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전쟁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들의 전쟁》은 닐 게이먼의 2001년 판타지 소설로, 출소 후 아내의 죽음을 맞이한 섀도우 문이 미스터 웬즈데이의 보디가드로 일하며 미국을 여행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웬즈데이는 오딘의 화신으로, 새로운 신들과의 전쟁을 위해 옛 신들을 모으려 한다. 섀도우는 여행 중 체르노보그, 조리아 자매, 이스터 등 다양한 신들을 만나고, 로키의 음모와 웬즈데이의 정체를 알게 된다. 소설은 2002년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 등을 수상했으며, 코믹스,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스콘신주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루스의 기억
김민주 작가의 자전적 소설인 루스의 기억은 루스를 중심으로 가족의 의미, 사회적 고립, 심리적 불안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한국 전쟁 이후 루스의 가족에게 닥친 시련과 그의 성장 과정을 통해 죄책감, 용서, 소외된 사람들의 고통을 섬세하게 그린 작품이다. - 샌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한 소설 - 80일간의 세계 일주
쥘 베른의 소설 《80일간의 세계 일주》는 필리어스 포그가 80일 안에 세계 일주를 할 수 있다는 내기를 걸고 하인 파스파르투와 함께 여행하며 픽스 형사의 방해와 아우다 구출 등의 역경을 헤쳐나가는 이야기로, 19세기 말의 시대적 배경과 함께 연재 당시 큰 인기를 얻고 실제 세계 일주 도전을 자극하는 등 큰 영향을 미쳤다. - 샌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높은 성의 사나이
《높은 성의 사나이》는 필립 K. 딕이 1962년에 발표한 대체 역사 소설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추축국이 승리하여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세계를 양분하고 미국이 분할 통치받는 1962년의 암울한 현실을 배경으로 사회 비판, 역사적 해석, 현실 인식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담고 있으며, 1963년 휴고상을 수상했고, 소설 속에는 또 다른 대체 역사 소설인 《메뚜기는 무겁게 엎드린다》가 등장한다.
신들의 전쟁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American Gods |
저자 | 닐 게이먼 |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장르 | 판타지 |
출판사 | 윌리엄 모로, 헤드라인 |
출판일 | 2001년 6월 19일 |
미디어 유형 | 인쇄 (하드백 & 페이퍼백) |
페이지 수 | 465 |
수상 | 휴고상 장편 소설상 (2002년) 로커스상 판타지 장편 소설 (2002년) 네뷸러상 장편 소설 (2002년) |
ISBN | 0-380-97365-0 |
OCLC | 46393953 |
다음 작품 | 아난시 보이즈 |
한국어판 정보 | |
원제 | American Gods |
저자 | 닐 게이먼 |
번역가 | 장용준 |
출판사 | 황금가지 |
한국어 출판일 | 2008년 11월 14일 |
페이지 수 | 411쪽 |
ISBN | 9788960172685 |
관련 작품 | |
텔레비전 드라마 | 아메리칸 갓 |
2. 줄거리
출소를 앞둔 전과자 섀도 문은 아내 로라가 그의 가장 친한 친구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출소 후 갈 곳 없는 섀도는 미스터 웬즈데이라는 노인의 보디가드로 고용되어 미국 전역을 여행한다. 그는 요정 매드 스위니에게 마법의 금화를 얻고, 이 금화를 로라의 무덤에 던져 그녀를 레버넌트로 되살린다. 또한 체르노보그와 조리아 자매 등 여러 존재를 만난다.
섀도는 웬즈데이가 사실 북유럽 신화의 주신 오딘이며, 미국에서 힘을 잃은 옛 신들을 모아 기술, 미디어 등 현대 사회의 새로운 신들과 전쟁을 준비 중임을 알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미스터 낸시, 이스터 등 여러 옛 신들과 조우한다.
