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초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초(Machismo)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남성적 특징과 행동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과시, 허세, 사회적 지배, 성적 능력, 명예 보호, 근면함, 위험에 맞서는 의지 등이 특징으로 묘사되며, 대중문화에서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강한 남성 역할로 그려진다. 멕시코-치카노 문화에서는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공격적인 반응, 여성에 대한 양가성 등으로 나타나며, 식민지 시대의 영향으로 동성애 혐오와 남성 신체 통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마초성은 성 역할 갈등, 불안, 낮은 자존감, 분노, 우울증, 약물 남용 등 정신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가정 폭력, 성폭력, 성병 감염 등의 문제로 이어진다. 쿠바, 푸에르토리코, 칠레, 페루 등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는 마초 문화가 사회 구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쿠바에서는 정치적, 경제적 권력에서 여성의 소외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마초성에 대한 비판과 논쟁은 식민지적 함의, 부정적인 묘사의 결과, 긍정적인 측면의 무시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마초의 유병률 및 문화 적응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성성 - 얼굴 남성화 수술
얼굴 남성화 수술은 트랜스 남성의 얼굴을 남성적인 특징으로 변화시키는 수술적 방법으로, 이마 확대술, 턱 확대술 등을 포함하며 3D 프린팅 기술 발전으로 수술 정확성을 높이고 있다. - 남성성 - 대디스 홈 (영화)
대디스 홈은 2015년 개봉한 코미디 영화로, 새 아빠와 전 남편이 아이들의 사랑을 얻기 위해 경쟁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윌 페럴과 마크 월버그가 주연을 맡았다. - 라틴 아메리카의 문화 - 루차 리브레
루차 리브레는 1863년 멕시코에서 시작된 프로레슬링의 한 형태로, 마스크, 고난도 기술, 3인조 태그팀 경기, 루도와 테크니코의 대립 구도를 특징으로 하며 멕시코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 라틴 아메리카의 문화 - 디스코
디스코는 1970년대 중후반 나이트클럽에서 유행한 강한 리듬의 팝 음악 장르로, 특징적인 리듬과 다양한 악기 사용, 자유로운 춤과 화려한 패션을 동반하며 클럽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으나 1979년 이후 인기가 쇠퇴하여 하우스 음악 등에 영향을 주었다.
마초 (문화) | |
---|---|
정의 | |
설명 | 과장된 남성성에 대한 자부심 |
관련 용어 | |
관련 주제 | 남성 우월주의 성차별 성 역할 남성성 양성성 성 중립성 여성 혐오 유해한 남성성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남성성 여성성 성 역할 남성 해방 운동 남성 권리 남성 우월주의 여성 혐오 |
2. 어원 및 정의
"마초"라는 단어는 스페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수컷" 또는 "남성"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한 남성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강인함, 용기, 지배력, 권위주의 등 전통적인 남성적 특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2. 1. 정의
마초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지만, 그 특징은 매우 익숙하다. 마초성은 생물학적, 역사적, 문화적, 심리-사회적, 그리고 대인 관계적 특성이나 행동에 기반을 둔다. 잘 알려진 특징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7]- 과시: 특정한, 종종 특이하거나 과장된 신체 자세나 태도를 취하는 것. 마초는 외교 대신 폭력으로 모든 차이,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 도전, 또는 의견 불일치를 해결해야 한다.
- 아내를 무심한 지배자의 과시물로 대우: 여성은 사랑하고, 남성은 정복한다.[8]
- 허세: 터무니없는 자랑, 과도한 자신감.
- 사회적 지배: 사회 문화적으로 정의된 지배; 마초의 과시.
- 성적 능력: 성적으로 적극적인 것. 수줍음은 남성에게 집단적인 문제이다.[9]
- 명예나 자존심 보호: 잠재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아를 보호하는 것을 믿는 것.
- 라 칼레(la calle, 거리): 남자의 장소. 이곳은 남자가 일하고 자신의 남성성을 과시하는 곳이다.[6]
- 근면함: 열심히 일하고 노동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종종 힘들고 어려운 직업을 갖는다.[6]
- 위험에 맞설 의지.[10]
대중 문화에서 마초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남성의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되었다.[11]
멕시코-치카노 문화적 및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리-사회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그리고 여성에 대한 양가성.[12][13]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 정복자가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한 것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14] 멕시코가 스페인에 의해 식민지화되기 전에, 아즈텍을 포함한 원주민들은 남성 동성애와 관련된 아즈텍 신인 소치필리를 숭배했다. 스페인 식민지화는 동성애를 범죄화하여 동성애와 관련된 많은 원주민 관행과 전통을 잃게 했다. 식민지 이후의 멕시코 정체성에서 식민지 시대에 도입된 마초 이념이 두드러지게 되었다.[15] 일부 학자들은 마초가 남성 신체를 통제하는 형태로 채택되었다고 지적했다.[16]
일부 전문가들은 성 역할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러한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운다.[17]
미국의 여러 대학교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중심으로 6가지 행동 패턴의 모델을 개발했다:[17]
# 제한적인 정서 표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자제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 표현을 허용하지 않는 것.[17]
# 동성애 혐오: 동성애자에 대한 두려움 또는 동성애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그것과 관련된 모든 고정 관념에 국한되지 않음.[17]
#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 상황을 책임지고 다른 사람을 지휘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권위에 대한 욕구.[17]
#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 다른 사람에게 애정이나 성적 행위를 거의 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17]
#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 성과, 일 및 탁월함이 자신의 가치를 구성한다는 지속적인 복합성을 갖는 것.[17]
# 건강 문제: 건강에 해로운 식단, 스트레스 수준 및 생활 방식.[17]
이 모델은 이 6가지 패턴이 모두 남성의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에 맞춰 개발되었다.[17] 이 이론은 5명의 전문가가 수행한 연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뒷받침되었다.[17] 이미 성 역할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구에는 개인 속성 설문지, 벰 성 역할 목록, 여성에 대한 태도 척도 및 남성의 역할에 대한 태도 척도가 있다.[17] 증거에 따르면, 이러한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자라거나 마초성이 만연한 사회에 사는 남성은 마초가 유발하는 성 역할 갈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겪을 수 있다.[18] 또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갈등에 직면한 많은 남성이 분노, 우울증 및 약물 남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3. 특징 및 묘사
마초의 묘사는 다양하지만, 그 특징은 매우 익숙하다. 마초성은 생물학적, 역사적, 문화적, 심리-사회적, 그리고 대인 관계적 특성이나 행동에 기반을 둔다. 잘 알려진 특징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과시: 특정한, 종종 특이하거나 과장된 신체 자세나 태도를 취하는 것. 마초는 외교 대신 폭력으로 모든 차이,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 도전, 또는 의견 불일치를 해결해야 한다.[7]
- 아내를 무심한 지배자의 과시물로 대우: 여성은 사랑하고, 남성은 정복한다.[8]
- 허세: 터무니없는 자랑, 과도한 자신감.
- 사회적 지배: 사회 문화적으로 정의된 지배; 마초의 과시.
- 성적 능력: 성적으로 적극적인 것. 수줍음은 남성에게 집단적인 문제이다.[9]
- 명예나 자존심 보호: 잠재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아를 보호하는 것을 믿는 것.
- 라 칼레(la calle, 거리): 남자의 장소. 이곳은 남자가 일하고 자신의 남성성을 과시하는 곳이다.[6]
- 근면함: 열심히 일하고 노동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종종 힘들고 어려운 직업을 갖는다.[6]
- 위험에 맞설 의지.[10]
대중 문화에서 마초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남성의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되었다.[11]
멕시코-치카노 문화적 및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리-사회적 특성은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그리고 여성에 대한 양가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12][13]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 정복자가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한 것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14] 멕시코가 스페인에 의해 식민지화되기 전, 아즈텍을 포함한 원주민들은 남성 동성애와 관련된 아즈텍 신인 소치필리를 숭배했다. 스페인 식민지화는 동성애를 범죄화하여 동성애와 관련된 많은 원주민 관행과 전통을 잃게 했다. 식민지 이후의 멕시코 정체성에서 식민지 시대에 도입된 마초 이념이 두드러지게 되었다.[15] 일부 학자들은 마초가 남성 신체를 통제하는 형태로 채택되었다고 지적했다.[16]
일부 전문가들은 성 역할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러한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운다.[17] 미국의 여러 대학교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중심으로 6가지 행동 패턴의 모델을 개발했다.[17]
- 제한적인 정서 표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자제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 표현을 허용하지 않는 것.[17]
- 동성애 혐오: 동성애자에 대한 두려움 또는 동성애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그것과 관련된 모든 고정 관념에 국한되지 않음.[17]
-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 상황을 책임지고 다른 사람을 지휘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권위에 대한 욕구.[17]
-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 다른 사람에게 애정이나 성적 행위를 거의 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17]
-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 성과, 일 및 탁월함이 자신의 가치를 구성한다는 지속적인 복합성을 갖는 것.[17]
- 건강 문제: 건강에 해로운 식단, 스트레스 수준 및 생활 방식.[17]
이 모델은 이 6가지 패턴이 모두 남성의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에 맞춰 개발되었다.[17]
이러한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자라거나 마초성이 만연한 사회에 사는 남성은 마초가 유발하는 성 역할 갈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겪을 수 있다.[18] 또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갈등에 직면한 많은 남성이 분노, 우울증 및 약물 남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4. 성 역할
마초성은 다양한 묘사가 있지만, 그 특징들은 잘 알려져 있다. 마초성은 생물학적, 역사적, 문화적, 심리-사회적, 그리고 대인 관계적 특성이나 행동에 기반한다.[7]
마초의 잘 알려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 | 설명 |
---|---|
과시 | 특정한, 종종 특이하거나 과장된 신체 자세나 태도를 취하는 것. 외교 대신 폭력으로 모든 차이,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 도전, 또는 의견 불일치를 해결해야 한다.[7] |
아내를 무심한 지배자의 과시물로 대우 | 여성은 사랑하고, 남성은 정복한다.[8] |
허세 | 터무니없는 자랑, 과도한 자신감. |
사회적 지배 | 사회 문화적으로 정의된 지배; 마초의 과시. |
성적 능력 | 성적으로 적극적인 것. 수줍음은 남성에게 집단적인 문제이다.[9] |
명예나 자존심 보호 | 잠재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아를 보호하는 것을 믿는 것. |
라 칼레(la calle, 거리) | 남자의 장소. 이곳은 남자가 일하고 자신의 남성성을 과시하는 곳이다.[6] |
근면함 | 열심히 일하고 노동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종종 힘들고 어려운 직업을 갖는다.[6] |
위험에 맞설 의지 | [10] |
멕시코-치카노 문화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리-사회적 특성은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그리고 여성에 대한 양가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12][13]
일부 전문가들은 성 역할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여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러한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17] 미국의 여러 대학교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중심으로 6가지 행동 패턴 모델을 개발했다:[17]
- 제한적인 정서 표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자제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 표현을 허용하지 않는 것.
