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성문 반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성문 반찰음은 일부 언어에서 마찰음으로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경우 성문이 좁혀지거나 접근음으로 발성되며,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조음 위치는 성문이며, 폐에서 나오는 호기를 통해 발음된다. 많은 음성학자들은 이 소리를 마찰음으로 간주하지 않지만, "마찰음"이라는 용어는 역사적인 이유로 사용된다. 한국어의 'ㅎ', 영어의 'h', 일본어의 'は', 'へ', 'ほ'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일부 로망스어군에서는 음소로 존재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문음 - 성문 파열음
성문 파열음은 조음기관 내 공기 흐름을 막아 성문을 닫은 상태에서 발음되며, 무성음으로 분류되고, 아랍어 등 여러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난다. - 성문음 - 유성 성문 반찰음
유성 성문 반찰음은 성문에서 틈을 좁혀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이며, 한국어, 영어 등 여러 언어에서 변이음 또는 음소로 나타난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성 성문 반찰음 | |
---|---|
음성 기호 정보 | |
IPA 기호 | h |
IPA 기호 (강세) | h͈ |
IPA 번호 | 146 |
십진수 | 104 |
X-SAMPA | h |
브라유 점자 | h |
음성 | 아니오 |
![]() | |
발음 | |
설명 | [h]는 뒤따르는 모음의 무성 또는 숨소리 유성 대응물로 기술되었지만, 성도의 모양은 종종 단순히 주변 소리의 모양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h는 후두 명세만 가지고 있고 다른 모든 특징에 대해서는 표시되지 않은 분절로 간주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히브리어와 아랍어와 같이 h에 대한 포먼트 주파수의 보다 명확한 변위를 보여주는 다른 언어들이 있으며, 이는 그 생성과 관련된 [성문] 수축을 암시한다. |
참고 문헌 | Ladefoged & Maddieson 1996, pp. 325–326 |
추가 정보 | Ladefoged 1990, pp. 24–25 Garellek, Yuan, Yaqian & van Doren 2021 |
2. 특징
- 일부 언어에서는 좁혀진 조음 방법을 갖는 마찰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성문이 전환 상태이거나 접근음이며, 발성 유형 외에는 다른 조음 방법이 없다. 많은 음성학자들은 그들이 익숙한 언어에서 성도에 마찰을 일으킬 다른 제약이 없기 때문에 [h]/IPA영어를 더 이상 마찰음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찰음"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역사적인 이유로 유지된다.
- 성문 자음의 조음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마찰음 조음이 없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성문'이라는 용어는 발성의 특성만을 나타내며, 제약의 위치나 난류를 설명하지 않는다. 성문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과 모든 모음은 성문의 상태 외에 개별적인 조음 위치를 갖는다. 다른 모든 자음과 마찬가지로 주변 모음은 [h]/IPA영어의 발음에 영향을 미치며, [h]/IPA영어는 때때로 이러한 주변 모음의 조음 위치를 갖는 무성 모음으로 제시되어 왔다.
; 기류의 발생: 폐에서의 호기
; 발성: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
; 조음
:; 조음 위치: 성대와 성대 사이의 성문음
:; 조음 방법
::; 구강 내 기류: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틈새에 의한 마찰음 (다만, 성대의 역할은 발성이며, 틈새를 좁히면 소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발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성문이 열린 상태이며, 구강 내 마찰음과는 다르다.)
::; 연구개의 위치: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
2. 1. 조음 방법
무성 성문 반찰음은 일부 언어에서 마찰음으로 나타나지만, 대부분 성문이 전환 상태이거나 접근음이며 발성 유형 외에는 다른 조음 방법이 없다. 많은 음성학자들은 를 더 이상 마찰음으로 간주하지 않지만, "마찰음"이라는 용어는 역사적인 이유로 일반적으로 유지된다.성문 자음의 조음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마찰음 조음이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성문'이라는 용어는 발성의 특성만을 나타내며, 제약의 위치나 난류를 설명하지 않는다. 성문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과 모든 모음은 성문의 상태 외에 개별적인 조음 위치를 갖는다. 다른 모든 자음과 마찬가지로 주변 모음은 의 발음에 영향을 미치며, 는 때때로 이러한 주변 모음의 조음 위치를 갖는 무성 모음으로 제시되어 왔다.
