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별 최초의 우주발사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라별 최초의 우주 발사체는 각 국가가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인공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발사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가 자체 발사체를 통해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이스라엘,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등도 뒤이어 발사체 개발에 성공했다. 이 외에도 유럽 우주국, 영국, 인도,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도 자국 또는 타국 발사체를 이용하여 위성을 발사했다. 또한, 민간 기업 주도로 발사체를 개발하여 궤도에 진입시키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으며, 브라질 등 여러 국가가 우주 발사체 개발을 계획하거나 추진하고 있다. 반면, 독일, 영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은 과거 우주 발사체 개발을 시도했으나 중단하거나 포기한 사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초 목록 - 나라별 최초의 우주인
각 국가별 최초의 우주인 기록은 우주 개발의 역사를 보여주며, 소련의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 비행에 성공했고, 미국, 중국, 한국 순으로 자국 기술로 우주인을 우주로 보냈으며, 여성 우주인으로는 발렌티나 테레시코바가 최초로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 나라별 목록 - 저작권 보호 기간
저작권 보호 기간은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기간으로, 국가별 법률과 국제 조약에 따라 다르게 규정되며, 베른 협약은 저작자 생존 기간과 사후 최소 50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 나라별 목록 - 선거일
선거일은 국가 또는 지역에서 투표율을 높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보장하기 위해 결정되는 선거 실시 날짜를 의미하며, 국가별로 요일, 공휴일 지정 여부 등이 다르고 선거 종류에 따라 날짜가 달라질 수 있다. - 우주발사체 - 팰컨 1
스페이스X에서 개발한 팰컨 1은 민간 자금으로 개발된 액체 추진 방식의 소형 궤도 발사체로,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세계 최초로 민간 액체 추진 로켓으로서 궤도 진입과 상업 위성 발사에 성공했으나, 사업성 부족으로 운용이 중단되었다. - 우주발사체 - 델타 IV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델타 로켓 계열의 발사체로, 액체 수소 연료와 RS-68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운용되다가 높은 비용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벌컨 켄타우루스가 이를 대체할 예정이다.
나라별 최초의 우주발사체 |
---|
2. 나라별 최초 인공위성 발사체
다음은 각 국가 및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로켓을 사용하여 최초로 인공위성을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사례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순서 | 나라 | 위성 | 로켓 | 발사 위치 | 날짜 (UTC) |
---|---|---|---|---|---|
1 | 소비에트 연방 | 스푸트니크 1호 | R-7 |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 1957년 10월 4일 |
2 | 미국 | 익스플로러 1호 | 주노 I |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 1958년 2월 1일 |
3 | 프랑스 | 아스테릭스 | 디아망 | 알제리 함마귀르 | 1965년 11월 26일 |
4 | 일본 | 오스미 | 람다 4S | 우치노우라 우주 센터 | 1970년 2월 11일 |
5 | 중화인민공화국 | 동팡홍 1호 | 창정 1호 | 주취안 위성발사센터 | 1970년 4월 24일 |
6 | 영국 | 프로스페로 | 블랙 어로 | 오스트레일리아 우메라 시험장 | 1971년 10월 28일 |
— | 유럽 우주국 | CAT-1 | 아리안 1 | 프랑스령 기아나 기아나 우주 센터 | 1979년 12월 24일 |
7 | 인도 | 로히니 D1 | SLV |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 | 1980년 7월 18일 |
8 | 이스라엘 | 오페크 1 | 샤빗 | 팔마힘 공군기지 | 1988년 9월 19일 |
— | 우크라이나 | 스트렐라 3호 (x6, 러시아) | 치클론-3 |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1991년 9월 28일 |
— | 러시아 | 코스모스 2175호 | 소유스-U |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 1992년 1월 21일 |
9 | 이란 | 오미드 | 사피르-1A | 이란 셈난 | 2009년 2월 2일 |
1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명성 3호 2호기 | 은하 3호 | 서해 위성 발사장 | 2012년 12월 12일 |
11 | 대한민국 | 위성모사체, 큐브위성(4개) | 누리호 | 나로우주센터 | 2022년 6월 21일 |
이탈리아와 같이 자체적으로 궤도 로켓을 개발하지 않은 국가는 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즉, 해당 국가에서 전체적으로 설계 및 제작된 궤도 로켓이 없는 경우이다.
