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하라 히로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라하라 히로시는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로, 유격수와 2루수로서 뛰어난 수비 능력을 보여주었다. 세이부 라이온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주니치 드래곤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07년부터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주니치 드래건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에서 코치를 역임했다. 2017년과 2024년에는 각각 WBC 일본 대표팀 헤드코치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헤드코치를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타마현 출신 야구 선수 - 미모리 마사키
미모리 마사키는 2024년 현재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소속의 일본 프로 야구 내야수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거쳐 트레이드 이적 후 "공·수·주" 3박자를 갖춘 선수로 평가받으며 웨스턴 리그 수위 타자상과 최고 출루율자상 수상, 겐다 소스케와 기네스 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 - 사이타마현 출신 야구 선수 - 사이토 마사키
사이토 마사키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전설적인 투수로, 뛰어난 커브를 주무기로 11경기 연속 완투승이라는 기록을 세우고 통산 180승과 3회의 사와무라상을 수상한 '헤이세이의 대 에이스'이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 해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 닛폰햄 파이터스 선수 - 장훈
장훈은 일본 히로시마 출신의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이자 해설가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최다 안타 기록과 3,000안타-500홈런-300도루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 닛폰햄 파이터스 선수 - 기무라 다쿠야 (야구인)
기무라 다쿠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포지션을 가리지 않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였으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나, 2009년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 지주막하 출혈로 사망했다.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나라하라 히로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68년 5월 16일 |
출생지 | 미나미사이타마군, 사이타마현 |
포지션 | 내야수 / 코치 |
타석 | 우 |
투구 | 우 |
데뷔 리그 | NPB |
데뷔 날짜 | 1991년 4월 6일 |
데뷔 팀 | 세이부 라이온스 |
최종 리그 | NPB |
최종 날짜 | 2006년 10월 22일 |
최종 팀 | 주니치 드래건스 |
등번호 | 92 |
선수 경력 | |
코치 경력 | |
통계 (NPB) | |
타율 | .237 |
홈런 | 13 |
안타 | 674 |
추가 정보 | |
출신 학교 | 테이쿄 고등학교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
현재 소속팀 | |
소속 구단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직책 | 헤드 코치 |
2. 프로 입단 전
사이타마현 시라오카 정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54] 4살 무렵 연식야구의 공과 글러브를 구입하여 아버지와 짬짬이 캐치볼을 했다.[54] 시노즈 초등학교 시절 스포츠 소년단에서 야구를 했고, 시노즈 중학교를 거쳐 데이쿄 고등학교에 진학했다.[55][75]
고등학교 시절 연습 시간의 2/3가 수비 연습이었고, 마에다 미쓰오 감독의 펑고 훈련으로 수비 실력을 키웠다.[55] 1학년 선배로는 가와다 유스케, 고바야시 아키노리가 있었고, 팀은 2학년 봄 선발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3학년 봄에는 주장을 맡아 선발 대회에 출전, 첫 경기 고치 고등학교전에서 1번 타자 겸 유격수로 2안타 1도루를 기록했지만 팀은 0대 3으로 패했다.[56]
아오야마가쿠인 대학 진학 후 2학년 가을에 유격수로서 도토 리그 베스트 나인에 만장일치로 선정되며 팀 우승을 이끌었다.[57] 3학년 봄 리그전에서는 리그 5위의 타율로 베스트 나인에 선정됐고,[58] 미일 대학 야구 대표팀 선수로도 발탁됐다.[59] 3학년 가을과 4학년 봄·가을에도 베스트 나인에 선정됐고, 특히 4학년 봄에는 수위 타자를 차지했다.[60][61][62] 같은 해 다시 미일 야구 일본 대표팀 선수로 발탁되는 등 도토 대학 리그 통산 77경기 출전, 251타수 77안타, 타율 3할 7리, 1홈런, 24타점을 기록했다. 1990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세이부로부터 2순위 지명을 받고 계약금 6000만엔, 연봉 840만엔(모두 추정치)에 입단 계약을 맺었다.[63]
2. 1. 유년 시절
사이타마현 시라오카 정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54] 4살 쯤에 연식야구의 공과 글러브를 구입해 아버지와 일할 때의 짬을 내서 캐치볼을 하게 됐다.[54] 시노즈 초등학교 시절에는 스포츠 소년단에서 야구를 했고 시노즈 중학교를 거쳐 데이쿄 고등학교에 진학했다.[55][75] 고등학교 시절에는 연습 시간의 2/3가 수비 연습으로 충당돼 마에다 미쓰오 감독이 뛰어난 펑고 훈련으로 수비를 단련했다고 한다.[55] 1학년 위에는 가와다 유스케와 고바야시 아키노리가 있었고 팀은 2학년 봄에 열린 선발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주장이 된 3학년 봄에도 선발 대회에 출전해 첫 경기인 고치 고등학교와 맞대결하여 자신은 1번·유격수로서 2안타 1도루의 성적을 남겼지만, 팀은 0대 3으로 패했다.[56]고교 졸업 후 아오야마가쿠인 대학에 진학하자 2학년 가을에 유격수로서 도토 리그의 베스트 나인에 만장일치로 선정돼 팀도 우승했다.[57] 3학년 봄에 열린 리그전에서는 리그 5위의 타율을 남기면서 베스트 나인에 선정됐고[58] 같은 해 미일 대학 야구의 대표팀 선수로도 발탁됐다.[59] 3학년 가을과 4학년 봄·가을에도 베스트 나인으로 선택됐는데 특히 4학년 봄에는 수위 타자도 획득했다.[60][61][62] 또한 같은 해에도 미일 야구의 일본 대표팀 선수로 발탁되는 등 도토 대학 리그에서는 통산 77경기에 출전해 251타수 77안타, 타율 3할 7리, 1홈런, 24타점을 남겼다. 1990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로부터 2순위로 지명돼 계약금과 연봉 각각 6000만엔, 840만엔(모두 추정치)으로 입단 계약을 맺었다.[63]
2. 2. 고교 시절
사이타마현 시라오카 정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54] 4살 쯤에 연식야구의 공과 글러브를 구입해 아버지와 일할 때의 짬을 내서 캐치볼을 하게 됐다.[54] 시노즈 초등학교 시절에는 스포츠 소년단에서 야구를 했고 시노즈 중학교를 거쳐 데이쿄 고등학교에 진학했다.[55][75] 고등학교 시절에는 연습 시간의 2/3가 수비 연습으로 충당돼 마에다 미쓰오 감독이 뛰어난 펑고 훈련으로 수비를 단련했다고 한다.[55] 1학년 위에는 가와다 유스케와 고바야시 아키노리가 있었고 팀은 2학년 봄에 열린 선발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주장이 된 3학년 봄에도 선발 대회에 출전해 첫 경기인 고치 고등학교와 맞대결하여 자신은 1번·유격수로서 2안타 1도루의 성적을 남겼지만, 팀은 0대 3으로 패했다.[56]2. 3. 대학 시절
아오야마가쿠인 대학에 진학하여 2학년 가을에 유격수로서 도토 리그의 베스트 나인에 만장일치로 선정되었고, 팀도 우승했다.[57] 3학년 봄 리그전에서는 리그 5위의 타율을 기록하여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고,[58] 같은 해 미일 대학 야구 대표로도 선발되었다.[59] 3학년 가을과 4학년 봄·가을에도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고, 특히 4학년 봄에는 수위 타자도 획득했다.[60][61][62] 같은 해 미일 야구 대표로도 선발되었다. 도토 대학 리그에서는 통산 77경기 출장, 251타수 77안타, 타율 .307, 1홈런, 24타점을 기록했다. 1990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로부터 2순위로 지명돼 계약금 6000만엔, 연봉 840만엔(모두 추정치)으로 입단 계약을 맺었다.[63]3. 프로 야구 선수 시절
1991년 이하라 하루키 1군 수비 주루 코치로부터 "주루와 수비로 프로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13] 1994년 쇄골 골절 부상을 입기도 했지만,[19] 1995년 마쓰이 가즈오와 함께 유격수로 기용되며 2년 만에 100경기 이상 출장했다. 1996년에는 주로 2루수로 기용되어 22도루를 기록했다.