새로운 신들의 하수인에게 납치되기도 하지만 부활한 로라의 도움으로 구출되고, 일리노이주 카이로의 미스터 이비스와 미스터 자크렐에게 잠시 몸을 의탁한다. 그곳에서 매드 스위니는 금화를 돌려받지 못해 죽음을 맞는다. 이후 섀도는 위스콘신주 레이크사이드 마을에 '마이크 아이엔설'이라는 가명으로 정착하지만, 마을에서 벌어지는 아이들 실종 사건에 연루된다.
새로운 신들은 웬즈데이와 회담 중 그를 살해하고, 이는 옛 신들을 격분시켜 록 시티에서의 전면전을 촉발한다. 웬즈데이와의 계약에 따라 세계수에 9일간 매달리는 시련을 겪던 섀도는 자신이 오딘의 아들이며, 새로운 신들의 수장 미스터 월드가 사실 로키 (로우 키 리스미스)이고, 오딘과 로키가 이 모든 상황을 계획한 '두 사람의 사기극'이었음을 깨닫는다. 오딘의 죽음은 힘을 되찾기 위한 희생 제물 연극이었던 것이다.
한편, 로라는 새로운 신들의 하수인 미스터 타운을 죽이고 빼앗은 세계수의 가지로 로키에게 치명상을 입힌다.
록 시티의 전쟁터에 도착한 섀도는 오딘과 로키의 계획을 폭로하며 싸움의 무의미함을 역설하고 신들에게 돌아갈 것을 촉구한다. 신들은 흩어지고 로키는 죽으며 오딘의 유령은 사라진다. 로라는 섀도에게 금화를 돌려받고 마침내 안식을 찾는다.
이후 레이크사이드로 돌아간 섀도는 아이들 실종의 범인이 마을 수호신 행세를 하던 힌젤만임을 밝혀낸다. 힌젤만은 마을 번영을 위해 아이들을 희생시켜왔다. 섀도는 직접 그를 처단하지 못하지만, 진실을 알게 된 경찰서장 채드 멀리건이 힌젤만을 사살한다. 섀도는 힌젤만이 자신을 죽인 자도 곧 죽게 만드는 안전장치를 걸어두었음을 깨닫고, 채드의 기억을 지워 그를 살린 뒤 레이크사이드를 떠난다.
마지막으로 아이슬란드를 방문한 섀도는 웬즈데이와는 다른, 아이슬란드 정착민들의 믿음으로 형성된 또 다른 오딘을 만난다. 섀도는 웬즈데이의 행동에 대해 묻지만, 아이슬란드의 오딘은 "그는 나였지만, 나는 그가 아니다"라고 답하며 웬즈데이는 신앙을 잃고 타락한 자신의 일부일 뿐이라고 선을 긋는다. 섀도는 웬즈데이의 유리 눈을 오딘에게 건네고, 마지막으로 동전 마술과 함께 진짜 마법으로 금화를 만들어 공중에 던진 뒤, 그 동전이 다시 내려올지 궁금해하며 길을 떠난다.
2. 1. 주요 등장인물
소설에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야기는 이들의 상호작용과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주요 인물들은 크게 필멸자, 옛 신들, 그리고 새로운 신들로 나눌 수 있다.주인공 섀도우 문은 감옥에서 막 출소한 남자로, 미스터 웬즈데이라는 정체불명의 노인과 엮이면서 신들의 전쟁에 휘말리게 된다. 그의 아내 로라 문은 소설 초반에 사망하지만, 불가사의한 힘으로 되살아나 레버넌트로서 섀도우의 여정에 영향을 미친다.
미스터 웬즈데이는 겉보기에는 사기꾼 노인이지만, 실제 정체는 북유럽 신화의 주신 오딘이다. 그는 미국에서 힘을 잃어가는 옛 신들을 규합하여 현대 사회의 새로운 신들에게 맞서 싸우려 한다.
