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리어는 오스칸어와 고대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언어로, 중세 나폴리 왕국의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오늘날까지도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이탈리아어와 어휘를 공유하지만 발음 및 문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나폴리어는 다양한 방언을 포함하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남부 이탈리아어의 한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에 걸쳐 이탈리아 이민으로 인해 미국, 캐나다 등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영어의 영향으로 변화를 겪기도 했다. 두 시칠리아 독립 운동가들은 나폴리어의 위상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이탈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이탈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지암바티스타 바실레, 나폴리어로 된 펜타메로네의 저자. 여기에는 라푼젤과 신데렐라의 가장 오래된 판본이 포함되어 있다.
나폴리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남부 이탈로-로망스어의 일부로 간주된다. 그 발전 과정은 이탈리아어 및 다른 로망스어와 유사하게 민중 라틴어에서 시작되었으나, 라틴어 이전 시대 이탈리아 반도 남부에서 사용된 오스칸어의 기층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는 단어 시작이나 모음 사이의 'd' 음이 'r' 음으로 변하는 로타시즘(예: ''vedé'' "보다" → ''veré''), 자음군 /nd/가 /nn/으로 동화되는 현상(예: 이탈리아어 ''mondo'' "세계" → ''munno''), /mb/가 /mm/으로 변하는 현상(예: 이탈리아어 ''tamburo'' "북" → ''tammuro'') 등에서 나타난다.[4] 또한, 9세기까지 나폴리 지역에서 사용된 그리스어의 영향도 받았다. 이 외에도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프랑코-프로방스어와 같은 다른 로망스어, 게르만어파 언어의 영향도 받았다.
나폴리어는 풍부한 문학, 음악, 연극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암바티스타 바실레는 나폴리어로 펜타메로네를 저술했으며, 이 작품에는 라푼젤과 신데렐라의 가장 오래된 판본이 포함되어 있다. 에두아르도 스카르페타와 그의 아들 에두아르도 데 필리포, 살바토레 디 자코모, 그리고 배우 토토 역시 나폴리어를 사용한 작품 활동으로 유명하다. 20세기 중반 레나토 카로소네의 음악을 비롯하여, 피노 다니엘레, 누오바 콤파니아 디 칸토 포폴라레 등의 음악가들을 통해 나폴리어는 대중음악에서도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유명한 칸초네인 "오 솔레 미오"나 "돌아와 소렌토로"의 원 가사도 나폴리어로 쓰여졌다.
이탈리아 내에서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다.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에서는 2003년부터 캄파니아 방언학 강좌를 개설하여 나폴리어의 역사, 용법, 문학, 사회적 역할을 연구하고 있다. ISO 639-3 언어 코드는 ''nap''이다.
2. 1. 표기법
근대 이전까지 나폴리어는 통일된 표기법이 없었다. 이 언어는 표준화된 적이 없으며, 예를 들어 '나무'라는 단어는 arberonap, arveronap 및 àvaronap의 세 가지 다른 철자가 있다.[4] 이러한 비표준화로 인해 같은 단어라도 여러 철자가 존재했다.
최근 알도 올리비에리(Aldo Oliveri) 교수 등 언어학자들의 노력으로 문법 및 표기법 정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나폴리어 정서법은 22개의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이는 이탈리아어 정서법과 매우 유사하지만, 외래어에 사용될 경우를 제외하고는 'k', 'w', 'x', 'y'를 포함하지 않는다. 반면, 이탈리아어와 달리 'j'는 나폴리어 표기법에 포함된다.
3. 음운
나폴리어는 22개의 라틴 알파벳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이는 이탈리아어 표기와 매우 유사하지만, 'k', 'w', 'x', 'y'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 'j'를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외래어 표기를 위해 다른 문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나폴리어는 이탈리아어와 어휘를 상당 부분 공유하지만, 발음상의 차이 때문에 이탈리아어 화자에게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가장 두드러진 음운적 특징 중 하나는 강세가 없는 모음이 슈와(ə, 영어 'about'의 'a'와 비슷한 소리)로 약화되는 현상이다. 이는 나폴리어와 표준 이탈리아어를 구분하는 중요한 차이점이다. 이탈리아어에서는 단어 끝 모음의 변화로 단어의 성과 수를 구별하는 경향이 있지만, 나폴리어에서는 이 모음들이 슈와로 약화되어 강세 모음의 변화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발음 차이, 특히 슈와화 현상은 나폴리어 이해의 장벽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강세 없는 모음을 슈와로 발음하지 않고 표준 이탈리아어처럼 발음하여 '나폴리 악센트'가 있는 이탈리아어를 구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폴리어의 모음 체계는 표기상 5개의 모음 글자(a, e, i, o, u)를 사용하지만, 실제 발음되는 모음 소리는 8개이다. 특히 강세가 오는 'e'와 'o'는 각각 폐모음(닫힌 소리)과 개모음(열린 소리)으로 구별되어 발음될 수 있다. 자음 역시 이탈리아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나폴리어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와 그 주변 지역, 그리고 우루과이 전역에서 사용되는 리오플라텐스 스페인어의 억양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5]
u는 항상 폐모음으로, 영어 boot의 oo처럼 발음된다. ([u]) 단어 처음에 오거나 다른 모음 앞에 올 때는 반모음 w(영어 well의 w 소리)처럼 발음될 수 있다.