- 동성애 혐오: 동성애자에 대한 두려움 또는 동성애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 상황을 책임지고 다른 사람을 지휘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권위에 대한 욕구.
-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 다른 사람에게 애정이나 성적 행위를 거의 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
-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 성과, 일 및 탁월함이 자신의 가치를 구성한다는 지속적인 복합성을 갖는 것.
- 건강 문제: 건강에 해로운 식단, 스트레스 수준 및 생활 방식.
이 모델은 이 6가지 패턴이 모두 남성의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에 맞춰 개발되었다.[17] 이러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자라거나 마초성이 만연한 사회에 사는 남성은 마초가 유발하는 성 역할 갈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겪을 수 있다.[18] 또한, 이러한 갈등에 직면한 많은 남성이 분노, 우울증 및 약물 남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남성의 자아는 "과도하게 남성적이고, 정력적이며, 강하며, 가부장적이며, 성적으로 지배적이며, 재정적 공급자"로 묘사된다.[20] 쿠바와 라틴 아메리카에서 주로 행해지는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여성은 순결해야 하지만, 남성이 순결해야 하는 것은 덜 중요하다.[20][6]
''la casa''(집)와 ''la calle''(거리)와 같은 내부 및 외부 공간의 역할은 마초 신념을 전파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38] 이는 남성과 여성을 완전히 다른 두 세계와 사회적 영역으로 분리하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헤이세이 시대 및 레이와 시대에 들어선 현재에도 기업에 남아있는 "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은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관습은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에서의 다양성 관리 추진, 더 나아가 주로 남성의 육아 참여나 가정 환경을 저해하고 저출산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며 비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4. 1. 남성과 여성
마초성은 생물학적, 역사적, 문화적, 심리사회적, 그리고 대인 관계적 특성이나 행동에 기반을 둔다.[7] 대중 문화에서 마초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남성의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된다.[11]마초의 잘 알려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과시: 특정한, 종종 특이하거나 과장된 신체 자세나 태도를 취하는 것. 마초는 외교 대신 폭력으로 모든 차이,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 도전, 또는 의견 불일치를 해결해야 한다.[7]
- 아내를 무심한 지배자의 과시물로 대우: 여성은 사랑하고, 남성은 정복한다.[8]
- 허세: 터무니없는 자랑, 과도한 자신감.
- 사회적 지배: 사회 문화적으로 정의된 지배; 마초의 과시.
- 성적 능력: 성적으로 적극적인 것. 수줍음은 남성에게 집단적인 문제이다.[9]
- 명예나 자존심 보호: 잠재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아를 보호하는 것을 믿는 것.
- 라 칼레(la calle, 거리): 남자의 장소. 이곳은 남자가 일하고 자신의 남성성을 과시하는 곳이다.[6]
- 근면함: 열심히 일하고 노동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종종 힘들고 어려운 직업을 갖는다.[6]
- 위험에 맞설 의지.[10]
멕시코-치카노 문화적 및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리사회적 특성은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그리고 여성에 대한 양가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12][13]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 정복자가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한 것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14]
일부 전문가들은 성 역할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러한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운다. 미국의 여러 대학교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중심으로 6가지 행동 패턴의 모델을 개발했다:[17]
1. 제한적인 정서 표현2. 동성애 혐오3.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4.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5.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6. 건강 문제이 모델은 이 6가지 패턴이 모두 남성의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에 맞춰 개발되었다.[17] 증거에 따르면, 이러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자라거나 마초성이 만연한 사회에 사는 남성은 마초가 유발하는 성 역할 갈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겪을 수 있다.[18] 또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갈등에 직면한 많은 남성이 분노, 우울증 및 약물 남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남성의 자아에 대한 개념은 "과도하게 남성적이고, 정력적이며, 강하며, 가부장적이며, 성적으로 지배적이며, 재정적 공급자"로 묘사된다.[20] 쿠바와 라틴 아메리카에서 주로 행해지는 주요 종교인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여성은 순결해야 하지만, 남성이 순결해야 하는 것은 덜 중요하다.[20][6]
''la casa''(집)와 ''la calle''(거리)와 같은 내부 및 외부 공간의 역할은 마초 신념을 전파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38] 이는 남성과 여성을 완전히 다른 두 세계와 사회적 영역으로 분리하기 때문이다.
4. 1. 1. 마리아니ismo

남성과 여성의 권력 차이는 마초(machismo)의 사회적 규범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 여성에 대응하는 개념인 마리아니즘(Marianismo)이라는 사회적 개념을 만들어냈다.[21] 이 개념은 여성이 순수하고 건전해야 한다는 생각을 담고 있으며, 여성에 의해 지지되고 장려된다.[38] 마리아니즘은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사회적 구성물처럼 스페인 식민지배에서 유래되었다.[6] 이는 여성의 완벽한 여성성과 처녀성을 강조한다. 성모 마리아는 "준신성, 도덕적 우월성, 영적 강인함"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이상적인 여성상이며, 이는 마초와 마리아니즘 하에서 여성에게 기대되는 모든 것이다.[6]
남자는 가장의 역할을 하며, "연약한" 여성은 순종적이며 뒤에서 묵묵히 뒷바라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이 열등하며 남편에게 의존해야 한다는 생각을 부각시킨다.[22] 결과적으로, 여성들은 재정적 지원을 위해 남편에게 의존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12세 미만의 어린이, 정신 질환자, 낭비자"와 동일한 수준으로 취급받는다.[21] 전통에 의해 여성은 할 수 있는 일과 될 수 있는 일에 제한된 기회를 가질 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돌볼 수 없는 존재로 간주된다. 결혼은 여성에게 남편의 성공 아래 안전을 제공하지만, 남편과 자녀를 섬기는 평생의 헌신을 수반한다.[21][6]
사회적 압력과 기대가 마리아니즘의 지속에 큰 역할을 하는 반면, 이 이데올로기는 소녀들이 성장하면서 가르쳐지기도 한다.[21][38] 소녀들은 요리와 청소와 같은 가사 노동과 집안일을 수행하는 것의 중요성을 배운다. 왜냐하면 이것이 미래의 가정에서 그들이 수행할 역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 역할은 수동적인 방식으로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매우 강력하며, 질문하기가 훨씬 더 어렵게 만든다.[38] 소녀들은 이러한 일들을 잘 수행해야 한다고 가르침을 받는데, 이는 그들이 적절하게 가족을 섬기고, 어머니들이 그랬던 것처럼 권위적인 남편으로부터 처벌과 징계를 피하기 위해서이다.[21][38] 남성은 집에서 존경과 권력을 요구함으로써 권위를 행사한다. 아버지, 남편, 형제, 아들의 뜻을 존중하는 것이 여성의 역할이다.[6] 따라서, 남자의 규칙을 따르는 것이 문화적으로 규범이 될 수 있다.
4. 2. 세대 간 순환
세대가 이어지면서 마초주의에 대한 생각은 줄어들 수 있지만 어느 정도는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38] 또한, 연구에 따르면 오늘날 사회에서도 남성은 종종 여성이 자신을 표현하거나 묘사할 힘을 갖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계속해서 맡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마초주의가 아이들을 특정한 방식으로 키우고 아이의 발달 과정 전반에 걸쳐 성에 대한 사회적 구성을 주입하라는 압력을 통해 영속된다고 생각한다.[23][38][6] 이는 친밀함과 애정을 일반적으로 피하는 아버지와 아들 간의 거리감 있는 관계에 의해 보완된다. 이러한 측면들은 이데올로기가 스스로 영속되는 환경을 조성한다.[23] 이는 소년들이 도달할 수 없는 수준의 남성성을 추구하게 만드는 열등감을 조성하며, 이러한 추구는 종종 그들 주변의 남성에게서 관찰하는 공격적이고 무관심한 행동에 의해 정당화되고, 궁극적으로 그들이 이 순환을 계속하도록 이끈다.[23] 젊은 소녀들은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 사이의 역할과 관계를 관찰하여 이러한 역할을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하고 성인이 되어서도 이 순환을 계속하게 된다.[38]4. 3. 성적 지향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남성들에게, 그들의 남성성은 사회에서 받는 존경의 정도를 결정한다.[24] 남성 동성애자는 여성적인 특징과 연관되기 때문에, 남성성은 더 낮게 인식되며, 그 결과, 사회에서 이성애자 남성보다 덜 존경받는다. 이는 결국 그들의 "상향 사회 이동성을 달성하고,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거나, 권력의 자리에 오르는 능력"을 제한할 수 있다.[24] 또한, 많은 기독교 종파에서 동성애가 금기시되거나 죄악시되기 때문에, 동성애자 남성은 지지 체계가 부족하여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성적 지향을 표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억압에 대처하기 위해, 그들은 이성애 규범성에 순응하고 동성애 정체성을 억압하거나, 남성적인 이상과 실천에 동화되면서 사적으로 동성애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공개적으로 동성애를 표현하고 사회로부터의 배척을 감수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24]이는 동성애자가 얼마나 많은 "존경, 권력 및 사회적 지위"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따라 동성애의 위계를 만든다. 남성이 전형적인 이성애적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따라 행동할수록, 사회적 위계에서 더 높은 위치에 놓인다.[24] 남성다움에 대한 마초적 이상 때문에, 그러한 이상에 부합하지 않는 남성은 성적 지향에 관계없이 'locas' 또는 'maricones'(경멸적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위계의 하위에는 locas 또는 maricones가 있다.[24] 이 남성들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사회적 구성을 따르지 않고 또한 자신의 동성애를 공개적으로 알리기 때문에 여성스럽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들은 사회 전반과 LGBT 커뮤니티 모두에서 존경을 거의 받지 못한다. 많은 동성애자 남성은 노골적인 남성성을 보여주거나 다른 "loca" 남성을 조롱하고 거리를 둠으로써 "loca" 고정 관념과 연관되는 것을 거부한다.[24] 흔한 푸에르토리코 속담이 이러한 저항을 보여준다. "mejor un drogadicto que un pato"(게이보다 마약 중독자가 낫다).[24]

동성애는 ''마초'' 이상 안에서 부정적이거나 약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는 ''마초''가 찬양하는 남성적 특징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는 종종 ''마초'' 공동체에 사는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 남성이 부정적인 함축 때문에 자신의 성적 지향을 공개하는 것을 꺼리게 한다. 마찬가지로, 레즈비언으로 정체성을 밝히는 여성은 전통적인 성 역할을 거부하는 것으로 여겨져 마초 사회와 가족으로부터 억압에 직면한다. 레즈비언은 종종 어머니가 될 수 있는 존재로 인정받지 못하며, 따라서 familismo의 개념에 도전한다.[25] 라틴 문화에서 개인을 가족에 대한 헌신과 연결하는 생각인 ''Familismo''와 동성애 혐오는 때때로 동성애자 개인에게 성적 정체성의 억압, 가족 분리, 그리고 자신의 성적 지향을 숨기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개인적 수치심과 비밀스러운 성적 행위를 방해하여 라틴계 동성애자의 HIV 및 STI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22] 정기적인 동성애 혐오 경험과 낮은 자존감은 성적 위험과 관련이 있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높은 ''마초'' 가치관이나 특징을 가진 남성은 HIV 또는 STI에 감염될 위험이 있는 활동에 참여하거나 행동할 가능성이 5배 이상 높았다.[26]