2. 1. 정부 주도 발사
각국 정부가 주도하여 개발한 로켓을 이용해 인공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사례는 다음과 같다.- 소련은 1957년 10월 4일 스푸트니크 1호를 스푸트니크-PS 로켓을 이용하여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하여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다.[4]
- 미국은 1958년 2월 1일 익스플로러 1호를 주노 I 로켓을 이용하여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발사했다.[4]
- 프랑스는 1965년 11월 26일 아스테릭스를 디아망 로켓을 이용하여 알제리 함마귀르에서 발사했다.[4]
- 일본은 1970년 2월 11일 오스미를 람다 4S 로켓을 이용하여 우치노우라 우주 센터에서 발사했다.[4]
- 중화인민공화국은 1970년 4월 24일 동팡홍 1호를 창정 1호 로켓을 이용하여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했다.[4]
- 영국은 1971년 10월 28일 프로스페로를 블랙 어로 로켓을 이용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우메라 시험장에서 발사했다.[4]
- 유럽 우주국은 1979년 12월 24일 CAT-1을 아리안 1 로켓을 이용하여 프랑스령 기아나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했다.[4]
- 인도는 1980년 7월 18일 로히니 D1을 SLV 로켓을 이용하여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에서 발사했다.[4]
- 이스라엘은 1988년 9월 19일 오페크 1을 샤빗 로켓을 이용하여 팔마힘 공군기지에서 발사했다.[4]
- 우크라이나는 1991년 9월 28일 스트렐라 3호 (x6, 러시아)를 치클론-3 로켓을 이용하여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발사했다.[4]
- 러시아는 1992년 1월 21일 코스모스 2175호를 소유스-U 로켓을 이용하여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발사했다.[4]
- 이란은 2009년 2월 2일 오미드를 사피르-1A 로켓을 이용하여 셈난에서 발사했다.[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2년 12월 12일 광명성 3호 2호기를 은하 3호 로켓을 이용하여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발사했다.[13]
- 대한민국은 2022년 6월 21일 위성모사체, 큐브위성(4개)을 누리호 로켓을 이용하여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했다.[4]
브라질은 아직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으며, 우주 프로그램에서 3번의 발사 실패를 겪었다. 특히 2003년 8월 22일 알칸타라 발사 센터에서 VLS-1 로켓이 폭발하면서 2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5]
2. 1. 1. 발사 성공 목록
순서 | 나라 | 위성 | 로켓 | 발사 장소 | 날짜 (UTC) |
---|---|---|---|---|---|
1 | 소련 | 스푸트니크 1호 | 스푸트니크-PS |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소련 (현재 카자흐스탄) | 1957년 10월 4일 |
2 | 미국 | 익스플로러 1호 | 주노 I |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미국 | 1958년 2월 1일 |
3 | 프랑스 | 아스테릭스 | 디아망 | 함마귀르, 알제리 | 1965년 11월 26일 |
4 | 일본 | 오스미 | 람다 4S | 우치노우라 우주 센터, 일본 | 1970년 2월 11일 |
5 | 중화인민공화국 | 동팡홍 1호 | 창정 1호 | 주취안 위성발사센터, 중화인민공화국 | 1970년 4월 24일 |
6 | 영국 | 프로스페로 | 블랙 어로 | 우메라 시험장, 오스트레일리아 | 1971년 10월 28일 |
— | 유럽 우주국 | CAT-1 | 아리안 1 | 기아나 우주 센터, 프랑스령 기아나 | 1979년 12월 24일 |
7 | 인도 | 로히니 D1 | SLV |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 인도 | 1980년 7월 18일 |
8 | 이스라엘 | 오페크 1 | 샤빗 | 팔마힘 공군기지, 이스라엘 | 1988년 9월 19일 |
— | 우크라이나 | 스트렐라 3호 (x6, 러시아) | 치클론-3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러시아 | 1991년 9월 28일 |
— | 러시아 | 코스모스 2175호 | 소유스-U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러시아 | 1992년 1월 21일 |
