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길라드 추커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라드 추커만은 1971년 이스라엘에서 태어난 언어학자이다.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원을 거쳐 현재 애들레이드 대학교 언어학 및 위기 언어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언어 회생에 대한 연구, 특히 언어복고학 분야를 개척했으며, 현대 히브리어가 여러 언어의 혼성으로 이루어졌다는 주장을 펼쳤다. 또한 호주 원주민 언어 부활 운동에 참여하여 바른갈라어 복원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길라드 추커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추커만 (2011년)
원어 이름גלעד צוקרמן (히브리어)
로마자 표기Gil'ad Tsukerman
출생일1971년 6월 1일
출생지텔아비브, 이스라엘
국적이스라엘, 오스트레일리아, 이탈리아, 영국
학력
모교옥스퍼드 대학교 (D.Phil.)
케임브리지 대학교 (Ph.D.)
텔아비브 대학교 (M.A.)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 아드리아티코
경력
직장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상하이 자오퉁 대학
와이즈만 과학 연구소
싱가포르 국립 대학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미들버리 칼리지
상하이 국제 연구 대학
애들레이드 대학교
플린더스 대학교
라 트로브 대학교
화둥 사범 대학
연구 분야 및 관심사
분야언어학, 재활성화학
알려진 업적이스라엘 히브리어의 혼성 이론
위장 차용의 분류
음운 의미 결합
재활성화학
언어 회복과 정신 건강
수상 및 직책
수상오스트레일리아 유대교 연구 협회 회장 (2017년 이후)

2. 생애

wikitext

길라드 추커만(길래드 주커만/Ghil'ad Zuckermann영어)은 1971년 6월 1일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태어났다.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 (UWC) 오브 아드리아틱에서 공부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이스라엘 방위군에서 의무 복무를 마쳤다.

1993년부터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공부했으며, 1997년 아디 라우트만 뛰어난 학생들을 위한 학제간 프로그램에서 최우수 성적(summa cum laude)으로 석사 학위(MA)를 받았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스캐처드 유럽 학자이자 세인트 휴스 칼리지의 데니스 스키너 대학원 학자로 연구하여 2000년에 철학 박사(D.Phil) 학위를 받았다. 옥스퍼드 대학교 재학 중 유대인 학생 단체인 레차임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에서 칼루스트 굴벤키안 재단의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현대 및 중세 연구 학부, 언어학과에 소속되었다. 200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정식 Ph.D. (Cantab.) 학위를 받았다.

추커만 교수는 애보리지널 원주민 및 토레스 스트레이트 섬 원주민 연구 의 호주 협회(AIATSIS) 및 위험에 처한 언어들의 재단(FEL)의 선출된 구성원이다. 그는 AustraLex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회장이었으며, 호주 연구 위원회(ARC)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발견 특별회원(Discovery Fellow)이었고, 2000년부터 2004년까지 Churchill College Cambridge에서 Gulbenkian 조사 회원이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법원 소송에서 사전편집 (전집) 및 언어학 (법의학적) 부분의 고문 및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상하이 국제 연구 대학교에서 특출난 방문 교수였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 동중국 보통 대학교, 상하이 국제 연구 대학교, 히브리 예루살렘 대학교, 네게브의 벤 구리온 대학교 및 마이애미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그는 웨이즈만 과학 협회, 텔 아비브 대학교, 록펠러 재단의 연구 및 회의 센터, 빌라 설벨로니, 벨라지오 (이탈리아), 해리 랜섬 인문학 연구 센터, 오스틴에 위치한 텍사스 대학교, 히브리 예루살렘 대학교에 있는 고급연구를 위한 이스라엘 협회, 라 트로브 대학교에 있는 고급 연구를 위한 협회, 상하이 국제 연구 대학교에 있는 언하학 협회, 그리고 도쿄에 있는 일본어 및 일본어학을 위한 국가 협회의 코쿠리츠 코쿠고 켄큐죠에서 연구 특별 회원이다.

그는 세인트 휴의 옥스포트 대학교의 대니스 스키너 장학생, 옥스포트 대학교의 스캐쳐드 유럽 장학생, 그리고 이탈리아에 있는 아드리아 해의 연합된 세계 대학에서 장학생이다.