1997년 긴테츠전에서 견제사 판정에 항의하다 퇴장당했고, 히가시오 오사무 감독은 심판에게 폭력을 행사해 징계를 받았다.[20] 같은 해 니시자키 유키히로와의 트레이드로 이시이 타케히로와 함께 닛폰햄으로 이적했다.[21]
1998년 가네코 마코토 대신 선발 출장해 3할대 타율을 기록하며 2번 타자 겸 2루수로 자리 잡았다.[23] 이후 다나카 유키오의 부상으로 2번 타자 겸 유격수로 출전, 규정 타석을 채우고 리그 2위인 30도루를 기록했다.[24]
1999년 다나카 유키오가 유격수로 복귀하면서 대주자나 수비 요원으로 기용되는 일이 많아졌다. 2000년 다나카와 가네코의 부상을 메우며 팀의 우승 경쟁에 기여했고,[26] 시즌 후 FA 권리를 행사해 잔류했다.[27]
2002년 주장으로 취임했으나 타격 부진과 팀의 여러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28] 기모토 쿠니유키의 성장으로 출전 기회가 줄었고, 2005년 시즌 후 자유 계약 통보를 받았다.[30]
2006년 6월, 금전 트레이드로 주니치 드래곤스로 이적해[31] 그 해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1. 세이부 라이온스 (1991~1997)
프로 1년차인 1991년부터 이하라 하루키 코치에게서 "주루와 수비에서는 프로로서 해나갈 수 있다"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64] 4월 21일에는 처음으로 선발 멤버로 기용되는 등 정규 시즌에서 70경기에 출전했다. 같은 해 일본 시리즈 1차전에서 대주자로 출전하며 일본 시리즈 첫 출전을 기록했다.[65] 이듬해 1992년에는 대주자와 다나베 노리오의 대수비로서 경기 종반에 가끔 기용됐다.[66] 같은 해 일본 시리즈 3차전에서 8회에 이토 아키미쓰로부터 일본 시리즈 첫 안타, 첫 타점을 동시에 기록했다.[67] 시즌 후에는 380만 엔이 상승한 연봉 1700만엔(추정치)으로 계약을 갱신했다.[68]1993년에는 유격수로 49경기에 선발 출장하는 등 110경기에 출전했다. 일본 시리즈 1차전에서는 9번·유격수로 선발 출전하여 2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69] 1994년 5월 7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경기에서 보내기 번트를 시도하다 1루에서 넘어져 쇄골 골절로 전치 2개월 부상을 입었다.[70]
1995년에는 마쓰이 가즈오와 함께 기용되어 유격수로 46경기에 선발 출장, 2년 만에 100경기 이상 출전했다. 1996년에는 다나베와 함께 주로 2루수로 기용되어 53경기에 선발 출전, 22도루를 기록했다. 1997년에는 다카기 히로유키가 2루수로 선발 출장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출장 경기 수가 100경기에 미치지 못했다.
1997년 10월 30일, 니시자키 유키히로와의 맞트레이드로 이시이 다케히로와 함께 닛폰햄 파이터스에 이적했다.[71] 이 때 닛폰햄 감독 우에다 도시하루는 트레이드 요원으로 나라하라와 투수 1명을 요구했고, 다른 야수라면 교섭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세이부 히가시오 오사무 감독은 어쩔 수 없이 승낙했다고 한다.[72][73]
3. 1. 1. 1997년 퇴장 사건 및 히가시오 감독 폭행 사건
쓰지 하쓰히코와 함께 2루-유격수 수비를 맡았는데, 이 수비는 일본 최고 수준이라고 불렸다.[51]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는 "오지 스미스까지는 아니지만, MLB에서도 충분히 통할 수 있는 수비 능력이 나라하라에게 있다"고 평가했다.[52]세이부에서는 세밀한 플레이를 하는 선수로 존재감이 컸다. 같은 퍼시픽 리그의 닛폰햄으로 이적했을 때, 세이부는 포메이션 사인을 전부 변경했다. 히가시오 오사무는 트레이드를 통해 출전 기회가 늘어나는 것이 나라하라에게도 장점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3. 2. 닛폰햄 파이터스 (1998~2006)
1998년 닛폰햄 이적 첫 해, 개막 초에는 대주자나 2루수, 유격수 수비 요원으로 기용됐지만 타격 부진에 시달린 가네코 마코토를 대신해 선발로 기용되어 3할이 넘는 타율을 기록, 5월 19일부터 2번·2루수의 주전 선수로 정착했다.[74] 이후 오른쪽 어깨 부상을 당한 다나카 유키오가 6월 하순부터 1루수로 전환되면서 2번·유격수로 뛰게 됐다.[74] 여름에는 컨디션 난조로 고생했지만, 처음으로 규정 타석을 채우며 빅뱅 타선의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맡았다.[72][74] 그 해 리그 2위인 30도루, 리그 5위인 출루율 3할 8푼 8리를 기록했고,[75] 연봉은 2,600만 엔이 상승한 7400만엔(추정치)으로 갱신됐다.[76]이듬해인 1999년에는 다나카가 유격수로 복귀하면서 대주자나 수비 요원으로 기용되는 일이 많아졌다. 2000년에는 다나카나 가네코의 부진을 메우며 팀의 우승 경쟁에 공헌했다.[77] 시즌 후에는 FA 권리를 행사하여 다년 계약을 맺고 잔류했다.[78]
2002년에는 오시마 야스노리 감독의 지명으로 주장을 맡았다.[64] 그 해 주전 유격수로 기대를 받았고,[79] 시범 경기에서 타율 4할 1푼 2리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55] 그러나 시즌 개막 후 스트라이크 존 확대에 따른 타격 부진에 빠졌다.[55] 게다가 삿포로시 연고지 이전 계획 발표, 닛폰햄 본사의 쇠고기 위장 사건 등으로 팀 분위기가 어수선했고, 4월에는 부친상까지 당했다.[54] 시즌 후에는 400만 엔이 삭감된 연봉 6800만엔(추정치)으로 계약을 갱신했다.[80] 기모토 구니유키의 성장 등으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2005년 시즌 후에는 다음 시즌 연봉 삭감 또는 자유 계약 통보를 받았다.[81]
3. 3. 주니치 드래곤스 (2006)
2006년 시즌 중이던 6월 20일에 현금 트레이드로 주니치 드래곤스에 이적했다.[82] 9월 19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경기에서는 우측 스탠드로 날아간 타구가 관중에게 잡혀서 판정에 따라 2루타가 되었고,[83] 주니치 이적 후의 첫 타점은 리그 우승이 결정된 10월 1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연장 12회초에 때린 적시타였다.[84] 일본 시리즈에서는 1차전과 2차전에서 대주자로 기용됐다.[84]연도 | 소속팀 | 타수 |
---|---|---|
2006년 | 주니치 | 35 |
4. 지도자 경력
나라하라 히로시는 여러 프로 야구팀에서 코치 및 감독 경력을 쌓았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 2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2011년에는 2군 야수 코치를 맡았다.[34] 2012년부터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으나,[36] 2016년 팀 실책 문제로 퇴단했다.[37] 2017년 주니치 드래건스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로 복귀하여[89] 2019년까지 활동했다.
2017년 WBC에서는 야구 일본 대표팀 헤드 코치를 맡아 4강 진출에 기여했다.[38]
