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뱅 가톨릭 대학교 (1835–1968)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뱅 가톨릭 대학교 (1835–1968)는 1834년 벨기에 주교들이 메헬렌에 설립한 벨기에 가톨릭 대학교에서 시작되었다. 1835년 루뱅으로 이전하여 루뱅 가톨릭 대학교로 불리며, 이전 루뱅 구 대학교의 역사를 계승하려 했다. 1962년 언어 사용에 대한 헌법 개혁에 따라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 부서가 자율성을 얻었고, 1968년 네덜란드어 부서는 루뱅에 독립적인 루뱅 가톨릭 대학교로, 프랑스어 부서는 루뱅라뇌브로 이전하여 현재의 루뱅 가톨릭 대학교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대학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으며 도서관이 소실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지만, 재건을 통해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지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대학교 - 헨트 대학교
    헨트 대학교는 1817년 벨기에 겐트에 설립된 국립 대학교로, 1930년 네덜란드어 대학교가 되었으며, 2014년 대한민국 송도에 글로벌 캠퍼스를 설립하고,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 벨기에의 대학교 - 뢰번 가톨릭 대학교
    뢰번 가톨릭 대학교는 1425년에 설립되어 인문학, 법학, 교회법학, 약학의 네 개 학과로 시작한 벨기에 뢰번 시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유럽의 대표적인 학술 기관으로 성장했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언어 갈등을 겪었으나 현재는 여러 캠퍼스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고 있다.
  • 1834년 개교 - 툴레인 대학교
    툴레인 대학교는 1834년 루이지애나 의과대학으로 시작하여 1884년 사립 대학으로 재편된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소재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 봉사 학습을 강조한다.
  • 1834년 개교 - 뉴캐슬 대학교 (잉글랜드)
    1834년 설립되어 1963년 독립된 잉글랜드 뉴캐슬어폰타인 소재의 연구 중심 공립 대학인 뉴캐슬 대학교는 러셀 그룹 회원으로 세계적인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해외 캠퍼스를 운영한다.
루뱅 가톨릭 대학교 (1835–1968) - [대학]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 (프랑스어)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이름 (네덜란드어)Katholieke Hogeschool te Leuven
다른 이름루뱅 가톨릭 대학교
라틴어 이름Universitas Lovaniensis
기본 정보
설립일1834년
폐교일1968년
설립자벨기에 주교들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종교적 제휴로마 가톨릭교회
총장 (최초)엥겔베르트 스테르크스
총장 (최후)레옹-조제프 수에넨스
총장 (최초)피에르 드 람 (1834-1865)
총장 (최후)알베르 데샹 (1962-1968)
위치 (1834-1835)메헬렌
위치 (1835-)뢰번
국가벨기에
캠퍼스 종류도시
사용 언어 (1834-1969)프랑스어
사용 언어 (1930-1969)네덜란드어
사용 언어 (신학부)라틴어
루뱅 가톨릭 대학교 인장
1909년에 만들어진 뢰번의 지혜의 자리 동상을 묘사한 대학교 인장

2. 역사

1834년 벨기에 주교들은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인가를 받아[3] 메헬렌에 벨기에 가톨릭 대학교(Universitas catholica Belgiila)를 설립했다. 초대 총장은 피에르 드 람이었다.[5] 1835년, 대학교는 루뱅으로 이전하면서 "루뱅 가톨릭 대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는 자유주의자들의 반발을 샀는데, 그들은 이를 이전 루뱅 대학교의 역사를 가로채려는 시도로 보았다.[6]

아렌베르크 성, 대학교의 일부


1425년 설립된 루뱅 대학교는 프랑스 제1 공화국에 의해 1797년 폐지되었다.[8] 이후 네덜란드 연합 왕국 시기인 1816년 루뱅에 국립 대학교가 설립되었으나 1835년 폐쇄되었다.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이 국립 대학교가 폐쇄된 직후 루뱅으로 이전하며 옛 루뱅 대학교를 "재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벨기에 대법원은 루뱅 가톨릭 대학교가 법적으로 다른 기관이라고 판결했다.[9][10]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비공식적으로 이전 기관과의 연속성을 주장했다.[11][12]