옛 신들과 대립하는 새로운 신들은 미디어, 기술, 세계화 등을 상징하며, 이들을 이끄는 주요 인물 중 하나는 미스터 월드로 밝혀지는데, 그의 정체는 북유럽 신화의 로키이다. 로키는 오딘과 함께 복잡한 계획을 꾸미며 이야기의 핵심적인 반전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신화와 민담에서 유래한 옛 신들과 현대 사회를 반영하는 새로운 신들,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필멸자들이 등장하여 복잡하고 깊이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각 인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 필멸자
- '''섀도우 문''' - 미스터 웬즈데이(오딘)의 보디가드이자 심부름꾼 역할을 하는 전직 수감자.
- '''로라 문''' - 섀도우의 아내. 소설 초반, 섀도우의 출소를 며칠 앞두고 교통사고로 사망하지만 이후 레버넌트로 부활한다.
- '''사만다 "샘" 블랙 크로우''' - 섀도우가 여정 중에 만나는 히치하이킹 대학생.
- '''채드 멀리건''' - 레이크사이드 마을의 마음씨 좋은 경찰서장.
2. 1. 2. 옛 신들
미스터 웬즈데이는 이야기의 중심인물 중 하나로, 정체는 북유럽 신화의 주신 오딘이다. 그는 미국으로 건너온 후 신자 감소로 힘이 약해진 상태이며, 기술, 미디어 등 현대 사회의 새로운 신들과의 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다른 옛 신들을 규합한다. 섀도 문을 자신의 보디가드로 고용하여 미국 전역을 함께 여행하며 동료들을 모은다.웬즈데이 외에도 다양한 옛 신들이 등장한다.
- '''체르노보그''': 슬라브 신화의 어둠과 악의 신. 섀도와 내기를 하여 그의 여정에 동참하게 된다. 조리아 자매와 함께 지낸다.
- '''조리아 자매''': 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 저녁, 자정의 별을 상징하는 세 여신. 그중 한 명은 섀도에게 보호의 힘이 담긴 은화를 준다.
- '''미스터 낸시''' (아난시): 서아프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설화에 등장하는 거미 신이자 트릭스터. 웬즈데이의 오랜 친구이자 조력자로 등장한다.
- '''이스터''': 게르만족의 봄과 새벽의 여신. 웬즈데이의 설득으로 옛 신들의 편에 서며, 나중에 죽음의 문턱에 선 섀도를 되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스터 이비스''' (토트)와 '''미스터 자크렐''' (아누비스): 이집트 신화의 지혜와 죽음의 신. 일리노이주 카이로에서 장례식장을 운영하며 옛 신들을 돕는다. 미스터 자크렐은 죽음의 땅에서 섀도를 심판하기도 한다.
- '''매드 스위니''' (수입너 게일트): 아일랜드 신화의 미치광이 왕이자 요정. 섀도에게 마법의 금화를 주었으나, 나중에 그 금화를 돌려받지 못하고 힘을 잃어 죽음을 맞이한다.
- '''힌젤만''': 독일 민담에 등장하는 코볼트와 유사한 가정의 정령. 위스콘신주 레이크사이드 마을의 수호신 행세를 하지만, 마을의 번영을 위해 어린아이들을 희생시키는 어두운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
- '''호루스''': 이집트 신화의 신. 소설에서는 매의 모습으로 등장하며, 너무 오랜 세월을 살아 광기에 빠진 상태로 묘사된다. 섀도가 세계수에 매달려 있을 때 나타난다.
- '''아이슬란드의 오딘''': 웬즈데이와는 다른, 아이슬란드 정착민들의 믿음으로 형성된 오딘의 또 다른 모습. 웬즈데이의 행동과 거리를 두며, 보다 신화 속 모습에 가깝게 그려진다.
이 외에도 위스키 잭, 존 채프먼 등 여러 문화권의 잊혀 가는 옛 신들이 웬즈데이의 편에 서거나 각자의 방식으로 이야기에 관여한다. 이들은 현대 사회에서 자신들의 존재 의미를 잃어가며 새로운 신들과의 대립 속에서 각자의 운명을 맞이한다.
