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클 맨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맨리는 자메이카의 정치인으로, 초대 총리 노먼 워싱턴 맨리의 아들이자 예술가 에드나 맨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1972년부터 1980년까지, 그리고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자메이카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민주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쿠바 등 제3세계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했지만, 정치 폭력으로 얼룩진 시기를 겪기도 했다. 두 번째 임기에는 경제 자유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1992년 건강상의 이유로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여러 권의 저서를 남겼으며, 1997년 전립선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메이카의 사회주의자 - 맥스 로미오
    맥스 로미오는 자메이카 레게 음악가로, 이모션스 그룹으로 데뷔 후 솔로로 활동하며 "Wet Dream"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인민민족당 지지, 롤링 스톤스 키스 리처즈의 앨범 참여, 뮤지컬 제작, 로열티 미지급 소송 제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레게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자메이카의 총리 - 브루스 골딩
    브루스 골딩은 자메이카의 정치인으로, 자메이카 노동당 대표를 지냈으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자메이카의 제8대 총리를 역임하면서 자메이카를 공화국으로 전환하려는 시도와 경제 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했지만, 크리스토퍼 '두두스' 코크 인도 문제와 관련된 로비 의혹으로 정치적 위기를 겪고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 자메이카의 총리 - 앤드류 홀네스
    앤드류 홀네스는 자메이카의 정치인으로, 2011년부터 자메이카 노동당 당수이자 총리를 역임하고 있으며, 자메이카 역사상 최연소 총리이자 독립 후 태어난 첫 번째 총리이다.
마이클 맨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이클 맨리 (1970년대 경)
이름마이클 노먼 맨리
출생일1924년 12월 10일
출생지세인트앤드루구, 자메이카 식민지
사망일1997년 3월 6일
사망지킹스턴
안장 위치국립 영웅 공원
소속 정당인민국민당
배우자재클린 카멜라드 (1946년 결혼, 1951년 이혼)
Thelma Verity (1955년 결혼, 1960년 이혼)
Barbara Lewars (1966년 결혼, 1968년 사망)
베벌리 앤더슨 (1972년 결혼, 1993년 이혼)
Glynne Ewart (1992년 결혼)
자녀5명 ( 레이첼 포함)
부모노먼 맨리, 에드나 맨리
모교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군 복무
소속캐나다 왕립 공군
복무 기간1943년 - 1945년
계급파일럿 오피서
참전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정치 경력
직책자메이카 총리
재임 기간 (1기)1972년 3월 2일 – 1980년 11월 1일
군주엘리자베스 2세
총독클리퍼드 캠벨 경, 허버트 더푸스 경 (대행), 플로리젤 글래스폴 경
부총리데이비드 쿠어, P. J. 패터슨
이전 수상휴 시어러
다음 수상에드워드 시가
직책자메이카 총리
재임 기간 (2기)1989년 2월 10일 – 1992년 3월 30일
군주엘리자베스 2세
총독플로리젤 글래스폴 경, 에드워드 자카 경 (대행), 하워드 쿠크 경
부총리P. J. 패터슨
이전 수상에드워드 시가
다음 수상P. J. 패터슨
직책야당 대표
재임 기간 (1기)1969년 - 1972년 3월 2일
군주엘리자베스 2세
총리휴 시어러
이전 대표노먼 맨리
다음 대표휴 시어러
직책야당 대표
재임 기간 (2기)1980년 11월 1일 – 1989년 2월 10일
군주엘리자베스 2세
총리에드워드 시가
이전 대표에드워드 시가
다음 대표에드워드 시가
선거구킹스턴 이스트 앤 포트 로열 의원
임기1989년 - 1993년
이전 의원에릭 앤서니 아브라함스
다음 의원마조리 테일러
서훈
훈장국가 훈장, 공로 훈장, 카리브 공동체 훈장, 영국 추밀원

2. 초기 생애 및 정치 입문

마이클 맨리는 자메이카 초대 총리 노먼 워싱턴 맨리와 예술가 에드나 맨리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935년부터 1943년까지 자메이카 칼리지에서 교육받았으며,[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캐나다 왕립 공군에서 복무했다. 전쟁 후 1945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 입학하여[4] 페이비언 사회주의와 해럴드 라스키의 저술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4]