1859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개교 25주년을 기념했고,[13] 1884년에는 50주년을, 1909년에는 75주년을 기념하며 "재설치"와 "복원"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메달을 주조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루뱅은 독일군에 의해 약탈당했고, 대학 도서관을 포함한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1962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프랑스어 및 네덜란드어 부서는 자율성을 획득했다.[1] 이후 플랑드르 민족주의자들의 요구와 언어 갈등으로 인해 1968년 대학은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루뱅 가톨릭 대학교(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루뱅 가톨릭 대학교(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로 분리되었다.[1]

2. 1. 메헬렌 설립 (1834년)

피에르 드 람, 새로운 벨기에 가톨릭 대학교의 초대 총장


1834년 12월 13일 교황 칙서에 따른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인가를 받아[3], 벨기에 주교들은 메헬렌에 벨기에 가톨릭 대학교(Universitas catholica Belgiila)를 설립했다. 이 첫 해는 일반적으로 "메헬렌 가톨릭 대학교"라고 불린다. 주교들은 "성 사도좌에서 나온 모든 교리를 수용하고, 이 숭고한 근원에서 나오지 않은 모든 것을 거부"하는 대학을 만들고자 했다.

주교들이 메헬렌에 새로운 대학을 설립한다는 발표에 헨트, 루뱅, 리에주 도시에서 시위와 소란이 일어났다.[4]

초대 총장은 사제이자 역사가인 피에르 드 람이었다.[5]

2. 2. 루뱅 이전 (1835년)

메헬렌에 있던 대학교는 짧은 기간 동안만 존속했다. 1835년 12월 1일 주교들은 대학교를 루뱅으로 이전하고, "루뱅 가톨릭 대학교"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는 벨기에 자유주의 여론을 격분시켰는데, 이들은 이를 이전 루뱅 구 대학교의 역사를 찬탈하려는 시도로 묘사했다.[6] 이는 또한 브뤼셀에 세속 대학교 설립에 대한 요구를 다시금 활성화시켰고, 브뤼셀 자유 대학교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2. 3. 루뱅 대학교 (1425-1797) 와의 관계

루뱅 대학교는 1425년 브라반트 공작 요한 4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교황 칙서를 통해 교황 마르티노 5세의 대학 설립 인가를 받았다.[7] 이후 벨기에 지역에서 수백 년 동안 가장 저명한 대학교로 번성했으며, 유럽에서도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 프랑스 제1 공화국에 공식적으로 통합된 후, 1793년 9월 15일 법령에 따라 프랑스의 모든 단과 대학과 대학교가 폐지되었고, 1797년 10월 25일 디젤 지방의 법령에 의해 루뱅 대학교도 폐지되었다.[8]

이후 이 지역은 네덜란드 연합 왕국 (1815–1830)의 일부가 되었고, 네덜란드 국왕 빌럼 1세는 1816년 루뱅에 세속적인 국립 대학교(Rijksuniversiteitnl)를 설립했다. 이곳에서는 옛 대학교 출신의 여러 교수들이 계속해서 강의를 했다. 1830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남부 지방은 독립하여 벨기에가 되었고, 루뱅 국립 대학교는 1835년에 폐쇄되었다.