동성애자로 정체성을 밝히는 데 따르는 부정적인 함축 때문에, 동성애의 정의는 모호해졌다. 성적 행위를 성별화함으로써, 성관계 동안 성적으로 삽입되는 남성, 즉 locas만이 동성애자로 간주되는 반면, 성관계 동안 성적 삽입을 하는 남성은 자신의 이성애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24] 예를 들어, 멕시코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다. 한 가지 관점은 다른 남성에게 끌리는 모든 남성이 똑같이 수치스럽고 부정적이라는 것이다. 다른 관점은 동성 간의 관계에서 수용적인 파트너인 남성만이 부정적으로 보인다는 것이다.[15] 또한,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동성애자 남성에 대한 미디어 묘사는 종종 여성적이고 화려한 남성 역할의 고정 관념을 따른다. 그 결과, 남성적인 동성애자 남성에 대한 생각은 거의 들리지 않으며, 커뮤니티와 사회에 의해 사유화되어 동성애자 남성에 대한 locas의 이러한 고정 관념이 지속되도록 한다.[24]
5. 영향
마초성은 생물학적, 역사적, 문화적, 심리-사회적, 그리고 대인 관계적 특성이나 행동에 기반을 둔다. 마초의 잘 알려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7][8][9][6][10]
특징 | 설명 |
---|---|
과시 | 특정한, 종종 특이하거나 과장된 신체 자세나 태도를 취하는 것. 외교 대신 폭력으로 모든 차이,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 도전, 또는 의견 불일치를 해결. |
아내를 무심한 지배자의 과시물로 대우 | 여성은 사랑하고, 남성은 정복한다는 관념. |
허세 | 터무니없는 자랑, 과도한 자신감. |
사회적 지배 | 사회 문화적으로 정의된 지배; 마초의 과시. |
성적 능력 | 성적으로 적극적인 것. |
명예나 자존심 보호 | 잠재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아를 보호하는 것을 믿는 것. |
라 칼레(la calle, 거리) | 남자의 장소로, 남자가 일하고 자신의 남성성을 과시하는 곳. |
근면함 | 열심히 일하고 노동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종종 힘들고 어려운 직업을 갖는 것. |
위험에 맞설 의지 | 위험을 감수하는 태도. |
대중 문화에서 마초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남성의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된다.[11] 멕시코-치카노 문화적 및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리-사회적 특성은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그리고 여성에 대한 양가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12][13]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 정복자가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한 것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14]
일부 전문가들은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성 역할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운다. 미국의 여러 대학교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6가지 행동 패턴 모델을 개발했다:[17]
# 제한적인 정서 표현
# 동성애 혐오
#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
#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
#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
# 건강 문제
이 모델은 이 6가지 패턴이 모두 남성의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에 맞춰 개발되었다.
일본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현재까지 기업에 남아있는, "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은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노동 관습은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 다양성 관리 추진, 남성의 육아 참여 및 가정 환경 저해, 저출산의 원인 등으로 작용한다며 비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5. 1. 정신 건강
마초 성향을 가진 남성은 마초성이 유발하는 성 역할 갈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겪을 수 있다.[18] 또한, 이러한 갈등에 직면한 많은 남성이 분노, 우울증 및 약물 남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마초'의 성 역할 개념과 부정적인 인지-정서적 요인(예: 우울증 증상, 특성 불안 및 분노, 냉소적 적대감)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는 정신 건강 전문가에게 매우 중요할 수 있다.[28] 치료사는 내담자가 높은 수준의 마초 성향을 보이는 경우,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겪고 있는지 탐구할 수 있다.[27] 따라서 성 역할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치료사가 내담자의 마초 수준과 성 역할 갈등의 측면이 존재하는지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27]
많은 상담 심리학자들은 남성 상담과 성 역할 갈등 및 남성 사회화와 같은 주제 사이의 연결을 이해하기 위한 추가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30] 미네소타 대학교의 심리학 교수인 토마스 스코볼트는 상담을 통해 남성을 위한 효율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30]
'마초'의 여러 요소는 남성에게 심리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간주된다.[17] 경쟁은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가 모두 있다.[17] 건강한 경쟁은 팀워크 능력, 적극적인 참여, 압력 처리, 비판적 사고, 그리고 탁월해지려는 노력을 가져온다.[31] 그러나, 동료보다 우위에 서서 가장 역할을 수행하려는 충동은 스트레스, 질투 및 심리적 부담을 유발할 수 있다.[17]
여성의 정신 건강 또한 마초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마초의 영향을 받는 환경에서 사는 여성들은 종종 판단, 괴롭힘 또는 신체적 피해를 받을까 봐 두려워하며 산다. 자살 생각, 우울증 및 기타 장기적인 문제는 이러한 불안의 결과일 수 있다. 마초는 여성을 대상화하여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섭식 장애, 신체 이미지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마초는 감정 억제를 장려하며 역사적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다.[33] 감정 억제의 정상화는 사람들이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느끼게 하여 정신 건강 문제를 악화시키고 스트레스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화에서 정신 건강은 매우 낙인 찍히기 때문에 여성들은 치료나 상담을 꺼리게 되며, 이는 정서적 고통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본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헤이세이 시대 및 레이와 시대에 들어선 현재에도 기업에 남아있는 "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이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노동 환경에서의 이러한 관습은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에서의 다양성 관리의 추진, 더 나아가 주로 남성의 육아 참여나 가정 환경을 저해하고 저출산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며 비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5. 2. 폭력
마초는 외교 대신 폭력으로 모든 차이나 갈등을 해결하며, 언어적 또는 신체적 학대, 도전, 의견 불일치를 일으킨다.[7] 대중 문화에서 마초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남성의 전통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된다.[11]멕시코-치카노 문화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마초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여성에 대한 양가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12][13]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 정복자가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한 것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14]
일부 전문가들은 성 역할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러한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운다.[17] 미국의 여러 대학교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정서 표현, 동성애 혐오,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 건강 문제 등을 포함한 6가지 행동 패턴 모델을 개발했다.[17]
'마초'의 여러 요소는 남성에게 심리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간주된다.[17] 경쟁은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를 모두 가지는데, 팀워크 능력, 적극적인 참여, 압력 처리, 비판적 사고, 탁월해지려는 노력과 같이 건강한 경쟁에서 많은 이점이 발생한다.[31] 그러나 많은 직장에서 경험하는 경쟁과 같이 남성이 경쟁으로 인해 정신적으로 해를 입을 수 있다. 즉, 동료보다 우위에 서서 많은 사회에서 가장 역할을 수행하려는 충동은 스트레스, 질투 및 심리적 부담을 유발할 수 있다.[17]
여성의 정신 건강 또한 마초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마초의 영향을 받는 환경에서 사는 여성들은 종종 판단, 괴롭힘 또는 신체적 피해를 받을까 봐 두려워하며 산다. 마초는 빈번하게 여성을 대상화하여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섭식 장애, 신체 이미지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감정 억제를 장려하며, 이는 정신 건강 문제를 악화시키고 스트레스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33]
마초는 남성의 힘을 강조하고, 여성에 대한 지배력을 과시하는 데 사용될 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4] "마초는 문화적 요인으로서 구조적 통제 변수와는 별개로 범죄, 폭력, 무법 행위와 실질적으로 연관되어 있다"[35] 폭력과 마초의 연관성의 핵심 측면 중 하나는 남성이 자신의 힘을 증명하려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다.[23] 힘과 강인함은 마초의 전형적인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지만, 폭력과 공격적인 행동의 시위는 거의 남성에게 기대되는 것이 되었고, 터프하고 마초적인 행동의 바람직한 결과로 정당화되어 왔다. "만약 당신이 폭력적이라면 당신은 강하고, 물러서거나 싸우지 않는 사람들보다 더 남자답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36]
일본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헤이세이 시대 및 레이와 시대에 들어선 현재에도 기업에 남아있는, "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이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에서의 다양성 관리의 추진, 더 나아가 주로 남성의 육아 참여나 가정 환경을 저해하고 저출산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며, 비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5. 2. 1. 가정 폭력 및 성폭력
마초 문화는 남성의 힘을 강조하고 여성에 대한 지배력을 과시하는 데 사용될 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4] 이러한 지배력은 여성에 대한 폭력 발생률을 높이고 라틴 아메리카의 여성 살해(Femicide in Latin America)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4] "마초는 문화적 요인으로서 구조적 통제 변수와는 별개로 범죄, 폭력, 무법 행위와 실질적으로 연관되어 있다"[35] (26-27). 폭력과 마초의 연관성은 남성이 자신의 힘을 증명하려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핵심이다.[23] (57). 힘과 강인함은 마초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지만,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은 남성에게 기대되는 것이 되었고, 터프하고 마초적인 행동의 바람직한 결과로 정당화되어 왔다. 즉, "만약 당신이 폭력적이라면 당신은 강하고, 물러서거나 싸우지 않는 사람들보다 더 남자답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36]폭력적인 만남은 가족, 친구, 특히 여성 친척을 보호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될 수 있다.[23] (59). 그러나 질투, 경쟁심, 자부심을 통해 폭력적인 만남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추구되기도 한다. 남성의 불안감은 "남자다워져라"는 사회적 압력에서 열등감 극복과 같은 내부적 압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23] (59). 이는 여성적인 특성을 평가절하하고 남성성에 기인하는 힘과 우월성의 특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23] (59).
