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벨룽의 노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벨룽의 노래》는 1200년경 오스트리아 궁정에서 고대 게르만 영웅 전설을 집대성하여 발표한 중세 고지 독일어 서사시이다. 현존하는 사본은 30여 종이며, 주요 내용은 영웅 지크프리트와 부르군트 왕족 크림힐트의 결혼, 지크프리트의 죽음과 크림힐트의 복수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작품은 중세 기사도 정신과 게르만 영웅주의를 결합하여 묘사하며, 19세기 이후 독일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니벨룽의 반지》를 비롯한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독일 문학 및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름스 - 보름스 협약
    보름스 협약은 112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5세와 교황 갈리스토 2세가 서임권 투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체결한 협정으로, 황제가 주교 및 수도원장 서임 권한을 일부 포기하고 선거 참여 및 분쟁 시 영향력 행사 권한을 갖는 대신 제1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황과 황제 관계에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
  • 12세기 시 - 카르미나 부라나
    《카르미나 부라나》는 다양한 언어로 쓰여진 중세 시가집으로, 칼 오르프에 의해 칸타타로 편곡되어 "오 포르투나"를 비롯한 음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독일 남부 등 중부 유럽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12세기 시 - 이고리 군기
    12세기 말 키예프 루스의 문학 작품인 《이고리 군기》는 이고리 스뱌토슬라비치의 실패한 원정을 서사적으로 묘사하며 루스 제후들의 분열과 외세의 위협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애국심, 자연, 민족 단결의 주제를 담은 작품으로, 러시아 문학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세기 시 - 카르미나 부라나
    《카르미나 부라나》는 다양한 언어로 쓰여진 중세 시가집으로, 칼 오르프에 의해 칸타타로 편곡되어 "오 포르투나"를 비롯한 음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독일 남부 등 중부 유럽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13세기 시 - 파르치팔
    《파르치팔》은 볼프람 폰 에센바흐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작품을 각색한 중세 고지 독일어 서사시로, 파르치팔의 성배 탐색과 기사도, 사랑, 방황을 다루며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니벨룽의 노래
기본 정보
니벨룽겐의 노래 필사본
"니벨룽겐의 노래" 필사본
제목니벨룽겐의 노래
원제Der Nibelunge liet (고지 독일어)
다른 제목Der Nibelunge nôt (고지 독일어)
장르영웅 서사시
언어중세 고지 독일어
창작 시기1200년경
작가불명
구성
권수39 Aventiuren (모험)
2379 연
등장인물
주요 인물지크프리트
크림힐트
군터
하겐
브륀힐트
관련 인물에첼 (아틸라)
디트리히 폰 베른
영향
파생 작품니벨룽겐의 노래 (영화)
니벨룽겐의 반지
니벨룽겐의 노래 (희곡)
관련 작품니벨룽겐의 고리
기타
유네스코 등재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009년)

2. 사본 및 판본

현존하는 《니벨룽의 노래》 사본은 단편적인 것을 포함하여 30여 종에 달하며, 가장 오래된 사본은 122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에는 1200년경 오스트리아 궁정에서 활동하던 기사가 고대 게르만의 영웅전설을 집대성하여 발표한 작품으로 해석하고 있다.

니벨룽의 노래 단편, 베를린, SB, Fragm. 44


《니벨룽의 노래》와 그 변형본의 필사본과 단편은 37개로 알려져 있다.[2] 이 중 11개의 필사본은 본질적으로 완전하며, 24개의 필사본은 다양한 단편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에는 네덜란드어로 된 버전("T" 필사본)도 포함된다.

《니벨룽의 노래》의 각 필사본의 텍스트는 서로 상당히 다르지만,디트리히 서사시와 같은 다른 많은 중고 독일 영웅 서사시에서 발견되는 것보다는 변동폭이 적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니벨룽의 노래》의 모든 버전이 수정과 재작업을 거쳐 원본 버전("원형")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해 왔다. 얀-디르크 뮐러는 《니벨룽의 노래》가 항상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이러한 변화를 서사시의 자료가 구술성에서 문학으로 전파되는 것과 연결시킨다고 주장한다.

