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는 300만 년 전 인류의 출현으로 시작되어, 코이산족과 반투족의 이동을 거쳐 유럽인의 도래와 식민 지배 시대를 맞이했다. 네덜란드와 영국의 갈등, 보어 전쟁을 겪으며 케이프 식민지를 거쳐 남아프리카 연방이 수립되었고, 이후 아파르트헤이트 시대를 겪으며 인종 차별 정책이 시행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는 종말을 맞이하고 무지개 국가를 꿈꾸며 넬슨 만델라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경제적 불평등, 치안 불안, 부패, 에너지 위기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2. 유럽 이민 이전

이 땅에 처음으로 인류가 출현한 것은 300만년 전 스테르크폰테인, 스와르트크란스, 크롬드라이 화석 호미니드 지역 및 주변지역의 인류화석 유적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이 발견되면서 부터이다. 이후 수렵 채집을 하던 코이코이족, 산족이 이 땅에 살고 있었지만, 카메룬 부근에서 반투계 민족이 남하하여, 코이코이족과 산족을 쫓아내거나 동화시키면서 서기 300년 경에는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트란스발까지 진출하여 1000년 경에는 그레이트피시 강 이북 선까지 왔다.[261] 그러나 반투는 열대 기원 작물을 주로 재배했기 때문에, 그레이트피시 강 이남에서는 기후가 맞지 않아 농작물을 기를 수 없었다. 그래서 그 이남에서는 코이코이족이 이전과 다름없는 수렵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그레이트피시 강 이북의 코사족, 나탈의 응구니족/Nguni people영어(줄루족 포함), 하이펠트/Highveld영어(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 지역에서는 소토족과 츠와나족 등이 철기를 사용하며, 농경과 목축을 영위하면서 작은 연맹체를 구성하고 있었다. 1050년부터 1270년 무렵까지는 국토 북단의 마풍브에서 고도의 도시 문명이 번성하고 있었다.[262]

마푸웅구브에 언덕

2. 1. 초기 인류

이 땅에 처음으로 인류가 출현한 것은 300만년 전 스테르크폰테인, 스와르트크란스, 크롬드라이 화석 호미니드 지역 및 주변지역의 인류화석 유적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이 발견되면서 부터이다.[8] 이후 수렵 채집을 하던 코이코이족 산족이 이 땅에 살고 있었지만, 카메룬 부근에서 반투계 민족이 남하하여, 코이코이족과 산족을 쫓아내거나 동화시키면서 서기 300년 경에는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트란스발까지 진출하여 1000년 경에는 그레이트피시 강 이북 선까지 왔다.[261] 그러나 반투는 열대 기원 작물을 주로 재배했기 때문에, 그레이트피시 강 이남에서는 기후가 맞지 않아 농작물을 기를 수 없었다. 그래서 그 이남에서는 코이코이족이 이전과 다르지 않은 수렵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그레이트피시 강 이북의 코사족, 나탈의 응구니족(줄루족 포함), 하이펠트(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 지역에서는 소토족과 츠와나족 등이 철기를 사용하며, 농경과 목축을 영위하면서 작은 연맹체를 구성하고 있었다. 1050년부터 1270년 무렵까지는 국토 북단의 마풍브에서 고도의 도시 문명이 번성하고 있었다.[262]

과학자들은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통칭되는 지역이 인류 진화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곳에는 적어도 250만 년 전부터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거주했다. 현생 인류의 정착은 클라시에스 강 동굴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약 125,000년 전 중석기 시대에 이루어졌다.[8] 최초의 인류 거주지는 남아프리카 남서부 지역에서 기원하여 현재까지 토착 코이산족(코이족과 산족)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DNA 그룹과 관련이 있다. 남아프리카는 이후 서기 초기에 반투족(반투어족 사용 민족)이 반투족의 이동을 통해 중앙 아프리카 서부 지역에서 이주해 오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레이몬드 다트 교수는 1924년, 최초로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의 표본인 251만 년 된 타웅 아이의 두개골을 발견했다. 다트의 뒤를 이어 로버트 브룸은 1938년 크롬드라아이에서 훨씬 더 튼튼한 신인류인 ''파란트로푸스 로부스투스''를 발견했으며, 1947년에는 스테르크폰테인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의 표본을 여러 개 더 발굴했다. 2002년 블롬보스 동굴에서 발견된 격자 또는 교차 해칭 패턴이 새겨진 돌은 약 7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호모 사피엔스''가 만든 추상 미술 또는 상징 미술의 가장 초기의 예시로 해석되었다.[9]

최근 수십 년 동안 훨씬 더 많은 종의 초기 인류가 발견되었다. 가장 오래된 것은 로널드 J. 클라크가 스테르크폰테인에서 발견한, 220만 년에서 330만 년 사이의 미지의 인류의 발뼈 모음인 리틀풋이다. 최근의 중요한 발견은 2008년에 발견된 190만 년 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이다. 2015년에는 요하네스버그 근처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호모'' 종인 ''호모 날레디''가 발견되었다고 발표되었다. 이는 현대 시대의 가장 중요한 고생물학적 발견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10]

2. 2. 코이산족과 반투족

이 땅에 처음으로 인류가 출현한 것은 300만 년 전 스테르크폰테인, 스와르트크란스, 크롬드라이 화석 호미니드 지역 및 주변지역의 인류화석 유적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이 발견되면서이다.[262] 이후 수렵 채집을 하던 코이코이족과 산족 (코이산족)이 이 땅에 살고 있었다.[11][12][13] 코이산족은 모계 하플로그룹 L0 (mtDNA)와 부계 하플로그룹 A (Y-DNA)로 묘사되며, 남아프리카 남서부 지역에서 기원했다. 산족은 수렵 채집인, 코이코이는 목축 유목민이었다는 직업의 차이가 있었다.[14][15][16]

반투족의 이동은 기원전 2천 년과 1천 년 사이에 아프리카 대륙의 상당 부분을 휩쓴 인류 선사 시대의 주요 인구 이동 중 하나였다.[23] 카메룬 부근에서 반투계 민족이 남하하여 코이코이족과 산족을 쫓아내거나 동화시켰다. 서기 300년 경에는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트란스발까지 진출하여 1000년 경에는 그레이트피시 강[261] 이북까지 도달했다.[262] 반투족은 열대 기원 작물을 주로 재배했기 때문에, 그레이트피시 강 이남에서는 기후가 맞지 않아 농작물을 기를 수 없었다. 그래서 그 이남에서는 코이코이족이 이전과 다름없는 수렵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그레이트피시 강 이북의 코사족, 나탈의 응구니족(줄루족 포함), 하이펠트 (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 지역에서는 소토족과 츠와나족 등이 철기를 사용하며 농경과 목축을 영위하며 소국으로 분립했다. 1050년부터 1270년경까지는 국토 북단의 마푸웅구브에에서 고도의 도시 문명이 번성했다[262].

루부부 강(오른쪽)과 림포포 강(멀리 왼쪽)의 범람원 조망


오늘날의 응구니족 (줄루족, 코사족, 스와지족, 은데벨레족)의 조상은 현재 남아프리카 동부 해안 근처에, 소토–츠와나족 (츠와나족, 페디족, 소토족)은 하이벨트로 알려진 고원 내부에,[25] 벤다족과 총가족은 현재 남아프리카 북동부 지역에 정착했다.

마풍구브 왕국은 서기 900년에서 1300년 사이에 남아프리카 최초의 토착 왕국이었다. 14세기에 기후 변화로 인해 버려지기 전까지 아대륙에서 가장 큰 왕국으로 발전했다. 대장장이는 지역 장식용과 대외 무역을 위해 철, 구리, 금으로 물건을 만들었다. 왕국은 동아프리카 항구를 통해 아라비아, 인도, 중국으로 무역을 통제했으며, 금과 상아를 중국 도자기와 페르시아 유리 구슬과 같은 수입품과 교환하여 남아프리카 전역에서 무역을 통제하여 부를 축적했다.[26]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토착 코이산족 민족 집단 간의 접촉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아직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지만, 몇몇 남부 반투어 (특히 코사어와 줄루어)가 코이산어의 많은 클릭 자음을 통합한다는 점에서 동화의 언어학적 증거가 존재한다.

3. 유럽인의 도래와 식민 지배

1488년, 바르톨로메우 디아스희망봉에 도착하면서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처음 도달했다.[263] 곧 바스코 다 가마가 더반 근처에 상륙하여 도착한 날짜를 따서 이 지역을 나탈(포르투갈어크리스마스)이라고 이름지었다. 그 후 100여 년 동안 유럽은 도시와 특산물이 없는 이 지역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해상 교통의 요충지였던 희망봉 주변에 보급 기지를 건설하자는 안이 당시 해상 교역의 우위에 있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서 나왔다.

1652년 4월 6일, 얀 반 리베크가 이끄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4척의 배가 테이블 만에 도착하고, 보급을 목적으로 한 정착촌을 건설했다.[28] 이곳을 케이프타운으로 이름지은 이후 개척의 거점이 되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당시 네덜란드어: ''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또는 VOC)는 1652년 케이프에 영구적인 정착지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동방으로 향하는 향신료 항로를 항해하는 주요 유럽 무역 회사 중 하나인 VOC는 이 지역을 식민지화할 의도가 없었고, 대신 지나가는 선박의 수리 및 보급품 재고를 위한 안전한 기지 캠프를 설립하기를 원했다.[25] 1657년에 처음 자유 정착민이 케이프에 정착하고 1683년에는 내륙 최초의 거점으로 스텔렌보스가 건설되었다. VOC는 무역선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프에 정착했다. 케이프와 VOC는 지나가는 선박에 공급하고 증가하는 VOC 정착지에 공급하기 위해 농장을 설립할 네덜란드 농부를 수입해야 했다. 이러한 농부들, 즉 자유 시민의 소규모 초기 그룹은 꾸준히 증가하여 농장을 북쪽과 동쪽으로 코이코이족의 영토로 확장하기 시작했다.[25] 1688년부터 1689년 사이, 낭트 칙령을 폐지해서 탄압을 받은 프랑스위그노 200 가족이 케이프에 이주한 이후 조금씩 정착을 진행하였다. 정착 과정에서 이민자들은 네덜란드인과 다른 소수 민족 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보어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얀 반 리베크의 도착


케이프타운의 창시자인 얀 반 리베크의 동상, 히렌그라흐트 거리에 있다.


희망봉 (Kasteel de Goede Hoop 네덜란드어), 케이프타운. 공식적으로 1652년에 설립된 카프스타드/케이프타운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지역이다.


얀 반 리베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식민지의 초대 사령관


케이프 사회는 케이프타운의 도시 사회와 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농원, 그리고 그곳에서 목축을 했던 사람(트렉보어)으로 크게 나뉘어 있었다. 트렉 보어들은 코이코이족을 내쫓으면서 오지로 진출하였다. 그러나 북쪽은 사막이고, 동쪽은 강력한 경쟁자인 코사족의 출현으로, 그들의 전진은 피시 강에서 멈췄고, 코사족과 1779년 일시적으로 교전 상태가 이어졌다.[263]

최초의 트렉보어


|thumb|right|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선박이 있는 테이블 만의 모습, c. 1683.]]

