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후변화와 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후변화와 도시는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기후 변화에 대한 도시의 영향과 도시가 기후 변화에 받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다룬다. 도시들은 에너지와 자원을 대량 소비하며,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이 되지만, 도시 계획의 변화와 국제 기구들의 노력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도시의 건강, 자연재해, 식량 및 물 안보에 영향을 미치며,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 지역별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C40, SDG 11, GCoM과 같은 국제 정책은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2. 배경

현재 세계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살며 많은 식량과 물품을 소비한다.[98] UN은 2050년까지 세계 인구의 68%가 도시에서 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81] 2016년에는 대도시 31곳의 인구가 각각 1000만 명이 넘었고, 그 중 8곳은 2000만 명이 넘었다.[99] 한편 중소 도시 인구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급격한 도시 개발로 인해 기후 변화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100]

최근, 증가하는 도시화는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술적 역량을 동반하여 지구 탄소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제시되었다.[13] 기후 변화 해결책에는 도시 중심의 해결책이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드로우다운은 개선된 자전거 기반 시설,[14] 개조 건축,[15] 지역 난방,[16] 대중교통,[17] 보행 가능한 도시를 중요한 해결책으로 권장한다.[18]

국제 사회는 기후 변화 해결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위해 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과 ICLEI와 같은 도시 연합을 결성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1("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과 같은 정책 목표를 수립했다.

현재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 전환은 기후 도시주의를 활용하여 기후 친화적이고 복원력 있는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후 도시주의는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으로부터 도시 경제의 물리적 및 디지털 인프라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는 세계 수입의 80%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도시 지역의 인프라와 계획은 탄소 관리 및 기후 복원력 있는 인프라를 사용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2. 1. 도시화 추세

현재 세계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살며 많은 식량과 물품을 소비한다.[98] UN은 2050년까지 세계 인구의 68%가 도시에서 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81] 2016년에는 대도시 31곳의 인구가 각각 1000만 명이 넘었고, 그 중 8곳은 2000만 명이 넘었다.[99] 한편 중소 도시 인구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급격한 도시 개발로 인해 기후 변화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100]

2. 2. 기후변화와 도시의 상호작용

도시는 전 세계 에너지의 80%와 천연 자원의 70%를 소비하며, 전 세계 CO2 배출량의 70% 이상을 배출한다.[101]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기후변화가 심화될수록 도시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데, 특히 이상 기온 상승으로 인해 냉방 수요와 사용량이 증가한다.

하지만, 도시는 주민의 생활공간이 비도시 지역보다 작고 대중교통 수단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공용 세탁소나 부엌 같은 시설이 운영되기 때문에 인구가 밀집될수록 1인당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적어져 기후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다.[102]

최근, 도시화 증가는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술적 역량을 동반하여 지구 탄소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제시되었다.[13] 이에 프로젝트 드로우다운은 개선된 자전거 기반 시설,[14] 개조 건축,[15] 지역 난방,[16] 대중교통,[17] 보행 가능한 도시를 중요한 해결책으로 권장한다.[18]

국제 사회는 기후 변화 해결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위해 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과 ICLEI와 같은 도시 연합을 결성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1("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과 같은 정책 목표를 수립하기도 했다.

새로운 도시 환경 기획안은 석탄 화력 발전소와 자동차 배출 가스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재생 가능 에너지 시스템과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사용될 자원 채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도 무시할 수 없다.[103]

도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확한 측정은 어려운 문제다. 도시에서 생산하는 물건과 서비스가 도시 내에서 소비될 수도, 비도시 지역으로 수출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비도시 지역에서 생산된 물품과 서비스가 도시로 수입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중복 계산을 막기 위해서는 배출량 측정 장소를 물자 생산지 또는 소비지로 명확히 정해야 한다.[104]

3. 도시의 기후변화 영향

도시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을 수용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오염에 특히 취약하다. 이러한 위험과 오염은 빈곤층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쳐 불평등을 심화시킨다.[22]

세계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거주함에 따라 기후 변화와 함께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온 상승으로 인해 냉방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더 많은 에어컨과 새로운 냉방 시스템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는 주택 규모가 작고, 프로판보다 가스 난방을 더 많이 사용하며, 대중교통 이용으로 탄소 연료 수송을 덜 사용하고, 세탁실 및 주방과 같은 공동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농촌 지역보다 1인당 탄소 배출량이 적을 수 있다.[23][24]

최근 정책들은 석탄 화력 발전소의 배출량 감소뿐만 아니라 자동차 효율성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5] 그러나 재생 에너지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필요한 원자재 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또한 고려해야 한다. 사용 현장에서는 지역 배출량이 매우 적을 수 있지만, 수명 주기 전체를 고려하면 배출량이 상당할 수 있다.[26]

3. 1. 대기 오염

도시는 전 세계 에너지의 80%, 자원의 70%를 소비하며,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의 70%를 차지하여 대기 오염의 주범으로 꼽힌다.[101] 그러나 도시 거주자들은 비도시 지역보다 작은 생활 공간을 사용하고, 대중교통이 발달했으며, 세탁소나 부엌 같은 공용 시설을 이용하기 때문에 1인당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적어 기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02]

기후 변화가 심화되면서 도시의 에너지 소비는 더욱 증가하는데, 특히 이상 기온 상승으로 인해 냉방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도시 환경 기획안은 화력 발전소와 자동차 배출 가스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재생 가능 에너지 시스템과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자원 채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도 간과할 수 없다.[103]

도시의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은 복잡하다. 도시에서 생산된 물품과 서비스가 도시 내에서 소비될 수도, 비도시 지역으로 수출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비도시 지역에서 생산된 물품과 서비스가 도시로 수입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출량 측정 시 생산지와 소비지 중 어디를 기준으로 할 것인지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세계화된 경제 환경에서는 이를 규정하기가 쉽지 않다.[104]