가장 오래된 세 개의 완전한 필사본은 호엔엠스-뮌헨 필사본 A(c. 1275-1300), 장크트 갈 필사본 B(c. 1233-1266), 그리고 호엔엠스-도나우에싱겐 필사본 C(c. 1225-1250)이다. 학자들은 이 세 사본을 바탕으로 크게 "Not" 버전 (*AB)과 "Lied" 버전 (*C)으로 구분한다. *C 버전은 이전 버전을 분명히 재작업한 것이지만, 이 버전이 *AB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AB 역시 이전 텍스트의 확장된 버전일 수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B 필사본이 원본 *AB 버전에 가장 가깝다고 가정한다.

1300년까지 《니벨룽의 노래》는 적어도 다섯 가지 버전으로 유포되었다.

# "Not" 버전 *A;

# "Not" 버전 *B;

# "Lied" 버전 *C;

# 혼합 버전 *Db;

# 혼합 버전 *Jdh (또는 *J/*d).

1300년 이후의 대부분의 단편은 "Not" 버전과 "Lied" 버전의 사본을 기반으로 한 혼합 버전으로 보인다. 세 개의 후기 필사본은 변형된 버전을 제공한다. 하나는 m(1450년 이후)으로 분실되었고, 다른 두 개는 아직 존재한다. n(c. 1470/80)과 k(c.1480/90)이다. m과 n 필사본에는 《구 노르드어》의 ''Þiðreks saga''와 초기 근대 독일어의 ''Lied vom Hürnen Seyfrid''에서 발견되는 것과 더 유사한 지크프리트의 청소년 시절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k는 텍스트를 단축하고 언어를 현대화한다.

니벨룽의 노래는 다른 중세 고지 독일 영웅 서사시와 마찬가지로 익명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익명성은 다른 중세 고지 독일 작품에서의 문학 논의에서도 나타난다. 비록 다른 시의 작품을 평가하거나 칭찬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다른 시인이 니벨룽의 노래의 저자를 언급하는 경우는 없다. 고트프리트 폰 슈트라스부르크에 의해 잃어버린 서사시의 저자로 여겨지는 블리거 폰 슈타이나흐와 같은 알려진 작가와 니벨룽의 노래의 저자를 동일시하려는 시도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는 단일 저자가 썼을 것으로 여겨지며, 아마도 니벨룽클라게의 저자와 함께 "니벨룽 작업장"(“”)에서 작업했을 것이다. 후자의 작품은 "마이스터 콘라드"를 니벨룽의 노래의 라틴어 원본의 저자로 지칭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허구로 여겨진다. 단일 니벨룽의 노래의 저자가 종종 가정되지만, 텍스트의 다양한 정도와 모호한 구전 전통을 배경으로 볼 때 저작 의도에 대한 아이디어는 신중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여러 명의 시인이 관여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아마도 "니벨룽의 노래의 저자"로 간주될 수 있는 단일 "리더"의 지시를 받았을 것이다.

니벨룽의 노래는 일반적으로 1200년경으로 추정된다. 볼프람 폰 에셴바흐는 요리사 루몰트를 언급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니벨룽의 노래의 저자가 만들어낸 것으로 여겨지며, 그의 기사도 로맨스인 ''파르치팔''(c. 1204/5)에서 이 서사시가 쓰인 시기의 상한선을 제공한다. 또한, 이 시의 운율 기법은 1190년에서 1205년 사이에 사용된 것과 가장 유사하다. 이 시가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암시한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시도는 일반적으로 설득력이 없었다.

현재 이 시의 창작에 대한 이론은 저자가 파사우 지역에 집중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이 시는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인물인 파사우의 주교 필그림을 강조하며, 저자의 지리적 지식은 다른 곳보다 이 지역에서 훨씬 더 확실해 보인다. 이러한 사실들은 연대와 결합되어 학자들이 파사우의 볼프거 주교 (재위 1191–1204)가 이 시의 후원자였을 것이라고 믿게 만들었다. 볼프거는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와 토마신 폰 치르클레어와 같은 다른 문학가들을 후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역사적 인물인 파사우의 주교 필그림을 나타내는 주교 필그림에게 쏟아진 관심은 볼프거에 대한 간접적인 경의였을 것이다. 더욱이 볼프거는 이 시가 쓰일 당시 필그림의 성인성을 확립하려 했으며, 그의 두드러짐에 대한 추가적인 이유를 제공했다.