1787년, 프랑스 혁명 직전 네덜란드 공화국 내 애국당이 빌럼 5세의 정권 전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1794/1795년 프랑스의 네덜란드 침공으로 총독이 망명하고 바타비아 공화국이 선포되자, 영국은 큐 레터를 통해 식민지 총독들에게 영국에 항복할 것을 명령, 1795년 케이프를 점령했다.[33] 케이프는 1803년 네덜란드에 반환되었으나,[33] 1805년 영국이 나폴레옹 전쟁 중 전리품으로 획득, 다시 케이프를 점령했다.[25][34]

영국은 1806년 네덜란드어 사용을 금지하고,[35] 케이프 항복 조항을 통해 로마-네덜란드법의 지속을 허용했다.[36] 1815년 빈 회의에서 영국의 주권이 인정되었고, 네덜란드는 6백만 파운드를 지불받았다.[37][38] 1820년, 영국 당국은 약 5,000명의 영국 이민자를 그레이엄스타운과 포트 엘리자베스에 정착시켰다.

영국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인도를 향하는 무역로를 보호하려 했으나, 보어인과의 국경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5] 나폴레옹 전쟁 발발로 네덜란드의 케이프 지배는 막을 내렸고, 영국은 1795년 케이프를 점령, 1803년 아미앵 조약에 따라 바타비아 공화국에 반환했다가 1806년 다시 점령, 1814년 케이프 식민지를 발족했다.

샤카 줄루


동쪽 나탈에서는 줄루족의 샤카 줄루가 줄루 왕국을 건국하고 주변 부족을 침략했다. 줄루족의 팽창은 무페카네라 불리는 혼란을 야기했고, 1820년대부터 1830년대에 걸쳐 하이펠트 일대를 황폐화시켰다.[264]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영어가 공용어가 되고, 1820년 최초의 영국계 이민자가 도착했다. 1828년 총독령 50호 제정으로 1809년 호텐토트 조례가 폐지되어 보어인들의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었고, 1833년 노예제 폐지로 불만이 커졌다.[265]

그레이트 트렉


1834년 피터 레티프 등 보어인들은 그레이트 트렉을 시작, 1835년 나탈로 이동했다.[266] 보어인들은 은데벨레족을 격파하고 1838년 나탈에 도착, 줄루족의 기습을 받았으나 1838년12월 18일 블러드 강 전투에서 승리, 1839년10월 12일 나탈 공화국을 건국했다.

나탈 공화국은 혼란 끝에 1843년5월 12일 붕괴되었고, 보어인들은 오렌지 강 이북과 바알 강 이북에 정부를 수립했다. 영국은 1848년 오렌지 강 주권 국가를 건국했으나, 보어인과 소토인 등의 저항으로 1852년1월 17일 샌드 리버 협정으로 트란스발 공화국, 1854년2월 23일 블룸폰테인 협정으로 오렌지 자유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1800년대 중반부터, 당시 남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국가였던 희망봉은 영국으로부터 더 큰 독립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1854년에는 최초의 지역 선출 입법부인 케이프 의회가 부여되었다.

1872년, 오랜 정치적 투쟁 끝에 지역에서 책임을 질 행정부와 총리를 가진 책임 정부를 달성했다. 케이프는 실질적으로 자치 정부를 운영했지만 명목상으로는 대영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케이프 식민지는 남부 아프리카에서 인종에 근거한 어떠한 차별도 금지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했는데, 보어 공화국과는 달리 선거는 인종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투표 자격이 적용되는 비인종적 케이프 자격 선거권 제도를 통해 실시되었다.

처음에는 강력한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의 시기가 이어졌다. 그러나 남부 아프리카의 국가들을 영국 연방으로 강제 편입하려는 무지한 영국의 시도는 민족 간의 긴장을 초래했고, 제1차 보어 전쟁으로 이어졌다. 한편, 킴벌리 주변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고 트란스발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특히 야심 찬 식민주의자 세실 로즈의 권력 상승에 불을 붙이면서 나중에 불안정이 다시 나타났다. 케이프 총리였던 로즈는 다인종 선거권을 축소했고, 그의 팽창주의 정책은 제2차 보어 전쟁의 발판을 마련했다.[63]

3. 1. 케이프 식민지

1488년, 바르톨로메우 디아스희망봉에 도착하면서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처음 도달했다.[263] 곧 바스코 다 가마가 더반 근처에 상륙하여 도착한 날짜를 따서 이 지역을 나탈(포르투갈어크리스마스)이라고 이름지었다. 그 후 100여 년 동안 유럽은 도시와 특산물이 없는 이 지역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해상 교통의 요충지였던 희망봉 주변에 보급 기지를 건설하자는 안이 당시 해상 교역의 우위에 있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서 나왔다.

1652년 4월 6일, 얀 반 리베크가 이끄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4척의 배가 테이블 만에 도착하고, 보급을 목적으로 한 정착촌을 건설했다.[28] 이곳을 케이프타운으로 이름지은 이후 개척의 거점이 되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당시 네덜란드어: ''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또는 VOC)는 1652년 케이프에 영구적인 정착지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동방으로 향하는 향신료 항로를 항해하는 주요 유럽 무역 회사 중 하나인 VOC는 이 지역을 식민지화할 의도가 없었고, 대신 지나가는 선박의 수리 및 보급품 재고를 위한 안전한 기지 캠프를 설립하기를 원했다.[25] 1657년에 처음 자유 정착민이 케이프에 정착하고 1683년에는 내륙 최초의 거점으로 스텔렌보스가 건설되었다. VOC는 무역선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프에 정착했다. 케이프와 VOC는 지나가는 선박에 공급하고 증가하는 VOC 정착지에 공급하기 위해 농장을 설립할 네덜란드 농부를 수입해야 했다. 이러한 농부들, 즉 자유 시민의 소규모 초기 그룹은 꾸준히 증가하여 농장을 북쪽과 동쪽으로 코이코이족의 영토로 확장하기 시작했다.[25] 1688년부터 1689년 사이, 낭트 칙령을 폐지해서 탄압을 받은 프랑스위그노 200 가족이 케이프에 이주한 이후 조금씩 정착을 진행하였다. 정착 과정에서 이민자들은 네덜란드인과 다른 소수 민족 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보어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케이프 사회는 케이프타운의 도시 사회와 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농원, 그리고 그곳에서 목축을 했던 사람(트렉보어)으로 크게 나뉘어 있었다. 트렉 보어들은 코이코이족을 내쫓으면서 오지로 진출하였다. 그러나 북쪽은 사막이고, 동쪽은 강력한 경쟁자인 코사족의 출현으로, 그들의 전진은 피시 강에서 멈췄고, 코사족과 1779년 일시적으로 교전 상태가 이어졌다.[263]

|thumb|right|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선박이 있는 테이블 만의 모습, c. 1683.]]

1800년대 중반부터, 당시 남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국가였던 희망봉은 영국으로부터 더 큰 독립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1854년에는 최초의 지역 선출 입법부인 케이프 의회가 부여되었다.

1872년, 오랜 정치적 투쟁 끝에 지역에서 책임을 질 행정부와 총리를 가진 책임 정부를 달성했다. 케이프는 실질적으로 자치 정부를 운영했지만 명목상으로는 대영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케이프 식민지는 남부 아프리카에서 인종에 근거한 어떠한 차별도 금지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했는데, 보어 공화국과는 달리 선거는 인종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투표 자격이 적용되는 비인종적 케이프 자격 선거권 제도를 통해 실시되었다.

처음에는 강력한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의 시기가 이어졌다. 그러나 남부 아프리카의 국가들을 영국 연방으로 강제 편입하려는 무지한 영국의 시도는 민족 간의 긴장을 초래했고, 제1차 보어 전쟁으로 이어졌다. 한편, 킴벌리 주변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고 트란스발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특히 야심 찬 식민주의자 세실 로즈의 권력 상승에 불을 붙이면서 나중에 불안정이 다시 나타났다. 케이프 총리였던 로즈는 다인종 선거권을 축소했고, 그의 팽창주의 정책은 제2차 보어 전쟁의 발판을 마련했다.[63]

3. 2. 네덜란드와 영국의 갈등

1787년, 프랑스 혁명 직전 네덜란드 공화국 내 애국당이 빌럼 5세의 정권 전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1794/1795년 프랑스의 네덜란드 침공으로 총독이 망명하고 바타비아 공화국이 선포되자, 영국은 큐 레터를 통해 식민지 총독들에게 영국에 항복할 것을 명령, 1795년 케이프를 점령했다.[33] 케이프는 1803년 네덜란드에 반환되었으나,[33] 1805년 영국이 나폴레옹 전쟁 중 전리품으로 획득, 다시 케이프를 점령했다.[25][34]

영국은 1806년 네덜란드어 사용을 금지하고,[35] 케이프 항복 조항을 통해 로마-네덜란드법의 지속을 허용했다.[36] 1815년 빈 회의에서 영국의 주권이 인정되었고, 네덜란드는 6백만 파운드를 지불받았다.[37][38] 1820년, 영국 당국은 약 5,000명의 영국 이민자를 그레이엄스타운과 포트 엘리자베스에 정착시켰다.

영국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인도를 향하는 무역로를 보호하려 했으나, 보어인과의 국경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5] 나폴레옹 전쟁 발발로 네덜란드의 케이프 지배는 막을 내렸고, 영국은 1795년 케이프를 점령, 1803년 아미앵 조약에 따라 바타비아 공화국에 반환했다가 1806년 다시 점령, 1814년 케이프 식민지를 발족했다.

동쪽 나탈에서는 줄루족의 샤카 줄루가 줄루 왕국을 건국하고 주변 부족을 침략했다. 줄루족의 팽창은 무페카네라 불리는 혼란을 야기했고, 1820년대부터 1830년대에 걸쳐 하이펠트 일대를 황폐화시켰다.[264]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영어가 공용어가 되고, 1820년 최초의 영국계 이민자가 도착했다. 1828년 총독령 50호 제정으로 1809년 호텐토트 조례가 폐지되어 보어인들의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었고, 1833년 노예제 폐지로 불만이 커졌다.[265]

1834년 피터 레티프 등 보어인들은 그레이트 트렉을 시작, 1835년 나탈로 이동했다.[266] 보어인들은 은데벨레족을 격파하고 1838년 나탈에 도착, 줄루족의 기습을 받았으나 1838년12월 18일 블러드 강 전투에서 승리, 1839년10월 12일 나탈 공화국을 건국했다.

나탈 공화국은 혼란 끝에 1843년5월 12일 붕괴되었고, 보어인들은 오렌지 강 이북과 바알 강 이북에 정부를 수립했다. 영국은 1848년 오렌지 강 주권 국가를 건국했으나, 보어인과 소토인 등의 저항으로 1852년1월 17일 샌드 리버 협정으로 트란스발 공화국, 1854년2월 23일 블룸폰테인 협정으로 오렌지 자유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3. 3. 그레이트 트렉과 보어 공화국

유럽에서 나폴레옹 전쟁이 발발하면서 네덜란드케이프 식민지 지배는 막을 내렸다. 영국1795년 케이프를 점령하고 1803년 아미앵 조약에 따라 바타비아 공화국에 반환했지만, 1806년 다시 점령하여 1814년 정식으로 영국령 케이프 식민지가 되었다.