3. 2. 온실가스 배출

현재 도시는 전 세계 에너지의 80%와 자원의 70%를 소비하며,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의 70%를 차지한다.[101]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살기 때문에 기후 변화가 악화될수록 도시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특히 이상 기온 상승으로 인해 냉방 수요와 냉방 에너지 사용이 늘어난다. 도시는 대기 오염의 주범이지만, 주민의 생활 공간이 비도시 지역보다 작고 대중교통 수단이 잘 발달했으며, 공용으로 운영하는 세탁소나 부엌 같은 시설이 운영되기 때문에 도시로 인구가 밀집될수록 1인당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적어져 기후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102]

새로 만들어지는 도시 환경 기획안은 석탄 화력 발전소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 가스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재생가능한 에너지 시스템과 전기차 배터리를 만드는 데 쓰일 자원을 채취할 때 생성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또한 무시 못할 정도로 많다.[103]

도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데, 도시에서 생산하는 물건과 서비스가 도시에서 소비될 수도 있고 비도시 지역으로 수출될 수도 있으며, 또한 비도시 지역에서 생산하는 물품과 서비스가 도시로 수입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중복 계산되는 것을 막으려면 배출량을 측정하는 장소가 물자를 생산하는 곳인지 아니면 소비하는 곳인지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경제가 세계화되면서 특정 장소를 생산지나 소비지로 규정하기 어려워졌다.[104]

3. 3. 자원 소비

현재 도시는 전 세계 에너지의 80%, 자원의 70%를 소비하며,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의 70%를 차지한다.[101][22] 기후 변화가 악화될수록 도시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특히 이상 기온 상승으로 인해 냉방 수요와 에너지 사용이 늘어난다.

하지만 도시 주민은 비도시 지역보다 생활 공간이 작고, 대중교통 수단이 잘 발달했으며, 공용 세탁소나 부엌 같은 시설을 운영하기 때문에 도시로 인구가 밀집될수록 1인당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적어져 기후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다.[102]

새로 만들어지는 도시 환경 기획안은 석탄 화력 발전소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 가스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재생가능한 에너지 시스템과 전기차 배터리를 만드는 데 쓰일 자원을 채취할 때 생성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또한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103][26]

도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데, 도시에서 생산하는 물건과 서비스가 도시에서 소비될 수도, 비도시 지역으로 수출될 수도 있으며, 비도시 지역에서 생산하는 물품과 서비스가 도시로 수입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중복 계산되는 것을 막으려면 배출량을 측정하는 장소가 물자를 생산하는 곳인지, 소비하는 곳인지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경제 세계화로 인해 특정 장소를 생산지나 소비지로 규정하기 어려워졌다.[104]

4. 기후변화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

기후 변화는 도시 환경에서 인간의 건강과 생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38] 도시화는 일반적으로 인구 밀도가 높고, 환경을 악화시키는 기후 변화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저소득 및 중소득 지역 사회에서 발생한다. 도시 환경 내에서 여러 기후 및 비기후 위험이 도시에 영향을 미쳐 인간 건강에 가해지는 피해를 증폭시킨다. 폭염은 도시의 기온을 지속적으로 상승시켜 열사병이나 열경련과 같은 열 관련 질병을 일으키고, 기온 상승은 모기로 인한 질병의 분포를 변화시켜 감염성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킨다.[39] 기후 변화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홍수, 가뭄, 폭풍과 같은 자연 재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40]

4. 1. 도시 건강

기후변화는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114] 도시 주민의 건강은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요소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데, 예를 들어 도시의 폭염이 더 악화되어 기온이 점점 올라가면 열사병이나 열경련 같은 온열 질환 발병이 늘어나고, 또한 모기가 많아져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 발병이 늘어난다.[115] 이러한 기후변화로 나타나는 질병은 특히 코로나에 감염된 환자와 천식 환자, 이미 다른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더더욱 위험하다.[116] 특히 저소득층이 주로 살고 인구 밀도가 높으며 기후변화에 자각이 없는 곳일수록 환경의 질이 떨어져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117] 빈곤층과 사회적으로 고립된 주민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위험과 영양실조, 설사와 감염병, 그리고 강제 퇴거로 인한 건강 문제에 취약하다.[118]

유럽에서 실시한 기후변화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꽤 많은 주민들이 기후 이민자가 될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다.

5. 도시 기후변화 연구

도시와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는 국제사회가 기후변화 문제를 점차 인식하던 199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 초부터 도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파생되었다.[105] 이후, 이 연구는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한 도시화 사이의 관계, 즉 도시의 고용 증가가 빈곤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을 밝혀냈다.[28] 컬럼비아 대학교 지구 연구소 소속의 도시 기후 변화 연구 네트워크에서 발표한 국제 평가 보고서(ARC3)는 이 분야의 주요 연구 결과들을 담고 있다.

5. 1. 연구의 시작

국제 사회가 기후 변화 문제를 점차 인식하기 시작한 1990년대에 도시와 기후 변화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105][27] 도시학자 마이클 헤버트(Michael Hebbert)와 블라디미르 얀코비치(Vladmir Jankovic)는 이 연구 분야가 1950년대 초부터 시작된 도시 개발과 생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 광범위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105][27]

컬럼비아대학교 지구 연구소 소속 도시 기후 변화 연구 네트워크는 두 차례의 국제 평가 보고서(ARC3)를 발간했다.[106][29] 첫 번째 보고서(ARC3.1)는 2011년에,[107][30] 두 번째 보고서(ARC3.2)는 2018년에 발표되었다.[106][29] 이 보고서들은 세계기상기구(IPCC) 보고서와 유사하게 이 분야의 학문적 연구를 요약하는 역할을 한다.[108] 세 번째 보고서는 2023년에서 2025년 사이에 발표될 예정이다.[109][31][32]

