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스네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림스네이크는 본다 N. 매킨타이어의 1978년 출간된 SF 소설로, 핵전쟁 이후의 황폐해진 지구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스네이크는 뱀의 독과 외계 뱀인 드림스네이크를 이용하여 사람들을 치료하는 치유사로, 여행을 다니며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고 사회적 편견과 젠더 역할을 탐구한다. 이 소설은 1978년 네뷸러상, 1979년 휴고상과 로커스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 페미니즘적 시각과 독특한 세계관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뷸러상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 듄 (소설)
프랭크 허버트가 1965년에 발표한 과학 소설 《듄》은 아라키스 행성을 배경으로 아트레이데스 가문과 하코넨 가문의 갈등, 폴 아트레이데스의 성장, 그리고 정치, 종교, 생태, 인간 심리에 대한 심오한 이야기를 다루는 SF 문학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 네뷸러상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 신들의 전쟁 (소설)
닐 게이먼의 판타지 소설 《신들의 전쟁》은 아내의 죽음 후 신들의 세계에 휘말린 섀도 문을 주인공으로, 쇠퇴하는 옛 신들과 떠오르는 새로운 신들의 갈등을 그리며 이민, 문화적 정체성, 전통과 현대의 충돌, 믿음의 본질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드라마와 코믹스 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 - 휴고상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 화씨 451
레이 브래드베리의 《화씨 451》은 책 소유가 금지된 미래 사회에서 소방관 몽태그가 책을 통해 진실을 깨닫고 체제에 저항하는 디스토피아 소설로, 검열과 사회적 무관심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 휴고상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의 잔》은 해리 포터가 트리위저드 시합에 참여하여 볼드모트의 부활을 겪고 세드릭 디고리의 죽음을 맞이하며, 편견, 국제 협력, 성장과 우정 등의 주제를 다룬 조앤 K. 롤링의 판타지 소설이다. - 미국의 과학 소설 - 화씨 451
레이 브래드베리의 《화씨 451》은 책 소유가 금지된 미래 사회에서 소방관 몽태그가 책을 통해 진실을 깨닫고 체제에 저항하는 디스토피아 소설로, 검열과 사회적 무관심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 미국의 과학 소설 - 마지막 별
마지막 별은 아더스라는 외계 종족의 침략으로 멸망 직전에 놓인 지구에서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실런서와 동료들의 활약을 그린 소설로, 희생, 헌신, 사랑, 연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액션 장면과 매력적인 캐릭터로 관심을 모았다.
| 드림스네이크 | |
|---|---|
| 서지 정보 | |
| 제목 | 꿈뱀 |
| 원제 | Dreamsnake |
| 저자 | 본다 N. 매킨타이어 |
| 국가 | 미국 |
| 언어 | 영어 |
| 장르 | 과학 소설 |
| 출판사 | 호턴 미플린 |
| 출판일 | 1978년 |
| 미디어 유형 | 인쇄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
| 쪽수 | 277쪽 |
| ISBN | 0-395-26470-7 |
| 수상 | |
| 수상 내역 | 휴고상 장편 소설 (1979년) 로커스상 장편 소설 (1979년) 네뷸러상 장편 소설 (1979년) |
2. 배경 및 설정
핵전쟁 이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전쟁은 "그 일이 일어난 이유를 알고 염려했던 모든 사람을 파괴"했다고 묘사된다.[5][8] 전쟁의 여파로 대부분의 동물 종이 멸종했으며, 지구 곳곳은 방사능에 오염되었고 하늘은 먼지로 뒤덮여 있다. 인간 사회는 대부분 기술 수준이 낮은 부족 사회 형태로 존재하며, 이를 저널리스트 샘 조디슨은 "저기술 부족주의"라고 표현했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 중 한 명인 아레빈은 책이라는 것을 본 적조차 없다.[21]
소설은 치유사인 주인공 스네이크가 종양을 앓는 유목민 소년 스테빈을 치료하면서 시작된다. 스네이크는 치료를 위해 뱀을 사용하는데, 특히 코브라 '미스트'와 환각을 통해 고통을 덜어주는 희귀한 외계 뱀 '꿈뱀(dreamsnake)' 그래스를 활용한다. 그러나 스테빈의 부모가 꿈뱀을 두려워한 나머지 그래스를 치명적으로 다치게 한다. 분노에도 불구하고 스네이크는 치료를 마치지만, 치료에 필수적인 꿈뱀을 잃었기에 새로운 꿈뱀을 구하거나 번식 방법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다른 치유사들이 자신의 뱀을 빼앗을까 두려워하며, 그녀는 새로운 꿈뱀을 얻기 위해 집으로 돌아가기로 한다. 그녀가 떠날 때, 치료 과정을 도왔던 유목민 아레빈은 그녀에게 언젠가 돌아오라고 부탁한다.
유일한 예외는 '센터'라는 도시로, 이곳은 정교한 기술을 보유하고 다른 행성과 교류하는 유일한 장소이다.[5] 그러나 센터는 엄격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인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 도시는 작가 본다 N. 맥킨타이어의 첫 소설인 ''망명 대기''(1975)의 배경이기도 하다.[7]
주인공 '스네이크'는 뱀의 독을 이용해 사람들을 치료하는 치유사이다. 그녀는 특별히 유전자 조작된 세 마리의 뱀과 함께 다닌다. 방울뱀 '샌드', 코브라 '미스트', 그리고 외계에서 온 '드림스네이크'인 '그래스'가 그들이다. 특히 그래스는 죽음을 앞둔 환자들이 고통 없이 꿈을 꾸도록 돕는 능력을 지녔다.[8]
3. 줄거리
여정 중 스네이크는 오아시스 근처에서 낙마 사고로 척추를 다친 여성 제시를 만난다. 스네이크는 제시의 척추 부상이 치료 불가능하며, 그녀가 쓰러져 있던 장소가 방사능에 오염되어 치명적인 중독 상태임을 알게 된다. 스네이크는 코브라 미스트를 이용해 제시가 고통 없이 죽음을 맞도록 돕고, 죽기 전 제시는 자신의 가족이 스네이크에게 빚을 졌으며, 다른 행성에서 꿈뱀을 얻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오아시스로 돌아온 스네이크는 누군가 자신의 소지품을 뒤지고 일지를 훔쳐간 것을 발견한다. 그곳의 대상 무리 지도자는 이를 '미친 사람'의 소행이라고 말한다. 한편, 아레빈은 스네이크를 뒤쫓기로 결심한다.