당시 동쪽 나탈에서는 응구니에(Ngounie) 부족의 일부였던 줄루족의 샤카 줄루가 줄루 왕국을 건설하고 주변으로 침략을 시작했다. 줄루족은 단창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여 인근 부족을 제압했다. 이들은 내부적으로 공포 정치를 펼치고 외부에는 약탈과 폭행을 일삼아 주변 민족들이 대이동을 시작했다. 은데벨레족, 코로로족, 응고니족, 샹간족 등은 멀리 도피했고, 스와지족(오늘날의 에스와티니)과 소토족(오늘날의 레소토)은 거주 지역 방어를 굳혀 국가를 성립했다. 이러한 혼란을 "음페카네"(Mfecane)라고 부르며, 1820년대에서 1830년대에 걸쳐 하이펠트 일대는 황폐화되었다.[264]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영국인과 보어인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케이프의 공용어는 영어가 되었고, 1820년 최초의 영국계 이민자가 도착했다. 1828년 총독령 50호 제정으로 1809년 시행된 호텐토트 조례가 폐지되어 보어인들 사이에 노동력 부족 현상이 일어났고, 1833년 대영제국 전역에서 노예제가 폐지되면서 특히 노예 의존도가 높은 동케이프에서 불만이 커졌다.[265]

1834년 피터 레티프 등 동케이프의 보어인 유력자들은 그레이엄스타운(Grahamstown)에 집결하여 영국의 간섭을 피하고자 나탈 이동을 결정하고, 1835년 이동을 시작했다. 이를 그레이트 트렉이라고 한다.[266] 당시 내륙은 음페카네로 피폐해져 보어인들은 빠르게 세력을 넓혔다.[266] 1838년 1월 28일 나탈에 도착한 보어인 본대는 줄루족의 기습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1838년 12월 18일 블러드 강 전투에서 줄루족을 격파하고 1839년 10월 12일 나탈 공화국을 건국했다.

나탈 공화국은 혼란 끝에 1843년 5월 12일 붕괴되었다. 보어인들은 내륙으로 이동하여 오렌지 강 이북과 바알 강 이북에 정부를 수립했다. 영국은 1848년 오렌지 강 주권 국가를 건국해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보어인과 소토인 등의 저항에 부딪혀 1852년 1월 17일 샌드 리버 협정으로 트란스발 공화국(정식 명칭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1854년 2월 23일 블룸폰테인 협정으로 오렌지 자유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4. 보어 전쟁

19세기 남아공화국


제1차 보어전쟁


그레이트 트렉 이후, 이 지역에는 4개의 백인계 정부(트란스발 공화국, 오렌지 자유국, 케이프 식민지, 나탈 식민지)와 몇몇 흑인 왕국이 병존하게 되었다.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1853년에 의회가 설립되어, 영국령 내의 자치 식민지로 가는 길이 열렸다. 영국은 케이프를 인도가 아닌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와 동일하게 취급하기로 결정하고, 재산에 따른 제한 선거제가 시행되었다.[267] 이는 비인종적인 것으로, 전 인종 동일 금액의 일정액의 납세가 있으면 컬러드도 흑인도 선거권을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양 인종의 유권자는 총 유권자의 15%를 넘는 일은 케이프 식민지의 역사를 통틀어 한 번도 없었고, 양 인종 대표의 의원도 나타나지 않았다.[268] 영국계 이민은 계속되었지만, 이 지역에서는 보어인이 다수파의 지위를 계속 유지했다.

나탈 식민지는 다른 3개의 식민지와는 다른 역사를 걸었다. 나탈 공화국 멸망 시 보어인의 대부분이 이 땅을 탈출하여 내륙으로 향했고, 이후 식민지 정부가 영국인 이민을 장려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백인의 대다수를 영국계가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해안 지역에서의 플랜테이션 노동력으로 영국령 인도에서 다수의 인도인이 이주해 왔다.

오렌지 자유국에서는 정부가 중앙 집권적이고 안정적이었다. 단원제 의회는 백인 한정이었지만 보어인 한정은 아니었고,[269] 정부 내에서 눈에 띄는 대립도 없었다. 제3대 대통령에는 요하네스 마르티누스 프레토리우스(안드리스의 아들)가 취임했다. 그는 초대 트란스발 공화국의 대통령이었으며, 양국 대통령을 겸임하여 통일을 목표로 했지만, 트란스발의 반발로 인해 트란스발 대통령직을 사임하게 되어, 양국의 통일은 멀어졌다. 제4대 J・H・브란트 대통령 시대에, 오렌지 자유국은 최성기를 맞이했다. 국내 제도가 정비되었고, 1869년에는 동쪽의 소토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칼레돈 강 서쪽의 비옥한 땅을 빼앗았다. 1871년에 각국의 분쟁 지역이었던 킴벌리에서 다이아몬드 광맥이 발견되었을 때, 오렌지 자유국은 킴벌리의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영국의 지원을 받은 서 그리칼란드에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

트란스발 공화국에서는 정권이 안정된 적이 없었다. 각지의 유력자들이 대립을 반복하고, 정부 기구는 미숙하고 행정 능력은 낮아, 몇 차례 파벌 간의 내전이 일어났다.[270] 1870년대에 들어서면서 재정이 압박을 받게 되고, 이를 틈탄 영국에 의해 1877년에 트란스발은 점령되어, 동국의 역사는 일단 종언을 맞이한다. 그러나 1879년의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영국군이 줄루족에게 완패하자 폴 크루거를 중심으로 한 저항 운동이 활발해지고, 1881년의 마주바 언덕 전투에서 주베르 장군이 이끄는 트란스발군은 영국을 격파[271]。같은 해, 트란스발은 재독립을 달성했다. (제1차 보어 전쟁)

1886년, 트란스발 중앙부, 현재의 요하네스버그에서 이 발견되면서 골드 러시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트란스발의 경제는 호전되었고, 트란스발은 급속도로 남아프리카 경제의 중심지가 되어갔다. 그러나 트란스발 대통령 폴 크루거는 유입된 백인에게 선거권을 인정하지 않고, 14년 이상 트란스발에 거주한 백인[272]에게만 선거권을 인정하여 백인 사회에 불만이 쌓였다.

세실 로즈. 동시대 풍자화


한편,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세실 로즈가 수상으로 취임했다. 킴벌리에서 다이아몬드 채굴로 재산을 모은 로즈는, 금으로 윤택해진 트란스발의 재병합을 획책했다. 1895년, 로즈는 제임슨에게 트란스발에서의 무장 쿠데타를 기획하게 했으나 실패했다. 이 제임슨 습격 사건으로 로즈는 실각했지만, 영국 본국의 식민지상 조지프 체임벌린과 케이프 총독 밀너 등은 여전히 병합을 획책했고, 영국인에 대한 불평등한 대우를 구실로 트란스발에 최후 통첩을 보냈다. 오렌지 자유국의 중재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1899년 10월 12일에 선전포고가 이루어져 보어 전쟁 (제2차 보어 전쟁)이 시작되었다. 트란스발 외에도, 마지막까지 중재를 시도했던 오렌지 자유국도, 국내 여론에 따라 트란스발 측에 서서 참전했다. 보어인과 영국의 전면전 양상을 띠게 되었다.

파괴된 보어인의 집


1899년 동안에는 보어 측이 공세를 펼쳤지만, 1900년에 들어서자 국력에서 우세한 영국이 공세로 전환하여, 3월 13일에는 오렌지 자유국의 수도 블룸폰테인을, 6월 5일에는 트란스발의 수도 프레토리아를 점령했다. 그러나 보어군은 게릴라전을 통해 저항을 계속했고,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이에 영국은 보어인을 강제 수용소로 보내 게릴라의 심파를 근절하는 작전에 나섰다. 이 강제 수용소에는 12만 명 전후의 보어인이 수용되었고, 2만 명 전후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사망했다고 한다.[273]

보어 측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양 공화국의 대표는 항전을 포기하고 조건 투쟁으로 전환했다. 양 공화국에서 네덜란드어의 공용어 지정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교육 및 법원에서의 네덜란드어 사용과 "상황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빨리" 양 식민지의 자치를 인정한다는 조건으로 협상이 성립되었다.[274] 1902년 5월 31일 페리니깅 조약에 의해, 트란스발과 오렌지는 독립을 잃었다.

4. 1. 제1차 보어 전쟁



트란스발 공화국은 영국이 남아프리카의 국가들을 영국 통치 하에 통합하려는 시도 과정에서 1877년 영국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었다.[118] 오랫동안 지속된 보어족의 불만은 트란스발에서 전면적인 반란으로 이어졌고, 1880년에는 보어 반란으로도 알려진 제1차 영국-보어 전쟁이 발발했다.[118] 이 분쟁은 마주바 언덕 전투 (1881년 2월 27일)에서 보어족의 결정적인 승리로 거의 즉시 종결되었다.

1870년대에 들어서면서 재정이 악화된 트란스발 공화국은 1877년에 영국에 의해 점령되어 그 역사가 일단 끝을 맺게 되었다.[270] 그러나 1879년의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영국군이 줄루족에게 완패하면서 폴 크루거를 중심으로 한 저항 운동이 활발해졌고,[271] 1881년의 마주바 언덕 전투에서 주베르 장군이 이끄는 트란스발군은 영국군을 격파하였다.[271] 같은 해, 트란스발은 ''Zuid-Afrikaansche Republiek'' ("남아프리카 공화국"), 즉 ZAR로 독립을 회복했다.[118]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인 폴 크루거는 1883년 ZAR의 대통령이 되었다.

한편, 마주바에서의 패배를 일시적인 실수로 여긴 영국은 남아프리카 식민지와 공화국을 연방으로 만들려는 열망을 굳건히 했다.[119] 그들은 이것이 백인 아프리카너 다수와 타협하고 이 지역의 더 큰 전략적 이익을 증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119]

영국-보어 전쟁의 원인은 비트바테르스란트 금광을 어느 국가가 통제하고 가장 많은 이익을 얻을 것인가에 대한 경쟁으로 여겨져 왔다.[120] 광산의 막대한 부는 주로 영국인 해외 관리자, 광산 감독, 엔지니어 및 기술 전문가를 감독하는 유럽 "란드로드"의 손에 있었으며, 보어족은 이들을 외국인이라는 의미의 ''uitlander''로 특징지었다. "외국인"들은 의회 대표와 투표권을 거부당한 것에 반대했고, 또한 정부의 면허 및 허가 발급 지연과 일반적인 행정 무능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121]

1895년, 세실 존 로즈가 소유한 로디지아 기반의 차터 컴퍼니에 고용된 용병 부대가 리앤더 스타 제임슨 대위의 지휘를 받아 비트바테르스란트에서 봉기를 일으켜 그곳에 영국 행정부를 설치하려는 의도로 ZAR에 진입했다. 이 무력 침공은 제임슨 습격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22] 침략 부대가 보어 코만도에게 매복되어 포로로 잡히면서 종료되었다. 크루거 대통령은 이 반란이 세실 존 로즈의 총리 재임 하의 케이프 식민지 정부의 묵시적인 승인을 받았으며 크루거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임박한 위험에 직면했다고 의심했다. 크루거는 이웃한 보어 공화국인 오렌지 자유국과 동맹을 맺는 것으로 대응했다.