2020년에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감독을 맡아[44] 팀을 이스턴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고,[45] 2021년부터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46] 2023년에는 육성 종합 코치를 역임했다.[47][48] 2024년부터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헤드 코치를 맡고 있다.[50]
4. 1. 주니치 드래곤스 (2007~2011, 2017~2019)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 2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담당했다.[34] 등번호는 '''82'''였다. 2011년에는 2군 야수 코치를 맡았으며, 같은 해 오치아이 히로미쓰 감독 사임과 함께 10월 6일자로 1군 헤드코치였던 모리 시게카즈 등 다른 8명의 코치와 함께 퇴단했다.[35]
2016년 10월 12일, 6년 만에 주니치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로 복귀했다. 공격 시에는 3루 베이스 코치를 맡았다.[89] 2017년 WBC에서 야구 일본 대표팀 헤드 코치를 맡아, 고쿠보 감독, 나라하라 헤드 체제로 4강에 진출했다.[38] 2018년에는 1군·2군 구분 없이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고,[40]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로 3년간 재임 후, 2019년 10월 3일 퇴단했다.[41] 도조 나오미치는 나라하라를 "수비의 스승"으로 여기며 모방하고 있다.[42] 곤도 히로시는 "투수 실패 후 유격수로 전향했기 때문에 수비를 잘 안다. 중심에서 잡으려면 글러브 각도, 몸 움직임을 조절하고, 글러브 면에 90도 각도로 공을 받아야 한다. 이를 실제로 보여주고, 이론도 설명 가능한 것이 나라하라 코치다. 노크도 엄격하고, 잡는 방식이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한 번 더'라고 한다. 덕분에 도조나 다카하시, 1루수 다얀 비시에도 등 주니치 내야진은 눈에 띄게 실력이 향상되었다"라고 말했다.[43]
4. 2.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2~2016)
2012년부터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1군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으며,[87][36] 등번호는 '''74'''였다. 그러나 2016년에 양대 리그 최악인 101차례의 실책을 기록했고,[88][37] 같은 해 9월 29일 미야지 가쓰히코 코치와 함께 퇴단했다.[88]4. 3.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0~2023)
2019년 10월 14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군 감독을 맡는 것이 발표되었다.[44] 등번호는 '''95'''였다. 2020년 이스턴 리그 우승, 구단 사상 첫 팜 일본 일위를 달성했다.[45] 2021년부터는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다.[46] 2023년에는 육성 종합 코치를 맡았으며,[47][48] 같은 해 퇴단했다.[49]
4. 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
2024년부터 대학 후배인 고쿠보 히로키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취임에 따라 헤드 코치를 맡는다.[50] 등번호는 '''92'''이다.4. 5. 국가대표팀 코치 경력
나라하라 히로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의 2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다.[34] 2011년에는 2군 야수 코치를 맡았으나, 오치아이 히로미쓰 감독이 사임하면서 모리 시게카즈 1군 헤드 코치 등 다른 8명의 코치와 함께 퇴단했다.[35]2012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로 부임했다.[36] 그러나 2016년에는 팀이 양대 리그 최악인 101실책을 기록했고,[37] 같은 해 9월 29일 미야지 가쓰히코 코치와 함께 퇴단했다.
2016년 10월 12일, 주니치의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로 발탁되면서 6년 만에 주니치에 복귀했다.[89] 공격 시에는 3루 베이스 코치를 맡았다.[39] 2017년 WBC에서는 야구 일본 대표팀의 헤드 코치를 맡아 4강 진출에 기여했다.[38] 2018년에는 코치 보직 개편으로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고,[40] 2019년 10월 3일까지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로 재임 후 퇴단했다.[41] 도조 나오미치는 나라하라를 "수비의 스승"으로 존경한다고 밝혔다.[42]
2020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군 감독으로 취임하여[44] 이스턴 리그 우승과 구단 사상 첫 팜 일본 제일을 달성했다.[45] 2021년부터는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46] 2023년에는 육성 종합 코치를 맡았으며,[47][48] 같은 해 퇴단했다.[49]
2024년, 고쿠보 히로키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취임에 따라 헤드 코치를 맡게 되었다.[50]
5. 플레이 스타일
쓰지 하쓰히코와 짝을 이룬 2루수와 유격수 간의 수비(키스톤 콤비)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최고로 꼽힌다.[90] 골든 글러브상 수상 경력은 없지만,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는 "아지 스미스라고까지는 말할 수 없지만 메이저 리그에서 충분히 통하는 수비 능력이 나라하라에게는 있다"고 평가했다.[91] 프로 입단 당시부터 수비에 자신은 있었지만, 세이부에서 쓰지나 이시게 히로미치와 함께 연습하면서 부족한 부분이 향상되었다.[66] 특히 쓰지에게서는 연습에 대한 진지한 자세와 플레이에 대해 메모를 하는 등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한다.[66] 수비에서는 특히 타구에 대한 스타트를 중시하여, 포수의 사인이나 타자의 습관에서 항상 타구 방향을 예상하고 있었다.[66]
세이부에서는 섬세한 플레이를 하는 선수로서 존재감이 컸고, 같은 퍼시픽 리그 팀인 닛폰햄으로 이적했을 때 세이부가 포메이션의 사인을 모두 변경했다.[66] 히가시오 오사무는 트레이드를 통해 출전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에 나라하라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는 판단도 있었다고 말했으며, 나라하라도 세이부를 원망하는 마음은 없었다고 한다.[66] 닛폰햄에서 주장으로 발탁되었을 때는 야구에 대한 열정, 지식, 정신적인 힘을 높이 평가받았다.[64]
다음은 나라하라 히로시의 연도별 수비 성적이다.