5. 2. 주요 연구 기관 및 보고서

컬럼비아 대학교 지구 연구소 소속의 도시 기후 변화 연구 네트워크는 두 건의 국제 평가 보고서(ARC3)를 발간했다.[106] 첫 번째 보고서(ARC3.1)는 2011년에,[107] 두 번째 보고서(ARC3.2)는 2018년에 발간되었으며,[106] 이 보고서는 세계기상기구(IPCC) 보고서와 같이 도시와 기후변화 연구 보고서이다.[108] 세 번째 보고서는 2023년에서 2025년 사이에 발표될 예정이다.[109]

5. 3. 도시 실험실

도시는 큰 규모의 정책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어 새로운 정책의 효과를 연구하기 좋다. 이렇게 연구된 정책은 지역에 알맞게 변형되어 여러 곳에서 적용될 수 있다.[110][111] 여러 학자들이 이러한 접근 방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지만, 광범위한 실천을 시험하기에 좋은 이러한 "도시 실험실" 환경을 설명한다.[35][34]

예를 들어, 책 ''탄소 이후의 삶''은 "도시 기후 혁신 실험실" 역할을 하는 여러 도시를 기록하고 있다.[36] 이처럼 실험실로서의 도시는 도시 환경 내 옥상, 가로수 및 기타 환경 변수에 대한 온실 효과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후 변화를 감지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37] 도시의 열파 효과를 살펴보는 이러한 방법은 도시가 미래에 해결할 열의 영향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다.[37] ‘탄소 이후의 삶’(Life After Carbon)이라는 저서에서는 ‘도시기후혁신 연구소’ 역할을 하는 도시 몇 곳을 소개한다. 도시기후혁신 연구소는 옥상과 가로수 등이 온실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가 폭염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112][113]

6. 도시 회복력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은 회복력을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 방식을 유지하면서 교란을 흡수하고, 자기 조직화 능력을 갖추며, 스트레스와 변화에 적응하는 사회 또는 생태계의 능력"으로 정의한다.[43] 도시 회복력 이론에서 강조되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도시 시스템이 환경 교란을 흡수하는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 기후 회복력은 도시 시스템에 내재된 물리적 인프라, 위험한 기후 사건 발생 이후 도시가 회복하는 능력, 그리고 도시 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회적 행위자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최근 도시화는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술적 역량과 함께 진행되면서 지구 탄소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제시되고 있다.[13] 프로젝트 드로우다운은 개선된 자전거 기반 시설,[14] 개조 건축,[15] 지역 난방,[16] 대중교통,[17] 그리고 보행 가능한 도시를 중요한 해결책으로 권장한다.[18]

국제 사회는 기후 변화 해결책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활성화하기 위해 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과 ICLEI와 같은 도시 연합을 결성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1("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과 같은 정책 목표를 수립했다.[19]

현재 진행 중인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 전환은 기후 도시주의를 활용하여 기후 친화적이고 복원력 있는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후 도시주의는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으로부터 도시 경제의 물리적 및 디지털 인프라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6. 1. 회복력의 정의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은 회복력을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 방식을 유지하면서 교란을 흡수하고, 자기 조직화 능력을 갖추며, 스트레스와 변화에 적응하는 사회 또는 생태계의 능력"으로 정의한다.[43] 도시 회복력 이론에서 강조되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도시 시스템이 환경 교란을 흡수하는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 기후 회복력의 첫 번째 요소는 도시 시스템에 내재된 물리적 인프라인 '시스템'에 초점을 맞춘다. 도시 회복력에서 중요한 관심사는 도시 지역의 인구에 대한 공급 및 교환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지원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다.[43] 이러한 시스템은 도시의 물리적 인프라와 도시 중심지 내 또는 주변의 생태계를 모두 포함하며, 식량 생산, 홍수 통제, 유출수 관리 등을 위한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43] 예를 들어 도시 생활의 필수 요소인 도시 전기는 발전기, 전력망, 원거리 저수지의 성능에 달려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또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는 반등 능력이다. 위험한 기후 사건이 도시 중심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회복 또는 "반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대부분의 재해 연구에서 도시 회복력은 종종 "파괴로부터 도시가 반등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44]

6. 2. 도시 회복력 강화 방안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은 회복력을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 방식을 유지하면서 교란을 흡수하고, 자기 조직화 능력을 갖추며, 스트레스와 변화에 적응하는 사회 또는 생태계의 능력"으로 정의한다.[43] 도시 회복력 이론에서 강조되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도시 시스템이 환경 교란을 흡수하는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 기후 회복력은 크게 세 가지 요소로 나눌 수 있다.

  • 시스템: 도시 시스템에 내재된 물리적 인프라를 의미한다. 도시의 물리적 인프라와 도시 중심지 내 또는 주변의 생태계를 모두 포함하며, 식량 생산, 홍수 통제 또는 유출수 관리를 위한 필수 서비스를 제공한다.[43] 예를 들어 도시 생활의 필수 요소인 도시 전기는 발전기, 전력망, 원거리 저수지의 성능에 달려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부 실패나 운영상의 교란에도 불구하고 "기능이 유지되고 시스템 연결을 통해 다시 복구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43] 이를 위해 '안전한 실패'를 고려하여 유연성을 확보하고, 공간적 다양성과 기능적 다양성을 통해 분산되도록 설계해야 한다.[43]
  • 반등 능력: 위험한 기후 사건 발생 이후 도시가 회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재해 연구에서 도시 회복력은 "파괴로부터 도시가 반등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44]
  • 사회적 주체: 도시 중심지에 존재하는 사회적 행위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도시 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데 공통의 이해관계를 가진다.[43] 지방 정부 및 지역 사회 조직은 주요 서비스를 조직하고 제공하며,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43] 이들은 "기지(resourcefulness)와 대응성"을 높여야 한다.[43] 대응성은 조직 및 재조직 능력, 파괴적 사건 예측 및 계획 능력을 의미하며, 기지(resourcefulness)는 행동을 위해 다양한 자산과 자원을 동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43]