19세기 초 카를 라흐만은 이 작품은 여러 인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모여 완성된 것이라고 하는 "가요 집적설"을 주장했다. 한편, 아돌프 홀츠만과 프리드리히 차른케는 라흐만과 반대의 생각을 주장하며, 이 서사시는 한 명의 인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20세기에 들어 안드레아스 호이스러는 라흐만의 가요 집적설을 부정하고, "발전 단계설"이라고 불리는 설을 주장했다. 이는 이야기는 주로 두 개의 흐름(브륀힐트 전설과 부르군트 전설)이 각각 단계적으로 발전한 후, 어느 시점에 정리된 것이며, 『니벨룽겐의 노래』 자체는 한 명의 작가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주장이다.

어떤 사본이 원본에 가장 가까운지에 대한 논점에 대해, 먼저 카를 라흐만은 자신의 "가요 집적설"을 이유로, 이러한 성립을 한 것은 모순, 어긋남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사본 A가 원본에 가장 가깝다고 주장했다. 한편, 아돌프 홀츠만과 프리드리히 차른케도 자신의 주장을 근거로, 한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으니 가장 문제점이 적은 사본 C야말로 원본에 가장 가깝다고 주장했다. 그 후 카를 바르취, 이어서 빌헬름 브라우네의 연구에 의해 사본 B가 가장 원본에 가까운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현재에는 이 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3. 구성

《니벨룽의 노래》는 총 39개의 노래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1~19장)는 지크프리트와 크림힐트의 결혼, 군터 왕과 브륀힐트의 결혼, 하겐의 배반에 의한 지크프리트의 암살을 다룬다. 후반부(20~39장)는 크림힐트와 훈족 왕 에첼의 결혼, 훈족에 초대된 부르군트족의 멸망을 다룬다.

원래는 전편과 후편으로 나뉘어 있지 않지만, 내용의 성질상 브륀힐트 전설을 바탕으로 한 부분(1 - 19 노래장)을 전편, 부르군트 전설을 바탕으로 한 부분(20 - 39 노래장)을 후편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의 절 수는 사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현재 가장 원본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사본 B는 2379절이다. 가장 모순과 오류가 많은 사본 A는 2316절, 사본 C는 2440절로 구성되어 있다.

《니벨룽의 노래》는 4행 연으로 쓰여 있으며, 구술 시가의 특징인 정형성을 보인다. 시 전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단어, 수식어, 구절, 연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요소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유연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반복은 시의 전통적인 구술적 주제와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가상적 구술성"(fingierte Mündlichkeitde)의 징표로 여겨진다.

각 연은 3개의 Langzeilende ("긴 줄")과 마지막의 더 긴 행으로 구성된다. 각 행은 3개의 운율 발과 시적 휴지, 그리고 시적 휴지 다음 3개의 운율 발(마지막 행은 추가 발)로 구성된다. 시적 휴지 앞의 마지막 단어는 여성형, 행의 마지막 단어는 남성형이며, 행은 짝을 이루어 각운을 이룬다.

이 연의 특성은 서사가 블록 단위로 진행되는 구조를 만든다. 처음 세 행은 이야기를 전개하고, 네 번째 행은 재앙을 암시하거나 논평을 제시한다. 연들은 인과적, 서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채 배치된 듯 보이며, 동일 인물의 다른 반응, 여러 인물의 집단적 반응을 묘사하기도 한다.

서사시는 사건에 대해 여러 가지 동기를 제시하며, 일부는 모순되기도 한다. 사건은 빈번하게 중단되고, 시에서 묘사된 시간은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 모험/Âventiuren}}({{Literal translationde)으로 나누는 것은 에피소드 간 단절을 강조한다.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 연결은 느슨하지만, 서술자의 논평을 통해 인과적, 서사적 연결이 유지되며, 서술자는 다가올 재앙을 상기시킨다.