연도 | 구단 | 2루수 | 3루수 | 유격수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타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타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타 | 수비율 | ||
1992 | 세이부 | 16 | 7 | 12 | 0 | 5 | 1.000 | - | 48 | 25 | 50 | 0 | 13 | 1.000 | |||||
1993 | 4 | 3 | 6 | 0 | 0 | 1.000 | - | 102 | 82 | 183 | 4 | 43 | .985 | ||||||
1994 | 20 | 10 | 25 | 0 | 1 | 1.000 | - | 53 | 64 | 111 | 3 | 26 | .983 | ||||||
1995 | 39 | 26 | 48 | 1 | 5 | .987 | - | 75 | 72 | 169 | 3 | 28 | .988 | ||||||
1996 | 97 | 150 | 172 | 5 | 44 | .985 | - | 9 | 3 | 7 | 0 | 1 | 1.000 | ||||||
1997 | 83 | 73 | 98 | 2 | 21 | .988 | - | - | |||||||||||
1998 | 니혼햄 | 33 | 76 | 78 | 2 | 23 | .987 | 3 | 1 | 0 | 0 | 0 | 1.000 | 99 | 117 | 215 | 11 | 46 | .968 |
1999 | 31 | 26 | 39 | 1 | 8 | .985 | 14 | 7 | 8 | 0 | 1 | 1.000 | 29 | 15 | 52 | 2 | 8 | .971 | |
2000 | 30 | 64 | 85 | 2 | 15 | .987 | - | 80 | 96 | 149 | 11 | 40 | .957 | ||||||
2001 | - | 40 | 14 | 40 | 3 | 1 | .947 | 96 | 79 | 233 | 6 | 49 | .981 | ||||||
2002 | 65 | 107 | 153 | 0 | 29 | 1.000 | 4 | 0 | 0 | 0 | 0 | ---- | 52 | 69 | 131 | 2 | 23 | .990 | |
2003 | 88 | 169 | 232 | 3 | 53 | .993 | 8 | 3 | 8 | 0 | 0 | 1.000 | 23 | 16 | 39 | 1 | 9 | .982 | |
2004 | 65 | 31 | 67 | 2 | 11 | .980 | 5 | 0 | 6 | 1 | 1 | .857 | 13 | 9 | 20 | 0 | 6 | 1.000 | |
2005 | 56 | 49 | 82 | 0 | 20 | 1.000 | 2 | 2 | 1 | 1 | 0 | .750 | 39 | 32 | 92 | 3 | 19 | .976 | |
2006 | 주니치 | 14 | 6 | 18 | 0 | 3 | 1.000 | 7 | 1 | 0 | 0 | 0 | 1.000 | - | |||||
통산 | 641 | 797 | 1115 | 18 | 238 | .991 | 83 | 28 | 63 | 5 | 3 | .948 | 718 | 679 | 1451 | 46 | 311 | .979 |
6. 상세 정보
나라하라 히로시는 사이타마현 시라오카정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3] 4살 때 연식 야구공과 글러브를 사서 아버지와 캐치볼을 했으며, 시라오카 시립 시노즈 초등학교 스포츠 소년단과 시노즈 중학교를 거쳐 테이쿄 고등학교에 진학했다.[4]
테이쿄 고등학교 시절, 팀은 2학년 봄 선발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3학년 봄 선발 대회에 출전했으나, 첫 경기에서 패배했다.[5]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에 진학하여 도토 리그에서 2학년 가을 유격수로서 베스트 나인에 만장일치로 선정되었고, 3학년과 4학년 때도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으며, 특히 4학년 봄에는 수위 타자를 획득했다. 또한 미일 대학 야구 대표로도 선발되었다.[6][7][8][9][10][11]
1990년도 드래프트 회의에서 세이부 라이온즈로부터 2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12] 이후 닛폰햄, 주니치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 경력을 쌓았으며, 쓰지 하쓰히코와 함께 2루-유격수 간 수비에서 일본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다.[51]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는 오지 스미스까지는 아니지만, MLB에서도 통할 수비 능력을 갖췄다고 평가했다.[52]
나라하라의 친구가 발견한 소행성은 (15716) 나라하라로 명명되었다.[53]
6. 1. 출신 학교
6. 2. 선수 경력
나라하라 히로시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1991년 ~ 1997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1998년 ~ 2006년), 주니치 드래건스(2006년)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사이타마현 시라오카정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집에서 태어났다.[3] 4살 때 연식 야구의 공과 글러브를 사서 아버지와 틈틈이 캐치볼을 했다. 시라오카 시립 시노즈 초등학교에서는 스포츠 소년단에서 야구를 했고, 시노즈 중학교를 거쳐 테이쿄 고등학교에 진학했다.[4] 테이쿄에서는 연습 시간의 2/3가 수비 연습에 할애되었고, 감독 마에다 미츠오의 뛰어난 노크로 수비를 단련했다. 1학년 위에 카와타 유스케와 코바야시 아키노리, 1학년 아래에 시바쿠사 우츄가 있었고, 팀은 2학년 봄 선발 대회에서 준우승을 했다. 주장이 된 3학년 봄 선발 대회에 출전, 첫 경기에서 고치 고등학교와 대결하여 1번·유격수로서 2안타 1도루를 기록했지만, 팀은 0대 3으로 패했다.[5]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에 진학하여 2학년 가을 유격수로서 도토 리그 베스트 나인에 만장일치로 선정되었고, 팀도 우승했다.[6] 3학년 봄 리그전에서 리그 5위 타율로 베스트 나인에 선정,[7] 미일 대학 야구 대표로도 선발되었다.[8] 3학년 가을, 4학년 봄·가을에도 베스트 나인에 선정, 특히 4학년 봄에는 수위 타자도 획득했다.[9][10][11] 같은 해 미일 야구 대표로 선발, 도토 대학 리그 통산 77경기 출장, 251타수 77안타, 타율 .307, 1홈런, 24타점을 기록했다.
