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지정된 국가등록문화재 목록을 설명한다. 이 기간 동안 독립운동 관련 유물 및 유적, 종교 관련 문화재, 교육 관련 문화재, 건축 및 산업 관련 문화재, 그리고 기타 문화재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가 지정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독립운동 관련 문화재(서재필 진료가운, 여운형 혈의, 3·1독립선언서 등), 종교 관련 문화재(대전 대흥동성당, 강경성당, 군산 둔율동 성당 등), 교육 관련 문화재(조선지질도, 부산대학교 구 본관,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등), 건축 및 산업 관련 문화재(강경 갑문, 정암철교,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 등) 등이 있다.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중 독립운동 관련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wikitext
2. 독립운동 관련 문화재
2. 1. 독립운동가 유물
2. 2. 독립운동 관련 유적
3. 종교 관련 문화재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대한민국의 문화재청이 지정한 국가등록문화재이다. 2014년부터 2017년 사이에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재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번호 명칭 지정일 제617호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 2014년 10월 29일 제618호 청도 신둔사 영산보탑 및 탑비 2014년 10월 29일 제619호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 2014년 10월 29일 제620호 공주 신원사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 2014년 10월 29일 제621호 제주 정광사 소조미륵여래입상 2014년 10월 29일 제622호 통영 용화사 괘불도 2014년 10월 29일 제623호 사천 다솔사 괘불도 2014년 10월 29일 제624호 진주 의곡사 괘불도 2014년 10월 29일 제625호 완주 화암사 괘불도 2014년 10월 29일 제626호 진안 천황사 괘불도 2014년 10월 29일 제627호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 2014년 10월 29일 제628호 대구 동화사 괘불도 2014년 10월 29일 제629호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 2014년 10월 29일 제630호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 2014년 10월 29일 제631호 백용성 역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 2014년 10월 29일 제632호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2014년 10월 29일 제633호 순천 송광사 송광사사료집성 2014년 10월 29일 제634호 조계산 송광사사고 2014년 10월 29일 제635호 김룡사 사료수집 2014년 10월 29일 제636호 대본산 김룡사 본말사 연혁 원고 2014년 10월 29일 제637호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 2014년 10월 29일 제643호 대전 대흥동성당 2014년 10월 30일 제645호 한암스님 가사 2014년 12월 26일 제646호 백용성 역 한글본『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2014년 12월 26일 제649호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2015년 8월 18일 제650호 강경성당 2015년 8월 25일 제653호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 2015년 12월 8일 제654호 안동교회 예배당 2015년 12월 16일 제655호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2015년 12월 16일 제658호 간호교과서 2016년 4월 6일 제659호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 2016년 6월 14일 제668호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 2016년 12월 15일 제669호 예수성교전서 2016년 12월 15일 제670호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 2016년 12월 15일 제671호 구약전서 2016년 12월 15일 제674호 서울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 2017년 2월 15일 제675호 찬송가(UNION HYMNAL) 2017년 2월 15일 제676호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2017년 2월 15일 제677-1호 군산 둔율동 성당 2017년 4월 20일 제681-1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 2017년 4월 20일 제681-2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 2017년 4월 20일 제681-3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 2017년 4월 20일 제681-4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 2017년 4월 20일 제682호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2017년 5월 29일 제684호 고령 관음사 칠성도 2017년 5월 29일 제685호 천로역정(합질) 2017년 5월 29일 제690호 김 골롬바와 아네스 자매(석고상) 2017년 8월 8일 제693호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 2017년 10월 23일 제696호 목포 정광정혜원 2017년 10월 23일 제697호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 2017년 10월 23일 제700호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화당 2017년 12월 5일
2014년에는 불교 관련 문화재가 다수 지정되었는데,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제617호), 청도 신둔사 영산보탑 및 탑비(제618호),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제619호), 공주 신원사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제620호), 제주 정광사 소조미륵여래입상(제621호) 등 불상과 탑, 그리고 통영 용화사 괘불도(제622호), 사천 다솔사 괘불도(제623호), 진주 의곡사 괘불도(제624호), 완주 화암사 괘불도(제625호), 진안 천황사 괘불도(제626호),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제627호), 대구 동화사 괘불도(제628호) 등 괘불도가 포함된다. 또한, 백용성이 번역한 불교 경전인 조선글화엄경(제629호),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제630호),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제631호), 조선어능엄경(제632호)과 순천 송광사 관련 자료(제633호, 제634호), 김룡사 관련 자료(제635호, 제636호), 백용성 선사의 만일선회 방함록(제637호)도 지정되었다. 같은 해 대전 대흥동성당(제643호)과 한암스님의 가사(제645호), 백용성 역 한글본『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제646호)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15년에는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제649호)와 강경성당(제650호),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제653호), 안동교회 예배당(제654호),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제655호)이 지정되었다.