루뱅 국립 대학교가 폐쇄되면서, 새롭게 설립된 메헬렌 가톨릭 대학교는 루뱅으로 교사를 옮기고 이름을 변경하며 1425년 설립된 루뱅 대학교를 "재건"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전 기관과의 연속성 주장은 법원에서 이의가 제기되었고, 벨기에 대법원은 루뱅 가톨릭 대학교가 다른 헌장에 따라 만들어진, 법적으로 다른 기관이라는 판결을 1844년, 1855년, 1861년에 걸쳐 내렸다.[9][10]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당시 자유주의자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비공식적으로 루뱅의 이전 기관과의 연속성을 주장했다.[11][12]

2. 4. 통합 기관으로서의 역사 (1835-1968)



1859년 11월 3일 루뱅 가톨릭 대학교 설립 25주년 기념 책자


1859년 11월 3일,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개교 25주년을 기념했다.[13] 같은 해 11월 23일에는 루뱅 음악 아카데미의 대연회장에서 500명 이상의 손님을 위한 연회가 열렸으며, 학생들은 총장과 교직원들에게 이 연회를 제공했다.[14]

1884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개교 50주년을 기념했다.[15]

1909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는 개교 75주년을 기념하여 처음으로 프랑스어 "réinstallation"(재설치)과 네덜란드어 "herstelling"(복원)이라는 단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한 메달을 주조했으며, 이는 새로운 "공식" 역사의 시작을 알렸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루뱅은 독일군에 의해 약탈당했다. 독일군은 도시의 상당 부분을 불태워 대학 도서관을 포함하여 도시의 약 절반을 파괴했다(아래 참조). 전쟁 초기에 연합군은 독일의 파괴를 독일 Kultur|쿨투어de에 대한 반성으로 선전했다.

2. 5. 두 개의 기관으로 분리 (1962-1970)

1962년, 공용어 사용을 규정하는 헌법 개정에 따라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프랑스어 및 네덜란드어 부서는 공동 관리 구조 내에서 자율성을 획득했다.[1] 플랑드르 민족주의자들은 대학 분리를 계속 요구했고, 네덜란드어 사용자는 프랑스어 사용 교수진에게 주어진 특권과 지역 프랑스어 사용 공동체가 네덜란드어 사용 이웃에게 보이는 경멸적인 태도에 대해 불만을 표출했다.[1] 당시 브뤼셀과 루뱅은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사용 지역이었고 현재는 폐지된 브라반트주에 속해 있었다.[1] 그러나 브뤼셀과는 달리, 루뱅은 네덜란드어 사용 특징을 유지했다.[1] 프랑스어 사용 사회 지리학자가 텔레비전 강연에서 루뱅시가 확대된 이중 언어 '그레이터-브뤼셀' 지역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1] 주류 플랑드르 정치인과 학생들은 "루뱅은 플랑드르다 – 왈로니아인 물러가라"라는 슬로건 아래 시위를 시작했다.[1] 학생 시위는 1960년대 중반에 폭력으로 확대되었다.[1] 플랑드르인에 대한 차별의 역사에 의해 촉발된 학생들의 소요는 결국 1968년 2월 벨기에 정부를 붕괴시켰다.[1]

이 분쟁은 1968년 6월, 대학의 네덜란드어 부서를 루뱅에 남는 독립적인 루뱅 가톨릭 대학교(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로 전환함으로써 해결되었다.[1] 루뱅 가톨릭 대학교(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라고 불리는 프랑스어 사용 대학은 브라반트주 프랑스어 사용 지역 남쪽의 미개발지 캠퍼스인 루뱅라뇌브(Louvain-la-Neuve, "새로운 루뱅")로 이전되었다.[1] 분리에 대한 악감정은 오래 지속되었다.[1] 그러나 현재 두 "자매 대학" 간의 연구 협력과 학생 교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3. 도서관



1834년 가톨릭 대학교 도서관은 1317년에 지어진 대학교회관에 자리 잡았다. 1914년 8월 독일군에 의해 도서관이 파괴되었고, 약 230,000권의 책, 950권의 필사본, 800권의 인쇄본이 소실되었다.[1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MGR. 라듀즈플레인에 새로운 도서관이 건설되었으며, 미국 건축가 휘트니 워렌이 네오 플레미시 르네상스 양식으로 설계했다. 건설은 1921년과 1928년 사이에 이루어졌다.[18] 전 세계의 기부금으로 도서관 장서가 재건되었다. 1940년, 두 번째 독일 침공으로 건물이 대부분 불에 타 90만 권의 필사본과 책이 소실되었다. 건물은 전쟁 후 워렌의 디자인에 따라 재건되었다.