4. 2. 제2차 보어 전쟁

1886년 트란스발 중앙부, 현재의 요하네스버그에서 이 발견되면서 골드 러시가 일어났다.[272] 이로 인해 트란스발의 경제는 호전되었고, 트란스발은 급속도로 남아프리카 경제의 중심지가 되어갔다. 그러나 트란스발 대통령 폴 크루거는 유입된 백인에게 선거권을 인정하지 않고, 14년 이상 트란스발에 거주한 백인에게만 선거권을 인정하여 백인 사회에 불만이 쌓였다.[272]

한편,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세실 로즈가 수상으로 취임했다. 킴벌리에서 다이아몬드 채굴로 재산을 모은 로즈는, 금으로 윤택해진 트란스발의 재병합을 획책했다. 1895년, 로즈는 제임슨에게 트란스발에서의 무장 쿠데타를 기획하게 했으나 실패했다. 이 제임슨 습격 사건으로 로즈는 실각했지만, 영국 본국의 식민지상 조지프 체임벌린과 케이프 총독 밀너 등은 여전히 병합을 획책했고, 영국인에 대한 불평등한 대우를 구실로 트란스발에 최후 통첩을 보냈다. 오렌지 자유국의 중재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1899년 10월 12일에 선전포고가 이루어져 보어 전쟁이 시작되었다. 트란스발 외에도, 마지막까지 중재를 시도했던 오렌지 자유국도, 국내 여론에 따라 트란스발 측에 서서 참전했다. 보어인과 영국의 전면전 양상을 띠게 되었다.[123]

1899년 동안에는 보어 측이 공세를 펼쳤지만, 1900년에 들어서자 국력에서 우세한 영국이 공세로 전환하여, 3월 13일에는 오렌지 자유국의 수도 블룸폰테인을, 6월 5일에는 트란스발의 수도 프레토리아를 점령했다. 그러나 보어군은 게릴라전을 통해 저항을 계속했고,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이에 영국은 보어인을 강제 수용소로 보내 게릴라의 심파를 근절하는 작전에 나섰다.

에밀리 홉하우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국군 강제 수용소의 끔찍한 상황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여 영국 여론이 전쟁에 반대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이 강제 수용소에는 12만 명 전후의 보어인이 수용되었고, 2만 명 전후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사망했다고 한다.[273][124] 영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 에밀리 홉하우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국군 강제 수용소를 방문하여 끔찍한 상황을 비난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124] 앵글로-보어 전쟁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모든 민족 집단에 영향을 미쳤으며, 17,182명의 흑인이 주로 케이프 강제 수용소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25]

보어 측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양 공화국의 대표는 항전을 포기하고 조건 투쟁으로 전환했다. 양 공화국에서 네덜란드어의 공용어 지정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교육 및 법원에서의 네덜란드어 사용과 "상황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빨리" 양 식민지의 자치를 인정한다는 조건으로 협상이 성립되었다.[274] 1902년 5월 31일 페리니깅 조약에 의해, 트란스발과 오렌지는 독립을 잃었다. 전쟁으로 인해 22,000명의 제국 군인과 7,000명의 공화국 군인이 사망했다.[126]

5. 남아프리카 연방



보어 전쟁 종결 후, 영국은 보어인 공화국을 밀너 총독의 강권 통치 하에 두었지만, 보어 전쟁 때 영국 내에서 고조된 비난에 의해 챔벌린은 사직하고 정권이 교체되었다. 새로운 정부는 이전 두 공화국에서 의회 설립과 선거의 실시를 인정했다. 1907년 2월 20일의 선거에서는 영국에 유리한 선거법이 도입되었지만, 광산왕이 인솔하는 친영파는 선거에서 대패하였다. 보어인은 선거로 단결하며, 오렌지 강 식민지의 지도자인 제임스 배리 뮤닉 허츠어크가 인솔하는 오렌지 동맹과 트란스발의 루이스 보타와 얀 스머츠가 인솔하는 헤트 국민당에게 투표하였다. 게다가 영국계의 친보어 정당이 노동자의 지원을 얻었기 때문에, 구보어인 공화국에 있어 보어파는 압도적 다수의 지지를 얻고 정권을 잡았다.[275] 1908년 2월의 케이프 식민지의 선거에서도 친보어파가 정권을 잡았다.

유니언 빌딩, 정부 행정 센터, 프리토리아,


영국-보어 전쟁 직후 몇 년 동안 영국은 이전 보어 공화국을 포함한 네 개의 식민지를 남아프리카 연방이라는 단일 자치 국가로 통합하기 시작했다. 이는 수년간의 협상 끝에 이루어졌으며, 1909년 남아프리카 법에 따라 케이프 식민지, 나탈, 트란스발, 오렌지 자유국이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었다. 이 법의 조항에 따라 연방은 영국 군주가 총독으로 대표하는 입헌 군주제 형태의 통치를 받는 영국 제국의 독립 자주 통치국이 되었다. 이러한 지위는 1926년 제국 회의에서 확인되고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발포어 선언을 통해 남아프리카를 포함한 자치령을 "영국 제국 내의 자율 공동체로서, 국내 및 대외 문제의 모든 측면에서 서로 종속되지 않고 지위가 동등하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27] 남아프리카 연방 법원에서의 기소는 국왕의 이름으로 제기되었으며, 정부 관리들은 국왕의 이름으로 복무했다. 영국 고등 판무관 영토인 바수톨란드 (현재 레소토), 베추아날란드 (현재 보츠와나), 스와질란드 (현재 에스와티니)는 영국으로부터 직접 통치를 받았다.[128]

1908년 더반에서 헌법 제정 준비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신국가의 국체는 국회의원은 백인 남성에게만 한정되며, 양원제이지만 하원의 힘이 강하고 단순 과반수로 헌법을 개정할 수 있어 사법이 입법을 견제할 여지가 거의 없는 것으로 결정되었다.[276]

흑인에게 투표권을 박탈하는 것을 포함한 다른 가혹한 분리주의 법률 중, 연방 의회는 1913년 원주민 토지법을 제정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흑인이 점유할 수 있는 토지를 8%로 제한했다.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백인은 토지의 90%를 소유했다. 토지법은 이후 90년 동안 합법적인 인종 차별의 초석이 되었다.[129]

|thumb|upright|다니엘 프랑수아 말란, 1934년부터 1953년까지 국민당 대표]]

루이 보타 장군이 새로운 연방의 첫 번째 정부를 이끌었고, 얀 스머츠 장군이 부통령을 맡았다. 그들의 ''남아프리카 국민당'', 이후 남아프리카 당 또는 SAP로 알려진 이 정당은 일반적으로 친영국, 백인 단결 노선을 따랐다. 더 급진적인 보어인들은 베리 헤르초크 장군의 지도 아래 분리되어 1914년에 국민당 (NP)을 결성했다. 국민당은 아프리카너의 이익을 옹호하며, 두 백인 집단의 분리 개발과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했다.[130]

연방 문제에 대한 영국의 영향력에 대한 불만은 1914년 9월에 절정에 달했는데, 이때 빈곤한 보어인, 반영국 보어인 및 ''강경파''가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은 진압되었고, 적어도 한 명의 장교가 사형을 선고받고 사격에 의해 처형되었다.[131]

1924년 아프리카너가 주도하는 국민당은 노동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권력을 잡았다. 이전에는 낮은 수준의 네덜란드 방언으로 여겨졌던 아프리칸스어는 네덜란드어를 대신하여 연방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영어와 네덜란드어가 1925년에 두 개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132][133]

남아프리카 연방은 1960년 10월 5일 국민투표 이후 종식되었으며, 여기서 다수의 백인 남아프리카인들은 영국 연방으로부터의 일방적인 탈퇴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립에 찬성표를 던졌다.

6.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1910년 5월 31일 성립한 남아프리카 연방의 가장 중요한 정책은 백인 간의 인종 문제였다. 부유하고 자유주의적인 영국계와 가난하고 보수적인 아프리카너는 갈등을 빚었지만, 흑인을 희생하여 경제 성장을 달성했고, 1948년까지 경제 격차는 거의 없어졌다. 정권은 항상 유권자의 60%를 차지하며 단결하는 경향이 강한 아프리카너가 쥐고 있었다. 1910년 남아공 정부는 루이스 보타와 양 스머츠가 이끌었고, 남아프리카당은 광산주와 영국계를 배려하며 정책을 운영했다. 이에 불만을 느낀 제임스 베리 헤츠어크는 1914년 국민당을 창당했다. 남아프리카당 정권은 흑인 차별을 법제화하고, 1913년 원주민 토지법에 따라 흑인을 거류지로 몰아넣으려 했다.

1922년 백인 노동자의 광산 파업에 스머츠는 무력 진압을 강행하여 1924년 선거에서 국민당이 정권을 잡았다. 헤츠어크의 국민당 정권은 아프리카너의 지위 향상을 위해 농산물 시장 보호, 백인 노동자 보호, 백인 여성 참정권 부여 등 정책을 실시했고, 1925년 공용어를 네덜란드어에서 아프리칸스어로 변경했다. 1927년 부도덕법을 제정하여 다른 인종간의 연애를 금지했다.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 채택으로 남아프리카는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이 영국연방 내 독립국 지위를 가지게 되어 내정, 외교에서 완전한 주권을 획득했다. 1933년 대공황 여파로 국민당의 헬츠어크와 남아프리카당의 스머츠가 연립 정권을 수립했다. 1934년 양당은 합병하여 연합당이 되었다. 이에 불만을 품은 다니엘 프랑소와 마란은 1933년 순수 국민당을 설립했고, 이것이 이후의 국민당이 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하자 남아프리카는 연합국으로 참전했지만, 일부 아프리카너는 친 나치스 단체를 만들고 반전 운동을 펼쳤다. 제2차 세계 대전은 남아프리카의 경제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백인의 빈곤도 거의 사라졌다. 그러나 아프리카민족회의(ANC)에 참여한 흑인도 백인과의 격차에 심한 불만을 가졌고, 연합당 정부는 《통행법》 완화 등 양보를 실시했다. 그러나 이 양보는 아프리카너 사이에 심각한 불안을 야기하여 인종차별 정책을 주장하는 국민당은 급격한 지지를 획득했다.

|thumb|right|200px|"백인 전용" –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표지판]]

1948년, 말랑이 총리에 취임했다. 국민당은 1950년부터 인종차별정책, 즉 "격리"(아프리칸스어로 아파르트 헤이트)를 실행했다. 잡혼 금지법(1949년), 인종별 거주를 법제화한 집단 현지법(1950년)과 흑인의 신분증 휴대를 의무화했던 통행법(1952년), 격리 시설을 명시한 보유법(1953년), 반투 교육법(1953년) 등이 차례로 법제화되어, 백인, 유색인종, 인도인, 흑인 네 인종 사회의 모든 면에 분리를 시키는 정책이 실시되었다. 1951년 국민당은 유색 인종에게 참정권과 피선거권을 박탈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1956년에는 양원 3분의 2 이상의 가결을 거쳐 유색인종의 참정권과 피선거권을 박탈하였다. 흑인을 대표하는 아프리카 민족회의 등은 반대했지만, 대다수의 백인은 이 조치에 대해 환영하였고, 국민당은 1989년 총선때까지 선거에서 계속 승리했다.