2016년에는 간호 교육 관련 자료인 간호교과서(제658호)와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제659호), 초기 개신교 관련 서적인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제668호), 예수성교전서(제669호),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제670호), 구약전서(제671호)가 지정되었다.
2017년에는 서울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제674호), 찬송가(UNION HYMNAL)(제675호),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제676호), 군산 둔율동 성당(제677-1호)과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건물들(제681-1호, 제681-2호, 제681-3호, 제681-4호),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제682호) 등 천주교 관련 문화재와 고령 관음사 칠성도(제684호), 천로역정(합질)(제685호), 김 골롬바와 아네스 자매(석고상)(제690호),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제693호), 목포 정광정혜원(제696호),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제697호),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화당(제700호)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3. 1. 개신교 관련 문화재
3. 2. 천주교 관련 문화재
3. 3. 불교 관련 문화재
3. 4. 기타 종교 관련 문화재
4. 교육 관련 문화재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일제강점기 이후 건립·제작·형성된 건조물, 유물, 유적 등을 중심으로 지정되며, 그 중 교육 관련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번호 | 명칭 | 소재지 | 지정일 |
---|---|---|---|
제603호 | 조선지질도 | 대전 유성구 | 2014년 9월 2일 |
제604호 | 대한지질도 | 대전 유성구 | 2014년 9월 2일 |
제605호 | 만화 코주부삼국지 | 경기 부천시 | 2014년 9월 2일 |
제610호 | 석주명 유품 | 경기 용인시 | 2014년 10월 29일 |
제611호 | 최현배 의복 | 울산 중구 | 2014년 10월 29일 |
제614호 | 저항라 적삼 | 서울 강남구 | 2014년 10월 29일 |
제615호 | 색복 장려 깃발 | 경기 고양시 | 2014년 10월 29일 |
제629호 |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 | 전북 장수군 | 2014년 10월 29일 |
제630호 |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 | 전북 장수군 | 2014년 10월 29일 |
제631호 | 백용성 역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 | 전북 장수군 | 2014년 10월 29일 |
제632호 |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 전북 장수군 | 2014년 10월 29일 |
제637호 |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 | 경기 성남시 | 2014년 10월 29일 |
제638호 | 채색필사본 대동여지도 | 서울 종로구 | 2014년 10월 29일 |
제640호 |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 | 전남 목포시 | 2014년 10월 30일 |
제641호 | 부산대학교 구 본관 | 부산 금정구 | 2014년 10월 30일 |
제642호 |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 | 부산 금정구 | 2014년 10월 30일 |
제644호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 광주 북구 | 2014년 10월 30일 |
제646호 | 백용성 역 한글본『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 전북 익산시 | 2014년 12월 26일 |
제658호 | 간호교과서 | 서울 광진구 | 2016년 4월 6일 |
제665호 | 발해태조건국지‧명림답부전 | 서울 서대문구 | 2016년 10월 20일 |
제672호 |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 서울 종로구 | 2017년 1월 6일 |
제673호 |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켐벨기념관 | 서울 종로구 | 2017년 1월 6일 |
제679호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 | 서울 서대문구 | 2017년 4월 20일 |
제680호 | 제주 대정여자고등학교실습실(육군98병원병동) | 제주 서귀포시 | 2017년 4월 20일 |
제686호 | 조선요리제법 | 서울 성북구 | 2017년 5월 29일 |
제697호 |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 | 경기 수원시 | 2017년 10월 23일 |
-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부산대학교 장전동 캠퍼스에 위치하며, 정면 중앙의 시계탑을 중심으로 양쪽에 날개부가 뻗어 있는 형태이다. 1950년대 건립된 모더니즘 양식의 건물로, 당시 대학 본관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은 정문과 수위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문은 무지개 모양의 아치형 구조로 1950년대 대학 정문의 특징을 보여준다.
