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 음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음악은 러시아의 역사,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해 왔다. 9세기에서 10세기 사이 비잔틴 제국의 영향을 받아 정교회의 성가가 발전했고, 중세 시대에는 구슬리와 같은 현악기가 대중적인 사랑을 받았다. 모스크바 시대에 들어서면서 러시아는 통일된 국가로서 음악적 전통을 구축했고, 정교회 성가와 세속 음악이 공존했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는 서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고전 음악이 발전했으며, 미하일 글린카와 강력한 5인조와 같은 작곡가들이 러시아 민족 음악을 고전 음악에 접목시켰다. 20세기에는 소련 혁명 이후 아방가르드 음악이 등장했지만, 스탈린 시대에는 통제와 제약 속에서 고전주의가 강조되었다. 1960년대 이후 팝, 록 음악이 등장했고, 소련 붕괴 이후 다양한 현대 음악 장르가 발전했다. 오늘날 러시아는 100개 이상의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며, 각 민족은 고유한 민속 음악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음악 - 슬라브 행진곡
    슬라브 행진곡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세르비아-오스만 전쟁 당시 러시아의 세르비아 지지를 배경으로 세르비아 민요와 러시아 제국 국가 등을 인용하여 세르비아인의 억압, 러시아인의 결집, 전투를 묘사하는 약 10~11분 길이의 곡이다.
  • 러시아의 음악 -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국가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국가는 바시키르 공화국의 공식 국가이며, 바시키르어, 라틴 문자 및 한국어, 영어 가사로 구성되어 바시코르토스탄의 상징적 의미와 역사, 정체성을 나타낸다.
러시아 음악
러시아 음악
러시아 음악 콜라주
러시아 음악 콜라주
기원슬라브족의 민속 음악
비잔티움의 종교 음악
지역적 장면러시아
특징
장르클래식 음악
민요
대중음악

힙합
전자 음악
악기발랄라이카
바얀
도므라
구슬리
역사적 맥락
기원동슬라브족의 전통 음악과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받음
발전러시아 제국 시대에 서유럽 음악 유입, 소련 시대에는 정부 통제와 검열
현대다양한 장르의 발전, 세계적인 인기
주요 인물
작곡가미하일 글린카
표트르 차이콥스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연주자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갈리나 비슈네프스카야
민속 음악
특징러시아 민족의 삶과 문화를 반영, 다양한 지역별 스타일 존재
악기발랄라이카
바얀
도므라
구슬리
주요 형태자스트랄니예 페스니 (축제 노래)
오브랴도비예 페스니 (의식 노래)
일리니 (서사시)
클래식 음악
특징서유럽 음악의 영향, 러시아적인 감성과 멜로디 강조
주요 장르오페라
발레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주요 작곡가미하일 글린카
표트르 차이콥스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대중 음악
특징서구 대중 음악의 영향, 러시아적인 가사와 멜로디 결합
주요 장르

힙합
일렉트로니카
주요 가수알라 푸가체바
필리프 키르코로프
제믈피라
비아 그라
관련 정보
관련 문서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러시아

2. 역사

러시아 음악의 역사는 크냐즈 공국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희랍정교를 받아들이면서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1] 중세 러시아에서는 구슬리나 구독과 같은 현악기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노브고로드 지역에서 이 악기들의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1]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음악적 전통이 깊었는데, 구슬리 연주자인 사드코는 민속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스비렐과 같은 플루트, 트레쉬초트카, 부벤과 같은 타악기도 사용되었지만, 가장 인기 있는 음악 형태는 노래였다. 사드코, 일리야 무로메츠와 같은 영웅들을 기리는 빌리나 (서사 발라드)는 종종 악기 반주와 함께 불렸다.

13세기에서 14세기 노브고로드 시대에는 농민 반란이나 전쟁과 관련된 노래가 널리 퍼졌다.[1] 이후 모스크바가 정치, 문화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유라시아 여러 국가들과 교류하며 음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5세기 말 이후 러시아는 서유럽과의 거리, 정교회의 세속 음악 금지 등으로 인해 고전 음악의 고유한 전통을 발전시키는 데 늦었다.[6] 이반 4세 통치 시기부터 서양 작곡가와 음악가들이 초청되었고, 표트르 대제 시대에는 이들이 궁정에 정기적으로 등장했다.[7]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은 상류층에게 음악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8] 엘리자베타 여제와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 동안 궁정에서 이탈리아 오페라 열풍이 불면서 귀족들 사이에서 서양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9] 이는 러시아 작곡가들의 존재를 잊게 할 정도였다.[10]

이러한 유럽 음악에 대한 집중은 러시아 작곡가들이 서양 스타일로 작곡해야 함을 의미했다. 드미트리 보르트니안스키, 막심 베레조프스키, 아르템 베델 등 우크라이나 출신 작곡가들은 이탈리아 등지에서 훈련을 받고 서양식 작곡법을 익혔다.[11]

미하일 글린카 (1804–1857)는 러시아 민속 음악을 활용한 최초의 위대한 러시아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초기 러시아어 오페라 ''이반 수사닌''과 ''루슬란과 류드밀라''는 독특한 러시아 곡조와 주제, 통속어 사용으로 명성을 얻었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유명한 러시아 고전 작곡가


19세기 러시아의 저명한 작곡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발라키레프 (1837–1910)가 이끄는 강력한 5인조 (림스키-코르사코프 (1844–1908), 무소르그스키 (1839–81), 보로딘 (1833–87), 체자르 큐이 (1835–1918) 포함)는 러시아 민족 전통을 고전 음악에 담아 대중화하고자 했다. 이들의 주요 작품으로는 오페라 ''눈 아가씨'', ''사드코'', ''보리스 고두노프'', ''이고르 공'', ''호반시치나'' 및 교향 모음곡 ''세헤라자데'' 등이 있다. 글린카와 강력한 5인조의 작품은 러시아 역사, 민담, 문학을 기반으로 하여 낭만적 민족주의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1859년에는 안톤 (1829–94)과 니콜라이 루빈스타인 (1835–81) 형제가 러시아 음악 협회 (RMS)를 설립했다. 강력한 5인조는 러시아 음악 협회의 라이벌로 여겨지기도 했는데, 5인조는 러시아 민족 정체성을 강조한 반면 RMS는 보다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 러시아 음악 협회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에 러시아 최초의 음악원을 설립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출신인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1840–93)는 발레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호두까기 인형'' 등으로 유명하며, 러시아 밖에서 가장 잘 알려진 러시아 작곡가이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1873–1943)는 차이콥스키의 후계자로 여겨진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1882–1971),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1872–1915),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1891–1953),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1906–1975) 등이 등장하여 음악적 실험을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구축했다.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첫 해는 아방가르드와 음악 실험의 시기였다.[1] 1920년대 초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음악은 노동자나 근로자를 지향하는 스타일이나 테마를 가졌다.[1] 1923년에는 소련 음악가 연합(Contemporary Music Association)이 형성되었다.[1]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음악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1920년대 초는 "혁명 정신"에서 영감을 받은 아방가르드 실험의 시대였다.[12] 동시대 음악 협회와 같은 클럽들이 합성 화음을 기반으로 한 음악과 같은 새로운 음악 트렌드를 제안했다. 아르세니 아브라아모프는 그래피컬 사운드를 개척했고, 레온 테레민은 초기 전자 악기 중 하나인 테레민을 발명했다.