1990년도 드래프트 회의에서 세이부 라이온즈로부터 2위 지명을 받아, 계약금 6000만엔, 연봉 840만엔(추정)으로 입단했다.[12] 등번호는 '''9'''였다. 1991년부터 1군 수비 주루 코치 이하라 하루키에게 "주루와 수비로 프로로서 살아갈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아,[13] 4월 21일 첫 선발 출장, 시즌 70경기에 출장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일본 시리즈 1차전에 대주자로 첫 출전했다.[14]
1992년 대주자나 다나베 노리오의 수비 요원으로 경기 후반에 기용되었다.[15]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일본 시리즈 3차전 8회에 이토 아키미츠를 상대로 첫 안타, 첫 타점을 기록했다.[16] 시즌 오프에 380만엔 증액된 연봉 1700만엔(추정)으로 계약을 갱신했다.[17]
1993년 유격수로 49경기 선발 출장, 110경기에 출장했다. 일본 시리즈 1차전에서 9번 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장, 2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18] 1994년 5월 7일 롯데전에서 번트 시도 중 1루에서 넘어져 쇄골 골절, 전치 2개월 부상을 입었다.[19]
1995년 마츠이 가즈오와 병용되어 유격수로 46경기 선발 출장, 2년 만에 100경기 이상 출장했다. 오프에 등번호를 '''5'''로 변경했다. 1996년 다나베와 함께 주로 2루수로 기용되어 53경기 선발 출장, 22도루를 기록했다.
1997년 타카기 히로유키가 2루수로 선발 출장하는 경우가 많아 출장 경기 수가 100경기 미만이었다. 7월 10일 긴테츠전 9회초 무사 1, 2루에서 2루 주자 나라하라가 포수 견제에 걸려 아웃되자 항의, 루심 가슴을 밀쳐 퇴장당했다. 감독 히가시오 오사무는 경기 종료 후 루심 멱살을 잡고 오른발로 돌려차, 3경기 출장 정지 및 제재금 10만엔 처분을 받았다.[20] 10월 30일 니시자키 유키히로와의 트레이드로 이시이 타케히로와 함께 닛폰햄 파이터스로 이적했다.[21] 등번호는 '''4'''였다. 당시 닛폰햄 감독 우에다 토시하루는 트레이드 요원으로 나라하라와 투수 1명을 요구, 다른 야수라면 협상 결렬을 선언, 세이부 감독 히가시오 오사무는 승낙했다.[22]
1998년 개막 초 대주자, 2루수, 유격수 수비 요원으로 기용, 타격 부진 가네코 마코토 대신 선발 출장, 3할 타율로 5월 19일부터 2번 타자 겸 2루수로 정착했다.[23] 이후 오른쪽 어깨 부상 다나카 유키오가 6월 하순부터 1루수 보직 변경, 2번 타자 겸 유격수로 출전했다. 여름 컨디션 관리 어려움, 최초 규정 타석 채우며 빅뱅 타선 연결 고리 역할, 리그 2위 30도루, 5위 출루율.388 기록,[24] 연봉 2600만엔 오른 7400만엔(추정)이 되었다.[25]
1999년 다나카 유키오 유격수 복귀, 대주자나 수비 요원 기용 횟수 증가. 2000년 다나카 유키오, 가네코 부상 커버, 뛰어난 수비로 팀 우승 경쟁 지원,[26] 시즌 종료 후 FA 권리 행사, 복수년 계약 잔류.[27]
2002년 감독 오시마 야스노리 지명으로 주장 취임, 유격수 레귤러 기대,[28] 오픈전 타율 .412 기록. 시즌 스트라이크 존 확대, 타격 부진. 삿포로시 홈 구장 이전 발표, 일본 햄 본사 쇠고기 위장 사건, 팀 동요, 4월 부친상. 시즌 종료 후 400만엔 삭감된 연봉 6800만엔(추정) 계약 갱신.[29] 키모토 쿠니유키 성장으로 출전 기회 감소.
2005년 시즌 종료 후 연봉 삭감 또는 자유 계약 통보.[30] 2006년 6월 20일 금전 트레이드 주니치 드래곤스 이적,[31] 등번호 '''95'''. 9월 19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전 우익수 플라이 관중에게 잡혀 2루타 인정.[32] 주니치 이적 후 첫 타점 리그 우승 결정 10월 1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연장 12회 초 적시타. 친정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2006년 일본 시리즈 1, 2차전 대주자 출전.[33] 시즌 종료 후 은퇴.
쓰지 하쓰히코와 2루-유격수 간 수비 일본 최고,[51] 골든 글러브 수상 경력 없지만,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오지 스미스까지는 아니지만, MLB 통할 수비 능력" 평가.[52] 프로 입단 시 수비 자신감, 세이부 쓰지, 이시게 히로노리 연습, 실력 향상. 쓰지에게 연습 자세, 플레이 메모 등 배움. 수비 타구 스타트 중요, 포수 사인, 타자 버릇으로 타구 방향 예상.
세이부 세밀한 플레이 선수, 닛폰햄 이적 시 세이부 포메이션 사인 변경. 트레이드 출전 기회 증가, 나라하라 장점, 히가시오 오사무 판단, 나라하라 세이부 원망 없음. 닛폰햄 주장 취임 시 야구 열정, 지식, 정신력 높이 평가.