도서관 탑에는 1928년에 설치된 48개 종의 길렛 앤 존스턴 카리용이 있었으며, 전쟁에서 사망한 미국 엔지니어들을 기리기 위해 헌정되었다. 1980년대 초 카리용 복원 노력이 시작되어, 벨기에 미국 교육 재단과 대학교의 협력으로 에이즈보우츠에 의해 복원이 이루어졌고 종의 수는 63개로 늘어났다. 새로 복원된 카리용은 1983년 10월에 재헌정되었다.[19]

1968년 분리될 당시 도서관 장서는 약 4백만 권이었다. 대학교가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 기관으로 분리되면서 중앙 도서관 소장품이 분할되었다.

MGR. 라듀즈플레인에 있는 건물은 현재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의 중앙 도서관이다.

3. 1. 1914년 이전

1834년에 설립된 가톨릭 대학교 도서관은 1317년에 지어진 대학교회관에 자리 잡고 있었다. 1914년 8월, 침략한 독일군에 의해 도서관이 파괴되면서 약 230,000권의 책, 950권의 필사본, 800권의 인쇄본이 소실되었다.[16] 이 중에는 이스터 섬의 롱고롱고 문자 E 석판과 가장 오래된 체코어 성경도 포함되어 있었다.[17]

3. 2. 1914년 독일군 방화

1914년 8월, 독일군은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도서관을 방화했다. 이로 인해 약 230,000권의 책, 950권의 필사본, 800권의 인쇄본이 소실되었다.[16] 소실된 자료 중에는 이스터 섬의 롱고롱고 문자 E 석판과 가장 오래된 체코어 성경도 포함되어 있었다.[17]

1914년 독일군에 의해 불타버린 루뱅 가톨릭 대학교 도서관 폐허

3. 3. 재건 (1921-1928)

휘트니 워렌이 설계하여 1921년부터 1928년까지 건설된 도서관 건물로, 현재 KUL의 중앙 도서관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MGR. 라듀즈플레인에 새로운 도서관이 건설되었으며, 미국 건축가 휘트니 워렌이 네오 플레미시 르네상스 양식으로 설계했다. 건설은 1921년과 1928년 사이에 이루어졌다.[18] 그 기념비적인 규모는 독일에 대한 연합국의 승리를 반영하며, 도시에서 가장 큰 대학 건물 중 하나이다. 도서관의 장서는 이 야만적인 행위에 분노한 전 세계의 기부금으로 재건되었다.

3. 4. 1940년 독일군 방화

1940년 루뱅에 대한 두 번째 독일 침공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MGR. 라듀즈플레인에 건설되었던 도서관 건물이 대부분 불에 타 90만 권의 필사본과 책이 소실되었다.[18] 이 건물은 미국 건축가 휘트니 워렌이 네오 플레미시 르네상스 양식으로 설계하여 1921년과 1928년 사이에 건설한 것이었다.[18] 전쟁 후 건물은 워렌의 디자인에 따라 재건되었다.

3. 5. 전후 복구 및 분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MGR. 라듀즈플레인에 새로운 도서관이 건설되었으며, 미국 건축가 휘트니 워렌이 네오 플레미시 르네상스 양식으로 설계했다. 건설은 1921년과 1928년 사이에 이루어졌다.[18] 그 기념비적인 규모는 독일에 대한 연합국의 승리를 반영하며, 도시에서 가장 큰 대학 건물 중 하나이다. 1940년, 루뱅에 대한 두 번째 독일 침공 동안, 건물은 대부분 불에 타 90만 권의 필사본과 책이 소실되었다. 건물은 전쟁 후 워렌의 디자인에 따라 재건되었다.