그러나 1930년대 이오시프 스탈린 정권 하에서 음악은 내용과 혁신에 있어 특정 경계 내에 갇히도록 강요받았다. 고전주의가 선호되었고 실험은 억제되었다.[13]

알라 푸가초바, 1970-80년대 소련 팝스타


키노, 상징적인 소련 포스트 펑크 밴드


1960년대와 1970년대는 현대 러시아 팝과 록 음악의 시작을 알렸다. 이는 VIAs (보컬-기악 앙상블)의 물결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작곡가 연합 회원들이 작곡하고 검열의 승인을 받은 라디오 친화적인 팝, 록, 민속 음악을 연주하는 특정 종류의 음악 밴드였다. 이 시대의 음악은 또한 이오시프 콥존, 소피아 로타루, 알라 푸가초바, 발레리 레온티예프, 유리 안토노프와 같은 개별 팝스타를 배출했다.

러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헤비 메탈 밴드인 아리아


서구 차트에서 성공을 거둔 러시아 팝 그룹 t.A.T.u.


2010년대 인기 러시아 래퍼 Oxxxymiron


2000년대 초는 러시아에서 뮤지컬의 붐을 보였다. ''노트르담 드 파리'', ''노르드-오스트'', ''로미오와 줄리엣'', 그리고 ''위 윌 록 유''가 당시 모스크바 극장에서 끊임없이 공연되었다.

2010년대에는 러시아 힙합의 인기가 높아졌고, 특히 Oxxxymiron과 그노이니와 같은 아티스트들의 인터넷 랩 배틀이 인기를 끌었다.

2. 1. 9세기 ~ 10세기

크냐즈 공국 시기, 희랍정교를 받아들이며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1] 루스인의 음악 문화를 묘사하는 기록된 문서가 존재한다. 중세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악기는 구슬리나 구독과 같은 현악기였다. 고고학자들은 11세기 초 노브고로드 지역에서 이 악기들의 예를 발굴했는데,[1]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음악에 깊은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장 인기 있는 민속 영웅이자 여러 서사시의 주인공은 구슬리 연주자인 사드코였다. 다른 흔한 악기에는 플루트(스비렐)와 트레쉬초트카, 부벤과 같은 타악기가 있었다. 그러나 가장 인기 있는 음악 형태는 노래였다. 사드코, 일리야 무로메츠 등 민속 영웅에 대한 빌리나 (서사 발라드)는 종종 악기 반주와 함께 불렸다.

2. 2. 노브고로드 시대 (13세기 ~ 14세기)

13세기에서 14세기를 노브고로드 시대로 부르며, 농민 반란이나 전쟁에 관련된 노래가 퍼졌다.[1]

2. 3. 모스크바 시대

모스크바가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하나의 통일된 국가가 되면서 음악이 시작되었다. 유라시아에 걸쳐 여러 국가들과 교류를 하였다.

2. 4. 15세기말 이후 과도기

러시아는 서유럽과의 거리, 정교회의 세속 음악 금지 등으로 고전 음악의 고유한 전통을 발전시키는 데 늦었다.[6] 이반 4세 통치 시기부터 황실은 서양 작곡가와 음악가들을 초청했고, 표트르 대제 시대에는 이들이 궁정에 정기적으로 등장했다.[7] 표트르는 음악에 개인적 관심은 없었지만, 유럽 음악을 문명화와 서구화의 수단으로 보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은 상류층에게 음악을 확산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8] 엘리자베타 여제와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 동안 궁정에서 이탈리아 오페라 열풍이 귀족들 사이에서 서양 음악에 대한 관심을 확산시켰다.[9] 이 열풍은 러시아 작곡가들의 존재를 잊게 할 정도였다.[10]

유럽 음악에 대한 집중은 러시아 작곡가들이 서양 스타일로 작곡해야 함을 의미했다. 일부 작곡가들은 훈련을 위해 이탈리아 등 해외로 나가 성악 및 기악 작품 작곡법을 배웠다. 여기에는 드미트리 보르트니안스키, 막심 베레조프스키, 아르템 베델 등 우크라이나 작곡가들이 포함된다.[11]

미하일 글린카 (1804–1857)는 러시아 민속 음악을 활용한 최초의 위대한 러시아 작곡가로, 초기 러시아어 오페라 ''이반 수사닌''과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작곡했다. 이 작품들은 독특한 러시아 곡조와 주제, 통속어 사용으로 명성을 얻었다.

러시아 민속 음악은 발라키레프 (1837–1910)가 이끄는 강력한 5인조 (림스키-코르사코프 (1844–1908), 무소르그스키 (1839–81), 보로딘 (1833–87), 체자르 큐이 (1835–1918) 포함) 등 젊은 작곡가들의 주요 원천이 되었다. 이들은 고전 음악에서 러시아 민족 전통을 작곡하고 대중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오페라 ''눈 아가씨'', ''사드코'', ''보리스 고두노프'', ''이고르 공'', ''호반시치나'' 및 교향 모음곡 ''세헤라자데'' 등이 있다. 글린카와 강력한 5인조의 많은 작품은 러시아 역사, 민담, 문학을 기반으로 하며 낭만적 민족주의의 걸작으로 간주된다.