츠커만은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주, 애들레이드 대학교의 언어학 및 위기 언어학 담당 주임 교수이며, 동 대학 언어학 분야의 오스트레일리아 연구 위원회 디스커버리 펠로우이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아이비 리그에 비유되는 중점 대학 중 하나인 상하이 외국어 대학교의 "211강위" 특빙 교수(211공정의 고위 객원 교수) 및 상하이 고등학교 "동방 학자", 화둥 사범 대학교의 강위 특빙 교수(고위 객원 교수),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고등 연구소의 객원 전문 과학자를 역임했으며,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의 국제화 추진 본부의 상담역이기도 하다. 브릴(Brill) 사에서 출판하는 언어 접촉 학술지 Journal of Language Contact의 편집 위원이며, 옥스퍼드 영어 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의 컨설턴트이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길라드 추커만(길래드 주커만/Ghil'ad Zuckermann영어)은 1971년 6월 1일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태어났다.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 (UWC) 오브 아드리아틱에서 공부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이스라엘 방위군에서 의무 복무를 마쳤다.

1993년부터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공부했으며, 1997년 아디 라우트만 뛰어난 학생들을 위한 학제간 프로그램에서 최우수 성적(summa cum laude)으로 석사 학위(MA)를 받았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스캐처드 유럽 학자이자 세인트 휴스 칼리지의 데니스 스키너 대학원 학자로 연구하여 2000년에 철학 박사(D.Phil) 학위를 받았다. 옥스퍼드 대학교 재학 중 유대인 학생 단체인 레차임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에서 칼루스트 굴벤키안 재단의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현대 및 중세 연구 학부, 언어학과에 소속되었다. 200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정식 Ph.D. (Cantab.) 학위를 받았다.

2. 2. 학술 경력

길라드 추커만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 동중국 보통 대학교, 상하이 국제 연구 대학교, 히브리 예루살렘 대학교, 네게브의 벤 구리온 대학교, 마이애미 대학교 등 전 세계 유수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웨이즈만 과학 협회, 텔 아비브 대학교, 록펠러 재단의 연구 및 회의 센터, 빌라 설벨로니, 벨라지오 (이탈리아), 해리 랜섬 인문학 연구 센터, 오스틴에 위치한 텍사스 대학교, 히브리 예루살렘 대학교에 있는 고급연구를 위한 이스라엘 협회, 라 트로브 대학교에 있는 고급 연구를 위한 협회, 상하이 국제 연구 대학교에 있는 언어학 협회, 그리고 도쿄에 있는 일본어 및 일본어학을 위한 국가 협회의 코쿠리츠 코쿠고 켄큐죠에서 연구 특별 회원으로 활동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호주 연구 위원회(ARC) 디스커버리 펠로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 보건 및 의학 연구 위원회(NHMRC) 보조금 수혜자로 선정되어 원주민 언어 복원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 상하이 국제 연구 대학교에서 "211 공정" 저명 방문 교수 및 "상하이 동방 학자" 교수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2011년 2월부터 애들레이드 대학교 언어학 교수이자 멸종 위기 언어학과 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2017년 2월부터 호주 유대학 협회(AAJS) 회장,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호주-아시아 언어학회(AustraLex) 회장을 역임했다.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섬 주민 연구소(AIATSIS)와 멸종 위기 언어 재단의 선출된 회원이다.

저널 오브 랭귀지 콘택트(브릴 출판사)의 편집 위원, 국제 반유대주의 및 정책 연구소의 국제 학술 위원회 자문위원, 온라인 유대인 극장 박물관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3. 언어학에 대한 기여

추커만 교수는 전 세계를 통하여 언어 회생에 관한 새로운 연구이자 초 학문분야인 언어복고학의 설립자이다.[69][70] 언어복고학은 비교적이며 체계적으로 보편적인 한계들과 세계적인 짜임새를 연구하고,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언어의 재생 및 재활성화에서 두드러지는 문화적이고 상대적인 특질을 연구한다.

언어복고학은 언어 문서학을 보완하며, 특히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부활시키려는 시도(재건)뿐만 아니라 언어 전환을 되돌리려는 이니셔티브(부활 및 활성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5] 예를 들어 바른갈라어 재건[42], 아드냐마탄하어 부활, 아일랜드어 활성화 등이 언어복고학의 연구 대상이다.

주커만은 히브리어 부흥에서 얻은 통찰력을 호주 원주민 언어의 부활에 적용한다.[33][34][35] 유발 로템 주호주 이스라엘 대사에 따르면, 주커만의 "호주 원주민 언어와 문화의 재건, 유지 및 권한 부여에 대한 열정"은 2010년 9월 2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더보에 알리라 원주민 지식 IT 센터를 설립하는 데 '원동력'이 되었다".[36] 그는 "언어 살해"[37][38]가 "문화적 자율성 상실, 정신적, 지적 주권 상실,[39] 영혼 상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원주민 언어 권리와 언어 상실에 대한 보상을 제안한다.[40] 그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지칭하기 위해 ''잠자는 미녀''라는 용어를 사용하며,[18][41] 호주에 "330개의 원주민 언어, 대부분 잠자는 미녀를 해당 지역의 공식 언어로 정의"하고 이중 언어 표지판을 도입하여 국가의 언어 환경을 변화시키라고 촉구한다.

