18] 전술과 병법을 주관하는 상고의 여신으로, "천서"를 가지고 있으며, 전술의 신과 정의의 신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다. 도교의 신통기에서는 서왕모 다음의 지위에 있는 여천신으로 언급되며, 상원부인과 동일시되기도 했다.[21][22] 서왕모의 부관 역할로서 영웅들의 수호신이다.[23] 도교에서는 음력2월 15일을 구천현녀의 생일로 기념하고 있다. 또한, 육임신과와 관련되어 있다.
『고문룡호경주소』에 따르면, 현녀는 "천부자"(세운과 하늘의 기운을 주관하는 자)라고 칭해졌다. 현녀는 천지의 정신·음양의 영기이며, 만물을 알고 있으며, 도교의 주이다. 또한, 현녀 또한 상고의 신선이며, 뭇 진의 장이다.[24] 갈홍의 "침중서"에 따르면, 원시천왕과 太元玉女|태원옥녀중국어는 구광현녀를 낳았고, 태진서왕모라 칭했으며, 서한부인의 일이다.[25][26] 구천현녀는 서왕모의 한 측면으로 여겨진다. 『태상노군중경』에 따르면, 현녀는 항상 태백성을 쓰고, 태명의 구슬을 귀에 걸고, 온몸에 빛을 비추며, 즉 연년하여 죽지 않는다.[27]
원래 현녀는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을 한 부인의 모습을 한 여신으로, 서왕모에게 파견되어 황제에게 전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또한, 황제에게 치우를 제압하기 위한 삼궁오의음양의 약, 태일둔갑육임보두의 술, 『음부』의 기, 『영보오부』, 『오승』의 문(혹은 육갑육임병신의 부, 영보오제책사귀신의 서, 제요통령오명의 인, 오음오양둔원의 식, 태일십정사신승부악기의 도, 오병하도책정의 결[28])을 가르쳤다.[29] 현녀의 사람 머리에 새의 몸을 한 원형은 현조라고 하며, 은의 시조 "계"의 어머니 "간적"은 현조의 알을 마시고 "계"를 낳았다.[30] 전욱의 손녀 女脩|여수중국어가 베를 짜고 있을 때, 현조의 알을 마시고 잉태하여, 大业|대업중국어을 낳았다.[31] 또한 『운급칠籤』에 그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구천현녀는 황제의 스승·聖母元君|성모원군중국어의 제자이며, 단봉(붉은 봉황)을 타고, 구색의 취의를 입고, 현호의 구(검은 여우의 모피)를 쓰고 있다.[32]
중국에서는 고대에는 "현소의 도(음양의 술)"로, 현녀와 소녀의 방술을 가리킨다. 황제는 현녀와 소녀에게서 방중술(성기)을 전수받았다고 전해진다.[33]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성애와 전쟁을 주관하는 여신 이난나, 이슈타르 등과 공통점이 지적되는 설도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진, 혹은 수나라의 방사들에 의해 후대에 덧붙여진 것이며, 한나라 이전의 기록에서는 현녀도 소녀도 이들과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당의 명장 이정은 구천현녀의 전법을 활용했다고 한다.[38]
1047년 중국 소설 『삼수평요전』의 개작에서 성고고에서 구천현녀로 변경되었다는 설이 있다.[39]
6. 현대 문화 속 구천현녀
구천현녀는 2007년 홍콩 영화 《멋진 인생》, 1980년대 중국 텔레비전 드라마 《수호전》, 1985년 홍콩 텔레비전 드라마 《양가장》에 등장한다.
모바일 게임 《타워 오브 세이비어스》에도 등장하며,[20] 비디오 게임 선검기협전 4와 선검기협전 7에도 등장한다.
참조
[1]
간행물
Liu
2016
[2]
간행물
Cahill
2013
[3]
웹사이트
平妖傳 第一回
http://open-lit.com/[...]
2024-06-26
[4]
간행물
Liu
2016
[5]
간행물
Birrell
1993
[6]
간행물
Wen
2016
[7]
간행물
Liu
2016
[8]
간행물
Liu
2016
[9]
간행물
Cahill
2013
[10]
간행물
Cahill
2013
[11]
서적
Narratives of Kingship in Eurasian Empires, 1300-1800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ing
2024-06-26
[12]
간행물
Liu
2016
[13]
간행물
Cahill
2013
[14]
간행물
Cahill
2013
[15]
간행물
Cahill
2013
[16]
간행물
Cahill
2013
[17]
간행물
Liu
2016
[18]
서적
Chinese gods = Fo xiang shen xiang
https://www.worldcat[...]
Collins & Brown
1997
[19]
간행물
Liu
2016
[20]
웹사이트
Tower of Saviors Coliseum Event "Jiutian Xuannü"! Selena's Ultimate Stage "Beauty in Strangling"! New Series "Gifted Scientists" Coming Soon!
https://en.towerofsa[...]
Mad Head Limited
2019-02-04
[21]
서적
道教神仙与内丹学
宗教文化出版社
2003
[22]
웹사이트
『鏡花縁: 清代四大才学小説之首』
https://books.google[...]
Google ブックス
2021-11-03
[23]
서적
タオの神々
新紀元社
1996
[24]
웹사이트
『古文龍虎経註疏』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3
[25]
웹사이트
『元始上真衆仙記』「葛洪枕中書」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3
[26]
서적
道教思想史研究
岩波書店
1987
[27]
웹사이트
『太上老君中経』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4
[28]
웹사이트
『墉城集仙録』巻六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4
[29]
웹사이트
『雲笈七籤』巻一百一十四「西王母伝」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4
[30]
웹사이트
『史記』殷本紀 巻三
https://ja.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4
[31]
웹사이트
『史記』秦本紀 巻五
https://ja.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4
[32]
웹사이트
『雲笈七籤』巻一百一十四「九天玄女伝」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4
[33]
서적
露伴随筆『潮待ち草』を読む
岩波書店
2002
[34]
웹사이트
『女仙外史』第八回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3
[35]
웹사이트
『女仙外史』第三十一回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08-26
[36]
웹사이트
『女仙外史』第三十九回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3
[37]
웹사이트
『女仙外史』第四十八回
https://zh.wikisourc[...]
ウィキソース
2021-11-03
[38]
서적
中国の鬼神 天地神人鬼
新紀元社
2005
[39]
논문
聖姑姑から九天玄女へ:『三遂平妖伝』の改作をめぐって
中国中世文学会
1994-04-30
[40]
harvp
2013
[41]
harvp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