이 시기에는 안톤 (1829–94)과 니콜라이 루빈스타인 (1835–81) 형제가 이끄는 러시아 음악 협회 (RMS)가 1859년에 설립되었다. 강력한 5인조는 러시아 음악 협회의 라이벌로 제시되기도 했는데, 5인조는 러시아 민족 정체성을 포용하고 RMS는 음악적으로 더 보수적이었다. 그러나 RMS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에 러시아 최초의 음악원을 설립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1840–93)를 배출했는데, 그는 발레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호두까기 인형'' 등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러시아 밖에서 가장 잘 알려진 러시아 작곡가이다. 그의 후계자는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1873–1943)이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차이콥스키에게 직접 배웠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1882–1971),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1872–1915),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1891–1953),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1906–1975) 등이 등장했다. 이들은 스타일과 음악 언어에서 실험적이었다.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와 유럽, 미국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 혁명 이후 영구 이주했다. 프로코피예프도 1918년에 러시아를 떠났지만, 결국 돌아와 소련 음악에 기여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는 로망스 노래가 인기를 얻었다. 표도르 샬랴핀과 같은 로망스 가수들은 오페라에서도 노래했으며, 알렉산더 베르틴스키, 콘스탄틴 소콜스키, 표트르 레셴코처럼 직접 음악을 작곡하고 가사를 쓰기도 했다.

2. 5. 18세기 ~ 19세기: 러시아 고전 음악

러시아는 서유럽과의 지리적 거리와 정교회의 세속 음악 금지로 인해 고전 음악의 고유한 전통을 발전시키는 데 늦었다.[6] 이반 4세 치세부터 황실은 서양 작곡가와 음악가들을 초청했고, 표트르 대제 시대에는 이들이 궁정에 정기적으로 등장했다.[7] 표트르 1세는 음악에 개인적 관심은 없었지만, 유럽 음악을 문명의 상징이자 서구화를 위한 방법으로 보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은 상류층에게 음악이 확산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8] 엘리자베타 여제와 예카테리나 2세 치세 동안 궁정에서 이탈리아 오페라 열풍이 일어나 귀족들 사이에서 서양 음악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9] 이 열풍은 러시아 작곡가들의 존재를 잊을 정도로 만연했다.[10]

유럽 음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러시아 작곡가들은 작품을 공연하려면 서양 스타일로 작곡해야 했다. 일부 작곡가들은 훈련을 위해 이탈리아로 여행하여 이탈리아 고전 전통의 성악 및 기악 작품을 작곡하는 법을 배웠다.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작곡가 드미트리 보르트니안스키, 막심 베레조프스키, 아르템 베델이 포함된다.[11]

세속 음악 영역에서 토착 러시아 음악 전통을 활용한 최초의 위대한 러시아 작곡가는 미하일 글린카(1804–1857)였다. 그는 초기 러시아어 오페라 ''이반 수사닌''과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작곡했다. 이 작품들은 독특한 러시아 곡조와 주제에 의존하고 통속어에 기반을 두어 명성을 얻었다.

러시아 민속 음악은 젊은 세대 작곡가들의 주요 원천이 되었다. 밀리 발라키레프(1837–1910)가 이끄는 강력한 5인조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1844–1908),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1839–81), 알렉산드르 보로딘(1833–87), 체자르 큐이(1835–1918)를 포함하여 고전 음악에서 러시아 민족 전통을 작곡하고 대중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강력한 5인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오페라 ''눈 아가씨'' (''스네구로치카''), ''사드코'', ''보리스 고두노프'', ''이고르 공'', ''호반시치나'' 및 교향 모음곡 ''세헤라자데''가 있다. 글린카와 강력한 5인조의 많은 작품은 러시아 역사, 민담 및 문학을 기반으로 하며 음악에서 낭만적 민족주의의 걸작으로 간주된다.

이 시기에는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안톤 루빈스타인(1829–94)과 니콜라이 루빈스타인(1835–81) 형제가 이끄는 러시아 음악 협회(RMS)가 1859년에 설립되었다. 강력한 5인조는 종종 러시아 음악 협회의 라이벌로 제시되었으며, 5인조는 러시아 민족 정체성을 포용하고 RMS는 음악적으로 더 보수적이었다. 그러나 RMS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에 러시아 최초의 음악원을 설립했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1840–93)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출신으로, 발레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호두까기 인형'' 등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러시아 밖에서 가장 잘 알려진 러시아 작곡가이다. 그의 스타일에서 가장 유명한 후계자는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1873–1943)이며,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공부했다.

2. 6.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첫 해는 당시의 혁명 정신에서 영감을 얻은 아방가르드와 음악 실험의 시기였다.[1] 1920년대 초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음악은 노동자나 근로자를 지향하는 스타일이나 테마를 가졌다.[1] 많은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아마추어 밴드와 합창단이 확산되었다.[1] 1923년에는 소련 음악가 연합(Contemporary Music Association)이 형성되었다.[1]

2. 7. 20세기: 소련 음악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음악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1920년대 초는 시대의 "혁명 정신"에서 영감을 받은 아방가르드 실험의 시대였다. 동시대 음악 협회와 같은 클럽들이 합성 화음을 기반으로 한 음악과 같은 새로운 음악 트렌드를 제안했다.[12] 아르세니 아브라아모프는 그래피컬 사운드를 개척했고, 레온 테레민은 초기 전자 악기 중 하나인 테레민을 발명했다.

그러나 1930년대 이오시프 스탈린 정권 하에서 음악은 내용과 혁신에 있어 특정 경계 내에 갇히도록 강요받았다. 고전주의가 선호되었고 실험은 억제되었다.[13] 예를 들어 쇼스타코비치의 베리스모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프라우다 신문에서 "형식주의"로 비난받았고 곧 수년간 극장에서 상영이 중단되었다.

이 시대의 음악적 거장들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아람 하차투리안, 알렉산드르 바실리예비치 알렉산드로프였다. 알렉산드로프는 소련 찬가와 "신성한 전쟁"을 작곡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알프레트 슈니트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와 같은 젊은 소련 작곡가들이 엄격한 소련 교육 시스템 덕분에 전면에 나섰다.[12] 소련 작곡가 연합은 1932년에 설립되었고 소련 음악의 주요 규제 기관이 되었다.

재즈는 1920년대 발렌틴 파르나크에 의해 소련 청중에게 소개되었다. 가수 레오니트 우툐소프와 영화 음악 작곡가 이사크 두나예프스키는 재즈의 인기를 도왔으며, 특히 재즈 사운드트랙을 특징으로 하는 인기 코미디 영화 ''즐거운 사람들''을 통해 더욱 인기를 얻었다. 에디 로즈너, 올레그 룬스트렘 등은 소련 재즈 음악에 기여했다.

영화 사운드트랙은 당시 소련/러시아 대중 음악, 오케스트라 음악, 실험 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1930년대에는 프로코피예프가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서사 영화를 위한 음악을 작곡했고, 이사크 두나예프스키는 고전 음악에서 인기 재즈까지 다양한 사운드트랙을 제작했다. 소련 말기의 주목할 만한 영화 작곡가로는 블라디미르 다슈케비치, 티혼 크레니코프, 알렉산드르 자체핀, 겐나디 글라드코프 등이 있었다.