국민당 정부 하에서 정부의 권한은 급속하게 증가하여 사법 통제도 가능하게 되었다. 백인 내 민주주의는 유지되었고, 인종차별 반대를 포함한 언론의 자유도 인정했지만, 정부는 재판 없이 사람들을 체포, 집회 금지, 간행물 발행 금지 및 출판물 검열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공안국가적인 양상을 띠고 있었다. 백인과 흑인 등 다른 인종은 분명히 선긋기가 되어서 숙련된 노동을 백인이, 단순 노동은 다른 인종이 책임을 지고 부를 백인이 독점하는 구도가 완성되었다.

|right|200px|thumb|반투스탄 지도]]

말랑은 1954년 은퇴를 하였고, 요한 스토리다무가 1958년 사망하면서 헨드릭 프르부르트가 총리의 자리에 올랐다. 1959년 반투 자치법이 제정되어 국토를 백인 지구(87 %)와 흑인 지구(13 %)로 나누어 흑인은 민족마다 반투스탄에 속하게 했다.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에게는 매우 작은 황량한 벽지 밖에 주어지지 않았고, 백인이 국토의 중요한 대부분을 독점했다. 게다가 통행법 등 각종 차별 법안을 강화해 아파르트헤이트를 한층 더 견고하게 유지했다. 이 때문에 프르부르트는 "아파르트헤이트의 건설자"라고도 불린다. 1960년부터 남아프리카는 올림픽 참가도 거부되게 된다. 영국연방에서도 비판이 일어나자, 프르부르트는 1960년에 원수를 영국 여왕으로 하는 입헌 군주제에서 대통령을 원수로 하는 공화제로 변경하는 국민투표를 실시하였다. 나타르 주는 반대했지만, 다른 3주의 찬성에 의해 남아프리카는 공화제로 이행하였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그리고 다음 해에는 영국연방을 탈퇴했다. 그러나 남아프리카는 국시를 반공으로 하고 있어, 서방 여러 나라들에게 경제적으로도, 전략적으로도 중요한 우호국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제 제재는 동반되지 않았다.

이러한 버워드 정권에 대해, 아직 합법 정당으로 활동을 계속하고 있던 아프리카 민족 회의와 범아프리카주의자 회의는 항의 집회를 계획했다. 1960년 3월 21일에 열린 집회에 군대가 발포하여, 샤프빌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양당은 비합법화되었고, 흑인 활동가의 대부분은 지하로 숨어들었고, 양당은 무장 투쟁 노선을 선택하여 테러를 했지만, 1962년에는 넬슨 만델라가 체포되었고, 1963년에는 요하네스버그 교외의 리보니아에서 월터 시술루 등 잔여 활동가를 체포했다. 그들은 로벤 섬의 감옥으로 보내졌고, 저항 운동은 일시적으로 사라졌다.

프르부르트는 1966년 9월 6일에 암살되어 정권은 발타자르 요하네스 포르스터에게 이어졌다. 포르스타는 국제적 비난을 완화시키려고, 반트스탄 중에서 트란스 조개 등 4개를 독립시켰지만, 실권은 남아프리카가 잡고 있어서 이 독립을 인정한 나라는 남아프리카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 북쪽에서 잇달아 탄생한 남부 아프리카의 여러 흑인 국가에 대해 동요 공작을 펼쳤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에 아프리카에서 식민지화 정책을 계속 유지하던 포르투갈이 동조했다. 1975년에 포르투갈에서 일어난 정변에 의해서 독립한 앙골라나 모잠비크에 대해서는 반정부 활동을 지원하였고, 앙골라 내전에는 남아프리카 방위군/South African Defence Force영어이 직접 개입하여, 로데지아의 백인 정권을 지원하였다. 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잠잠하던 흑인 해방운동이 스티브 비코 등의 지도자에 의해서 다시 활발해지게 되었다. 1976년, 아프리칸스어 언어화 교육에 반대해 소웨토 봉기가 일어났지만 포르스타는 이것을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1978년에는 수상에 피터 빌렘 보타를 임명해 자신은 대통령으로 취임했지만, 결국 뇌물 스캔들에 의해 사임하였다.

보타는 비백인에 대해 다소 양보를 실시하여, 흑인 노동조합의 결성을 인정하였고, 1984년에는 수상직을 폐지하여 의례적인 직위였던 대통령직에 실권을 집중하였다. 백인, 유색인종, 인도인에 의한 인종별 삼원제 의회를 개설했지만, 국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에게는 변함없이 선거권은 주어지지 않고, 유색인종이나 인도인에도 백인에게 승리할 수 있는 길이 차단되어 이 개정은 전 세계의 비난을 받았다. 한편, 이러한 양보에도 불구하고 불만이 지속되자, 아프리카너 보수파는 안드리스 트레르니히트를 중심으로 보수당을 결성하여 보다 강력한 아파르트헤이트의 실행을 요구했다. 1985년에는 《잡혼금지법》, 《풍기문란법》, 《격리 시설 유보법》이 폐지되었고, 1986년에는 《통행법》이 폐지되었지만, 흑인의 불만은 전혀 해소되지 못했다. 전국에서 정치 폭력이 계속되었고, 또 전 세계에서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의 물결이 높아졌다.

한편, 대외 전쟁도 교착 상태에 빠졌다. 남아프리카는 1975년부터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앙골라의 MPLA 정권에 대해 군사 개입을 하고 있었지만(부시 전쟁), 이 조치는 나이지리아와 같은 친 서방적인 블랙 아프리카 국가들의 반발을 초래했으며, 점령하고 있던 나미비아의 민족 해방 조직인 남서 아프리카 인민 기구(SWAPO)가 앙골라 정부 측에 붙는 등 남아프리카에게 큰 외교적 실점이 되었고, 더욱이 1988년 쿠바=앙골라 연합군에게 앙골라 영내의 쿠이토 쿠아나발레 전투/Battle of Cuito Cuanavale영어에서 침공을 저지당하면서, 남아프리카의 군사적 승리 가능성은 사라졌다. 이 전투 이후, 교착 상태에 빠진 남아프리카, 쿠바, 앙골라는 쿠바군과 남아프리카군의 앙골라 철수와, 남아프리카의 나미비아 철수를 규정한 뉴욕 협정/Tripartite Accord (Angola)영어을 조인했고, 남아프리카는 앙골라와 나미비아에서 철수했다. 나미비아는 1990년 남아프리카로부터 독립했고,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는 국외에서 패배했다.

7. 아파르트헤이트의 종말

1989년, 보타는 질병으로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가 대통령에 취임했다.[282] 데 클레르크는 기존의 대결 노선에서 대화 노선으로 전환하여, 1990년 2월 11일 넬슨 만델라를 석방했다. 또한 올리버 탐보와 월터 시슬루 등 흑인 지도자들을 석방했으며, ANC는 1990년 8월에 무장 투쟁을 포기했다.[200][201][202] 대화의 길이 열렸다. 이에 대해, 백인 우익의 보수당과 줄루족의 망고수투 부테레지가 이끄는 잉카타 자유당이 반대를 표명하면서, 정치 폭력이 나탈을 중심으로 격화되었다.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넬슨 만델라,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의 주역


1980년대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무력 투쟁, 광범위한 시민 불안, 국제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제재, 전 세계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의 압박을 포함한 국내외 반대에 대한 반대가 고조된 결과였다.[214][215]

1991년에는 데 클레르크는 나머지 아파르트헤이트 관련 법(원주민 토지법, 집단 지역법, 인구 등록법) 등을 폐지했고[282], 1993년에는 핵무기 소지를 공표함과 동시에 모두 폐기했다. 1993년 4월에는 전 인종 선거를 1994년 4월 27일에 실시하고, 5% 이상의 표를 얻은 정당은 연립 정권에 참여하는 것으로 주요 정당들이 합의했다. 백인 우익 중 일부도 자유 전선을 결성하여 선거에 출마했으며, 더불어 선거 며칠 전에 마지막 유력 세력이었던 잉카타 자유당도 선거 참여를 표명했다.

국민투표에서 백인 유권자는 68%가 민주주의에 찬성표를 던졌다.[216]

남아프리카 민주주의 회의 (CODESA)의 후원하에 장기간의 협상 끝에 1993년 7월 26일에 초안 헌법이 발표되었으며, 모든 측면에 대한 양보가 포함되었다.

선거는 대체로 평온하게 진행되었고, 아프리카 민족 회의가 62.5%를 획득하여 제1당이 되었으며, 국민당이 20.4%, 잉카타 자유당이 10.5%를 획득하여 정권 참여 자격을 얻었다[283]. 이로 인해,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 타보 음베키와 데 클레르크가 부통령에 취임하면서, 남아프리카 최초의 전 인종 정부가 성립되었다. 1994년 총선이후, 넬슨 만델라는 1994년 5월 9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ANC, 국민당, 잉카타로 구성된 국가 연합 정부를 구성했다. 1994년 5월 10일 만델라는 타보 음베키와 F. W. 데 클레르크를 부통령으로 하여 프리토리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신임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국가 연합 정부는 1999년 첫 번째 의회 회기가 끝날 때 소멸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는 종말을 고했다.

8. 무지개 국가를 꿈꾸며

1980년대 후반 소련의 해체는 남아프리카 공산당과 동맹을 맺은 아프리카 민족회의(ANC)가 무기 및 정치적 지원을 더 이상 소련에 의존할 수 없게 되었음을 의미했다.[214] 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정부가 아파르트헤이트와 그 정당성을 기독교적 가치와 문명의 보호와 연결하여, 공산주의의 위협("rooi gevaar") 측면에서 다루는 것을 의미했다.[214] 양측은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밖에 없었고, 1991년 6월에 모든 아파르트헤이트 법이 마침내 폐지되어 3년 후 이 나라의 첫 번째 다인종 민주 선거가 열렸다.[215]

1990년 2월 2일,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국가 대통령은 아프리카 민족 회의, 범아프리카주의자 회의 및 남아프리카 공산당에 대한 금지령을 해제하고, 27년 동안 수감되었던 정치범 넬슨 만델라를 석방했다. 1992년 3월 17일에 열린 국민투표에서 백인 유권자의 68%가 민주주의에 찬성표를 던졌다.[216] 남아프리카 민주주의 회의(CODESA)의 후원하에 장기간의 협상 끝에 1993년 7월 26일에 초안 헌법이 발표되었으며, 지역 입법부의 연방 제도, 인종에 관계없이 동등한 투표권, 양원제 입법부 등 모든 측면에 대한 양보가 포함되었다.

1994년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민들은 첫 번째 보통 선거인 총선에서 투표했다. 아프리카 민족 회의가 승리했고, 집권 국민당잉카타 자유당을 크게 앞질렀다. 민주당과 범 아프리카주의자 회의는 다른 정당들과 함께 이 나라의 첫 번째 비인종 의회에서 의회 야당을 형성했다.

넬슨 만델라1994년 5월 9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ANC, 국민당, 잉카타로 구성된 국가 연합 정부를 구성했다. 1994년 5월 10일 만델라는 타보 음베키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를 부통령으로 하여 프리토리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신임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국가 연합 정부는 1999년 첫 번째 의회 회기가 끝날 때 소멸되었고, ANC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총(COSATU) 및 남아프리카 공산당과의 전략적 동맹을 유지하면서 유일한 집권당이 되었다.