최근 도시화는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술적 역량과 함께 진행되면서 지구 탄소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제시되고 있다.[13] 프로젝트 드로우다운은 개선된 자전거 기반 시설,[14] 개조 건축,[15] 지역 난방,[16] 대중교통,[17] 그리고 보행 가능한 도시를 중요한 해결책으로 권장한다.[18]

국제 사회는 기후 변화 해결책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활성화하기 위해 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과 ICLEI와 같은 도시 연합을 결성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1("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과 같은 정책 목표를 수립했다.[19]

현재 진행 중인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 전환은 기후 도시주의를 활용하여 기후 친화적이고 복원력 있는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후 도시주의는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으로부터 도시 경제의 물리적 및 디지털 인프라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 지역별 문제

도시들은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을 수용하고, 에너지의 80%와 천연 자원의 70%를 소비하며, CO2 배출량의 70% 이상을 배출한다.[22] 이로 인해 도시와 지역은 기후 관련 위험과 오염에 특히 취약하며, 이는 빈곤층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쳐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기후 변화에 직면한 세계 각지의 도시는 서로 다른 고유한 과제와 기회에 직면해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와 같은 지역은 현재 인구와 경제적 역량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어 도시화 및 산업화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난다.[46] 2020년대부터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최고 기온 책임자(Chief Heat Officer) 직책을 만들어 도시 열섬 효과에 대응하는 작업을 조직하고 관리하기 시작했다.[47][48]

배출량 계산과 관련하여, 도시는 상품 및 서비스 생산이 국내 소비 또는 수출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중 계산을 피하기 위해 생산 현장 또는 소비 현장 중 어디에서 계산할지 명확히 해야 하는데, 세계화된 경제에서 긴 생산 사슬을 고려할 때 이는 복잡할 수 있다.[26]

7. 1. 아프리카

아프리카는 다른 어떤 대륙보다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30년에 10억 명 이상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122][123] 급격한 인구 밀도 증가로 인해 많은 인구가 허가되지 않은 곳에 정착하거나 도시 외곽 빈민가에 정착하면서 도시가 무계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124] 아프리카 도시는 홍수, 가뭄, 수자원 부족, 해수면 상승, 폭염, 폭풍, 태풍, 식량난, 말라리아콜레라 같은 질병 등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에 취약하다.[125]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은 비도시 지역의 사막화, 생물 다양성 상실, 토지 침식, 농업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더 많은 인구가 도시로 이주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생태계가 급격히 훼손되면서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126][127]

7. 2. 아시아

아시아 도시들은 도시화산업화로 인해 대기, 해양, 토지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인구와 경제가 급격히 성장하는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21] 이는 기후변화 문제로 이어진다.

7. 2. 1. 중국

중국은 현재 세계적으로 경제가 급격하게 성장하는 나라 중 하나이며 이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영토는 세계적으로도 큰 축에 속하며 장강 삼각주는 중국에서 제일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구밀도가 높고 산업이 크게 발달한 곳이다.[128] 장강 삼각주는 지금도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곳이기 때문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이 필수이며 특히 홍수 예방을 위한 인프라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대한 정책이 중요시되고 있다.[128]

현재 중국은 중국 북부의 자연 생태 서식지와 주요 경작지, 범람원을 보호하면서 도시를 설계하는 '지속가능한 도시경관계획(Sustainable Urban Landscape Planning, SULP)' 정책을 실행 중이다.[129] 이 정책은 기후변화에도 안전하게 수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중국 북부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129]

7. 2. 2. 남아시아

남아시아의 도시 인구는 2001년에서 2011년 사이에 1억 3천만 명이 증가했으며, 2030년에는 2억 5천만 명이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130] 그러나 남아시아의 도시화는 빈곤층 증가, 빈민촌 증가, 환경 오염, 인원 과다 및 정체로 묘사된다.[131] 무계획적인 도시 확장으로 인해 1억 3천만 명의 인구가 공공시설이 낙후하고 부족한 지역에서 안전한 거주권 없이 머물고 있다.[130]

수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2050년 기후예상도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18%에 해당하는 5억 2천만에서 14억 6천만 명의 남아시아 인구가 기후변화로 인한 식수난에 처할 것이라 보고했다.[132]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수의 범람과 침범으로 담수가 해수화되어 식수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도시 식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만들어지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이미 식수난을 겪고 있는 무허가 지역 주민이 쓸 식수를 줄인다.[133]

7. 3. 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의 도시들은 도시화산업화로 인해 대기, 해양, 토지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브라질처럼 인구와 경제가 급격히 성장하는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121]

7. 3. 1. 브라질

최근 연구 보고서에는 남아메리카에 있는 여러 지역과 인구밀도가 높고 대부분의 열대우림을 차지한 브라질의 도시화로 인한 지역과 국제 기후 위험성을 강조하고 있다.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아마존 열대우림이 이산화탄소 발생을 막는데 많은 기여를 해 세계적 기후 체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했다.[135] 유엔 연구진은 아마존 열대우림의 산림벌채로 인해 극단적인 기후변화 현상을 완화하는 힘이 약화돼 브라질의 기후가 극단적인 온도 변화와 호우 패턴에 취약해졌다고 보고했다.[135] 아마존 열대우림과 맞닿아 있는 나라의 기후는 특히 아마존 열대우림과 밀접한 관계여서 만약 지구 온난화가 진행된다면 세계 평균 온도가 2°C 올랐을 때 브라질과 아마존에 맞닿아 있는 나라들은 4°C 올라간다.[135]

