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결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결분쟁은 국제법상 전쟁이 완전히 종결되지 않아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분쟁을 의미하며, 6.25 전쟁과 같이 정전협정은 체결되었지만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가 대표적이다. 동결분쟁은 2차 국공 내전, 카슈미르 분쟁, 한국 전쟁, 서사하라 분쟁, 키프로스 분쟁,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쟁 - 갈등
    갈등은 개인이나 집단 간 목표, 이해관계, 가치관의 상충으로 발생하는 불일치, 대립, 긴장 상태를 의미하며, 다양한 수준과 유형으로 나타나 부정적 결과와 함께 건설적 관리 시 성장과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고, 협상, 조정, 중재 등의 해결 방법을 통해 심각한 경우 무력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분쟁 - 싸움
    싸움은 둘 이상의 대립하는 집단 간의 충돌을 의미하며 군사적 전투와 일상생활의 비유적인 의미를 포괄하고, 군사적 전투는 전투나 전쟁으로 불리며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고 분쟁 관련 법률의 규제를 받으며, 근접 격투는 신체나 근접 무기를 사용한 격투 방식으로 발전했고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냉전의 여파 - 유고슬라비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은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과정에서 발발한 일련의 무력 분쟁으로, 민족주의, 세르비아의 지배 시도, 국제 사회의 개입과 무관심 속에서 대규모 인명 피해, 전쟁 범죄, 유고슬라비아 분열, 유럽 역사상 가장 큰 난민 위기를 초래했다.
  • 냉전의 여파 - 구소련 국가
    구소련 국가는 1991년 소련 해체 후 독립한 15개 국가를 지칭하며,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민주주의 정착, 시장경제 전환, 러시아 영향력, 지역 분쟁 등 다양한 과제와 지정학적 요소에 직면해 있다.
  • 국제 관계 - 국빈 방문
    국빈 방문은 한 국가의 원수가 다른 국가를 공식적으로 방문하여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관계 발전을 목표로 하는 외교 행사이다.
  • 국제 관계 - 지역 강국
    지역 강국은 특정 지역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세계적인 규모의 능력은 갖추지 못한 국가를 의미하며, 경제력, 군사력, 인구, 정치력 등을 갖추고 지역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동결분쟁
분쟁 개요
정의정치적 해결이 불가능한 무력 충돌 상황
전쟁이 끝났지만 평화 협정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
갈등이 일시적으로 멈춘 것처럼 보이지만, 언제든 재발할 수 있는 상황
특징분쟁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 지속
경제적 어려움 심화
난민 발생 및 인도적 위기 초래
외부 세력의 개입 가능성 상존
관련 용어미해결 분쟁
정지된 분쟁
해결되지 않은 분쟁
냉동 전쟁
발생 원인
복잡한 요인민족, 종교, 이념 간의 갈등
영토 분쟁
자원 경쟁
역사적 배경
정치적 이해관계
해결 방안
다각적인 노력 필요당사자 간의 대화와 협상
국제 사회의 중재
평화 유지 활동
경제 지원
신뢰 구축
주요 동결 분쟁 사례
유럽트란스니스트리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나고르노-카라바흐
키프로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돈바스
아시아카슈미르
아크사이친
센카쿠 열도 (댜오위다오)
한반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골란 고원
쿠릴 열도
아프리카서사하라
소말리아
카빌리

2. 동결분쟁의 정의와 특징

동결분쟁은 국제법적으로 전쟁 상태가 완전히 종결되지 않아 언제든지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분쟁을 의미한다. 동결분쟁은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불안정한 상태를 조성한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6.25 전쟁이며, 대한민국북한 간 정전협정이 체결되었지만 궁극적으로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어서 동결분쟁으로 인식된다. 또 다른 동결분쟁의 사례는 나고르노 카라바흐 분쟁으로, 1994년 휴전 이후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못한 채 서로 충돌과 갈등을 수시로 주고받다가 나고르노 카라바흐의 영유권을 놓고 2020년 9월 27일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간에 전면전이 재발하였으며, 이미 양측에서 수천 명 이상의 사상자 및 엄청난 물적 피해가 발생했다. 동결분쟁은 꼭 국가 간이 아니더라도 특정 개인 또는 단체(집단) 사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1]