4. 등장인물

지크프리트는 네덜란드의 왕자로, 난쟁이 니벨룽족을 정복하여 막대한 재산을 얻고 용을 죽인 영웅이다. 크림힐트와 결혼하지만 하겐의 배신으로 암살당한다.

군터는 부르군트 왕국의 왕이다. 지크프리트의 도움으로 브륀힐트와 결혼한다.

크림힐트는 군터의 여동생으로, 지크프리트의 아내가 된다. 남편의 죽음 이후 복수를 위해 훈족 왕 에첼과 재혼한다.

브륀힐트는 이스란트(아이슬란드)의 여왕으로, 강력한 힘을 가진 여걸이다. 군터와 결혼한다.

하겐은 부르군트 왕국의 중신으로, 지크프리트를 암살하고 니벨룽족의 보물을 빼앗는다.

에첼은 훈족의 왕으로, 크림힐트와 재혼한다. 역사상의 인물인 아틸라를 모델로 한다.

브레델린은 에첼의 동생이다.

디트리히는 동고트족의 왕으로, 에첼의 궁정에 머무르며 부르군트족과의 전투에 휘말린다. 역사상의 인물인 테오도리크 대왕을 모델로 한다.

힐데브란트는 동고트족의 기사이며 디트리히의 부하이다.

뤼디거는 에첼의 신하로 크림힐트의 복수를 돕는다.

5. 줄거리

네덜란드의 왕자 지크프리트는 부르군트 왕 군터의 누이동생 크림힐트에게 청혼하기 위해 보름스에 도착한다. 지크프리트는 용을 죽이고 막대한 금을 얻었으며, 용의 피로 목욕하여 뚫을 수 없는 피부를 얻었다는 이야기가 하겐에 의해 전해진다. 지크프리트는 1년 동안 크림힐트를 보지 못한 채 보름스에 머물렀지만, 작센족과 데인족의 공격에 맞서 군터를 도운 덕분에 마침내 크림힐트를 만날 수 있게 된다.

군터의 결혼 첫날밤 (요한 하인리히 퓌슬리 1807)


군터는 아이슬란드 여왕 브륀힐트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어했지만, 브륀힐트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여걸이었기에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서는 무술 및 신체적 시합에서 이겨야 했다. 지크프리트는 군터에게 크림힐트와의 결혼을 약속받고, 자신의 마법 망토(Tarnkappede)를 사용하여 군터가 브륀힐트와의 시합에서 이기도록 돕는다. 브륀힐트는 군터와 결혼하고, 지크프리트는 크림힐트와 결혼한다.

결혼 후, 지크프리트와 크림힐트는 네덜란드로 돌아가지만, 브륀힐트는 지크프리트가 군터의 가신이라는 사실에 불만을 품고 크림힐트와 갈등을 겪는다. 크림힐트는 브륀힐트와의 갈등중에 브륀힐트의 순결을 빼앗은 것이 지크프리트임을 폭로하고, 증거로 반지와 허리띠를 내놓는다. 이에 분노한 하겐은 군터에게 지크프리트를 살해하라고 조언한다.

"지크프리트의 죽음"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 1847)


지크프리트의 죽음. Nibelungenliedde 필사본 K.


하겐은 크림힐트에게 지크프리트의 약점을 알아내고, 사냥에 나선 지크프리트를 뒤에서 창으로 찔러 암살한다. 지크프리트의 시신이 하겐 앞에서 피를 흘리자, 크림힐트는 하겐이 범인임을 확신한다. 크림힐트는 보름스에 남아 복수를 다짐하고, 하겐은 지크프리트의 보물을 빼앗는다.

5. 1. 전반부

네덜란드의 왕자 지크프리트는 부르군트 왕 군터의 누이동생 크림힐트에게 청혼하기 위해 보름스에 도착한다. 지크프리트는 용을 죽이고 막대한 금을 얻었으며, 용의 피로 목욕하여 뚫을 수 없는 피부를 얻었다는 이야기가 하겐에 의해 전해진다. 지크프리트는 1년 동안 크림힐트를 보지 못한 채 보름스에 머물렀지만, 작센족과 데인족의 공격에 맞서 군터를 도운 덕분에 마침내 크림힐트를 만날 수 있게 된다.

