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는 1946년부터 다양한 전형 방식을 거쳐 현재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중심으로 정착되었다. 1982년부터 1993년까지 학력고사와 대학별 고사를 통해 학생을 선발했으며, 1994년부터 수능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수능, 학생부, 대학별 고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수시 모집과 수능 성적을 중심으로 하는 정시 모집, 특별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수시 모집은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논술 전형, 특기자 전형 등으로 구분되며, 정시 모집은 수능 성적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입시 경쟁은 학력 사회와 맞물려 과도한 사교육, 교육비 부담, 지역 격차 등의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 입시 제도 - 다중미니면접
    다중미니면접(MMI)은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면접관과 다양한 주제로 면접을 진행하여 지원자의 역량을 다각도로 평가하는 면접 방식으로, 면접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여 지원자의 미래 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기여한다.
  • 대학 입시 제도 - 독일의 대학입시
    독일의 대학입시는 아비투어 시험 결과와 고등학교 내신 성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대학별 기준에 따라 자기소개서, 추천서, 포트폴리오 등을 요구하거나 추가 시험 및 면접을 실시하기도 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TestAS 시험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17년 11월 23일에 시행된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시험으로, 포항 지진으로 인해 일주일 연기되었으며,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구성되었고 영어 영역은 처음으로 절대평가가 적용되었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19년 11월 14일에 시행된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시험으로,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시행 계획을 발표하고, 전년도와 동일한 영역과 EBS 연계율을 유지했으며, 지진 대비 예비 문항 준비, 모의평가 실시, 성적 사전 조회 논란 등의 과정을 거쳐 2019년 12월 4일에 결과가 통지되었다.
  • 한국의 교육 -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은 정부 수립 후 교육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규정하는 국가 수준의 문서로, 일제강점기 조선교육령 시행 후 광복을 거쳐 1954년 제1차 교육과정 제정 이후 시대적 요구와 교육 철학 변화를 반영하여 현재까지 개정되어 왔다.
  • 한국의 교육 - 고입선발고사
    대한민국에서 중학교 졸업생의 고등학교 입학을 위해 시행되었던 고입선발고사는 전국적으로 시행되다가 1998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되어 2019년 제주를 끝으로 모든 지역에서 폐지되었으며, 9과목으로 구성되어 중학교 전 과정을 범위로 객관식으로 출제되었고, 폐지 후에는 내신 성적만으로 입학이 결정된다.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
개요
유형입학 시험
국가대한민국
목적대학 입학 허가
역사
제도 도입 시기광복 이후
주요 변화시험 과목 및 반영 비율 조정
수시 모집 도입
정시 모집 축소
구성 요소
대학수학능력시험대학 입학 자격고사
내신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성적
대학별고사대학별 논술, 면접, 실기 등
자기소개서학생 본인이 작성하는 서류
추천서교사 등이 학생을 평가하는 서류
입시 전형
수시 모집학생부 종합 전형
학생부 교과 전형
논술 전형
실기 전형
정시 모집수능 위주 전형
실기 위주 전형
특징
경쟁률매우 높음
사교육 의존도높음
공정성 논란지속적으로 제기
관련 법규
고등교육법대학 입시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규정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에 관한 규정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에 관한 세부 사항 규정

2. 역사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는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 왔다. 한국은 대학 진학률이 높아, 대부분의 고등학생에게 입시는 한 번의 기회이므로 대학 입시가 치열해졌다. 이는 일본에서 전문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도 한국에서는 대학교(2, 3년제 대학이 중심)에서 가르치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에서는 고등학교 입시가 없고, 내신 점수에 따른 실업계 고등학교[39]와 일반계 고등학교[40]로의 배정만 있으며, 일반계 고등학교에는 사립·공립의 차이[41]나 고등학교 간의 격차가 없다.[42]

1946년부터 현재까지 입시 제도는 여러 차례 바뀌었다. 2006년 고등교육 진학률(대학에 준하는 고등 교육 기관 = 전문대학 포함)은 86%로, 핀란드에 이어 세계 2위였으나, 이후 취업난으로 급락하여 2017년에는 68.9%이다.[43]

1946년부터 현재까지의 입시 제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는 크게 수시 모집과 정시 모집으로 나뉜다. 수시 모집은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교사 추천서, 면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발하고,[36] 정시 모집은 대학수학능력시험(약칭 '수능', 일본의 대학 입학 공통 테스트에 해당) 점수만으로 선발한다. 2000년 이후 수시 모집 비율이 점차 높아져 2021년 기준 전체 대학 평균 수시 비율은 77%, 정시 비율은 23%이다.[37]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주요 대학에서도 정시 모집 비율이 낮은 편이다.[38]