스네이크는 서쪽 사막을 건너 마운틴사이드 마을로 가서 시장의 아들 가브리엘의 요청으로 시장을 치료한다. 그곳에서 머무는 동안 스네이크는 가브리엘이 과거의 실수로 아버지와 관계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그에게 조언한다. 스네이크는 말을 점검하던 중, 얼굴에 심한 화상을 입고 마부에게 신체적, 성적으로 학대당하는 소녀 멜리사를 만난다. 스네이크는 이 사실을 이용해 시장을 설득하여 멜리사를 마부로부터 구해내고, 그녀를 양딸로 삼아 함께 센터로 떠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스네이크는 시장의 집으로 가던 중 '미친 사람'으로 추정되는 남자에게 공격을 받는다. 스네이크는 멜리사에게 꿈뱀은 매우 희귀하며 치유사들이 번식 방법을 모른다고 설명한다. 한편, 아레빈은 마운틴사이드 북쪽 치료사의 집에 도착하지만 스네이크가 없다는 말을 듣고 남쪽으로 향한다. 마운틴사이드에서 그는 잠시 스네이크 공격자로 오인받아 구금되기도 한다.
스네이크와 멜리사는 동부 사막을 건너 센터에 도착하지만, 이전의 다른 치유사들처럼 쫓겨난다. 산으로 돌아온 직후, 그들은 다시 '미친 사람'에게 공격받는다. 그는 꿈뱀을 요구하다가 스네이크의 꿈뱀이 죽었다는 것을 알자 쓰러지는데, 스네이크는 그가 꿈뱀 독에 중독되었음을 깨닫는다. 스네이크는 그를 데리고 노스라는 지도자가 여러 꿈뱀을 가진 공동체로 간다. 그 공동체는 과거 문명의 유적인 "부서진 돔"에 살고 있다. 모든 치유사에게 원한을 품은 노스는 스네이크를 꿈뱀으로 가득 찬 차가운 구덩이에 가둔다. 구덩이 속에서 스네이크는 강한 추위가 꿈뱀을 성숙시키고, 그들이 세 쌍둥이로 번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독에 면역이 있는 스네이크는 구덩이에서 살아남아 탈출한다. 노스의 부하들과 멜리사가 독으로 인한 혼수상태에 빠진 것을 발견한 스네이크는, 멜리사와 꿈뱀 한 자루를 가지고 탈출하여 밖에서 기다리고 있던 아레빈을 만난다. 아레빈은 멜리사가 회복하는 것을 돕는다.
3. 1. 주요 등장인물
4. 주제
''드림스네이크''는 제2 물결 페미니즘 과학 소설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단순한 모험 서사를 넘어 복합적인 주제들을 탐구한다.[1][2] 소설은 종말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삼아,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기존의 사회 구조와 젠더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한다.[3][4] 여성 주인공 스네이크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영웅의 여정을 재해석하며 물리적인 힘보다는 치유와 보살핌, 그리고 내적 성장의 가치를 강조한다.[6][7]
작품 전반에 걸쳐 '뱀'이라는 상징이 중요하게 사용되는데, 이는 치유와 독, 죽음과 부활 등 다층적인 의미를 함축하며 이야기의 깊이를 더한다.[16][9][17][18] 또한, 등장인물들이 겪는 다양한 형태의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속박과 그로부터 벗어나려는 자유를 향한 투쟁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23]
더불어,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 간의 소통의 어려움과 편견의 문제를 탐구하며, 차이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과 변화가 가능함을 보여준다.[27][29] 이러한 다양한 주제들은 서로 얽혀 ''드림스네이크''의 세계관과 메시지를 풍부하게 만든다.
4. 1. 페미니즘과 젠더 역할
''드림스네이크''는 제2 물결 페미니즘 과학 소설의 중요한 예시로 평가받는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이전까지 과학 소설 장르는 주로 남성 중심의 모험 이야기를 다루었으나, 이 시기 여성 작가들이 등장하여 기존 서사를 비트는 작품들을 쓰기 시작했다.[1][2] 작가 본다 N. 매킨타이어는 이 소설에서 종말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삼아,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다양한 사회 구조와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탐구한다.[3] 특히 여성의 성적 욕망을 전면에 내세우며, 주인공 스네이크가 방문하는 여러 공동체 내의 젠더 역할 관계를 깊이 있게 다룬다.[4] 매킨타이어의 다른 작품들처럼, ''드림스네이크''에서도 여성이 지도자 위치에 있는 모습이 자주 그려진다.[5]전통적인 영웅의 여정 서사 구조 또한 새롭게 쓰인다. 주인공은 여성이며,[6] 그녀가 마주하는 도전 과제들은 물리적인 힘보다는 치유와 보살핌의 능력을 요구한다.[7] 남성 연인이 여성 영웅을 뒤쫓거나 기다리는 기존의 소설 공식을 뒤집어, 남성 인물 아레빈은 스네이크를 따라가며 돕지만 그녀를 구출해야 하는 대상으로는 그려지지 않는다.[8] 성별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인물 '메리디스'를 통해서도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려 시도한다.[9] 매킨타이어는 메리디스를 묘사할 때 성별을 나타내는 대명사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10] 개인의 성격과 능력이 성별보다 중요하다는 페미니즘적 메시지를 전달한다.[9] 또한, 등장인물들을 소개할 때 종종 직업을 먼저 언급하고 나중에야 여성임을 밝혀 독자들의 무의식적인 성별 추측을 깨뜨리기도 한다.[7][11][12]
학자 잉게-리즈 폴센은 이 소설의 페미니즘적 주제가 치유와 완전성(wholeness)에 대한 탐구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고 분석한다. 주인공 스네이크는 전문 치유사로서 겉보기에는 자애로운 여성상에 부합하는 듯 보이지만, 매킨타이어는 그녀가 여성성 때문이 아니라 전문적인 훈련과 윤리적 선택을 통해 치유사가 된 인물로 그린다. 스네이크가 아레빈과 멜리사에게서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발견하기는 하지만, 이것이 '여성으로서의 궁극적인 성취'로 묘사되지는 않는다.[13] 이야기의 클라이맥스에서 그녀의 진정한 승리는 잃어버린 드림스네이크의 번식 비밀을 밝혀내는 데 있다. 사랑만으로는 관계를 유지하기에 부족하며, 아레빈은 스네이크의 강인함을 믿고 그녀를 과잉보호하려는 충동을 극복해야 하는 등 상호 존중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이상은 개인의 자유 의지를 존중하는 유토피아적인 유목민 공동체의 모습에서도 나타나며, 외부 세계로부터 자신들을 고립시키려는 도시 거주민들과 대조를 이룬다.[13] 폴센은 이러한 도시의 폐쇄성을 가부장제 문화의 특징으로 해석하며, 매킨타이어가 사회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성을 이해하고 완전성을 추구하는 윤리적 필요성을 강조하는 점이 어슐러 K. 르귄이나 도리스 레싱의 ''아르고스 연작''과 같은 작품에서도 발견되는 주제라고 지적한다.[14]