2. 1. 3. 새로운 신들
미스터 웬즈데이(오딘)는 힘이 약해진 옛 신들을 모아 기술, 미디어, 현대적 교통수단 등 인류가 숭배하는 새로운 신들과의 전쟁을 준비한다.[8] 이 과정에서 섀도는 새로운 신들의 하수인인 스푸크들에게 납치되기도 하지만, 레버넌트로 부활한 아내 로라 문 덕분에 구출된다.[8]새로운 신들은 웬즈데이 측과 회담을 제안하지만, 회담 자리에서 그를 살해한다. 이 사건은 옛 신들을 크게 자극하여 록 시티에서 새로운 신들과의 최후 결전을 준비하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8] 웬즈데이의 시신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섀도는 새로운 신들의 운전사로 일하는 로우 키 리스미스를 만나는데, 그는 섀도의 옛 감방 동료이자 멘토였다.[8]
섀도는 웬즈데이와의 계약에 따라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세계수에 매달리는 시련을 겪는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새로운 신들의 지도자로 알려진 미스터 월드가 사실 로우 키 리스미스, 즉 로키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깨닫는다.[8] 오딘(웬즈데이)과 로키는 섀도의 탄생부터 로라의 죽음, 그리고 신들 간의 전쟁까지 모든 것을 계획한 '두 사람의 사기극'을 벌이고 있었다. 로키가 오딘의 죽음을 연출하여 옛 신들과 새로운 신들의 전투를 오딘에게 바치는 거대한 희생 제물로 삼으려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오딘은 힘을 되찾고, 로키는 전쟁의 혼돈 속에서 이득을 취하려 했다.[8]
한편, 로라는 록 시티로 향하던 중 미스터 타운(새로운 신들의 하수인)을 만나 동행하다 그의 정체를 알게 되자 살해하고, 그가 가지고 있던 세계수의 가지를 빼앗는다. 그녀는 이 가지로 로키를 찔러 치명상을 입힌다.[8]
록 시티의 전투 현장에 도착한 섀도는 치명상을 입은 로키와 오딘의 유령 앞에서 그들의 계획을 모든 신들 앞에서 폭로한다. 그는 이 싸움에서 옛 신들과 새로운 신들 모두 얻을 것은 없고 잃을 것만 있으며, 오직 오딘과 로키만이 진정한 승자가 될 것이라고 역설한다. 또한 섀도는 미국이 신들에게 좋은 곳이 아니라며, 옛 신들과 새로운 신들 모두 원래의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권유한다.[8] 그의 말에 신들은 전투를 멈추고 흩어지며, 로키는 죽음을 맞이하고 오딘의 유령은 사라진다.[8]
3. 작품 배경 및 집필 과정
게이먼이 『아메리칸 갓』을 쓰는 동안, 그의 출판사는 게이먼이 소설을 쓰고, 수정하고, 출판하고, 홍보하는 일상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웹로그를 갖춘 홍보 웹사이트를 개설했다.[15] 소설이 출판된 후, 웹사이트는 보다 일반적인 공식 닐 게이먼 웹사이트로 발전했다. 게이먼은 웹로그에 산발적으로 글을 추가하여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작성, 수정, 출판 또는 홍보에 대해 설명하지만, 개인적인 세부 사항이나 독자 질문의 경우 텀블러[16] 또는 트위터[17]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2008년 2월 28일, 게이먼은 자신의 저널에 『아메리칸 갓』의 전체 텍스트를 한 달 동안 자신의 출판사 웹사이트에서 대중에게 공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8]
4. 작품의 영향 및 평가
이 소설은 출간 이후 문학계와 독자들로부터 주목받으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 등 권위 있는 여러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1][19] 비평가들 사이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었으나, 일부 혼합된 시각이나 비판적인 의견도 존재했다.[20]
그러나 2014년 텔레비전 드라마 각색 발표 당시, 일각에서는 원작의 일부 내용이 시대적으로 부적절하거나 특정 문화에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22] 학계에서는 이 작품이 지닌 존재론적, 인식론적 함의와 작가 닐 게이먼 특유의 차용적 스타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23][24]
4. 1.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결과 |
---|---|---|
2001년 | BSFA상 | 후보[19] |
2002년 | 휴고상 | 수상[1] |
네뷸러상 | 수상[1] | |
