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16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64년은 남송 융흥 2년, 금 대정 4년, 일본 조칸 2년, 서하 천성 16년, 리 왕조 찐롱바오응 2년에 해당한다.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노르웨이의 호콘 2세,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가 즉위했다.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의 스토쿠 천황이 사망하고,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딸이 결혼했으며, 렌게오인이 건립되었다. 유럽에서는 헨리 2세가 클래런던 헌장을 통해 왕실 권한을 강화하려 했고, 토마스 베켓이 추방되었으며, 하림 전투가 벌어졌다. 이 해에 슈바벤 공작 프리드리히 5세, 일본의 로쿠조 천황 등이 태어났고, 윌리엄 오브 앙주, 후지와라노 타다미치, 대립교황 빅토르 4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164년

2. 연호

3. 기년

간지갑신
고려의종 18년
남송효종 2년
세종 4년
서하인종 25년
리 왕조영종 27년
단기3497년


4. 사건


  •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 노르웨이호콘 2세가 즉위했다.
  • 알폰소 8세가 카스티야 왕국의 왕이 되었다.
  • 사라센 해적이 바르셀로나를 공격했다.
  • 아일랜드데즈먼드와 문스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 잉글랜드 왕국헨리 2세스코틀랜드윌리엄 1세요크에서 만났다.
  • 마누엘 1세 콤네노스가 동로마 제국의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를 침공했다.
  • 사누키의 승려인 마나이가 사망했다.
  • 렌프루 전투: 노르드 게일 군대가 아일스 왕국의 지배자인 소머레드 경의 지휘하에 스코틀랜드를 침공했으나, 월터 피츠 앨런과 글래스고 교구 주교인 헐버트 오브 셀커크가 지휘하는 스코틀랜드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 1월 30일 - 잉글랜드의 국왕 헨리 2세는 자신의 고문 리처드 드 루시가 주로 작성한 클래런던 헌장을 통해 정신적 권한과 왕실의 관할권을 구분하려 시도한다.[1]
  • 11월 2일 - 토마스 베켓은 세속 법원의 권한을 놓고 헨리 2세와 다툰 끝에 법정 모독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프랑스로 추방된다.[1]
  • 봄 – 살라딘은 삼촌인 시르쿠 장군과 함께 누르 앗딘의 군대에 합류하여 파티마 칼리파국(현대 이집트)으로 파견된다. 누르 앗딘시리아의 통치자(''아타베그'')였다.[2]
  • 8월 12일 – 하림 전투: 누르 앗딘 휘하의 잔기군이 안티오키아의 보에몽 3세와 트리폴리 백작 레이몽 3세, 뤼지냥의 위그 8세를 격파하여 포로로 잡았다.
  • 알모라비 왕조가 지배하는 항구에 마르세유사보나를 포함한 여러 유럽 강대국의 상인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상업 조약이 체결되었다.[3]
  • 4월 20일 - 대립교황 빅토르 4세가 로마에서 사망하고, 대주교 라날트 폰 다셀의 영향으로 선출된 파스칼 3세가 뒤를 잇는다.
  • 8월 5일 - 웁살라가 스웨덴 대주교의 주교좌로 인정받아, 교황 알렉산데르 3세에 의해 초대 대주교 스테판이 즉위한다.
  • 노르웨이의 국왕 올라프 2세가 알렉산데르 3세에 의해 성 올라프로 시성되어 가톨릭 교회의 보편적으로 인정받는 성인이 된다.
  • 라날트 폰 다셀은 동방 박사의 유물을 밀라노에서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게 선물하기 위해 쾰른으로 가져온다.
  • 5월 2일 (장관 2년 4월 10일 (음력)) -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셋째 딸 타이라노 모리코가 관백 후지와라 모토자네의 아내가 되어 기타노만도코로를 칭한다.
  • 타이라노 시게모리, 정삼위에 서임되다.
  • 쿠죠 카네자네, 내대신이 되다.
  •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고시라카와 상황을 위해 렌게오인(蓮華王院)을 건립하다.
  •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헤이케노쿄를 이츠쿠시마 신사에 봉납하다.[6]

4. 1. 동아시아

4. 1. 1. 고려

4. 1. 2. 중국

4. 1. 3. 일본

4. 2. 유럽

4. 2. 1. 영국

1월 30일 - 잉글랜드의 국왕 헨리 2세는 자신의 고문 리처드 드 루시가 주로 작성한 클래런던 헌장을 통해 정신적 권한과 왕실의 관할권을 구분하려 시도했다.[1]

11월 2일 - 토마스 베켓은 세속 법원의 권한을 놓고 헨리 2세와 다툰 끝에 법정 모독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프랑스로 추방되었다.[1]

4. 2. 2. 스코틀랜드

렌프루 전투: 노르드 게일 군대가 아일스 왕국의 지배자인 소머레드 경의 지휘 아래 스코틀랜드를 침공했으나, 월터 피츠 앨런과 글래스고 교구 주교인 헐버트 오브 셀커크가 지휘하는 스코틀랜드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4. 2. 3. 레반트