3. 동결분쟁 목록

중화민국
미국중화인민공화국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소련양안 관계. 중화민국이 전쟁에 패배했으나 타이완과 인근 섬들을 근거지로 사실상 독립국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중국 대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역시 타이완과 인근 섬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카슈미르 분쟁인도-파키스탄 전쟁1947년 10월 22일1949년 1월 1일인도 자치령파키스탄 자치령확실한 결착을 내지 못한 채 옛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43%는 인도가, 37%는 파키스탄이, 20%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하고 있다.1965년 전쟁1965년 8월1965년 9월 23일인도파키스탄카르길 전쟁1999년 5월1999년 7월인도-중국 전쟁1962년 10월 20일1962년 11월 21일인도중화인민공화국중동 전쟁제1차 중동 전쟁1948년 5월 15일1949년 3월 10일이스라엘
미국
프랑스
영국아랍 연맹이스라엘의 독립.제2차 중동 전쟁1956년 10월 29일1956년 11월 7일이집트 왕국제3차 중동 전쟁1967년 6월 5일1967년 6월 10일이집트, 시리아제4차 중동 전쟁1973년 10월 6일1973년 10월 25일이집트, 시리아한국 전쟁1950년 6월 25일1953년 7월 27일대한민국
미국
국제 연합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련한국의 분단.서사하라 분쟁1970년1991년스페인
모로코
모리타니
프랑스폴리사리오 전선
알제리모로코폴리사리오 전선서사하라를 양분해 각자 통치하고 있음.키프로스 분쟁터키의 키프로스 침공1974년 7월 20일1974년 8월 18일튀르키예
튀르크 저항기구키프로스
그리스터키가 승리하고 사실상 독립국인 북키프로스가 세워졌으나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함.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1988년 2월 20일1994년 5월 16일나고르노카라바흐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사실상의 독립국가인 아르차흐 공화국이 세워졌으나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함.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1990년 3월 2일1992년 7월 21일트란스니스트리아
러시아몰도바
루마니아트란스니스트리아가 승리해 사실상 독립했지만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함.제1차 남오세티야 전쟁1991년 1월 5일1992년 6월 24일그루지야남오세티야 공화국
북오세티야 의용병사실상의 독립국가인 남오세티야 공화국이 세워졌으나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함.압하지야 독립전쟁1992년 8월 14일1993년 9월 27일압하지야
러시아조지아
우크라이나 국민회의사실상의 독립국가인 압하지야 공화국이 세워졌으나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함.제2차 남오세티야 전쟁1991년 1월 5일1992년 6월 24일러시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조지아남오세티야 공화국의 사실상 독립국 지위 강고화. 조지아독립국가연합 탈퇴.코소보 전쟁1998년 3월 5일1999년 6월 11일코소보 해방군
NATO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코소보가 독립국가로 승인받고 세르비아로부터 독립했다. 승인해준 나라가 다수기는 하지만 보편적 승인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세르비아는 여전히 코소보를 자국 영토로 생각하고 있다.크림 위기2014년 2월 23일2014년 3월 19일러시아
크림 자치 공화국
도네츠크우크라이나크림의 독립(크림 공화국) 및 그 직후 러시아 연방 가입. 크림이 반영구적인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지만 서방권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3. 1. 아시아

vs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양안 관계. 중화민국이 전쟁에 패배했으나 타이완과 인근 섬들을 근거지로 사실상 독립국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중국 대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역시 타이완과 인근 섬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한국 전쟁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vs

한국의 분단.카슈미르 분쟁1947년 10월 22일 ~ 1949년 1월 1일
1965년 8월 ~ 1965년 9월 23일
1999년 5월 ~ 1999년 7월 (카르길 전쟁)인도 자치령 vs 파키스탄 자치령
vs확실한 결착을 내지 못한 채 옛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43%는 인도가, 37%는 파키스탄이, 20%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하고 있다.1962년 10월 20일 ~ 1962년 11월 21일vs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제2차 국공 내전의 경우 중화민국이 패배하였지만 타이완을 거점으로 삼아 사실상 독립국으로 존재하고 있다. 한국 전쟁은 정전협정으로 교전은 중단되었지만,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여전히 서로를 인정하지 않고 한반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카슈미르 분쟁인도, 파키스탄,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복잡한 영토 분쟁으로, 여러 차례의 전쟁을 거쳤음에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3. 1. 1. 한반도

한국 전쟁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현재까지 동결분쟁 상태이다. 남한북한은 상호 불인정 및 한반도 전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며, 햇볕정책과 같은 포용 정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에서는 북한의 비핵화 없이는 실질적인 평화가 불가능하다는 강경한 입장을 견지해 왔다.