소련 전자 음악의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전자 악기 오케스트라의 창시자 뱌체슬라프 메셰린, 앰비언트 음악 작곡가 에두아르트 아르테미예프가 있으며, 그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솔라리스'', ''거울'', ''스토커''의 음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는 현대 러시아 팝과 록 음악의 시작을 알렸다. 이는 VIAs (보컬-기악 앙상블)의 물결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작곡가 연합 회원들이 작곡하고 검열의 승인을 받은 라디오 친화적인 팝, 록, 민속 음악을 연주하는 특정 종류의 음악 밴드였다. 이 물결은 포유쉬치예 기타리, 페스냐리로 시작되었고, 인기 있는 VIA 밴드에는 츠베티, 젬랴네, 베라시도 포함되었다. 이 시대의 음악은 또한 이오시프 콥존, 소피아 로타루, 알라 푸가초바, 발레리 레온티예프, 유리 안토노프와 같은 개별 팝스타를 배출했다. 1977년에는 러시아 최초의 음악 차트인 모스코프스키 콤소몰레츠 히트 퍼레이드가 설립되었다.

소련의 음악 출판 및 홍보는 국가 독점이었다. 재능으로 돈과 명성을 얻기 위해 소련 음악가들은 국영 레이블 멜로디야에 소속되어야 했다. 이는 실험의 특정 경계, 즉 검열관이 선호하는 가족 친화적 공연과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가사를 수용하는 것을 의미했다. 한편, 새로운 사운드 녹음 기술의 등장으로 일반 팬들이 테이프 레코더를 통해 음악을 녹음하고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는 국가 소유의 미디어에서 무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바드 및 록 음악과 같은 지하 음악 하위 문화를 번성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14]

"바드" 또는 "작가의 노래" (''авторская песня'')는 1960년대 초에 등장한 싱어송라이터 운동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처음에는 국영 미디어에서 무시되었지만,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불라트 오쿠자바, 알렉산드르 갈리치와 같은 바드들은 큰 인기를 얻어 결국 국영 멜로디야 음반 회사에서 배포하게 되었다. 바드 음악의 가장 큰 축제는 1968년부터 매년 열리는 그루신스키 축제이다.

록 음악은 1960년대 후반 비틀마니아와 함께 소련에 들어왔고, 마쉬나 브레메니, 아쿠아리움, 오토그래프와 같은 많은 록 밴드가 1970년대 후반에 등장했다. VIA와 달리 이 밴드들은 음악을 출판할 수 없었고 지하에 머물렀다. 러시아 록의 "황금기"는 1980년대로 널리 여겨진다. 검열이 완화되었고 레닌그라드와 모스크바에 록 클럽이 문을 열었으며, 곧 록이 주류가 되었다.[15] 당시 인기 밴드로는 키노, 알리사, 아리아, DDT, 노틸러스 폼필리우스, 그라즈단스카야 오보로나가 있다. 뉴 웨이브와 포스트 펑크는 80년대 러시아 록의 트렌드였다.[14]

2. 8. 21세기: 현대 러시아 음악



러시아 팝 음악은 잘 발달되었으며, MTV 러시아, Muz TV와 다양한 라디오 방송국과 같은 팝 음악 매체를 통해 주류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철의 장벽이 무너진 직후 크리스티안 레이와 같은 아티스트들은 보리스 옐친 초대 대통령을 지지하며 적극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팝 아티스트들이 성공을 거두었다. 러시아 듀엣 t.A.T.u.는 당대 가장 성공적인 러시아 팝 밴드이다. 그들은 여러 싱글과 앨범으로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른 인기 아티스트로는 유로비전 2008 우승자 디마 빌란, 발레리 멜라제, 그리고리 렙스, VIA Gra, 뉴샤, 빈티지, 필리프 키르코로프, 비타스 및 알소우 등이 있다. 이고르 크루토이, 막심 파데예프, 이반 샤포발로프,[23] 이고르 마트비옌코, 콘스탄틴 멜라제와 같은 음악 프로듀서들은 러시아 팝 음악 시장의 주요 점유율을 차지하며, 어떤 면에서는 소련식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에, 네오클러버와 같은 일부 독립적인 행위자들은 팬들에게 도달하기 위해 구식의 소련 방식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시대의 홍보 도구를 사용한다.[24] [25] 러시아 걸그룹 트리오 세레브로는 유럽 시장 밖의 차트를 장악한 가장 인기 있는 러시아 그룹 중 하나이다. 이 그룹의 가장 유명한 싱글 "Mama Lover"는 미국 ''빌보드'' 차트에 진입하여 t.A.T.u.의 싱글 "All About Us" 이후 차트에 오른 최초의 러시아 그룹이 되었다.[26]

할리우드 월드와 같은 러시아 제작사는[27] 서구 음악 스타들과 협력하여 음악을 위한 새롭고 더욱 세계화된 공간을 만들었다.

러시아의 록 음악은 서구와 유사하게 여러 하위 장르로 점차 진화했다. 팝 록얼터너티브 록(무미 트롤, 쳄피라, 스플린, Bi-2, 즈베리)이 있다. 펑크 록, 스카 및 그런지(코롤 이 슈트, 파일럿, 레닌그라드, 디스템퍼, 엘리시움)도 있다. 헤비 메탈 장면은 파워 및 프로그레시브 메탈을 연주하는 새로운 밴드(카타르시스, 에피데미아, 섀도 호스트, 메카니컬 포엣)와 이교도 메탈(아르코나, 버터플라이 템플, 템노조르)로 실질적으로 성장했다.[28]

현대 러시아에서 록 음악 매체는 널리 퍼졌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나셰 라디오로, 클래식 록과 팝 펑크를 홍보한다. 이 라디오의 ''차르토바 듀지나''(Чартова дюжина)는 러시아의 주요 록 차트이며,[29] 나셰스트비에 록 페스티벌은 매년 약 10만 명의 팬을 끌어모으며 언론에 의해 "러시아 우드스톡"으로 불렸다.[30] 다른 라디오 방송국으로는 얼터너티브 음악과 하드코어를 전문으로 하는 A-One TV 채널이 있다. 이 채널은 아마토리, 트랙터 볼링, 슬롯과 같은 밴드를 홍보했으며, 이들에게 러시아 얼터너티브 음악상을 수여했다. 라디오 맥시멈은 러시아와 서구의 현대 팝과 록을 모두 방송한다.