1949년 졸업 후 자메이카로 돌아와 신문 ''퍼블릭 오피니언''에서 편집자 겸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사회 문제에 목소리를 냈다. 동시에 노동조합 운동에 투신하여 전국 노동자 연합(NWU)의 유능한 협상가로 빠르게 자리 잡았고, 1953년 8월에는 노동조합의 전임 임원이 되었다.[5]

부친이 1955년 총리로 선출되었을 때, 맨리는 가문의 후광을 이용한다는 인상을 피하고자 정계 진출을 망설였다. 그러나 1962년 자메이카 의회 상원의원으로 임명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1967년에는 킹스턴 센트럴 선거구에서 자메이카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입법부 활동을 본격화했다.[6][7]

1969년, 부친 노먼 맨리가 정계에서 은퇴하자, 마이클 맨리는 비비안 블레이크와의 경쟁에서 승리하여 인민 민족당(PNP)의 새로운 대표가 되었다.[8] 그는 이후 1972년 총선에서 승리하기 전까지 야당 대표로서 활동했다.[5]

3. 제1차 집권기 (1972-1980)

1972년 자메이카 총선에서 마이클 맨리가 이끄는 인민민족당(PNP)은 당시 총리였던 자메이카 노동당(JLP) 소속 휴 시어러에게 압승을 거두며 집권에 성공했다. PNP는 총 53석 중 37석을 확보했다.[7] 맨리는 사회 경제 재건을 기치로 내걸고 선거에서 승리했으며, 엘리트 가문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노동 조합의 지지와 자메이카의 가난한 흑인 다수와의 유대를 바탕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그는 격식 있고 실용적인 스타일이었던 아버지 노먼 맨리와는 달리, 여러 계층의 사람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친근한 지도자 이미지를 구축했다.

3. 1. 국내 개혁

1972년 선거에서 당시 총리였던 휴 시어러에게 압승하며 집권한 마이클 맨리는 사회 경제 재건을 목표로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다. 엘리트 가문 출신이었음에도 노동 조합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자메이카의 가난한 다수 국민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역동적이고 인기 있는 지도자로 부상했다.[9] 격식 있고 실용적인 스타일로 알려진 아버지 노먼 맨리와 달리, 그는 모든 계층의 사람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렸으며, 의회 출석 시 재킷넥타이 착용 의무를 폐지하여 의회의 문턱을 낮추었다. 또한, 카리바 수트라는 실용적인 복장을 즐겨 입으며 패션에도 영향을 미쳤다.[7]

맨리의 집권 기간 동안 시행된 주요 사회 경제 개혁은 다음과 같으며, 이는 혼합된 결과를 가져왔다.
노동 및 경제

  • 가사 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노동자를 위한 최저 임금 제도를 도입했다.[10]
  • 주인과 하인 법을 폐지하고, 노동 관계 및 산업 분쟁 법을 통해 노동자와 노동 조합의 권리를 강화했다.[13]
  • 여성의 동일 임금을 법제화했다.[13]
  • 산전 휴가 제도를 도입했다.[13]
  • 노동자 참여 프로그램을 도입했다.[18]
  • 부당 해고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하는 조치를 마련했다.[18]
  • 직장 내 노동 조합의 자동 인정을 제도화했다.[16]
  • 기본 식료품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1973년)하고, 포괄적인 임대료 및 가격 통제를 시행했다.[18]

교육 및 복지

  • 1974년,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무상 교육을 실시하여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중등 교육 이수자에 대한 사회적 장벽을 낮추었다.[11][14]
  • 자메이카 문해력 증진 운동(JAMAL)을 설립하여 연간 10만 명을 목표로 하는 성인 문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10][15]
  • 불우한 환경의 아동을 위해 급식, 교통, 교복을 지원했다.[14]
  • 특별 고용 프로그램을 운영했다.[15]
  • 연금 지급액과 빈곤 구호 수준을 인상했다.[16]
  • 국립 주택 신탁을 설립하여 저렴한 주택 공급을 확대했으며, 1974년부터 1980년까지 4만 채 이상의 주택을 건설했다.[13]
  • 주간 보육 센터를 확충하고 병원 시설을 개선했다.[17]
  • 모든 국민을 위한 무상 의료 서비스를 도입하고, 농촌 지역에 보건소와 준의료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의약품 접근성을 높였다. 의료 인력(의사, 치과 의사)도 증원되었다.[17]
  • 새로운 정신 건강법과 가정 법원을 도입했다.[19]
  • 사생아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법적으로 금지했다.[13]