로커스상 (최우수 판타지 소설) | 수상[1] | |
SFX 최우수 소설상 | 수상 | |
브람 스토커 상 (최우수 소설) | 수상 | |
월드 판타지 문학상 | 후보[1] | |
국제 호러 길드 상 | 후보 | |
신화문학상 | 후보 | |
영국 판타지 문학상 | 후보[1] | |
2003년 | 게펜 상 | 수상 |
2010년 5월, ''신들의 전쟁''은 온라인 투표를 통해 최초의 "원 북 원 트위터"(One Book, One Twitter영어) 도서로 선정되었다.[21]
4. 2. 비평
이 소설은 2002년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을 비롯하여, [1] SFX와 브람 스토커 상에서 최우수 소설상을 수상했다. 또한 2001년 BSFA상[19], 2002년 월드 판타지 문학상,[1] 국제 호러 길드 상 및 신화문학상, 그리고 영국 판타지 문학상[1] 후보에 올랐다. 2003년에는 게펜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미국 출판물 서평을 집계하는 웹사이트 ''북 마크스''에 따르면, 이 책은 9명의 비평가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세부적으로는 "극찬" 2건, "긍정적" 4건, "혼합적" 2건, "혹평" 1건으로 나뉜다.[20]
2010년 5월, ''신들의 전쟁''은 온라인 투표를 통해 최초의 "원 북 원 트위터(One Book, One Twitter)" 도서로 선정되었다.[21]
한편, 2014년 이 소설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색이 발표되었을 때, 작가 에이브러햄 리스먼은 이 결정이 "좋지 않은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책의 일부 내용이 시대에 뒤떨어졌거나 특정 문화에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있다고 지적했다.[22]
이 외에도 학계에서는 이 작품이 존재론적, 인식론적 함의를 지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23] 닐 게이먼의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차용적 스타일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24]
4. 3.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소설 '신들의 전쟁'의 국제적인 수상 내역, 평가, 비판 등에 대한 정보만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소설이 구체적으로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또는 한국 독자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5. 다른 매체로의 각색
소설 《신들의 전쟁》은 코믹스와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5. 1. 코믹스
다크 호스 코믹스는 이 소설을 기반으로 한 코믹스 시리즈를 출판한다.[29] 이 코믹스는 가이먼과 P. 크레이그 러셀이 공동으로 집필했다. 러셀과 스콧 햄프턴 등이 그림을 그렸다.[28]5. 2. 텔레비전 드라마
스타즈는 브라이언 풀러와 마이클 그린과 함께 이 소설을 기반으로 한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했다.[30] 이 시리즈는 2017년 4월에 처음 방영되었다. 시즌 1이 끝난 후, 풀러는 쇼 러너에서 물러났고, 제시 알렉산더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풀러와 알렉산더는 이전에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와 ''한니발''에서 함께 작업한 경험이 있다.[31]6. 관련 작품
작가 닐 게이먼의 다른 작품 중 ''아메리칸 갓''과 세계관이나 등장인물을 공유하는 관련 작품들이 있다. 소설 ''아난시 보이즈''는 등장인물 미스터 낸시(아난시)를 공유하며, 주인공 섀도 문이 등장하는 단편 소설 "글렌의 군주"와 "블랙 도그"도 발표되었다.[34] 또한 작가는 ''아메리칸 갓''의 직접적인 속편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33]
6. 1. 아난시 보이즈
닐 게이먼의 소설 ''아난시 보이즈'' (2005)는 ''아메리칸 갓''보다 먼저 구상되었으며, 두 작품 모두 등장인물인 미스터 낸시(아프리카 전설 속 거미 신 아난시)를 공유한다.6. 2. 후속작 및 단편 소설