나라하라 친구 발견 소행성 (15716) 나라하라 명명.[53]
연도 | 소속 팀 | 경기 수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 실패 | 희생타 | 희생 플라이 | 볼넷 | 고의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1 | 세이부 | 70 | 57 | 9 | 13 | 1 | 0 | 0 | 14 | 1 | 3 | 3 | 3 | 0 | 3 | 0 | 0 | 9 | 0 | .228 | .267 | .246 | .512 |
1992 | 66 | 35 | 9 | 6 | 1 | 0 | 0 | 7 | 4 | 3 | 1 | 2 | 0 | 3 | 0 | 0 | 7 | 0 | .171 | .237 | .200 | .437 | |
1993 | 110 | 161 | 20 | 40 | 3 | 0 | 0 | 43 | 13 | 10 | 4 | 16 | 1 | 26 | 0 | 1 | 24 | 1 | .248 | .354 | .267 | .622 | |
1994 | 72 | 141 | 26 | 35 | 5 | 0 | 0 | 40 | 11 | 14 | 4 | 11 | 2 | 21 | 0 | 1 | 17 | 1 | .248 | .345 | .284 | .629 | |
1995 | 102 | 208 | 19 | 47 | 5 | 1 | 0 | 54 | 13 | 19 | 6 | 18 | 2 | 16 | 0 | 1 | 29 | 1 | .226 | .282 | .260 | .542 | |
1996 | 108 | 170 | 31 | 37 | 4 | 3 | 2 | 53 | 8 | 22 | 5 | 22 | 3 | 18 | 0 | 2 | 34 | 3 | .218 | .295 | .312 | .607 | |
1997 | 94 | 89 | 20 | 17 | 1 | 2 | 0 | 22 | 3 | 13 | 6 | 5 | 0 | 6 | 0 | 0 | 17 | 1 | .191 | .242 | .247 | .489 | |
1998 | 닛폰햄 | 128 | 364 | 72 | 102 | 6 | 4 | 1 | 119 | 25 | 30 | 6 | 36 | 0 | 60 | 1 | 4 | 50 | 9 | .280 | .388 | .327 | .715 |
1999 | 88 | 103 | 17 | 18 | 5 | 0 | 0 | 23 | 6 | 6 | 1 | 9 | 0 | 9 | 0 | 0 | 18 | 1 | .175 | .241 | .223 | .464 | |
2000 | 101 | 254 | 50 | 65 | 16 | 0 | 3 | 90 | 31 | 14 | 3 | 13 | 2 | 36 | 0 | 0 | 46 | 6 | .256 | .346 | .354 | .700 | |
2001 | 124 | 334 | 32 | 79 | 19 | 3 | 4 | 116 | 19 | 27 | 5 | 31 | 1 | 33 | 0 | 0 | 59 | 5 | .237 | .304 | .347 | .652 | |
2002 | 116 | 320 | 22 | 65 | 6 | 0 | 1 | 74 | 19 | 13 | 4 | 21 | 2 | 21 | 0 | 0 | 49 | 1 | .203 | .251 | .231 | .482 | |
2003 | 109 | 317 | 40 | 82 | 24 | 3 | 0 | 112 | 32 | 12 | 4 | 16 | 4 | 35 | 1 | 4 | 70 | 3 | .259 | .336 | .353 | .689 | |
2004 | 85 | 99 | 21 | 24 | 4 | 1 | 0 | 30 | 9 | 5 | 1 | 4 | 0 | 5 | 0 | 1 | 20 | 1 | .242 | .286 | .303 | .589 | |
2005 | 98 | 165 | 21 | 38 | 7 | 2 | 2 | 55 | 17 | 6 | 2 | 5 | 1 | 7 | 0 | 1 | 35 | 1 | .230 | .264 | .333 | .598 | |
2006 | 주니치 | 37 | 31 | 4 | 6 | 2 | 0 | 0 | 8 | 1 | 1 | 0 | 3 | 0 | 1 | 1 | 0 | 11 | 0 | .194 | .219 | .258 | .477 |
통산:16년 | 1508 | 2848 | 413 | 674 | 109 | 19 | 13 | 860 | 212 | 198 | 55 | 215 | 18 | 300 | 3 | 15 | 495 | 34 | .237 | .311 | .302 | .613 |
6. 3. 지도자 경력
- 주니치 드래곤스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2007년 ~ 2010년)[34]
- 주니치 드래곤스 2군 야수 코치(2011년)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군 수비 주루 코치(2012년 ~ 2016년)[36]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일본 대표팀 수석 코치
- 주니치 드래곤스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2017년 ~ 2019년)[41]
-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 수석 코치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감독(2020년 ~ 2021년)[44]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군 내야 수비 코치(2022년 ~ )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 2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으며, 등번호는 '''82'''였다. 2011년에는 2군 야수 코치를 맡았다. 같은 해 오치아이 히로미츠 감독 사임 후, 10월 6일 1군 헤드코치 모리 시게카즈 등 8명의 코치와 함께 퇴단했다.[35]
2012년부터 친정팀 세이부에서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고, 등번호는 '''74'''였다. 그러나 2016년 양 리그 최악인 101실책을 기록했고,[37] 같은 해 9월 29일 1군 타격 코치 미야지 카츠히코와 함께 퇴단했다.
2017년 10월 12일, 주니치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로 복귀하며 6년 만에 친정팀으로 돌아왔다. 등번호는 '''83'''이었다. WBC에서 야구 일본 대표팀 헤드 코치를 맡아, 고쿠보 감독과 함께 4강 진출을 이끌었다.[38] 공격 시에는 3루 코치를 담당했다.[39] 2018년에는 1군·2군 구분 없이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고,[40] 2019년 10월 3일 퇴단했다.[41]
2020년 10월 14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감독으로 부임하며 등번호 '''95'''번을 받았다. 이스턴 리그 우승과 구단 사상 첫 팜 일본 일위를 달성했다.[45] 2021년부터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고,[46] 2023년에는 육성 종합 코치를 맡다가[47][48] 퇴단했다.[49]
6. 4. 개인 기록
연도 | 팀 | 경기 수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볼넷 | 고의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1년 | 세이부 | 70 | 63 | 57 | 9 | 13 | 1 | 0 | 0 | 14 | 1 | 3 | 3 | 3 | 0 | 3 | 0 | 0 | 9 | 0 | .228 | .267 | .246 | .512 |
1992년 | 66 | 40 | 35 | 9 | 6 | 1 | 0 | 0 | 7 | 4 | 3 | 1 | 2 | 0 | 3 | 0 | 0 | 7 | 0 | .171 | .237 | .200 | .437 | |
1993년 | 110 | 205 | 161 | 20 | 40 | 3 | 0 | 0 | 43 | 13 | 10 | 4 | 16 | 1 | 26 | 0 | 1 | 24 | 1 | .248 | .354 | .267 | .622 | |