도서관의 탑에는 1928년에 설치된 48개의 종을 가진 길렛 앤 존스턴 카리용이 있었으며, 모든 전쟁에서 사망한 미국의 엔지니어들을 기리기 위해 헌정되었다. 1980년대 초, 완전히 낡고 방치된 카리용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벨기에 미국 교육 재단과 대학교의 협력을 통해, 카리용 복원을 위한 조직적인 노력이 시작되었다. 복원은 에이즈보우츠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종의 수는 63개로 늘어났다. 새로 복원된 카리용은 1983년 10월에 재헌정되었으며, 로널드 레이건을 포함한 외교관들의 일련의 강연, 콘서트, 성명, 그리고 유럽 카리용 키보드 표준화 협약이 진행되었다.[19]

도서관의 장서는 전쟁 후 다시 복원되었으며, 1968년 분리될 당시 약 4백만 권의 책을 보유하고 있었다. 1968년 대학교가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 기관으로 분리되면서 중앙 도서관의 소장품이 분할되었다. 이것은 대체 서지 기호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예: 한 학부 구성원이 작성했거나 언어적 충성이 분명한 동문이 유증한 작품과 같이 한 섹션에 명확하게 속하는 경우는 예외). 이로 인해 백과사전과 정기간행물 전집이 두 대학교 간에 권별로 분할되었다는 팩토이드가 생겼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시리즈는 단일 서지 기호를 갖는다.

MGR. 라듀즈플레인에 있는 건물은 현재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의 중앙 도서관이다.

4. 저명한 동문

루뱅 가톨릭 대학교(1835-1968)는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분야인물주요 업적
과학 및 의학테오도르 슈반독일 의사 및 생리학자, 세포 이론 개발, 슈반 세포 발견
과학 및 의학샤를루이 조제프 자비에 드 라 발레푸생벨기에 지질학자 및 광물학자[3]
과학 및 의학우엉 웬하오중국 지질학자, 정치가, 현대 중국 지리학의 창시자[16]
과학 및 의학탕 위한중국 종양학자
정치 및 사회루이 데프레벨기에 변호사위클의 시장
정치 및 사회프란스 반 코엘라르트벨기에 정치인[14]
정치 및 사회오귀스트 드 보트벨기에 정치인[19]
정치 및 사회헨드릭 엘리아스플랑드르 민족주의자, 정치인, 협력자
정치 및 사회레옹 드그렐벨기에 정치인, 나치 협력자, 렉시즘 창시자
정치 및 사회장 샤를 스노이 에 드포퍼르벨기에 공무원, 외교관, 정치인
정치 및 사회앙드레 몰리토르벨기에 공무원, 벨기에 보두앵 1세의 개인 비서
정치 및 사회제롬 드 소자인도 예수회 가톨릭 사제, 교육자, 작가, 인도 제헌의회 의원(1946–1950)[20]
정치 및 사회라파엘 앙헬 칼데론 과르디아코스타리카의사, 사회 개혁가, 코스타리카 대통령(1940–1944)[23]
인문 및 예술아르튀르 비에르앤델벨기에 토목 기사[7]
인문 및 예술알빈 반 후나케르벨기에 가톨릭 신학 및 성서 학자[10]
인문 및 예술샤를 테를린덴벨기에 역사가, 교황 궁내관[12]
인문 및 예술에드가르 셍지에벨기에 광업 기술자, 오트 카탕가 광업 연합 이사[13]
인문 및 예술빅토르 델헤벨기에 조각사 및 아티스트
인문 및 예술피터 맥케빗아일랜드 가톨릭 신부, 작가, 사회학자[22]
종교장 밥티스트 얀센벨기에 예수회 가톨릭 사제, 예수회 제27대 총장[15]
종교알베르토 우르타도칠레 예수회 가톨릭 신부, 사회 사업가, 작가, 2005년 성인 추대
종교도미니크 피레벨기에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 1958년 노벨 평화상 수상