9 | 이란 | 오미드 | 사피르-1A | 셈난, 이란 | 2009년 2월 2일 |
1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명성 3호 2호기 | 은하 3호 | 서해 위성 발사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2년 12월 12일[13] |
11 | 대한민국 | 위성모사체, 큐브위성(4개) | 누리호 | 나로우주센터, 대한민국 | 2022년 6월 21일 |
2. 1. 2. 발사 실패 사례
브라질은 독자적으로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적이 없으며, 우주 프로그램에서 3번의 발사 실패를 겪었다.[15] 2003년 8월 22일 알칸타라 발사 센터에서 VLS-1 로켓이 폭발한 사고로, 21명이 사망했다.[15]2. 2. 민간 주도 발사
오비탈 사이언시스(미국)는 1990년 4월 5일 민간이 개발한 페가수스 로켓을 궤도에 진입시킨 최초의 기업이다.[19][86] 이후 미노타우르 로켓 시리즈를 개발했다. 2013년 9월 28일에는 자사의 안타레스 로켓을 사용하여 시그너스 Orb-D1 미션을 발사, 국제 우주 정거장에 물품을 공급하는 두 개의 민간 기업 중 하나가 되었다. 다른 하나는 스페이스X이다.[20]스페이스X(미국)는 정부가 아닌 민간 자금으로 개발된 로켓을 사용하여 궤도에 로켓을 발사한 두 번째 기업이다.[21] 2008년 9월 28일 마셜 제도 오멜렉 섬에서 팰컨 1 로켓을 통해 최초로 성공적인 발사를 했고, 2010년 6월 4일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팰컨 9 Flight 1 로켓을 통해 미국 우주 기지에서의 첫 발사를 했다. 2012년 10월 11일에는 자사의 드래곤 우주선이 국제 우주 정거장에 도킹하여 보급품을 전달했다. 2020년 5월 30일 드래곤 2를 발사하면서, 스페이스X는 사람을 궤도로 발사한 최초의 기업이 되었다.[87]
로켓 랩(Rocket Lab)은 2018년 1월 21일,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 단지에서 자사의 일렉트론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세 개의 큐브위성을 저궤도에 투입했다. 이는 민간 소유 및 운영 우주 기지에서 발사 후 로켓이 궤도에 진입한 첫 번째 사례였다.
i-Space는 2019년 7월 25일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에서 자사의 하이퍼볼라-1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CAS-7B 아마추어 무선 위성을 포함한 여러 개의 소형 탑재체를 지구 궤도에 올렸다.[22]
갤럭시 에너지(Galactic Energy)는 2020년 11월 7일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에서 자사의 세레스-1 고체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태양 동기 궤도에 진입시켰으며, 이는 위성을 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 두 번째 중국 민간 기업이 되었다.[23]
버진 오빗(Virgin Orbit)은 2021년 1월 17일 자사의 런처원 발사체를 사용하여 NASA를 위해 10개의 큐브위성을 저궤도에 배치함으로써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24] 그러나 2023년 발사 실패 이후 이 회사는 파산 신청을 했다.[25]
아스트라 로켓(Astra Rocket) 3.3 발사체는 2021년 11월 20일 알래스카 태평양 우주 기지 복합 단지 (PSCA)에서 발사된 후 미국 우주군을 위한 시연 탑재체 STP-27AD2를 탑재하고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26]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는 2022년 10월 1일 파이어플라이 알파 로켓을 발사했으나, 예상 궤도보다 낮은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27]
스페이스 파이어니어(Space Pioneer)는 2023년 4월 2일 최초의 로켓인 톈룽-2를 궤도에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이는 액체 로켓으로 이 목표를 달성한 최초의 중국 기업이었다.[28][29]
랜드스페이스(LandSpace)는 2023년 7월 12일 궤도에 진입한 세계 최초의 메탄 연료 로켓인 주췌-2를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궤도 발사 능력을 갖춘 민간 기업이 되었다.[30]
오리엔스페이스(Orienspace)는 2024년 1월 11일 그래비티-1의 성공적인 첫 발사 이후 궤도에 진입한 다섯 번째 중국 민간 기업이 되었다.[31]