나폴리어 발음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강세 없는 모음이 슈와(ə, 영어 'about'의 'a'나 'upon'의 'u'와 비슷한 소리)로 약화되는 현상이다. 이는 이탈리아어와의 중요한 음운론적 차이점이다. 이탈리아어에서는 단어 끝의 모음('a', 'e', 'o')이 비교적 명확하게 발음되어 단어의 성과 수를 구별하는 데 기여하지만, 나폴리어에서는 이 모음들이 슈와로 약화된다. 대신 나폴리어에서는 강세가 있는 모음의 변화를 통해 성과 수를 구별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에서는 남성형 'lung'''o'''(긴)'와 여성형 'lung'''a'''(긴)'가 마지막 모음으로 구별되지만, 나폴리어에서는 남성형 'l'''uo'''ngo'(ˈlwoŋɡə)와 여성형 'l'''o'''nga'(ˈloŋɡə) 모두 마지막 모음이 슈와로 발음되고, 대신 강세 모음('uo' 대 'o')이 달라져 성을 구별한다.
이러한 발음상의 차이, 특히 슈와화 현상은 나폴리어를 모르는 사람이 들었을 때 이탈리아어와의 연관성을 즉시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나폴리어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와 그 주변 지역, 그리고 우루과이 전역에서 사용되는 리오플라텐스 스페인어의 억양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5]
e 또는 i 앞에 오면 영어 share의 sh(ʃ)와 chore의 ch(t͡ʃ) 사이의 소리로 발음되며, 특히 모음 사이에 올 때 그러함. 그 외의 경우에는 영어 skip의 k처럼 무기음 k로 발음됨(call의 c처럼 유기음이 아님). 두 경우 모두 n 다음에는 유성음(d͡ʒ 또는 ɡ)으로 발음됨.
이러한 오스칸어 기층의 영향 외에도, 나폴리어는 다른 로망스어(특히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프랑코-프로방스어), 게르만어파, 그리고 고대 및 현대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언어 접촉의 결과물이다. 다만, 오스칸어 기층이 음운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주장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4. 문법
스캄피아 카니발의 나폴리어 텍스트. 정관사 에 유의해야 한다.
나폴리어의 정관사(영어의 "the"에 해당)는 여성 단수형 anap, 남성 단수형 onap, 그리고 남녀 모두의 복수형 inap이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단수
복수
남성
’onap
’enap
여성
’anap
’enap C:
중성
’onap C:
없음
C: = 뒤따르는 단어의 첫 자음이 통사적 중복 현상에 따라 길게 발음된다(뒤에 모음이 올 경우).
이 정관사들은 항상 명확하게 발음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서는 남성과 여성, 단수와 복수 모두에 l’nap 또는 ll’nap가 사용된다. 두 형태 모두 쓰이지만, ll’nap 형태가 훨씬 더 일반적이다.
나폴리어에서 명사의 성은 정관사만으로 쉽게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onap는 남성 단수형 또는 중성 단수형일 수 있는데(나폴리어에는 중성 복수형이 없다), 중성 명사 앞에 쓰일 때는 뒤따르는 명사의 첫 자음이 통사적 중복 현상으로 길게 발음된다. 예를 들어, 언어 이름은 항상 중성이므로 ’o nnapulitanonap는 나폴리어를 의미하지만, 자음 중복이 없는 ’o napulitanonap는 나폴리 사람(남성)을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enap는 남성 또는 여성 복수형일 수 있다. 여성 복수형 명사 앞에 쓰일 때는 뒤따르는 명사의 첫 자음이 통사적 중복 현상으로 길게 발음된다. 예를 들어, ’a listanap("목록", 여성 단수)의 복수형은 ’e llistenap가 된다.