-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은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내에 위치한 붉은 벽돌 건물로, 1920년대 건립된 전형적인 학교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켐벨기념관은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내에 위치하며, 캐롤라이나관과 유사한 붉은 벽돌 건물로, 학교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은 이화여자대학교 내에 위치하며, 1930년대 건립된 학교 건물로, 당시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 제주 대정여자고등학교실습실(육군98병원병동)은 한국 전쟁 당시 육군 제98병원의 병동으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현재는 학교 실습실로 활용되고 있다.
-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은 1950년대 건립된 학교 건물로, 전형적인 모더니즘 양식을 보여준다.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은 1960년대 건립된 건물로, 당시의 교육 시설 및 자료를 보존하고 있다.
-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는 1950년대 건립된 가톨릭 교육 시설로, 당시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5. 건축 및 산업 관련 문화재
wikitext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일제강점기 이후 근대 시기에 지어진 건축물이나 산업 시설 등을 중심으로 지정되어 있다.
- 제601호 강경 갑문은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위치한 갑문으로, 2014년 9월 1일에 지정되었다. 국토교통부에서 관리한다.
- 제602호 강경 채운산배수지는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위치한 배수지로, 2014년 9월 1일에 지정되었다. 논산시에서 관리한다.
- 제603호 조선지질도는 1928년 조선총독부 지질조사소에서 축적 50만 분의 1로 제작한 한반도 최초의 전국 지질도이다. 2014년 9월 2일 지정되었으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관리한다.
- 제604호 대한지질도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 지질조사소에서 제작한 최초의 전국 지질도(축척 100만분의 1)이다. 2014년 9월 2일 지정되었으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관리한다.
- 제639호 정암철교(鼎岩鐵橋)는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정암리와 함안군 군북면 월촌리를 잇는 철교로, 2014년 10월 30일에 지정되었다. 시설물은 의령군과 함안군이, 토지는 국토교통부가 관리한다.
- 제640호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은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동에 위치한 문태고등학교의 본관 건물로, 2014년 10월 30일에 지정되었다. 학교법인 문태학원에서 관리한다.
- 제641호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한 부산대학교의 옛 본관 건물로, 2014년 10월 30일에 지정되었다.
교육부에서 관리한다.부산대학교 구 본관 - 제642호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한 부산대학교의 정문과 옛 수위실 건물로, 2014년 10월 30일에 지정되었다.
교육부에서 관리한다.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 - 제643호 대전 대흥동성당은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성당으로, 2014년 10월 30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대전교구천주교회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대전 대흥동성당 - 제644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은 광주광역시 북구 풍향동에 위치한 광주교육대학교의 교육박물관 건물로, 2014년 10월 30일에 지정되었다. 교육부에서 관리한다.
- 제647호 부산 구 백제병원은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209번길에 위치한 옛 백제병원 건물로, 2014년 12월 26일에 지정되었다. 김성규, 정은숙이 관리한다.
- 제654호 안동교회 예배당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개신교 교회 건물이다. 2015년 12월 16일 지정되었으며, (재)대한예수교장로회경안노회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
- 제655호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천주교 수도회 건물이다. 2015년 12월 16일 지정되었으며, 재단법인 천주교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에서 관리한다.
- 제657호 이천 수광리 오름가마는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에 있는 오름가마이다. 2016년 2월 15일 지정되었으며, 조태권이 관리한다.
- 제662호 서울 남대문로 2층 한옥 상가는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에 있는 한옥 상가 건물이다. 2016년 8월 17일 지정되었으며, (주)흥국생명보험에서 관리한다.