주커만의 연구는 언어 접촉, 어휘론, 부활론, 유대 언어, 언어, 문화,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1. 언어복고학

추커만 교수는 전 세계를 통하여 언어 회생에 관한 새로운 연구이자 초 학문분야인 언어복고학의 설립자이다.[69][70] 언어복고학은 비교적이며 체계적으로 보편적인 한계들과 세계적인 짜임새를 연구하고,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언어의 재생 및 재활성화에서 두드러지는 문화적이고 상대적인 특질을 연구한다.

언어복고학은 언어 문서학을 보완하며, 특히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부활시키려는 시도(재건)뿐만 아니라 언어 전환을 되돌리려는 이니셔티브(부활 및 활성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5] 예를 들어 바른갈라어 재건[42], 아드냐마탄하어 부활, 아일랜드어 활성화 등이 언어복고학의 연구 대상이다.

주커만은 히브리어 부흥에서 얻은 통찰력을 호주 원주민 언어의 부활에 적용한다.[33][34][35] 유발 로템 주호주 이스라엘 대사에 따르면, 주커만의 "호주 원주민 언어와 문화의 재건, 유지 및 권한 부여에 대한 열정"은 2010년 9월 2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더보에 알리라 원주민 지식 IT 센터를 설립하는 데 '원동력'이 되었다".[36] 그는 "언어 살해"[37][38]가 "문화적 자율성 상실, 정신적, 지적 주권 상실,[39] 영혼 상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원주민 언어 권리와 언어 상실에 대한 보상을 제안한다.[40] 그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지칭하기 위해 ''잠자는 미녀''라는 용어를 사용하며,[18][41] 호주에 "330개의 원주민 언어, 대부분 잠자는 미녀를 해당 지역의 공식 언어로 정의"하고 이중 언어 표지판을 도입하여 국가의 언어 환경을 변화시키라고 촉구한다.

주커만의 연구는 언어 접촉, 어휘론, 부활론, 유대 언어, 언어, 문화,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2. 현대 히브리어 연구: 혼종어 이론

추커만은 '이스라엘어'라고 부르는 현대 히브리어가 혼성 언어이며 유전적으로 인도유럽어족(게르만어파, 슬라브어파, 로망스어군)과 아프리카아시아어족(셈어파)의 언어라고 주장한다.[58] 그는 '이스라엘어'가 문어체 히브리어뿐만 아니라 이디시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 영어, 라디노어, 아랍어히브리어 부흥 운동가들이 사용한 다른 언어의 연속이라고 제안한다.[58]

그의 혼성적 합성은 전통적인 부활 가설(즉, '이스라엘어'가 히브리어라는 주장)과 재어휘화 반대 가설(즉, '이스라엘어'는 히브리어 단어를 사용한 이디시어라는 주장) 모두와 대조된다. 가설과 반대 가설 모두 단일 부모를 가지는 반면, 주커만의 합성은 다중 부모를 가진다.[43][59]

추커만에 따르면, "이스라엘어"는 히브리어, 이디시어 외에도 러시아어와 폴란드어 등의 여러 언어에서 동시적으로 파생된 셈어와 유럽어의 잡종이라고 한다. 추커만이 제시하는 '''다중 모어 교잡 모델'''(multi-parental hybridisation model)은 현대 이스라엘어는 고대 히브리어가 부활한 것이라는 전통적인 "부활설"의 시각과, 혹은 현대 이스라엘어는 이디시어의 어휘를 몇 개 고대 히브리어의 어휘로 전환한 것뿐이라는 "어휘 대체설"(relexification)의 입장과도 대립된다. 추커만의 다중 모어 교잡 모델에는 역사 언어학에서의 "계통도" 분석(family tree tool), 즉 "혈통" 분석을 상대화시키는 의의가 있다.

추커만은 현대 히브리어(Israeli Hebrew)를 이스라엘어(Israeli)라고 부르며, 계통학적으로는 인도유럽어(게르만어, 슬라브어, 로망스어 각 어군)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셈어) 양쪽에 기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설은 현대 히브리어는 문어로서의 히브리어를 계승할 뿐만 아니라, 히브리어 부흥자들이 사용했던 이디시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 영어, 라디노어(이베리아 반도의 스파라드 유대인이 사용하고 히브리 문자로 기록한 유대-스페인어), 아랍어 등의 언어 또한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추커만의 잡종 모델은 통일성의 원칙(congruence principle)과 창시자 원칙(founder principle)의 두 가지 원칙으로 구성된다.