2. 1. 학력고사 이전

1946년부터 1953년까지 각 대학은 자체적으로 시험을 실시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대학별 단독시험제를 시행하였다. 1954년에는 대학입학연합고사가 시행되어, 이를 통과한 학생만 대학별 고사를 볼 수 있었다. 1955년부터 1961년까지는 다시 대학별 단독시험제를 시행하였다. 1962년부터 1963년까지는 대학입학자격국가고사제를 시행하여 이를 통과한 학생만 대학별 시험을 볼 수 있었다. 1964년부터 1968년까지는 다시 대학별 단독시험제를 시행하였다. 1969학년도부터 1981학년도까지는 예비고사를 시행하였고, 본고사가 폐지된 1981학년도를 제외하면 예비고사와 본고사를 통과한 학생만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다.[6]

2. 2. 학력고사

1982학년도부터 1993학년도까지는 학력고사와 대학별 고사를 통해 학생을 선발하였다. 1987학년도까지는 먼저 학력고사를 치러서 점수를 확인하고 이 점수를 기준으로 대학 지원을 하였고, 1988학년도부터는 대학에 지원하려는 학생은 먼저 원하는 대학을 모집 시기(전기 및 후기)에 각 한 곳씩 지원하고, 지원한 대학교에서 시험을 치렀다. “선지원 후시험 시대”라고도 한다.[7] [8]

2. 3. 대학수학능력시험

흔히 '''수능'''이라고 줄여 부르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994학년도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50][2] 1993학년도까지는 학력고사와 대학별 시험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했으나,[7] 1994학년도부터 학력고사가 폐지되고 수능이 시행되었다. 초기에는 수능과 대학별 고사를 함께 치렀지만, 1997학년도부터 정부의 '본고사 금지' 정책에 따라 논술이나 면접고사를 점수화하여 입시에 반영하고 있다.[9]

수능은 보통 11월 첫째 주 목요일에 실시되며, 점심시간과 휴식 시간을 제외하고 약 8시간 동안 진행된다. 시험 영역은 국어, 영어, 수학, 한국사, 사회탐구/과학탐구/직업탐구, 제2외국어(중국어, 한문, 일본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로 구성된다. 수학 영역은 가형과 나형으로 나뉘는데, 가형은 주로 자연계열, 나형은 인문계열 학생들이 선택한다. 탐구 영역에서는 사회탐구(윤리, 지리, 역사, 정치 등), 과학탐구(물리, 생물, 화학, 지구과학 등), 직업탐구(공학, 상업, 해양학, 농업, 가정학 등) 중 선택할 수 있다.[9]

2013년 수리고등학교 시험장 입구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 응원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는 크게 수시 모집과 정시 모집으로 나뉜다. 수시 모집은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교사 추천서, 면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발하고,[36] 정시 모집은 수능 점수만으로 선발한다. 2000년 이후 수시 모집 비율이 점차 높아져 2021년 기준 전체 대학 평균 수시 비율은 77%, 정시 비율은 23%이다.[37]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주요 대학에서도 정시 모집 비율이 낮은 편이다.[38]

한국은 대학 진학률이 높은 사회이다. 2006년에는 고등교육 진학률이 86%로 세계 2위였으나, 2017년에는 취업난 등의 영향으로 68.9%로 감소했다.[43]

3. 반영 요소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가 반영된다.


  •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흔히 학생부, 생기부, 또는 내신이라고도 불린다. 고등학교 생활 전반에 대한 기록으로, 내신 등급제를 토대로 작성된 '교과 내신'과 봉사활동, 자격증, 영어 공인 인증, 수상 경력 등이 기록된 '비교과 내신'으로 나뉜다.[3]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대학 입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험이다.
  • 대학별 고사: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으로, 논술, 면접, 전공적성검사 등이 있다.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는 크게 수시 모집과 정시 모집으로 나뉜다. 2021년 기준으로 전체 대학 평균 수시 모집 비율은 77%, 정시 모집 비율은 23%이다. 2000년 이후 수시 모집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주요 대학에서도 정시 모집 비율이 낮은 수준이다.[37][38]

한국은 대학 진학률이 높다. 2006년 고등교육 진학률(대학에 준하는 고등 교육 기관 = 전문대학 포함)은 86%로, 핀란드에 이어 세계 2위였다. 그러나 이후 취업난으로 2017년에는 68.9%로 하락했다.[43] 대부분의 고등학생에게 대학 입시는 한 번의 기회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다.