- 제666호 대한민국 최초 운용 전투기(F-51D 무스탕)은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공군이 최초로 운용한 전투기이다. 2016년 10월 20일 지정되었으며, 공군사관학교 공군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공군참모총장이 관리한다.
- 제667호 국민성금 헌납기는 한국 전쟁 당시 국민들의 성금으로 도입한 T-6 훈련기이다. 2016년 10월 20일 지정되었으며, 공군사관학교 공군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공군참모총장이 관리한다.
- 제672호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배화학원의 건물로, 2017년 1월 6일에 지정되었다.
학교법인 배화학원에서 관리한다.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 제673호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켐벨기념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배화여자고등학교의 건물로, 2017년 1월 6일에 지정되었다.
학교법인 배화학원에서 관리한다.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켐벨기념관 - 제674호 서울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해병대사령부의 초대 교회 건물로, 2017년 2월 15일에 지정되었다.
국방부에서 관리한다.서울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 - 제676호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는 서울특별시 중구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에 있는 모자이크 제단화로, 2017년 2월 15일에 지정되었다. 대한성공회 유지재단 (서울주교좌성당)에서 관리한다.
- 제677-1호 군산 둔율동 성당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있는 성당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천주교 전주교구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군산 둔율동 성당 - 제678호 영광 창녕조씨 관해공 가옥은 전라남도 영광군에 있는 창녕 조씨 가옥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조ㅇㅇ 외 2인이 관리한다.
- 제679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이화여자대학교의 건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학교법인 이화학당에서 관리한다.
- 제680호 제주 대정여자고등학교실습실(육군98병원병동)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는 옛 육군 제98병원 병동 건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이 관리한다.제주 대정여자고등학교실습실(육군98병원병동) - 제681-1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건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
- 제681-2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건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
- 제681-3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건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
- 제681-4호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건물로, 2017년 4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
- 제682호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성당으로, 2017년 5월 29일에 지정되었다. (재)대전교구 천주교회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
- 제683호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옛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건물로, 2017년 5월 29일에 지정되었다. 충주시장이 관리한다.
- 제687호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는 일제강점기 앨버트 테일러가 거주했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가옥으로, 2017년 8월 8일에 지정되었다. 기획재정부에서 관리한다.
- 제688호 경기도청사 구관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옛 경기도청 건물로, 2017년 8월 8일에 지정되었다. 경기도지사가 관리한다.
- 제689호 경기도지사 구 관사는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옛 경기도지사 관사 건물로, 2017년 8월 8일에 지정되었다.
경기도지사가 관리한다.경기도지사 구 관사 - 제693호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은 전라남도 영광군에 있는 원불교 교당으로, 2017년 10월 23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원불교에서 관리한다.
- 제694호 광주 관덕정은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활터로, 2017년 10월 23일에 지정되었다. 광주광역시장이 관리한다.
- 제695호 통영 소반장 공방은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소반장 공방으로, 2017년 10월 23일에 지정되었다. 통영시장이 관리한다.
- 제696호 목포 정광정혜원은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사찰 건물로, 2017년 10월 23일에 지정되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정광정혜원에서 관리한다.
- 제697호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는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옛 소화초등학교 건물로, 2017년 10월 23일에 지정되었다. (재)천주교 수원교구유지재단에서 관리한다.
- 제698호 수원 구 부국원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옛 부국원 건물로, 2017년 10월 23일에 지정되었다.
수원시장이 관리한다.수원 구 부국원 - 제699호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은 전라남도 보성군에 있는 안규홍, 박제현 관련 가옥으로, 2017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다. 조ㅇㅇ이 관리한다.
- 제700호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화당은 전라남도 곡성군에 있는 성륜사의 안심당과 육화당 건물로, 2017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성륜불교문화재단에서 관리한다.
5. 1. 근대 건축물
5. 2. 산업 유산
6. 기타 문화재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큰 근대문화유산 중에서 지정되며, 그 중 601호부터 700호까지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포함되어 있다.
7.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