군터는 아이슬란드 여왕 브륀힐트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어했지만, 브륀힐트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여걸이었기에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서는 무술 및 신체적 시합에서 이겨야 했다. 지크프리트는 군터에게 크림힐트와의 결혼을 약속받고, 자신의 마법 망토(Tarnkappede)를 사용하여 군터가 브륀힐트와의 시합에서 이기도록 돕는다. 브륀힐트는 군터와 결혼하고, 지크프리트는 크림힐트와 결혼한다.

결혼 후, 지크프리트와 크림힐트는 네덜란드로 돌아가지만, 브륀힐트는 지크프리트가 군터의 가신이라는 사실에 불만을 품고 크림힐트와 갈등을 겪는다. 크림힐트는 브륀힐트와의 갈등중에 브륀힐트의 순결을 빼앗은 것이 지크프리트임을 폭로하고, 증거로 반지와 허리띠를 내놓는다. 이에 분노한 하겐은 군터에게 지크프리트를 살해하라고 조언한다.

하겐은 크림힐트에게 지크프리트의 약점을 알아내고, 사냥에 나선 지크프리트를 뒤에서 창으로 찔러 암살한다. 지크프리트의 시신이 하겐 앞에서 피를 흘리자, 크림힐트는 하겐이 범인임을 확신한다. 크림힐트는 보름스에 남아 복수를 다짐하고, 하겐은 지크프리트의 보물을 빼앗는다.

5. 2. 후반부

훈족은 부르군트족이 안에 있는 에첼의 홀에 불을 지른다. 훈데스하겐셔 코덱스(15세기 중반)의 삽화


미망인이 된 크림힐트는 훈족의 왕 에첼과 재혼한다. 크림힐트는 복수를 위해 부르군트족을 훈족의 땅으로 초대한다. 하겐은 크림힐트의 계략을 의심하지만, 군터와 부르군트족은 초대에 응한다.

라인 강을 건너기전, 하겐은 로렐라이로부터 "한 사람을 제외하고 모두 죽을 것이다"라는 불길한 예언을 듣는다. 훈족의 땅에서 부르군트족과 훈족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고, 결국 양측 모두 멸망한다. 동고트족의 왕이자 당시 훈족의 객원이었던 용사 베른의 디트리히는 크림힐트가 복수를 꾀하고 있다는 것을 사절단에게 경고한다. 그 후 크림힐트는 디트리히에게도 복수 계획을 돕도록 부탁하지만 거절당한다.

크림힐트는 에첼의 동생 브레델린을 매수하여 환영 연회에 참석한 사절단을 습격하게 하고, 속임수를 알아챈 하겐은 칼을 뽑아 연회에 있던 어린 왕자를 참살한다. 부르고뉴와 훈족은 완전히 결렬되어, 훈족의 동맹군인 덴마크와 동고트족까지 얽히는 처참한 살육전이 시작되었다.

크림힐트는 군터와 하겐을 생포하고, 지하 감옥에 갇힌 하겐에게 지크프리트가 남긴 니벨룽겐의 보물을 넘겨주면 목숨을 살려주겠다고 말한다. 그러나 하겐은 "군터 왕이 살아있는 한, 보물의 위치는 말할 수 없다"라며 거절했다. 그래서 크림힐트는 "두 사람의 목숨은 살려주겠다"라는 디트리히와의 약속을 어기고, 오빠인 군터를 참수하고, 생머리를 하겐에게 보여주었다.

크림힐트는 하겐을 죽이지만, 힐데브란트에게 살해당한다. 하겐이 그럼에도 보물의 소재를 밝히는 것을 거부하자, 격노한 크림힐트 왕비는 검을 들고 하겐을 참살했다. 그 검은 지크프리트 왕자의 유품인 검 발뭉이었다. 동고트족의 기사 힐데브란트는 적이지만 묶여서 무저항인 용사에 대한 처사에 격분하여 크림힐트를 참살한다. 남겨진 에첼과 디트리히는 죽어간 많은 용사들을 생각하며 비탄에 잠긴다.