브라질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만들어 2025년에 온실가스를 2005년도보다 37% 감소시킨다는 정책을 세웠으나 이미 나라 인구의 86%가 도시에 살고 있고 2050년에는 92%가 도시에 살 것으로 예상돼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136] 브라질은 아마존 우림의 존재로 산림벌채량이 언제나 높은 편이어서 산림벌채량이 제일 높았던 2004년에 27700km2의 숲이 훼손되었고 제일 낮았던 2012년엔 4570km2가 훼손되었다. 그 후로 다시 산림벌채량이 꾸준히 높아져 현재 10850km2의 숲이 훼손되었다.[137][138]

7. 3. 2. 미국

미국은 산업이 크게 발달한 나라 중 하나이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인프라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라스배이거스지지학 연구 결과를 보면 1900년도와 1992년도, 2006년도에 해당하는 토지피복지도를 만들었는데 라스배이거스의 도시화가 전형적인 도시 열섬 현상을 일으키고 있으며 밀집된 고층빌딩이 지표면을 울퉁불퉁하게 만들어 바람의 순환을 방해해 상승된 기온을 낮추지 못한다.[139] 로스앤젤레스 같이 산업화된 도시는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대기가스 배출량이 많아 대기오염의 원인이 된다.[140]

미국 도시는 보통 주 단위 나 국가 행정 기관보다 먼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을 먼저 실시하여 기후변화 대응에 큰 역할을 한다. 그 사례로 미국이 파리협정에서 탈퇴하자 미국 대도시 45개가 자체적으로 도시시장 기후 행동 의회(Mayors National Climate Action Agenda)를 만들어 2017년까지 목표를 정해 실행하였고 2020년에는 미 전체 온실가스 배출이 6%로 줄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110]

8. 국제 정책

국제 주요 도시들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더 많은 도시의 참여를 유도하는 여러 단체와 정책을 만들었다. 최근 도시화는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술적 역량을 동반하여 지구 탄소 배출량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기후 변화에 대한 영향이 큰 해결책 목록에는 도시 중심의 해결책이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드로우다운은 개선된 자전거 기반 시설,[14] 개조 건축,[15] 지역 난방,[16] 대중교통,[17] 보행 가능한 도시를 중요한 해결책으로 권장한다.[18]

국제 사회는 기후 변화 해결책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활성화하기 위해 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 ICLEI와 같은 도시 연합을 결성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1("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과 같은 정책 목표를 수립했다. 2022년 현재 목표 달성 과정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태평양 섬나라에서는 도시와 인간 정착지를 더욱 살기 좋게 만드는 데 진전이 제한적이다. 중앙 및 남부 아시아,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는 어느 정도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목표가 달성되었다.[19]

현재 진행 중인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 전환은 기후 도시주의를 활용하여 기후 친화적이고 복원력 있는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후 도시주의는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으로부터 도시 경제의 물리적 및 디지털 인프라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는 세계 수입의 80%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도시 지역의 인프라와 계획은 탄소 관리 및 기후 복원력 있는 인프라를 사용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8. 1. 도시기후리더십그룹(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C40)

C40는 세계 96개 도시를 포함하는 국제적인 단체로, 세계 인구의 1/12, 세계 경제의 1/4을 담당하고 있다. C40는 기후 재난에 맞서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도시 정책을 지지하며, 도시 주민의 건강, 행복, 경제적 기회 개선을 목표로 한다.[143] 2023년부터 런던 시장 사디크 칸프리타운 시장 이본 아키소이어가 공동회장을 맡고 있으며,[143]뉴욕 시장 마이클 블룸버그와 마크 와트가 이끌고 있다. 이들은 13명의 운영위원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운영위원회는 주기적으로 교체되며 정책 방향과 실행 여부를 제시한다. 현재 운영위원회는 런던, 프리타운, 바르셀로나, 피닉스, 다카 노스, 도쿄, 부에노스아이레스, 보고타, 아비디잔, 몬트리올, 밀라노, 홍콩이다.[144][145]

C40는 여러 도시를 모아 도시 간 기술 지원, 인재 교환, 연구와 지식 관리, 소통을 지원한다. C40는 도시를 기후 변화 대응의 선두 주자로 여기며, 국가의 지원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자치권을 요구하는 데 힘을 싣고 있다.[146]

8. 2. 지속가능발전목표 11번-지속가능한 도시와 지역사회 (SDG 11)

유엔이 정한 지속가능발전목표 11번은 '지속가능한 도시와 지역사회'를 주제로 한다. 이 목표는 안전하고 회복력이 뛰어나며,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을 공식 목표로 한다. 한 지역의 활동은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 경제, 환경 모든 면에서 지속가능성을 유지해야 한다.[147]

SDG 11번은 10개의 세부 목표와 이를 측정하기 위한 15개의 지표로 구성된다. 7개의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147]

  • 안전하고 적정한 가격의 주거
  • 적정 가격의 지속가능한 교통 체계
  •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화
  •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 자연재해 피해 감소
  • 도시의 환경 영향 축소
  • 모두에게 열린 친환경적인 공간


나머지 3개 목표는 국가 및 지역 발전 계획, 효율적인 자원 소비, 포용성, 그리고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하고 튼튼한 건설 지원을 통한 재난 위험 감소에 관한 것이다.[147]

최근 도시화 증가는 지구 탄소 배출량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화와 함께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술적 역량이 동반되기 때문이다.[13]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해결책에는 도시 중심의 해결책이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프로젝트 드로우다운은 개선된 자전거 기반 시설,[14] 개조 건축,[15] 지역 난방,[16] 대중교통,[17] 보행 가능한 도시를 중요한 해결책으로 제시한다.[18]