많은 경우, 여성 배우자보다 우위에 있는 남성의 지위는 여성의 삶에 대한 통제로 이어진다.[37] 많은 문화권에서 여성은 남성에게 종속적인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남성은 아내가 직업을 갖거나, 공부하거나, 사교 활동을 하거나, 지역 사회에 참여하거나, 심지어 집을 나설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권한을 갖는 경우가 많다. 수입과 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고, 지지 기반이 되는 사람도 거의 없는 상황에서 많은 여성들은 재정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남편에게 의존하게 된다.[37] 이는 많은 여성들이 가정 폭력에 특히 취약하게 만든다. 남성이 우월하고 그러한 우월성을 표현할 자유가 있다는 믿음으로 폭력이 정당화될 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생계를 남편에게 의존하기 때문에 학대적인 관계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37]
마초 문화가 함축하는 것 중 하나는 남성이 성적으로 경험이 풍부해야 한다는 압박감이다.[37] 남성의 불륜은 많은 문화권에서 흔하며, 여성만큼 정조를 지킬 것이 기대되지 않는다. 반면 여성은 마초 문화의 일부이기 때문에 불성실한 파트너를 용인하도록 자라나는 경우가 많다.[37] 이로 인해 남성이 아내나 사회의 방해 없이 여러 성 파트너를 찾는 과정에서 집단은 성병 전파 위험에 놓인다. 콘돔의 성병 예방 효과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자신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콘돔을 사용하지 않는 남성들로 인해 위험은 더욱 커진다.[37] 이러한 사고방식은 또한 남성이 자신이 HIV 양성인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받는 것을 막아, 자신도 모르게 성병을 전파하게 만든다.[37]
5. 2. 2. 성병 감염
마초 문화는 남성이 성적으로 경험이 많아야 한다는 압박감을 내포한다.[37] 많은 문화권에서 남성은 여성만큼 정조를 지킬 것으로 기대되지 않기 때문에 불륜이 흔하다. 반면 여성은 마초 문화의 일부로서 불성실한 파트너를 용인하도록 자라는 경우가 많다.[37]이러한 상황은 남성이 아내나 사회의 방해 없이 여러 성 파트너를 찾는 과정에서 성병 전파 위험을 높인다. 콘돔의 성병 예방 효과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자신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콘돔을 사용하지 않는 남성들이 많아 위험은 더욱 커진다.[37] 이러한 사고방식은 남성이 HIV 양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받는 것을 막아, 자신도 모르게 성병을 전파하게 만들기도 한다.[37]
6. 각 국가별 마초
마초는 과시, 허세, 사회적 지배, 성적 능력, 명예 보호, 근면함, 위험 감수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7][8][9][6][10] 대중 문화에서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된다.[11]
- 멕시코: 스페인 식민지배의 영향으로 남성 동성애와 관련된 원주민 전통이 사라지고, 식민지 시대에 도입된 마초 이념이 멕시코 정체성에 강하게 남았다.[15] 일부 학자들은 마초가 남성 신체를 통제하는 형태로 채택되었다고 본다.[16]
- 미국: 성 역할 갈등을 겪는 남성의 행동 패턴은 제한적인 정서 표현, 동성애 혐오, 사회적 통제/권력/경쟁, 제한적인 성적/애정 행동, 성취/성공 강박, 건강 문제 등 6가지로 정리된다.[17] 이러한 사고방식을 가진 남성은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겪을 수 있으며, 분노, 우울증, 약물 남용을 경험하기도 한다.[18][19]
- 페루: 마초 수준이 가장 높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 중 하나로, 남성이 여성보다 본질적으로 강하다는 믿음이 깊이 뿌리내려 있다. 이는 가정 내 폭력과 여성 비하로 이어지며, 중독 문제와 결합하여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칠레: 칠레 북부 구리 광산 지역의 '쇼페리아스'(선술집)는 여성 출입이 금지되고, 광부들은 직장보다 더 거친 남성성을 보인다. 이들은 음주를 통해 사교 활동을 하며, 여성의 신체와 성적 능력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성애적 정당성을 과시한다. 2007년부터 매년 7월, 여성 폭력에 반대하는 칠레 네트워크는 "¡Cuidado! El Machismo Mata"(“조심하세요! 마초는 죽인다”로 번역) 캠페인을 통해 여성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다.

6. 1. 쿠바
쿠바에서 마초주의는 스페인 제국과 포르투갈 제국에서 시작되어 여성을 억압하고, '타자'로 여겨지는 모든 인종과 경제적 지위의 여성을 엘리트 남성이 지배하는 것을 의미한다.[42] 여성스럽거나 게이인 남성은 조롱과 폭력의 대상이 되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남성은 경멸적 단어인 마리콘(게이 또는 호모)으로 불린다. 피델 카스트로는 동성애를 공산주의 개념과 충돌한다고 보았고,[51] 1965년 쿠바의 게이 남성들은 노동 수용소로 보내지거나 군 복무에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51] 그러나 최근 쿠바 국립 성교육 센터(CENESEX) 설립으로 성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마리에라 카스트로의 도움으로 반-동성애 집회 등을 통해 동성애 혐오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1975년 쿠바 법 ''Codigo de la Familia''(가족법)는 여성의 직업을 돕고 아동 문제를 해결하며, 남녀 모두 가사일에 참여해야 한다고 명시했다.[52] 그러나 이 법은 특히 가정에서 강력하게 시행되지 않았다.[53] 영화 ''De Cierta Manera''는 하류층 물라토와 중산층 백인 교사의 관계를 통해 인종과 계급을 초월한 낭만적인 관계를 보여주며 라틴 아메리카의 마초주의에 대한 생각을 거부한다. 토마스 구티에레스 알레아의 영화 ''Hasta Cierto Punto''는 노동 계급과 부르주아 마초주의의 역학 관계를 탐구하며, 쿠바 사회와 계급이 마초주의에 대한 태도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보여준다.[54] 영화 ''Retrato de Teresa''는 마초주의를 거부하면서도 남성의 지배적인 관점을 묘사하고 변화의 환상을 보여준다. 쿠바 만화는 바람직한 쿠바 여성을 혁명적이고 성적인 모습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쿠바 남성을 미국화된 모습으로 묘사한다.[44]
체 게바라의 "새로운 인간" 이념은 혁명 이후 낭만적인 관계와 사회 역학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57] 남성들은 자본주의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불륜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고, 여성들은 정절을 지키도록 파트너에게 통제받았다.[56] 가난한 쿠바 남성, 부유한 쿠바 남성, 관광객 사이에 새로운 계층 격차가 나타나고, 쿠바 여성들은 부유한 남성을 찾으며, 이는 더 많은 부유한 관광객을 섬으로 끌어들여 계층 격차를 심화시킨다.[57]
6. 1. 1. 쿠바 마초의 기원
마초는 남성의 자부심의 원천이며, 명성과 가정에서 지배력을 유지함으로써 자신의 남성다움을 증명해야 한다. 마초는 일상생활에서 남성 우월성을 주장하는 데서 비롯된다.[38] 이에 대한 예로는 남편이 아내를 지배하고, 자녀를 통제하며, 가정 내 다른 사람들에게 최고의 존경을 요구하는 것 등이 있다. 마초는 쿠바 사회에 깊이 스며들어 여성의 완전한 평등을 가로막는 장벽을 만들어 왔다.우바 데 아라곤 클라비호의 소설 『거울 속의 악어』에서 클라비호는 쿠바인들이 피델 카스트로와 같은 과거 쿠바 남성 지도자들의 생식 기관에서 더 많은 힘을 느낀다고 주장한다. 그는 혁명을 대표했지만 여전히 국민들을 지배하는 강력하고 지배적인 남성이었다. 클라비호의 관점에서 군국주의와 카우디요주의는 쿠바 마초의 원인이며, 카스트로가 혁명에서 승리하는 데 성공했음을 증명하는 "강한 남자의 리더십" 이데올로기를 확립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성이 지배하는 정치 사회가 우월하다는 것을 더욱 강조한다.[39]
6. 1. 2. 쿠바 마초의 영향
쿠바에서 '마초'는 남성 우월주의를 의미하며, 이는 남성이 가정에서 아내와 자녀를 지배하고 최고의 존경을 요구하는 것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나타난다.[38] 이는 쿠바 사회에 깊이 스며들어 여성의 완전한 평등을 가로막는 장벽을 만들었다. 피델 카스트로와 같은 과거 쿠바 남성 지도자들의 강력하고 지배적인 남성성은 군국주의와 카우디요주의를 통해 쿠바 마초의 원인이 되었으며, 남성이 지배하는 정치 사회가 우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39]여성에 대한 대상화로 인해 가정 폭력은 종종 무시되며, 피해자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심리학 상담을 받지만 법적 조치는 거의 없다.[20] 가정 폭력이나 여성 대상 폭력 범죄는 언론 보도가 드물고, 쿠바 정부는 범죄 실태 통계를 발표하지 않는다.[40][41] 쿠바 혁명 이후 피델 카스트로는 여성들이 '혁명 속의 혁명'을 겪고 있다고 보고 쿠바 여성 연맹(FMC)을 설립했다.[40] 빌마 에스핀이 이끄는 이 조직은 여성의 노동계 진출과 여성 권리 문제를 지원했으며, 1997년에는 ''가족 폭력 예방 및 지원을 위한 국가 그룹''을 창설하여 가정 폭력 피해 여성들을 돕기 위한 연구와 조치를 모색했다.[40] FMC 등의 도움으로 여성들은 피해자 권리 사무소에 가해자를 고소하고 성폭력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지만, 가정 폭력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40]
쿠바 여성들은 마초주의가 뿌리 깊은 시스템 때문에 정치적, 금전적 권력을 갖지 못한다.[42] 혁명 사회에서 여성은 "혁명적 어머니"로 여겨져 국가의 하위 계층으로 간주되었다.[43] 젠더 평등이 표면적 수준이라는 것은 가족 법전에서 남성의 가정 내 역할을 요구했지만 거의 시행되지 않은 것에서 볼 수 있다. 체 게바라의 저서 "새로운 인간"(1965)에서는 여성을 혁명가의 아내, 전사, 자원 봉사자로 묘사하며, 여성의 혁명 헌신이 남성에 대한 매력에 중요하다고 언급하여 전통적인 여성성 개념을 사회주의 혁명에 연결했다.[44] 바람직한 쿠바 남성은 근면하고 국가에 봉사하는 사람으로 여겨졌으며, 농업 작업에 참여해야 했다. 이는 쿠바의 "새로운 인간"이 사회주의 국가 생존에 필수적이라는 생각과 연결되었다.[45] 쿠바 미디어에서 여성과 남성의 묘사는 젠더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의 역할은 주로 가정에 머물렀고, 기존의 남성성과 여성성 개념이 정치 무대에서 지배적이었다.[46] 쿠바 정치에서 여성 비율은 48.9%이지만,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쿠바 공산당에서는 7%에 불과하다.[42] 전문직 여성도 정부 지원을 받아 한 달에 약 30USD만 받는다.[47] 25세 이상 여성의 89%가 중등 교육을 받았지만,[48] 여전히 가정에서 요리, 청소, 육아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세컨드 시프트 현상으로 묘사된다.[49] 쿠바 남성은 집안일을 아내에게 맡기고 친구들과 술을 마시러 나가는 것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며, 이는 여성에 대한 권력을 부여하여 가정 폭력에 취약하게 만든다.[50] 쿠바인들은 국가 고용을 떠나 쿠바 관광에서 일자리를 찾기 시작했으며, 이는 부유한 관광객들로 인해 많은 수익 (회계)을 낸다.