4. 1. 과학 및 의학



루뱅 가톨릭 대학교(1835-1968)의 과학 및 의학 분야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테오도르 슈반(1810–1882): 독일의사이자 생리학자. 세포설을 개발하고 슈반 세포를 발견했다.
  • 샤를루이 조제프 자비에 드 라 발레푸생 (1827–1903): 벨기에의 지질학자이자 광물학자.
  • 알베르트 클로드 (1899–1983): 벨기에계 미국인 세포 생물학자이자 의사.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모리스 앤서니 비오 (1905–1985): 벨기에계 미국인 물리학자. 다공성 탄성론 창시자.
  • 크리스티앙 드 뒤브 (1917–2013): 벨기에의 세포학자이자 생화학자. 세포 구조 및 기능적 조직에 대한 발견으로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샤를 메르텐스 드 빌마르 (1921-1994): 벨기에의 정신과 의사,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
  • 호세 J. 프리피아트 (1923–2014): 벨기에의 과학자이자 화학자. 1967년 프랑키 상 수상.
  • H. 나라얀 무르티 (1924–2011): 인도의 심리학자, 철학자이자 학자. 행동 치료로 유명.
  • 헤르만 반 덴 베르허 (1933년 출생): 벨기에의 유전학자. Centrum voor Menselijke Erfelijkheid(벨기에 인간 유전학 센터) 설립자.
  • 피에르 라콩트 (1934년 출생): 벨기에의 도시 계획가.
  • 압둘 카디르 칸 (1936년 출생): 파키스탄의 야금학자. 파키스탄 핵무기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여겨짐.
  • 에릭 드 클레르크 (1941년 출생): 벨기에의 의사이자 생물학자.

4. 2. 정치 및 사회

오귀스트 마리 프랑수아 베르나르는 벨기에 총리이자 1909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다.[4] 오토 폰 합스부르크는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이자 작가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왕위 계승자였다. 헤르만 반 롬푸이는 벨기에의 정치인이자 벨기에 총리였다. 그는 2009년 11월 최초의 유럽 연합 이사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4. 3. 인문 및 예술


  • 안타나스 바라나우스카스 (1835–1902), 리투아니아 시인.[5]
  • 알브레히트 로덴바흐 (1856-1880), 플람스어 시인.[8]
  • 에밀 조제프 딜론 (1854–1933), 아일랜드 언어학자, 작가이자 저널리스트.[7]
  • 프란스 반 코에템 (1919-2002), 플랑드르 언어학자.
  • 안톤 반 빌데로데 (1919-1998), 플랑드르 운동가이자 작가.
  • 아스터 베르코프 (1920년 출생), 플랑드르 작가.
  • 헤르만 반 브레다 (1911–1974), 벨기에 가톨릭 신부이자 철학자, 후설 아카이브의 창립자.
  • 루스 이리가레이 (1930년 출생), 프랑스의 철학자, 언어학자, 정신분석학자, 심리언어학자, 문화 이론가이자 페미니스트. 1954년 졸업.
  • 말라치 마틴 (1921–1999), 아일랜드 가톨릭 신부, 퇴마사, 고문서학자, 작가.

4. 4. 종교

패트릭 프랜시스 힐리는 조지타운 대학교 총장이자 아프리카계 미국인 조상을 둔 최초의 예수회 사제였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계가 인정된 최초의 박사학위 취득자였다.[4] 조르주 르메트르벨기에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가톨릭 신부였으며, 빅뱅 이론을 제안했다.[19] 펄턴 J. 쉰은 미국 대주교이자 텔레비전 전도사, 작가였다.[20]