6. 영향

《니벨룽의 노래》는 게르만 민족 이동기의 영웅 전설을 소재로 한 서사시로, 중세 기사도 정신과 영웅주의를 잘 보여준다.[9] 특히 화려하고 호사스러운 궁정 사회를 배경으로 중세의 기사 도덕(명예와 충성)을 게르만 민족의 영웅주의에 결부시키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9]

이 서사시의 배경에는 니벨룽 사가라고 불리는 방대한 구전 전통이 존재한다.[9] 이 구전 전통은 《니벨룽의 노래》 창작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보름스의 장미 정원》과 《휘르넨 자이프리트의 노래》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9] 이러한 구전 전통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이 융합되어 원래의 역사적 맥락을 잃어버린 형태로 나타난다.[9] 역사적 사건들은 개인적 선호, 호감, 반감, 반목을 통해 설명되며, 역사적으로 같은 시대에 살지 않았던 인물들이 동시대 인물로 나타나기도 한다.[9]

니벨룽 사가는 스칸디나비아에서도 수용되었으며, 《고 에다》와 《볼숭가 사가》에서 유사한 이야기가 발견된다.[9] 노르드 텍스트가 니벨룽 사가의 더 원본적인 버전을 담고 있다고 여겨졌지만, 새로운 연구는 이에 의문을 제기한다.[9] 노르드 신화 및 게르만 이교와의 연결은 더 최근의 발전일 가능성이 높다.[9]

부르군트족의 죽음은 라인강 유역의 역사적인 부르군트 왕국의 멸망에서 기원한다.[9] 군다하리우스 왕의 통치하에 있던 이 왕국은 436년/437년에 로마 장군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에 의해 멸망했다.[9] 사가는 그 멸망을 훈족의 왕 아틸라 (에첼)의 궁정에서 일어난 것으로 묘사한다.[9] 아틸라 왕국의 멸망 자체는 453년 아틸라가 결혼 후 갑작스럽게 죽은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9]

지크프리트는 역사적 인물과 확실하게 동일시될 수 없다.[9] 그는 메로빙거 왕조에서 기원했을 수 있으며, 브룬힐다 (543–613)와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한다.[9] 학자들은 지크프리트와 그의 용 살해가 아르미니우스의 신화화된 반영일 수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9]

36개의 현존하는 필사본을 통해 《니벨룽의 노래》는 독일 중세 시대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9] 이 시는 볼프람 폰 에셴바흐의 《파르치팔》과 《빌레할름》에서 인용되었으며, 《티투렐》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9] 중세 수용자들은 부르군트족의 멸망에 관한 이야기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으며, 시의 전반부는 종종 단축되거나 요약되었다.[9]

중세 시대의 관심사는 대학살의 불가피성과 크림힐트와 하겐의 유죄 여부에 집중되었다.[9] 《니벨룽겐클라게》는 멸망의 공포를 이해하고 크림힐트의 책임을 면제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9] 반면 《보름스의 장미 정원》은 크림힐트를 악마화하고, 후기 중세 시대의 《휜른 자이프리트의 노래》는 그녀의 편을 든다.[9]

《니벨룽의 노래》는 중세 고지 독일 문학의 전체 장르를 창시했다고 할 수 있다.[9] 결과적으로, 다른 중세 고지 독일 영웅 서사시는 "후-니벨룽 시대"("nachnibelungisch")로 묘사되기도 한다.[9] 《쿠드룬》(c. 1250)은 이전 시의 영웅적 비극을 뒤집는 《니벨룽의 노래》에 대한 응답으로 묘사되어 왔다.[9]

《니벨룽의 노래》에 대한 수용은 15세기 이후 중단되었다가 18세기에 재발견되었다.[9] 요한 야콥 보드머는 이 작품을 "독일의 《일리아스》" ()라고 칭했지만, 고전 서사시와의 비교는 초기 수용에 해로운 영향을 미쳤다.[9] 프리드리히 2세는 《니벨룽의 노래》를 "화약 한 방울의 가치도 없다"()고 혹평했다.[9]