다른 유형의 음악으로는 포크 록(멜니차), 트립 합(린다) 및 레게(Jah Division)가 있다. 힙합/랩은 배드 밸런스, 카스타, 리갈라이즈, Mnogotochie, KREC 등에 의해 대표된다. 실험적인 랩코어 장면은 돌핀과 키르피치가 주도하고 있으며, 모스크바 데스 브리게이드는 인종차별, 성차별 및 동성애 혐오에 대한 입장을 잘 알고 있는 관련 테크노//펑크 록 밴드이다. 시베리안 미트 그라인더와 같은 다른 밴드들은 실험적인 스타일의 음악을 공유한다.

러시아만의 독특한 음악이 등장했는데, 이는 범죄 노래, 음유 시인 및 로맨스 음악을 혼합한 것이다. 이것은 "러시아 샹송"이라고 불린다(주요 홍보자인 라디오 샹송이 대중화한 신조어). 주요 아티스트로는 미하일 크루그, 미하일 슈푸틴스키, 알렉산더 로젠바움 등이 있다. 일상 생활과 사회에 대한 가사, 그리고 범죄 세계에 대한 잦은 낭만화로 샹송은 특히 하류 사회 계층의 성인 남성들에게 인기가 있다.[31][32]

현대 러시아의 전자 음악은 다른 장르에 비해 발달이 미흡하다. 이는 주로 홍보 부족 때문이다.[33] IDM, 다운템포, 하우스, 트랜스 및 다크 사이트랜스 (트래커 음악 장면 포함)를 연주하고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작품을 방송하는 일부 독립 언더그라운드 그룹이 있다. 여기에는 파라센스, 펑거스 펑크, 킨자자, 레스니코프-16, 욜로치니예 이그루쉬키, 메세르 퓌르 프라우 뮐러 및 제드 (러시아-독일 아티스트)가 포함된다. 주류 미디어에서 성공을 거둔 몇 안 되는 아티스트 중에는 PPK[34]와 DJ 그루브가 있으며,[35] 이들은 소련 영화 사운드트랙을 댄스 리믹스에 활용한다. 2000년대에는 고스 서브컬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크웨이브인더스트리얼 음악 장면이 널리 퍼졌으며, Dvar, 오토 딕스, Stillife, 테오도르 바스타드, 로만 레인, 슈멜리 및 바이옵시호즈와 같은 아티스트가 등장했다. 1990년대 후반 러시아에서 시작된 UK 하드 하우스의 분파인 하드베이스는 인터넷을 통해 국제적으로 확산되었으며, 하드 베이스 스쿨 및 XS 프로젝트와 같은 그룹이 상당한 추종자를 얻었다.

고전 또는 콘서트홀 음악의 위상은 한편으로는 러시아에서 상업적인 대중 음악의 부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소련 붕괴 이후 자체 홍보 부족으로 인해 상당히 가려졌다.[36] 그러나 1950년대 이후에 태어난 여러 작곡가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레오니드 데시야트니코프는 수십 년 만에 볼쇼이 극장에서 새로운 오페라(''로젠탈의 아이들'', 2005)를 위촉받은 최초의 작곡가가 되었으며, 그의 음악은 기돈 크레머와 로만 민츠가 옹호했다. 한편, 구바이둘리나는 그녀의 세대에서 몇몇 전 소련 작곡가 중 한 명으로, "In tempus praesens"(2007)를 바이올리니스트 안네-조피 무터를 위해 작곡하는 등 여러 권위 있고 호평을 받은 작품을 작곡하며 러시아 밖에서 높은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2000년대 초는 러시아에서 뮤지컬의 붐을 보였다. ''노트르담 드 파리'', ''노르드-오스트'', ''로미오와 줄리엣'', 그리고 ''위 윌 록 유''가 당시 모스크바 극장에서 끊임없이 공연되었다. 뮤지컬의 인기는 2002년 모스크바 극장 인질 사태로 인해 방해를 받았으며 2000년대 말에야 부활했다.

2010년대에는 러시아 힙합의 인기가 높아졌고, 특히 Oxxxymiron과 그노이니와 같은 아티스트들의 인터넷 랩 배틀이 인기를 끌었다.

3. 주요 특징

러시아 음악은 민족, 지역, 장르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루스인의 전통 악기로는 구슬리, 구독과 같은 현악기가 있으며, 빌리나와 같은 서사 발라드는 종종 악기 반주와 함께 불렸다. 19세기에는 발랄라이카를 사용하는 오케스트라가 등장했고, 20세기 초에는 미트로판 피아트니츠키가 전통적인 사운드를 사용하는 합창단을 창단했다. 차스투시카는 유머러스하거나 풍자적인 러시아 민요의 일종이다.

러시아는 서유럽과의 지리적, 종교적 차이로 인해 고전 음악 발전이 늦었지만, 표트르 대제 시대부터 서양 음악가들이 궁정에 들어오면서 상류층을 중심으로 서양 음악이 확산되었다. 미하일 글린카는 러시아 민족 음악을 세속 음악에 활용한 최초의 위대한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밀리 발라키레프가 이끄는 "강력한 5인조"는 러시아 민족 전통을 고전 음악에 도입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러시아 밖에서 가장 잘 알려진 러시아 작곡가이며,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가 그의 스타일을 계승했다. 20세기에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등 실험적인 작곡가들이 등장했다.

현대 러시아에서는 팝 음악이 주류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t.A.T.u.와 같은 그룹은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록 음악은 다양한 하위 장르로 발전했으며, 나셰 라디오와 같은 매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힙합/, 포크 록, 트립 합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도 존재한다. 러시아 샹송은 범죄 노래, 음유 시인, 로맨스 음악을 혼합한 독특한 장르이다.

전자 음악은 다른 장르에 비해 발전이 더디지만, 일부 언더그라운드 그룹들이 활동하고 있다. 고전 음악은 대중 음악에 비해 위상이 가려졌지만, 레오니드 데시야트니코프와 같은 작곡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2000년대 초에는 뮤지컬이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10년대에는 러시아 힙합이 인터넷 랩 배틀을 통해 인기를 얻고 있다.