4. 5. 기타


  • 테오도르 슈반(1810-1882): 독일의사이자 생리학자. 세포설을 개발하고 슈반 세포를 발견했다.
  • 샤를루이 조제프 자비에 드 라 발레푸생(1827-1903): 벨기에의 지질학자이자 광물학자.[3]
  • 오귀스트 마리 프랑수아 베르나르(1829-1912): 벨기에 총리이자 1909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4]
  • 패트릭 프랜시스 힐리(1830-1910): 조지타운 대학교 총장. 아프리카계 미국인 혈통의 최초의 예수회 가톨릭 사제이자, 아프리카계 미국인 혈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미국인이다.[5]
  • 안타나스 바라나우스카스(1835-1902): 리투아니아시인.[6]
  • 아르튀르 비에르앤델(1852-1940): 벨기에의 토목 기사.[7]
  • 에밀 조제프 딜론(1854-1933): 아일랜드의 언어학자, 작가이자 저널리스트.[8]
  • 알브레히트 로덴바흐(1856-1880): 플랑드르의 시인.[9]
  • 알빈 반 후나케르(1857-1933): 벨기에의 가톨릭 신학자이자 성경학자.[10]
  • 샤를 장 드 라 발레푸생(1866-1962): 소수 정리를 증명한 벨기에의 수학자.[11]
  • 샤를 테를린덴(1878-1972): 벨기에의 역사학자이자 교황 궁내관.[12]
  • 에드가르 셍지에(1879-1963): 벨기에의 광산 기사, 오트 카탕가 광업 연합의 이사.[13]
  • 프란스 반 코엘라르트(1880-1961): 벨기에의 정치인.[14]
  • 장-밥티스트 얀센스(1889-1964): 벨기에의 예수회 가톨릭 사제, 예수회의 제27대 총장.[15]
  • 원원호(1889-1971): 중국의 지질학자이자 정치인, 현대 중국 지리학의 창시자.[16]
  • 조르주 르메트르(1894-1966): 벨기에의 천문학자, 수학자이자 가톨릭 사제, 빅뱅 이론 제안자.[17]
  • 펄턴 J. 쉰(1895-1979): 미국대주교, 텔레비전 전도사, 작가.[18]
  • 오귀스트 드 보트(1895-1986): 벨기에의 정치인.[19]
  • 제롬 드 소자(1897-1977): 인도의 예수회 가톨릭 사제, 교육자, 작가이자 인도 제헌 의회(1946-1950) 의원.[20]
  • 알베르트 클로드(1899-1983): 벨기에계 미국인의 세포 생물학자이자 의사,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21]
  • 피터 맥케빗(1900-1976): 아일랜드의 가톨릭 사제, 작가이자 사회학자.[22]
  • 라파엘 앙헬 칼데론 과르디아(1900-1970): 의사이자 사회 개혁가, 코스타리카 대통령(1940-1944).[23]
  • 알베르토 우르타도(1901-1952): 칠레의 예수회 가톨릭 사제, 사회 사업가이자 작가, 2005년 성인으로 추대.
  • 빅토르 델헤(1902-1985): 벨기에의 판화가이자 화가.
  • 헨드릭 엘리아스(1902-1973): 플랑드르 민족주의자이자 정치인, 협력자.
  • 모리스 앤서니 비오(1905-1985): 벨기에계 미국인 물리학자이자 다공성 탄성론의 창시자.
  • 레옹 드그렐(1906-1994): 벨기에의 정치인이자 나치 협력자, 렉시즘 창시자, 협력자.
  • 장 샤를 스노이 에 드포퍼르(1907-1991): 벨기에의 공무원, 외교관이자 정치인, 법학 졸업.
  • 도미니크 피레(1910-1969): 벨기에의 도미니코회 수사, 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난민 구호 활동으로 1958년 노벨 평화상 수상.
  • 헤르만 반 브레다(1911-1974): 벨기에의 가톨릭 사제이자 철학자, 후설 아카이브의 창립자.
  • 앙드레 몰리토르(1911-2005): 벨기에의 공무원이자 벨기에의 보두앵 1세의 비서, 법학 졸업.
  • 오토 폰 합스부르크(1912-2011):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이자 작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왕위 계승자.
  • 첸 시울링(1912-2008): 중국-벨기에의 과학자, 제2차 세계 대전 중 100명 가까운 생명을 구함.
  • 탕 위한(1912-2014): 중국의 종양학자.
  • 피터 데 소머(1917-1985): 벨기에의 의사이자 생물학자,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초대 총장.
  • 크리스티앙 드 뒤브(1917-2013): 벨기에의 세포학자이자 생화학자, 세포의 구조와 기능적 조직에 대한 발견으로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안톤 반 빌데로데(1919-1998): 플랑드르의 활동가이자 작가.
  • 프란스 반 코에템(1919-2002): 플랑드르의 언어학자.
  • 아스터 베르코프(1920년 출생): 플랑드르의 작가.
  • 샤를 메르텐스 드 빌마르(1921-1994): 벨기에의 정신과 의사,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
  • 말라치 마틴(1921-1999): 아일랜드의 가톨릭 사제, 퇴마사, 고문서학자, 작가.
  • 압둘 카디르 칸(1936년 출생): 파키스탄의 야금학자, 파키스탄 핵무기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여겨짐.