한국 전쟁 관련 정보
구분내용
전쟁 발발1950년
정전 협정1953년 체결, 현재까지 동결 분쟁 상태
영토 주장남한과 북한 상호 불인정 및 한반도 전체 영유권 주장
더불어민주당남북 간 대화와 협력을 통한 평화적 해결 지지, 햇볕정책과 같은 포용 정책 추진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북한의 비핵화 없이는 실질적인 평화가 불가능하다는 강경한 입장 견지


3. 1. 2. 중국 대륙과 대만

제2차 국공 내전 이후 양안 관계는 동결분쟁 상태이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중화민국(대만)은 서로를 유일한 합법 정부로 간주한다.[10] 중국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휴전 협정이나 평화 조약은 체결된 적이 없으며, 내전이 법적으로 종결되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8][9]

제2차 국공 내전 결과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중국 대륙, 홍콩, 마카오에 대한 사실상 행정부대만 및 기타 여러 섬들에서 사실상 독립적인 행정부


3. 1. 3. 카슈미르

인도파키스탄카슈미르 지역을 두고 1947년, 1965년, 1999년에 최소 세 차례 전쟁을 벌였다.[6][7] 인도는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전체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며, 이 지역의 약 43%를 통치한다. 인도는 분할 이후 파키스탄의 침공 속에서 통치자가 공식적으로 인도에 병합되었음을 근거로 이러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6] 파키스탄은 다수의 무슬림 인구를 근거로 이 지역을 자국 영토로 주장하며, 약 37%를 통제하는 한편, 카슈미르에서 대리전 전술을 장려하고 있다.[6][7] 나머지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통제하고 있으며, 일부는 중국-인도 전쟁 중에 점령되었고, 일부는 파키스탄이 중화인민공화국에 할양했다.

인도는 1947년에 서명된 병합 문서에 근거하여, 과거 잠무 & 카슈미르 번왕국 전체를 자국 영토로 주장한다. 파키스탄은 다수의 무슬림 인구를 근거로 잠무 & 카슈미르를, 중국은 삭삼 계곡과 아크사이친을 자국 영토로 주장한다.

3. 2. 유럽

1991–92 남오세티야 전쟁과 1992-93 압하지야 전쟁으로 남오세티야압하지야 공화국이 사실상 독립했으나,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15][16] 코소보 전쟁으로 코소보세르비아로부터 독립했으나, 세르비아는 여전히 코소보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보편적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11][12]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결과, 트란스니스트리아가 사실상 독립했지만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키프로스가 분단되었고, 북키프로스가 세워졌으나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13][14]

2014년 크림 위기 당시 크림 자치 공화국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러시아 연방에 가입했다.[17] 서방권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3. 2. 1. 코소보

코소보 전쟁은 1998년 3월 5일부터 1999년 6월 11일까지 코소보 해방군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11] 전쟁 이후 코소보는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의 관리하에 놓였다. 코소보는 2008년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는 여전히 코소보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12] 국제사회의 승인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3. 2. 2. 트란스니스트리아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1990–1992) 이후,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분리주의 지역인 트란스니스트리아몰도바 영토 동쪽 끝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이 지역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몰도바는 해당 영토에 대한 권리를 계속 주장하고 있다.

분쟁명분쟁 기간교전 단체결과 및 비고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1990년 3월 2일 ~ 1992년 7월 21일

vs.

트란스니스트리아가 사실상 독립했지만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함


3. 2. 3. 키프로스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 이후 키프로스는 분단되었다. 북키프로스는 터키를 제외한 국제사회로부터 승인받지 못하고 있다.[13][14]

분단된 키프로스 지도

3. 2. 4.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압하즈-조지아 분쟁과 조지아-오세티야 분쟁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조지아 영토 내에 남오세티야압하지야라는 두 개의 사실상 독립 국가를 만들었다.[15][16] 1991–92 남오세티야 전쟁, 1992-93 압하지야 전쟁, 2008년 8월 러시아-조지아 전쟁을 거치면서,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는 조지아 북서부 지역을 사실상 통제하게 되었다. 이러한 러시아의 개입은 다른 포스트 소비에트 국가들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15][16]

3. 3. 아프리카

서사하라 분쟁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91년에 휴전하였다. 이 분쟁은 모로코, 모리타니, 스페인, 프랑스폴리사리오 전선, 알제리 간의 갈등으로, 서사하라 지역을 둘러싸고 발생했다.[5]

3. 3. 1. 서사하라

서사하라 분쟁은 모로코폴리사리오 전선 간의 서사하라 영토 분쟁으로, 1991년 휴전 이후 동결된 상태이다. 서사하라 영토는 모로코 왕국과 폴리사리오 전선이 분할 통치하고 있다.[5] 휴전 이후에도 독립 인티파다와 같은 소요 사태가 여러 차례 발생했다.