4. 2. 4. 기타 지역

알모라비가 지배하는 항구에 마르세유사보나를 포함한 여러 유럽 강대국의 상인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상업 조약이 체결되었다.[3]

4. 3. 종교


  • 4월 20일 - 대립교황 빅토르 4세가 로마에서 사망하고, 대주교 라날트 폰 다셀의 영향으로 파스칼 3세가 뒤를 이었다.[1]
  • 8월 5일 - 알렉산데르 3세웁살라를 스웨덴 대주교의 주교좌로 인정하고, 스테판을 초대 대주교로 즉위시켰다.[2]
  • 노르웨이 국왕 올라프 2세가 알렉산데르 3세에 의해 성 올라프로 시성되어 가톨릭 교회에서 보편적으로 인정받는 성인이 되었다.[3]
  • 라날트 폰 다셀은 동방 박사의 유물을 밀라노에서 쾰른으로 가져와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게 선물했다.[4]

5. 탄생

1164년에 태어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7월 16일 -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의 아들 프리드리히 5세
  • 12월 28일 - 일본 로쿠조
  • 이탈리아 성직자이자 주교 풀크 오브 파비아
  • 일본 무사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 무어인 학자이자 의사 이븐 툼루스
  • 잉글랜드 귀족 여성 이자벨 드 볼레벡
  • 중국 관료이자 정치가 시 미위안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가인 아와타구치 타다요시
  • 타이라노 미치모리의 부인 고자이쇼
  • 남송 중기의 중신 쓰미위안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법친왕 지우에 법친왕
  • 몽골 제국의 거란족 장군 스마오 밍안
  • 헤이안 시대의 무장, 타이라노 시게모리의 넷째 아들 타이라노 아리모리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나카조 이에나가
  • 가마쿠라 막부의 관료 니카이도 유키미쓰

5. 1. 실존 인물


  • 7월 16일 – 프리드리히 5세,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의 아들
  • 12월 28일로쿠조, 일본 천황 (1176년 사망)
  • 풀크 오브 파비아, 이탈리아의 성직자이자 주교 (1229년 사망)
  •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일본의 무사 (1205년 사망)
  • 이븐 툼루스, 무어인 학자이자 의사 (1223년 사망)
  • 이자벨 드 볼레벡, 잉글랜드의 귀족 여성 (1245년 사망)
  • 시 미위안, 중국 관료이자 정치가 (1233년 사망)
  • 아와타구치 타다요시,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가인 (1225년 사망)
  • 고자이쇼, 타이라노 미치모리의 부인 (1184년 사망)
  • 쓰미위안, 남송 중기의 중신 (1233년 사망)
  • 지우에 법친왕,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법친왕 (1203년 사망)
  • 스마오 밍안, 몽골 제국의 거란족 장군 (1216년 사망)
  • 타이라노 아리모리, 헤이안 시대의 무장, 타이라노 시게모리의 넷째 아들 (1185년 사망)
  • 나카조 이에나가,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1236년 사망)
  • 니카이도 유키미쓰, 가마쿠라 막부관료 (1219년 사망)

5. 2. 가상 인물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6. 사망

6. 1. 실존 인물


  • 1월 30일 - 앙주의 윌리엄, 디에프의 자작 (1136년 출생)
  • 3월 13일 - 후지와라노 타다미치, 일본의 섭정 (1097년 출생)
  • 4월 20일 - 빅토르 4세, 로마의 대립교황 (1095년 출생)
  • 5월 16일 - 엘로이즈, 프랑스 학자이자 수녀원장
  • 5월 19일 - 바슈나, 이집트의 수도승이자 순교자
  • 6월 18일 - 쇤아우의 엘리자베스, 독일의 수녀원장
  • 9월 4일 - 헨리 2세, 리에주의 주교
  • 9월 14일 - 스토쿠, 일본의 천황 (1119년 출생)
  • 11월 11일 - 아미앵의 휴, 프랑스 대주교
  • 12월 23일 - 브릭센의 하르트만, 독일의 주교 (1090년 출생)
  • 12월 31일 - 오토카르 3세 폰 슈타이어, 슈타이어의 변경백 (1124년 출생)
  • 셀커크의 허버트, 스코틀랜드 주교이자 재상
  • 예루살렘의 호디에르나, 트리폴리의 백작 부인 (1110년 출생)
  • 츠비팔텐의 오르트리프, 독일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장
  • 장준, 중국의 재상 (1097년 출생)

6. 2. 가상 인물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참조

[1]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2] 서적 Osprey: Command 12 – Saladin Osprey
[3] 서적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VIIIe-XIIIe sièc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4] 논문 The Medieval Origins of the Financial Revolution
[5]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Momticelli http://www2.fiu.edu/[...]
[6] 웹사이트 平家納経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1-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