2. 3. 자체 개발이 아닌 로켓을 이용한 궤도 진입
국가 | 날짜 | 해설 |
---|---|---|
1965년 11월 26일 | 아마기르에서 프랑스의 디아망 A 로켓으로 아스테릭스 위성을 발사하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1967년 2월 15일 아마기르에서 마지막 궤도 발사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발사 계획은 없다.[58] | |
1967년 4월 26일 | 케냐 앞바다의 이탈리아 소유 산 마르코 플랫폼에서 미국의 스카우트 B 로켓으로 San Marco 2|산 마르코 2호영어 위성을 발사하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1988년 3월 25일 산 마르코 플랫폼에서 마지막 발사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발사 계획은 없다.[59] | |
1967년 11월 29일 | 우메라 시험장에서 미국의 스파르타 로켓으로 호주 최초의 위성 WRESAT를 발사하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60] 1971년 10월 28일, 영국의 블랙 애로우 로켓으로 프로스페로 위성을 발사하여 궤도 진입에 성공했으며, 이는 영국 최초의 자체 로켓에 의한 위성 발사였다. 이후 호주에서의 발사는 없다. | |
1992년 1월 21일 | 독립 후 최초 궤도 진입은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러시아의 소유즈-U2 로켓으로 프로그레스 M-11 보급선을 발사하여 성공한 것이다.[62] 바이코누르는 현재도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 |
1997년 4월 | 그란 카나리아 공항에서 이륙한 미국 기업 오비탈 사이언시스사의 스타게이저 항공기에서 페가수스 로켓으로 소형 위성을 발사했다. | |
2000년 10월 | 콰잘린 환초에서 이륙한 미국 기업 오비탈 사이언시스사의 스타게이저 항공기에서 페가수스-H 로켓으로 HETE-2 위성을 발사하여 성공했다. 이후, 미국 기업 스페이스X사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팰컨 1 로켓 발사를 5회 실시하여, 2008년 9월 28일 첫 성공을 거두었다.[63]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페가수스-XL 로켓 발사가 이루어졌다. 현재는 발사 예정이 없다. | |
2013년 1월 30일 | 나로우주센터에서 KSLV-I 3호기로 STSAT-2C를 발사하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64] 나로 1호는 러시아가 제조 개발한 개량형 로켓을 1단으로, 한국이 개발한 2단과 페어링을 사용했다. 발사는 한국과 러시아 기술자들이 함께 수행했으며, 조립은 한국에서 이루어졌다.[65] |
3. 예정된 프로젝트
국가 내용 루마니아 군사 및 안보 위성 발사 계획을 세웠으며, 1단계는 2022년에 시작되었다.[43] 민간 기업 ARCA Space는 하르스, 스타비오, 오리존트 등 많은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루마니아 정부 및 유럽 우주국과의 계약 하에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흑해 해군 기지에서 발사를 예정하고 있으며,[66] 2015년 7월 13일 이후에는 미국뉴멕시코 주라스 크루세스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67] 브라질 2018년에 알칸타라 발사 기지에서 독자적인 VLS-1 발사를 공표했다.[68][69] VLM 개발도 추진하고 있으며, 실제 위성 궤도 투입은 2023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알칸타라 발사 기지에서 치클론4 발사에 합의했다.[70] 2025년 알칸타라 발사 센터에서 VLM 로켓 발사를 발표했다.[42] 우크라이나 소련 설계의 치클론, 제니트, 드니프로, Mayak를 제조하여[71] 러시아 정부 및 기타 조직에 발사 장비를 제공하고 있다.[72] 우크라이나 국내에서의 궤도 투입 시도는 존재하지 않지만, 국내에서만 가능하다면 잠재적으로 궤도 투입 능력을 가진 국가가 된다. 국내 발사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자국에서의 발사 능력 확보를 계획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현재 토르나도르 II를 개발하고 있다.[74] 중화민국 (대만) 2000년대 후반부터 독자적인 발사체를 개발하여[75] 2018년까지 초비행을 실현할 계획이었으나,[76] 2022년 현재까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튀르키예 (터키) 국산 발사체 개발 계획을 공표하고 있다.