'''통일성의 원칙'''에 따르면, 특정 언어학적 특징이 더 많은 기여 언어에서 나타날수록, 그것은 목표 언어에서도 더 명확하게 존속한다. 특징의 축적 통계에 기반하여 하나의 어휘가 동시에 다수의 어원을 가질 수 있음을 인정하는 "통일성의 원칙"은 역사 언어학의 계통 분석(family tree tool)과 대치된다. 통일성의 원칙은 어휘 대체(relexification) 모델, 예를 들어, 현대 히브리어는 어휘를 문어 히브리어 어휘로 대체한 이디시어에 불과하므로, 인도유럽어의 일종이라는, 문법을 그대로 둔 채 어휘를 다른 언어 어휘로 완전히 대체한 것이라는 시각에 이의를 제기한다.

'''창시자 원칙'''은 창시자의 인구가 신흥어 형성에 미친 영향의 크기를 중시한다. 따라서, "현대 이스라엘어의 생성기에 히브리어 부흥자와 이스라엘 땅의 최초 정착자 대다수의 모어가 이디시어였으므로, 이디시어는 현대 히브리어의 제1의 기여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추커만에 따르면, 히브리어 부흥자들은 히브리어를 셈어의 문법과 발음으로 말하기를 원했지만, 유럽에서 태어나 자란 아슈케나지 유대인에게 몸에 밴 습성을 없앨 수 없었고, 유럽에 기원을 둔 것을 거부하고, 유랑의 역사(diasporism)를 부정하고, 잡종성(이디시어에 반영되어 있음)을 기피하는 데 실패했다. "만약, 히브리어 부흥자가, 예를 들어 모로코 출신의 아랍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었다면, 현대 히브리어는 계통학적, 분류학적으로 보아 훨씬 지금보다 셈어적이며, 전혀 다른 언어가 되었을 것이다. 창시자가 현대 히브리어에 미친 영향은 그 이후 이민자들이 미친 영향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이 창시자 원칙은 현대 히브리어는 고대 히브리어가 부활한 것이므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셈어) 계열이라는 전통적인 부흥설에 이의를 제기한다.

추커만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부흥시킬 경우, 그것은 잡종이 될 수밖에 없다고 결론짓는다.

그의 다중 출처 신조어 형성(두 개 이상의 출처에서 동시에 파생된 단어의 조어)에 대한 분석은[60] 아이너 호겐의 고전적인 언어 유형론 차용어 유형론에 도전한다.[61] 호겐이 차용을 대치 또는 수입으로 분류하는 반면, 주커만은 위장된 차용의 형태로 "동시 대치 및 수입"의 사례를 탐구한다. 그는 음성 의미 일치와 같은 다중 출처 신조어에 대한 새로운 분류를 제안한다.

츠커만의 '''다원 신어 형성설'''(multi-sourced neologisation)은 아이나르 호겐(Einar Haugen)의 어휘 차용에 대한 고전적인 분류에 이의를 제기한다. 호겐은 차용어를 대용어와 수입어로 분류하지만, 츠커만은 의태·위장 차용(camouflaged borrowing) 형태의 "동시, 대용 수입"(simultaneous substitution and importation) 설을 주장한다. 이는 "다원 신어"(multi-sourced neologisms), 즉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어원에서 유래된 어휘를 분류한다. 다원 신어 형성의 예로는 음 맞춤(phonetic matching), 의미를 고려한 음 맞춤(semanticised phonetic matching), 음훈 맞춤(phono-semantic matching)이 있다. 음훈 맞춤은 직역(calaquing)과는 다르다. 직역은 단어를 의역하지만, 음 맞춤(phonetic matching) 또는 말장난, 즉 원어의 소리를 목표 언어의 형태소의 근사음을 차용하여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 히브리어에서의 언어 접촉과 어휘의 풍부화』(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는 현대 히브리어와 중국어, 일본어, 터키어, 아랍어, 에스토니아어, 이디시어 및 크리올 혼성어에서의 음훈 말장난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한 츠커만의 주요 저서이다.