매킨타이어는 ''드림스네이크''에서 복잡하고 여러 의미를 함축한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들의 적극적인 해석을 유도한다.[15] 주인공 '스네이크(Snake)'라는 이름과 그녀가 사용하는 뱀들은 종교와 신화 속 다양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예를 들어, 현대 서양 의학계에서 사용하는 카두세우스(Caduceus)는 두 마리의 뱀이 지팡이를 감고 있는 형상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카두세우스는 헤르메스의 상징으로, 이를 지닌 자가 신성한 지식을 전달함을 의미한다.[16][9] 뱀 자체도 죽음과 부활, 독과 치유 등 상반된 의미를 동시에 지니는 복합적인 상징물이며, 여러 이야기에서 다양한 역할로 등장한다.[17][18] 특히 독과 치유라는 이중적 속성은 매킨타이어의 주인공을 뱀이 감긴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든 로마의 치유신 아스클레피오스와 연결시킨다.[17] 이러한 이중성은 이야기 속에서 치유의 강력한 도구이면서 동시에 사막 부족민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는 '드림스네이크 그라스(Grass)'를 통해 구체화된다.[19] 스네이크가 뱀을 다루는 모습은 창세기의 신화를 차용하면서도, 여성이 뱀을 통제하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기존 이야기를 전복시킨다.[20] 외부 세계와 단절된 채 고도의 기술을 보유한 장소 '센터(Center)'의 묘사는 매킨타이어의 다른 작품들에서도 나타나는 "중심과 주변, 내부자와 외부자, 자아와 타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탐구와 연결된다.[21] 센터는 경직된 사회 질서를 상징하는 반면, 사회 변화는 오히려 주변부에서 일어나며 이름과 달리 센터는 점차 무의미한 존재가 되어간다.[22]
''드림스네이크''는 매킨타이어의 여러 작품처럼 자유와 속박의 문제를 탐구한다. 등장인물들은 스스로 만든 심리적 한계, 신체적 약점이나 외모로 인한 어려움, 타인에 의한 억압 등 다양한 형태의 굴레에서 벗어나려 애쓴다.[23] 스네이크는 노예제를 폐지한 시장 밑에서 일하는 해방된 노예 두 명을 만난다. 한 명은 여전히 노예 시절의 족쇄인 발 고리를 차고 있는데, 스네이크가 제거할 수 있다고 하자 기뻐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다리를 절게 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다른 한 명은 법적으로는 자유롭지만, 자신을 해방시켜 준 시장의 모든 요구에 감사함으로 복종해야 한다고 느낀다.[24] 화상으로 흉터가 생긴 멜리사는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속에서 숨어 지내며 또 다른 형태의 제약을 겪는다.[25] 이 외에도 불치병인 거인증으로 인한 분노 발작에 시달리는 노스, 약물 중독에 빠진 '미친(crazy)', 임신 조절 실패로 고통받는 가브리엘, 가족 부양의 책임감에 얽매인 아레빈 등 다양한 인물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속박된 상태에 놓여 있다.[26]
서로 다른 문화적 규범 사이의 충돌과 이해 과정 역시 반복되는 주제이다. 예를 들어 스네이크와 아레빈이 '친구'라는 단어의 의미를 두고 대화할 때, 아레빈은 그 단어에 더 깊은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산악 부족이 성적인 관계를 암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은유적인 도움 제안처럼, 같은 행위나 말이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27] 아레빈이 처음에 스네이크에게 자신의 이름을 밝히길 꺼리고 '친구'의 의미를 설명하는 모습은 그의 부족이 낯선 이에 대해 가진 깊은 불신을 드러낸다. 반대로 그가 떠날 때는 자신의 부족이 드림스네이크 '그라스'를 죽이게 된 문화적 배경을 치유사들에게 설명하려 노력한다.[27] 문화적 편견은 치유사들이 드림스네이크라는 외계 생명체를 이해하는 데에도 장애물로 작용한다. 지구 생물학 지식에 기반하여 드림스네이크가 암수 한 쌍으로 번식할 것이라고 잘못 추측하지만, 스네이크가 처한 특수한 상황 덕분에 비로소 이들이 세 개체가 함께 번식하는 삼배체(triploid) 생물임을 발견하게 된다.[28] 이를 통해 이야기는 서로 다른 존재와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성장과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29]
여러 비평가들은 ''드림스네이크''의 강인한 여성 주인공 스네이크에 주목했다.[10][11] 스네이크가 이야기의 중심축 역할을 하면서, 매킨타이어는 성별 문제를 주요 주제로 다루고[4] 기존의 성 역할 고정관념을 뒤집을 수 있었다.[13][4] 스네이크는 매킨타이어 작품 속 다른 많은 주인공들처럼,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역할(탐험가, 문제 해결사)을 수행하는 능동적인 여성이지만, 동시에 전형적인 남성 영웅상과는 다른 '치유사'로서의 정체성을 지닌다.[12][11] 반면 소설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남성 캐릭터들은 마운틴사이드의 시장이나 학대적인 마부, 노스처럼 부정적으로 그려지거나, "온화하고 끈기 있는" 아레빈처럼 이야기의 주변부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12]
작가 오슨 스콧 카드는 스네이크를 매우 자립적인 인물로 평가했다. 그녀는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며, 소설 말미에 누군가에게 구출될 것이라는 독자의 기대를 저버린다. 카드에 따르면 스네이크는 "사랑과 이해"로 사람들의 삶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서부극 영웅 론 레인저와 유사한 면이 있다. 그녀는 그럼(Grume) 마을 사람들에게 면역력을 제공하고, 멜리사를 구출하며, 가브리엘이 자신의 출산을 통제하지 못하는 "끔찍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12] 학자 사라 르파누는 스네이크를 매킨타이어의 다른 소설 ''망명 대기''(Exile Waitingeng)의 주인공 미샤가 "더 나이가 들고 현명해진" 모습으로 보았다. 스네이크는 "용감하고, 충성스러우며, 지적이고", 강한 정의감과 친절함을 지닌 인물로 그려진다.[30]