참조

[1] 서적 Record of the Celebration of the Quatercentenary of the University of Aberdeen: From 25th to 28th September, 1906 Aberdeen University Press (University of Aberdeen) 1907
[2] 간행물 Encyclopédie théologique, tome 54, Dictionnaire de l'histoire universelle de l'Église Paris : éd. J.P. Migne 1863
[3] 문서 Louvain dans le passé et dans le présent Louvain 1895
[4] 문서 Libéralisme et socialisme au XIXe siècle 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 Institut d'histoire du christianisme 1981
[5] 문서 Mgr de Ram, recteur magnifique de l'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Paris : Ch. Douniol 1865
[6] 문서 Le parti libéral joué par le parti catholique dans la question de l'enseignement supérieur Brussels 1850
[7] 웹사이트 About K.U.Leuven http://www.kuleuven.[...]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2009-09-21
[8] 문서 Leuven University Leuven University Press 1990
[9] 문서 Table générale alphabétique et chronologique de la Pasicrisie Belge contenant la jurisprudence du Royaume de 1814 à 1850 Brussels 1855
[10] 문서 Table générale alphabétique et chronologique de la Pasicrisie Belge contenant la jurisprudence du Royaume de 1814 à 1850 Brussels 1855
[11] 문서 University of Louvain
[12] 문서 Discussion de la loi sur l'enseignement supérieur du 27 septembre 1835, et de la loi sur le jury d'examen du 8 avril 1844 : précédée d'un aperçu historique sur l'organisation universitaire en Belgique https://books.google[...] Bruxelles : Th. Lesigne 1844
[13] 문서 Souvenir du XXVe anniversaire de la fondation de l'Université catholique: Novembre 1859 Louvain, typographie Vanlinthout et Cie 1860
[14] 문서 Souvenir du XXVe anniversaire de la fondation de l'Université catholique: Novembre 1859 1860
[15] 문서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 Liber Memorialis : 1834–1884 Louvain : Peeters 1887
[16] 웹사이트 Universiteitshal https://erfgoed.net/[...] Flemish organization for Immovable Heritage 2020
[17] 웹사이트 Lost Memory – Libraries and Archives Destroyed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www.unesco.or[...]
[18] 서적 De Leuvense universiteitsbibliotheek / druk 2: historische wandelgids https://books.google[...] Leuven University Press 2012-11-20
[19] 논문 Leuven Carillon Dedicated https://sgcimages.s3[...] 1984-04
[20] 뉴스 'I have smelt the breath of Satan and heard the demons' voices...' https://www.irishtim[...] 1999-08-07
[21] 뉴스 Father Michael Hurley dies aged 87 http://www.rte.ie/ne[...] 2011-04-16
[22] 문서 Voices of Zaire: Rhetoric or Reality
[23] 간행물 Encyclopédie théologique, tome 54, Dictionnaire de l'histoire universelle de l'Église Paris : éd. J.P. Migne 18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