기후 변화 해결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과 집중을 위해 C40 도시 기후 리더십 그룹, ICLEI와 같은 도시 연합이 결성되었다. 또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1 ("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과 같은 정책 목표도 수립되었다. 그러나 2022년 현재 목표 달성 과정은 악화되고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태평양 섬나라에서는 도시와 인간 정주 환경 개선에 제한적인 진전만이 있었다. 중앙 및 남부 아시아,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는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지만, 선진국에서는 이미 목표가 달성되었다.[19]

현재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은 기후 도시주의를 활용하여 기후 친화적이고 복원력 있는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기후 도시주의는 기후 변화 관련 위험으로부터 도시 경제의 물리적, 디지털 인프라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는 세계 수입의 80%를 차지하므로, 이러한 도시 지역의 인프라와 계획은 탄소 관리 및 기후 복원력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8. 3. 글로벌 기후에너지 시장협약(Global Covenant of Mayors for Climate and Energy, GCoM)

글로벌 기후에너지 시장협약(GCoM)은 2016년 시장협약(Compact of Mayors)과 유럽 시장서약(Covenant of Mayors)을 통합하여 설립된 국제적 협약이다. 이 협약은 도시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대비하며, 각 도시의 기후변화 위험도와 탄소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돕는다.[148]

2014년 유엔 총장 반기문과 전 뉴욕시장 겸 유엔 도시와 기후변화 특별사절(UN Special Envoy for Cities and Climate Change)인 마이클 블룸버그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C40,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미국 도시와 지역, 유엔 해비탯(UN Habitat)을 하나로 모아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있다.[148]

현재 6개 대륙, 144개 국가의 12,500여 개 도시와 지역 정부가 참여하여 총 10억 명의 인구를 대표하고 있다.[148]