스페인 제국과 포르투갈 제국에서 시작된 마초주의는 여성을 억압하고, '타자'에 대한 엘리트 남성의 지배를 포괄한다.[42] 여기서 '타자'는 마초가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는 모든 인종과 경제적 지위의 여성을 지칭한다.[42] 여성스럽거나 게이 남성은 조롱과 폭력의 대상이 되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남성은 경멸적 단어인 마리콘(게이 또는 호모)으로 불린다. 피델 카스트로는 동성애를 공산주의자 개념과 충돌한다고 보았고,[51] 1965년 쿠바의 게이 남성들은 노동 수용소로 보내지거나 군 복무에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51] 그러나 최근 쿠바 국립 성교육 센터(CENESEX) 설립으로 성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마리에라 카스트로의 도움으로 반-동성애 집회 등을 통해 동성애 혐오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1975년 쿠바 법 ''Codigo de la Familia''(가족법)는 여성의 직업을 돕고 아동 문제를 해결하며, 남녀 모두 가사일에 참여해야 한다고 명시했다.[52] 그러나 이 법은 특히 가정에서 강력하게 시행되지 않았다.[53] 영화 ''De Cierta Manera''는 하류층 물라토와 중산층 백인 교사의 관계를 통해 인종과 계급을 초월한 낭만적인 관계를 보여주며 라틴 아메리카의 마초주의에 대한 생각을 거부한다. 토마스 구티에레스 알레아의 영화 ''Hasta Cierto Punto''는 노동 계급과 부르주아 마초주의의 역학 관계를 탐구하며, 쿠바 사회와 계급이 마초주의에 대한 태도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보여준다.[54] 영화 ''Retrato de Teresa''는 마초주의를 거부하면서도 남성의 지배적인 관점을 묘사하고 변화의 환상을 보여준다. 쿠바 만화는 바람직한 쿠바 여성을 혁명적이고 성적인 모습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쿠바 남성을 미국화된 모습으로 묘사한다.[44]
체 게바라의 "새로운 인간" 이념은 혁명 이후 낭만적인 관계와 사회 역학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57] 남성들은 자본주의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불륜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고, 여성들은 정절을 지키도록 파트너에게 통제받았다.[56] 가난한 쿠바 남성, 부유한 쿠바 남성, 관광객 사이에 새로운 계층 격차가 나타나고, 쿠바 여성들은 부유한 남성을 찾으며, 이는 더 많은 부유한 관광객을 섬으로 끌어들여 계층 격차를 심화시킨다.[57]
6. 1. 3. 미디어 속 쿠바 마초
마초 문화가 만연하고 사회에 깊이 뿌리내린 국가에서는 젠더 폭력이 더 높게 나타난다. 2021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젠더 기반 폭력이 증가했다.[66] 페드로 피에를루이시 주지사는 젠더 기반 폭력이 2020년 6,603건에서 2021년 7,876건으로 증가함에 따라 섬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67][68][66] 안드레아 루이즈 코스타스와 케이슐라 로드리게스의 살해 사건은 젠더 기반 폭력이 푸에르토리코 사법 시스템 내에서 어떻게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대중의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안드레아 루이즈 코스타스는 살해되기 전에 세 건의 소송을 제기했지만, 모두 기각되었다.[69] 사법 시스템은 모든 기관과 마찬가지로 몇몇 경우에 미흡한 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한 요인 중 하나는 불만을 제기하는 사법 시스템의 어려운 절차이다.[69] 많은 경우에, 이러한 절차는 피해자에게 불만을 제기하고 이 절차가 수반하는 법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어렵다.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후, 젠더 기반 폭력의 근본 원인과 푸에르토리코 교육부 커리큘럼에 젠더 관점 학습을 포함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70] 2022년 10월 26일, 교육부는 매달 넷째 주 수요일 훈육 시간에 진행될 "모든 인간의 평등과 존중"이라는 이름의 커리큘럼을 발표했다.[71] 이 프로그램은 존중과 평등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젠더 관점 학습 지지자들은 젠더 평등과 정체성과 관련된 용어를 인정하는 데 부족함이 있다고 지적했다.[70]6. 2.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는 LGBTQ+ 관광객들이 방문하기에 가장 좋은 장소 중 하나로 여겨졌지만,[72] LGBTQ+ 커뮤니티는 마초 문화와 상충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마초 문화는 이상적인 남성의 이미지를 이성애적이고 노골적으로 남성적인 것으로 지지하는데, 이는 게이 남성이 그러한 남성다움의 이미지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 LGBTQ+ 커뮤니티에 대한 혐오, 폭력, 차별 행위로 이어진다.[73]푸에르토리코는 로마 가톨릭과 오순절을 중심으로 강력한 기독교 공동체를 가지고 있으며, 유대교와 이슬람교 공동체도 소규모로 존재한다. 시대 변화와 미국의 영향으로 LGBTQ+ 운동은 평등을 위한 강력한 세력이 되었지만, 푸에르토리코에서는 항상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심지어 차이로 인해 해를 입기도 했다. 그 중 하나가 2020년에 조롱을 당하고 결국 총격을 받은 트랜스젠더 여성 알렉사 네그론 루치아노의 살해 사건이다.[74] 증오 범죄로 분류된 알렉사의 살해는 섬에서 트랜스포비아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74]
이러한 논의와 더욱 포용적인 푸에르토 리코 사회에 대한 희망과 관련하여, 푸에르토 리코에서는 스페인어에서 모음 (a) 또는 (o)를 대체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성 중립적 식별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단어에서 (a)는 여성, (o)는 남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성 중립으로 간주되는 문자 (e)로 대체하는데, 이는 현지인들로부터 신식민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75]
6. 2. 1. 식민지 역사와 마초
푸에르토리코의 마초 문화를 평가할 때는 푸에르토리코의 식민지적 지위, 즉 처음에는 스페인, 다음에는 미국과의 관계를 연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스페인의 식민지가 되면서 푸에르토리코는 스페인이 심어놓은 마초 원칙을 얻었다.[59] 푸에르토리코가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을 때, 미국은 푸에르토리코가 겪고 있던 빈곤을 해결하고자 했다. 이는 빈곤을 과잉 인구의 주요 결과로 여기면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여성의 생식 능력은 미국이 푸에르토리코의 "빈곤 문화"를 바꾸는 방식 중 하나였다.[60]칠레 북부의 구리 광산 지역의 ''쇼페리아스''(선술집)에서 마초가 연구되었다. 이곳에서 여성의 출입은 사실상 금지되어 있으며, 광산에서 일하는 남성들은 직장 행동보다 더 거친 남성성을 키운다. 사교 활동은 음주로 촉진되며, 가족과 떨어져 사는 남성들은 여성의 신체와 성적 가용성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성적 업적을 자랑함으로써 자신의 이성애적 정당성을 보여준다. 내성적인 고객들은 거절에 대한 두려움 없이 친구 및 여성과 교류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쇼페리아'' 주인들은 젊고 매력적인 웨이트리스를 고용하여 고객의 선호도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며, 웨이트리스는 고객의 끊임없는 관심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해야 한다.[76] 광부들은 상사 및 수십 년 동안 그들을 훈련되고 자기 재생산적인 노동력으로 만들려고 노력해 온 도덕적 권위에 적대적인 이상적인 남성 노동자를 상징한다. 구리 산업 전반의 노동자들은 광업을 육체적 강인함, 즉 남성성의 궁극적인 시험으로 여긴다. 광부들은 종종 광산 자체를 질투심 많고 벌주는 여성으로 이야기하며, 아내가 불성실하다는 두려움을 표현한다. 주먹질과 덜 심각한 항의 행위가 정기적으로 경영진과 발생하며, 연대의 선을 넘는 노동자들과도 어느 정도 발생한다.[77]
2007년부터 매년 7월, 여성 폭력에 반대하는 칠레 네트워크(Red Chilena Contra la Violencia hacia las Mujeres)는 여성에 대한 폭력, 가정 내 폭력, 여성 살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Cuidado! El Machismo Mata"(“조심하세요! 마초는 죽인다”로 번역) 캠페인을 시행한다.[78]
6. 2. 2. 20세기 중후반
푸에르토리코는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받으면서 스페인의 마초 원칙을 받아들였다.[59] 이후 미국의 식민지가 되면서, 미국은 푸에르토리코의 빈곤을 과잉 인구의 결과로 보고 여성의 생식 능력을 통제하려 했다.[60]1950년대 산업화로 남성 고용은 감소하고 여성 고용은 증가했다. 특히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화이트칼라 여성들이 등장하면서 여성 고용이 더욱 늘어났다. 여성들은 가정의 가사일과 가계 재정 기여를 동시에 책임져야 했다. 이전에는 남성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했지만, 교육을 받고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더욱 독립적으로 변했다.[61]
1960년대에 많은 푸에르토리코인들이 뉴욕으로 이주하면서, 여성들은 결혼을 중시하는 가치관 때문에 미혼모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여성들은 독립과 성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어머니는 자녀에게 재정적 안정을 보여주는 사람과 결혼하라고 조언했다. 이는 마초 문화와 많은 갈등을 일으켰다. 2016년 푸에르토리코는 여성의 수입이 남성보다 많은 유일한 곳이었으며, 여성은 남성 1달러당 1.03달러를 벌었다.[62][63][64]
학자들은 여성들이 미혼모가 되어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는 사례들을 통해 마초이즘이나 마리아니즘을 명확히 정의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는 사회에서 개인의 결정이나 상황에 달려 있다.[61]
라틴 가족의 규칙은 어린 여성들이 외부 세계의 위험에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가르치며, 어린 여성들을 취약하거나 성적으로 대상화될 위험에 처한 존재로 묘사한다. 이러한 엄격한 규칙은 어린 나이에 임신한 여성들에게 강조되기도 한다. 어린 여성들은 가정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제대로 교육받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미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푸에르토리코 가족들은 이러한 전통적인 규칙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65]
칠레 북부의 구리 광산 지역 ''쇼페리아스''(선술집)에서는 여성 출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광산에서 일하는 남성들은 거친 남성성을 키운다. 사교 활동은 음주로 이루어지며, 가족과 떨어져 사는 남성들은 여성의 신체와 성적 가용성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성적 업적을 자랑하며 이성애적 정당성을 보인다. 내성적인 고객들은 거절에 대한 두려움 없이 친구 및 여성과 교류할 수 있다. ''쇼페리아'' 주인들은 젊고 매력적인 웨이트리스를 고용하며, 웨이트리스는 고객의 관심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해야 한다.[76] 광부들은 상사와 도덕적 권위에 적대적인 이상적인 남성 노동자를 상징한다. 구리 산업 노동자들은 광업을 육체적 강인함, 즉 남성성의 시험으로 여긴다. 광부들은 광산 자체를 질투심 많고 벌주는 여성으로 이야기하며, 아내의 불성실을 두려워한다. 주먹질과 항의 행위가 경영진과 발생하며, 연대의 선을 넘는 노동자들과도 발생한다.[77]
2007년부터 매년 7월, 여성 폭력에 반대하는 칠레 네트워크는 여성에 대한 폭력, 가정 내 폭력, 여성 살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Cuidado! El Machismo Mata"(“조심하세요! 마초는 죽인다”로 번역) 캠페인을 시행한다.[78]
'''페루의 마초'''
페루는 마초 수준이 높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 중 하나이다. 남자들은 태어날 때부터 여성보다 강하다는 것을 배우며, 가정을 이루면 가장의 역할을 맡아 아내들이 순응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성 역할에 대한 오해는 많은 문제로 이어진다. 소년들은 아버지의 행동을 반복하며 폭력의 순환과 여성 비하를 계속한다.