단수형이 enap로 끝나는 명사도 주의해야 한다. 복수 명사는 성별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enap로 끝나기 때문에, 남성 복수형은 철자를 바꾸어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소년" 또는 "소녀"를 의미하는 guaglionenap는 다음과 같이 변한다.
단수
복수
남성
’o guaglionenap (소년)
’e guagliunenap (소년들)
여성
’a guaglionanap (소녀)
’e gguaglionenap (소녀들)
나폴리어의 부정관사(영어의 'a'나 'an'에 해당)는 다음과 같다.
남성
여성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
nunap
nanap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
n’nap
4. 1. 통사적 중복 (Raddoppiamento sintattico)
나폴리어에서는 특정 단어 뒤에 오는 단어의 첫 자음이 길게 발음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통사적 중복(이탈리아어: raddoppiamento sintattico)이라고 한다. 이는 이탈리아어 음운론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통사적 중복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
여성 복수 명사 앞에 여성 복수 정관사 `’enap` 또는 여성 복수 형용사가 올 때: 예) `’e (s)seggenap` (의자들)
중성 단수 명사 앞에 중성 단수 정관사 `’onap` 또는 중성 단수 형용사가 올 때: 예) `’o (p)panenap` (빵)
이 외에도 여러 단어가 뒤따르는 단어의 첫 자음 중복을 유발한다.
나폴리어로 “나는 미쳤다”라는 뜻의 가 적힌 티셔츠를 입은 비올라 카로팔로. 동사 는 뒤따르는 단어의 자음 중복을 유발한다.
접속사: '''`enap`''' (그리고), '''`nénap`''' (…도 아니다) (예: `pane e (c)casonap` - 빵과 치즈; `né (p)pane né (c)casonap` - 빵도 치즈도 아니다). 단, '''`onap`''' (또는)는 중복을 유발하지 않는다 (예: `pane o casonap` - 빵 또는 치즈).
부정어: '''`nunap`''' (`nunnap`의 축약형) (예: `nu (d)dicere nientenap` - 아무 말도 하지 마라).
부정대명사: '''`ognenap`''' (모든), '''`cocchenap`''' (어떤) (예: `ogne (c)casanap` - 모든 집; `cocche (c)cosanap` - 어떤 것).
의문사 및 관계사: '''`chenap`''' (무엇, 어떤) (예: `che (p)piense?nap` - 무슨 생각해?; `che (f)femmena!nap` - 정말 대단한 여자!; `che (c)capa!nap` - 정말 똑똑하군!). 단, '''`canap`'''는 중복을 유발하지 않는다.
부사: '''`accussínap`''' (그렇게) (예: `accussí (b)bellonap` - 그렇게 아름다운), '''`lloconap`''' (거기에) (예: `lloco (s)sottonap` - 저 아래에).
동사 `essere` (이다): '''`so’nap`''' (나는 ~이다), '''`sînap`''' (너는 ~이다), '''`ènap`''' (그/그녀/그것은 ~이다) (예: `je so’ (p)pazzonap` - 나는 미쳤다; `tu sî (f)fessonap` - 너는 바보다; `chella è (M)Marianap` - 그녀는 마리아다; `chilli so’ (c)cafunenap` - 그들은 촌뜨기다). 단, '''`songonap`''' (그들은 ~이다)는 중복을 유발하지 않는다 (예: `chilli songo cafunenap`).
동사 `stà` (있다, ~하다): '''`sto’nap`''' (나는 ~하고 있다) (예: `sto’ (p)parlannonap` - 나는 말하고 있다).
동사 `puté` (할 수 있다): '''`puònap`''', '''`pônap`''' (그/그녀/그것은 ~할 수 있다) (예: `isso pô (s)sapénap` - 그는 알 수 있다).
비교급: '''`chiúnap`''' (더) (예: `chiú (p)poconap` - 더 적게).
숫자: '''`trenap`''' (셋) (예: `tre (s)seggenap` - 의자 세 개).
중성 대명사: '''`’onap`''' (그것을) (예: `’o (t)tiene ’o (p)pane?nap` - 빵 가지고 있니?).
지시 형용사 (부정 수량의 중성 명사 지시): '''`chistunap`''' (이), '''`chillunap`''' (저) (예: `chistu (f)fierronap` - 이 철; `chillu (p)panenap` - 저 빵). 단, 정확한 수량을 가리킬 때는 중복이 일어나지 않는다 (예: `Chistu fierronap`; `chillu panenap`).