토지 및 농업

  • 토지 개혁을 확대하여 역사적으로 불공평했던 자메이카의 토지 소유 구조 개선을 시도했다. '프로젝트 랜드 리스'(Project Land Leaseeng) (1973년 도입)를 통해 수만 명의 소농에게 토지, 기술 자문, 비료, 신용 등을 제공하는 통합 농촌 개발을 추진했다.[12][18]

정치 및 사회

  • 1974년, 집권당인 인민민족당(PNP)의 공식 이념으로 민주사회주의를 채택했다.
  • 최저 투표 연령을 18세로 낮추었다.[13]
  • 지방 정부의 과세 제도를 개혁하고 청소년 직업 훈련 기회를 늘렸다.[19]
  • 고등학교 졸업생이 학교, 직업 훈련 및 문해력 프로그램에서 가르치도록 하는 국립 청소년 서비스 프로그램을 도입했다.[18]
  • 자메이카 공화주의를 지지하며 입헌 군주제를 공화국으로 대체할 것을 주장한 최초의 자메이카 총리였다. 1975년에는 공화국 전환을 권고하는 헌법 개혁 위원회를 설립했고, 1977년 7월 모란트 베이 반란 기념행사 이후 1981년까지 자메이카가 공화국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이는 실현되지 못했다.[20]

3. 2. 외교 정책

1977년 백악관에서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와 마이클 맨리 총리 및 그의 네 번째 부인 베벌리


마이클 맨리는 외교적으로 제3세계 국가들과의 연대를 중시하며 반제국주의 노선을 추구했다. 그는 여러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성향의 지도자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는데, 특히 탄자니아줄리어스 니에레레, 스웨덴올로프 팔메, 캐나다피에르 트뤼도, 그리고 쿠바피델 카스트로와의 우정이 깊었다.[21]

맨리는 특히 쿠바와의 관계 강화에 주력했다. 1975년 쿠바를 공식 방문했으며,[10][27][28] 쿠바와의 양자 외교 관계를 심화시키는 그의 행보는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을 놀라게 했다. 맨리가 앙골라 내전 당시 쿠바의 군대 파병을 지지한 것은 미국과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당시 미국 국무장관이었던 헨리 키신저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22][23]

악화된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맨리는 1977년 12월, 백악관을 방문하여 당시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와 회담을 가졌다. 이 만남으로 양국 관계는 다소 개선되었으나,[23] 회담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24][25]

1979년 비동맹 운동 회의에서 맨리는 비동맹 운동이 소련과의 자연스러운 동맹 관계를 발전시켜 제국주의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는 "모든 반제국주의자들은 1917년 10월 혁명에서 움직임과 사람이 있었고 레닌이 그 사람이었을 때 세계의 힘의 균형이 돌이킬 수 없이 바뀌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라고 연설하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26] 이처럼 그는 외교 문제에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을 중요하게 여겼다.

3. 3. 정치 폭력

마이클 맨리가 총리로 재임하던 시기, 자메이카는 심각한 정치 폭력을 겪었다. 맨리가 이끌던 인민민족당(PNP) 지지자들과 그의 경쟁자인 에드워드 시가가 이끄는 자메이카 노동당(JLP) 지지자들 사이의 갈등은 1976년 선거를 앞두고 시작되어 1980년 시가가 총리로 취임할 때까지 피비린내 나는 투쟁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폭력적인 정치 문화는 맨리나 시가 개인이 만든 것이 아니라, 1940년대 양당제 도입 이후 양당 간의 오랜 갈등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정치 폭력은 전례 없는 수준으로 격화되었으며, 특히 시가가 맨리를 몰아내려 했던 1976년과 1980년 선거는 가장 폭력적인 선거로 기록되었다.[29][30]

1974년 잇따른 살인 사건에 대응하여 맨리 정부는 총기 법원(Gun Court) 법과 범죄 진압법 통과를 감독했다. 이를 통해 경찰과 군대는 폭력이 심한 지역을 봉쇄하고 무장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권한을 부여받았다. 총기 법원은 모든 총기 관련 범죄에 대해 무기한 강제 노역형을 부과했으며, 재판은 일반적으로 배심원 없이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맨리는 "이 사회에는 지금도, 앞으로도 총기가 설 자리가 없다"고 선언했다.[31]

