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베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베사는 알제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에는 테베스테(Theveste)로 불렸다. 로마 제국 시기에는 번성한 도시로, 카라칼라 개선문, 로마 사원, 테베사 바실리카 등 유적이 남아있다. 4세기와 5세기에는 마니교의 중심지였으며, 비잔틴 제국 시대에 재건되기도 했다. 7세기 아랍의 침략 이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현재 테베사 주의 주도로서 알제리와 튀니지 지역과 도로 및 철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테베사 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도 이용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로마 유적 - 팀가드
    팀가드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에 의해 건설된 군사 식민 도시로,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기독교와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가 8세기 초 이슬람 정복 이후 멸망하여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알제리의 유적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유적 - 히포 레기우스
    히포 레기우스는 고대 알제리에 위치했던 도시로,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했으며 로마 시대에 번성하여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로 활동했고, 반달족, 동로마 제국,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거쳐 1832년 프랑스에 의해 보네로 개명되었으며,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 알제리의 도시 - 틀렘센
    틀렘센은 알제리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틀렘센주의 주도로, 베르베르어 어원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포마리아로 불렸고, 자이야니드 왕조의 수도로서 마그레브의 주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알제리의 중요한 관광 중심지이다.
  • 알제리의 도시 - 겔마
    겔마는 알제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건설되어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며, 여러 지배 시대를 거쳐 현재는 농업 중심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테베사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테베사
현지 이름تبسة (아랍어)
테베사
테베사
위치알제리 테베사 주
지리
면적14,227 km²
고도858 m
좌표북위 35° 24′ 동경 8° 7′
기후BSk (반건조 기후)
인구
총 인구 (2008년)196,537명
행정 구역
국가알제리
테베사 주
테베사 구
기타
시간대CET (UTC+1)

2. 역사

고대 시대에 테베스테는 로마 공화국의 일부였다. 로마 제국 설립 후, 제3 아우구스타 군단이 테베스테에 주둔하다가 람바에시스로 이동했다. 이후 테베스테는 트라야누스 황제 치하 2세기 초에 로마 식민지가 되었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는 약 30,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번성한 도시였으며, 현재 테베사에는 카라칼라 개선문, 로마 사원, 4세기의 기독교 테베사 바실리카 등 고대 기념물이 매우 풍부하다.[1]

도나투스파 회의가 이곳에서 열렸다. 주요 성도로는 256년 카르타고 공의회에 참석하고 2년 후 순교한 주교 루키우스, 295년 3월 12일에 순교한 막시밀리아누스, 304년 12월 5일에 순교한 크리스피나가 있다. 이 외에도 349년로물루스, 411년의 우르비쿠스, 484년반달족에 의해 추방된 펠릭스, 비문에 언급된 팔라디우스 등의 주교들이 있었다.[1]

4세기5세기 동안 테베스테는 마니교의 중심지였다. 1918년 6월, 마니교도들이 쓴 26쪽 분량의 라틴어 필사본이 도시 근처의 동굴에서 발견되었고, 한 달 후 앙리 오몽이 나머지 13쪽의 시작 부분을 발견했다. 이 책은 현재 테베사 코덱스로 알려져 쾰른에 보관되어 있으며, 마르쿠스 슈타인에 의해 편집되었다.[1]

테베스테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 통치 초기에 귀족 솔로몬에 의해 재건되어 비잔틴 북아프리카에 편입되었다. 솔로몬은 테베스테에 자신의 무덤을 지었는데, 이 무덤은 여전히 존재한다.[1]

7세기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으로 테베스테의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완전히 파괴되지는 않았다. 11세기나일강홍해 사이에 원래 거주하던 아랍 부족인 바누 힐랄트리폴리타니아, 튀니지, 콩스탕티누아(알제리 콘스탄틴과 테베사 주변 지역)에 정착했다.[1]

16세기 오스만 제국은 테베사에 작은 예니체리 수비대를 설치했다.[1]

1851년 프랑스에 점령된 후, 테베사는 프랑스 프랑스 캉통의 수도, 프랑스령 알제리 콩스탕틴 주의 프랑스 구였다가 이후 본 주로 옮겨졌다. 알제리 독립 이후에는 테베사 주의 주도가 되었다.[1]

2. 1. 고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테베스테"(Θεβέστη) 또는 "헤카톰필레"(Ἑκατομπύλη, 백 개의 문)라고 불렸다.[1]

기원전 146년, 테베스테는 로마 제국에 병합되어 Theveste|테베스테영어로 개명되었다.[1]

1세기, Legio III Augusta|아우구스투스 제3군단영어이 테베스테에 주둔했다.[1] 트라야누스 황제(53년~117년) 치하에서 식민 도시가 되었으며, 인구는 3만 명에 달했다.[1] 도나투스파의 회의가 테베스테에서 열렸다.[1]

256년, 성 루키우스는 Councils of Carthage|카르타고 공의회영어를 보조했다.[1]

258년, 성 루키우스 주교는 순교했다.[1]

295년 3월 12일, Maximilian (martyr)|성 막시밀리아누스영어순교했다.[1]

304년 12월 5일, Crispina|성 크리스피나영어순교했다.[1]

4세기~5세기, 테베스테는 마니교의 중심지였다.[1]

동로마 제국유스티니아누스 1세(483년~565년) 시대(재위: 527년~565년) 초기에 솔로몬 장군(?~544년)은 테베스테를 재건하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묘를 세웠다.[1]

2. 2. 중세

트라야누스 황제(53년~117년) 치하에서 테베스테는 로마 제국의 식민 도시가 되었다. 인구는 3만 명에 달했으며, 현재 테베사에 남아있는 유적에는 카라칼라 개선문, 로마 사원, 그리고 4세기의 기독교 테베사 바실리카 등 고대 기념물이 매우 풍부하다.