학자 캐롤린 웬들은 스네이크가 소설 속 다른 많은 인물들보다 자신의 삶에 대한 선택권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러한 자유는 그녀에게 더 큰 책임을 부여하며, 가브리엘이나 멜리사 같은 다른 인물들을 해방시키는 힘이 된다.[31]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과정에서도 스네이크는 기존 과학 소설 장르의 여성 캐릭터들보다 훨씬 큰 자율성을 보여준다.[11] 르파누는 스네이크의 성적 활동과 소설 전반에 나타나는 성 정치학을 통해 매킨타이어가 ''드림스네이크''의 세계에서는 "여성이면서 동시에 완전한 인간으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30] 스네이크의 캐릭터는 마녀라는 원형적 인물에 대한 페미니즘적 재해석의 사례로도 언급되는데, 이는 과거 가부장제 사회에서 소외되었던 존재를 여성적인 힘의 상징으로 새롭게 그려낸 것이라 할 수 있다.
4. 2. 사회 구조와 권력
''드림스네이크''는 종말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삼아,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다양한 사회 구조와 성적 패러다임을 탐구하는 작품이다.[2] 작가 매킨타이어는 스네이크가 방문하는 여러 공동체 내의 젠더 역할과 관계를 여성의 성적 욕망을 통해 드러내며 탐구한다.[3]소설 속 세계에서는 여성이 많은 지도자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묘사되며,[5] 전통적인 영웅의 여정 서사 구조가 재해석된다. 주인공은 여성이며, 그녀가 마주하는 과제는 물리적인 힘보다는 치유와 보살핌을 통해 해결된다.[4][6] 또한, 여성 연인이 남성 영웅을 수동적으로 기다리거나 쫓는 기존의 소설적 패턴을 뒤집어, 남성 인물인 아레빈이 주인공 스네이크를 따라가며 그녀를 지원하지만, 일방적으로 구출하거나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지는 않는다.[7] 이러한 관계는 상호 존중에 기반하며, 이는 소설 속 유토피아적인 유목민 사회의 구조에서도 나타나는 이상이다.[13] 유목민 사회는 외부 세계로부터 스스로를 고립시키려는 도시 거주민들과 달리 개인의 자유 의지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인다.[14] 이는 가부장제의 전형적인 문화적 경향과 대비되는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다.[15]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은 성별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메리디스'라는 인물을 통해서도 도전받는다.[8] 매킨타이어는 의도적으로 젠더 대명사를 배제함으로써, 한 사람의 성격과 능력이 젠더 자체보다 더 중요하다는 페미니스트적 구성을 만들어낸다.[10][11] 인물들을 소개할 때 직업을 먼저 언급하고 나중에야 성별이 밝혀지는 방식을 사용하여, 독자들이 무의식적으로 가졌을 수 있는 성별에 대한 기대를 전복시키기도 한다.[6][12][7] 주인공 스네이크 역시 전문적인 치유자로서 활동하지만, 이는 전통적인 여성성에 기반한 역할이라기보다는 그녀의 훈련과 윤리적 선택의 결과로 그려진다.[13]
권력 구조는 공간적 배경을 통해서도 나타난다. 사회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정교한 기술을 가진 '센터'는 엄격하고 경직된 사회 질서를 상징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는 주변부에서 일어나며, '센터'는 이름과 달리 점차 사회 변화와 무관한 존재가 되어간다.[20]
이 작품은 또한 자유와 속박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며, 다양한 형태의 억압과 한계로부터 벗어나려는 인물들의 모습을 그린다.[21] 예를 들어, 노예제가 폐지된 마을에서 만난 해방된 노예들은 형식적인 자유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거의 흔적(발의 반지)이나 심리적 종속 관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모습을 보여준다.[22] 또한, 심한 화상 흉터 때문에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는 사회 속에서 숨어 살아야 하는 멜리사의 이야기는 사회적 편견이라는 보이지 않는 권력 구조를 드러낸다.[23] 이 외에도 불치병, 중독, 가족적 책임 등 다양한 형태의 제약에 묶인 인물들이 등장한다.[24]
4. 3. 문화적 편견과 소통
''드림스네이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 사이의 소통 문제와 편견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작가 맥킨타이어는 복잡하고 여러 의미를 지닌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들이 이야기에 깊이 몰입하도록 유도한다.[19]소설 속에서 문화적 코드의 차이로 인한 오해는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주인공 스네이크와 사막 부족 출신 아레빈이 '친구'라는 단어의 의미를 두고 서로 다르게 이해하는 장면이 나온다. 아레빈에게 '친구'는 스네이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깊은 의미를 지니며, 이는 그의 부족이 낯선 사람을 경계하는 문화를 반영한다.[22] 또한 산악 민족이 성적인 관계를 암시하기 위해 도움을 주겠다는 은유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처럼, 문화마다 다른 소통 방식을 보여준다.[22] 아레빈이 처음에는 스네이크에게 자신의 이름을 밝히길 주저하는 모습이나, 나중에 자신의 드림스네이크 '그라스'가 죽게 된 문화적 배경을 치유자들에게 설명하려는 노력은 이러한 문화 간 장벽과 소통의 어려움을 잘 보여준다.[22]