1976년 1월, 선거를 앞두고 폭력이 발생하자, 맨리의 PNP 정부는 6월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JLP의 저명한 인사를 포함한 500명이 정부 전복 시도 혐의로 기소 없이 업파크 캠프(Up-Park Camp) 군사 본부 내 사우스 캠프 성인 교정 센터(South Camp Adult Correctional Centre)에 구금되었다.[32] 1977년 11월 2일, 미국 신문 ''뉴스데이(Newsday)''의 탐사 보도 기자 어니스트 볼크만과 존 커밍스는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1976년 7월 14일 자메이카 방문과 그해 말 토론토 방문 중에 맨리 암살을 계획했었다고 보도했다. 맨리는 이 보고서에 대해 "총성은 울리지 않았다"고 답했다.[33]

1976년 자메이카 총선은 비상사태가 여전히 발효된 상태에서 12월 15일에 치러졌다. PNP는 47석을 얻어 JLP(13석)를 누르고 다시 집권했다. 투표율은 85%로 매우 높았다.[34] 비상사태는 이듬해까지 계속되었고, 1974년 범죄 진압법에 의해 경찰에게 부여된 특별 권한은 1990년대 말까지 유지되었다.[35]

1970년대에도 폭력은 정치 생활을 계속 훼손했다. 양당이 무장시킨 갱단들이 도시 선거구를 장악하기 위해 싸웠다. 1980년 선거 해에는 800명 이상의 자메이카인이 사망했다.[36]

1980년 자메이카 총선에서 시가가 이끄는 JLP가 총 60석 중 51석을 얻어 승리했고, 시가가 총리가 되었다.[34]

4. 야당 대표 시절 (1980-1989)

야당 대표로서 맨리는 에드워드 시가가 이끄는 새로운 보수 행정부에 대한 비판을 거침없이 이어갔다. 그는 1983년 그레나다의 총리 모리스 비숍이 축출되고 처형된 후 발생한 그레나다 침공에 자메이카 군대가 개입하는 것에 강력히 반대했다.[7]

같은 해, 시가 총리는 자메이카 인민 민족당(PNP) 사무총장인 폴 로버트슨이 자신의 사임을 요구했다는 명분을 내세워 예정보다 2년이나 일찍 조기 총선을 실시했다. 맨리와 PNP는 이러한 갑작스러운 결정에 반발하여 선거 보이콧을 선언했다. 그 결과, 자메이카 노동당(JLP)은 60개 선거구 중 단 6곳에서만 미미한 반대에 부딪혔을 뿐, 사실상 모든 의석을 차지하게 되었다.[7]

야당 대표 시절에도 맨리는 국제적인 활동을 지속했다. 1980년대에는 전 세계를 돌며 강연 활동을 펼쳤으며, 1980년에는 뉴욕시의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일련의 공개 강연을 하기도 했다.[37]

한편, 시가 정부는 미국과 외국 투자자들에게 약속했던 경제 성과를 달성하지 못했으며, 특히 1988년 허리케인 길버트가 자메이카를 강타했을 때 보여준 미흡한 대처 능력은 국민적 불만을 키웠다. 이러한 실정들은 결국 1989년 자메이카 총선에서 시가 정부의 패배로 이어졌다. 이 선거에서 맨리가 이끄는 자메이카 인민 민족당은 총 60석 중 45석을 확보하며 15석에 그친 자메이카 노동당에 압승을 거두었다.[34]

5. 제2차 집권기 (1989-1992)

1989년 무렵, 소련의 붕괴 등을 겪으며 맨리는 이전의 사회주의적 수사를 완화하고 사기업과 자본주의의 역할을 명확히 옹호하기 시작했다.[10] 같은 해 총선거에서 완화된 온건 강령을 내세운 인민민족당(PNP)은 무난하게 승리하여 맨리는 다시 총리직에 올랐다.

두 번째 임기 동안 맨리 정부는 자메이카 경제의 자유화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첫 번째 임기의 사회 민주주의적 경제 정책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정부는 긴축구조조정을 시행하면서도 그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 정책을 병행했다. 빈곤층을 위한 복지 지원을 제공하는 사회 지원 프로그램이 도입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은 직접적인 고용 창출, 직업 훈련, 신용 제공에도 중점을 두었다.[18]