3. 1. 러시아 민족 음악

루스인의 음악 문화를 묘사하는 기록된 문서가 존재한다. 중세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악기는 구슬리나 구독과 같은 현악기로 여겨졌다. 고고학자들은 11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악기들의 예를 노브고로드 지역에서 발굴했다.[1]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음악에 깊은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장 인기 있는 민속 영웅이자 여러 서사시의 주인공은 구슬리 연주자인 사드코였다). 다른 흔한 악기에는 플루트(스비렐)와 트레쉬초트카, 부벤과 같은 타악기가 있다. 그러나 가장 인기 있는 음악 형태는 노래였다. 사드코, 일리야 무로메츠 등 민속 영웅에 대한 빌리나 (서사 발라드)는 종종 악기 반주와 함께 불렸다.

고고학적 증거와 직접적인 증거는 고대 러시아에서 다양한 악기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진정한 민속 악기에는 리벤카(아코디언)와 잘레이카, 스비렐, 쿠글리와 같은 목관 악기, 그리고 부벤, 부벤치, 콕시니크, Коробочка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korobochka|코로보치카ru , 로슈키, 루벨, 트레시요트카, 베르투시카, 즈본찰카 등의 수많은 타악기가 있다.

차스투시카는 오랜 역사를 가진 러시아 민요의 일종이다. 그것들은 전형적으로 유머러스하거나 풍자적이다.

19세기 동안, 우바로프 백작은 전통 악기를 사용하는 최초의 전문 오케스트라를 시작하는 국가 부흥 운동을 이끌었는데, 바실리 안드레예프가 19세기 후반 오케스트라에서 발랄라이카를 사용한 것이 시작이었다. 20세기 초, 미트로판 피아트니츠키는 피아트니츠키 합창단을 창단하여 시골 농민 가수와 전통적인 사운드를 사용했다.

3. 2. 러시아 고전 음악

러시아는 서유럽과의 지리적 거리와 정교회의 세속 음악 금지로 인해 고전 음악의 고유한 전통을 발전시키는 데 늦었다.[6] 이반 4세 치세부터 황실은 서양 작곡가와 음악가들을 초청했으며, 표트르 대제 시대에는 이들이 궁정에 정기적으로 등장했다.[7] 표트르 대제는 유럽 음악을 문명의 상징이자 서구화의 방법으로 보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은 상류층에게 음악이 확산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8] 엘리자베타 여제와 예카테리나 2세 치세 동안 궁정에서 이탈리아 오페라 열풍이 일어나 귀족들 사이에서 서양 음악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었다.[9] 이 열풍은 러시아 작곡가들의 존재를 잊게 할 정도였다.[10]

유럽 음악에 대한 관심은 러시아 작곡가들이 서양 스타일로 작곡해야 함을 의미했다. 일부 작곡가들은 훈련을 위해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나 이탈리아 고전 전통의 성악 및 기악 작품을 작곡하는 법을 배웠다.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작곡가 드미트리 보르트니안스키, 막심 베레조프스키, 아르템 베델이 포함된다.[11]

미하일 글린카 (1804–1857)는 세속 음악 영역에서 러시아 음악 전통을 활용한 최초의 위대한 러시아 작곡가였다. 그는 초기 러시아어 오페라 ''이반 수사닌''과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작곡했다. 이 작품들은 독특한 러시아 곡조와 주제에 의존하고 통속어에 기반을 두어 명성을 얻었다.

러시아 민속 음악은 젊은 세대 작곡가들의 주요 원천이 되었다. 밀리 발라키레프가 이끄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 알렉산드르 보로딘, 체자르 큐이를 포함한 "강력한 5인조"는 고전 음악에서 러시아 민족 전통을 작곡하고 대중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들의 주요 작품으로는 오페라 ''눈 아가씨'', ''사드코'', ''보리스 고두노프'', ''이고르 공'', ''호반시치나'' 및 교향 모음곡 ''세헤라자데''가 있다. 글린카와 강력한 5인조의 많은 작품은 러시아 역사, 민담 및 문학을 기반으로 하며 낭만적 민족주의의 걸작으로 간주된다.

1859년에는 안톤 루빈스타인과 니콜라이 루빈스타인 형제가 이끄는 러시아 음악 협회 (RMS)가 설립되었다. 강력한 5인조는 러시아 민족 정체성을 포용하고 RMS는 음악적으로 더 보수적이라는 점에서 종종 라이벌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RMS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에 러시아 최초의 음악원을 설립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1840–93)를 배출했는데, 그는 발레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호두까기 인형''으로 유명하다. 그는 러시아 밖에서 가장 잘 알려진 러시아 작곡가이다. 그의 스타일에서 가장 유명한 후계자는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1873–1943)이며,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공부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와 같은 러시아 고전의 세 번째 물결이 있었다. 그들은 스타일과 음악 언어에서 실험적이었다. 스트라빈스키는 특히 큰 영향을 미쳤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영구적으로 이주했다. 프로코피예프도 1918년에 러시아를 떠났지만, 결국 돌아와 소련 음악에 기여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는 로망스 노래가 매우 인기를 얻었다. 표도르 샬랴핀과 같은 "로망스" 가수들은 대개 오페라에서도 노래했으며, 알렉산더 베르틴스키, 콘스탄틴 소콜스키, 표트르 레셴코와 마찬가지로 음악을 작곡하고 가사를 썼다.

3. 3. 현대 러시아 음악

러시아 팝 음악은 잘 발달되어 있으며, MTV 러시아, Muz TV와 같은 팝 음악 매체를 통해 주류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철의 장벽이 무너진 직후, 크리스티안 레이와 같은 아티스트들은 보리스 옐친 초대 대통령을 지지하며 적극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t.A.T.u.는 여러 싱글과 앨범으로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며 당대 가장 성공적인 러시아 팝 밴드로 꼽힌다. 이 외에도 유로비전 2008 우승자 디마 빌란, 발레리 멜라제, 그리고리 렙스, VIA Gra, 뉴샤, 빈티지, 필리프 키르코로프, 비타스, 알소우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고르 크루토이, 막심 파데예프, 이반 샤포발로프,[23] 이고르 마트비옌코, 콘스탄틴 멜라제와 같은 음악 프로듀서들은 러시아 팝 음악 시장의 주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어떤 면에서는 소련식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에, 네오클러버와 같은 일부 독립적인 행위자들은 새로운 시대의 홍보 도구를 사용하여 팬들에게 다가가고 있다.[24] [25] 러시아 걸그룹 트리오 세레브로는 유럽 시장 밖의 차트를 장악한 가장 인기 있는 러시아 그룹 중 하나이며, 이 그룹의 싱글 "Mama Lover"는 미국 ''빌보드'' 차트에 진입하기도 했다.[26]