문화적 편견은 등장인물들의 이해를 제한하기도 한다. 치유자들은 자신들이 가진 지구 생물학 지식에 기반하여 외계 생물인 드림스네이크가 당연히 암수 한 쌍으로 짝짓기를 할 것이라고 단정한다. 이러한 편견 때문에 드림스네이크의 번식 방법을 알아내지 못하다가, 스네이크가 처한 특별한 상황을 통해 비로소 드림스네이크가 세 개체가 함께 번식하는 삼배체 생물임을 발견하게 된다.[23] 이는 기존의 지식이나 편견이 새로운 사실을 받아들이는 데 어떻게 방해가 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맥킨타이어는 상징적인 요소를 통해 문화적 의미의 다층성을 탐구한다. 스네이크라는 이름과 그녀가 사용하는 뱀은 의학, 신화, 종교 등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여러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두 마리 뱀이 지팡이를 감고 있는 카두세우스는 오늘날 의학의 상징으로 쓰이며[9],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르메스의 지팡이로 신성한 지식을 전달하는 의미를 지닌다.[20] 뱀 자체도 죽음과 부활, 독과 치유 등 상반된 의미를 함께 가지는 상징물이다.[21] 스네이크가 뱀을 다루는 모습은 창세기에 나오는 이브와 뱀의 이야기를 비틀어, 여성이 뱀을 통제하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문화적 서사를 전복시킨다.[17] 또한, 외부 세계와 단절된 채 정교한 기술을 보유한 '센터'의 묘사는 엄격한 사회 질서와 고립을 상징하며, 사회 변화가 오히려 주변부에서 일어난다는 설정을 통해 소통과 교류의 중요성을 암시한다.[17]
소설은 자유와 억압이라는 주제를 통해서도 문화적 편견의 문제를 다룬다. 여러 등장인물들은 사회적 편견이나 스스로 만든 한계, 신체적 약점, 타인의 억압 등 다양한 형태의 속박에서 벗어나려 애쓴다.[18] 예를 들어, 노예였다가 해방되었지만 여전히 과거의 굴레(발의 반지)나 심리적 종속(시장에게 무조건적인 감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18] 끔찍한 화상 자국 때문에 사회로부터 숨어 지내야 하는 멜리사는 외모지상주의라는 문화적 편견의 희생자이다.[18] 이 외에도 불치병(거인증), 중독,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이유로 고통받는 인물들은 문화적, 사회적 편견과 제약이 개인의 삶을 어떻게 억압하는지를 보여준다.[18]
결국 ''드림스네이크''는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가진 존재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성장과 긍정적인 변화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24] 이는 문화적 편견을 넘어서는 소통과 공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4. 치유와 성장
이 소설에서 주인공 스네이크는 단순한 여성적 자애심 때문이 아니라, 전문적인 훈련과 윤리적 선택을 통해 치유자가 된 인물로 그려진다.[17] 그녀의 여정은 영웅의 여정이라는 전통적인 서사를 재해석하여, 힘을 통한 정복보다는 치유와 보살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강조한다.[15][16] 스네이크는 아레빈과 멜리사에게서 가족과 같은 유대감을 발견하지만, 그녀의 진정한 성취는 단순히 관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드림스네이크의 번식 비밀을 밝혀내는 전문적인 성공에서 비롯된다.[17] 아레빈과의 관계 역시 상호 존중을 기반으로 그려진다. 아레빈은 스네이크의 강인함을 신뢰하고 그녀를 과잉보호하려는 자신의 욕구를 극복하며 성장해야 한다.[17]
스네이크의 이름과 그녀가 사용하는 뱀은 종교와 신화에서 비롯된 복합적인 상징을 담고 있다. 특히 카두세우스나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처럼, 뱀은 전통적으로 의술 및 치유와 깊은 관련을 맺어왔다.[18][9][20] 뱀은 죽음과 부활, 독과 치유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동시에 지니는데[20], 이는 소설 속에서 강력한 치유 도구이자 동시에 사막 부족민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는 드림스네이크 '그라스'를 통해 잘 나타난다.[21] 맥킨타이어는 스네이크가 뱀을 다루는 설정을 통해, 창세기의 에덴 동산 신화를 비틀어 여성이 뱀을 통제하는 주체적인 모습으로 재해석한다.[10]
소설은 또한 다양한 형태의 '감금'과 그로부터 벗어나려는 '해방'의 과정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23] 등장인물들은 스스로 만든 심리적 한계, 신체적 약점이나 외모로 인한 어려움, 혹은 타인에 의한 억압 등 여러 종류의 속박에서 벗어나려 애쓴다.[23] 예를 들어, 스네이크는 노예 제도가 폐지된 마을에서 해방된 노예들을 만나는데, 한 명은 여전히 노예 시절의 징표인 발의 반지를 차고 있고, 다른 한 명은 형식적으로는 자유롭지만 과거의 주인에게 심리적으로 종속되어 있다.[24] 멜리사는 끔찍한 화상 자국 때문에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에서 숨어 지내야 하는 제약을 겪는다.[25] 이 외에도 불치병인 거인증으로 인한 분노에 시달리는 노스, 약물 중독에 빠진 '미친', 자신의 무책임한 행동의 결과에 당황하는 가브리엘, 과도한 가족적 책임감에 얽매인 아레빈 등 다양한 인물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제약과 싸우며 성장을 모색한다.[26]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서 오는 소통의 문제와 상호 이해의 과정 역시 중요한 성장 요소이다. 스네이크와 아레빈이 '친구'라는 단어에 부여하는 의미가 다르거나, 산악 부족이 성적인 관계를 암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은유적인 도움 제안 등은 문화적 코드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다.[27] 아레빈이 처음에는 자신의 문화적 배경 때문에 스네이크를 경계하고, 나중에는 '그라스'가 죽게 된 문화적 요인을 설명하려 애쓰는 모습은 문화 간 이해의 어려움과 중요성을 동시에 드러낸다.[27] 심지어 치유자들이 가진 지구 생물학에 대한 지식조차 외계 생물인 드림스네이크를 이해하는 데 편견으로 작용하여, 그들이 쌍으로 짝짓는다고 잘못 가정하게 만든다. 스네이크는 이러한 기존의 지식과 편견을 넘어서는 특별한 상황에 처해서야 비로소 드림스네이크가 삼배체라는 진실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28] 이는 결국 서로 다른 존재와 문화를 편견 없이 받아들이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개인과 사회 전체의 성장과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22]
4. 5. 뱀
소설 제목 ''드림스네이크''와 주인공 '스네이크'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뱀은 작품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작가 본다 N. 매킨타이어는 뱀이라는 소재를 통해 복잡하고 다층적인 의미를 전달하며 독자들의 적극적인 해석을 유도한다.