3. 1.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흔히 '''수능'''이라고 줄여 부르며, 대한민국의 대학 입시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험이다. 1994학년도부터 학력고사가 폐지되고 수능이 도입되었으며, 대학별고사가 함께 실시되었다. 1997년부터는 정부의 '본고사 금지' 정책에 따라 논술 시험이나 면접이 실시되어 입시에 반영되고 있다.[9] 이는 이전의 대학 입시 제도와 비교하여 "시험 먼저, 지원 나중" 시스템, 즉 "선(先) 시험, 후(後) 지원 시스템"이라고 불린다.[8]

수능은 보통 11월 첫째 주 목요일에 시행되며, 점심시간과 휴식 시간을 제외하고 약 8시간 동안 진행된다.[2] 수험생은 대학 모집 군별(가군, 나군, 다군)로 각각 1개씩 총 3개의 대학에 지원할 수 있다.

3. 1. 1.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과와 문과는 수학 영역과 탐구 영역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문제를 푼다.

  • 국어 영역: 한국어 능력을 평가한다. 화법, 작문, 문법, 문학, 독서 파트가 있다.
  • 수학 영역: 이과는 수학Ⅰ, 미적분, 확률과 통계 파트로, 문과는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파트로 구성된다.
  • 영어 영역: 듣기와 독해 파트로 구성된다.
  • 한국사 영역: 모든 학생이 반드시 응시해야 하며, 응시하지 않으면 성적표가 무효 처리된다.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 탐구 영역: 과학탐구, 사회탐구, 직업탐구 영역이 있다. 수험생은 이 중 한 영역을 선택하고, 해당 영역에서 두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한다. 단, 직업탐구 영역은 특성화고등학교(전문고등학교) 졸업생만 응시할 수 있다.
  • 과학탐구 영역: 이과 학생들이 주로 응시한다. 물리Ⅰ, 화학Ⅰ, 생명 과학Ⅰ, 지구 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명 과학Ⅱ, 지구 과학Ⅱ가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동일 교과의 Ⅰ, Ⅱ 과목을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금지한다. Ⅱ 과목은 서울대학교한국과학기술원(KAIST) 지원자만 주로 응시하여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 사회탐구 영역: 문과 학생들이 주로 응시한다.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 지리, 세계 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가 있다.
  • 직업탐구 영역: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응시한다. 농업 이해,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기초 제도, 상업 경제, 회계 원리, 해양의 이해,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가 있다.
  • 제2외국어·한문 영역: 주로 문과 학생들이 응시하며, 한 과목을 선택한다.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Ⅰ, 베트남어Ⅰ, 한문Ⅰ이 있다.


성적표에는 표준 점수, 백분위, 등급이 표기된다. 상대 평가 과목은 표준 점수와 백분위가, 절대 평가 과목은 등급이 중요하다.[9]

3. 1. 2. 성적 산출

성적표에는 표준 점수, 백분위, 등급이 표기된다. 상대 평가 과목과 절대 평가 과목이 있다. 상대 평가 과목은 표준 점수와 백분위가, 절대 평가 과목은 등급이 중요하다.[2]

3. 2. 학교생활기록부 (학생부)

'''학생부'''(또는 '''생기부''', '''내신''')는 고등학교 학생 생활 전반을 기록한 자료이다. 내신 등급제를 바탕으로 작성된 '교과 내신'과 봉사활동, 자격증, 영어 공인 인증, 수상 경력 등의 정보가 기록된 '비교과 내신'으로 나뉜다.[3] 학교 기록 또는 학업 보고서라고도 불리는 이 기록들은 고등학생들의 성적과 기타 성과를 보여준다. 학생부는 학업 과목 성적을 기록하는 "교과" 부문과 봉사 활동, 성취 증명서, 수상 내역 등을 기록하는 "비교과" 부문으로 나뉜다.[3]

3. 2. 1. 비교 내신

비교 내신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일정 기간[49]이 경과했거나, 검정고시 합격자처럼 학교생활기록부가 없는 수험생들에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나 논술 성적으로 내신 성적을 매기는 방식이다.[4]

3. 3. 대학별 고사

대학별 고사는 대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시험으로, 주로 논술 시험이 있으며, 일부에서는 면접(구술), 전공적성검사, 실기 등 대학교별로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적용하여 실시한다.[30] 최근에는 입학사정관제의 도입이 늘고 있다.