또한 정부는 가장 취약한 계층(임산부, 수유부, 아동 포함)에 대한 영양 지원금을 50% 인상했으며, 소규모 지역 사회 위원회들을 설립했다. 제한적이지만 토지 개혁도 시행되어 소규모 농부들에게 토지를 임대하거나 판매하고 수백 명의 농부에게 토지를 제공했다. 주택 공급에서도 성과를 보였으며, 불법적이거나 불공정한 상업 행위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도 마련되었다.[18]

1992년, 맨리는 건강상의 이유로 총리직과 PNP 대표직에서 물러났다.[10][38] 그의 자리는 당시 부총리였던 P. J. 패터슨이 승계했다.[39]

6. 은퇴와 사망

맨리는 평생 7권의 책을 저술했다. 대표작으로는 수상 경력이 있는 《서인도 제도 크리켓의 역사》가 있으며, 이 책에서 그는 크리켓과 서인도 제도의 민족주의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했다.[42] 그 외 저서로는 《변화의 정치》(1974), 《직장 내의 목소리》(1975), 《해결책 찾기, 국가의 빈곤, 위로 향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메이카: 주변부의 투쟁》 등이 있다.[43]

1997년 3월 6일, 마이클 맨리는 가이아나의 또 다른 카리브해 정치인인 체디 자간과 같은 날 전립선암으로 세상을 떠났다.[38][44] 그의 장례는 3월 16일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성 삼위일체 대성당에서 종교 의식이 거행되었다. 이 자리에는 쿠바피델 카스트로 대통령, 트리니다드의 바스데오 판데이 총리, 아이티르네 프레발 대통령 등 카리브해 지역의 여러 지도자들과 대표들이 참석하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45][46] 그는 아버지 노먼 맨리가 안장된 국립 영웅 공원에 함께 묻혔다.[38][47]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사진작가 마리아 라야코나가 촬영한 맨리의 초상화는 자메이카 2,000달러 지폐에 에드워드 시가의 초상화와 함께 실려 있다.[48]

7. 가족

맨리는 총 다섯 번 결혼했다.


  • 1946년 재클린 카멜라드와 결혼했으나 1951년에 이혼했다.
  • 1955년에는 필립 셜록 경과 그의 아내 그레이스 베리티의 양녀인 텔마 베리티와 결혼했으나, 1960년에 이혼했다.
  • 1966년 바바라 루어스와 결혼했으나 그녀는 1968년에 사망했다.
  • 1972년 베벌리 앤더슨과 결혼하여 1990년에 이혼했다. 베벌리는 2008년 6월 '맨리 회고록'을 출간했다.[40]
  • 마지막 결혼은 1992년 글린 에워트와 했다.[41]


맨리는 다섯 번의 결혼을 통해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자녀는 레이첼 맨리, 조셉 맨리, 사라 맨리, 나타샤 맨리, 데이비드 맨리이다.[7]

8.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훈장/직위수여 국가/기관
1973년해방자 훈장베네수엘라[49]
1976년호세 마르티 훈장쿠바[50]
1978년유엔 메달유엔[51]
1989년영국 추밀원 의원 (P.C.)영국[52]
1992년자메이카 공로 훈장 (O.M.)자메이카[53]
1994년카리브 공동체 훈장 (O.O.C.)카리브 공동체[54]
사후국가 훈장 (O.N.)자메이카[53]