19세기 초, 특히 나폴레옹 전쟁의 맥락에서 《니벨룽의 노래》는 독일의 국가 서사시로 여겨지게 되었다.[9] 카를 심로크가 1827년 현대 독일어로 번역한 《니벨룽의 노래》는 이 서사시를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9] 독일 제국 건국 이후, 수용자들은 시의 영웅적인 측면에 더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지크프리트의 인물은 독일 민족주의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인물이 되었다.[9]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연작 《니벨룽의 반지》는 니벨룽 사가를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9]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사이의 동맹은 니벨룽겐 충성으로 묘사되었다.[9]

전쟁 사이 기간에는 《니벨룽의 노래》가 프리츠 랑의 영화 《니벨룽겐》(1924/1925)으로 영화계에 진출했다.[9] 이 서사시는 반민주주의 선전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지크프리트의 배신과 살해는 독일군이 받았다고 여겨지는 배신과 비교되었다.[9]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헤르만 괴링은 《니벨룽의 노래》를 사용하여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의 희생을 기념했다.[9]

나치의 남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후의 시 수용과 각색은 종종 패러디적이다.[9] 이 서사시는 지역 문화와 역사에서 계속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새로운 각색에 영감을 주고 있다.[9]

19세기 독일 작곡가인 리하르트 바그너는 이 이야기를 소재로 4부작 악극인 《니벨룽의 반지》를 작곡했다.[9] 바그너의 《반지》는 아이슬란드 사가 중 《볼숭 사가》와 《에다》의 내용도 차용하고 있다.[9]

니벨룽겐탑(Nibelungen tower), 보름스의 니벨룽겐 다리에 위치


오스트리아 투른 안 데어 도나우의 니벨룽겐 분수 (Hans Muhr, 2005), 에첼과 크림힐트의 만남을 묘사


오데나임의 "지크프리트의 샘". 《니벨룽겐의 노래》 필사본 C에 나오는, 오덴발트에서 지크프리트가 살해된 장소로 추정되는 여러 장소 중 하나

7. 한국어 번역

허창운 옮김, «니벨룽겐의 노래»(상·하 2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년 5월)는 카를 바르취(Karl Bartsch)가 정리한 «Das Nibelungenlied»(Wiesbaden: Roswitha Wisniewski ergänzte Aufl, 1988)을 저본으로 번역한 것이다.(같은 역자의 «니벨룽겐의 노래»(범우사, 1990, 1997, 2014)는 요약본을 옮긴 것이다.)

일본어 번역으로는 사가라 모리미네 번역의 『니벨룽겐의 노래』 이와나미 문고 (전 2권, 초판 1955년, 개정판 1975년), 이시카와 에이사쿠 번역의 『니벨룽겐의 노래』 지쿠마 문고 (전 2권, 2011년), 오카자키 타다히로 번역의 『니벨룽겐의 노래』 (조에이샤, 2017년) 등이 있다.

8. 평가 및 현대적 의의

『니벨룽의 노래』는 게르만 민족 이동기의 영웅을 소재로 한 서사시로, 중세 시대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였다.[9] 중세의 기사 도덕(명예와 충성)을 게르만 민족의 영웅주의에 결부시킨 점이 주목할 만하며, 리하르트 바그너의 가극 <니벨룽의 반지> 원전(原典)이다.[9]

볼프람 폰 에셴바흐가 그의 『파르치팔』과 『빌레할름』에서 인용했으며, 그의 미완성 작품인 『티투렐』에서 연을 사용하는 데 영감을 주었을 것이다. 중세 시대의 수용자들은 부르군트족의 멸망에 관한 이야기에 가장 관심이 있었으며, 시의 전반부는 종종 단축되거나 요약되었다. 『니벨룽겐클라게』는 멸망의 공포를 이해하고 크림힐트의 책임을 면제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반면에 『보름스의 장미 정원』은 크림힐트를 철저히 악마화하는 반면, 후기 중세 시대의 『휜른 자이프리트의 노래』는 그녀의 편을 더욱 강력하게 지지한다.