록 음악은 서구와 유사하게 여러 하위 장르로 진화했다. 팝 록얼터너티브 록(무미 트롤, 쳄피라, 스플린, Bi-2, 즈베리)과 펑크 록, 스카 및 그런지(코롤 이 슈트, 파일럿, 레닌그라드, 디스템퍼, 엘리시움)도 있다. 헤비 메탈은 파워 및 프로그레시브 메탈(카타르시스, 에피데미아, 섀도 호스트, 메카니컬 포엣)과 이교도 메탈(아르코나, 버터플라이 템플, 템노조르)을 연주하는 새로운 밴드들과 함께 성장했다.[28]

록 음악 매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나셰 라디오로, 클래식 록과 팝 펑크를 홍보한다. 이 라디오의 ''차르토바 듀지나''(Чартова дюжина)는 러시아의 주요 록 차트이며,[29] 나셰스트비에 록 페스티벌은 매년 약 10만 명의 팬을 끌어모으며 언론에 의해 "러시아 우드스톡"으로 불렸다.[30] A-One TV 채널은 얼터너티브 음악과 하드코어를 전문으로 하며, 아마토리, 트랙터 볼링, 슬롯과 같은 밴드를 홍보하고 러시아 얼터너티브 음악상을 수여했다. 라디오 맥시멈은 러시아와 서구의 현대 팝과 록을 모두 방송한다.

다른 유형의 음악으로는 포크 록(멜니차), 트립 합(린다), 레게(Jah Division)가 있으며, 힙합/랩은 배드 밸런스, 카스타, 리갈라이즈, Mnogotochie, KREC 등에 의해 대표된다. 랩코어는 돌핀과 키르피치가 주도하고 있으며, 모스크바 데스 브리게이드는 인종차별, 성차별 및 동성애 혐오에 대한 반대 입장을 가진 테크노//펑크 록 밴드이다.

러시아 샹송은 범죄 노래, 음유 시인, 로맨스 음악을 혼합한 러시아만의 독특한 음악 장르이다. 미하일 크루그, 미하일 슈푸틴스키, 알렉산더 로젠바움 등이 주요 아티스트이며, 일상 생활과 사회에 대한 가사, 그리고 범죄 세계에 대한 잦은 낭만화로 인해 특히 하류 사회 계층의 성인 남성들에게 인기가 있다.[31][32]

전자 음악은 다른 장르에 비해 발달이 미흡하며, 이는 주로 홍보 부족 때문이다.[33] IDM, 다운템포, 하우스, 트랜스, 다크 사이트랜스 (트래커 음악 포함)를 연주하는 일부 독립 언더그라운드 그룹(파라센스, 펑거스 펑크 등)이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작품을 방송한다. 주류 미디어에서 성공을 거둔 아티스트로는 PPK[34]와 DJ 그루브[35]가 있으며, 이들은 소련 영화 사운드트랙을 댄스 리믹스에 활용한다. 2000년대에는 다크웨이브인더스트리얼 음악 장면이 널리 퍼졌으며, Dvar, 오토 딕스 등의 아티스트가 등장했다. 1990년대 후반 러시아에서 시작된 UK 하드 하우스의 분파인 하드베이스는 인터넷을 통해 국제적으로 확산되었다.

고전 또는 콘서트홀 음악의 위상은 상업적인 대중 음악의 부상과 소련 붕괴 이후 자체 홍보 부족으로 인해 가려졌다.[36] 그러나 1950년대 이후 태어난 레오니드 데시야트니코프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0년대 초는 러시아에서 뮤지컬의 붐을 보였으며, ''노트르담 드 파리''등의 작품들이 인기를 얻었다. 뮤지컬의 인기는 2002년 모스크바 극장 인질 사태로 인해 방해를 받았지만, 2000년대 말에 다시 부활했다.

2010년대에는 러시아 힙합의 인기가 높아졌고, 특히 Oxxxymiron과 그노이니와 같은 아티스트들의 인터넷 랩 배틀이 인기를 끌었다.

4. 각 민족의 전통 음악

러시아는 100개가 넘는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다. 각 민족은 고유한 전통 음악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민족 기원 음악 또는 민속 음악이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다.


  • 아디게야: 아디게야에는 민속 악기를 사용하는 오케스트라를 포함하여 여러 음악 기관이 있다. 국가는 이스하크 슈마포비치 마슈바슈가 작사하고, 우마르 카치초비치 트하비시모프가 작곡했다.
  • 알타이: 알타이는 전통적인 서사시와 여러 민속 악기로 유명한 중앙아시아 지역이다.
  • 바슈코르토스탄: 1897년 민족지학자 리바코프 S.G.(Rybakov S.G.)가 ''우랄 무슬림의 음악과 노래, 그리고 그들의 삶의 방식에 대한 연구''(Music and Songs of the Ural's Muslims and Studies of Their Way of Life)를 저술하면서 바슈키르 음악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쿠라이는 바슈키르 앙상블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이다.
  • 부랴트족: 부랴트족은 모린 후르라는 두 줄의 말머리 바이올린을 사용하는 독특한 민속 음악으로 유명하다.
  • 체첸: 1990년대 체첸 반란과 함께 음악은 체첸 민족 정체성을 알리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체첸 국가(國歌)는 기원이 불분명한 고대 노래인 "죽음 아니면 자유"이다. 2024년 4월, 체첸의 음악 템포를 분당 80~116비트(BPM) 사이로 제한하는 보도가 있었다.[37] [38]
  • 다게스탄: 고트프리드 하사노프는 다게스탄 출신의 최초의 전문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45년에 최초의 다게스탄 오페라, 《호치바르》를 작곡했다.
  • 카렐리야: 카렐리야인들은 핀란드인이며, 그들의 음악은 핀란드 음악과 매우 유사하다. ''칼레발라''는 핀란드 전설을 읊은 전통 음악으로, 핀란드 민족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 오세트인: 오세트인은 코카서스 지역의 민족이며, 오세트 음악과 춤[40]은 체첸 음악 및 다게스탄 음악과 유사한 주제를 가지고 있다.
  • 사하: 야쿠트족은 올론호 노래와 구강 하프의 일종인 호무스로 알려져 있다.
  • 타타르: 타타르 민속 음악은 리듬의 특성과 5음 음계를 가지며, 소녀들의 노래는 섬세함과 우아함으로 유명하다. 악기에는 쿠비즈(바이올린), 쿠라이(플루트) 및 탈리안카(아코디언)가 있다.
  • 투바 후미(throat singing): 투바 후미(throat singing), 또는 후미(xoomii)는 독창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후운후르투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그룹이며, 후미의 대가로는 콩가르올 온다르가 있다.
  •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인은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소수 민족을 구성한다. 반두라는 우크라이나 민속 전통에서 가장 중요하고 독특한 악기이다.