대학별 고사는 수시 모집 또는 정시 모집에서 각 대학이 원하는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이다. 널리 알려진 대학별 고사의 종류로는 논술고사, 면접고사, 실기시험, 전공적성시험이 있다. 1994년 이전의 소위 '본고사' 형태의 대학별 고사는 교육부3불 정책에 의해 금지된다.[30] 그러나 다시 부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0]

4. 모집 방법

수시 모집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의 방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이다. 다만, 최저 학력 기준이 있어 수능 등급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불합격 처리된다. 등급 반영 방법은 대학마다 다르다. 수시 모집은 학생부 종합 전형, 학생부 교과 전형, 논술 전형, 특기자 전형으로 나뉜다.

4. 1. 수시 모집

수시 모집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이전에 실시되며,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대학별 고사 등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51] 1997학년도에 본고사가 폐지되면서 도입되었다.[10] 초기에는 1차와 2차로 나뉘어 수능 전후에 각각 실시되었으나, 2010학년도부터 1학기 모집이 폐지되어 2학기 모집만 실시하고 있다.[11] 필요에 따라 3차 모집을 하기도 한다.

수시 모집은 수능 점수를 반영하지 않지만, 대부분 대학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여 사실상 수능 성적을 반영한다.[12] 2013학년도부터 지원 횟수가 6회로 제한되었고,[51] 대학별 지원 자격 제한도 가능하다. 2012학년도부터는 미등록 충원 제도를 도입하여 정시 이월 인원을 최소화하고 있다.[52]

수시 모집 및 미등록 충원 합격자는 정시 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53] 수시 모집은 우수 학생을 미리 선발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비중이 점차 증가하여, 2019학년도에는 전체 모집 인원의 76.2%를 차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54]

4. 1. 1. 전형 종류

수시 전형은 크게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특기자전형의 4가지로 구분된다.[54]

  • 학생부종합전형(약칭 학종)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전형이다. 내신 성적(정량 평가)뿐만 아니라 수상, 자격증, 진로, 창의적 체험 활동, 교과 학습, 독서, 행동 발달 등(정성 평가) 학교생활기록부의 거의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을 선발한다. 대교협 공통 문항 3개와 대학별 자율 문항 1개, 총 4개로 구성된 자기소개서도 평가에 반영되며, 경우에 따라 교사추천서도 필요하다.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상위권 대학은 학생부종합전형 비중이 높다.
  • 학생부교과전형은 학교생활기록부 중 내신 성적(정량 평가)만 반영한다. 내신 성적 이외의 요소는 반영하지 않으며, 자기소개서 및 교사추천서가 필요 없다는 점이 학생부종합전형과 다르다. 학교별 성적 편차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내신 경쟁이 치열한 학교의 학생들에게 불리하다.
  • 논술전형은 인문사회계 논술과 자연계 논술로 구분된다. 인문사회계 논술은 주어진 제시문의 틀 안에서 논지를 전개하는 방식이며, 자연계 논술은 수식을 풀이하는 방식이다. 수능 최저 등급이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학생부교과전형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 특기자전형은 어학 특기자, 과학 특기자 등 여러 전형이 있다.

4. 2. 정시 모집

정시 모집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을 바탕으로 시행된다. 정시 모집에서는 모집 군별(가군, 나군, 다군)[60][61]로 각 1개씩 총 세 번 입시에 응할 수 있다. 수능 성적에 학생부 및 대학별 고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경우도 있고, 100% 수능만을 반영하여 선발하는 경우도 있다. 대학별로 모든 단과대학이 같은 군에서 학생을 모집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러 군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학교도 있다.

정시 모집에는 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표준 점수, 백분위를 활용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등급을 활용하기도 한다. 또한 절대평가로 치러지는 영어 및 한국사는 무조건 등급으로 반영한다.

수능 성적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55.5%가 수능 중심의 정시 모집이 60% 이상을 차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시 비중이 10∼40%여야 한다는 응답자는 22.3%였고, 50% 안팎이어야 한다는 응답자는 17.7%였다.[59]

4. 3. 특차 모집

특차 모집은 4년제 대학에 한해 정시 모집보다 먼저 실시하며,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미리 모집하는 제도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 초기에 실시되었으며, 전형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발표되기 전에 시작한다.