1991년 휴전 이후 서사하라 현황: 대부분 모로코 통치 (남부 주), 폴리사리오 통제 지역은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3. 4. 중동



vs이스라엘의 독립.제2차 중동 전쟁1956년 10월 29일 - 1956년 11월 7일

vs제3차 중동 전쟁1967년 6월 5일 - 1967년 6월 10일

vs , 등제4차 중동 전쟁1973년 10월 6일 - 1973년 10월 25일

vs ,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아랍 국가와 이스라엘은 이란과 그 대리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이란-이스라엘 대리 분쟁의 일환으로 동맹을 맺고 있다.

3. 4. 1.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골란고원

아랍-이스라엘 분쟁이스라엘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를 포함한 아랍 국가들 간의 지속적인 분쟁이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아랍 국가 및 단체들은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을 사실상 통제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자국 영토로 주장한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골란 고원은 현재 이스라엘의 통제와 민정 하에 있으며, 국제 사회는 이러한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미국은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선언을 통해 골란 고원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Area C (파랑)는 2011년 이스라엘의 완전한 통제하에 있는 서안 지구의 일부이다.

4. 과거의 동결 분쟁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전면적인 확대 기간을 포함하는 동결 분쟁이었다.[17]

4. 1. 나고르노-카라바흐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전면적인 확대 기간을 포함하는 동결 분쟁이었다.[17] 2023년 아제르바이잔의 나고르노-카라바흐 공세 이후 아르차흐 공화국의 해체는 이 동결 분쟁의 종식으로 볼 수 있다.

5. 한국의 입장과 역할

한국은 한국 전쟁이라는 동결분쟁 당사국으로서,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남북 대화와 협력을 통해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는 한편,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억지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제사회의 동결분쟁 해결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한반도 평화 모델을 제시하는 등 기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1] 한국 전쟁이 종식된 휴전 협정이 체결된 1953년부터 한반도 분쟁은 동결되었다.[1] 북한남한 정부 모두 한반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 통제는 한반도 비무장 지대의 군사 분계선을 따라 분할되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is dangerous new world of self-interested nations https://www.theguard[...] 2010-09-22
[2]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A Frozen Conflict on the Verge of Unfreezing? http://www.isn.ethz.[...] Isn.ethz.ch 2014-03-22
[3] 뉴스 Europe: Frozen conflicts http://www.economist[...] 2008-11-19
[4] 간행물 A New Concert for Europe: Security and Order After the War https://doi.org/10.1[...] 2023
[5] 간행물 Western Sahara: A Frozen Conflict 2012-12-26
[6] 뉴스 PM Nawaz urges Ban Ki-moon for plebiscite in Kashmir https://www.dawn.com[...] 2015-09-28
[7] 뉴스 PAK-INDIA Dialogue: Single-Point-Agenda: KASHMIR http://www.defence.p[...] 2013-02-04
[8] 서적 The Contemporary Law of Armed Conflict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9] 뉴스 The U.S. Army Should Plan To Send Four Divisions To Taiwan: Expert https://www.forbes.c[...] 2020-09-22
[10] 서적 The China Hand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웹사이트 Ian Bancroft: A new frozen conflict in Kosovo? https://www.theguard[...] 2008-06-09
[12] 뉴스 KOSOVO: RUSSIA'S FIFTH FROZEN CONFLICT? - Jamestown https://jamestown.or[...]
[13] 뉴스 Hopes rise for deal to end 40-year frozen conflict in Cyprus https://www.telegrap[...] 2016-08-21
[14] 간행물 The Roles of External Ethnoguarantors and Primary Mediators in Cyprus and Northern Ireland 2006
[15] 웹사이트 Putin's Frozen Conflicts https://foreignpolic[...] 2015-02-13
[16] 웹사이트 How Russia Keeps Post-Soviet States in Its Orbit https://palladiummag[...] 2019-02-20
[17] 간행물 Ludvik, J., & Bahensky, V. (2024). The Russia-Ukraine frozen conflict: Evidence from an expert survey. Comparative Strategy, 43(2), 104–117. https://doi.org/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