만델라 대통령


새 정부 출범 이후 만델라는 인종 간의 화해에 힘썼다. 1996년 11개 언어를 공용어로 하고 모든 차별을 금지하는 새 헌법이 제정되고, 모든 인류가 화합 공존하는 "무지개의 나라"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구호가 되었다.[284] 흑인 거주 구역의 인프라 정비와 교육의 충실을 기해 소수자 우대 정책을 실시하여 인종 간의 격차를 줄이려고 노력했다.[285] 또한 경제 정책에 대해서는 국민당 정권을 계승하고, 신자유주의의 입장을 견지했다. 따라서 남아공 경제는 성장을 계속했지만, 원래 500만명의 백인을 위한 경제 규모였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제를 4,000만명의 남아공화국 국민을 위해 다시 구축하는 것은 어려웠고, 기업은 높은 이익 구조를 유지 했지만 고용은 좀처럼 진전되지 못했다.[286] 또한 아파르트헤이트의 소멸로 인해 지금까지 남아프리카에 입국하지 못했던 모잠비크와 짐바브웨 등 주변국에서 흑인들이 속속 자리를 찾아 흘러들어왔다. 따라서 실업률이 극도로 악화되었고, 실업자는 정치 폭력의 시대부터 세간에 범람화기가 범죄에 달렸다. 이렇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치안은 세계 최악 수준으로 하락하였고, 요하네스버그더반 중심가는 대기업이 빠져나가 유령 도시로 바뀌었다.

1999년, 만델라는 은퇴하고 부통령 터보 음베키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음베키는 흑인 경제력 강화 정책을 실시하고, 백인 기업의 직함과 권익을 다른 인종에게 분배하여 경제적 격차를 축소하려했다. 그러나 인종 간의 차이는 다소 긴축했으나 문제의 근본인 소득 분배의 불평등과 실업은 개선되지 않고 치안이 점점 악화되는 상태였다. 또한 음베키 정부는 에이즈 퇴치에 실패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 생산노동 인구의 21.5% (2004년 기준)가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08년 부통령 제이콥 주마 ANC 의장이 음베키를 실각시키고, 대통령에 취임했다. 주마 행정부는 에이즈 문제, 지니 계수 0.73이라는 세계 최고의 소득 격차, 실업 문제, 세계에서 가장 나쁜 치안 등 문제가 산적한 상태이며 인종차별의 그늘이 여전히 남아있다. 그러나 2010년에 《2010년 FIFA 월드컵》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는 것을 계기로 민간 중심으로 치안 개선 운동이 일어나고, 또한 대중 교통이 취약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도시 근교 고속철 《하우트레인》(Gautrain)이 개통되는 등 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9. 과제 및 전망



1996년 11개 언어를 공용어로 하고 모든 차별을 금지하는 새 헌법이 제정되고, 모든 인류가 화합 공존하는 "무지개의 나라"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구호가 되었다.[284] 흑인 거주 구역의 인프라 정비와 교육의 충실을 기해 적극적 고용개선 조치(Affirmative Action)를 실시하여 인종 간의 격차를 줄이려고 노력했다.[285] 경제 정책에 대해서는 국민당 정권을 계승하고, 신자유주의의 입장을 견지했다.[286]

1992년 3월 17일에 열린 국민투표에서 백인 유권자는 68%가 민주주의에 찬성표를 던졌다.[216] 남아프리카 민주주의 회의 (CODESA)의 후원하에 장기간의 협상 끝에 1993년 7월 26일에 초안 헌법이 발표되었으며, 모든 측면에 대한 양보가 포함되었다. 지역 입법부의 연방 제도, 인종에 관계없이 동등한 투표권, 양원제 입법부 등이 있었다. 1994년 총선에서 아프리카 민족 회의가 승리했고, 집권 국민당잉카타 자유당을 크게 앞질렀다. 넬슨 만델라는 1994년 5월 9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ANC, 국민당, 잉카타로 구성된 국가 연합 정부를 구성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는 1996년에 새로운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권리 장전을 제정했다. 사형이 폐지되고 토지 개혁 및 재분배 정책이 도입되었으며 공정한 노동법이 제정되었다.

남아공 경제는 성장을 계속했지만, 원래 500만명의 백인을 위한 경제 규모였기 때문에 4,000만명의 남아공화국 국민을 위해 다시 구축하는 것이 어렵고, 기업은 높은 이익 구조를 유지 했지만 고용은 좀처럼 진전되지 못했다.[286] 아파르트 헤이트의 소멸로 인해 지금까지 남아프리카에 입국하지 못했던 모잠비크와 짐바브웨 등 주변국에서 흑인들이 속속 자리를 찾아 흘러들어왔다. 따라서 실업률이 극도로 악화되었고, 실업자는 정치 폭력의 시대부터 세간에 범람화기가 범죄에 달렸다. 이렇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치안은 세계 최악 수준으로 하락하였고, 요하네스버그와 더반 중심가는 대기업이 빠져나가 유령 도시로 바뀌었다.

1999년 만델라는 은퇴하고 부통령 터보 음베키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음베키는 흑인 경제력 강화 정책을 실시하고, 백인 기업의 직함과 권익을 다른 인종에게 분배하여 경제적 격차를 축소하려했다. 그러나 인종 간의 차이는 다소 긴축했으나 문제의 근본인 소득 분배의 불평등과 실업은 개선되지 않고 치안이 점점 악화되는 상태였다. 또한 음베키 정부는 에이즈 퇴치에 실패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 생산노동 인구의 21.5% (2004년 기준)가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08년 부통령 제이콥 주마 ANC 의장이 음베키를 실각시키고, 대통령에 취임했다. 주마 행정부는 에이즈 문제, 지니 계수 0.73이라는 세계 최고의 소득 격차, 실업 문제, 세계에서 가장 나쁜 치안 등 문제가 산적한 상태이며 인종차별의 그늘이 여전히 남아있다.

|thumb|케이프타운 그린마켓 광장의 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마리카나 학살을 기념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12년 8월 중순, 진압 경찰이 파업 중인 광부 34명을 사살하고 더 많은 사람에게 부상을 입힌 마리카나 학살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대중, 시민 사회 단체 및 종교 지도자들로부터 광범위하게 비판받았다.[230]

제이콥 주마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부패 역시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235][236][237] 이 시기의 주요 부패 관련 스캔들로는 광범위한 국가 장악 사건이 있었으며[238], 이는 종종 굽타 가문에 대한 의혹과 관련되었다.[239] 국가 장악 의혹 조사 사법 위원회(Zondo Commission of Inquiry)는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국가 장악 관련 부패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임명되었다.

2007년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지속적인 에너지 위기를 겪고 있다. 새로운 발전 용량에 대한 투자 부족과 노후화된 기존 발전소 시설이 이 위기의 초기 원인이었다.[244]

2021년 시민 불안은 고용 종료와 COVID-19 대유행으로 악화된 경제적 어려움으로 더욱 심화되었다.[251][252]

이코노미스트는 이를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경험한 최악의 폭력 사태라고 불렀다.[253]