1994년 | 72 | 176 | 141 | 26 | 35 | 5 | 0 | 0 | 40 | 11 | 14 | 4 | 11 | 2 | 21 | 0 | 1 | 17 | 1 | .248 | .345 | .284 | .629 | |
1995년 | 102 | 245 | 208 | 19 | 47 | 5 | 1 | 0 | 54 | 13 | 19 | 6 | 18 | 2 | 16 | 0 | 1 | 29 | 1 | .226 | .282 | .260 | .542 | |
1996년 | 108 | 215 | 170 | 31 | 37 | 4 | 3 | 2 | 53 | 8 | 22 | 5 | 22 | 3 | 18 | 0 | 2 | 34 | 3 | .218 | .295 | .312 | .607 | |
1997년 | 94 | 100 | 89 | 20 | 17 | 1 | 2 | 0 | 22 | 3 | 13 | 6 | 5 | 0 | 6 | 0 | 0 | 17 | 1 | .191 | .242 | .247 | .489 | |
1998년 | 닛폰햄 | 128 | 464 | 364 | 72 | 102 | 6 | 4 | 1 | 119 | 25 | 30 | 6 | 36 | 0 | 60 | 1 | 4 | 50 | 9 | .280 | .388 | .327 | .715 |
1999년 | 88 | 121 | 103 | 17 | 18 | 5 | 0 | 0 | 23 | 6 | 6 | 1 | 9 | 0 | 9 | 0 | 0 | 18 | 1 | .175 | .241 | .223 | .464 | |
2000년 | 101 | 305 | 254 | 50 | 65 | 16 | 0 | 3 | 90 | 31 | 14 | 3 | 13 | 2 | 36 | 0 | 0 | 46 | 6 | .256 | .346 | .354 | .700 | |
2001년 | 124 | 399 | 334 | 32 | 79 | 19 | 3 | 4 | 116 | 19 | 27 | 5 | 31 | 1 | 33 | 0 | 0 | 59 | 5 | .237 | .304 | .347 | .652 | |
2002년 | 116 | 364 | 320 | 22 | 65 | 6 | 0 | 1 | 74 | 19 | 13 | 4 | 21 | 2 | 21 | 0 | 0 | 49 | 1 | .203 | .251 | .231 | .482 | |
2003년 | 109 | 376 | 317 | 40 | 82 | 24 | 3 | 0 | 112 | 32 | 12 | 4 | 16 | 4 | 35 | 1 | 4 | 70 | 3 | .259 | .336 | .353 | .689 | |
2004년 | 85 | 109 | 99 | 21 | 24 | 4 | 1 | 0 | 30 | 9 | 5 | 1 | 4 | 0 | 5 | 0 | 1 | 20 | 1 | .242 | .286 | .303 | .589 | |
2005년 | 98 | 179 | 165 | 21 | 38 | 7 | 2 | 2 | 55 | 17 | 6 | 2 | 5 | 1 | 7 | 0 | 1 | 35 | 1 | .230 | .264 | .333 | .598 | |
2006년 | 주니치 | 37 | 35 | 31 | 4 | 6 | 2 | 0 | 0 | 8 | 1 | 1 | 0 | 3 | 0 | 1 | 1 | 0 | 11 | 0 | .194 | .219 | .258 | .477 |
통산(16년) | 1508 | 3396 | 2848 | 413 | 674 | 109 | 19 | 13 | 860 | 212 | 198 | 55 | 215 | 18 | 300 | 3 | 15 | 495 | 34 | .237 | .311 | .302 | .613 |
; 최초 기록
- 첫 출장: 1991년 4월 6일, 롯데 오리온스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8회말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의 대주자로 출장
- 첫 선발 출장: 1991년 4월 21일, 킨테츠 버팔로스전(후지이데라 구장), 9번·유격수로 선발 출장
- 첫 안타: 상동, 3회초 야마자키 신타로에게서 기록
- 첫 희생타: 1991년 4월 23일, 오릭스 블루웨이브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3회말 호시노 노부유키에게서 1루 앞 희생타 기록
- 첫 도루: 1991년 6월 16일, 킨테츠 버팔로스전(나고야 구장), 8회초 2루 도루(투수: 아카호리 모토유키, 포수: 미츠야마 히데카즈)
- 첫 타점: 1991년 10월 13일, 롯데 오리온스전(가와사키 구장), 8회초 안도 신지의 대타로 출장, 곤노 타카히로에게서 적시 2루타 기록
- 첫 홈런: 1996년 7월 18일, 닛폰햄 파이터즈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6회말 이마제키 마사루에게서 솔로 홈런 기록
; 주요 기록
- 1000경기 출장: 2001년 6월 24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6회말 유격수로 출장(역대 368번째)
- 200 희생타: 2003년 6월 22일,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스전(오사카 돔), 10회초 오카모토 아키라에게서 투수 앞 희생타 기록(역대 23번째)
- 1500경기 출장: 2006년 9월 18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초 코바야시 마사토의 대타로 출장(역대 147번째)
6. 5.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1991년 ~ 1995년 | 9 |
1996년 ~ 1997년 | 5 |
1998년 ~ 2006년 시즌 도중 | 4 |
2006년 도중 ~ 같은 해 시즌 종료 | 95 |
2007년 ~ 2011년 | 82 |
2012년 ~ 2016년 | 74 |
2017년 ~ 2019년 | 83 |
2020년 ~ 2023년 | 96 |
2024년 ~ | 92 |
참조
[1]
웹사이트
新任コーチに関して
https://www.rakutene[...]
2019-10-14
[2]
웹사이트
Fukuoka SoftBank Hawks press release 2023年10月31日 新入団コーチのお知らせ
https://www.softbank[...]
2023-10-31
[3]
간행물
「新野球浪漫 男たちの詩 23回 勝利のスパイス 奈良原浩 たとえ小柄でも、頑張ればプロで通用するんだという気持ちになった」
週刊ベースボール
2002-10-21
[4]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02-10-21
[5]
뉴스
朝日新聞
1986-03-31
[6]
뉴스
読売新聞
1988-11-04
[7]
뉴스
読売新聞
1989-05-27
[8]
뉴스
読売新聞
1989-06-10
[9]
뉴스
読売新聞
1989-10-27
[10]
뉴스
読売新聞
1990-05-24
[11]
뉴스
読売新聞
1990-10-26
[12]
뉴스
読売新聞
1990-12-21
[13]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02-10-21
[14]
웹사이트
日本野球機構 1991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1戦)
https://npb.jp/bis/s[...]
[15]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ルネッサンス1993 クローズアップ 奈良原浩 他のプレーヤーが飛びついて捕るような打球を正面でさばく。」
Sports Graphic Number
1993-01-20
[16]
웹사이트
日本野球機構 1992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3戦)
https://npb.jp/bis/s[...]
[17]
뉴스
読売新聞
1992-12-05
[18]
웹사이트
日本野球機構 1993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1戦)
https://npb.jp/bis/s[...]
[19]
뉴스
読売新聞
1994-05-08
[20]
웹사이트
西武・森慎二、2度目の先発試合での退場劇【1997年7月10日】
http://column.sp.bas[...]