[77] 2024년부터 일부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우주 연구소의 AUSROC 계획에 기반한 발사체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ATSpace는 Kestrel이라는 궤도 발사체를 개발했으며, 2022년 웨일러스 웨이에서 발사될 예정이다.[41] 길모어 우주 기술은 2023년에 발사될 예정인 에리스라는 궤도 발사체를 개발했다. 카자흐스탄 소련의 MiG-31을 기초로 한 공중 발사 로켓 계획 "이심"의 러시아와 공동 개발 계획이 있다. 파키스탄 최근 가우리 및 샤힌-II의 2종의 군사 탄도 로켓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독자적인 발사체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리 기업 말콤 에어로노틱스 & 스페이스[81]가 발사체 분야에서 사업을 하고 있으며, 정부가 자금을 제공하는 5년 안에 설계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82][83] 알제리 군사 및 안보 위성을 발사할 계획을 세웠으며, 1단계는 2024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영국 Orbex는 프라임 발사체를 개발했으며, 첫 발사는 서덜랜드 우주 기지에서 2023년에 계획되었다. 미국 블루 오리진은 뉴 글렌 발사체를 개발했으며, 첫 발사는 2024년 중으로 계획되었다. 스페인 민간 기업인 PLD Space는 미우라 5 궤도 발사체를 개발했으며, 첫 발사는 2024년에 계획되었다. 필리핀 민간 기업 OrbitX는 바이오 연료로 구동되는 발사체인 Haribon을 개발할 계획이다.[44][45] 말레이시아 민간 기업인 인디펜던스-X 에어로스페이스는 2023년에 발사될 예정인 DNLV라는 궤도 발사체를 개발했다.[46] 태국 타이 우주 컨소시엄은 2023년에 발사될 TSC-Pathfinder라는 위성을 개발했다. 폴란드 항공 연구소는 ILR-33 Bursztyn (ILR-33 앰버)라는 로켓을 개발했다. 멕시코 2024년 중으로 일부 위성을 발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민간 공동 사업체 MXSPACE[84]가 멕시코에 독자적인 발사 시스템 구축을 노리는 "수직 통합형 우주 이니셔티브"를 개발하고 있다. MXSPACE는 멕시코 우주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활동하고 있다.[85] 일본 2023년부터 여러 로켓을 발사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2023년 초 브라질의 우주 센터에서 로켓을 발사했다. 칠레 2024년 또는 그 이후에 일부 위성을 발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4. 포기된 프로젝트
5. 위성 운용
멕시코, 폴란드, 칠레, 일본, 인도 등 여러 국가들이 자국 위성을 다른 나라의 로켓을 이용하여 발사했다. 최초의 사례는 1962년 4월 미국 로켓으로 발사된 아리엘 1호이며, 이는 미국에서 제작하고 영국이 소유 및 운용하였다. 1962년 9월에는 알루에트 1호가 미국 로켓으로 발사되었는데, 아리엘 1호와 달리 캐나다에서 설계 및 제조하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Zenit successfully launches on likely swansong with Elektro-L - NASASpaceFlight.com
https://www.nasaspac[...]
2015-12-11
[2]
웹사이트
Dnipro will not let Ukraine's space glory be forgotten
http://euromaidanpre[...]
2017-01-10
[3]
웹사이트
Italy in Space
https://www.esa.int/[...]
ESA
2022-11-18
[4]
문서
The eleven countries and successor states/union indicated in '''bold''' retain orbital launch capability.
[5]
웹사이트
Russian money to drive Sea Launch relaunch
http://www.flightglo[...]
Flightglobal.com
2010-08-06
[6]
웹사이트
CONVEN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European Space Agency
http://www.esa.int/e[...]
2012-01-28
[7]
웹사이트
Conven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European Space Agency
http://esamultimedia[...]
ESA
2003
[8]
문서
The United Kingdom only self-launched a single satellite (in 1971) and that from a commonwealth ([[Australia]]n) spaceport. Later it joined the [[European Space Agency]].
