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 120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 120도는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극점으로 이어지는 경선으로,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통과한다. 이 경선은 랍테프해, 황해, 동중국해, 남중국해, 술루해, 술라웨시해, 마카사르 해협, 플로레스해, 숨바 해협, 인도양, 남극해 등 다양한 해역을 지나며,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산둥성, 장쑤성, 저장성, 푸젠성, 저장성의 항저우, 타이완 해협, 필리핀의 루손섬, 부수앙가섬, 쿨리온섬, 두마란섬, 라파란섬, 타위타위섬, 빌라탄섬,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섬, 플로레스섬, 숨바섬, 오스트레일리아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등을 지난다. 이 지역은 UTC+8 시간대를 사용하며, 과거에는 일본 서부 표준시와 만주국 시간도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대만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경도 180도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며,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고, 열대 저기압 명칭 구분 기준이 되며, 지리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동경 120도 | |
---|---|
개요 | |
지리 | |
통과 지역 | 북극해 랍테프해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 보하이해 황해 동중국해 남중국해 타이완 (중화민국) |
좌표 | |
북극해 | 90°0′N 120°0′E |
랍테프해 | 78°22′N 120°0′E |
러시아 | 73°10′N 120°0′E |
중화인민공화국 | 51°31′N 120°0′E |
보하이해 | 40°4′N 120°0′E |
중화인민공화국 | 37°25′N 120°0′E |
황해 | 35°43′N 120°0′E |
중화인민공화국 | 34°26′N 120°0′E |
동중국해 | 26°36′N 120°0′E |
남중국해 | 25°23′N 120°0′E |
중화민국 | 23°33′N 120°0′E |
2. 지리
(내용 없음)
2. 1. 통과 지역
아무르주자바이칼 지방
랴오닝성
저장성 - 항저우시 서쪽 통과
푸젠성 - 원저우시 서쪽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