남성들은 아내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여성의 의무라는 믿음에서 아내에게 폭력을 가한다. 아내가 주장을 펼치거나 요구를 거부하면, 남편의 권위에 굴복할 때까지 신체적 학대에 직면할 수 있다. 19세에서 21세 사이의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페루와 칠레의 두 사립 대학교를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페루 학생들은 더 높은 마초 비율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마초가 성격뿐만 아니라 알코올 및 약물 소비와 같은 외부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마초 외에도 중독 또한 남성의 자존심을 높여 “마초” 페르소나를 채택하게 한다. 이러한 중독은 남편에 의한 여성 학대로 이어진다. 많은 사람들은 문제에 무관심하거나, 자신들은 결혼했기 때문에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거나, 아내의 행동이 폭력을 유발했다고 믿으며 아내를 비난한다. 일부 남성들은 자신의 남성성을 주장하기 위해 여성을 때리는 데 의존하며, 파트너를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엄격한 통제를 유지하지 않으면 존경심을 잃을까 두려워한다.
6. 2. 3. 2021년 성폭력 증가
Cuidado! El Machismo Mataes (''조심하세요! 마초는 죽인다''로 번역) 캠페인은 2007년부터 매년 7월, 여성 폭력에 반대하는 칠레 네트워크(Red Chilena Contra la Violencia hacia las Mujeres)가 여성에 대한 폭력, 가정폭력, 여성살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고 있다.[78]6. 2. 4. LGBTQ+ 관광, 차별, 폭력
푸에르토 리코는 LGBTQ+ 관광객이 방문하기 좋은 곳 중 하나로 여겨졌다.[72] 그러나 LGBTQ+ 커뮤니티는 마초 문화와 상충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마초 문화는 이상적인 남성의 이미지를 이성애적이고 남성적인 것으로 지지하는데, 이는 게이 남성이 남성다움의 이미지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 LGBTQ+ 커뮤니티에 대한 혐오, 폭력, 차별로 이어진다.[73]푸에르토 리코는 로마 가톨릭과 오순절을 중심으로 강력한 기독교 공동체를 가지고 있으며, 유대교와 이슬람교 공동체도 소규모로 존재한다. 시대가 변화하고 미국의 영향으로 LGBTQ+ 운동은 평등을 위한 강력한 세력이 되었지만, 푸에르토 리코에서는 항상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심지어 차이로 인해 해를 입기도 했다. 그 중 하나가 2020년에 조롱을 당하고 결국 총격을 받은 트랜스젠더 여성 알렉사 네그론 루치아노의 살해 사건이다.[74] 증오 범죄로 분류된 알렉사의 살해는 섬에서 트랜스포비아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74]
이러한 논의와 더욱 포용적인 푸에르토 리코 사회에 대한 희망과 관련하여, 푸에르토 리코에서는 스페인어에서 모음 (a) 또는 (o)를 대체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성 중립적 식별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단어에서 (a)는 여성, (o)는 남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성 중립으로 간주되는 문자 (e)로 대체하는데, 이는 현지인들로부터 신식민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75]
6. 3. 칠레
마초는 칠레 북부 구리 광산 지역의 '쇼페리아스'(선술집)에서 연구되었다. 이곳은 여성의 출입이 사실상 금지되어 있으며, 광산에서 일하는 남성들은 직장보다 더 거친 남성성을 보인다. 사교 활동은 음주로 이루어지며, 가족과 떨어져 사는 남성들은 여성의 신체와 성적 가용성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성적 업적을 자랑함으로써 자신의 이성애적 정당성을 보여준다. 내성적인 사람들은 거절에 대한 두려움 없이 친구 및 여성과 교류할 수 있다.[76] '쇼페리아' 주인들은 젊고 매력적인 웨이트리스를 고용하여 고객의 선호도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며, 웨이트리스는 고객의 끊임없는 관심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해야 한다.[76] 광부들은 상사 및 수십 년 동안 그들을 훈련되고 자기 재생산적인 노동력으로 만들려고 노력해 온 도덕적 권위에 적대적인 이상적인 남성 노동자를 상징한다. 구리 산업 전반의 노동자들은 광업을 육체적 강인함, 즉 남성성의 궁극적인 시험으로 여긴다. 광부들은 종종 광산 자체를 질투심 많고 벌주는 여성으로 이야기하며, 아내가 불성실하다는 두려움을 표현한다. 주먹질과 덜 심각한 항의 행위가 정기적으로 경영진과 발생하며, 연대의 선을 넘는 노동자들과도 어느 정도 발생한다.[77]2007년부터 매년 7월, 여성 폭력에 반대하는 칠레 네트워크(Red Chilena Contra la Violencia hacia las Mujeres)는 여성에 대한 폭력, 가정 내 폭력, 여성 살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Cuidado! El Machismo Mata"(“조심하세요! 마초는 죽인다”로 번역) 캠페인을 시행한다.[78]
7. 21세기 마초의 유병률 및 문화적응
마초 문화는 이베리아 및 라틴 아메리카 지역 사회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젊은 세대 사이에서 마초의 유병률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젊은 남성 대다수가 성 역할과 마초성에 대한 전통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소수의 남성도 발견되었다.[10] 마초적인 태도는 여전히 우세하며, 이러한 가치관은 여성을 낮게 평가한다.
미국에서는 문화 적응과 교육이 이베리아 및 라틴 아메리카 세대에 걸쳐 마초가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79] 한 연구에 따르면, "평등주의적 태도, 가치 및 규범의 영향을 크게 받은 대학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다소 독특한 집단"은 민족성이 마초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79] 라틴계 개인의 교육 및 미국적 가치관의 문화 적응은 성 평등을 지지하는 태도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미국에서 마초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009년부터 6개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를 포함한 36개국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횡단면 조사 분석에 따르면, 성 불평등이 낮은 국가의 청소년들은 성 평등에 대한 태도를 지지했지만, 여성은 남성보다 LGBT 및 비전통적인 성 정체성을 지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80] 성 평등 태도의 평균 점수는 49.83이었으며, 점수가 낮을수록 성 평등 태도가 낮음을 나타냈다.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점수는 다음과 같다.[80]
국가 | 성 평등 태도 점수 |
---|---|
칠레 | 51.554 |
콜롬비아 | 49.416 |
도미니카 공화국 | 43.586 |
과테말라 | 48.890 |
멕시코 | 45.596 |
파라과이 | 48.370 |
마초는 성 불평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 연구는 모국에 거주하는 라틴계 개인이 미국 성 평등 가치를 수용하는 라틴계 이민자보다 더 많은 마초적 태도를 지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이민 온 40쌍의 라틴계 커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관계에서 더 큰 통제력과 의사 결정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면서 마초적 태도에 반하는 데이터를 발견했다.[81] 이는 마초가 전통적으로 여성을 복종적인 역할로, 남성을 지배적인 역할로 전락시키는 관계 역학을 만들기 때문에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커플이 미국으로 이민 온 지 평균 8년 정도 되었기 때문에 문화 적응이 이러한 역학적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1]
문화 적응은 마초의 감소와 관련 있을 뿐만 아니라, 마초가 어떻게 나타나고 세대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멕시코계 미국인 청소년들은 갈등 해결 시나리오에서 "정서적 가용성, 애정 표현, 여성 파트너를 재정적으로 돌보려는 의지, 자녀 양육 책임, 지역 사회 또는 친구에 대한 책임"과 같은 마초의 긍정적인 자질로 구성된 "적응적 마초성"을 보여주었다.[82] 또한, 멕시코계 미국인 청소년 남성은 가족으로부터 전달받은 caballerismo와 같은 특정 가치관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마초는 그중 하나가 아니었다.[83] 가족이 마초를 가르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마초가 가족 구성원과 분리된 출처, 예를 들어 동료와 미디어로부터 배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103]
일본에서는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헤이세이 시대 및 레이와 시대에 들어선 현재에도 기업에 남아있는 "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이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관습은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에서의 다양성 관리 추진을 저해하고, 주로 남성의 육아 참여나 가정 환경을 저해하여 저출산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며 비판받고 있다.