표준 중국어메이지 시대 일본어에서 음성 의미 일치를 탐구한 주커만의 연구는 한자 문자 체계가 다기능적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즉, 플레렘("의미"가 가득함, 예: 표어 문자), 세네믹("의미"가 없음, 예: 음성 문자 - 음절 문자와 같음)이며 동시에 세네믹 및 플레렘(음성-표어 문자)이다. 그는 레너드 블룸필드의 "어떤 문자 체계를 사용하든 언어는 동일하다"[62]라는 주장이 부정확하다고 주장한다. "만약 중국어가 로마자를 사용하여 쓰여졌다면, 수천 개의 중국어 단어가 만들어지지 않았거나, 완전히 다른 형태로 만들어졌을 것이다."[60]

추커만은 베이징 관화와 메이지 시대 이후의 일본어에서 '''음훈 어울림'''(phono-semantic matching)의 사례를 탐구한 결과, 한자는 다기능적이라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는 소의적(cenemic = 의미가 疎, 즉 음묘사적 phonographic)이며, "밀의적"(pleremic = 의미가 밀, 즉 훈묘사적 logographic)이며, 동시에 소의적이면서 밀의적(즉, 음훈 묘사적)이라는 다기능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는 영국의 신사복을 표현하기 위해 "背広(세비로)"라는 두 개의 한자를 사용하여, 그 의미로 신사복을 입은 뒷모습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 훈독의 음 "세비로"로 런던의 신사복 재단사들이 늘어선 거리 "새빌 로우"(Saville Row)에 비유한 예, 또한 영어의 클럽(club)을 표현하기 위해 "倶楽部(구락부)"라는 세 개의 한자를 사용하여, 그 음을 표현하는 동시에 "함께 즐기는 방"이라는 의미도 표현한

3. 3.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부활 운동

추커만 교수는 언어 회생에 관한 새로운 연구이자 초 학문분야인 언어복고학의 설립자이다. 언어복고학은 비교적이며 체계적으로 보편적인 한계들과 세계적인 짜임새를 연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언어의 재생 및 재활성화에서 두드러지는 문화적이고 상대적인 특질을 연구한다.[69][70]

2011년 남호주 에어 반도의 방갈라 애보리지널 지역 공동체와 함께 방갈라 언어 재생 사업을 착수하였다. 2012년부터는 바른갈라 공동체와 협력하여 바른갈라어를 되살리는 작업을 시작했는데, 이는 1844년 선교사로 활동하며 바른갈라어 사전을 만든 독일 루터교 목사 클라모어 빌헬름 슈어만의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49] 이로 인해 연방 정부의 원주민 언어 지원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을 받아 매년 여러 차례 포트오거스타, 와이알라, 포트링컨에서 언어 부활 워크숍이 지속적으로 개최되었다.[18][50][51]

주커만은 바른갈라어 3부작을 공동 집필했다:[52] ''Barngarlidhi Manoo'' ("함께 바른갈라어 말하기": 바른갈라어 알파벳 및 그림책, 바른갈라 공동체와 함께, 2019); ''Mangiri Yarda'' ("건강한 나라": 바른갈라어 웰빙과 자연, 바른갈라 여성 에멀린 리차드와 함께, 2021); 그리고 ''Wardlada Mardinidhi'' ("부시 힐링": 바른갈라 식물 의약품, 바른갈라 여성 에블린 워커와 함께, 2023).[53][54]

버두나어를 포함한 다른 원주민 언어 부활에도 참여했으며,[55] 애들레이드 언어 축제의 창립자이자 주최자였다.[56][57]

그는 "언어 살해"[37][38]가 "문화적 자율성 상실, 정신적, 지적 주권 상실,[39] 영혼 상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원주민 언어 권리와 언어 상실에 대한 보상을 제안한다.[40] 그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지칭하기 위해 ''잠자는 미녀''라는 용어를 사용하며,[18][41] 호주에 "330개의 원주민 언어, 대부분 잠자는 미녀를 해당 지역의 공식 언어로 정의"하고 이중 언어 표지판을 도입하여 국가의 언어 환경을 변화시키라고 촉구한다. "예를 들어, 포트 링컨은 원래 바른갈라어 이름인 갈리냘라로도 불려야 한다."[42]

유발 로템 주호주 이스라엘 대사에 따르면, 주커만의 "호주 원주민 언어와 문화의 재건, 유지 및 권한 부여에 대한 열정은 [그에게] 영감을 주었고, 실제로 2010년 9월 2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더보에 알리라 원주민 지식 IT 센터를 설립하는 데 '원동력'이 되었다".[36]

4. 이름

사토 유키나가(佐藤幸永)는 길라드 추커만의 일본 이름이다. 중국 이름은 제갈만(諸葛漫)이다.

"추커만"은 현대 히브리어이므로 히브리 문자 차디 צ(차디/צhe) (키릴 문자의 체 Ц, 아랍 문자의 ص)의 소리를 중시한 가타카나 표기를 사용했지만, 영어에서는 Z(즈)로 발음하는 사람이 많다. 일본 이름의 유래는 원래 독일어로 추커만은 "설탕 장수" 정도의 의미이므로, 그 일부인 "설탕"(추커)의 "음"에 일본인의 성 중 하나인 "사토"(佐藤)를 결합한 말장난이다. "길라드"는 그 히브리어의 의미를 그대로 "유키나가"(幸永)로 한역하여 "유키나가"와 일본인스러운 이름으로 읽었다.