참조

[1] 웹사이트 Climate change: the cities most at risk https://www.theweek.[...] 2021-09-02
[2] 간행물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in rapidly developing urban agglomerations 2019
[3] 뉴스 Climate change and cities: a prime source of problems, yet key to a soluti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11-11
[4] 웹사이트 Cities: a 'cause of and solution to' climate change https://news.un.org/[...] 2019-09-18
[5] 웹사이트 68% of the world population projected to live in urban areas by 2050, says UN {{!}} UN DESA {{!}}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ttps://www.un.org/d[...] 2021-10-07
[6] 간행물 What can city leaders do for climate change? Insights from the C40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network 2022-07-03
[7] 웹사이트 The World's Cities in 2018 https://population.u[...] 2018
[8] 보고서 Summary for Urban Policymakers – What the IPCC Special Report on 1.5C Means for Cities http://iihs.co.in/kn[...] 2020-11-11
[9] 웹사이트 With people crowding into urban areas, how can cities protect themselves against climate change? https://www.helsinki[...] 2019-05-14
[10] 간행물 Conflict in abundance and peacebuilding in scarci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conflict 2020-08
[11] 뉴스 Hunger stones, wrecks and bones: Europe's drought brings past to surface https://www.theguard[...] 2022-08-19
[12] 서적 The Future of Urban Consumption in a 1.5 C World https://www.c40.org/[...] C40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2020-11-11
[13] 간행물 A semi-parametric panel data analysis on the urbanization-carbon emissions nexus for OECD countries 2015-08-01
[14] 웹사이트 Bicycle Infrastructure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15] 웹사이트 Building Retrofitting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16] 웹사이트 District Heating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17] 웹사이트 Public Transit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18] 웹사이트 Walkable Cities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19] 웹사이트 Progress Chart — SDG Indicators https://unstats.un.o[...] 2023-08-16
[20] 간행물 What can city leaders do for climate change? Insights from the C40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network 2022-07-03
[21] 웹사이트 The World's Cities in 2018 https://population.u[...] 2018
[22] 웹사이트 Cities and nature https://www.iucn.org[...] 2024-04-25
[23] 간행물 Location matters: Population density and carbon emissions from residential building energy use in the United States 2016-12
[24] 문서 Innovative Urban Water Management as a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Results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Water Against Climate Change (WATACLIC)" Apple Academic Press 2016-06-22
[25] 서적 Climate Change in Cities: Innovations in Multi-Level Governance Springer Nature 2017-10-12
[26] 간행물 Carbon-neutral cities: Critical review of theory and practice 2022
[27] 간행물 Cities and Climate Change: The Precedents and Why They Matter 2013-04-19
[28] 간행물 CO₂ emissions and poverty alleviation in China: An empirical study based on municipal panel data https://linkinghub.e[...] 2021-05-08
[29] 서적 Climate change and cities: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Urban Climate Change Research Network https://uccrn.ei.col[...] 2020-11-13
[30] 서적 Climate Change and Cities: First Assessment Report of the Urban Climate Change Research Network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13
[31] 웹사이트 ARC3.3 Author Nominations https://uccrn.ei.col[...] Center for Climate Systems Research (CCSR) 2020-11-13
[32] 웹사이트 Third Assessment Report on Climate Change and Cities (ARC3.3) https://uccrn.ei.col[...] 2024-04-25
[33] 웹사이트 Cities are pledging to confront climate change, but are their actions working? https://www.brooking[...] 2020-10-22
[34] 서적 Cities and Low Carbon Transitions http://www.gbv.de/dm[...] 2022-10-22
[35] 간행물 Urban Living Labs: Toward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ir Key Components 2019
[36] 웹사이트 Urban Climate Innovation Laboratories http://lifeaftercarb[...] 2020-11-26
[37] 웹사이트 Urban Climate Lab https://urbanclimate[...] 2021-12-01
[38] 논문 Climate change and health in cities: impacts of heat and air pollution and potential co-benefits from mitigation and adaptation https://www.scienced[...] 2022-10-21
[39] 논문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urban environment https://www.scienced[...] Open Publishing 2022-10-21
[40] 논문 Climate Change and Cities: Challenges Ahead Open Publishing 2021-02-25
[41] 웹사이트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s://report.ipcc.[...] 2022-03-01
[42] 논문 Globalization,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2013-04-04
[43] 논문 A Framework for Urban Climate Resilience
[44] 문서 "Towards Next-Generation Urban Resilience in Planning Practice: From Securitization to Integrated Place Making."
[45] 논문 Insurance as maladaptation: Resilience and the 'business as usual' paradox https://e-space.mmu.[...] 2022-03-15
[46] 논문 Temporal trajectories of wet deposition across hydro-climatic regimes: Role of urbanization and regulations at U.S. and East Asia sites https://linkinghub.e[...] 2021-05-08
[47] 웹사이트 Faced with more deadly heat waves, US cities are taking an unprecedented step https://www.cnn.com/[...] 2023-01-06
[48] 뉴스 How 'chief heat officers' keep cities cool as the world warms https://www.reuters.[...] 2023-01-06
[49]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population.u[...] 2020-11-26
[50] 웹사이트 Africa 2063: How Cities Will Shape the Future of a Continent https://www.ispionli[...] 2020-11-25
[51] 웹사이트 Inspiring Climate Action in African Cities: Practical Options for Resilient Pathways. http://www.fractal.o[...] 2020-11-25
[52] 논문 African Cities and the Development Conundrum . Actors and Agency in the Urban Grey Zone http://journals.open[...] 2020-11-26
[53] 논문 Poverty and distributional effects of carbon pricing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 A global comparative analysis 2019-03
[54] 논문 Pathways for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in African cities 2020-07-02
[55] 논문 Ecosystem services potential for climate change resilience in peri-urban areas in Sub-Saharan Africa 2020-04-01
[56] 웹사이트 Why Peri-urban Ecosystem Services Matter for Urban Policy https://www.research[...] 2020-11-26
[57] 논문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n the Yangtze River Delta https://linkinghub.e[...] 2021-05-09
[58] 웹사이트 Floods Could Affect Twice as Many People Worldwide Within 15 Years https://login.politi[...] 2022-08-06
[59] 논문 Assessment of Cities'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nd Its Relationship with Urbanization in China 2022-01-15
[60] 논문 Planning sustainable urban landscape under the stress of climate change in the drylands of northern China: A scenario analysis based on LUSD-urban model https://linkinghub.e[...] 2021-05-08
[61] 웹사이트 Leveraging Urbanization in South Asia https://www.worldban[...] 2020-11-27
[62] 논문 Urbanisation and Urban Policies in South Asia https://www.research[...] 2020-11-27
[63] 논문 A global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scarcity 2013-08-17
[64] 논문 Where Do The Poor Live? 2012-05
[65] 논문 Scarcity Amidst Plenty: Lower Himalayan Cities Struggling for Water Security 2020-02
[66] 논문 Climates of urbanization: local experiences of water security, conflict and cooperation in peri-urban South-Asia 2019-07-22
[67] 웹사이트 EIB climate survey https://www.eib.org/[...] 2023-12-07
[68] 웹사이트 Brazil {{!}} UNDP Climate Change Adaptation https://www.adaptati[...] 2021-05-07
[69] 웹사이트 Urban Migration Intertwined with Warming Trend - UN Report https://login.politi[...] 2021-11-30
[70] 논문 Income Inequality and Urban Vulnerability to Flood Hazard in Brazil*: Income Inequality and Urban Vulnerability to Flood Hazard http://doi.wiley.com[...] 2017-03
[71] 웹사이트 World Bank Climate Change Knowledge Portal https://climateknowl[...] 2021-12-01
[72] 웹사이트 Climate Risk Profile: Brazil https://www.climatel[...] 2021-12-01
[73] 웹사이트 Amazon rainforest: deforestation area in Brazil 2020 https://www.statista[...] 2021-12-01