복수 여성 대명사: '''`’enap`''' (그녀들을, 그것들을) (예: `’e (g)guaglione ’e (c)chiamme tu?nap` - 그 소녀들을 네가 부르니?).
동사 앞에 오는 복수 남성 대명사: '''`’enap`''' (그들을) (예: `’e guagliune ’e (c)chiamme tu?nap` - 그 소년들을 네가 부르니? 에서 두 번째 `'enap`).
중복을 유발하는 단어 뒤에 짧은 멈춤(pause)이 있을 때: 예) `tu sî (g)guaglionenap` ("너는 소년이다")에서는 `sînap`가 중복을 유발하지만, `’e do sî, guaglió?nap` ("어디 출신이니, 소년아?")에서는 중복이 일어나지 않는다.
중복될 자음 앞에 다른 자음이 올 때 (`l` 또는 `r`은 제외): 예) `’o ttalianonap` ("이탈리아어", 중성)는 중복되지만, `’o spagnuolonap` ("스페인어", 중성)는 `sp`로 시작하므로 중복되지 않는다.
통사적 중복은 발음상의 현상이며, 철자에는 반드시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이탈리아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예: `la casait`는 중복 없음, `a (c)casait` - 집에, `io e (t)teit` - 나와 너).
5. 방언
나폴리어는 여러 방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나폴리어'라는 용어를 캄파니아 지역의 방언에만 한정해야 한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들 방언은 일반적으로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강력한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고 있다. 에스놀로그와 같은 언어 분류 기관에서는 캄파니아 방언과 북 칼라브리아 방언을 묶어 '나폴리-칼라브리아어'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처럼 나폴리어 방언의 범위와 분류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5. 1. 주요 방언군
나폴리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에서는 "나폴리어는 캄파니아 방언만을 가리킨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나폴리어는 중부 이탈리아어처럼 강력한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고 있어 방언 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역사적으로 나폴리 왕국 시대에 하나의 정치적 공동체였다는 배경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언어학자들은 남이탈리아 지역의 방언들을 하나의 언어, 즉 '남이탈리아어'로 묶을 수 있다고 보며, 이때 '나폴리어'라는 용어를 넓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에스노로그에서는 캄파니아 방언과 북 칼라브리아 방언을 합쳐 '''나폴리-칼라브리아어'''라는 새로운 분류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서로 특별히 가깝지 않은 두 방언을 묶음으로써, 나폴리어 계열 방언들 간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다는 점을 시사한다. 두 시칠리아 문화 협회는 나폴리어 방언 간에 우열은 없으며, 특정 방언을 별개 언어로 취급하려는 시각은 "고향에 대한 편애" 이상의 의미를 두기 어렵다고 평가한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걸쳐 남부 이탈리아인들이 대규모로 이주하면서, 이탈리아 디아스포라 공동체, 특히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멕시코, 베네수엘라 등지에 많은 나폴리어 사용자가 생겨났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전통적인 나폴리어가 영어의 영향을 받고, 함께 이주한 시칠리아 및 칼라브리아 출신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시칠리아어와 접촉하면서 변화를 겪었다. 이로 인해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는 나폴리어는 나폴리 현지의 현대 나폴리어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2세대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나폴리어 단어 대신 영어 단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한편, 이탈리아 본토에서도 일상 대화에서 표준 이탈리아어가 나폴리어를 점차 대체하면서 표준 이탈리아어가 나폴리어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6. 1. 지위
현재 이탈리아 국내에서 나폴리어는 공용어 등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받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에서 가르치지도 않는다. 그러나 나폴리어 교육을 진흥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나폴리 대학교에서는 나폴리어 관련 강좌가 마련되어 있다.
6. 2. 두 시칠리아 독립 운동과의 관계
두 시칠리아 독립 운동을 추진하는 운동가들은 나폴리어의 권위 향상을 슬로건 중 하나로 내걸고 있다.
참조
[1]
뉴스
Tutela del dialetto, primo via libera al Ddl campano
http://www.denaro.it[...]
Il Denaro
2008-10-15
[2]
서적
Grammatica diacronica del napoletano
Max Niemeyer Verlag
[3]
서적
I dialetti della Campania
Il Calamo
[4]
백과사전
Campania
http://wpage.unina.i[...]
Routledge
2023-12-30
[5]
간행물
Convergence and intonation: historical evidence from Buenos Aires Spanish
http://journals.camb[...]
2004-08
[6]
서적
Italia
http://venus.unive.i[...]
Lincom Euro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