"제갈만"(諸葛漫)은 "추커만"의 음에 가까운 소리를 삼국지제갈량(諸葛亮) 공명(孔明)의 성 "제갈"(諸葛)과 로맨(로망)의 "만"(漫)의 베이징 관화의 병음에서 따와, 거기에 "로맨틱한 지혜자" 정도의 의미가 걸려있다.

5. 저서

ישראלית שפה יפהhe (이스라엘어 – 아름다운 언어한국어; 암 오베드, 2008),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영어 (팔그레이브 맥밀란, 2003), 이스라엘어 버전 Tingo영어 (Keren, 2011)의 세 개의 챕터, Engaging – A Guide to Interacting Respectfully and Reciprocally with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eople, and their Arts Practices and Intellectual Property영어 (2015), 그리고 최초의 방갈라 애보리지널 온라인 언어 사전 (2017)의 저자이다. 그는 Burning Issues in Afro-Asiatic Linguistics영어 (2012), Jewish Language Contact영어 (2014), 그리고 ‘언어 사회학의 국제 저널의 특별한 문제’ 의 편집자이며 Endangered Words, Signs of Revival영어 (2014)의 공동 편집자이다.

5. 1. 단독 저서

추커만은 리바이벌리스틱스: 이스라엘어의 기원에서 호주 및 그 외 지역의 언어 재건까지(Revivalistics: From the Genesis of Israeli to Language Reclamation in Australia and Beyond)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2020. ISBN 978-0-19-981279-0 / ISBN 978-0-19-981277-6)를 저술하였다. 언어 접촉과 이스라엘 히브리어의 어휘 풍부화(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com/br/book/9781403917232 팔그레이브 맥밀란], 2003. ISBN 978-1-4039-1723-2 / ISBN 9781403938695)를 저술하였다. 2008년에는 ''이스라엘어 사파 야파''(Israelit Safa Yafa, 암 오베드, ISBN 978-965-13-1963-1)를 출판하였다., 2021년에는 상하이의 화둥 사범 대학교 출판사에서 ''多源造词研究 (Multisourced Neologization)'' (ISBN 9787567598935)를 출판했다. ''Mangiri Yarda (Healthy Country: Barngarla Wellbeing and Nature)'' (Revivalistics Press, 2021)를 저술하였다.[71]

''Engaging – A Guide to Interacting Respectfully and Reciprocally with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eople, and their Arts Practices and Intellectual Property'' (2015)를 저술하였다. ''Dictionary of the Barngarla Aboriginal Language of Eyre Peninsula, South Australia'' (2018)를 저술하였다. ''Barngarlidhi Manoo (Speaking Barngarla Together)'' (Barngarla Language Advisory Committee, 2019)를 저술하였다. ''Jewish Language Contact''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226), 2014를 저술하였다. ''Burning Issues in Afro-Asiatic Linguistics'' , 2012를 저술하였다.

5. 2. 편집 및 공동 저서

추커만 교수는 획기적인 베스트셀러 ''Israelit Safa Yafa'' (이스라엘어 – 아름다운 언어; Am Oved, 2008),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Palgrave Macmillan, 2003), 이스라엘어 버전 ''Tingo''(Keren, 2011)의 세 개의 챕터, ''Mangiri – An introduction to the mutual respect and secure exchange between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peoples, and those who wish to engage with their arts and intellectual property'' (2015), 그리고 최초의 방갈라 애보리지널 온라인 언어 사전 (2017)을 저술했다. 그는 ''아프리카아시아 언어학의 주요 쟁점'' (2012), ''유대 언어 접촉'' (2014), 그리고 ‘언어 사회학의 국제 저널의 특별한 문제’ 의 편집자이며 ''위험에 처한 어휘, 표시의 회복'' (2014)의 공동 편집자이다.

추커만은 다음을 포함한 여러 출판물의 저자 및 공동 저자이다:

5. 3. 주요 논문

추커만 교수는 획기적인 베스트셀러 ''Israelit Safa Yafa'' (ישראלית שפה יפהhe, 이스라엘어 – 아름다운 언어; Am Oved, 2008),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Palgrave Macmillan, 2003), 이스라엘어 버전 ''Tingo'' (Keren, 2011)의 세 개의 챕터, ''Mangiri-Yu: Aboriginal மொழிகளும் Torres Strait Islander மொழிகளும்'' (2015), 첫번째 방갈라 애보리지널 온라인 언어 사전 (2017)의 저자이다. 그는 ''아프리카-아시아 언어학의 중대한 문제들'' (2012), ''유대 언어 접촉'' (2014), 그리고 ‘언어 사회학의 국제 저널의 특별한 문제’ 의 편집자이며 ''위험에 처한 어휘, 표시의 회복'' (2014)의 공동 편집자이다.