[74] 논문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on the Climate of the Las Vegas Metropolitan Area: A Numerical Study 2015-11
[75] 웹사이트 About Los Angeles County CAP https://planning.lac[...] 2022-10-22
[76] 논문 Solving the problems we face: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ustainability, and the challen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www.proquest[...] 2015
[77] 뉴스 Climate change and cities: a prime source of problems, yet key to a solution https://www.theguard[...] 2015-11-19
[78] 웹인용 Cities: a 'cause of and solution to' climate change https://news.un.org/[...] 2019-09-18
[79] 저널 인용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in rapidly developing urban agglomerations 2019
[80] 뉴스 "[홍기훈의 ESG 금융] 도시와 기후변화 (2) 도시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https://post.naver.c[...] 2023-03-02
[81] 웹인용 68% of the world population projected to live in urban areas by 2050, says UN {{!}} UN DESA {{!}}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ttps://www.un.org/d[...]
[82] 저널 인용 What can city leaders do for climate change? Insights from the C40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network 2022-07-03
[83] 웹인용 The World's Cities in 2018 https://population.u[...] 2018
[84] 웹인용 With people crowding into urban areas, how can cities protect themselves against climate change? https://www.helsinki[...] 2019-05-14
[85] 저널 인용 Conflict in abundance and peacebuilding in scarci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conflict 2020-08
[86] 뉴스 Hunger stones, wrecks and bones: Europe's drought brings past to surface https://www.theguard[...] 2022-08-19
[87] 저널 인용 Cross-sectoral impacts of the 2018–2019 Central European drought and climate resilience in the German part of the Elbe River basin https://link.springe[...] 2023-02-01
[88] 서적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s://www.ipcc.ch/[...] IPCC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8-09
[89] 저널 인용 A Probabilistic Approach for Characterization of Sub-Annual Socioeconomic Drought Intensity-Duration-Frequency (IDF) Relationships in a Changing Environment 2020-06
[90] 서적 The Future of Urban Consumption in a 1.5 C World https://www.c40.org/[...] C40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2019-06
[91] 저널 인용 A semi-parametric panel data analysis on the urbanization-carbon emissions nexus for OECD countries 2015-08-01
[92] 웹인용 Bicycle Infrastructure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93] 웹인용 Building Retrofitting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94] 웹인용 District Heating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95] 웹인용 Public Transit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96] 웹인용 Walkable Cities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0-02-06
[97] 웹인용 Progress Chart — SDG Indicators https://unstats.un.o[...] 2023-08-16
[98] 저널 인용 Summary for Urban Policymakers – What the IPCC Special Report on 1.5C Means for Cities https://iihs.co.in/k[...] Indian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8-12
[99] 저널 인용 What can city leaders do for climate change? Insights from the C40 Cities Climate Leadership Group network 2022-07-03
[100] 웹인용 The World's Cities in 2018 https://population.u[...] 2018
[101] 웹인용 Cities and nature https://www.iucn.org[...] 2024-04-25
[102] 저널 인용 Location matters: Population density and carbon emissions from residential building energy use in the United States 2016-12
[103] 서적 Climate Change in Cities: Innovations in Multi-Level Governance Springer Nature 2017-10-12
[104] 저널 인용 Carbon-neutral cities: Critical review of theory and practice 2022
[105] 저널 인용 Cities and Climate Change: The Precedents and Why They Matter 2013-04-19
[106] 서적 Climate change and cities: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Urban Climate Change Research Network https://uccrn.ei.col[...] 2020-11-13
[107] 서적 Climate Change and Cities: First Assessment Report of the Urban Climate Change Research Network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13
[108] 웹인용 ARC3.3 Author Nominations https://uccrn.ei.col[...] Center for Climate Systems Research (CCSR) 2020-11-13
[109] 웹인용 Third Assessment Report on Climate Change and Cities (ARC3.3) https://uccrn.ei.col[...] 2024-04-25
[110] 웹인용 Cities are pledging to confront climate change, but are their actions working? https://www.brooking[...] 2020-11-26
[111] 서적 Cities and Low Carbon Transitions http://www.gbv.de/dm[...] 2022-10-22
[112] 웹인용 Urban Climate Innovation Laboratories http://lifeaftercarb[...] 2020-11-26
[113] 웹인용 Urban Climate Lab https://urbanclimate[...] 2021-12-01
[114] 저널 Climate change and health in cities: impacts of heat and air pollution and potential co-benefits from mitigation and adaptation https://www.scienced[...] 2022-10-21
[115] 저널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urban environment https://www.scienced[...] Open Publishing 2022-10-21
[116] 저널 Climate Change and Cities: Challenges Ahead Open Publishing 2021-02-25
[117] 웹인용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s://report.ipcc.[...] 2022-03-01
[118] 저널 Globalization,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2013-04-04
[119] 저널 A Framework for Urban Climate Resilience
[120] 저널 회복력 중심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https://www.stepi.re[...]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20-06-01
[121] 저널 Temporal trajectories of wet deposition across hydro-climatic regimes: Role of urbanization and regulations at U.S. and East Asia sites https://linkinghub.e[...] 2021-05-08
[122] 웹인용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population.u[...] 2020-11-26
[123] 웹인용 Africa 2063: How Cities Will Shape the Future of a Continent https://www.ispionli[...] 2020-11-25
[124] 저널 African Cities and the Development Conundrum . Actors and Agency in the Urban Grey Zone http://journals.open[...] 2020-11-26
[125] 저널 Pathways for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in African cities 2020-07-02
[126] 웹인용 Inspiring Climate Action in African Cities: Practical Options for Resilient Pathways. http://www.fractal.o[...] 2020-11-25
[127] 저널 Ecosystem services potential for climate change resilience in peri-urban areas in Sub-Saharan Africa 2020-04-01
[128] 저널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n the Yangtze River Delta https://linkinghub.e[...] 2021-05-09
[129] 저널 Planning sustainable urban landscape under the stress of climate change in the drylands of northern China: A scenario analysis based on LUSD-urban model https://linkinghub.e[...] 2021-05-08
[130] 웹인용 Leveraging Urbanization in South Asia https://www.worldban[...] 2020-11-27
[131] 저널 Urbanisation and Urban Policies in South Asia https://www.research[...] 2020-11-27
[132] 저널 A global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scarcity 2013-08-17
[133] 저널 Climates of urbanization: local experiences of water security, conflict and cooperation in peri-urban South-Asia 2019-07-22
[134] 웹인용 EIB climate survey https://www.eib.org/[...] 2023-12-07
[135] 웹인용 Brazil {{!}} UNDP Climate Change Adaptation https://www.adaptati[...] 2021-05-07
[136] 웹인용 World Bank Climate Change Knowledge Portal https://climateknowl[...] 2021-12-01
[137] 웹인용 Climate Risk Profile: Brazil https://www.climatel[...] 2021-12-01
[138] 웹인용 Amazon rainforest: deforestation area in Brazil 2020 https://www.statista[...] 2021-12-01
[139] 저널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on the Climate of the Las Vegas Metropolitan Area: A Numerical Study 2015-11
[140] 웹인용 About Los Angeles County CAP https://planning.lac[...] 2022-10-22
[141] 웹인용 Climate Mayors https://climatemayor[...] 2024-05-06
[142] 웹인용 Who We Are https://climatemayor[...] 2024-05-06
[143] 웹인용 The C40 Co-Chairs https://www.c40.org/[...] 2024-05-06
[144] 웹인용 Steering Committee https://www.c40.org/[...] 2024-05-06
[145] 웹인용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 가입 및 활동 현황 https://news.seoul.g[...] 2024-05-06
[146] 웹인용 Networks https://www.c40.org/[...] 2024-05-06
[147] 웹인용 지속가능발전목표 https://www.undp.org[...] 2024-05-06
[148] 웹인용 Who We Are https://www.globalco[...] 2024-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