5. 현대 음악의 장르

러시아 팝 음악은 MTV 러시아, Muz TV 등 팝 음악 매체를 통해 주류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특히 러시아 듀엣 t.A.T.u.는 여러 싱글과 앨범으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유로비전 2008 우승자 디마 빌란, 발레리 멜라제, 그리고리 렙스, VIA Gra, 뉴샤, 빈티지, 필리프 키르코로프, 비타스, 알소우 등도 인기 있는 아티스트이다. 이고르 크루토이, 막심 파데예프 등 음악 프로듀서들이 러시아 팝 음악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록 음악은 여러 하위 장르로 발전했다. 팝 록얼터너티브 록 (무미 트롤, 쳄피라, 스플린 등), 펑크 록, 스카, 그런지 (코롤 이 슈트, 파일럿, 레닌그라드 등), 헤비 메탈 (아리아, 카타르시스, 에피데미아 등)이 있다. 나셰 라디오의 ''차르토바 듀지나''는 러시아의 주요 록 차트이며,[29] 나셰스트비에 록 페스티벌은 매년 약 10만 명의 팬을 끌어모은다.[30]

힙합/랩은 배드 밸런스, 카스타, 리갈라이즈 등이 대표한다. 돌핀과 키르피치는 실험적인 랩코어 장면을 주도하고 있다.

러시아 샹송은 범죄 노래, 음유 시인, 로맨스 음악을 혼합한 러시아만의 독특한 음악이다. 미하일 크루그, 미하일 슈푸틴스키, 알렉산더 로젠바움 등이 주요 아티스트이며, 특히 하류 사회 계층의 성인 남성들에게 인기가 있다.[31][32]

현대 러시아의 전자 음악은 IDM, 다운템포, 하우스, 트랜스 등 다양한 장르가 있지만, 홍보 부족으로 인해 다른 장르에 비해 발달이 미흡하다.[33] PPK[34]와 DJ 그루브[35]는 소련 영화 사운드트랙을 댄스 리믹스에 활용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2000년대에는 다크웨이브인더스트리얼 음악 장면이 널리 퍼졌다.

하드베이스는 1990년대 후반 러시아에서 시작된 전자 음악의 하위 장르로, 빠른 템포와 독특한 베이스 라인이 특징이다. 하드베이스는 고프닉 하위 문화의 중심적인 스테레오 타입이 되었으며, 여러 유럽 국가에서 "하드베이스 씬"이라는 현상이 나타났다. 2010년대에는 Oxxxymiron과 그노이니와 같은 아티스트들의 인터넷 랩 배틀이 인기를 끌면서 러시아 힙합의 인기가 높아졌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oros.novgoro[...]
[2] 서적 Eighteenth-century Russian music Ashgate Publishing, Ltd. 2006
[3] 웹사이트 Russian Music before Glinka http://www.biu.ac.il[...]
[4]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ты. Часть 6. Балалайка http://www.philharmo[...] Томская областн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филармония 2019-06-06
[5] 웹사이트 Почему Алексей Михайлович приказал сжечь все балалайки https://cyrillitsa.r[...] Cyrillitsa.ru 2018-12-07
[6] 문서 Holden, xxi; Maes, 14
[7] 문서 Frolova-Walker, New Grove (2001), 21:925
[8] 문서 Maes, 14
[9] 문서 Bergamini, 175; Kovnatskaya, New Grove (2001), 22:116; Maes, 14
[10] 문서 Campbell, New Grove (2001), 10:3, Maes, 30
[11] 문서 Maes, 16
[12] 서적 Music for the Revolution: Musicians and Power in Early Soviet Russia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4
[13] 서적 Soviet Music and Society under Lenin and Stalin: The Baton and Sickle Routledge 2009
[14] 웹사이트 History of Rock Music in Russia :: Music :: Culture & Arts :: Russia-InfoCentre http://www.russia-ic[...]
[15] 서적 A History Of Russia: Since 1855, Volume 2 Anthem Press 2004
[16] 간행물 David Oistrakh 1974-12
[17] 뉴스 Perfect isn't good enoug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0-11-22
[18] 간행물 An Unforgettable Life in Music: Mstislav Rostropovich (1927–2007) Oxford University Press
[19] 간행물 Vladimir Horowitz at Eighty-Five 1989-10
[20] 간행물 Review of Sviatoslav Richter, Pianist Music Library Association 2011-09
[21] 간행물 Emil Gilels 1985-12
[22] 간행물 Review of Galina: A Russian Story Music Library Association 1985-09
[23] 간행물 Album Reviews T.A.T.U.: 200 KM/H In The Wrong Lane https://www.rollings[...] 2002-10-03
[24] 간행물 Uncharted Territory: Pomplamoose Enters Top 10, Friendly Fires Debut http://www.billboard[...]
[25] 간행물 Billboard – Music Charts, Music News, Artist Photo Gallery & Free Video http://www.billboard[...]
[26] 웹사이트 Serebro http://www.billboard[...]
[27] 웹사이트 "[.m] masterhost –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й хостинг сайта(none)" http://www.hollywood[...] 2018-08-30
[28] 웹사이트 Diverse Genres of Modern Music in Russia https://web.archive.[...] 2012-07-07
[29] 뉴스 The Moscow News – Chartova Dyuzhina http://www.mnweekly.[...]
[30] 웹사이트 A Russian Woodstock: Rock and Roll and Revolution?; Not for This Generation https://www.questia.[...]
[31] 웹사이트 Modern Russian History in the Mirror of Criminal Song https://web.archive.[...] 2008-06-12
[32] 뉴스 Notes From a Russian Musical Undergroun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6-07-16
[33] 웹사이트 44100hz ~ electronic music in Russia – Статья – Российская электронная музыка – общая ситуация. http://www.44100.com[...]
[34] 웹사이트 Russmus: ППК/PPK http://russmus.net/b[...]
[35] 웹사이트 DJ Groove http://www.moscow.uc[...]
[36] 서적 Where is Russia's New Musi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37] 뉴스 Chechnya is banning music that's too fast or slow. These songs wouldn't make the cut https://www.npr.org/[...] NPR 2024-04-09
[38] 뉴스 Chechnya bans dance music that is either too fast or too slo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4-21
[39] 웹사이트 Kadyrov says restrictions to music tempo were ‘just recommendations’ https://oc-media.org[...] 2024-10-06
[40] Youtube Ossetian music and dance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