특차 모집은 2002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이 9등급제로 전환되면서 모두 폐지되었다.[62]

4. 4. 추가 모집

추가 모집은 4년제 대학에 한해 정시 모집이 끝나고도 학생을 모집하지 못했을 경우에 시행하며, 주로 학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지방 소재 대학이나 일부 특별전형에서 많이 이루어진다.[1]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대학교가 대입 전형으로 추가 모집 또는 수시 모집을 실시하는데, 이는 한 번의 지원 기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모집 정원이 충원될 때까지 연중 수시로 지원서를 접수한다는 의미이다.[2]

추가 모집 또는 수시 모집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성적 증명서, 표준화된 시험 점수, 자기소개서, 추천서와 더불어 대학에서 요구하는 기타 서류들을 제출해야 한다.[2] 지원 절차 및 요구 사항은 대학에 따라 다를 수 있다.[2]

입학 절차가 수시로 진행되고, 자리가 채워지는 대로 마감되기 때문에, 합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2] 하지만, 입학 요건과 모집 인원은 연중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와 마감일을 확인하기 위해 대학에 정기적으로 문의해야 한다.[2]

모든 대학이 추가 모집 또는 수시 모집을 실시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하는 경우에도 모집 정원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2] 따라서 지원하기 전에 자신의 선택 사항을 신중하게 조사하고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2]

5. 모집 전형

일반전형은 정원 내에서 일반적인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한다. 일반 전형에는 정시 모집과 수시 모집이 있다.

5. 1. 일반 전형

일반 전형은 정원 내에서 일반 학생들을 학교생활기록부,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학별 고사 등을 이용하여 선발하는 방법이다.[1] 이 대입 전형은 학업 성적과 표준화된 시험 점수를 결합하여 경쟁적으로 이루어지며, 흔히 정시 전형이라고도 불린다.[1]

일반 전형은 일반적으로 매년 11월에 진행되며, 원서 접수 기간은 몇 주 동안 지속된다.[1]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성적 증명서, 표준화된 시험 점수, 자기소개서, 추천서 및 대학에서 요구하는 기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1]

입학 결정은 학생의 학업 성취, 과외 활동, 자기소개서 및 추천서를 포함한 지원서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기반으로 하며,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도 고려된다.[1]

일반 전형은 경쟁이 치열하며 모집 정원은 제한되어 있다.[1] 따라서 학생들은 입학 요강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지원 서류를 미리 잘 준비해야 한다.[1] 또한, 일부 대학에서는 면접 또는 추가 시험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1]

일부 대학은 서로 다른 입학 요건과 일정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학생들은 개별 대학의 구체적인 요건과 마감일을 확인해야 한다.[1] 일반 전형은 정원 내에서 일반적인 학생을 선발하며,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한다. 정시 모집과 수시 모집이 있다.[1]

5. 2. 특별 전형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특별 전형은 크게 정원 내 특별 전형과 정원 외 특별 전형으로 나뉜다. 정원 내 특별 전형은 스포츠, 음악, 예술 등 특정 분야에 뛰어난 재능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대학별로 정해진 인원 내에서 선발한다. 정원 외 특별 전형은 정해진 인원 제한 없이 학업 성취도가 뛰어나거나 특별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한다.[32]

두 전형 모두 대학 및 전형에 따라 지원 절차와 요구 사항이 다르며, 에세이, 면접, 오디션 등을 추가로 요구할 수 있다. 특별 전형은 일반 전형과 다른 기준을 적용받으므로, 관심 있는 학생들은 입학 요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32]

5. 2. 1. 정원 내 특별 전형

정원 내 특별 전형은 취업자, 음악·미술·체육 등 특기자를 위한 전형 등이 있다.[33] 대부분의 대학에서 정원 내 특별 전형 제도를 실시하며, 주로 대학 독자적 기준 전형 제도를 실시한다. 이 경우에는 학교의 이념(특히 사립대학)이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실시한다.

정원 내 특별 전형은 크게 취업자 전형, 특기자 전형, 대학 독자적 기준 전형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33] 주로 수시 모집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간혹 정시 모집에서도 실시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수는 수시에 비하면 미미한 편이다. 그러나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이 정시 모집의 비중을 늘리면서 할당량 내 특별 전형은 폐지되는 추세이다.[34]

5. 2. 2. 정원 외 특별 전형

정원 외 특별 전형 제도는 크게 5가지로 나뉜다.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 학생들을 위한 전문계고교졸업자 특별전형, 농어촌 지역[63] 학생들을 위한 농·어촌학생 특별전형, 장애인들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재외국민[64]이나 외국인[65]을 대상으로 한 재외국민 및 외국인 대상 전형,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있거나 가정환경이 특수한 학생을 위한 기회균형 특별 전형 등이 있다.[35]