뱀은 종교와 신화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오늘날에도 미국의 의사들은 종종 두 마리의 뱀이 지팡이를 휘감은 모습의 카두세우스를 상징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소설 속 치유자들이 사용하는 뱀을 떠올리게 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카두세우스는 헤르메스의 상징이며, 이를 지닌 자가 신성한 지식을 전달하는 존재임을 나타낸다.[9] 뱀은 죽음과 부활을 포함한 여러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문학 작품에서도 다양한 역할과 모습으로 등장하는 단골 소재이다.
특히 뱀은 독과 치유라는 상반된 속성을 동시에 상징하는데, 이는 뱀이 감긴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든 고대 로마의 치유신 아스클레피오스와 연결된다. 이러한 이중성은 소설 속에서 '드림스네이크'라 불리는 뱀 '그라스'를 통해 잘 드러난다. 그라스는 강력한 치유 능력을 지녔지만, 동시에 사막 부족 사람들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다.
매킨타이어는 성경 창세기에 등장하는 뱀의 신화적 이미지를 차용하면서도, 여주인공 스네이크가 뱀을 다루고 통제하는 설정을 통해 기존의 이야기를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새롭게 해석한다.
또한, 소설 속 드림스네이크는 외계 생명체라는 설정 때문에 문화적 편견이 이해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치유자들은 지구 생물학 지식에 근거하여 드림스네이크가 암수 한 쌍으로 짝짓기를 할 것이라고 잘못 추측한다. 하지만 주인공 스네이크는 특별한 상황을 통해 이들이 실제로는 세 개체가 함께 번식하는 삼배체 생물임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서로 다른 존재에 대한 열린 마음과 수용이 성장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작품의 주제 의식을 보여준다.
4. 6. 드림스네이크
소설은 치료사 뱀이 종양을 앓는 소년 스테빈을 치료하기 위해 유목 부족에게 가는 것으로 시작된다. 뱀의 코브라 '미스트'가 해독제를 만드는 동안, 그녀는 스테빈의 수면을 돕기 위해 꿈뱀 '그래스'를 남겨둔다. 유목민 중 한 명인 아레빈은 뱀에 대한 공포심에도 불구하고 밤새 뱀이 미스트를 돌보는 것을 돕는다. 아침에 뱀은 스테빈의 부모가 그래스를 치명적으로 다치게 한 것을 발견하는데, 이는 그들이 뱀이 소년을 해칠까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분노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미스트가 스테빈을 물어 치료를 완료하도록 한다. 유목민 지도자는 사과하고 아레빈은 그녀에게 머물 것을 요청하지만, 뱀은 꿈뱀 없이는 일할 수 없으며 새로운 꿈뱀을 구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다른 치료자들이 그녀의 뱀을 빼앗고 그녀를 추방할까 두려워한다. 그녀가 떠날 때 아레빈은 언젠가 돌아와 달라고 부탁한다.뱀은 오아시스에 들러 말에서 떨어져 다친 여성 제시를 돕는다. 제시의 파트너 메리데스는 뱀을 캠프로 데려오고, 뱀의 짐은 오아시스에 남겨진다. 뱀은 제시가 척추 부상으로 마비되었으며, 자신이 치료할 수 없음을 알게 된다. 메리데스와 세 번째 파트너 알렉스는 제시를 설득하여 그녀가 온 곳인 '센터'로 돌아가 그곳의 외계인들이 도울 수 있기를 희망한다. 캠프 주변을 탐색하던 뱀은 제시의 죽은 말을 발견하고 그 지역이 방사능에 오염되었음을 깨닫는다. 제시는 치명적인 방사능 중독을 일으킬 만큼 오랫동안 그곳에 누워 있었다. 뱀은 미스트가 제시를 물어 고통 없이 죽을 수 있도록 제안하고, 제시는 이를 받아들인다. 메리데스와 알렉스는 그녀에게 작별 인사를 한다. 죽기 전, 제시는 뱀에게 그녀의 가족이 뱀에게 빚을 졌으며, 다른 행성에서 꿈뱀을 얻는 것을 도울 수 있다고 말한다.