그러나 2010년에는 2010년 FIFA 월드컵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는 것을 계기로 민간 중심으로 치안 개선 운동이 일어나고, 또한 대중 교통이 취약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도시 근교 고속철 《하우트레인》(Gautrain)이 개통되는 등 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South African Government' https://www.gov.za/a[...] 2019-05-03
[2] 웹사이트 South Africa - History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0-10-18
[3] 웹사이트 Portuguese & Dutch Exploration of South Africa https://study.com/ac[...] Study.com 2020-10-18
[4] 웹사이트 'Dutch East India Company (DEIC)/VOC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Sahistory.org.za 2020-10-18
[5] 웹사이트 Free Burghers https://www.artefact[...] Artefacts.co.za 2020-10-18
[6] 웹사이트 Sarie Marais.Com Geskiedenis http://www.geskieden[...] Geskiedenis.sariemarais.com 2020-10-18
[7] 웹사이트 New poll shows dramatic decline in electoral support of ANC https://www.wits.ac.[...]
[8] 서적 'The Rock Art of the Golden Gate and Clarens Districts' Waterman
[9] 뉴스 'Oldest prehistoric art unearthed' http://news.bbc.co.u[...] 2002-01-10
[10]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New Human Ancestor Elicits Awe—and Many Questions" https://web.archive.[...] 2015-09-20
[11] 간행물 "mtDNA variation in the South African Kung and Khwe,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s to other African populations"
[12] 간행물 History of click-speaking populations of Africa inferred from mtDNA and Y chromosome genetic variation http://www.africandn[...]
[13] 간행물 SNaPshot minisequencing to resolve mitochondrial macro-haplogroups found in Africa
[14] 문서 'Area Study – South Africa, US Library of Congress The Earliest South Africans'
[15] 서적 Anthropology and the Bushman https://books.google[...] Berg
[16] 웹사이트 'Who are the San? – San Map' http://www.wim-sa.or[...] WIMSA 2014-01-13
[17] 웹사이트 "'Invisible Herders: The Archaeology of Khoekhoe Pastoralists,'" http://www.karimsadr[...]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18] 문서 "'Prehistoric Livestock Herders in the Upper Seacow River Valley'" http://www.nieu-beth[...]
[19] 간행물 The archaeology of indigenous herders in the Western Cape of South Africa http://www.sahumanit[...] 2017-01-22
[20] 웹사이트 How Indigenous South Africans Resisted The First European Intruders https://www.africare[...] 2024-03-13
[21]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1600s at the Cape http://www.sahistory[...] sahistory.org.za 2006-11-21
[22] 문서 'SA History Online, Smallpox epidemic strikes Cape' http://www.sahistory[...]
[23] 웹사이트 '"Genetic and Demographic Implications of the Bantu Expansion: Insights from Human Paternal Lineages" (Abstract)' https://web.archive.[...] 2015-07-11
[24] 간행물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appearance of pastoralism and farming in southern Africa
[25] 서적 "Queen Victoria's Enemies 1: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Osprey
[26] 웹사이트 'Mapungubwe Cultural Landscape'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Unesco) 2015-06-18
[27] 서적 'Pathfinders: A Global History of Exploration' Norton
[28] 서적 Illustrated official handbook of the Cape and South Africa; a résumé of the history, conditions, populations, productions and resources of the several colonies, states, and territories https://archive.org/[...] J.C. Juta & Co. 2009-11-25
[29] 서적 The Great Trek John Murray
[30] 뉴스 The Untold Stories of Slavery at Cape Town's Iziko Slave Lodge https://theculturetr[...] 2017-02-09
[31] 서적 "Cape Melting Pot: The Role and Status of the Mixed Population at the Cape, 1652–1795" D A Robertson
[32] 서적 'Nuusdagboek: Feite en Fratse oor 1000 Jaar' Human &Rousseau
[33] 웹사이트 'South Africa - British occupation of the Cap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7-12
[34] 웹사이트 'Batavian Republic 1803-1806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35] 서적 The Handbook of World Englishes John Wiley & Sons 2009
[36] 서적 Human rights and the South African legal order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37] 웹사이트 Measuring Worth - Purchase Power of the Pound: economic share https://www.measurin[...] 2024-04-16
[38] 서적 The War in South Africa Nabu Press.
[39] 문서 Robert Jacob Gordon 1743–1795: The Man and His Travels at the Cape Struik Publishers, Cape Town
[40] 문서 A Hitchhiker's Guide to Armageddon SCB Distributors, Gardena, California
[41] 웹사이트 An African Biographical Dictionary http://www.dacb.org/[...] Santa Barbara, California 2015-07-08
[42] 서적 Queen Victoria's Enemies 1: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Osprey
[43] 문서 Frontiers: The Epic of South Africa's Creation London: Pimlico
[44] 논문 The Mfecane as Alibi 1988-03-29
[45] 간행물 A Tempest In A Teapot? Nineteenth-Century Contests For Land In South Africa's Caledon Valley And The Invention Of The Mfecane http://research-repo[...]
[46] 서적 The Creation of the Zulu Kingdom, 1815–1828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48] 서적 Genocide: A History Pearson Longman
[49] 서적 Terror and Resistance: A Study of Political Violence, with Case Studies of Some Primitive African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0] 간행물 Notices Of The Cape And Southern Africa, Since The Appointment, As Governor, Of Major-Gen. Sir Geo. Napier Henry Colburn
[51]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15th edition
[52]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53] 웹사이트 Slavery in South Africa http://www.sahistory[...] SA History.org 2015-04-23
[54] 서적 Memoirs of Paul Kruger https://archive.org/[...] George R Morang and Co
[55] 서적 Select_constitutional_documents_illustrating_South_African_history_1795-1910
[56] 웹사이트 Geskiedenis http://www.boereafri[...] Boereafrikana.com 2015-06-06
[57] 문서 An Illustrated History of South Africa Johannesburg: Jonathan Ball Publishers
[58] 웹사이트 Census of the British empire https://archive.org/[...] Openlibrary.org 2015-05-03
[59] 문서 History of the Boers in South Africa Cape Town: Struik
[60] 웹사이트 Voortrekkers leave Natal http://www.voortrekk[...] The Voortrekkers: A history of the Voortrekkers Great Trek 1835–1845 2015-06-22
[61] 문서 The British Presence in the Transorange 1845–1854 Human & Rosseau, Cape Town
[62] 문서 Declin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New York: Knopf
[63] 서적 A New History of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Macmillan, London
[64] 웹사이트 History of Indians in South Africa http://www.sahistory[...] SA History.org 2018-09-12
[65] 문서 The British Settlement of Natal: A Study in Imperial Migr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웹사이트 First Indian workers arrive in South Africa https://www.sahistor[...] 2022-07-12
[67] 간행물 Crossing the Kala Pani: cause for "Celebration" or "Commemoration" 150 years on? Portrayals of indenture in recent South African writing https://go.gale.com/[...] 2011-07-01
[68] 웹사이트 Indianness Reconfigured, 1944-1960: The Natal Indian Congress in South Africa - The O'Malley Archives https://omalley.nels[...] 2022-07-12
[69] 서적 Blacks in the Dutch World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70] 백과사전 Bast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6-01-21
[71] 서적 Die Adam Kok-Trek New Africa Books
[72] 서적 The Forgotten Frontier Ohio University Press
[73] 서적 The British Presence in the Transorange 1845–1854 Human & Rosseau, Cape Town
[74] 서적 A historical geography of the British colonies Clarendon Press. London
[75] 서적 History of South Africa Since September 17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 서적 Kimberley, Turbulent City Cape Town: David Philips
[77] 서적 Discovery of diamonds and its consequences London: Allen & Unwin
[78] 서적 New Dictionary of South African Biography Human Sciences and Research (HSRC) Press, Pretoria
[79] 서적 Chronicles of Basutoland Morija (Lesotho): Morija Sesuto Books
[80] 서적 A South African Kingd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논문 Surgeon-General SIR CHARLES MacDONAGH CUFFE, K.C.B., LL.D
[82] 웹사이트 Eastern Cape Wars of Dispossession 1779-1878 https://www.sahistor[...] 2022-07-12
[83] 서적 An African Explains Apartheid New York: Praeger
[84] 서적 The Washing of the Spears London: Cardinal
[85] 뉴스 Jacob Zuma a spawn of collaborators trying to right old wrongs http://www.rdm.co.za[...] Rand Daily Mail 2015-07-30
[86] 논문 Unconquered Territory: Narrating the Caledon Valley
[87] 웹사이트 About Lesotho https://web.archive.[...] Information department, Government of Lesotho
[88] 서적 History of South Africa Greenwood Press, Westport, Connecticut
[89] 서적 History of South Africa London: Allen & Unwin
[90] 문서
[9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Greenwood Press: Westport, Connecticut
[92] 웹사이트 Mzilikazi http://www.voortrekk[...]
[93] 서적 We Spend Our Years as a Tale that is Told: Oral Historical Narrative in a South African Chiefdom Witwatersrand University Press, Johannesburg
[94] 웹사이트 The Sekukuni Wars http://samilitaryhis[...]
[95] 웹사이트 King Sekhukhune http://www.sahistory[...]
[96]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South Africa: The Real Story Reader's Digest:Cape Town
[97] 문서
[98] 논문 Technology, Capital, and Consolidation: The Performance of De Beers Mining Company Limited, 1880–1889
[99] 문서
[100] 서적 History of South Africa: 1975 to 1872 London: Allen & Unwin
[101] 웹사이트 History of Diamonds http://www.capetownd[...]
[102] 서적 Bullion Johannesburg: Men, Mines and the Challenge of Conflict Johannesburg: Jonathan Ball
[103] 서적 The Scramble for Africa Johannesburg: Jonathan Ball
[104] 문서
[105] 서적 A History of South Africa, Social and Economic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06] 서적 p. 3 1987
[107] 웹사이트 The Imperialist Venture http://www.wright.ed[...] Wright State University 2015-05-24
[108] 웹사이트 South African Diamond Mines 1970s http://historyprojec[...]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15-05-24
[109] 웹사이트 'The Greatest Discovery of them all' http://www.heritagep[...] Geological Society of South Africa 2015-05-27
[110] 웹사이트 Chapter 8, "The story of gold" http://newhistory.co[...] Hermann Giliomee and Bernard Mbenga 2015-05-27
[111] 웹사이트 'South African Gold Rush: 1885' http://info.goldaven[...] Goldavenue.com 2015-05-30
[112] 서적 'British Imperialism, Innovation and Expansion, 1688–1914' London: Longman 1993
[113] 서적 Through Fortress and Rock Johannesburg: Jonathan Ball 1995
[114] 서적 Jewish Migration to South Africa: The Records of the Poor Jews' Temporary Shelter, 1885–1914 Cape Town: Jewish Publications-South Africa 2006
[115] 논문 Migrant Labour in South Africa's Mining Economy 1890–1920
[116] 서적 p.47 1995
[117] 서적 p.53 1995
[118] 서적 'Goodbye Dolly Gray: The story of the Boer War' London: Pimlico 1996
[119] 웹사이트 'Southern Africa - European and African interaction in the 19th century' https://www.britanni[...] 2022-07-12
[120] 서적 The Boer War New York: Random House 1979
[121] 서적 'The Outlanders: The story of the men who made Johannesburg' London: Mayflower
[122] 웹사이트 First Boer War https://www.bbc.co.u[...]
[123] 서적 'Chapter XL – "Summary and Estimates"' http://www.angloboer[...] New York: Funk & Wagnalls 1902
[124] 서적 'Fire in the Sky: The destruction of the Orange Free State 1899–1902' Johannesburg: Covos Day 2000
[125] 간행물 "Black involvement in the Anglo–Boer War, 1899–1902" http://samilitaryhis[...] Military History Journal of the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1999-10
[126] 서적 'Black People and the South African War 1899–1902'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27]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thecommonwea[...] 2024-01-17
[128] 서적 A history of South Africa Yale University Press 2001
[129] 웹사이트 19 June 1913 Native Land Act http://www.sahistory[...]
[130] 서적 A history of South Africa 2001
[131] 서적 'Adrift on the Open Veld: The Anglo–Boer War and its Aftermath' Cape Town: Stormberg 1999
[132] 서적 Women and Resistance in South Africa https://books.google[...] New Africa Books 1991
[133] 서적 Standaard Afrikaans http://www.dbnl.org/[...] Afrikaner Pers 2014-09-17
[134] 서적 Springboks On The Somme – South Africa in the Great War 1914 – 1918 https://books.google[...] Penguin 2012
[135] 서적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http://archive.org/d[...] London H.M. Stationery Off 1922
[136] 논문 "The South African Native Labour Contingent, 1916–1918" Journal of African History 1978
[137] 웹사이트 Sinking of the Mendi http://www.delvillew[...] Delville Wood Memorial 2015-08-07
[138] 논문 "The South African Native Labour Contingent, 1916–1918" Journal of African History 1978
[139] 논문 "A Great Divide: Popular Responses to the Great War in South Africa," War & Society 1994
[140] 논문 "War and gold—the Bank of England, the London gold market and South Africa's gold, 1914–19," https://www.jstor.or[...] Journal of Southern African Studies 1991