[21]
뉴스
朝日新聞
1997-10-31
[22]
간행물
「BASEBALL 西武野球の粋を知るつなぎ役・奈良原浩が日ハムにもたらした効果。」
Sports Graphic Number
1998-07-30
[23]
간행물
「新天地1年目を振り返る 奈良原浩 念願のシーズンフル出場も『喜び』と『悔しさ』の1年」
週刊ベースボール
1998-10-26
[24]
뉴스
毎日新聞
1998-11-24
[25]
뉴스
読売新聞
1998-12-01
[26]
뉴스
読売新聞
2000-09-24
[27]
뉴스
毎日新聞
2000-11-09
[28]
뉴스
読売新聞
2002-02-23
[29]
뉴스
毎日新聞
2002-12-05
[30]
뉴스
朝日新聞
2005-09-30
[31]
뉴스
朝日新聞
2006-06-21
[32]
웹사이트
スポニチ 日めくりプロ野球 【9月19日】2006年 移籍1号本塁打、と思いきや…奈良原浩 幻の大飛球
http://www.sponichi.[...]
[33]
웹사이트
2006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
https://npb.jp/bis/s[...]
[34]
뉴스
朝日新聞
2006-10-31
[35]
뉴스
朝日新聞
2011-10-23
[36]
뉴스
『朝日新聞』
2011-11-11
[37]
웹사이트
西武「守乱」の責任とり奈良原コーチ退団
https://www.tokyo-sp[...]
2016-09-29
[38]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奈良原浩1軍ヘッド、倉野信次1軍投手、牧田和久3軍投手、川越英隆4軍投手 各コーチ入閣発表
https://hochi.news/a[...]
2023-10-31
[39]
웹사이트
中日、奈良原氏がコーチ就任「スキのない野球を浸透させたい」
https://www.daily.co[...]
2016-10-13
[40]
웹사이트
2018年度の監督、コーチングスタッフを発表
https://dragons.jp/n[...]
2017-10-31
[41]
웹사이트
中日奈良原守備走塁コーチが退団 - プロ野球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19-10-03
[42]
웹사이트
一日中素手でノック…中日・堂上コーチが模倣する“守りの師匠”のスタイル 全ての努力は試合で笑うために
https://www.chunichi[...]
2024-02-09
[43]
웹사이트
名手に託したタカの守り
https://www.nikkei.c[...]
2024-02-08
[44]
웹사이트
新任コーチに関して
https://www.rakutene[...]
2019-10-14
[45]
웹사이트
2020ファーム総括【楽天】奈良原浩二軍監督の下で球団初の日本一を達成/2020ファーム総括
https://column.sp.ba[...]
2020-12-20
[46]
웹사이트
コーチ人事に関して
https://www.rakutene[...]
2020-11-12
[47]
뉴스
楽天が来季コーチ陣の組閣を発表 的場1軍バッテリーコーチ、川島2軍打撃コーチが新任
https://www.sponichi[...]
2022-10-14
[48]
웹사이트
2023コーチングスタッフに関して
https://www.rakutene[...]
2022-11-12
[49]
뉴스
【楽天】奈良原育成総合コーチ退団、本人から球団に申し出 20年2軍監督でイースタン優勝導く
https://www.nikkansp[...]
2023-10-18
[50]
웹사이트
新入団コーチのお知らせ
https://www.softbank[...]
2023-10-31
[51]
간행물
西武・辻発彦と奈良原浩の内野手論 『見えないファイン・プレー』の美学
『現代』
1994-03
[52]
간행물
NOMOを語る オレステス・デストラーデ『バッティングのことなら教えるよ』。
『Sports Graphic Number』
1995-08-20
[53]
웹사이트
(15716) Narahara = 1989 WY1 = 2000 BD29
https://minorplanetc[...]
MPC
[54]
간행물
신 야구낭만 : 남자들의 시 23회 - 승리의 스파이스 나라하라 히로시 = 가령 작은 체구라도 노력하면 프로 야구에서 통한다는 기분이 되었다
《[[슈칸 베이스볼]]》
2002-10-21
[55]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2002-10-21
[56]
뉴스
아사히 신문
1986-03-31
[57]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88-11-04
[58]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89-05-27
[59]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89-06-10
[60]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89-10-27
[61]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90-05-24
[62]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90-10-26
[63]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90-12-21
[64]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2002-10-21
[65]
웹사이트
1991년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1차전)
http://bis.npb.or.jp[...]
[66]
간행물
베이스볼 르네상스 1993 클로즈 업 : 나라하라 히로시 = 다른 선수가 달려들어 잡는 타구를 정면에서 처리한다
《[[Sports Graphic Number]]》
1993-01-20
[67]
웹사이트
1992년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3차전)
http://bis.npb.or.jp[...]
[68]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92-12-05
[69]
웹사이트
1993년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1차전)
http://bis.npb.or.jp[...]
[70]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94-05-08
[71]
뉴스
아사히 신문
1997-10-31
[72]
간행물
BASEBALL : 세이부 야구의 분위기를 아는 계투 투수 나라하라 히로시가 닛폰햄에 가져다 준 효과
Sports Graphic Number
1998-07-30
[73]
서적
일본 프로 야구 트레이드 대감 1936-2001
베이스볼 매거진사
[74]
간행물
신천지 1년째를 되돌아 보는 나라하라 히로시 - 염원이던 시즌 풀 출장도 ‘기쁨’과 ‘아쉬움’의 1년
슈칸 베이스볼
1998-10-26
[75]
뉴스
마이니치 신문
1998-11-24
[76]
뉴스
요미우리 신문
1998-12-01
[77]
뉴스
요미우리 신문
2000-09-24
[78]
뉴스
마이니치 신문
2000-11-09
[79]
뉴스
요미우리 신문
2002-02-23
[80]
뉴스
마이니치 신문
2002-12-05
[81]
뉴스
아사히 신문
2005-09-30
[82]
뉴스
아사히 신문
2006-06-21
[83]
웹사이트
スポニチ 日めくりプロ野球 【9月19日】2006年 移籍1号本塁打、と思いきや…奈良原浩 幻の大飛球
http://www.sponichi.[...]
2011-09-19
[84]
웹사이트
2006년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
http://bis.npb.or.jp[...]
[85]
뉴스
아사히 신문
2006-10-31
[86]
뉴스
아사히 신문
2011-10-23
[87]
뉴스
아사히 신문
2011-11-11
[88]
웹사이트
西武「守乱」の責任とり奈良原コーチ退団
http://www.tokyo-spo[...]
2016-09-29
[89]
웹사이트
中日、奈良原氏がコーチ就任「スキのない野球を浸透させたい」
http://www.daily.co.[...]
2016-10-13
[90]
간행물
세이부 쓰지 하쓰히코와 나라하라 히로시의 내야수론 “안보이는 파인플레이”의 미학
겐다이
1994-03
[91]
간행물
NOMO를 말한다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배팅이라면 가르쳐 주겠어”
Sports Graphic Number
1995-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