오아시스로 돌아온 뱀은 누군가 자신의 소지품을 뒤져 일지를 훔쳐간 것을 발견한다. 그곳에 함께 야영하던 대상 무리의 지도자 그럼은 그것이 "미친 사람"의 소행이라고 말한다. 한편, 유목민들 사이로 돌아간 아레빈은 뱀을 뒤쫓기로 결심한다. 뱀은 서부 사막을 건너 마운틴사이드 마을로 가서 시장의 아들 가브리엘의 요청으로 시장을 치료한다. 그들과 머무는 동안, 뱀은 가브리엘에게 잠자리를 제안한다. 그가 망설이자, 그녀는 그가 "생체 제어"를 제대로 배우지 못해 친구를 임신시켰고, 이로 인해 아버지와 관계가 틀어졌음을 알게 된다. 그녀는 그가 여전히 배울 수 있다고 말하며, 마운틴사이드를 떠날 때 다른 스승을 찾으라고 조언한다.
뱀은 말을 점검하는 동안 심한 화상 흉터가 있는 얼굴의 소녀 멜리사를 만난다. 멜리사는 마부 일을 돕지만, 마부는 그녀의 공을 가로챈다. 흉터 때문에 멜리사는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마을에서 외모에 대한 자의식을 가지고 있다. 얼마 후, 뱀은 시장의 집으로 가는 길에 미친 사람으로 추정되는 남자에게 공격받는다. 그녀는 멜리사가 마부에게 신체적, 성적 학대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이를 이용해 시장을 설득하여 멜리사를 풀어준다. 멜리사는 뱀이 센터로 떠날 때 그녀의 양딸이 된다. 뱀은 멜리사에게 꿈뱀은 매우 희귀하며 치료사들이 번식 방법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한다. 한편, 아레빈은 마운틴사이드 북쪽의 치료사 집에 도착하지만, 뱀이 그곳에 없다는 말을 듣고 그녀를 찾아 남쪽으로 향한다. 마운틴사이드에서 그는 뱀을 공격한 사람으로 오인받아 잠시 구금되지만 풀려난다.
뱀과 멜리사는 동부 사막을 건너 센터에 도착하지만, 이전의 모든 치료사 사절단처럼 거부당한다. 산으로 돌아온 직후, 그들은 다시 미친 남자에게 공격받는다. 그는 꿈뱀을 요구하다가 뱀의 꿈뱀이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되자 쓰러진다. 뱀은 그가 꿈뱀 독에 중독되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뱀은 그 남자를 데리고 '노스'라는 지도자가 이끄는 공동체로 간다. 노스는 여러 마리의 꿈뱀을 가지고 있으며, 때때로 추종자들이 보상으로 꿈뱀에게 물리도록 허용한다. 이 공동체는 과거 문명의 유적인 "부서진 돔"에 살고 있다. 모든 치료사에게 원한을 품은 노스는 뱀을 꿈뱀으로 가득 찬 크고 차가운 구덩이에 가둔다. 구덩이 안에서 뱀은 강한 추위가 꿈뱀을 성숙시키며, 지구의 생물처럼 두 성별이 아닌 세 쌍으로 번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독에 대한 면역력 덕분에 뱀은 구덩이에서 살아남아 기어 나온다. 노스의 부하들이 독으로 인한 혼수상태에 빠진 동안, 그녀는 멜리사 역시 혼수상태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멜리사와 꿈뱀 한 자루를 가지고 탈출한다. 밖에서 그녀는 아레빈을 만나고, 그는 멜리사가 회복하는 것을 돕는다.
4. 7. 센터
핵전쟁 이후 대부분의 인간 사회는 "저기술 부족주의" 상태로 묘사된다.[21] 이와 대조적으로 '센터'는 정교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행성과 접촉하는 유일한 도시이다.[5] 하지만 센터는 엄격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인의 입장을 허용하지 않는 폐쇄적인 사회이다. 이 도시는 본다 N. 맥킨타이어의 첫 번째 소설인 망명 대기(1975)의 배경이기도 하다.[7]5. 평가 및 영향
''드림스네이크''는 여러 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1978년 네뷸러상 장편 소설 부문 수상,[13] 1979년 휴고상 장편 소설 부문 수상,[14] 1979년 로커스상 수상이 대표적이다.[15] 또한 퍼시픽 노스웨스트 북셀러스 상을 받았으며, 1979년 디트마상 국제 소설 부문 후보에 올랐다.[16] 1995년에는 레트로스펙티브 제임스 팁트리 상 후보에도 선정되었다.[17] 소설의 바탕이 된 중편 "안개와 풀, 그리고 모래에 관하여"(eng)는 1974년 맥킨타이어에게 첫 네뷸러상을 안겨주었고,[1] 같은 해 휴고상과 로커스상 후보에도 올랐다.[18][19] 1980년에는 페이퍼백 버전이 아메리카 도서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드림스네이크''는 1970년대에 등장한 페미니스트적 SF 소설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시기 여성 작가들은 이전까지 남성 중심적이던 SF계에서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드림스네이크''는 르 귄, 케이트 윌헬름,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 등의 작품과 함께 이러한 변화를 이끌었다.