[9]
문서
The [[European Space Agency]] developed the [[Ariane (rocket family)|Ariane]] rocket family (the second European launcher program after the failed [[Europa (rocket)|Europa rocket program]] under [[European Launcher Development Organisation|ELDO]]) operating from its [[Guiana Space Centre]] spaceport (first successful launch on 24 December 1979 when [[Ariane 1]] launcher placed the technological capsule CAT-1 on orbit). ESA signatories at the time of first launch were [[Belgium]], [[Denmark]], [[France]], [[Germany]], [[Italy]], [[Republic of Ireland|Ireland]], the [[Netherlands]], [[Spain]], [[Sweden]], [[Switzerland]], and the [[United Kingdom]]. Private/public companies and/or governments of these countries (with the exception of [[Republic of Ireland|Ireland]] and the [[United Kingdom]]) became shareholders in the commercial company [[Arianespace]] dealing with production, operation, and marketing. Later [[Norway]] became an ESA member and Arianespace shareholder. Additional subsequent ESA member states are [[Austria]], [[Czech Republic|Czechia]], [[Estonia]], [[Finland]], [[Greece]], [[Hungary]], [[Luxembourg]], [[Poland]], [[Portugal]], and [[Romania]].
[10]
웹사이트
"N° 2994 - Rapport de M. Robert Lecou sur le projet de loi autorisant l'approbation de l'accord-cadre entre le Gouvernement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et le Gouvernement de la République de l'Inde relatif à la coopération dans le domaine de l'utilisation de l'espace extra-atmosphérique à des fins pacifiques (n°2709)"
http://www.assemblee[...]
[11]
문서
Ukraine provided its own space launcher to Russia and did not use its own space launcher to put satellites in orbit (first Ukrainian satellite is [[Sich-1]], launched on August 31, 1995 by Ukrainian [[Tsyklon-3]] from [[Plesetsk Cosmodrome]] in Russia).
[12]
문서
Although it has signed the [[Outer Space Treaty]], Iran is the only space launch capable nation that has not ratified the treaty.
[13]
뉴스
North Korea fires long-range rocket: reports
http://www.smh.com.a[...]
2009-04-05
[14]
뉴스
North Korea space launch 'fails'
http://news.bbc.co.u[...]
2009-04-05
[15]
뉴스
At Least 21 Killed, 20 Hurt in Brazil Rocket Explosion
https://www.newspape[...]
2003-08-23
[16]
웹사이트
Woomera, Encyclopedia Astronautica
http://www.astronaut[...]
[17]
웹사이트
Bayterek system launch shifted to 2017
http://en.tengrinews[...]
2011-04-14
[18]
웹사이트
SpaceX Launch manifest
http://www.spacex.co[...]
[19]
웹사이트
Pegasus Mission History
http://www.orbital.c[...]
Orbital.com
[20]
웹사이트
Cygnus Cargo Ship Captured by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www.cbsnews.c[...]
CBS News
2013-09-23
[21]
웹사이트
Sweet success at last for Falcon 1 rocket by STEPHEN CLARK, SPACEFLIGHT NOW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now.com
[22]
웹사이트
iSpace completes China's first private commercial satellite launch
https://www.zdnet.co[...]
ZDNet
[23]
웹사이트
New Chinese commercial rocket firms move toward maiden launches
https://spacenews.co[...]
2019-10-01
[24]
뉴스
Virgin Orbit rocket reaches Earth orbit, adding an entrant to the commercial space race
https://www.washingt[...]
2021-01-17
[25]
웹사이트
Virgin Orbit files for bankruptcy
https://spacenews.co[...]
2023-04-04
[26]
웹사이트
Astra stock surges after the rocket builder reaches orbit successfully
https://www.cnbc.com[...]
2021-11-22
[27]
웹사이트
Firefly looking ahead after “To The Black” payloads reenter early
https://www.nasaspac[...]
2022-10-17
[28]
웹사이트
热烈庆祝天龙二号首飞成功 开创我国商业航天新纪元
https://mp.weixin.qq[...]