처음으로 쓰여진 중세 고지 독일 영웅 서사시인 『니벨룽의 노래』는 중세 고지 독일 문학의 전체 장르를 창시했다고 할 수 있다. 『쿠드룬』(c. 1250)은 이전 시의 영웅적 비극을 뒤집는 『니벨룽의 노래』에 대한 응답으로 묘사되어 왔다. 쿠드룬 자신은 때때로 크림힐트의 직접적인 반전으로 여겨지는데, 그녀는 전쟁 중인 세력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 대신 평화를 이룬다.

15세기 이후 수용이 중단되었다가, 1755년 야콥 헤르만 오브라이트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요한 야콥 보드머는 이 작품을 "독일의 ''일리아스''" ()라고 칭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니벨룽겐의 노래''를 "화약 한 방울의 가치도 없다"고 칭했지만,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은 이를 "위대한 비극"이라고 불렀다.

19세기 초, 특히 나폴레옹 전쟁의 맥락에서 ''니벨룽겐의 노래''는 독일의 국가 서사시로 여겨지게 되었다. 카를 심로크가 1827년 현대 독일어로 번역한 ''니벨룽겐의 노래''는 이 서사시를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독일 제국 건국 이후, 수용자들은 시의 영웅적인 측면에 더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지크프리트의 인물은 독일 민족주의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인물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사이의 동맹은 니벨룽겐 충성으로 묘사되었다. 전쟁 사이 기간에는 프리츠 랑의 2부작 영화 ''니벨룽겐''(1924/1925)으로 영화계에 진출했다. 동시에, ''니벨룽겐의 노래''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패배 이후 반민주주의 선전에 널리 사용되었다. 지크프리트의 배신과 살해는 독일군이 받았다고 여겨지는 배신과 명시적으로 비교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헤르만 괴링은 ''니벨룽겐의 노래''의 이러한 측면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여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의 희생을 기념하고 소련을 에첼의 아시아 훈족과 비교했다.

20세기 초 독일의 작가이자 문학사학자인 아돌프 바르텔스는 『독일 문학사』 제1권에서, 본 작품을 독일인의 기질을 가장 완전하고 명료하게 체현한 작품으로 평했으며, 더 나아가 만약 역사에서 독일 민족이 사라지고, 그 문학적 유산이 극히 일부만 남는다면, 본 작품과 괴테의 『파우스트』 단 두 권으로 국한할 수 있다고 극찬했다.

나치의 남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후의 시 수용과 각색은 종종 패러디적이다. 동시에, 이 시는 특히 보름스와 ''니벨룽겐의 노래''에 언급된 다른 장소에서 지역 문화와 역사에서 계속 역할을 하고 있다.

볼름스에서 오덴발트에 걸쳐 『니벨룽겐의 노래』에 관련된 명소가 산재해 있으며, 이들을 묶어 베르트하임에 이르는 관광 가도가 2개 있는데, 하나는 "니벨룽겐 가도", 다른 하나는 "지크프리트 가도"로 명명되어 있다. 이 두 가도를 합쳐 "니벨룽겐-지크프리트 가도"라고 총칭한다.

9. 각주

{{각주|refs=

}}

참조

[1] 문서 Designated as A (today in Munich, Bayerische Staatsbiblitohek), B (today in St. Gallen, Stiftsbiblitohek) and C (today in Karlsruhe, Baden State Library)
[2] 웹사이트 Handschriftencensus http://www.handschri[...]
[3] 웹사이트 Song of the Nibelungs, a heroic poem from mediaeval Europ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7-31
[4] 서적 ドイツの夢―「国民」と「古典」 岩波書店 2016-09
[5] 웹사이트 Nibelungenlied https://en.wikisourc[...]
[6] 문서 후편 p. 345 1975
[7] 비디오 니벨룽겐의 노래 Filmfernsehfonds Bayern
[8] 서적 니벨룽겐의 노래 범우 2014
[9] 웹사이트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