[141] 간행물 The Special Signals Service http://samilitaryhis[...] Military History Journal 1998-12
[142] 간행물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Journal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2000-06
[143] 서적 South Africa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Human & Rousseau
[144] 웹사이트 War dead http://www.cwgc.org/[...] Commonwealth War Graves Commission 2015-08-11
[145] 서적 South African Forces in World War II Purnell
[146] 서적 Spitfire Mark V Aces, 1941–45 Osprey Publishing
[147] 서적 Adrift on the Open Veld: The Anglo–Boer War and its Aftermath Stormberg
[148] 웹사이트 The 1893/95 "Boer Model" Mauser http://www.shootingt[...] 2015-05-21
[149] 서적 Fascism Today: A World Survey Pantheon Books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Broederbond: The super-Afrikaners Corgi
[153] 웹사이트 Hate on Display http://www.adl.org/c[...] Anti-defamation League 2015-04-25
[154] 문서 AWB neo-Nazi insignia
[155] 뉴스 New bomb blasts link to AWB http://mg.co.za/arti[...] Mail & Guardian 1997-01-10
[156] 웹사이트 "Mandela: 'A lesson they will never forget' " https://www.nelsonma[...] Nelson Mandela Foundation 2015-05-29
[157] 문서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Afrikaner experience and reaction to the "new" South Africa' http://sun025.sun.ac[...] 2015-05-03
[158] 웹사이트 Segregationist legislation 1856–1913 http://www.sahistory[...] SA History.org 2015-05-04
[159] 서적 Rise of the South African Reich
[160] 서적 Between Ethnicity and Nationhood: Shaka Day and the Struggle over Zuluness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Routledge UK
[161] 서적 State power in the 1980s: from total strategy to counter revolutionary warfare David Philip
[162] 서적 Changes in counter-revolutionary state strategy in the decade 1979–89 Oxford University Press
[163]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Suppress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Apartheid http://legal.un.org/[...] UN Office of Legal Affairs 2015-07-26
[164] 웹사이트 "Partner in the Struggle against Apartheid"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5-09-30
[165]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I B Tauris
[166] 서적 The Apartheid War Machine International Defence and Aid Fund
[167] 서적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1998), Findings in respect of the state and its allies
[168] 서적 Death Squads: Apartheid's secret weapon Penguin
[169] 서적 South Africa at War Donker
[170] 서적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1998), Findings on the role of allies of the state
[171] 서적 "The role of rightwing vigilantes in South Africa" Catholic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172] 서적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South Africa Report
[173] 웹사이트 Volume Five –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South Africa Report http://www.justice.g[...] 2014-05-02
[174] 웹사이트 Institute of Security Studies, Monograph No.81 http://www.iss.co.za[...] 2010-10-18
[175] 뉴스 Unfinished business of the TRC http://www.dailymave[...] Daily Maverick 2013-03-23
[176] 뉴스 Political pardons would damage the legacy of South Africa'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5-03-06
[177] 서적 Comrades against apartheid: the ANC and the South African Communist Party in exile. James Currey Publishers
[178] 간행물 The Frontline States http://www.sahistory[...] Zambezia 1984/5
[179] 서적 The Diplomacy of Liberation: Foreign relations of the ANC since 1960 I B Taurus 1996
[180]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Civil War in Angola 1974–1990 Transaction Publishers 2011
[181] 서적 The Fate of Africa: From the Hopes of Freedom to the Heart of Despair, a History of Fifty Years of Independence 2005
[182] 서적 Fidel: A Biography of Fidel Castro Dodd, Mead & Company 1986
[183] 웹사이트 Archive of the Cuban Armed Forces https://digitalarchi[...] 2015-11-12
[184] 문서 Angola: Struggle for Peace and Reconstruction
[185] 문서 SIPRI Yearbook: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186] 서적 Hidden Lives, Hidden Deaths: South Africa's crippling of a continent Faber 1990
[187] 서적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https://archive.org/[...] UCL Press, Limited 1999
[188] 서적 They Live by the Sword: 32 Battalion, South Africa's Foreign Legion Lemur 1990
[189] 웹사이트 Resolution 435 http://daccess-ods.u[...] UN Security Council
[190] 웹사이트 'Review of Stockwell, In Search of Enemies' http://journals.camb[...] Cambridge Journals 2015-04-27
[191] 서적 In Search of Enemies Futura 1979
[192] 간행물 Review of "The Hidden Thread: Russia and South Africa in the Soviet Era" by Irina Filatova & Apollon Davidson Focus: Journal of the Helen Suzman Foundation 2013-10
[193] 간행물 "Siege of Cuito Cuanavale" http://www.diva-port[...] Current African Issues No.10, Scandinavian Institute of African Studies, Uppsala, Sweden 2015-04-27
[194] 서적 Apartheid Terrorism: The destabilisation report Indiana University Press 1989
[195] 웹사이트 res n° 2154 (XXI) http://www.un.org/do[...] UN General Assembly 1966-11-17
[196] 웹사이트 UN Resolution 435 of 1978 http://peacemaker.un[...] 2015-05-01
[197] 서적 Witness from the Frontline: Aggression and resistance in southern Africa Institute for African Alternatives 1990
[198] 서적 Africa's armies: from honor to infamy: a history from 1791 to the present 2002
[199] 서적 International Conflict: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of Conflicts and Their Management 1945–1995 1997
[200] 웹사이트 The Turn to Armed Resistance http://www.sadet.co.[...] University of South Africa (Unisa) Press, Pretoria 2001
[201] 웹사이트 Umkhonto weSizwe (MK) Operations Report https://www.nelsonma[...] Nelson Mandela Centre of Memory, Johannesburg 2015-04-25
[202] 웹사이트 Further submissions and response by the African National Congress to questions raised by the Commission for Truth and Reconciliation http://www.justice.g[...] South African Department of Justice 1997-05-12
[203] 뉴스 "ANC killed mostly civilians" https://www.nelsonma[...] South African Press Association (SAPA) 2003-03-21
[204] 뉴스 Insight section Sunday Times (Johannesburg) 1998-11-01
[205] 웹사이트 Resistance to Apartheid http://www.apartheid[...] Apartheid Museum, Johannesburg 2015-04-26
[206] 웹사이트 Truth Commission Special Report: APLA attacks. http://sabctrc.saha.[...] South Af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 and South African History Archive 2015-04-26
[207] 웹사이트 "ANC Political Underground in the 1970s" http://www.sadet.co.[...] The Road to Democracy, Pretoria: South African Democracy Education Trust 2015-05-04
[208] Citation The Rise and Possible Demise of Afrikaans as a Public Language http://www.praesa.or[...] PRAESA 2003
[209] 웹사이트 Soweto uprising casualties http://www.sahistory[...] 2015-05-01
[210] 웹사이트 Anti-Apartheid Group Disbanding in August : South Africa: The UDF alliance, which united some 700 organizations, says its goals have been met. Many key figures have become ANC leaders. https://www.latimes.[...] 1991-03-05
[211] 뉴스 UDF unites Apartheid divides http://www.dispatch.[...] Daily Dispatch 2000-01-07
[212] 웹사이트 Mass Democratic Movement https://www.nelsonma[...] Nelson Mandela Foundation 2016-03-29
[213] 웹사이트 Remains of hanged prisoners to be exhumed. http://www.news24.co[...] News24.com 2016-03-25
[214] 서적 The Hot "Cold War": The USSR in Southern Africa Pluto Press 2008
[215] 간행물 Apartheid laws rescinded https://books.google[...] UN Dept of Public Information 1992
[216] 웹사이트 African Elections Database http://africanelecti[...] 2015-05-09
[217] 웹사이트 ANC policy http://www.anc.org.z[...] African National Congress 2015-10-25
[218] 웹사이트 Freedom Charter http://www.anc.org.z[...] African National Congress 1955-06-26
[219] 뉴스 We will nationalise – Mandela http://mg.co.za/arti[...] Mail & Guardian 1990-01-26
[220] 간행물 Neoliberalism and resistance in South Africa http://monthlyreview[...] Monthly Review 2003-01
[221] 뉴스 How the ANC's Faustian pact sold out South Africa's poore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6-24
[222] 뉴스 South Africa parliament opening: Cyril Ramaphosa outlines his plans https://www.bbc.com/[...]
[223] 뉴스 White flight from South Africa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8-09-25
[224] 웹사이트 White South Africans are leaving the country in their thousands: Stats SA https://businesstech[...] 2021-11-12
[225] 웹사이트 More black than white South Africans leaving the country https://www.news24.c[...] 2022-09-20
[226] 웹사이트 More skilled black professionals are leaving South Africa https://businesstech[...] 2022-09-20
[227] 뉴스 South Africa's Debt Unforgivable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1999-04-22
[228] 웹사이트 Apartheid debt settled http://www.fin24.com[...] Fin24.com 2001-09-03
[229] 웹사이트 Aids Foundation of South Africa http://www.aids.org.[...] 2015-09-24
[230] 뉴스 Rabbi Goldstein, as part of NIFC-SA, reaches out to Lonmin victims http://www.sajewishr[...] 2012-08-24
[231] 뉴스 South African mining stuck in the past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5-05-09
[232] 간행물 Apartheid's Long Shadow https://web.archive.[...] Foreign Affairs 2015-03
[233] 간행물 Civic Protests Barometer 2007–2014 http://mlgi.org.za/t[...] Community Law Centre, University of Western Cape 2015
[234] 뉴스 Spat within tripartite alliance runs deep http://www.iol.co.za[...] Independent Online 2015-10-12
[235] 웹사이트 BETRAYAL OF THE PROMISE: HOW SOUTH AFRICA IS BEING STOLEN https://www.wits.ac.[...] 2017-05
[236] 논문 Corruption 2019-05-04
[237] 웹사이트 The political economy of corruption: elite-formation, factions and violence http://wwmp.org.za/i[...] 2019-02
[238] 뉴스 'State capture':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that has shaken South Africa https://www.theguard[...] 2020-02-14
[239] 웹사이트 Who are the Guptas? https://www.bbc.com/[...] BBC 2016-02-07
[240] 뉴스 South Africa's Scandal-Hit State Firms Put Economy on 'Cliff's Edge' https://www.wsj.com/[...] 2020-02-14
[241] 뉴스 What happened at VBS Bank? https://www.fin24.co[...] 2018-07-01
[242] 웹사이트 South Africa's economic growth affected by mismatch of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http://theconversati[...] 2022-09-20
[243] 웹사이트 ENERGY EQUITY OP-ED: Universal access to electricity i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ending poverty itself https://www.dailymav[...] 2022-09-20
[244] 웹사이트 Why South Africa Is in the Dark, Again https://foreignpolic[...] 2022-09-20
[245] 웹사이트 How the ANC government broke Eskom – 2008 versus 2018 https://mybroadband.[...] 2022-09-20
[246] 웹사이트 South Africa: How Jacob Zuma helped destroy Eskom https://www.theafric[...] 2022-05-09
[247] 서적 The Perfect Storm: Realities of Xenophobia in Contemporary South Africa Southern African Migration Project, University of Cape Town & Queen's University, Canada 2006
[248] 웹사이트 UNHCR Global Appeal 2011 – South Africa http://www.unhcr.org[...]
[249] 웹사이트 2011 UNHCR country operations profile – South Africa http://www.unhcr.org[...]
[250] 웹사이트 S Africa violence spreads after Jacob Zuma jailed https://www.aljazeer[...] 2021-07-12
[251] 웹사이트 Deaths climb to 72 in South Africa riots after Zuma jailed https://www.cnbc.com[...] 2021-07-13
[252] 웹사이트 'Little to lose': Poverty and despair fuel South Africa's unrest https://www.aljazeer[...]
[253] 뉴스 Where does South Africa go from here? https://www.economis[...]
[254] 뉴스 South Africa deploys military as protests turn violent in wake of Jacob Zuma's jailing https://www.washingt[...] 2021-07-12
[255] 웹사이트 Live Updates: Looting and violence in Gauteng and KZN https://www.iol.co.z[...]
[256] 웹사이트 Mapisa-Nqakula: We have deployed 25 000 soldiers https://www.iol.co.z[...]
[257] 웹사이트 Unrest death toll rises to 337 https://www.sanews.g[...] 2021-07-22
[258] 웹사이트 Flare-up in taxi war sparks looting alarm in Cape Town city centre https://www.timesliv[...]
[259] 웹사이트 Cyber attacks expose the vulnerability of South Africa's ports https://issafrica.or[...] 2021-07-29
[260] 웹사이트 Call to 'connect dots between insurrection modus operandi and crippling Transnet cyber attack' https://www.iol.co.z[...] 2021-07-28
[261] 문서 ナミビアとの国境線になっているオレンジ川の支流もフィッシュ川と呼ぶため間違え易いが、こちらはグレートをつけて呼び分けている。
[262] 서적 1997
[263] 문서 カフィール戦争とも。黒人に対してカフィールという呼称が人種差別的かつ侮蔑的であるため、歴史的なコンテキスト以外では、通常はコーサ戦争が用いられる。
[264] 서적 1997
[265] 서적 1997
[266] 서적 2002
[267] 서적 1995
[268] 서적 1995
[269] 서적 1995
[270] 서적 1995
[271] 서적 2003
[272] 서적 1995
[273] 서적 2003
[274] 서적 1995
[275] 서적 1995
[276] 서적 1995
[277] 서적 1991
[278] 서적 1989
[279] 서적 2001
[280] 서적 2009
[281] 서적 青木(2001:103-110)
[282] 서적 田辺・島田・柴田、1998、p.549
[283] 서적 田辺・島田・柴田、1998、p.550
[284] 서적 ロバート・ゲスト、2008、p.144
[285] 서적 宮本・松田、1997、p.390
[286] 서적 平野、2009、p.3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