2023-04-02
[29]
웹사이트
China’s Space Pioneer reaches orbit with liquid propellant rocket
https://spacenews.co[...]
2023-04-03
[30]
웹사이트
China’s Landspace reaches orbit with methane-powered Zhuque-2 rocket
https://spacenews.co[...]
2023-07-12
[31]
웹사이트
Orienspace breaks Chinese commercial launch records with Gravity-1 solid rocket
https://spacenews.co[...]
2023-01-11
[32]
문서
UNMOVIC report
http://www.thespacer[...]
[33]
웹사이트
Deception Activities
https://fas.org/nuke[...]
[34]
웹사이트
Al-Abid LV
http://www.b14643.de[...]
[35]
웹사이트
ORBIT LSA
http://www.b14643.de[...]
[36]
웹사이트
Argentina Missile Chronology
http://www.nti.org/m[...]
2017-08-09
[37]
웹사이트
Problemas de "Governança" e Gestão Explicam em Parte Extinção do VLS-1
https://brazilianspa[...]
[38]
웹사이트
Egypt Missile Chronology
http://www.nti.org/m[...]
2017-08-09
[39]
웹사이트
Capricornio
http://www.b14643.de[...]
2017-08-09
[40]
웹사이트
Argentina Aspires to Have its Own Pitcher in Four Years
http://www.infoespac[...]
2021-04-28
[41]
웹사이트
As 2021 draws to a close it's great to start looking to 2022 and the next steps we're taking to realise a resilient space launch capability in Australia!
https://www.facebook[...]
2022-01-01
[42]
웹사이트
Launch remains distant
https://revistapesqu[...]
2022-01-01
[43]
웹사이트
România vrea să lanseze sateliți de telecomunicații geostaționari în spațiu pentru Armată și alte structuri de securitate. Când ar putea fi lansat primul satelit
https://www.hotnews.[...]
2018-11-22
[44]
뉴스
Filipino dreams of developing space vehicle for countrymen
https://gulfnews.com[...]
2020-11-06
[45]
뉴스
Algae as spacecraft fuel? Possible, youth group says
https://businessmirr[...]
2020-11-06
[46]
웹사이트
Launch Services - Independence X
http://www.independe[...]
IDXA
2022-08-16
[47]
문서
現在も打ち上げ能力を保有する国家・組織は'''太字'''で示している
[48]
웹사이트
Russian money to drive Sea Launch relaunch
http://www.flightglo[...]
Flightglobal.com
2010-08-06
[49]
문서
衛星打ち上げ能力を持つ民間企業も保有する
[50]
문서
ESA Convention
https://web.archive.[...]
[51]
웹사이트
Conven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European Space Agency
http://esamultimedia[...]
ESA
2003
[52]
문서
イギリスは単一の衛星を[[イギリス連邦|コモンウェルズ]]参加国の[[オーストラリア]]から独自で打ち上げた。
[53]
문서
欧州統合ロケットとしては[[欧州ロケット開発機構|ELDO]]の下開発し、成就しなかった[[ヨーロッパ (ロケット)|ヨーロッパロケット]]に次ぐ2例目
[54]
문서
初のウクライナの衛星は1995年8月31日の[[シーチ1号]]であり、ロシアのプレセツク宇宙基地からウクライナのツィクロン-3ロケットで打ち上げられた
[55]
문서
イランは[[宇宙条約]]署名国であるが、条約を批准していない中、打ち上げ能力を持つ唯一の国である。
[56]
뉴스
Jornal do Estado long-range rocket: reports
https://jornaldoesta[...]
2011-11-22
[57]
뉴스
North Korea space launch 'fails'
http://news.bbc.co.u[...]
2011-11-22
[58]
문서
アルジェリアの最初の衛星である[[AlSAT-1]]は2002年11月28日ロシアの[[コスモス-3M]]でプレセツク宇宙基地から打ち上げられている。
[59]
문서
イタリアの最初の衛星である[[サン・マルコ1号]]は1964年12月15日に[[ワロップス射場]]からスカウトロケットで打ち上げられている
[60]
웹사이트
Woomera, Encyclopedia Astronautica
http://www.astronaut[...]