무성 성문 반찰음은 폐에서의 호기로 발생하며, 발성은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조음은 조음 위치가 성대와 성대 사이의 성문음이며, 조음 방법은 구강 내 기류가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에 따라 틈새에 의한 마찰음이다. 다만, 성대의 역할은 발성이며, 틈새를 좁히면 소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발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성문이 열린 상태이며, 구강 내 마찰음과는 다르다. 연구개의 위치는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2. 2. 조음 위치
성문 자음의 조음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마찰음 조음이 없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성문'이라는 용어는 발성의 특성만을 나타낸다. 성문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과 모든 모음은 성문의 상태 외에 개별적인 조음 위치를 갖는다. 다른 모든 자음과 마찬가지로 주변 모음은 의 발음에 영향을 미치며, 는 때때로 이러한 주변 모음의 조음 위치를 갖는 무성 모음으로 제시되어 왔다.2. 3. 발성
폐에서의 호기로 발생한다.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2. 4. 기류
무성 성문 반찰음은 폐에서의 호기로 발생한다.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조음 위치는 성대와 성대 사이의 성문음이다. 조음 방법은 틈새에 의한 마찰음이나, 성대의 역할은 발성이며, 틈새를 좁히면 소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발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성문이 열린 상태이며, 구강 내 마찰음과는 다르다.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3. 언어별 발음
이 소리는 많은 언어에서 나타난다. 반면, 이 소리를 음소로 갖지 않는 언어는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와 같은 로망스어군에서 두드러진다.
- 한국어: 뒤에 /i, j, u, w, ɯ/가 오지 않는 첫음절 첫소리의 'ㅎ'에서 이 발음이 난다.
- 일본어: は, へ, ほ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영어: hit의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이중음자(ch, th, gh 등)의 h와 묵음일 때는 제외한다.
- 아랍어: ه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베르베르어파: 라틴문자 표기의 h, 티피나그 문자 표기의 ⵀ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덴마크어, 페로어, 하와이어, 오로모어, 몽어, 말레이어, 나바호어, 타갈로그어, 하우사어, 아파르어, 노르웨이어: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일랜드어: 모든 h와 sh, 장모음이나 이중모음 뒤가 아닌 th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크메르어: ហ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라오어: ຫ, ຮ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태국어: ห, ฮ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눠쑤어: 라틴 문자 표기의 hx에서 이 소리가 난다.
- 간어의 창두 방언, 광둥어, 차오저우어, 취안장어, 하카어, 푸셴어: 병음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독일어: haben의 h.
- 스페인어의 일부 방언: obispo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 /i, j, u, w, ɯ/가 뒤에 오지 않는 첫음절 첫소리의 'ㅎ'은 무성 성문 마찰음([h])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허리'는 [hʌɾi]로 소리난다.3. 2. 일본어
일본어에서 は, へ, ほ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표준 일본어에서는 "は, へ, ほ" (긴키 방언에서는 "ひ"도 포함)의 두 자음에 나타난다.3. 3. 영어
영어에서 hit의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이중음자(ch, th, gh 등)의 h와 묵음일 때는 제외한다. (예: high [haɪ̯]) have의 h에서도 이 소리가 난다.3. 4. 아랍어
아랍어에서 ه(하-/هَاءar)는 무성 성문 반찰음 소리가 난다. 예시로 هائل [ˈhaːʔɪl]가 있다.3. 5. 기타 언어
독일어에서는 haben의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스페인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obispo()와 같이 나타난다.베르베르어파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의 'h', 티피나그 문자 표기의 'ⵀ'에서 이 소리가 난다. 덴마크어, 페로어, 하와이어, 오로모어, 몽어, 말레이어, 나바호어, 타갈로그어, 하우사어, 아파르어, 노르웨이어의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아일랜드어에서는 모든 'h'와 'sh', 장모음이나 이중모음 뒤가 아닌 'th'에서 이 소리가 난다. 크메르어에서는 'ហ'의 첫소리, 라오어에서는 'ຫ', 'ຮ'의 첫소리, 태국어에서는 'ห', 'ฮ'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눠쑤어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의 'hx'에서 이 소리가 나며, 간어의 창두 방언, 광둥어, 차오저우어, 취안장어, 하카어, 푸셴어에서는 병음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참조
[1]
논문
description of stops and ''h''
http://www.ccel.org/[...]
[2]
논문
initial ''h''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웹사이트
Pará Federal University – The pronunciation of /s/ and its variations across Bragança municipality's Portuguese
http://www.ufpa.br/a[...]
[17]
웹사이트
Rio de Janeiro Federal University – The variation of post-vocallic /S/ in the speech of Petrópolis, Itaperuna and Paraty
http://www.letras.uf[...]
[18]
웹사이트
ro-sheòl
https://www.faclair.[...]
2021-04-01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