6. 출연 작품

스티븐 프라이가 진행하는 ''Fry's Planet Word''에 출연하여 히브리어 부활에 대해 인터뷰를 하였다.[63] BBC의 ''언어의 정치학''에서 스티븐 프라이와 언어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63] SBS의 ''Living Black: S18 Ep9 - Linguicide''에 출연하였다.[63] ''Babbel: 왜 죽은 언어를 부활시키는가?''에서 인터뷰를 하였다.[63] edX MOOC에서 ''Language Revival: Securing the Future of Endangered Languages'' 강의를 진행했다.[63] ''이스라엘 언어: 히브리어 부활인가, 이디시어 생존인가?''의 파트 1, 2, 3에 출연하였다.[63]

참조

[1] 뉴스 Hideous Spectre of Censorship https://www.timeshig[...] Times Higher Education 2003-08-15
[2] 간행물 Journal of Modern Jewish Studies https://www.tandfonl[...] 2004
[3] BBC Reawakening Language https://www.bbc.co.u[...] BBC 2016
[4] 웹사이트 University Staff Directory: Professor Ghil'ad Zuckermann, University of Adelaide http://www.adelaide.[...]
[5] 웹사이트 Professor Ghil‘ad Zuckermann, Academic Level E, College of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Flinders University https://www.flinders[...]
[6] 문서 Newsletter - February 2008 https://www.jcu.edu.[...] Research Centre for Linguistic Typology 2008
[7] ABC Etymythology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6-03-11
[8] 웹사이트 Sun Yat-sen University https://flsen.sysu.e[...] 2014-11-11
[9] BBC The man bringing dead languages back to life http://www.bbc.com/f[...] BBC Future 2019-03-22
[10] 웹사이트 edX https://www.edx.org/[...] Wingate Scholarships 2019-05-05
[11] 웹사이트 Rubinlicht Awards and Performance by Evgeny Kissin https://yiddish-cult[...] Preservation of Yiddish Culture and Heritage
[12] 뉴스 Linguist Ghil’ad Zuckermann and Leivik House volunteer Shoshana Kroitero win Rubinlicht Prize https://forward.com/[...] The Forward
[13] 뉴스 RESEARCH 2024: Australia’s living legends of research https://www.theaustr[...] The Australian
[14] 웹사이트 Gemona Five outstandingly successful stories https://www.uwcad.it[...] UWC of the Adriatic 2018
[15] 웹사이트 Zuckermann's D.Phil (Oxon.) and Ph.D. (Cantab.) https://www.flinders[...]
[16] 문서 St Hugh's College Chronicle https://www.st-hughs[...] 2015-2016
[17] 문서 St Hugh's College Chronicle https://www.st-hughs[...] 2016-2017
[18] The Monthly Dr Anna Goldsworthy on the Barngarla language reclamation http://www.themonthl[...] The Monthly 2014-09
[19] NITV/SBS News Could language revival cure diabetes? http://www.sbs.com.a[...] NITV/SBS News 2017-02-21
[20] 웹사이트 NHMRC Grants https://www.adelaide[...]
[21] 웹사이트 Grant awarded for research into the link between language revival and well-being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Professor Ghil'ad Zuckermann http://www.wingate.o[...] Wingate Scholarships 2019-05-05
[23] 간행물 The Weizmann International Magazine of Science and People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Journal of Language Contact: Evolution of Languages, Contact and Discourse https://brill.com/vi[...] Brill 2019-05-05
[25] 웹사이트 ISGAP https://isgap.org/ab[...]
[26] 웹사이트 Online Museum of Jewish Theatre (מוזיאון און-ליין של התיאטרון היהודי) https://www.jewish-t[...]
[27] 웹사이트 Federal Court of Australia https://www.judgment[...]
[28] 뉴스 Damning new evidence undermines BBC’s Oxford Street racist slur claim https://www.thejc.co[...] The Jewish Chronicle 2021-12-30
[29] 문서 Report of Prof G Zuckermann https://www.bod.org.[...] Board of Deputies of British Jews 2021-12-27
[30] The LINGUIST List Featured Linguist https://web.archive.[...] 2019-03-11
[31] 웹사이트 AAJS http://www.aajs.org.[...] 2020-11-26
[32] 웹사이트 Australasian Association of Lexicography (AustraLex) https://web.archive.[...]
[33] 뉴스 Aboriginal languages deserve revival http://www.theaustra[...] 2009-08-26
[34] 서적 Revivalistics: From the Genesis of Israeli to Language Reclamation in Australia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35] 논문 Stop, Revive, Survive: Lessons from the Hebrew Revival Applicable to the Reclamation, Maintenance and Empowerment of Aboriginal Languages and Cultures https://www.professo[...] 2020-05-04