도나투스파의 회의가 테베스테에서 열렸다. 256년 성 루키우스는 카르타고 공의회를 보조했고, 258년 순교했다. 295년 3월 12일에는 성 막시밀리아누스가, 304년 12월 5일에는 성 크리스피나가 순교했다.

4세기~5세기 테베스테는 마니교의 중심지였다. 1918년 6월, 마니교도들이 쓴 26쪽 분량의 라틴어 필사본이 도시 근처의 동굴에서 발견되었고, 한 달 후 앙리 오몽이 나머지 13쪽의 시작 부분을 발견했다. 이 책 전체는 현재 테베사 코덱스로 알려져 있으며 쾰른에 보관되어 있다.

동로마 제국유스티니아누스 1세(483년~565년) 시대(재위: 527년~565년) 초기에 솔로몬 장군(?~544년)은 테베스테를 재건하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묘를 세웠다.

7세기, 아랍의 침략으로 테베스테는 중요성을 잃었다. 11세기, 아랍인바누 힐랄나일강홍해 사이에 살았으나 튀니지, 트리폴리타니아, 콘스탄틴에 이주했다.

2. 3. 근현대

7세기, 아랍의 침략으로 테베스테는 중요성을 잃었다. 11세기, 나일강홍해 사이에 살았던 아랍인 바누 힐랄튀니지, 트리폴리타니아, 콘스탄틴으로 이주했다.

16세기, 오스만 제국예니체리 수비대를 배치했다.

1851년, 프랑스가 점령하여 "테베사"로 개명되었고, 소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안나바 주의 주도가 되었다.

1962년, 알제리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1974년, 테베사 주의 주도가 되었다.

3. 지리

테베사는 스텝 기후(BSk)로,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이 나타난다.[4][5] 기온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역대 최고 기온 (℃)24°C30.1°C32°C32.4°C40.6°C41.3°C42.5°C43°C40°C37.3°C31°C27°C
역대 최저 기온 (℃)-8°C-6.6°C-6°C-4°C0°C3°C8.9°C8°C2°C-1°C-3.4°C-11°C


3. 1. 기후

테베사는 쾨펜 기후 구분상 스텝 기후(BSk)에 속하며,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이 나타난다.[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1.7°C13.5°C15.7°C19.2°C24.6°C30.7°C34.2°C33.3°C28.6°C22.6°C16.5°C12.9°C
평균 최저 기온 (℃)1.1°C1.9°C3.4°C5.9°C10°C14.2°C16.5°C16.4°C13.7°C9.5°C4.8°C2°C
월 강수량 (mm)27.1mm30.3mm44.8mm30.6mm36.5mm31.2mm11.3mm25.1mm29.4mm23.6mm29mm23.6mm
평균 상대 습도 (%)75.170.865.064.158.749.643.948.361.664.972.274.7


4. 주요 유적



테베사에는 고대 기념물이 매우 풍부하다.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


  • 카라칼라 개선문(테베사): 로마개선문이다. (서기 214년)[1]
  • 로마 극장[1]
  • 미네르바 신전: 서기 3세기 초에 지어졌으며, 모자이크로 장식된 벽이 있다.[1]
  • 원형극장: 서기 4세기에 지어졌다.[1]
  • 성 크리스피나 바실리카(테베사 바실리카) 유적: 서기 4세기에 지어진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바실리카 중 하나이다. 베르베르족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괴되었으며, 535년 비잔틴 제국의 장군 솔로몬에 의해 재건되었다. 예배당, 세례식 항아리, 지하 묘지, 정원, 그리고 테셀레이션 포장재가 있다.[1]
  • 비잔틴 성벽: 6세기에 지어졌으며, 통상적으로 "솔로몬의 벽"으로 알려져 있다. 13개의 사각형 탑이 있다.[1]
  • 고고학 박물관[1]

5. 교통

테베사는 알제리와 튀니지의 다른 지역과 도로 및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테베사 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이 가능하다.

참조

[1] 간행물 Tebessa
[2]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for Tebessa https://www.nodc.noa[...] 2024-03-14
[3] 웹사이트 Tebessa, Algeri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2013-02-11
[4]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for Tebessa ftp://ftp.atdd.noaa.[...] 2013-02-11
[5] 웹사이트 Tebessa, Algeri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2013-02-11
[6] 웹인용 Climate Normals for Tebessa ftp://ftp.atdd.noaa.[...] 2013-02-11
[7] 웹인용 Tebessa, Algeri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2013-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