맥킨타이어의 글쓰기 스타일은 여러 매체와 평론가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산타 크루즈 센티넬''(eng)은 "정말로 매혹적인 이야기"라고 평했으며,[10] 미국 도서관 협회의 샐리 에스테스는 "매우 흥미진진하다"고 언급했다.[11] ''신시내티 인콰이어러''(eng)는 그 해 출간된 소설 중 "가장 섬세하게 쓰여진 시적인 소설" 중 하나로 꼽았다.[20] 동료 작가인 르 귄은 ''드림스네이크''를 극찬하며 "빠르고, 깨끗하고, 맑고, 흥미롭고, 아름다운 산의 시내와 같은 책"이라고 묘사했다.[4] 2011년에는 "맑고 빠르게 전개되는 산문", "독자를 반쯤 익숙하고 반쯤 낯선 사막 세계로 바로 데려가는 짧고 서정적인 풍경 묘사", "캐릭터의 감정 상태, 분위기 및 변화에 대한 훌륭한 묘사"를 특징으로 꼽으며 다시 한번 칭찬했다. SF 학자 마셜 팀은 1981년, 주인공 스네이크의 여정에 담긴 "시적으로 협상 가능한 진정성"이 소설의 성공 요인이며, 휴고상과 네뷸러상 수상작 중에서도 오래 기억될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2012년 ''가디언''(eng) 리뷰는 이 책을 "도전적이고 불안한 책"이라 부르며 맥킨타이어의 가상 세계 구축 능력이 "전문적으로 묘사되었다"고 평했다.[21]
소설의 주제, 상징성, 언어 사용 역시 주목받았다. 학자 다이앤 우드는 이 소설이 "언어적, 문화적 코드를 실험함으로써 미적 즐거움을 만들어내는 SF의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우드는 또한 맥킨타이어가 탐구한 문화 간 소통이라는 주제를 높이 평가하며, 작가의 문체와 "생생한 캐릭터 묘사"가 "더 큰 연민과 이해"라는 메시지를 강화하고 "풍부한 질감을 가진 소설"을 읽는 즐거움을 더한다고 덧붙였다. 학자 게리 웨스파는 맥킨타이어의 뱀 묘사를 다른 SF 작품과 비교하며 ''드림스네이크''를 뱀과 인간의 관계를 그린 작품 중 "최고점"이라고 평가했다. 오슨 스콧 카드 역시 뱀의 독립적인 존재감을 강조하며, 맥킨타이어가 "피상적으로 에피소드적인 이야기"를 성공적으로 통합하고, 잘 묘사된 캐릭터들과 함께 "사악하지만 아름다운 세계"를 창조했다고 호평했다.[12]
한편, 소설의 길이와 구조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다. ''샬럿 옵저버''(eng)는 책의 상당 부분에서 중요한 사건이 부족하며, 훌륭한 단편 소설을 장편으로 확장하는 것이 항상 성공적인 것은 아님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22] 샐리 에스테스 역시 원작 단편 소설이 지녔던 "섬세함 일부를 잃었다"고 지적했다.[11] 일부 평론가들은 남성 캐릭터 아레빈의 짧은 등장이 불필요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캐롤 웬델은 1982년, 이러한 비판이 여성 주인공이 남성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으며, 맥킨타이어가 의도적으로 일반적인 서사 구조를 뒤집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브라이언 스테이블포드는 ''드림스네이크''가 "플롯 측면에서는 거의 없다"고 인정하면서도, 이야기가 플롯에 의존하지 않는 "경험의 소설"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 작품이 "상당한 생각과 진심"으로 쓰여졌으며 매우 읽기 쉽다고 덧붙였다.[23] 오슨 스콧 카드는 처음에는 "완벽하게 다듬어진 보석"과 같은 단편을 확장하는 것에 회의적이었음을 인정하면서도, 일부 감상적인 구절과 늘어지는 부분을 비판하면서도 결국 책이 끝나기를 바라지 않게 되었다고 술회했다.[12]
6. 한국어판 출간 정보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Nebula Awards 1974
http://www.sfadb.com[...]
Locus
2011-12-06
[2]
웹사이트
Dreamsnake
https://www.isfdb.or[...]
2023-08-29
[3]
웹사이트
Vonda N. McIntyre Awards
https://www.sfadb.co[...]
2023-08-29
[4]
간행물
Dreamsnake
https://books.google[...]
1978
[5]
뉴스
Vonda N McIntyre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0-05-07
[6]
웹사이트
Stories, Listed by Author
https://web.archive.[...]
2020-09-23
[7]
간행물
McIntyre, Vonda N.
http://sf-encycloped[...]
Gollancz
2020-07-26
[8]
뉴스
Vonda N. McIntyre, 70, Champion of Women in Science Fiction, Dies
https://www.nytimes.[...]
2020-05-08
[9]
간행물
The symbol of modern medicine: why one snake is more than two
2003-04-15
[10]
뉴스
Dreamsnake, by Vonda McIntyre
1979-07-22
[11]
뉴스
Fear the Dragon No Longer
1978-09-17
[12]
간행물
Dreamsnake
https://archive.org/[...]
1978-11-10
[13]
웹사이트
Keith Stokes, Vonda N. McIntyre honored with SFWA Service Award
http://www.sfwa.org/[...]
SWFA
2010-06-17
[14]
웹사이트
1979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2010-06-17
[15]
웹사이트
1979 Locus Awards
https://web.archive.[...]
2010-06-17
[16]
웹사이트
1979 Ditmar Awards
https://web.archive.[...]
2010-06-17
[17]
웹사이트
1995 Retrospective Honor List
http://tiptree.org/?[...]
2020-04-06
[18]
웹사이트
1974 Hugo Awards
http://www.thehugoaw[...]
World Science Fiction Society
2010-04-19
[19]
웹사이트
1974 Locus Awards
https://web.archive.[...]
2020-10-17
[20]
뉴스
Talking of Time Warps
1978-08-06
[21]
뉴스
Back to the Hugos: Dreamsnake by Vonda N McIntyre
https://www.theguard[...]
2020-05-07
[22]
뉴스
Another Best Seller?
1978-06-02
[23]
간행물
Dreamsnake
1975-05
[24]
웹사이트
2024-05-05
[25]
웹사이트
Dreamsnake
https://www.isfdb.or[...]
2024-05-05
[26]
웹사이트
『夢の蛇』解説
https://thatta-onlin[...]
2024-05-05
[27]
서적
SF大百科事典
グラフィック社
1998-08-25
[28]
웹사이트
Nebula Awards 1974
https://www.sfadb.co[...]
2024-05-05
[29]
간행물
S-Fマガジン 1975年9月号
早川書房
1975-09
[30]
서적
サンリオSF文庫総解説
本の雑誌社
2014-09-20
[31]
서적
ハヤカワ文庫SF総解説2000
早川書房
2015-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