8. 마초를 둘러싼 행동주의
마초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남성의 전통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된다.[11] 멕시코-치카노 문화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마초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여성에 대한 양가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12][13]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 정복자가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한 것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14] 일부 학자들은 마초가 남성 신체를 통제하는 형태로 채택되었다고 지적한다.[16]
일부 전문가들은 성 역할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러한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운다. 미국의 여러 대학교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중심으로 6가지 행동 패턴의 모델을 개발했다:[17]
# 제한적인 정서 표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자제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 표현을 허용하지 않는 것.[17]
# 동성애 혐오: 동성애자에 대한 두려움 또는 동성애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그것과 관련된 모든 고정 관념에 국한되지 않음.[17]
#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 상황을 책임지고 다른 사람을 지휘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권위에 대한 욕구.[17]
#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 다른 사람에게 애정이나 성적 행위를 거의 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17]
#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 성과, 일 및 탁월함이 자신의 가치를 구성한다는 지속적인 복합성을 갖는 것.[17]
# 건강 문제: 건강에 해로운 식단, 스트레스 수준 및 생활 방식.[17]
이 모델은 이 6가지 패턴이 모두 남성의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에 맞춰 개발되었다.[17] 이 이론은 5명의 전문가가 수행한 연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뒷받침되었다.[17] 이미 성 역할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구에는 개인 속성 설문지, 벰 성 역할 목록, 여성에 대한 태도 척도 및 남성의 역할에 대한 태도 척도가 있다.[17] 증거에 따르면, 이러한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자라거나 마초성이 만연한 사회에 사는 남성은 마초가 유발하는 성 역할 갈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겪을 수 있다.[18] 또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갈등에 직면한 많은 남성이 분노, 우울증 및 약물 남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일본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헤이세이 시대 및 레이와 시대에 들어선 현재에도 기업에 남아있는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은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노동 환경에서의 이러한 관습은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에서의 다양성 관리 추진, 더 나아가 주로 남성의 육아 참여나 가정 환경을 저해하고 저출산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8. 1. 영 로즈 (Young Lords)
영 로드는 1969년에 시카고와 뉴욕 시에서 활동한 푸에르토리코 혁명 민족주의자 조직이다.[84] 모든 억압받는 사람들의 해방을 위해 노력하며 인종차별, 자본주의, 동화주의 이념에 반대했다.[85] 자기 결정과 기관 및 토지에 대한 지역 사회 통제를 추구한 영 로드의 지도자들은 수정된 13개 조항 프로그램 및 플랫폼에서 마초이즘을 비난했다. 초기에는 "우리는 여성의 평등을 원한다. 마초이즘은 혁명적이어야 한다... 억압적이지 않다."라고 했지만, 이후 "우리는 여성의 평등을 원한다. 마초이즘과 남성 우월주의는 타도하자"라고 선언하며 더욱 급진적인 입장을 취했다.[86] 이 수정된 버전은 원래 플랫폼이 발표된 지 13개월 후인 1970년 11월, 그들의 신문인 ''팔란테''에 게재되었다.영 로드는 1971년 ''팔란테'' 사설에서 회원 글로리아 곤잘레스가 밝혔듯이, 마초이즘이 운동 구성원들을 분열시키기 때문에 반대했다.[87] 또한 마초이즘이 그들이 반대하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연장이라고 믿었다. 생산 노동과 재생산 노동을 포함한 노동의 분업이 여성의 소외를 영속화한다고 보았다. 여성의 성적 대상화는 잠재적인 혁명 지도자들에게 문제적이고 해로운 것으로 여겼다. 이러한 변화는 1970년 5월 동부 해안 지역 중앙 위원회 수련회에서 조직 지도부에 마초이즘을 거부하도록 압력을 가한 영 로드의 여성들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88] 이 수련회에서 이들은 권력이 인민에게 이전되려면 모든 인민의 손에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영 로드는 "형제들이 자매에게 가지는 우월주의적 태도"와 "형제에 대한 자매들의 수동성(형제들이 마초 또는 남성 우월주의적인, 우월한 입장에서 벗어나도록 허용하는 것)"을 거부해야 하기 때문에 마초이즘을 공식적으로 비난했다.[89]
9. 비판과 논쟁
마초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지만, 과시, 허세, 사회적 지배, 성적 능력, 명예 보호, 근면함, 위험 감수 등의 특징은 매우 익숙하다.[7][8][9][6][10]
멕시코-치카노 문화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마초성은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자극에 대한 공격적이거나 통제적인 반응, 여성에 대한 양가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12][13] 이러한 특성은 스페인 정복자가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한 것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여겨져 왔다.[14]
일부 전문가들은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성 역할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보며, 이들은 다음 6가지 행동 패턴을 제시한다.[17]
번호 | 행동 패턴 | 설명 |
---|---|---|
1 | 제한적인 정서 표현 |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자제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 표현을 허용하지 않는 것.[17] |
2 | 동성애 혐오 | 동성애자에 대한 두려움 또는 동성애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17] |
3 | 사회화된 통제, 권력 및 경쟁 | 상황을 책임지고 다른 사람을 지휘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권위에 대한 욕구.[17] |
4 | 제한적인 성적 및 애정 행동 | 다른 사람에게 애정이나 성적 행위를 거의 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17] |
5 | 성취와 성공에 대한 강박 관념 | 성과, 일 및 탁월함이 자신의 가치를 구성한다는 지속적인 복합성을 갖는 것.[17] |
6 | 건강 문제 | 건강에 해로운 식단, 스트레스 수준 및 생활 방식.[17] |
이러한 사고방식은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유발하고, 분노, 우울증, 약물 남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18][19]
일본에서는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헤이세이 시대 및 레이와 시대에 들어선 현재에도 기업에 남아있는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이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 다양성 관리 추진, 더 나아가 주로 남성의 육아 참여나 가정 환경을 저해하고 저출산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며 비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9. 1. 식민지적 함의를 둘러싼 논쟁
마초 개념이 원래 스페인 또는 포르투갈에서 유래했다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다.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사용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남성적 사회 구조를 홍보함으로써 역사적 식민지적 함의를 낳는데, 이는 이 용어가 특정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적 남성성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야 할 때 발생한다.[90][91] 그러나 '마초'라는 단어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단어와 유사하여 스페인과 포르투갈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마초의 긍정적인 특성만을 의미하는 caballerosidad|카바예로시다드es와 cavalheirismo|카발레이리스무pt의 사용은 봉건적이고 식민지적 함의를 내포하며, 이는 식민 지배 관계와 관련이 있다. 이는 이 단어의 기원이 식민 시대까지 이어진 봉건 시대 스페인/포르투갈의 지주에 대한 묘사에 있으며, 소위 라틴 아메리카 마초와 비교하여 유럽 문화를 찬양하기 때문이다.[92][93]
9. 2. 부정적인 묘사의 결과
마초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지만, 과시, 허세, 사회적 지배, 성적 능력, 명예 보호, 근면함, 위험 감수 등의 특징을 보인다.[7][8][9][6][10] 대중 문화에서 마초는 폭력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으며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된다.[11]멕시코-치카노 문화에서는 정서적 무감각, 가부장적 지배, 공격적 반응, 여성에 대한 양가성 등이 마초의 특징으로 나타난다.[12][13] 이는 스페인의 식민 지배에 대한 멕시코 남성의 반응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4]
일부 전문가들은 남성이 여성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성 역할 갈등을 겪는다고 보며, 제한적인 감정 표현, 동성애 혐오, 사회적 통제 욕구, 제한적인 성적 행동, 성취 강박, 건강 문제 등의 행동 패턴을 제시한다.[17] 이러한 사고방식은 불안과 낮은 자존감을 유발하고, 분노, 우울증, 약물 남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18][19]

한편, 라틴 아메리카 문화의 마초성은 가족과의 유대, 기사도 정신, 존엄성, 지혜, 근면, 책임감, 영성, 정서적 유대감 등 긍정적인 측면(caballerosidades)도 포함한다.[93][94]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긍정적인 측면은 주변화되거나 무시되는 경향이 있다.[95] 이는 미국 남성성의 지배적인 아이디어를 정당화하고 마초성을 여성 학대와 후진성의 형태로 종속시키는 권력 역학을 만들어 라틴계 남성이 남성성을 표현하는 데 무력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96][97]
일반적으로 사회는 남성에게서 공격성, 권력, 지배력 등을 찾지만, 책임감, 명예, 용기 같은 긍정적인 측면은 종종 드러나지 않는다.[98] 예를 들어, 남성이 가족을 보호하는 책임감을 보일 때, 이는 존경을 얻기 위한 행동으로 이어져 폭력과 학대로 변질될 수 있다.[98] 이 때문에 마초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더 커지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성별에 기반한 신념 체계가 부정적, 긍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는 현상은 양가적 성차별주의로 설명되며, 이는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로 구성된다.[99]
학자들은 대중 문학에서 이베리아 및 라틴 아메리카 남성성에 대한 부정적인 정의만 존재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며, 이는 미국 문화에서 반가톨릭적 관점이나 노르드주의적 관점에 따라 마초성이 "남성에게 잘못된 모든 것"을 나타낸다는 인식을 강화한다고 지적한다.[100]
9. 2. 1. 대중 문학에서 마초의 부정적 묘사
대중 문학에서 '마초'라는 용어는 성차별, 여성 혐오, 남성 우월주의, 과잉 남성성,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같은 부정적인 특징과 연관되어 왔다.[101][102][103] 학자들은[104] "마초적인 남성"을 폭력적이고 무례하며, 여성 편력이 심하고 알코올 중독에 잘 걸리는 인물로 묘사한다. 여러 작가들은 마초적인 남성을 위협으로 지배하고, 여성을 유혹하고 통제하며, 폭력을 통해 아이들을 통제하는 인물로 전형화했다.[101]예를 들어, 미국 문학에서 마초의 한 예는 테네시 윌리엄스의 작품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 등장하는 자존심 강한 처남 스탠리 코왈스키이다. 이 연극 및 1951년 영화 각색에서 스탠리는 강인하고 알파 메일(과잉 남성적인) 원형을 보여주며, 사회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아내와 여동생인 블랑쉬 드부아를 지배하고, 자신의 의지를 강요한다. 스탠리의 공격적이고 때로는 여성 혐오적인 견해와 결합된 것은 강한 자존심과 명예심인데, 이는 그가 블랑쉬를 증오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아서 밀러의 희곡 ''다리에서 바라본 풍경''에서 주요 등장인물 중 하나인 에디는 마초성을 드러내는 전형적인 유형이다. 그는 주변 남자들 중에서 최고가 되기를 원하며, 패배했을 때 매우 흥분하고 점점 더 비이성적으로 변한다. 미국 문학에서 묘사되는 부정적인 고정 관념은 마초성의 모든 다른 층을 대표하지는 않는다.[105] 대중 문학에서 마초성은 폭력적이고 공격적으로 묘사될 수 있지만, 학자들은 마초성의 긍정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긍정적인 면이 종종 드러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06]
10. 일본에서의 사용
일본에서는 보디빌더 등 근육질이나 근육미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다만, 본래 마초의 의미는 근육미를 포함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1. 마초 노동
일본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에 정착하여, 헤이세이 시대 및 레이와 시대에 들어선 현재에도 기업에 남아있는 " (일에서는)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 일을 최우선으로 장시간 일할 수 있는 것, 경쟁을 좋아하며,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힘을 쏟는 것"이라는 가치관의 노동 스타일이 '''마초 노동'''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노동 환경에서의 관습은 일하는 방식 개혁에 따른 노동 안전 보건 측면에서의 개선, 기업 내 다양성 관리 추진, 더 나아가 주로 남성의 육아 참여나 가정 환경을 저해하고 저출산의 원인이 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Machismo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17-02-01
[2]
웹사이트
Un Modelo de Vida (A role model in his lifetime)
http://www.ftanguis.[...]
[3]
간행물
How Machismo Got Its Spurs—in English: Social Science, Cold War Imperialism, and the Ethnicization of Hypermasculinity
2017-10
[4]
서적
Lesbians and Gays in Couples and Families: A Handbook for Therapists
Wiley
1996
[5]
간행물
Chicano Men and Masculinity
1982-Summer
[6]
서적
Female and Male in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
2010-11-23
[7]
웹사이트
EBSCO Publishing Service Selection Page
https://web.p.ebscoh[...]
2024-09-17
[8]
웹사이트
Machismo #1 {{!}} Irisol Gonzalez
https://www.irisolgo[...]