주로 정시모집에서 실시하나, 최근에는 수시모집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35]

  •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를 위한 특별 전형
  • 농어촌 학생 특별 전형 (주로 을 대상으로 하며, 때로는 대학 기준에 따라 남원, 김제, 나주, 태백, 문경, 상주의 정부의 "새로운 활력 지역"을 포함)
  • 장애인 특별 교육 대상자를 위한 특별 전형
  • 재외국민 특별 전형 (이 규칙은 탈북민과 외국인에게도 적용된다. 부모 중 한 명이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면 외국인도 이 입학 전형에 지원할 수 없다. 그러나 부모 중 한 명이 중국 국적이고 다른 한 명이 한국 국적이라도 이 자격으로 지원할 수 있다.)
  • 사회적 소외 계층 또는 특별한 가정 환경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특별 전형

6. 사회적 배경 및 문제점

대한민국은 극심한 학력 사회이며, SKY로 대표되는 명문대 진학이 성공의 기준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44]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과도한 입시 경쟁을 유발하고 여러 문제점을 야기한다.

수험생들은 어릴 때부터 학원 등 사교육을 받으며 과도한 경쟁에 내몰리고, 이는 수험생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48] EBS는 도시와 지방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강좌를 방송하는 전문 채널(EBS 플러스 1)을 운영하고 있다.

입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많은 비용이 필요하며, 2022년 조사에 따르면 1인당 월평균 6970만의 사교육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44] 이는 가계에 큰 부담이 되며, 교육비 부담은 대한민국의 낮은 출산율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44]

강남구 대치동, 양천구 목동, 노원구 상계동은 서울의 3대 교육 특구로 불리며, 학원 산업이 발달해 있다.[44]

2004년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대규모 부정행위가 발생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했다.[44]

최근에는 고학력층의 취업난과 해외 유학 증가로 인해 '학력 난민' 문제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6월에 '킬러 문항' 폐지 등 입시 경쟁 완화 정책을 추진할 것을 지시했다.[44]