작가 닐 게이먼은 2011년 6월 22일 MTV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아메리칸 갓''의 직접적인 속편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첫 번째 책을 쓰는 동안에도 속편을 구상했으며, 속편에서는 새로운 신들에게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33]계획된 속편 외에도, 게이먼은 주인공 섀도 문을 중심으로 한 두 편의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첫 번째는 2003년 앤솔러지 ''레전드 2''에 처음 실린 중편 소설 "글렌의 군주"(Monarch of the Gleneng)로, ''아메리칸 갓''의 사건 이후 2년이 지난 시점의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한다. 두 번째 단편 소설 "블랙 도그"(Black Dogeng)는 게이먼의 2015년 단편집 ''트리거 워닝''에 수록되었으며, "글렌의 군주"로부터 1년 뒤 잉글랜드 더비셔의 피크 디스트릭트에서 이야기가 펼쳐진다.[34] 게이먼은 ''트리거 워닝'' 서문에서 섀도를 런던으로 데려간 후, 미국으로 돌아가 ''아메리칸 갓 2''를 시작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독립적인 이야기를 하나 더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7. 번역
이 소설은 전 세계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 ''아메리카누 디에비''(Amerikāņu dievilav, 라트비아어)
- ''아메에리카 주말''(Ameerika jumaladest, 에스토니아어)
- ''아메리칸스키 보고비''(Amerykańscy bogowiepol, 폴란드어)
- ''제이 아메리카니''(Zei Americaniron, 루마니아어)
- 알림 아메리카임(Elim Amerikaimheb, 히브리어)
- ''아메리칸 갓즈''(American Godsita, 이탈리아어)
- ''데우세스 아메리카노스''(Deuses Americanospor, 포르투갈어)
- ''아메리치티 보호베''(Američtí bohovéces, 체코어)
- ''아메리키 보호비아''(Americkí bohoviaslk, 슬로바키아어)
- ''우노헤투트 유마라트''(Unohdetut jumalatfin, "잊혀진 신들", 핀란드어)
- ''아메리케이 이스텐"(Amerikai istenekhun, 헝가리어)
- ''아메리칸 갓즈''(American Godsspa, 스페인어)
- ''아메리치키 보고비''(Američki Bogovihrv, 크로아티아어)
- ''아메리시키 보고비''(Ameriški bogovislv, 슬로베니아어)
- 아메리치키 보고비(Амерички Боговиsrp, 세르비아어)
- 아메리카스끼 보기(Американские Богиrus, 러시아어)
- ''아메리코스 디에바''(Amerikos dievailit, 리투아니아어)
- ''아메리칸 탄르라르''(Amerikan Tanrılarıtur, 터키어)
- ''아메리칸 갓즈''(American Godsdeu, 독일어)
- ''아메리칸스카 구다르''(Amerikanska gudarswe, 스웨덴어)
- ''아메리칸스케 구데르''(Amerikanske gudernor, 노르웨이어)
- ''아메리칸스케 구데르''(Amerikanske guderdan, 덴마크어)
- 美國眾神(미국중신, 중국어 정체자)
- 美国众神(미국중신, 중국어 간체자)
- 오 폴레모스 톤 테온(Ο Πόλεμος των Θεώνell, "신들의 전쟁", 그리스어)
- ''아메리칸 갓즈''(American Godsfra, 프랑스어)
- 아메리칸스키 보고베(Американски боговеbul, 불가리아어)
- 신들의 전쟁 (상), 신들의 전쟁 (하) (한국어)
- ''아메리카안세 고덴''(Amerikaanse Godennld, 네덜란드어)
- 아메리켈리 그메르테비(ამერიკელი ღმერთებიkat, 조지아어)
- 아메리칸・고즈(アメリカン・ゴッズjpn, 일본어)
- 아메리칸스끼 보히(Американські богиukr, 우크라이나어)
- 아메리칸 깟(อเมริกัน ก็อดส์tha, 태국어)
7. 1. 한국어 번역본
황금가지 출판사에서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상권과 하권으로 나뉘어 출간되었으며, 각 권의 ISBN은 다음과 같다.참조
[1]
웹사이트
2002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8-05
[2]
뉴스
Neil Gaiman gives verdict on American Gods TV serie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7-03-20
[3]
뉴스
Even Neil Gaiman Was Surprised by the Reaction to 'American Gods'
https://variety.com/[...]