[61]
문서
Bayterek system launch shifted to 2017
http://en.tengrinews[...]
[62]
문서
カザフスタンの最初の衛星である{{仮リンク|カズサット|en|KazSat}}は2006年6月17日にバイコヌール宇宙基地から[[プロトン-K]]で打ち上げられた
[63]
문서
SpaceX Launch manifest
http://www.spacex.co[...]
[64]
웹사이트
Naro-1 space rocket carries future of S. Korean satellites
http://english.yonha[...]
Yonhap
2013-01-30
[65]
웹사이트
South Korea launch STSAT-2C via KSLV-1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13-01-30
[66]
웹사이트
ELE & Haas
http://www.arcaspace[...]
ARCA
2009-11-11
[67]
간행물
AirStrato air - robot to start the flight tests in New Mexico
http://www.arcaspace[...]
ARCA Space Corporation
2015-07-13
[68]
서적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cenariomt[...]
[69]
문서
Jornal do Estado long-range rocket: reports
[70]
문서
ウクライナは2009年にロシアがツィクロンの変わりにアンガラを利用することを決定した後、ツィクロン-3を退役させる
[71]
웹사이트
Mayak
http://www.b14643.de[...]
[72]
문서
ロシアの[[S.P.コロリョフ ロケット&スペー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ネルギア|エネルギア]]社傘下の[[シーローンチ]]、[[オービタル・サイエンシズ]]の[[アンタレス (ロケット)|トーラスII]]ロケットのエンジンなど
[73]
웹사이트
There do not appear to be any Ukrainian plans to develop a domestic space launch facility
http://www.nti.org/c[...]
[74]
웹사이트
http://www.parabolic[...]
[75]
뉴스
US qualms may have nixed Taiwan space launch program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1-12-19
[76]
웹사이트
Taiwan’s Space launch Vehicle
http://www.b14643.de[...]
[77]
웹사이트
Turkey has launched a project to develop a space-launched vehicle (SLV)
http://www.worldtrib[...]
[78]
웹사이트
Russia, Kazakhstan to develop unique space system
http://www.bilkent.e[...]
[79]
웹사이트
Taimur SLV
http://www.b14643.de[...]
[80]
웹사이트
Pakistan Space Program
http://www.aerospace[...]
[81]
웹사이트
ARCOM公式サイト
http://www.marcom-as[...]
[82]
웹사이트
CHEETAH-1
http://www.b14643.de[...]
[83]
웹사이트
Satellites for South Africa
http://www.defencewe[...]
[84]
웹사이트
MXSPACE公式サイト
http://mxspace.mx
[85]
웹사이트
メキシコ宇宙機関
http://www.aem.gob.m[...]
[86]
웹사이트
Pegasus Mission History
http://www.orbital.c[...]
Orbital.com
2013-08-12
[87]
문서
비정부자본
[88]
웹사이트
UNMOVIC report
http://www.thespacer[...]
[89]
웹사이트
https://fas.org/nuke[...]
[90]
웹사이트
http://www.b14643.de[...]
[91]
웹사이트
ORBIT LSA
http://www.b14643.de[...]
[92]
웹사이트
Argentina Missile Chronology
http://www.nti.org/m[...]
[93]
웹사이트
Egypt Missile Chronology
http://www.nti.org/m[...]
[94]
웹사이트
Capricornio
http://www.b14643.de[...]
2016-04-03
[95]
웹인용
Brazil, Ukraine set satellite launch for 2014
http://latino.foxnew[...]
2013-11-03
[96]
웹인용
Roket Pengorbit Satelit (RPS-01)
http://www.b14643.de[...]
2014-02-21
[9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arabolic[...]
2014-02-21
[98]
웹인용
Taiwan’s Space launch Vehicle
http://www.b14643.de[...]
2014-02-21
[99]
웹인용
ATA-1
http://www.b14643.de[...]
2014-02-21
[100]
웹인용
CHEETAH-1
http://www.b14643.de[...]
2014-02-21
[101]
웹사이트
Satellites for South Africa
http://www.defencew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