2022-11-26
[9]
서적
Gendered Transitions: Mexican Experiences of Immigr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10]
간행물
Where the Boys are: Attitudes Related to Masculinity, Fatherhood, and Violence Toward Women among Low-Income Adolescent and Young Adult Males in Rio de Janeiro, Brazil
1997-12
[11]
간행물
Toward a fuller conception of Machismo: Development of a traditional Machismo and Caballerismo Scale.
https://doi.apa.org/[...]
2008-01
[12]
간행물
Gender Labels and Gender Identity as Predictors of Drug Use among Ethnically Diverse Middle School Students
2002-03
[13]
간행물
I've Learned So Much from My Mother: Narrative from a Group of Chicana High School Students
1999
[14]
간행물
Altering Masculinities: The Spanish Conquest and the Evolution of the Latin American Machismo
2002-01
[15]
간행물
The First Published Review of Octavio Paz's The Labyrinth of Solitude
http://dx.doi.org/10[...]
2006-10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dy Image and the Issues with Purely Quantitative Marketing Research
https://toucaninsigh[...]
2018-05-28
[17]
간행물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1986
[18]
간행물
Gender role conflict, instrumentality, expressiveness, and well-being in adult men
1995-07
[19]
간행물
Masculine gender role conflict: Effects on college men's psychological well-being, chemical substance usage, and attitudes towards help-seeking.
1996-10
[20]
간행물
Setting the Agenda for Cuban Sexuality: The Role of Cuba's Cenesex
2011-01
[21]
간행물
The Impact of Machismo on Hispanic Women
[22]
간행물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Marianismo Beliefs Scale
https://www.academia[...]
2010
[23]
간행물
The Latin American Family: Familism vs. Machismo
1991
[24]
간행물
"Locas," Respect, and Masculinity
[25]
간행물
Constructing interventions for Hispanic sexual minority youth
https://www.tandfonl[...]
2019-07-03
[26]
간행물
Machismo as a Determinant for HIV/STD Risk Behavior Among Latino MSM
https://scholarscomp[...]
2018-02-27
[27]
간행물
Machismo, gender role conflict, and mental health in Mexican American men
[28]
간행물
Machismo, marianismo, and negative cognitive-emotional factors: Findings from the Hispanic Community Health Study/Study of Latinos Sociocultural Ancillary Study
[29]
간행물
Depression in Latino adolescents: A cultural discrepancy perspective
[30]
간행물
Male Sex Role Conflicts, Sexism, and Masculinity: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Men, Women, and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1]
뉴스
Healthy competition Is Good For Children
https://ipa.org.au/p[...]
2018-02-27
[32]
웹사이트
Machismo: The Psychological Effects on Women - ProQuest
https://www.proquest[...]
2024-11-26
[33]
웹사이트
Machismo: The Psychological Effects on Women - ProQuest
https://www.proquest[...]
2024-11-26
[34]
간행물
FEMICIDE IN LATIN AMERICA:REIMAGINING CATHOLIC SYMBOLISM IN THE PURSUIT OF JUSTICE
https://ejournals.bc[...]
2022-01-18
[35]
서적
Violence and the prevention of violenc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36]
논문
The Maudsley Violence Questionnaire: initial validation and reliability
2005
[37]
논문
HIV Prevention and Low-Income Chilean Women: Machismo, Marianismo and HIV Misconceptions
[38]
논문
De los habitus al femichismo:Reproducción de conductas machistas en mujeres de Cochabamba
http://www.scielo.or[...]
2012
[39]
논문
Gender, Sexuality, and Revolution in Cuba
1996
[40]
웹사이트
Gender Equality and the Role of Women in Cuban Society
https://ww3.aauw.org[...]
2011-02
[41]
논문
Review of Sex and Revolution: Women in Socialist Cuba
1997
[42]
논문
Beyond Machismo: A Cuban Case Study
1999
[43]
서적
Transcultural Negotiations of Gender
[44]
학위논문
The New New Man: (Re)Articulations of Masculinity in Post-Revolutionary Cuba
https://scholarship.[...]
2016-07-21
[45]
논문
Swans in Sugarcane Fields: Proletarian Ballet Dancers and the Cuban Revolution's Industrious New Man
https://scholarworks[...]
2017-08
[46]
서적
The Education of Cuban Women: An Analysis of the Politics of Gender
1989-03
[47]
뉴스
Study: Cubans don't make much, but it's more than state salaries indicate
https://www.miamiher[...]
2018-12-04
[48]
웹사이트
Gender Data Portal
http://datatopics.wo[...]
2018-12-04
[49]
서적
The Second Shift
Avon Books
1990
[50]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Gender Equality in Cuba
https://berkleycente[...]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at Georgetown University
2018-12-04
[51]
웹사이트
In Cuba, a Government-Backed LGBT Rights Movement Battles Against a Culture of Machismo
http://sjnnchicago.m[...]
2018-12-05
[52]
논문
General Overview of Cuban Family Law Legislation
https://scholarship.[...]
2017-08-23
[53]
논문
The Illusion of Equality: Machismo and Cuban Cinema of the Revolution
2010-03-01
[54]
논문
A Dialogue with Tomás Gutiérrez Alea on the Dialectics of the Spectator in 'Hasta Cierto Punto'
1985-04-01
[55]
논문
Possession, Gender and Performance in Revolutionary Cuba: Eugenio Hernández Espinosa's María Antonia
2010-07
[56]
논문
Love, Jealousy and Gender in Post-Soviet Havana
2013
[57]
논문
Negotiating desirability and material resources: changing expectations on men in post-Soviet Havana
https://journals.ope[...]
2015-06-01
[58]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Machismo in Puerto Rico
https://gabrielasofi[...]
2018-05-16
[59]
서적
Family Matters: Puerto Rican Women Authors on the Island and the Mainland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2
[60]
서적
Reproducing Empire: Race, Sex, Science, and U.S. Imperialism in Puerto Ric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61]
서적
Matters of Choice: Puerto Rican Women's Struggle for Reproductive Freedom
Rutgers University Press
2008
[62]
간행물
Here's the One Place in America Where the Gender Pay Gap Is Reversed
https://money.com/ge[...]
2018-04-10
[63]
논문
Women's Employment and Changing Gender Relations in Puerto Rico
2010
[64]
논문
Puerto Rico: Feminism and Feminist Studies
2003
[65]
논문
'Puertorriqueñas Rencorosas y Mejicanas Sufridas': Gendered Ethnic Identity Formation in Chicago's Latino Communities
2008-06-28
[66]
웹사이트
Incidentes de Violencia de Género año 2021
https://docs.pr.gov/[...]
Negociado de la Policia de Puerto Rico
2021
[67]
웹사이트
Gobernador declara Estado de Emergencia por Violencia de Género
https://www.fortalez[...]
Oficina del Gobernador
2022-10-08
[68]
웹사이트
Incidentes de Violencia Doméstica por Área Policia Año 2020
https://docs.pr.gov/[...]
Oficina de Estadísticas del Negociado de la Policía de Puerto Rico
2021-01-27
[69]
뉴스
Los tribunales ante el machismo
https://periodismoin[...]
2022-09-22
[70]
뉴스
Educadoras cuentan cómo integran la perspectiva de género en el salón
https://periodismoin[...]
2022-10-29
[71]
웹사이트
Carta núm. 015-2022-2023
http://intraedu.dde.[...]
2022-10-26
[72]
서적
The Politics of Sexuality in Latin America: A Reader on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Rights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0
[73]
서적
Beyond Machismo: Intersectional Latino Masculinities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6
[74]
뉴스
El brutal asesinato de una mujer transgénero conmociona a Puerto Rico y renueva una conversación sobre la transfobia
https://cnnespanol.c[...]
2020-03-02
[75]
서적
Guía de Lenguaje Inclusivo y Antirracista
https://en.mentesena[...]
Mentes Puertorriqueñas en Acción
2021
[76]
간행물
Gender relations and masculinity in northern Chile mining areas: ethnography in schoperías
2011-10-01
[77]
간행물
Working-Class Masculinity, Middle-Class Morality, and Labor Politics in the Chilean Copper Mines
1996
[78]
웹사이트
Campaña ¡cuidado! el machismo mata
http://www.nomasviol[...]
2017-09-07
[79]
간행물
Machismo in Organizations: Individual Predictors & Context-Dependent Outcomes
2016-06
[80]
간행물
The Best Is Yet to Come?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Among Adolescents in 36 Countries
2017-07
[81]
간행물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nalysis of Sexu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Family Planning Factors Among Immigrant Latino Couples in the United States
2017-05-04
[82]
간행물
Mexican American Adolescent Couples Communicating About Conflict
2016
[83]
간행물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gender role attitudes, and ethnic identity development in Mexican-origin early adolescents.
2017
[84]
서적
The Young Lords: A Reader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0
[85]
서적
The Young Lords: A Reader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0
[86]
문서
Palante
1970-05-08
[87]
문서
Palante
1971-06
[88]
서적
The Young Lords: A Reader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0
[89]
서적
The Young Lords: A Reader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0
[90]
서적
Local Histories/Global Designs: Coloniality, Subaltern Knowledges, and Border Think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91]
간행물
Latino vs. Hispanic: The politics of ethnic names
2005-06
[92]
서적
Exalted Subjects: Studies in the Making of Race and Nation in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7
[93]
학위논문
Latino Youth and Machismo: Working Towards a More Complex Understanding of Marginalized Masculinities
https://rshare.libra[...]
2021-05-23
[94]
간행물
Toward a fuller conception of Machismo: Development of a traditional Machismo and Caballerismo Scale.
2008-01
[95]
서적
Readings for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Psychology Press
2000
[96]
서적
Masculinit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97]
서적
Local Histories/Global Designs: Coloniality, Subaltern Knowledges, and Border Think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98]
간행물
Domestic Violence as a Human Rights Issue: The Case of Immigrant Latinos
1999-05
[99]
간행물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100]
학위논문
Machismo and geographies of hope
[101]
간행물
Machismo: Dead or alive?
[102]
간행물
The Latin American Family: Familism vs. Machismo
[103]
간행물
Scripting the macho man: Hypermasculine socialization and enculturation
[104]
서적
Macho: Sit on It
3L Graphics
[105]
간행물
Toward a fuller conception of Machismo: Development of a traditional Machismo and Caballerismo Scale.
http://doi.apa.org/g[...]
2008-01
[106]
웹사이트
Top 10 books about toxic masculinity
http://www.theguardi[...]
2020-01-08
[107]
뉴스
“脱マッチョ労働” 子どもも仕事も諦めない社会とは
https://www3.nhk.or.[...]
NHK NEWS WEB
2024-06-25
[108]
뉴스
男らしさ競う「マッチョな職場」はつらいよ
https://career.nikke[...]
日経転職版
2023-05-16
[109]
뉴스
マッチョな職場、つらくないですか? 「弱みを見せない」が生む弱み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2-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