참조

[1] 웹사이트 "[어땠을까] 한국 입시제도 변천사 [History of the Korean University Entrance System]" http://www.sisaon.co[...] 2020-11-06
[2] 웹사이트 2022학년도 대입 정시 1.3%p 증가...서울 주요 16개대 수능 전형 30%↑ https://www.ytn.co.k[...] 2023-03-20
[3] 웹사이트 고3 동아리·봉사 등 '비교과활동' 9월 초중순까지 수시에 반영(종합)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high school senior clubs and volunteer work, will be reflected in early admission until September] https://www.yna.co.k[...] 2020-11-05
[4] 간행물 대한민국의 검정고시 https://ko.wikipedia[...] 2023-03-20
[5] 웹사이트 Admissions Officer System revamps college entrance https://www.koreatim[...] 2023-03-20
[6] 웹사이트 "[뉴스클립] 82년 본고사 없애고 학력고사… 눈치작전·4당5락 신조어 생겨 [Get rid of the main exam in '82, and take the achievement test]" https://news.joins.c[...] 2020-11-06
[7] 학술지 Online News Publishing Practices of the Media Outlet through the Portal : An Exploratory Analysis of Naver News Data from 2000 to 2017 http://dx.doi.org/10[...] 2020-04-30
[8] 학술지 Quarantining behaviour in ants: are ''Myrmica'' aphid milkers able to detect and get rid of fungus-contaminated aphids? http://dx.doi.org/10[...] 2020-10-29
[9] 학술지 Online News Publishing Practices of the Media Outlet through the Portal : An Exploratory Analysis of Naver News Data from 2000 to 2017 http://dx.doi.org/10[...] 2020-04-30
[10] 웹사이트 97학년도이후 大入제도 발표 [Announcement of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Since 1997] https://news.naver.c[...] Yonhap News Agency 2020-11-05
[11] 웹사이트 2010학년도 대입, 수시1학기 폐지…급격한 대학자율화 지양 [2010 University Entrance, Abolish the first semester of early admission...a sudden avoidance of university autonomy] https://news.naver.c[...] 2020-11-05
[12] 웹사이트 연세대 수능 최저 폐지, 다른 대학들은 "글쎄요" - 매일신문 [Yonsei University's the lowest grading system Abolition, Other Universities Say "Well"] http://news.imaeil.c[...] 2020-11-05
[13] 웹사이트 대입 수시모집 총정원 62% 선발…미등록 충원 도입 [62% of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selected by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troduction of unregistered recruitment] https://news.naver.c[...] 2020-11-05
[14] 웹사이트 2019년 대학입학전형, 대입정원 76% 수시로…학생부·논술 더 중요해져 [2019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76% of the College Entrance Quota From early admission...Student record, essay writing becomes more important.] https://news.joins.c[...] 2020-10-07
[15] 웹사이트 '교사 추천서 작성법'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It relieves you from worrying about 'how to write a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 http://www.readersne[...] 2020-11-05
[16] 웹사이트 '"고교간 내신 불균형 가장 큰 문제" ["The biggest problem of imbalance in high school grades."]' https://news.naver.c[...] 2020-11-05
[17] 웹사이트 '"글쓰기 자신 있다면 2~3등급도 상위대학 논술전형 고려" ["If you are confident in writing, consider essay screening for top universities with 2 to 3 grades."]' http://www.kado.net/[...] 2020-11-06
[18] 웹사이트 예체능계열 아니어도 가능한 특기자전형, 지원 시 주의사항은? [Special talents that are not required for art and physical education. What are the precautions for applying?] http://www.edudonga.[...] 2020-11-06
[19] 웹사이트 학생부 종합 전형, 왜 '금수저 전형'이라고 불릴까? [Student comprehensive screening, why is it called the "gold spoon screening"?] https://news.sbs.co.[...] 2020-09-24
[20] 웹사이트 [취재파일]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한 '스펙' 만들어 드립니다 [[Report file] We will make 'Spect' for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admission process.] https://news.sbs.co.[...] 2020-09-24
[21] 웹사이트 '"수능 절대평가하려면 \'금수저·깜깜이 전형\' 학종 개선해야" ["In order to fully evaluate the CSAT, we need to improve the 'Golden Spoon and Black Skills' academic category."]' https://www.hankyung[...] 2020-09-24
[22] 웹사이트 생활 없고 기록만 남은 학교생활기록부 https://www.ytn.co.k[...] 2023-03-20
[23] 웹사이트 '"학종 전형 폐지·감축\' 50.8%…정시 비중 높여야" ["The abolition and reduction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ystem" 50.8%..."We need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regular admissions"]' http://news.kbs.co.k[...] 2020-10-07
[24] 웹사이트 "[교육부] 특차 폐지등 2002부터 대입제도 전면재검토 [A Full Review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from 2002]" https://www.chosun.c[...] 2020-11-14