[36] 웹사이트 Ambassador Yuval Rotem - Address for the opening of the Allira Aboriginal Knowledge IT Centre, Dubbo, NSW, Australia, September 2, 2010 https://web.archive.[...] 2016-08-24
[37] 뉴스 Stop, revive and survive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Higher Education 2012-06-06
[38] 뉴스 Aboriginal languages a source of strength https://www.greenlef[...] Green Left Weekly 2013-12-06
[39] 간행물 Submission to the Standing Committee on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Affairs https://www.uts.edu.[...] Jumbunna Indigenous House of Learning 2011-08
[40] 문서 Lingua Nullius: A Retrospect and Prospect about Australia's First Languages https://web.archive.[...] 2016-08-22
[41] 논문 A New Vision for "Israeli Hebrew":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nalysing Israel's Main Language as a Semi-Engineered Semito-European Hybrid Language http://www.zuckerman[...] 2006
[42] 뉴스 Indigenous meanings of Australian town names http://www.sbs.com.a[...] NITV 2016-08-10
[43] 서적 Planet Word Penguin 2011
[44] 서적 Words on Fire. The Unfinished Story of Yiddish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004
[45] 뉴스 Hebrew vs. Israeli http://forward.com/a[...] The Jewish Daily Forward 2014-09-19
[46] 논문 The Genesis of the Israeli Language: A Brief Response to 'Philologos' http://yiddish.haifa[...] 2020-05-04
[47] 뉴스 Starting from scratch: Aboriginal group reclaims lost languag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9-05-05
[48] 문서 FEDERAL COURT OF AUSTRALIA: Croft on behalf of the Barngarla Native Title Claim Group v State of South Australia http://www.judgments[...] 2015
[49] 웹사이트 Kindy kids learning Barngarla Indigenous language, spread joy as they talk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10-06
[50] 뉴스 The Dictionary I Read for Fu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3-03-02
[51] BBC Bringing dead languages back to life https://www.bbc.co.u[...] BBC
[52] 뉴스 Zuckermann continues to rebuild Barngarla https://www.australi[...] The Australian Jewish News 2023-08-09
[53] 웹사이트 Barngarla: Additional Resources https://wcclp.com.au[...]
[54] 웹사이트 Barngarla bush medicine book healing hearts and helping stolen children reconnect with country https://www.abc.net.[...] 2024-01-22
[55] 웹사이트 Inspired by Hebrew, scholar helps revive dying aboriginal Australian languages https://www.jns.org/[...] JNS
[56] 웹사이트 Adelaide Language Festival celebrates diversity https://www.adelaide[...] 2014-05-01
[57] 웹사이트 One-Day Festival Offers taste of 26 Languages https://www.adelaide[...] 2018-05-24
[58] 뉴스 Israeli Hebrew didn’t kill Yiddish. As a new exhibit in NYC shows, it gave it a new nest to live in. https://www.jta.org/[...] Jewish Telegraphic Agency 2023-09-06
[59] 서적 Complementation: A Cross-Linguistic Ty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8-19
[60]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003
[61] 논문 The Analysis of Linguistic Borrowing https://dergipark.or[...] 1950
[62] 서적 Language Henry Holt 1933
[63] 웹사이트 Dead Languages and the Man Trying to Revive Them https://www.babbel.c[...] 2018-02-21
[64] 웹사이트 キリストが話した言語めぐり異論、ローマ法王がイスラエル首相に https://jp.reuters.c[...] 2018-06-24
[65] 웹사이트 전주시, 제3회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온라인 시상식 개최 http://sisatotalnews[...]
[66] 뉴스 Voices of the land http://www.themonthl[...] The Monthly 2014-09
[67] 웹사이트 Meet Ghil'ad Zuckermann, master of 11 languages https://www.pedestri[...] Pedestrian TV
[68] 뉴스 Il Papa, Netanyahu e la lingua di Gesù http://ricerca.repub[...] La Repubblica 2014-05-28
[69] 뉴스 Ghil’ad’s Indigenous language game changer https://www.jewishne[...] AJN 2018-07-12
[70] 뉴스 Starting from scratch: Aboriginal group reclaims lost languag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8-06-29
[71] 뉴스 New language book on Eyre Peninsula helps to revive 'sleeping, dreaming beauty' Https://www.abc.net.[...] abc.net.au 2021-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