참조

[1] 웹사이트 Michael Manley: nation-builder http://www.jamaica-g[...] 2012-01-11
[2] 웹사이트 Where Would Jamaica Be Without Michael Manley? http://jamaica-glean[...] 2013-03-11
[3] 웹사이트 Caribbean Elections Biography {{!}} Michael Norman Manley http://www.caribbean[...] 2022-11-10
[4] 서적 Worldmaking after Empire: The Rise and Fall of Self-Determin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5]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https://archive.org/[...] McFarland & Company, Inc.
[6] 웹사이트 Michael Manley - prime minister of Jamaica https://www.britanni[...] 2019-02-11
[7] 웹사이트 Political Leader http://michaelmanley[...] 2019-02-11
[8] 서적 Race, Class, and Political Symbols: Rastafari and Reggae in Jamaican Politic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2-07-08
[9] 웹사이트 Trade Unionist http://michaelmanley[...] 2019-02-11
[10] 웹사이트 Michael Manley – the visionary who will never be http://www.jamaicaob[...] 2019-02-11
[11] 서적 We Come From Jamaica Boyd McRubie 2014
[12] 문서
[13] 문서 Insight Guide: Jamaica Insight Guides, APA Publications 2009
[14] 문서 The Greenwood Encyclopaedia of LGBT Issues Worldwide
[15] 문서 Reclaiming Development: independent thought and Caribbean community
[16] 문서 Jamaica under Manley: dilemmas of socialism and democracy
[17] 문서 Dependency and Socialism in the Modern Caribbean: Superpower Intervention in Guyana, Jamaica and Grenada, 1970–1985
[18] 문서 Jamaica's Michael Manley: The Great Transformation (1972–92)
[19] 문서 Michael Manley: the making of a leader
[20] 웹사이트 Queen, emperor and republican status http://www.jamaicaob[...] 2016-09-02
[21] 웹사이트 World Statesman http://michaelmanley[...] 2019-02-11
[22] 뉴스 Jamaica Caught In The Cross Winds Of Cold War Politics And South Africa http://radiojamaican[...] 2013-12-10
[23] 뉴스 Jamaican Rumblings https://www.washingt[...] 1980-08-25
[24] 웹사이트 Meeting With Prime Minister Michael Manley of Jamaica White House Statement Issued Following the Meeting. https://www.presiden[...]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22-12-10
[25] 뉴스 MANLEY MEETS CARTER AFTER BACKING CASTRO https://www.nytimes.[...] 2022-12-10
[26] 문서 The Ipinions Journals, Commentaries on Current Events 2007
[27] 뉴스 PREMIER OF JAMAICA DEFENDS CUBAN TIE https://www.nytimes.[...] 2024-04-16
[28] 뉴스 Manley gets warm welcome in Cuba https://jamaica-glea[...] 2024-04-16
[29] 문서
[30] 웹사이트 Jamaica violence 'linked to US drug market' https://www.bbc.com/[...] BBC 2019-02-11
[31] 간행물 Stalag in Kingston http://www.time.com/[...] 2009-01-14
[32] 뉴스 The Daily Gleaner 1986-07-06
[33] 뉴스 Plots by CIA to Kill Jamaican Claimed https://www.newspape[...] 1977-11-04
[34] 서적 Elections in the Americas: A data handbook 2005
[35] 웹사이트 Can we really entrust the JCF with the anti-gang legislation? http://www.jamaicaob[...] 2019-02-11
[36] 웹사이트 The bloody general election that changed Jamaica http://www.jamaicaob[...] 2019-02-11
[37] 뉴스 Manley to lecture at Columbia University https://books.google[...] 2023-01-08
[38] 웹사이트 Political Leader http://michaelmanley[...] 2019-02-11
[39] 웹사이트 The Rt. Hon. Percival James Patterson (1935 - ) - The National Library of Jamaica https://nlj.gov.jm/b[...] 2019-02-11
[40] 웹사이트 Personal Politics: 'The Manley Memoirs' https://www.washingt[...] 2008-08-05
[41] 뉴스 Obituary: Michael Manley https://www.independ[...] 2010-05-12
[42] 서적 A History of West Indies Cricket Andre Deutsch 1998-01-01
[43] 웹사이트 Writer http://michaelmanley[...] The Michael Manley Foundation 2019-02-11
[44] 웹사이트 Cheddi Jagan - premier, Guyana https://www.britanni[...] 2019-02-11
[45] 웹사이트 THOUSANDS PAY FINAL TRIBUTE TO MICHAEL MANLEY https://nlj.gov.jm/B[...]
[46] 웹사이트 CASTRO ARRIVES FOR MANLEY'S FUNERAL https://nlj.gov.jm/w[...]
[47] 웹사이트 National Heroes Park https://historygreat[...] 2014-10-26
[48] 뉴스 A Picture-Perfect Life https://www.jamaicao[...] 2022-01-27
[49] 웹사이트 The Hon. Michael Norman Manley: Prime Minister of Jamaica (National Library of Jamaica https://nlj.gov.jm/B[...]
[50] 웹사이트 Castro Speech Data Base - Latin American Network Information Center, LANIC http://lanic.utexas.[...]
[51] 웹사이트 Michael Norman Manley (December 10, 1924 – March 6, 1997) – The Integrationist http://www.theintegr[...]
[52] 웹사이트 The Most Honourable Michael Manley (1924 - 1997) https://nlj.gov.jm/p[...]
[53] 웹사이트 Order of Merit (OM) – Jamaica Information Service https://jis.gov.jm/i[...]
[54] 웹사이트 Michael Norman Manley (CARICOM) https://caricom.org/[...] 2022-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