[25] 웹사이트 "[핫이슈] \'정시에 내신 반영\'으로 입시판 뒤흔든 서울대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shook up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due to the reflection of school records in the regular admission]" https://www.mk.co.kr[...] 2020-11-14
[26] 웹사이트 "[2018 수능]입시 최대 변수는 \'영어 절대평가\'···최상위권-상위권 극명히 갈려 [2018 CAST] The biggest variable in the entrance examination is the English Absolute Evaluation,··The top-to-upper ranks sharply divided." http://news.khan.co.[...] 2020-11-05
[27] 웹사이트 출제형식 작년 비슷… 영어·한국사 절대평가 [The questions were similar to last year's... absolute evaluation of English and Korean history] http://www.joongboo.[...] 2020-11-05
[28] 웹사이트 2002大入 특차모집 폐지 [Abolish the special recruitment of college entrance exams from 2002] https://news.naver.c[...] 2020-10-07
[29] 웹사이트 "[2018 대입] 건국대·동국대 등 157개大 8591명 \'추가모집\'…26일까지 [2018 College Entrance] 'Additional recruitment' of 8,591 students from 157 large universities including Konkuk University and Dongkuk University. ...until the 26th" https://www.hankyung[...] 2020-11-05
[30] 웹사이트 이주호 "대학입시 3불 정책 유지" [Maintaining the three-no policy for college entrance system] https://news.naver.c[...] 2020-10-03
[31] 웹사이트 EXAMS IN SOUTH KOREA: IMPORTANCE, HELL, HISTORY AND GETTING INTO UNIVERSITY {{!}} Facts and Details https://factsanddeta[...] 2023-03-21
[32] 웹사이트 For prestigious university admission, S. Korean students and parents in a war for information https://english.hani[...] 2023-03-21
[33] 웹사이트 예체능특기자 3백72명 지원 [372 applicants who have performed well in music, art, sports and other specialties] https://news.naver.c[...] Yonhap News Agency 2020-11-05
[34] 웹사이트 서울 16개 대학 수능 비중 40% 이상...논술·특기자 전형 폐지 [6 universities in Seoul 40% or more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bolish essay writing and special talent screening] https://www.ytn.co.k[...] 2020-11-14
[35] 웹사이트 서울권 대학들, 학령인구 감소에도 정원 외 모집으로 입학생 확보 [Universities in Seoul, despit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age population, secure students by recruiting extra-quota special screening] http://www.kyosu.net[...] 2020-11-05
[36] 웹사이트 韓国の大学入試制度改編 https://www.ide.go.j[...] IDEスクエア 2019-01
[37] 뉴스 大学入試改革のゆくえ 英語4技能試験は挫折、ポートフォリオは課題山積……韓国の入試改革の教訓は? https://www.asahi.co[...] 朝日新聞EduA 2020-12-28
[38] 웹사이트 文在寅大統領も頭を悩ます…韓国の大学受験「7割が推薦」の深き闇 https://gendai.media[...] 2019-11-02
[39] 문서 あるいは普通科と併設している高校
[40] 문서 実業系と併設している高校の普通科
[41] 문서 "[[咸安郡]]のように公立高校は1校に対し、私立高校は4校もある基礎地方自治体もある。"
[42] 문서 なお外国語高等学校や科学高等学校などの特殊目的高校の高校生の大部分も進学を目標にする。
[43] 웹사이트 韓国の教育熱に異変? 大学進学率、8年間で78%→69%に(1) https://japanese.joi[...] japanese.joins.com 2019-03-13
[44] 웹사이트 “塾通い地獄”生む超難問が禁止に?広がる波紋とは? {{!}} NHK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10-23
[45] 웹사이트 高学歴社会が生み出す韓国「N放世代」の不幸 https://toyokeizai.n[...]
[46] 웹사이트 韓国の私学高等教育(下)序列化進む私立大学 https://www.shidaiky[...]
[47] 웹사이트 韓国の教育事情と大学生 https://www.alter-ma[...]
[48] 서적 「超格差社会・韓国」 扶桑社
[49] 문서 졸업 경과년도는 대학마다 기준이 다르다.
[50] 문서 과거에는 정시 라군(群)도 있었다.
[51] 문서 4년제 대학(교육대학 포함)만 해당되며, 산업대학, 전문대학, 그 외의 각종대학은 제외
[52] 문서 수시 미등록 충원을 처음 도입한 2012학년도에는 미등록 충원 합격자에 한해서 제외
[53] 문서 산업대학, 전문대학도 포함되며, 그 외의 각종대학은 제외
[54] 뉴스 2019년 대학입학전형, 대입정원 76% 수시로…학생부·논술 더 중요해져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7-07
[55] 뉴스 학생부 종합 전형, 왜 '금수저 전형'이라고 불릴까? https://news.sbs.co.[...] SBS NEWS 2018-07-07
[56] 뉴스 (취재파일)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한 '스펙' 만들어 드립니다 https://news.sbs.co.[...] SBS NEWS 2017-10-24
[57] 뉴스 "수능 절대평가하려면 '금수저·깜깜이 전형' 학종 개선해야" http://news.hankyung[...] hankyung.com 2017-08-29
[58] 웹인용 생활 없고 기록만 남은 학교생활기록부 http://www.ytn.co.kr[...]
[59] 뉴스 “‘학종 전형 폐지·감축’ 50.8%…정시 비중 높여야” http://news.kbs.co.k[...] KBS 뉴스 2018-07-07
[60] 문서 초기에는 라군도 있었으나, 2002학년도 이후로 폐지
[61] 문서 수시 6회 제한과 마찬가지로 산업대학, 전문대학, 그 외의 각종대학은 제외
[62] 웹인용 2002大入 특차모집 폐지 [Abolish the special recruitment of college entrance exams from 2002] https://news.naver.c[...] 대전일보 2020-09-25
[63] 문서 주로 [[읍]], [[면 (행정 구역)|면]]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대학마다의 기준에 따라 정부의 '신활력지역([[남원시]], [[김제시]], [[나주시]], [[태백시]], [[문경시]], [[상주시]])'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64] 문서 "[[북한이탈주민]]의 경우에도 이 규정이 적용된다."
[65] 문서 외국 국적 학생이라해도 부모 중 한쪽이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였을 경우에는 이 전형에 응시할 수 없다. 다만 부모 중 한쪽이 대한민국 국적이라해도 상대 부모가 [[중화민국]] 국적자일 때에는 응시가 가능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