Variety
2017-06-12
[4]
웹사이트
'American Gods': Michael Green & Bryan Fuller Exit As Showrunners of Starz Series
https://deadline.com[...]
2017-11-29
[5]
서적
The Annotated American Gods
William Morrow
[6]
웹사이트
Neil Gaiman's Journal: The Flowers of Romance
https://journal.neil[...]
2007-10-22
[7]
웹사이트
FAQs {{!}} Books, Short Stories, and Films
https://www.neilgaim[...]
[8]
웹사이트
Dreaming American Gods: an Interview With Neil Gaiman
http://www.raintaxi.[...]
Rain Taxi, Inc.
2001-06-01
[9]
뉴스
Week three: Neil Gaiman on writing American God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9-02
[10]
웹사이트
Neil Gaiman Responds
https://news.slashdo[...]
2003-11-03
[11]
뉴스
Neil Gaiman – September 2001
http://www.neilgaima[...]
Neil Gaiman's Journal
2001-09-25
[1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Neil Gaiman
http://www.shadow-wr[...]
[13]
서적
The Knight and Knave of Swords: The Adventures of Fafhrd and the Gray Mouser
[14]
웹사이트
Mr Gaiman, why do you mention breasts so much in
https://neil-gaiman.[...]
[15]
웹사이트
American Gods Blog, Post 2
https://journal.neil[...]
[16]
웹사이트
Home
https://neil-gaiman.[...]
[17]
Twitter
[18]
뉴스
Kids! Free! Book!
http://journal.neilg[...]
Neil Gaiman's Journal
2008-02-28
[19]
웹사이트
2001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
웹사이트
American Gods
https://bookmarks.re[...]
[21]
뉴스
'One Book, One Twitter' launches worldwide book club with Neil Gaim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5-04
[22]
뉴스
Why Adapting Neil Gaiman's American Gods for TV Is a Bad Idea
https://www.vulture.[...]
Vulture
[23]
간행물
'The Road of Our Senses: Search for Personal Meaning and the Limitations of Myth in Neil Gaiman''s American Gods'
https://www.jstor.or[...]
Mythlore
[24]
웹사이트
Get Gaiman?: PolyMorpheus Perversity in Works by and about Neil Gaiman
https://imagetextjou[...]
[25]
웹사이트
American Gods: Is Nothing Sacred?
http://www.neilgaima[...]
[26]
뉴스
Neil Gaiman's Journal – May 2011
http://journal.neilg[...]
Neil Gaiman's Journal
2011-05-05
[27]
웹사이트
Neil Gaiman's American Gods comes to comics in this exclusive preview
https://news.avclub.[...]
2017-01-23
[28]
웹사이트
American Gods Volume 1: Shadows HC
https://www.darkhors[...]
[29]
웹사이트
INTERVIEW: P. Craig Russell on bringing American Gods from the page to the panel.
https://www.comicsbe[...]
2017-01-23
[30]
웹사이트
Starz, Bryan Fuller Board Neil Gaiman's 'American Gods'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14-07-01
[31]
웹사이트
'American Gods' Hires New Showrunner For Season 2
https://deadline.com[...]
2018-02-02
[32]
웹사이트
Blind Guardian Studio Report 3
https://metal-sound.[...]
Mark Miranovic
[33]
뉴스
Neil Gaiman Reflects On 'American Gods,' 10 Years Later
https://web.archive.[...]
MTV News
2011-06-22
[34]
뉴스
Neil Gaiman brings American Gods back to lif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